KR20100121165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165A
KR20100121165A KR1020090040195A KR20090040195A KR20100121165A KR 20100121165 A KR20100121165 A KR 20100121165A KR 1020090040195 A KR1020090040195 A KR 1020090040195A KR 20090040195 A KR20090040195 A KR 20090040195A KR 20100121165 A KR20100121165 A KR 20100121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hock absorbing
absorbing unit
back cov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1165A/ko
Publication of KR2010012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백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프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백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완충유닛에 의하여 상기 충격이 완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충격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격에 대하여 완충유닛 헤드부의 변형 및 완충유닛 헤드부의 상대이동에 따른 탄성력에 의하여 충격의 감쇄가 수행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의 감쇄가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백 커버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에 완충유닛 헤드부가 접촉 및 지지되어 상기 충격에 따른 응력을 함몰부로 전달함으로써, 평면으로 형성된 백 커버 몸체에 직접 상기 응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비하여, 백 커버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백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하는 프론트 커버(10) 및 백 커버(20)와, 프론트 커버(10) 및 백 커버(20) 사이에 구비되어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4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완충유닛(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외부 신호에 따라서 영상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면에 구비되며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영상 패널부(미도시)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화 프레임(32)과, 디스플레이 기기(1)에 대한 벽걸이 거치 장치의 체결 위치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0)과 프론트 커버(10) 또는 프레 임(40)을 연결시키는 수직 프레임(33)과,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부(3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강화 프레임(32)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긴 변, 즉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가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의 강화 프레임(32)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Display display device module, 이하 LCD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Plasma display panel module, 이하 PDP 모듈),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LED 모듈)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Organic ligit emitting diode module, 이하 OLED 모듈)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는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상기 영상 패널부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0)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프론트 커버(10)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전면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전방에서 보호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백 커버(20)는 백 커버(20)의 외형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을 보호하는 백 커버 몸체(21)를 포함한다. 그리고 백 커버 몸체(21)에는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구비되는 입출력 단자부(3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단자 노출부(22)와, 완충유닛(50)이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한 충격 이 감쇄되도록 하는 함몰부(23)가 형성된다. 백 커버(20)는 일례로 금속 재질 또는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1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대하여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프론트 커버(10)의 테두리와 백 커버(20)의 테두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서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40)이 구비되어 프론트 커버(10)와 백 커버(20) 측면 공간이 차폐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별도의 프레임(40)이 구비되지 않고, 프론트 커버(10)의 테두리와 백 커버(20)의 테두리가 직접 접촉 및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의 내부 공간이 차폐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완충유닛(5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구비된 강화 프레임(32)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영상 패널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히, 완충유닛(5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구비된 강화 프레임(32)의 일측에 고정되며, 완충유닛(50)의 타측은 백 커버(20)의 내면 즉, 함몰부(23)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의 완충유닛(50)은 일례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유닛(5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강화 프레임(3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 즉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중심에서 가장 이격된 강화 프레임(32)의 단부 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서 다수의 완충유닛(50)은 디스플레이 모듈(30) 배면의 테두리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유닛(50)이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테두리 측을 백 커버(30)에 대하여 지지함으로써, 충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테두리가 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중앙부에 비하여 상기 중앙부에서 이격된 좌우 양측의 테두리부의 변형량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변형량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영상 패널부와 같은 모듈 구조물에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테두리부에는 완충유닛(50)이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테두리부를 백 커버(20)에 대하여 지지하여, 상기 테두리부의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유닛(50)에 의하여, 상기 변형량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격을 감쇄하여 충격에 따른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유닛(5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완충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유닛(50)은 완충유닛(5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완충유닛 몸체(51)와, 완충유닛 몸체(51)의 일측에 구비되는 완충유닛 헤드부(52)와, 완충유닛 몸체(51)에 대하여 완충유닛 헤드부(52)를 슬라 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53)와, 연결부(53)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완충유닛 몸체(51)는 연결부(53)와 탄성 부재(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완충유닛 몸체(51)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515)을 포함한다. 완충유닛 몸체(51)의 일측에는 연결부(53)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몸체측 홀(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유닛 몸체(51)의 타측에는 연결부(53) 및 탄성 부재(54)가 내부 공간(515)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몸체측 홀(514)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강화 프레임(32)에 고정되기 위한 후크부(513)가 형성된다.
연결부(53)는 제1몸체측 홀(512)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부 몸체(531)와, 연결부 몸체(531)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며 제1몸체측 홀(5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절곡부(532)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53)의 내부는 개구되며, 절곡부(532)의 내면에는 탄성 부재(54)의 일측이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부 몸체(531)의 타측 단부에는 완충유닛 헤드부(52)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533)이 형성된다.
