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707A - 주차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707A
KR20190008707A KR1020170090419A KR20170090419A KR20190008707A KR 20190008707 A KR20190008707 A KR 20190008707A KR 1020170090419 A KR1020170090419 A KR 1020170090419A KR 20170090419 A KR20170090419 A KR 20170090419A KR 20190008707 A KR20190008707 A KR 2019000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image
omnidirectional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203B1 (ko
Inventor
이선구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이선구
이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이충구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102017009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2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06K2209/1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장 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전방위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전방위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전방위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주차장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관제서버; 및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관리 기능, 주차 안내 기능 및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관제시스템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주차관제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 성장과 소득증가로 인해 차량이 급증하고 있는데 비해 주차 상황이나 주차 상황을 관리하는 인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한된 인력으로 현재의 열악한 주차 체계를 관리하고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주차된 차량을 구별하고 이로부터 번호판을 인식하는 연구는 주차 관리는 물론 도난 차량 검거, 출입 차량 통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한 과정은 다른 문자 인식과는 달리 외부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잡음이나 변형에 강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번호판의 특성상 그 내용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문자 인식에 비해 덜 복잡한 편이다. 다만 우리나라 번호판은 다른 나라와 달리, 번호판의 크기 규격과 바탕색, 글자색이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자음과 모음이 나뉘는 한글이 쓰이므로 이에 적합한 번호판 인식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 주차장이 무인화 됨에 따라서, 자동으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시간에 따라 요금을 산출하여 부과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자세히, 현재 무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초입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출차시 요금을 자동으로 산정하며, 나아가 주차장 층별 여유 주차공간을 알려줄 수 있다.
다만, 현재 무인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초입에서 입출입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데 그쳐 층별로 빈공간을 카운트하는 정도의 주차안내를 제공하는 한계가 있고, 주차공간 단일 자리의 공차 여부를 판단하고 온/오프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KR 10-1378992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차장 내의 디테일한 정보들을 최소한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주차장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주차 안내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관리자에게는 주차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주차관제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장 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전방위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전방위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전방위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주차장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관제서버; 및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관리 기능, 주차 안내 기능 및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위 카메라는, 사방을 촬영하여 복수의 주차영역을 포함하는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전방위 영상에서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번호인식 영역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추출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전방위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평면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평면 영상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에서 상기 주차영역을 촬영한 분할 영상을 선택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분할 영상에서 사용자의 설정 또는 주차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관리 기능은, 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시점과, 상기 차량이 주차영역에서 출차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준으로 주차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단말기에 주차장 맵과 주차영역의 공차와 만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단말기에 기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형식으로 송신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장의 공차영역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위 카메라는, 제 1 색과 제 2 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주차영역 내에 공차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표시부가 제 1 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복수의 주차영역이 만차이면 제 2 색으로 발광하여 공차영역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유도기는, 일 주차라인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부와, 상기 주차 안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예측 주차위치를 상기 주차 유도기의 주차 안내부가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유도기는, 상기 차량의 주차 경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예측 주차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예측 주차위치에 대응되는 발광부들을 제 3 색으로 발광하고, 나머지 발광부들을 제 4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들에서 상기 검색 조건에 매칭되는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은, 상기 검색 조건에 매칭된 차량 리스트들을 나열하고, 상기 차량 리스트에서 특정 차량 선택시 상기 특정 차량의 차량 정보와 상기 특정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더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최소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주차장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관리기능, 차량 검색기능 및 주차 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관리인에게는 관리 편의를 주고 주차장 사용자에게는 주차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시스템은, 전방위 카메라를 통해 전방위 영역을 촬영한 전방위 영상을 효과적인 영상 처리과정을 통해 이미지 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하고 정밀하게 주차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시스템은, 상기 획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원격으로 주차장 관리인이 주차장 정보를 확인하거나, 주차 요금 부여, 불법 주차 차량 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주차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시스템은, 상기 획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차량에게 빈 주차 영역을 안내하고, 빈 주차 영역에 주차시 주차 유도기를 통해 차량의 주차 상황을 주차장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안전한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시스템은, 넓은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녹화 영상에서 찾고자 하는 차량을 다양한 검색 방식을 통해 손쉽게 찾도록 하는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방위 카메라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의 표시부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이 주차 안내 기능과 주차장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한 전방위 영상이다.
