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713A -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713A
KR20190017713A KR1020180094589A KR20180094589A KR20190017713A KR 20190017713 A KR20190017713 A KR 20190017713A KR 1020180094589 A KR1020180094589 A KR 1020180094589A KR 20180094589 A KR20180094589 A KR 20180094589A KR 20190017713 A KR20190017713 A KR 2019001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year
old
flavored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857B1 (ko
Inventor
오예진
김태형
정효영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9001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5Cooked; Precooked; Fried or pre-fried in a non-aqueous liquid frying medium, e.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6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in soli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는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Flavored cooked r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출원은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균 포장밥은 상온 유통이 가능하도록 살균된 쌀가공 제품으로, 고온 고압의 스팀으로 쌀 표면을 살균한 뒤 스팀으로 취반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상온유통용 무균 포장밥은 취반 공정시 용기가 개봉된 상태로 가열되기 때문에 쌀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풍미 성분들이 상당량 휘발되어 밥 고유의 구수한 향미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벼에 비하여 강한 풍미를 가지는 향미 쌀을 개발하여 밥쌀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밥쌀용으로서의 식감이 떨어지거나 향 강도가 과한 경향이 있어 소비자의 기호도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무균 포장밥의 제조에 있어 밥 고유의 구수한 향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천지향1세를 도정하여 일반 원료미에 혼합하여 포장밥을 제조하는 경우, 무균 포장 흰밥에 비해 풍미가 우수하고 포장 후 장기간 저장시에도 밥 고유의 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목적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는 향미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미밥을 포함하는 포장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과 멥쌀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쌀을 취반하여 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출원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한 일 양태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 다른 양태의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더불어,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일 양태로서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는 향미밥을 제공한다.
상기 천지향1세는 그 쌀이 향미의 일종으로 종래 백미의 식감을 유지하면서 쌀밥의 구수한 향을 발현하도록 육종된 신품종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는 향미 쌀의 지표성분인 2-아세틸-1-피롤린(2-acetyl-1-pyrroline, 이하 '2-AP'라 한다.)을 함유하도록 육종된 자포니카형 메벼 품종로서, 그 대표적 종자가 2018년 7월 17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KCTC 미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3588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향미(flavor)가 증가된 밥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지 않은 밥에 비하여 증가된 향미(flavor)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용어 '향미(flavor)'는 향기로운 맛을 나타낸다. 향미(flavor)가 증가된 밥이란 향미 성분이 증가된 밥일 수 있다. 상기 향미 성분은 2-AP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지 않은 밥에 비하여 증가된 2-AP 함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은 현백율이 90% 내지 98%, 예를 들면, 90% 내지 97%, 91% 내지 98%, 91% 내지 97%, 93% 내지 98%, 93% 내지 97%, 94% 내지 98%, 또는 94% 내지 97%일 수 있다. 상기 현백율은 도정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현미에서 과피, 종피 또는 호분층을 벗겨 백미가 나오는 비율이다. 상기 현백율은 '(백미생산량 무게) / (현미투입량 무게) x 100으로 계산될 수 있다. 천지향1세의 쌀의 백미 부위에 함유된 2-AP는 상기 현백율 범위에서 그 함량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은 백도가 22 내지 42, 예를 들면, 22 내지 38, 22 내지 34, 22 내지 30, 24 내지 42, 24 내지 38, 24 내지 34, 또는 24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 쌀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Shimadzu QP-2010 Ultra)를 이용하여 분석시 2-AP를 6,200,000 내지 8,500,000, 예를 들면, 6,500,000 내지 8,500,000, 또는 7,000,000 내지 8,500,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천지향1세는 2-AP 함량이 높아 무균 포장밥 제조 시 소실되는 밥 고유의 구수한 풍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무균 포장밥이 장기간 보관되더라도 구수한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은 총 중량 대비 30 중량% 미만, 예를 들면, 25 중량% 이하, 0.1 중량% 내지 25 중량%, 3 내지 25중량%, 또는 5 내지 25중량%의 천지향1세 쌀을 포함하는 혼합된 쌀로 지은 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향미밥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의 함량은 향미밥 총 중량 대비 30 중량% 미만, 예를 들면, 25 중량% 이하, 0.1 중량% 내지 25 중량%, 3 내지 25중량%, 또는 5 내지 2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 쌀은 다른 향미들에 비하여 백미와 유사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나, 취반될 경우 종래 백미에 비하여 다소 감소된 경도를 보인다.
