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38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382A
KR20170076382A KR1020150186560A KR20150186560A KR20170076382A KR 20170076382 A KR20170076382 A KR 20170076382A KR 1020150186560 A KR1020150186560 A KR 1020150186560A KR 20150186560 A KR20150186560 A KR 20150186560A KR 20170076382 A KR20170076382 A KR 2017007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hassis
mounting
display device
conc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기
박재후
도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382A/ko
Priority to US16/065,355 priority patent/US11256305B2/en
Priority to PCT/KR2016/014177 priority patent/WO2017111347A1/ko
Priority to EP16879214.1A priority patent/EP3379825B1/en
Priority to CN201680081798.4A priority patent/CN108605110B/zh
Publication of KR2017007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을 섀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는 장착홀재 및 섀시에 마련되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설치 시 이용되는 결합용 장착 구조를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은폐하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화면이 커지고 두께가 얇아지게 됨에 따라 벽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예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베사(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규격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의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비 VESA 규격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의 장착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벽면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고정하지 않고 테이블과 같은 설치면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경우, 장착홀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제품의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홀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벽면에 고정했던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거한 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홀을 은폐할 수 있는 은폐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섀시,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섀시에 마련되는 장착유닛,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은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유닛을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제거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노출구멍과 상기 노출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유닛은, 체결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장착홀과, 제거된 상기 은폐유닛 또는 이물질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홀의 둘레에 마련되는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유도부는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슬릿 및 가이드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별도물을 삽입하여 상기 은폐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두 개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은폐부를 회전시켜 상기 은폐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거유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홈이 파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은폐부를 가압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는 접착성을 가진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노출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커버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삽입방향으로만 진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이탈방지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섀시 방향으로 상기 노출구멍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폐쇄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폐쇄부재를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섀시 및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홀을 은폐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장착홀이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노출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은폐부재는 상기 노출구멍을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은폐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여 사용시 제거하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서 탈거하였을 때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물질이 상기 노출구멍을 통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섀시는 상기 장착홀 둘레에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거나, 상기 커버는 상기 노출구멍 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에 마련된 장착홀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섀시에 결합된 커버에 마련된 은폐부재를 제거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홀과 설치면을 연결 및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상기 은폐부재의 둘레에 마련된 슬릿에 별도물을 삽입하여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거나, 상기 은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거나, 상기 은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장착홀을 분리하고, 상기 장착홀을 은폐하도록 상기 커버에 상기 은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섀시에 스탠드를 고정하여 설치면에 세우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벽면 설치용 장착홀이 보이지 않도록 마련된 은폐 구조에 의해 장착홀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상 심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홀을 은폐하는 은폐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고정 시 제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서 탈거 시 다시 장착홀을 은폐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또는 설치 장소 변경 시에도 벽면 설치용 장착홀을 은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폐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폐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곡면 상태와 평면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용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는,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곡률을 가지는 섀시를 적용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8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86)은 전원기판, 신호처리기판 및 구동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기판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신호처리기판에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원기판, 신호처리기판 및 구동기판 등은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상호 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및 섀시(chassis)(80)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30) 및 도광판(light guide plate)(40)과 같은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엣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30) 및 광원(3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2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도광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40)은 광원(3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로 향하게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시트부재와 같은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는 광학적 성질을 가지는 광학시트(60) 및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QD(Quantum dot)시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60)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디퓨저시트(61)와, 고휘도 프리즘 시트인 디베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시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60)는 도광판(40)과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배치되어, 도광판(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킨다.
QD시트(50)는 색 재현성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색 재현도는 자연색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척도이며, 색 좌표상에서 얼마나 넓은 면적을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백색 LED를 컬러필터로 변환하는 기술에 비해 백색광의 색순도(color purity)가 높기 때문에 컬러필터를 통과하는 효율이 높아져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QD시트(50)는 "양자점시트"라고 칭할 수도 있다.
QD(Quantum dot)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통 전자는 에너지를 받게 되면, 가전자대에서 전도대로 여기(勵起)가 된다. 그 후에 전자는 다시 에너지를 잃게 되어 가전자대로 떨어지는데 이 때 에너지를 빛으로 방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양자점은 좁은 파장대에서 강한 형광을 발생시킨다. 이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의 모든 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자체로 천연색을 발생시키므로 색채의 손실이 없고 색 재현성도 높은 물질이다. 양자점은 입자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고, 입자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을 발생시킨다. 양자점은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설파이드(Cds), 카드뮴텔레라이드(Cdte), 징크셀레나이드(ZnSe), 징크텔레나이드(ZnTe), 징크설파이드(ZnS)등의 화합물일 수 있다.