도 8은 도 7의 전방위 영상에서 왜곡을 보정하고, 보정 영상을 분할하여 획득한 분할 영상들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할 영상에서 설정된 번호인식영역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차 공간 안내 기능을 사용자의 단말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7의 전방위 영상을 이용하여 주차 유도기를 통해 주차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8의 분할 영상에서 주차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기의 주차 안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기가 작동하여 주차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이 차량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색 기능의 검색창의 일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색 기능의 중간 과정으로 검색된 차량 리스트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된 차량 리스트에서 선택된 차량을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리스트에서 선택된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발명의 개요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최소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주차장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 관리기능, 차량 검색기능 및 주차 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관리인에게는 관리 편의를 주고 주차장 사용자에게는 주차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시스템은, 전방위 카메라를 통해 전방위 영역을 촬영한 전방위 영상을 효과적인 영상 처리과정을 통해 정확하고 정밀하게 주차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주차장 정보는, 차량의 번호판 번호, 차량의 주행방향, 차량의 주차장 입출차여부, 주차장의 차량 주차 상황, 주차시간, 차량의 주차영역 입출차여부, 차량의 주차동선 및 주차선 이탈 주차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시스템은, 상기 획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원격으로 주차장 관리인이 주차장 정보를 확인하거나, 주차 요금 부여, 불법 주차 차량 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주차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시스템은, 상기 획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차량에게 빈 주차 영역을 안내하고, 빈 주차 영역에 주차시 주차 유도기를 통해 차량의 주차 상황을 주차장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안전한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시스템은, 넓은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녹화 영상에서 찾고자 하는 차량을 다양한 검색 방식을 통해 손쉽게 찾도록 하는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주차관제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00), 주차관제서버(200), 주차용 키오스크(450) 및 주차 유도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 전방위 카메라
자세히, 카메라부는, 전방위 카메라(100) 또는/및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제시스템은, 전방위 카메라(100) 하나만으로도 전후좌우 방향 촬영이 가능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영역의 영상을 각각 분석함으로써, 정확하고 높은 정보량의 주차 정보를 최소한의 전방위 카메라(100) 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주차관제시스템은, 이러한 전방위 카메라(100)의를 주차장 각 구역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주차장 상황에 맞게 전방위 카메라(100)를 요소요소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위 카메라(100)는, 일측 3개의 주차영역과 일측과 마주보는 방향의 3개의 주차영역을 합쳐 6개의 주차영역을 포함하는 공간의 중앙마다 각각 설치되어, 한번에 6개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100)는,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반구형 카메라로, 천장 아래측 전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자세히, 이러한 전방위 카메라(100)는, 전방위 렌즈 모듈(110)을 통해 사방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전방위 렌즈 모듈(110)은, 도 2와 같이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한 광선은 제1 출사면 및 제2 입사면의 접합면을 거쳐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되고, 제2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선은 제1 출사면 및 제2 입사면의 접합면을 거쳐 제1 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제1 출사면 및 제2 입사면의 접합면을 거쳐 제2 출사면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광선의 반사와 굴절을 이용한 반사굴절식 렌즈로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통해 360도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위 카메라(100)는, 설치된 위치 기준 360도 방향을 모두 촬영하여,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는, 배치 위치 측면에서, 주차장 입구에 배치된 입출차 카메라, 주차장 입구에 배치된 입출차 카메라를 주차장의 층 출입구에 배치된 층별 입구 카메라, 주차장의 교차로에 배치된 교차로 카메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방위 카메라(100)는, 차량의 공차 영역/만차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전방위 카메라(100)의 전방위 렌즈 모듈(110)과 바디 사이에는 복수의 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부(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부(120)는, 공차 영역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하여 주차장 사용자에게 공차 영역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전방위 영상은, 주차관제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
- 주차관제서버 (200)
주차관제서버(200)는, 역할에 따라서 구분되는 영상처리서버(210), 중앙제어서버(220),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영상처리서버(210)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방위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전방위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주차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영상처리서버(210)는, 전방위 영상에서 번호판, 차량 위치 이동, 바퀴 방향 등을 검출하여, 주차장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서버(220)는, 영상처리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관리기능, 차량 검색기능 및 주차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서버(220)는, 주차관제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와 사용자 설정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정보와 전방위 영상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추후 사용자가 차량 검색기능을 사용할 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 주차 유도기(300)