상기 향미밥은 무균 포장된(aseptic packaged) 밥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멥쌀 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멥쌀은 일품벼 또는 삼광벼일 수 있다. 상기 멥쌀은 도정율이 88% 내지 92% 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그를 담은 용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비닐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밀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미밥은 오리자 사티바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향미밥을 포함하는 포장된 밥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과 멥쌀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쌀을 취반하여 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미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두 쌀을 매질 없이 서로 혼합하거나, 매질 예를 들면, 물 중에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혼합된 쌀은 취반하여 밥을 짖는 경우, 혼합된 쌀의 밥의 경도가 먹는데 또는 포장에 적합한 밥이 될 수 있다. 상기 멥쌀은 일품벼 또는 삼광벼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는 수탁번호 KCTC 13588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취반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된 쌀에 물을 첨가하는 것, 및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미리 살균, 예를 들면,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밀봉된 용기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은 물의 증기에 의하여 쌀이 익을 때까지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가압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80 ℃ 내지 120 ℃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20 내지 6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 쌀은 현백율이 90% 내지 98%, 예를 들면, 90% 내지 97%, 91% 내지 98%, 91% 내지 97%, 93% 내지 98%, 93% 내지 97%, 94% 내지 98%, 또는 94% 내지 97%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 쌀은 백도가 22 내지 42, 예를 들면, 22 내지 38, 22 내지 34, 22 내지 30, 24 내지 42, 24 내지 38, 24 내지 34, 또는 24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천지향1세 쌀은 상기 혼합된 쌀 총 중량 대비 30 중량% 미만, 예를 들면, 25 중량% 이하, 0.1 중량% 내지 25 중량%, 3 내지 25중량%, 또는 5 내지 2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멥쌀은 도정율이 88% 내지 92%, 예를 들면, 90% 내지 92%, 88% 내지 90%, 또는 89% 내지 91%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하는 단계 후에, 얻어진 혼합된 쌀을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은 혼합된 쌀을 130 ℃ 내지 160 ℃에서 인큐베이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10초 내지 100초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을 도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정은 15초 내지 130초, 예를 들면, 15초 내지 110초, 15초 내지 90초, 15초 내지 70, 30초 내지 130초, 30초 내지 110초, 30초 내지 90초, 또는 30초 내지 70초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된 쌀을 세미하고 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지하는 단계는 혼합된 천지향1세 쌀과 멥쌀을 물에 담가서 불리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된 쌀을 정제수에 깨끗이 씻어 표면에 묻어있는 불순물 등을 제거한 후, 10℃ 내지 25℃에서 1시간 내지 2 시간 30분 동안 정제수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취반하는 단계 후, 질소충진, 밀봉, 뜸들이기, 냉각 및 건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균화실(clean room; class 100 이하)에서 제품의 지방산패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질소로 충진한 후 리드필름으로 밀봉하고, 뜸들이기, 냉각 및 건조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균 상태에서 질소로 충진하고, 리드 필름으로 밀봉한 후 8분 내지 16분 동안 뜸을 들이고, 8℃ 내지 12℃의 물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냉각시키고 건조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은 얻어진 밥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냉동 건조(lyophilization)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얻어진 밥을 용기에 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는 단계는 감압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무균 포장밥 및 무균 포장밥 제조방법은 천지향1세 밥을 포함함으로써 무균 포장밥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밥 고유의 구수한 풍미가 소실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고, 포장된 뒤 장기간 저장에도 상기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출원의 무균 포장밥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 예시로서 본 출원의 범위가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지향1세 쌀의 도정 정도별 백도 및 2-AP 함량 확인