QD시트(50)는 도광판(40)을 지나는 광이 QD시트(50)를 거쳐 출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QD시트(50)는 도광판(40)의 전면에서 도광판(40)과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QD시트(50)는 도광판(40)의 전면에 밀착되어, 도광판(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LED의 빛은 도광판(40)을 거쳐 QD시트(50)에 도달하므로, QD시트(50)는 LED로부터 열의 영향을 적게 받고, 결론적으로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QD시트(50)는 청색의 발광소자에 대응하여, 노란색의 QD시트(50)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청색의 발광소자로부터 발하는 청색광은 노란색의 QD시트(50)를 지나면서 백색의 광으로 변환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광판(40)은 도광부(40a)와 반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사부(45)가 별도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섀시(chassis)(8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섀시(80)는 제1 섀시(82) 및 제1 섀시(82)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섀시(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섀시(82)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섀시(82)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前面)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섀시(82)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섀시(82)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前面) 중 일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섀시(82)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前面)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82)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82)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중 일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82) 및 제 2섀시(84)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섀시(82) 및 제 2섀시(84)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30)은 도광판(4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30)은 도광판(40)의 단변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장변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광원(3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광판(4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도광판(40)에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광원(30)은 섀시(80)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광원(30)은 도 2a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 측에 한 쌍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섀시(80)와 함께 섀시(80) 내부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미들몰드(middle mold)(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섀시(82)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외곽을 덮는 베젤부(82a)와, 베젤부(82a)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미들몰드(70)의 측면을 덮는 탑 측면부(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섀시(84)는 후면부(84a)와, 후면부(84a)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미들몰드(70) 내에 결합되는 바텀 측면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몰드(70)는 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20) 및 제1 섀시(82)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 제 2섀시(84)가 배치되어 각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들몰드(70)는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제 2섀시(84)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 2섀시(84)를 통해 광원(30) 등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들몰드(70)는 도광판(40)과 QD시트(50)를 고정하면서 광학시트(6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미들몰드(70)는 미들바디(72) 및 가압리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바디(72)는 제 2섀시(84)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미들바디(72)는 제 2섀시(84)의 외곽을 따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들바디(72)는 제 2섀시(84)의 바텀 측면부(84b)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1바디결합부(72a) 및 제 2섀시(84)의 바텀 측면부(84b)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 2바디결합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바디결합부(72a) 및 제 2바디결합부(72b) 사이에 제 2섀시(84)의 바텀 측면부(84b)가 위치하도록 미들몰드(70)를 제 2섀시(84)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압리브(74)는 미들바디(72)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가 도광판(40)과 QD시트(5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리브(74)는 미들몰드(70)를 제 2섀시(84)에 결합시킬 경우, QD시트(50)와 도광판(40)을 제 2섀시(84) 방향으로 함께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QD시트(50)와 도광판(40)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가압리브(74)의 적어도 일부는 QD시트(50)와 도광판(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광원(30)에서 발산된 광은 제 2섀시(84)의 후면부(84a)에 마련되는 반사부(45)에 의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안내된다. 즉, 반사부(45)는 광원(30)에서 조사된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원(30)은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30a)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0)은 복수의 발광소자(30a)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도광판(40)의 엣지부(edge portion)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0a)는 청색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0)은 회로기판(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0b)은 발광소자(30a)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발광소자(30a)로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발광소자(30a)는 회로기판(30b)에 일렬로 배치되어 작동할 수 있다. 광원(30)은 도광판(40)과 제 2섀시(84)의 내면 사이의 공간 양측, 즉, 제 2섀시(84)의 바텀 측면부(84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40)과 제 2섀시(84)의 후면부(84a) 사이의 공간을 통해 광원(30)에서 발산된 광이 제 2섀시(84)의 후면부(84a)에 조사될 수 있다.