한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장 사용자에게 주차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출력하는 주차 유도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주차 유도기(300)는, 각 주차 영역의 일측 주차 라인에 배치되어,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주차될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주차 유도기(300)는, 복수의 발광부 나열된 주차 안내부(310)와, 주차 안내부(310)를 지지하는 지지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안내부(310)는, 바(bar) 타입 형상을 가지며 바 타입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부가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안내부(310)는, 주차 라인의 일측과 매칭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이 주차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주차 영역 내에 주차될 위치에 대응되는 발광부들을 제 1 색으로 발광시키고, 나머지 발광부들을 제 2 색으로 발광시켜, 운전자가 백미러나 후방 주시를 통해 차량이 주차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유도기(300)는, 주차관제서버(200)에 의해 제어되거나, 전방위 카메라(100)와 직접 연결되어 전방위 카메라(10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
한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 차량 검색, 주차비 납부를 위한 주차용 키오스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용 키오스크(450)는, 주차관제서버(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주차장 사용자는, 주차용 키오스크(450)를 통해 자신의 차량을 검색하거나, 주차비를 무인 시스템 상에서 납부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용 키오스크(450)는, 주차장 입구나, 주차장 내 엘리베이터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관제시스템의 각 구성들이 배치된 주차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자세히, 복수의 주차영역(PA)을 포함하는 일 그룹의 중앙에는 전방위 카메라(100)가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3개의 주차영역(PA)과 우측 3개의 주차영역(PA)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의 중앙 상측에는 하나의 전방위 카메라(1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이때, 전방위 카메라(100) 주변에는 조명부가 배치되어 전방위 카메라(100)의 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주차영역(PA)의 일측 주차라인 뒤에는 주차 유도기(300)가 배치되어 운전자에게 주차 안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이러한 주차 유도기(300) 및 전방위 카메라(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서, 무인 주차장 관리 기능이나 주차 안내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주차용 키오스크(450)가 주차장 내에나, 주차장 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주차관제시스템이, 전방위 영상에서 주차장 정보를 획득하고,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는, 초기 또는 새로운 카메라 배치시에, 배치된 카메라를 등록시킬 수 있다. (S101)
여기서, 카메라를 등록시킨다는 의미는, 카메라와 주차관제시스템을 유/무선으로 연동시키고,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설정, 카메라에서 촬영한 전방위 영상 입력, 전방위 영상 이미지 처리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주차관제서버(200)와 연동되는 메인 컴퓨터를 통해서,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새롭게 등록시키고, 카메라의 위치를 주차장 맵에 매칭시키는 등의 설정, 카메라의 위치의 주차영역(PA)에 배치된 주차 유도기(300)와의 연동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등록된 카메라로부터 전방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S102)
즉, 주차관제서버(200)는, 전방위 영상을 수신하고, 전방위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주차장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주차장 정보는, 차량의 번호판 번호, 차량의 주행방향, 차량의 주차장 입출차여부, 주차장의 차량 주차 상황, 주차시간, 차량의 주차영역(PA) 입출차여부, 차량의 주차동선 및 주차선 이탈 주차 차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특히 번호 인식을 주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한 전방위 영상을 모두 이미지 처리하여 전방위 영상 내에 포함되는 주차장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으나, 전방위 영상에는 불필요한 정보들과 불필요한 정보 처리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주차관제서버(200)는, 이미지 처리에 앞서 필요 설정을 통해 이미지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획득된 전방위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고, 전방위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S103)
좀더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먼저 도 7과 같이 전방위 렌즈 모듈(110)에 의해 원형으로 촬영된 전방위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길게 펼쳐진 평면 영상을 보기 쉽게 복수의 평면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에서 일부를 이미지 처리에서 제외시켜, 이미지 처리에 소요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일체의 평면 영상을 분할시키는 기준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주차관제서버(200)가 주차라인을 검출하고, 주차라인이 없는 영역과 주차라인이 있는 영역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보면, 상측과 하측 영역의 영상에는 주차라인이 있고, 좌우측 영역의 영상에는 주차라인이 없으므로, 도 8과 같이, 상측 영역의 영상, 하측 영역의 영상, 좌측 영역의 영상 및 우측 영역의 영상으로 분할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상기 좌우측 영역의 영상을 번호인식을 위한 이미지 처리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전방위 카메라(100) 등록시 사용자 설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분할 영상 중 번호 인식을 위한 선택된 분할 영상에서 번호 인식을 실질적으로 처리할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S104)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선택된 분할 영상에서 주차라인의 교차선을 검출하여 개별 주차영역(PA)을 판단하고, 개별 주차영역(PA)의 중앙 주차라인을 