향취를 가진 벼 품종인 천지향1세 도정되지 않은 쌀(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을 구매하여 상기 천지향1세 내 2-AP의 손실을 최소로 하는 도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도정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천지향1세 도정되지 않은 쌀 100 g을 연삭식 도정기(TM-05, Satake, Japan)에 투입하고 10초, 20초, 40초, 60초, 80초, 100초 및 120초로 도정시간을 달리하여 각각 도정한 후 1.4 mm 줄체를 이용하여 싸래기 및 표면의 미강을 제거하였다. 정백도계(MM1C, SATAKE, Japan)를 이용하여 도정한 천지향 1세 쌀의 백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천지향1세 쌀의 2-AP의 함량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Shimadzu QP-2010 Ultr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정한 천지향1세 쌀을 각각 분쇄한 가루를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쇄한 가루 5g을 헤드 스페이스 바이알(head space vial)에 넣고 SPME(고상미량추출법: solid phase microextraction)으로 휘발성 프로필(volatile profiling)을 분석하였다. SPME 분석시 시료의 전-가열(pre-heating)은 80℃에서 20분간 실시하였으며, SPME의 파이버(fiber)는 Divinylbenzene/Carboxen/PDMS(57348-U, SUPELCO, 미국)를 사용하였다. 파이버의 컨디셔닝(conditioning)은 260?에서 45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흡착(adsorption)은 20분 동안, 탈착(desorption)은 10분 동안 실시하였다. SPME로부터 탈착된 휘발성분(volatile elements)은 GC/MS를 이용하여 다음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 칼럼 : Rtx-5MS
- 주입 온도 : 250℃
- 흐름 제어 모드(Flow Control Mode) : 직선 속도
- 칼럼 흐름 속도 : 1.04 mL / min
- 이온 소스 온도 : 200℃
- 인터페이스 온도 : 270℃
- 라이브러리 : Wiley 및 NIST GCMS 라이브러리
도정시간(초) 현백율(%) 백도 2-AP
0 - 19.8 6114694
10 98.67 21.2 5260428
20 97.51 22.7 6898846
40 95.57 26.1 7834350
60 94.31 28.7 8006409
80 93.13 32.9 7246051
100 92.01 35.7 7561679
120 90.60 39.6 623877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정시간이 증가할수록 백도값이 증가하였고, 현백율이 90 내지 99%일 때 21 내지 40 범위의 백도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정시간이 증가하여 현백율이 감소할수록 천지향1세 쌀 내 2-AP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현백율이 94.31%일 때 2-AP의 함량이 최대값을 보였다. 도정시간이 더 증가하여 현백율이 감소하면서 2-AP함량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무균 포장밥의 제조 및 천지향1세 쌀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검사 및 질감 측정
2-1. 무균 포장밥의 제조
천지향1세 쌀을 현백율이 94 ~ 95%가 되도록 도정하고, 일반 현미인 일품벼를 도정율이 90%인 백미로 도정하였다. 상기 도정된 천지향1세 쌀의 중량이 전체 쌀의 총 중량 기준 0 중량%, 10 중량%, 20 중량%, 30 중량%, 40 중량% 및 50 중량%가 되도록 하여 상기 도정된 백미와 혼합하였다. 혼합된 쌀 110 g을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세미하고 80분 동안 침지한 후 탈수하였다. 탈수된 혼합된 쌀을 내열성 용기에 담아 고온가압살균장치(신화사)에 넣고 밀폐시킨 다음, 고압 증기를 불어넣어 145℃의 스팀으로 6초씩 8회에 걸쳐 살균하였다. 살균된 혼합된 쌀에 100ml의 물을 가한 뒤 100℃의 스팀으로 35분간 취반한 후 무균실에서 포장하였다.
2-2. 천지향1세 및 백미의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검사 및 질감 측정
상기 2-1에서 혼합된 쌀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무균 포장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질감을 측정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평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구수한 향 강도, 찰기 강도, 찰기 선호도, 조직감 강도 및 조직감 선호도에 대한 관능을 확인하였다. 질감의 측정은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My Boy2, Takemot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 탄력성, 부착 정도 및 찰기 정도를 측정하였다.