도광판(40)은 도광판(4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40)은 도광부(40a) 및 반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45)는 광원(3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도광판(4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반사부(45)는 광원(30)에서 발산된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2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부(45)는 반사판(reflecting plate)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반사시트(reflecting sheet)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40)과 별도로 구성되어 도광판(40)의 배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광판(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40)의 배면을 반사코팅함으로써, 상기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광판(40)은 광원(30)에서 발산된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판(40)은 광원(30)에서 발산된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40)은 광원(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광원(30)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90)는 제 2섀시(84)와 마주하도록 제 2섀시(8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90)는 제 2섀시(84)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 2섀시(8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90)는 제1 섀시(82)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제 2섀시(8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90)는 스냅 버튼(snap button)방식으로 제 2섀시(8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2)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2)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12)는 스냅 버튼(snap button)방식으로 제 2섀시(8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테이블과 같은 설치면에 세워놓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2)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2)를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12)는 설치면과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테이블과 같은 설치면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벽과 같은 설치면에 걸어놓고 사용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겸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스탠드(12)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스탠드(12)를 분리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설치면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배면에는 설치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벽걸이용 장착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구조는 제2 섀시(84)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유닛(200)과 커버(90)에 마련되는 은폐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버(90)에 마련된 은폐유닛(100)에 의해 제2 섀시(84)에 마련된 장착유닛(200)을 은폐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섀시(84)에 마련된 장착유닛(20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커버(90)에 마련된 은폐유닛(100)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2 섀시(84)에는 베사(VESA) 규격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의 장착홀(112)을 포함하는 장착유닛(2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섀시(84)에 베사 규격이 아닌 4개 또는 그 이상의 장착홀(1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90)에는 제2 섀시(84)에 마련된 장착유닛(200)에 대응하도록 은폐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90)에 마련되는 은폐유닛(100)은 제2 섀시(84)에 마련되는 장착유닛(200)을 은폐하는 은폐부(210)와 은폐부(21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제거유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은폐부(210)는 커버(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은폐부(210)는 은폐부(210)가 커버(9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장착유닛(200)의 장착홀(112)이 외관상 드러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은폐부(210)가 제거됨으로써 커버(90)에 형성되는 노출구멍의 직경은 장착홀(1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를 커버(90)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컷아웃(cut-out)된 불연속적인 슬릿(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의 둘레의 두께가 커버(90)의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홈이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홈(222)은 커버(90)의 내측 면에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노치(notch)가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거유도부(220)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22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공구 등을 슬릿(221)에 삽입하여 은폐부(2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슬릿(221) 사이에 가이드홈(222)이 형성된 경우 은폐부(210)를 별도의 공구 없이 은폐부(210)를 가압하여 은폐부(210)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유도부(220)는 슬릿(221) 및 가이드홈(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는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4개의 슬릿(221)과, 슬릿과 슬릿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포함하는 은폐유닛(1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섀시(84)에 마련되는 장착유닛(200)은 장착홀(112)과 차단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112)은 나사 등의 체결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내측벽에 나사산(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2)은 제2 섀시(8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강성부재(110)에 형성되어, 강성부재(110)가 제2 섀시(84)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120)은 슬릿(221)을 통해 들어온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된 은폐부(210) 등이 커버(90)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장착홀(11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120)은 제2 섀시(8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커버(90)가 제2 섀시(84)에 결합되었을 때 제2 섀시(84)와 커버(90)가 이격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은폐유닛과 장착유닛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은폐유닛(100)의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2개의 슬릿(22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221)은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은폐부(210)의 둘레 방향으로 슬릿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은폐부(210)를 회전시켜 은폐부(210)와 커버(90)의 연결부분이 절단되도록 하여 은폐부(21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은폐유닛(100)의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의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하나의 슬릿(221)과, 슬릿(221)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221)은 별도의 공구 등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은폐유닛(100)의 제거유도부(220)는 은폐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22)만 포함할 수 있다. 