기준으로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컴퓨터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번호인식 영역을 수동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도 8의 상하측 분할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할 영역만을 추출하여 번호인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주차관제서버(200)는, 다수의 주차영역(PA)을 촬영한 전방위 영상에 이미지 처리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먼저, 전방위 영상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에서 주차라인을 갖는 분할 영상만 선택한후, 선택된 분할 영상에서도 번호인식 영역을 추가적으로 설정하여, 번호인식을 위한 이미지 처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차관제서버(200)는, 추출한 번호인식 영역에 대한 영상을 기초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판으로부터 차량의 문자와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1) 차량 번호판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 흰색, 노란색의 3가지 색상이 사용되는 특징, 2) 영상에서 수직축은 차량 번호판에서 두드러지는 특징3) 번호판 영역의 문자 영역과 배경 영역의 명확하게 구분되는 특징, 4) 번호판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제한적인 특징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이용하여 번호판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RGB 색공간으로 표현되는 영상을 HIS, 즉 H (hue: 색조), S (Saturation: 채도), I (intensity: 명도)로 변환하고, H 성분만을 선택함으로써 환경적 요인에 의한 밝기의 영향을 축소하고 고유한 색상에 대한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즉 차량 번호판은 3가지 뚜렷하게 구분되는 색상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색상이 가지는 H 공간의 이론적인 계산을 통해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메모리(140)의 데이터베이스(230) 영상의 통계적인 값을 이에 결합하여 임계 범위를 설정하고, 임계치 의 값을 가진 픽셀들을 추출하며, 객체 단위로 라벨링을 하며, 차량 번호판의 특성에 알맞은 개체를 선택함으로써 차량 번호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2) 차량 번호판의 색상과 차량의 본체 색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Sobel Mask와 모폴로지 연산에 기초하여 차량 번호판의 특성에 부합하는 수직성분 쌍을 찾아 차량 번호판을 추출할 수 있다. (3) 그외에도 정점 샘플링법, Sonde법, Slit법, 분할 히스토그램 분석법, 주변 분포 이용법, 요철 구조법, 반사법, 유사도(similarity )법, 획분석법, 방향 추출법, Field Effect법, RS 정합법 등에 기초하여 번호판의 번호 및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파악한 차량의 번호를 기준으로, 전방위 카메라(100)의 나머지 영상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을 트래킹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전방위 영상을 4분할 하고, 제 1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판의 번호 및 문자를 인식할 수 있고, 제 2 영역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번호판을 갖는 차량의 이동방향 등을 포함하는 동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차관제서버(200)는, 전방위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전면 번호판 번호, 차량의 후면 번호판 번호, 차량의 주행방향, 차량의 주차장 진입여부 및 차량의 주차장 출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가 전방위 영상에서 차량 번호 등을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 검출 과정이 프로그램 코드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인식한 주차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고, 추후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06)
- 주차장 관리 기능
예를 들어, 주차관제서버(200)는, 주차장 관리인에게 공차/만차 상황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정보를 메인 컴퓨터를 통해 제공하고, 주차요금을 자동으로 산정하여 부과하는 주차장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07)
특히, 주차관제서버(200)는, 차량이 주차영역(PA)에 주차되는 시점에서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실질적으로 주차를 완수한 시점 및 출차를 하는 시점에 대해 주차 요금을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합리적인 요금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주차영역(PA)뿐만아니라, 비주차영역(PA)에 주차된 차량들(예컨대, 이중 주차나, 모서리 주차)에 주차시점 또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정당한 주차요금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불법적인 주차나 주차라인에서 벗어난 차량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하여, 주차관리인이 손쉽게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주차 안내 기능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인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주차 운전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 기능을 제공할수도 있다. (S109)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주차관제서버(200)는, 인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첫번째 주차 안내 기능으로, 주차관제서버(200)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단말기에 접속하여, 주차장의 공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주차장 맵과, 주차장 맵에 공차 영역을 표시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주차관제서버(200)는,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타입으로 공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는,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ui에 맞게 공차 영역 정보를 전송하여, 내비게이션에서 자연스럽게 주차장 맵으로 전환되며, 주차장 맵에서 공차영역을 선택하면, 공차영역 측으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카오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본 주차장에 도착한 경우, 카카오 내비게이션의 맵이 주차장 맵으로 전환되고, 주차장 맵에서 공차영역 선택시 공차영역까지 카카오 내비게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두번째 주차 안내 기능으로, 전방위 카메라(100)의 표시부(120)를 통해 공차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공차 영역을 촬영한 전방위 카메라(100)는 제 1 색으로 발광하고, 촬영 영역이 모두 만차일 경우의 전방위 카메라(100)는 제 2 색으로 발광하여,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공차 영역이 위치한 지역을 파악하도록 제공할 수 이?.