혼합비율(중량%) 구수한 향 강도 찰기 강도 찰기 선호 조직감 강도 조직감 선호
0 2.7 3.6 4.0 3.6 3.8
10 3.8 3.8 3.1 3.0 3.5
20 4.1 3.6 3.8 3.0 3.0
30 4.0 3.0 3.5 2.3 2.8
40 4.1 3.0 3.5 2.0 2.3
50 4.3 3.2 3.5 2.0 2.4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쌀 중 천지향1세 쌀 비율이 증가할수록 관능상 구수한 향 강도가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된 쌀 중 천지향1세 쌀 비율이 0 중량%와 10 중량% 사이에서 향 강도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 이후에도 소폭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밥의 질감은 천지향1세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찰기 강도 및 조직감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혼합비율이 30 중량% 이상이 되면 찰기 강도 및 조직감 강도가 3.0 이하 값을 가져 밥이 무르고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비율(중량%) 경도 탄력 부착 찰기
0 48.89 42.65 42.15 49.09
10 41.12 38.25 32.75 36.46
20 39.50 40.28 32.95 38.11
30 32.55 38.62 25.45 30.91
40 30.13 35.92 34.29 34.51
50 28.37 38.56 30.16 32.65
표 3은 기기분석을 통한 질감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지향1세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경도 및 찰기가 감소하였다.
실시예 3: 무균 포장밥의 관능평가
천지향1세 쌀 10 중량%인 상기 혼합된 쌀을 사용하여 2-1절에 따라 무균 포장밥을 제조하고 그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구체적으로 관능평가 패널 200명을 대상으로 전반맛 선호도, 외관, 색상, 향, 조직감, 찰기 등에 대한 관능을 확인하였다. 표 4는 무균 포장밥에 대한 관능평가위 결과이다.
전반맛 선호도 4.04
구분 5.매우좋다 21.5%
4.약간좋다 61.0%
3.어느쪽도아니다 17.0%
2.별로좋지않다 0.5%
1.전혀좋지않다 0%
먹음직스러운 정도 3.94
전체적인 색상 3.99
윤기정도 3.90
밥알의 모양이나 상태 3.80
밥냄새 선호도 4.08
씹히는 느낌 / 조직감 선호도 3.91
찰기 찰기 정도 3.67
찰기 선호도 3.94
뒷맛 선호도 4.05
구수함 구수한 정도 3.84
구수함 선호도 3.93
밥알씹히는
탱탱함
탱탱함 정도 3.51
탱탱함 선호도 3.9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맛 4.04를 확보하고, 모든 평가에서 3.5 이상의 값을 획득하여, 천지향1세 혼합 포장밥의 맛품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밥냄새 및 뒷맛 선호도에서 4.0 이상을 획득하여 향미 혼합에 따른 밥냄새 기호도 상승뿐만 아니라, 취식 후 입안에 남는 향으로 인한 뒷맛 상승 효과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4 : 무균 포장밥의 저장기간별 관능평가
2-1절에 기재된 바에 따라 천지향1세를 혼합하여 제조한 무균 포장밥에 대하여 저장기간 별로 구수한 향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관능평가 패널 50명을 대상으로 밥의 기호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천지향1세를 쌀 총 중량 대비 10 중량%로 혼합한 제품에 대해 제조 후, 0 개월, 3 개월 경과, 및 6 개월 경과 시점에 기호도를 확인하였다. 비교제품으로는 일반 멥쌀 백미 즉, 일품벼 쌀만 100 중량% 사용한 무균 포장밥을 사용하였다. 표 5는 포장밥의 저장 기간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0개월 3개월 6개월
일반 멥쌀 100 중량% 3.40 3.53 3.47
천지향1세 10 중량% 혼합 3.90 3.99 3.67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지향1세 쌀을 10 중량%와 일품벼 쌀 90%를 혼합한 제품은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일반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저장 6개월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또한, 저장 6개월 후에도 3.67의 값을 획득해, 향미 중의 2-AP가 저장 기간이 경과하여도 관능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잔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1)

  1.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을 포함하는 향미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쌀은 현백율이 90% 내지 98%인 것인 향미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쌀은 백도값이 22 내지 42인 것인 향미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의 쌀로 지은 밥은 상기 향미밥 내 밥의 총 중량 대비 30 중량% 미만인 것인 향미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는 수탁번호 KCTC 13588BP로 기탁된 것인 향미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밥은 포장밥 형태인 것인 향미밥.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장밥은 무균 포장된(aseptic packaged) 것인 향미밥.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밥은 멥쌀 밥을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밥.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멥쌀은 도정율이 88% 내지 92%인 것인 향미밥.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밥을 담은 용기를 포함하는 것인 향미밥.