은폐부(210)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커버(90)의 외측면에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한 표시를 해둘 수 있다. 제거유도부(220)로서 가이드홈(222)만 형성된 경우, 은폐부(210)를 가압하여 은폐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이 용이하도록 차단벽(120)이 커버(90)의 내측면 측에서 은폐부(210) 외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여러 실시예들에서 본 바와 같이, 은폐유닛(100)의 제거유도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22)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릿(2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2)및 슬릿(221)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90)에 마련되는 은폐유닛은 커버(90)에 형성된 노출구멍(240)과 노출구멍(240)을 폐쇄하는 폐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부재(230)는 노출구멍(240)에 삽입되는 삽입부(231)와 커버(90)에 지지되는 헤드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31)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헤드부(236)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은 커버(9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섀시(84) 방향으로 노출구멍(240)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측벽(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은 폐쇄부재(230)가 커버(9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장착유닛(200)의 장착홀(112)이 외관상 들어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섀시(84)에 마련되는 장착유닛(200)은 장착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112)은 나사 등의 체결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내측벽에 나사산(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2)은 제2 섀시(8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강성부재(110)에 형성되어, 강성부재(110)가 제2 섀시(84)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의 측벽(250)은 노출구멍(240)을 통해 들어온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이 커버(90)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90)가 제2 섀시(84)에 결합되었을 때 제2 섀시(84)와 커버(90)가 이격된 거리 또는 노출구멍(240)의 선단과 장착홀(112)이 이격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폐쇄부재(23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31)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삽입부(231)의 내측에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 변형에 의해 노출구멍(2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폐쇄부재(230)가 노출구멍(24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폐쇄부재(230)의 삽입부(231)는 노출구멍(240)에 삽입이 용이하고,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형상(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폐쇄부재(2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231)가 노출구멍(240)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진입이 용이하도록 진입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이탈방지형상(2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31)의 내측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어, 폐쇄부재(230)의 제거 시에는 외력에 의해 삽입부(231)가 탄성 변형하여 폐쇄부재(230)가 노출구멍(2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폐쇄부재(230)는 ABS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BS 수지는 일반 플라스틱보다 충격과 열에 강하기 때문에, 삽입부(231)가 노출구멍(240)의 측벽(250)의 사방을 지지하도록 4개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31)가 4개가 아닌 2개 이상 임의의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삽입부(231)는 노출구멍(240)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진입이 용이하도록 폐쇄부재(230)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이탈방지형상(2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로 형성된 삽입부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폐쇄부재(230)의 제거 시에는 외력에 의해 삽입부(231)가 탄성 변형하여 폐쇄부재(230)가 노출구멍(2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형상의 폐쇄부재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재질로 폐쇄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폐쇄부재는 노출구멍을 은폐할 수 있는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폐쇄부재인 테이프는 노출구멍(240)에 비하여 면적이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커버(90)와 맞닿는 면이 접착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섀시에 마련된 장착유닛과 커버에 마련된 은폐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90)에 마련되는 은폐유닛은 커버(90)에 형성된 노출구멍(240)과 노출구멍(240)을 폐쇄하는 폐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부재(230)는 커버(9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노출구멍(240) 내측으로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폐쇄부재(230)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은 커버(9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섀시(84) 방향으로 노출구멍(240)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측벽(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은 폐쇄부재(230)가 커버(9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장착유닛(200)의 장착홀(112)이 외관상 들어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측벽(250)에는 폐쇄부재(230)가 너무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폐쇄부재(230)의 진입을 제한하는 돌출부(252)가 마련될 수 있다.