세번째 주차 안내 기능으로, 주차 유도기(300)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주차위치를 파악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주차 운전을 보조할 수 있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주차관제시스템은, 전방위 영상에서 주차영역(PA)을 파악할 수 있다. (S201)
자세히, 도 13을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는, 전방위 영상에서 주차라인의 교차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교차점을 기준으로 주차영역(PA)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설정된 주차영역(PA)에 주차 의도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S202)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검출된 주차 의도 차량의 주차 이동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이동 정보에 따라 최종 차량이 주차될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S203, S204)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예측된 주차 위치를 주차 유도기(300)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이 주차영역(PA) 내에 최종적으로 주차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도록 하여, 주차 운전을 보조할 수 있다. (S205)
자세히, 도 15를 참조하면, 주차 유도기(300)는, 주차영역(PA)의 크기에 맞게 복수의 발광부가 나열되어 있으며, 예측된 최종 주차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의 폭(W2)만큼의 발광부를 제 3 색으로 발광시키고, 나머지 발광부를 제 4 색으로 발광시켜, 차량의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차량의 주차 경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최종 주차위치를 파악하여, 주차 유도기(300)에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는, 주차를 위해 후진하기 전의 초기 정차위치(P1)에 따라서 최종 주차위치를 예측하여, 주차 유도기(300)에 예측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 정차위치(P1)에서 핸들을 풀 턴 하였을 때 주차될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주차위치를 주차 유도기(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풀 턴된 상태에서 후진 주차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P2) 지속적으로 풀 턴 이동시 예측 주차위치를 결정하여, 주차 유도기(300)에 예측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차관제서버(200)는, 핸들이 중앙에 위치하여 직선으로 후진할 때(P3), 차량의 후면에 대응되는 위치를 최종 예측 주차위치로 판단하여, 주차 유도기(300)에 예측 주차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유도기(300)는, 차량의 주차 경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예측 주차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예측 주차위치를 표시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 시간별 차량 검색기능
또한, 주차관제시스템은, 인식한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관리인이나 차주가 자신이 주차장에 진입/출입/이동한 차량을 시간 대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는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08)
자세히, 주차관제서버(200)는, 등록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받은 동영상(연속 저장 영상)들을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찾고자하는 차량을, 시간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을 넣으면, 주차관제서버(200)는, 검색 조건을 기반으로 저장된 동영상에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차량을 검색하는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차관제서버(200)에 연결된 메인 컴퓨터에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S301, S302, S303)
여기서, 검색 조건은, 검색할 시간 대역, 검색할 카메라 채널 또는 지역, 차량 번호, 차량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7은 주차관제시스템의 메인 컴퓨터 화면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검색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주차관제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총 채널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만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해당 카메라 선택시, (2)화면에 해당 채널 화면으로 바뀌어 디스플레이 해주며, 멀티 선택 또한 가능하다.