  11.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L.) 천지향1세의 쌀과 멥쌀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쌀을 취반하여 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미밥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은 현백율이 90% 내지 98%인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은 백도값이 22 내지 42인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은 상기 혼합된 쌀의 총 중량 기준 30 중량% 미만인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지향1세는 수탁번호 KCTC 13588BP로 기탁된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전에, 상기 천지향1세의 쌀을 도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도정은 15초 내지 130초 실시하는 향미밥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얻어진 밥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냉동 건조(lyophilization)인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얻어진 밥을 용기에 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담는 단계는 감압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향미밥의 제조방법.
KR1020180094589A 2017-08-11 2018-08-13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1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2464 2017-08-11
KR1020170102464 2017-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713A true KR20190017713A (ko) 2019-02-20
KR102191857B1 KR102191857B1 (ko) 2020-12-17

Family

ID=6556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89A KR102191857B1 (ko) 2017-08-11 2018-08-13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8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60A (ko) * 2009-03-11 2010-09-24 이호영 미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쌀의 혼합방법
KR20150036061A (ko) * 2012-06-27 2015-04-07 노보자임스 에이/에스 쌀밥 짓는 방법
KR20150060083A (ko) * 2013-11-25 2015-06-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적진주찰 즉석밥의 제조 방법
KR101555256B1 (ko) * 2015-03-30 2015-09-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신품종 향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60A (ko) * 2009-03-11 2010-09-24 이호영 미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쌀의 혼합방법
KR20150036061A (ko) * 2012-06-27 2015-04-07 노보자임스 에이/에스 쌀밥 짓는 방법
KR20150060083A (ko) * 2013-11-25 2015-06-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적진주찰 즉석밥의 제조 방법
KR101555256B1 (ko) * 2015-03-30 2015-09-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시드피아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신품종 향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857B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53460A (ja) 包装茹で麺の製造方法
US8652559B2 (en) Method for preparing aseptic packaged instant wet scorched rice
JP2012152173A (ja) ブレンドトマトジュ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8909B1 (ko) 갈릭 풍미가 장기간 보존되는 냉동 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0874327B1 (ko) 장기 보관이 가능한 무균화 포장 검정콩밥의 제조 방법
KR20190017713A (ko) 향미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42439B1 (ko) 즉석 비빔밥용 야채 조성물
KR102262627B1 (ko) 신선한 육색을 갖는 양념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육
RU261582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вощных консервов
JP2008517620A (ja) 混合蔬菜の製造方法
KR101119953B1 (ko) 표고버섯 장아찌의 제조 방법
JP6248063B2 (ja) イチゴの果実品質を向上させる方法
KR102152146B1 (ko) 상온에서 유통 가능한 돼지고기 김치찌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돼지고기 김치찌개
CN114190536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40395B1 (ko) 해초류 소곱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초류 소곱창
KR20080018927A (ko) 밤고추장제조방법
JP2015165822A (ja) ブレンドトマトジュ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0522B2 (ja) 収穫後にイチゴの果実品質を向上させる方法
KR102658932B1 (ko) 채식 갓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9801B1 (ko) 복숭아 고추장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4278A (ko)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압출 떡 제조방법
Kiranawati et al. The analysis of bread quality from Moringa oleifera (kelor) leaf flour
KR20110138109A (ko) 반건조 김치의 제조방법 및 반건조 김치
Irmak et al. Effect of irradiation on total bio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y quantity during storage of natural black table olives obtained using starter culture
RU227427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арнирного картоф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