폐쇄부재(230)는 노출구멍(240)의 측벽(250)에 마련된 돌출부(252)에 지지되는 지지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쇄부재(230)는 폐쇄부재(230)를 노출구멍(240)으로부터 제거할 때 폐쇄부재(230)를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핸들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부재(230)의 지지부(233)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선단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핸들부(234)의 직경은 지지부(233)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섀시(84)에 마련되는 장착유닛(200)은 장착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112)은 나사 등의 체결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2)의 내측벽에 나사산(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2)은 제2 섀시(8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강성부재(110)에 형성되어, 강성부재(110)가 제2 섀시(84)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출구멍(240)의 측벽(250)은 노출구멍(240)을 통해 들어온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이 커버(90)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90)가 제2 섀시(84)에 결합되었을 때 제2 섀시(84)와 커버(90)가 이격된 거리 또는 노출구멍(240)의 선단과 장착홀(112)이 이격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폐쇄부재(23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3)의 직경은 노출구멍(240)의 선단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지지부(233)의 내측에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 변형에 의해 노출구멍(2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폐쇄부재(230)가 노출구멍(24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장착홀(112)을 은폐하도록 마련된 은폐부(210) 및 폐쇄부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면, 즉 벽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는 은폐부재로 포괄하여 칭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폐부재가 폐쇄부재(230)로 형성된 경우, 폐쇄부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면, 즉 벽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제거하였다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면에서 탈거하였을 때 다시 노출구멍(240)에 결합하여 장착홀(112)을 은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벽걸이용 장착유닛(200)와 은폐유닛(100)은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벽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2: 스탠드 16: 지지플레이트
20: 디스플레이 패널 30: 광원
30a: 발광소자 30b: 회로기판
40: 도광판 40a: 도광부
45: 반사부 50: QD시트
60: 광학시트 61: 디퓨저시트
62: 디베프시트 70: 미들몰드
72: 미들바디 72a: 제1바디결합부
72b: 제2바디결합부 74: 가압리브
80: 섀시 82: 제1 섀시
82a: 베젤부 82b: 탑 측면부
84: 제2 섀시 84a: 후면부
84b: 바텀 측면부 86: 회로기판
90: 커버 100: 은폐유닛
110: 강성부재 112: 장착홀
114: 나사산 120: 차단벽
200: 장착유닛 210: 은폐부
220: 제거유도부 221: 슬릿
222: 가이드홈 230: 폐쇄부재
231: 삽입부 232: 이탈방지형상
233: 지지부 234: 핸들부
236: 헤드부 240: 노출구멍
250: 측벽 252: 돌출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섀시;
    상기 섀시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섀시에 마련되는 장착유닛;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에서 제거되어 되어 상기 장착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은폐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유닛을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제거유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노출구멍과 상기 노출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체결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장착홀과,
    제거된 상기 은폐유닛 또는 이물질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홀의 둘레에 마련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도부는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슬릿 및 가이드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별도물을 삽입하여 상기 은폐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두 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은폐부를 회전시켜 상기 은폐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커버의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상기 은폐부의 둘레를 따라 홈이 파인 형태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도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은폐부를 가압하여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접착성을 가진 테이프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노출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커버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삽입방향으로만 진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이탈방지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유닛은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섀시 방향으로 상기 노출구멍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폐쇄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폐쇄부재를 이탈시키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섀시 및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홀을 은폐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은폐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장착홀이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노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은폐부재는 상기 노출구멍을 폐쇄하고,
    상기 은폐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하여 사용시 제거하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서 탈거하였을 때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물질이 상기 노출구멍을 통해 상기 커버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섀시는 상기 장착홀 둘레에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거나, 상기 커버는 상기 노출구멍 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에 마련된 장착홀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섀시에 결합된 커버에 마련된 은폐부재를 제거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홀과 설치면을 연결 및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부재의 둘레에 마련된 슬릿에 별도물을 삽입하여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거나,
    상기 은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거나,
    상기 은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은폐부재를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장착홀을 분리하고,
    상기 장착홀을 은폐하도록 상기 커버에 상기 은폐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섀시에 스탠드를 고정하여 설치면에 세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방법.
KR1020150186560A 2015-12-24 2015-12-24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6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60A KR20170076382A (ko) 2015-12-24 2015-12-24 디스플레이 장치