(2)에서는 선택된 채널의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마우스 드래그로 영상에서 감지할 영역을 선택(선택된 영역은 빨간 박스로 표시 된다)하여, 카메라 촬영 영상에서도 감지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기타, 사용자는, (3)에서 선택된 채널에 대한 차량번호 감지에 대한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4)에서 차량번호 인식을 위해서 분석하는 초당 캡처 프레임의 개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5)에서 카메라 화면 각도가 평행이 아닐 때 X, Y축을 조절하여 감지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6)에서 카메라 화질에 따라 감지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식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7)에서 차량 번호가 감지되어 캡처된 이미지를 저장할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8)에서 차량 번호 감지 이벤트와 차량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는 DB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9)에서 검색된 차량 번호 이벤트와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는 DB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10)에서 차량 번호 감지 이벤트와 차량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는 DB주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 아이디를 지정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1)에서, 차량 번호 감지 이벤트와 차량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할 수 있는 DB주소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 비밀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에, (12)는, DB 테이블을 생성하고 체크하는 버튼이고, (13)은, DMS 차량 번호 정보 중에 검색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14)에서, 선택된 검색 항목에서 원하는 검색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15)를 통해, 검색 조건에 맞는 검색을 실시할 수 있으며, 차량 번호가 검색 조건에 없을 때는 검출된 모든 차량들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차장에 주차 가능한 등록 차량을 (16)에), 등록하고 차량번호와 소유자 정보 등을 수정할 수 있으며, 리스트 창에서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17)에서 새로운 차량 정보와 소유자 정보 등을 입력하여 추가할 경우 작성할 수 있다.
(18)에서 리스트 창에서 선택된 항목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19)는, 검색되거나 등록된 전체 차량 정보 등을 리스트로 보여준다.
그리고 (20)에서 리스트 창에 나타난 정보를 인쇄할 수 있고, (21)을 통해 리스트 창에 나타난 정보를 엑셀 형식으로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검색 조건 입력이 완료되면, 주차관제서버(200)는, 선택된 채널의 카메라가 검색 조건 시간에 맞는 영상을 로딩하고, 로딩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영상에 촬영된 차량들의 차량 정보(예컨대, 차량 번호, 종류)를 획득한다. (S304)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검색된 차량 정보와 검색 조건에 매칭되는 차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을 번호를 기준으로 이벤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S305)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이벤트 리스트에서 특정 차량 선택시, 특정 차량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S306)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촬영된 영상과 더불어 상세한 차량 정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S308)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검색 조건으로 설정된 기간 내에 연결된 전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촬영된 차량들이 이벤트 리스트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해당 차량들의 차량 번호뿐만 아니라 촬영된 시각, 어떠한 채널의 카메라에서 촬영되었는지, 현 주차장의 등록 유무 등 또한 이벤트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리스트의 일 차량 선택시, 차량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기타 상세한 차량 정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제서버(200)는, 선택된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 제공할 수 있다. (S309) 그리고 주차관제서버(200)는, 복수의 채널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을 추적하여, 최종적으로 차량이 위치한 또는 출입한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310)
예를 들어, 도 19와 20을 참조하면, 주차관제서버(200)의 컴퓨터에는, 복수의 채널에서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차량 번호를 입력하여 차량을 검색하면 복수의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차량 번호를 촬영한 영상과 촬영한 카메라 채널 정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은, 다양한 검색 조건으로 원하고자 하는 차량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주차장에 진출입한 차량들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리스트로 정리하여 파악하여, 좀더 손쉽게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주차장 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전방위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전방위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전방위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주차장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관제서버; 및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최종 주차위치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 관리 기능, 주차 안내 기능 및 시간별 차량 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는
    주차관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 카메라는,
    사방을 촬영하여 복수의 주차영역을 포함하는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전방위 영상에서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번호인식 영역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추출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주차관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전방위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평면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평면 영상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에서 상기 주차영역을 촬영한 분할 영상을 선택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분할 영상에서 사용자의 설정 또는 주차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번호인식 영역을 설정하는
    주차관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관리 기능은,
    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되는 시점과, 상기 차량이 주차영역에서 출차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준으로 주차요금을 부과하는
    주차관제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단말기에 주차장 맵과 주차영역의 공차와 만차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단말기에 기 설치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형식으로 송신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장의 공차영역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관제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 카메라는,