한편, 완충유닛 헤드부(52)는 일례로 고무 또는 탄성 재질의 수지물과 같은 완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유닛 헤드부(52)에 일정 크기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완충유닛 헤드부(52)는 상기 충격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하여, 상기 충격을 감쇄한다. 그리고, 완충유닛 헤드부(52)는 일측이 백 커버(20)의 함몰부(23)와 마주보는 헤드부 몸체(521)와, 헤드부 몸체(521)의 타측에 형성되며 연결부(53)의 고정홀(533)에 고정되는 헤드부측 고정부(52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완충유닛(50)이 디스플레이 기기(1)에 구비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A-A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의 완충유닛(50)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백 커버(20)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보다 상세히, 강화 프레임(32)의 일면(321)에는 걸림홀(3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322)에는 완충유닛(50)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513)가 고정된다. 강화 프레임(32)에 후크(513)가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유닛 헤드부(52)는 백 커버(2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 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23)의 내면과 마주보게 된다. 이 때, 완충유닛 헤드부(52)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진동이 직접 백 커버(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몰부(23)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마주본다.
이 때, 완충유닛(50)에 구비된 탄성 부재(54)의 일측은 연결부(53)에 대하여 지지되며, 탄성 부재(54)의 타측은 강화 프레임(322)의 일면(321)에 지지된다.
완충유닛(5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배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완충유닛 헤드부(52) 및 탄성 부재(54)에 의하여 완충유닛(50)이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하는 방향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형성되는 평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유닛 헤드부(52)는 디 스플레이 모듈(30)의 전면 또는 배면을 통하여, 전면 또는 배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완충유닛(50)이 상기 충격을 감쇄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충격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좌우 양측 테두리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으로 일정 크기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에 변형이 발생된 경우, 강화 프레임(32)에 고정된 완충유닛(50)의 완충유닛 헤드부(52)는 함몰부(23)와 접촉되며, 완충유닛 헤드부(52) 자체의 재질 및 탄성 부재(54)에 의하여 충격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충격에 의하여 상기 완충유닛 헤드부(52)가 탄성 변형을 하게 되며, 연결부(51) 및 완충유닛 헤드부(52)가 탄성 부재(54)를 압축하면서 완충유닛 몸체(51)에 대하여 일정 거리(d1) 만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즉, 완충유닛 헤드부(52)의 탄성 변형에 의한 반력 및 탄성 부재(54)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상기 충격의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게 됨으로써, 상기 충격을 감쇄시키며,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변형량 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 때, 완충유닛 헤드부(52)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서 상기 충격을 감쇄하는 과정을 제1감쇄, 탄성 부재(54)에 의하여 상기 충격을 감쇄하는 과정을 제2감쇄라하며, 상기 제1감쇄 및 제2감쇄는 동시적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완충유닛 헤드부(52)의 재질 또는 탄성 부재(54)의 탄성 계수에 따라서 제1 또는 제2감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30)에 구비된 완충유닛(50)에 의하여 상기 충격이 감쇄되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충격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격에 대하여 완충유닛 헤드부(52)의 변형 및 완충유닛 헤드부(52)의 상대이동에 따른 탄성력에 의하여 충격의 감쇄가 수행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충격의 감쇄가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백 커버(20)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23)에 완충유닛 헤드부(52)가 접촉 및 지지되어 상기 충격에 따른 응력을 함몰부(23)로 전달함으로써, 평면으로 형성된 백 커버 몸체(21)에 직접 상기 응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비하여, 백 커버(20)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백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완충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A-A 선도에 따라 절개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D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11)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구비되는 백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의 일측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유닛의 타측은 선택적으로 상기 백 커버의 내면과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기 완충유닛이 고정되는 강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완충유닛의 타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완충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완충유닛 몸체; 및
    상기 완충유닛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유닛 헤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완충유닛 몸체에 대하여 상기 완충유닛 헤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홀더 및 상기 완충유닛 헤드부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 몸체의 타측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 몸체의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형성되는 평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두리 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40195A 2009-05-08 2009-05-08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121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95A KR20100121165A (ko) 2009-05-08 2009-05-08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95A KR20100121165A (ko) 2009-05-08 2009-05-08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65A true KR20100121165A (ko) 2010-11-17

Family

ID=4340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195A KR20100121165A (ko) 2009-05-08 2009-05-08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1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682A (ko) * 2013-08-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54746A1 (ko) * 2021-09-29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682A (ko) * 2013-08-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54746A1 (ko) * 2021-09-29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60908A (ja) 映像表示装置
US20140125914A1 (en) Display device
KR2006008458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9080719B2 (en) Display device
US7505258B2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electromagnetic shielding
KR2010012116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70013127A (ko) 디스플레이부용 쿠션부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2082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2010012230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60080274A (ko) 표시장치
JP5195985B2 (ja) 液晶テレビのスピーカー固定構造
JP6561705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570538B1 (ko) 스피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968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6880351B2 (ja) 車載情報機器
JP7064331B2 (ja) 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201100171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570404B2 (ja) 表示器の保持構造
KR101696013B1 (ko) 영상표시장치용 패널
JP6182954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シャーシ
KR20110019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19180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80038891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JP4978458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2009109886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