US16/065,355 US11256305B2 (en) 2015-12-24 2016-12-05 Display apparatus
PCT/KR2016/014177 WO2017111347A1 (ko) 2015-12-24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EP16879214.1A EP3379825B1 (en) 2015-12-24 2016-12-05 Display device
CN201680081798.4A CN108605110B (zh) 2015-12-24 2016-12-0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60A KR20170076382A (ko) 2015-12-24 2015-12-2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82A true KR20170076382A (ko) 2017-07-04

Family

ID=5909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60A KR20170076382A (ko) 2015-12-24 2015-12-2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56305B2 (ko)
EP (1) EP3379825B1 (ko)
KR (1) KR20170076382A (ko)
CN (1) CN108605110B (ko)
WO (1) WO20171113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852A (en) * 1975-10-20 1977-02-15 Slater Electric Inc. Knockout window means
US4825339A (en) * 1988-01-11 1989-04-25 Tektronix, Inc. Sheet metal knock-out
US4995527A (en) * 1989-06-02 1991-02-26 Tandy Corporation Breakout panel for moldings
JPH0736570U (ja) * 1993-12-09 1995-07-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用端子箱
KR19980033744U (ko) * 1996-12-09 1998-09-05 양재신 패널홀 고정용 캡
JPH10184647A (ja) * 1996-12-24 1998-07-14 Suwa Kikai Seisakusho:Kk ねじ頭部用カバー
KR100271609B1 (ko) 1998-05-13 2001-03-02 문종현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US7345247B2 (en) * 2002-10-04 2008-03-18 Sanmina-Sci Corporation Circuit board threadplate
KR100652267B1 (ko) * 2005-09-09 2006-11-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체결홀 차폐구조
JP4553816B2 (ja) * 2005-09-16 2010-09-29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バーを具えた電気機器
JP2009216739A (ja) 2008-03-07 2009-09-24 Hitachi Ltd 表示装置
US7476807B1 (en) * 2008-05-07 2009-01-13 Arlington Industries, Inc. Electrical box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bracket
KR200467396Y1 (ko) * 2008-06-24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나사 커버의 분리 구조 및 이를 가지는 공기청정기
US8026443B1 (en) * 2008-08-27 2011-09-27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Plastic electrical box having a flush mountable knockout plug
US20100084188A1 (en) * 2008-10-07 2010-04-0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ethod For Knock Out Feature In Brittle Material
US8662604B2 (en) * 2008-10-07 2014-03-04 Siemens Indust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knock out feature in brittle material
US8247709B2 (en) * 2009-02-02 2012-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replaceable knockout part in a metal panel and systems thereof
US10096983B2 (en) * 2009-09-04 2018-10-09 Southwire Company Electrical accessori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10052125A (ko) 2009-11-12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5533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109253A1 (en) * 2011-11-02 2013-05-02 Weldon Gammon Tablet device enclosure and method
JP6089482B2 (ja) * 2012-07-31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筐体、及び筐体を備えた電子装置
WO2014091978A1 (ja) * 2012-12-14 2014-06-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203549323U (zh) * 2013-06-09 2014-04-16 深圳市汇川技术股份有限公司 壁挂式显示器安装结构及壁挂式显示器
KR102040612B1 (ko) * 2013-08-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286960B2 (ja) * 2013-09-13 2018-03-07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ねじ隠し蓋
CN103646622B (zh) * 2013-09-30 2015-12-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9072379B2 (en) * 2013-10-08 2015-07-07 Bby Solutions, Inc. Television monitor combination stand and wall mount
CN103742763B (zh) * 2014-01-22 2016-02-1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底座连接支架和底座组件
EP2913707B1 (en) * 2014-02-28 2019-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r Chassis for a Curved Panel Display
US9054511B1 (en) * 2014-03-06 2015-06-09 Adtran, Inc. Sheet metal structure having twist-out tabs for removing a knockout
CN203955419U (zh) * 2014-07-30 2014-11-26 四川长虹技佳精工有限公司 遮蔽装置以及遮蔽结构
CN104536542A (zh) * 2014-12-16 2015-04-22 合肥梦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显示屏
EP3313691B1 (en) * 2015-06-26 2022-07-13 Johnny A. Satterfield Mounting ar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9825A1 (en) 2018-09-26
US11256305B2 (en) 2022-02-22
US20210208642A1 (en) 2021-07-08
CN108605110A (zh) 2018-09-28
WO2017111347A1 (ko) 2017-06-29
EP3379825A4 (en) 2018-12-05
EP3379825B1 (en) 2021-05-19
CN108605110B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080B2 (en) Display apparatus
EP3535970B1 (en) Display apparatus
US10073214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96709B1 (ko) 테두리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0710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07831A (zh) 显示装置
CN113330175B (zh) 具有特定光导向的家用电器的门的把手以及门和家用电器
KR201700763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1976B1 (ko) 광고용 간판
KR20090116882A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KR201800381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RU2691138C2 (ru) Модуль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 таким модулем
KR101915137B1 (ko) 라이트 가이드 및 조광 표시 장치
KR20160081131A (ko) 광원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US965182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040609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50113681A (ko) 로고 조명구조
CN210130026U (zh) 发光机壳
CN219105306U (zh) 显示模组
KR102003743B1 (ko) Led램프에 의한 분할 발광 방식의 양면 또는 단면 조사 방수형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1531219B1 (ko) 조명장치
JP2011054337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200092189A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명장치
JP2002287644A (ja) 表示部材及び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