    제 1 색과 제 2 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주차영역 내에 공차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표시부가 제 1 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복수의 주차영역이 만차이면 제 2 색으로 발광하여 공차영역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관제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기는,
    일 주차라인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부와, 상기 주차 안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은,
    상기 주차장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예측 주차위치를 상기 주차 유도기의 주차 안내부가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1020170090419A 2017-07-17 2017-07-17 주차관제시스템 KR10196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19A KR101968203B1 (ko) 2017-07-17 2017-07-17 주차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19A KR101968203B1 (ko) 2017-07-17 2017-07-17 주차관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07A true KR20190008707A (ko) 2019-01-25
KR101968203B1 KR101968203B1 (ko) 2019-04-11

Family

ID=6528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419A KR101968203B1 (ko) 2017-07-17 2017-07-17 주차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2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56B1 (ko) * 2021-07-21 2021-12-3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주차면 만공차 감지 및 안내 시스템
KR20220094004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딥러닝 객체 추적을 통한 무인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4995044A (zh) * 2021-02-26 2022-09-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全向显示装置
KR20220143286A (ko) * 2021-04-16 2022-10-25 (주)큐디스 만공차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관리 방법
KR102606368B1 (ko) * 2022-09-27 2023-11-27 주식회사 서경산업 전기차 충전구역 불법주차 및 충전방해 단속시스템
KR102612675B1 (ko) * 2023-02-09 2023-12-13 (주)엠에스제이텍 대단지 주차관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938B1 (ko) * 2021-06-07 2021-10-29 김태선 주차장 불법 차량 번호판 사용 차단 블랙리스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378A (ko) * 2007-10-05 2009-04-09 주식회사 케이티 유시티(U-City) 지능형 주차관리유도 시스템
KR100976441B1 (ko) * 2009-12-03 2010-08-1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10105124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제노프릭스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20120105642A (ko) * 2011-03-16 2012-09-26 장보영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39364B1 (ko) * 2012-08-24 2013-03-12 최혜승 영상기반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시스템에서 주차면 분석방법
KR101378992B1 (ko) 2014-02-11 2014-03-27 이충구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378A (ko) * 2007-10-05 2009-04-09 주식회사 케이티 유시티(U-City) 지능형 주차관리유도 시스템
KR100976441B1 (ko) * 2009-12-03 2010-08-1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110105124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제노프릭스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20120105642A (ko) * 2011-03-16 2012-09-26 장보영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39364B1 (ko) * 2012-08-24 2013-03-12 최혜승 영상기반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시스템에서 주차면 분석방법
KR101378992B1 (ko) 2014-02-11 2014-03-27 이충구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004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딥러닝 객체 추적을 통한 무인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4995044A (zh) * 2021-02-26 2022-09-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全向显示装置
KR20220143286A (ko) * 2021-04-16 2022-10-25 (주)큐디스 만공차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관리 방법
KR102345656B1 (ko) * 2021-07-21 2021-12-3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주차면 만공차 감지 및 안내 시스템
KR102606368B1 (ko) * 2022-09-27 2023-11-27 주식회사 서경산업 전기차 충전구역 불법주차 및 충전방해 단속시스템
KR102612675B1 (ko) * 2023-02-09 2023-12-13 (주)엠에스제이텍 대단지 주차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203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US20210327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event and generating review criteria
WO2022110049A1 (zh) 一种导航方法、装置和系统
CN104392628B (zh) 一种停车场寻车方法及其系统
KR101988540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723991A (zh) 用于车辆的停车支援系统及停车支援方法
KR20070058303A (ko) 주차 관제 시스템
KR101917783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JP720875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205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069685A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210615B1 (ko) 불법유턴 차량 단속 시스템
KR101573243B1 (ko)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KR100887322B1 (ko)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고려한 주차관리방법
KR20230051836A (ko) 주차관제시 꼬리물기 상태에서의 차량번호 인식방법 및 그 시스템
JP7401292B2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駐車場管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84325B1 (ko) 광역주차장에 대한 주차 및 주차상태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장치 및 그에 따른 주차관제방법
KR101678448B1 (ko)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24643B1 (ko) 차량 인식장치
KR20140112285A (ko)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JP5774457B2 (ja) 通過車両検知装置及び通過車両検知方法
JP7220530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15079A (ko) 효율적 주차관제를 위한 차량인식시스템 및 차량인식방법
JP2009048225A (ja) 車両認識装置及び車両認識方法
KR20230052164A (ko) 주차관제시의 꼬리물기 대응 엘피알 수행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