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43B1 -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43B1
KR101573243B1 KR1020130144645A KR20130144645A KR101573243B1 KR 101573243 B1 KR101573243 B1 KR 101573243B1 KR 1020130144645 A KR1020130144645 A KR 1020130144645A KR 20130144645 A KR20130144645 A KR 20130144645A KR 101573243 B1 KR101573243 B1 KR 10157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area
vehicle
imag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333A (ko
Inventor
이치학
조민정
김영모
이은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43B1/ko
Priority to PCT/KR2014/011428 priority patent/WO2015080468A1/ko
Publication of KR2015006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06T2207/30264P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치 제공 장치는, 제 1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LO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LOCATION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제번호 1415123282, "스마트 자동차를 위한 AUTOSAR 기반 차량 내외부 통신 플랫폼 및 응용 기술"에 관한 연구과제의 결과물이다.
본 발명은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쇼핑 몰이나 복합 빌딩 등이 대형화되면서 이용객의 차량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 공간 역시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대형 주차 공간은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영역에는 소정의 식별 기호가 부여되어, 주차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영역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주차장이 매우 넓은 경우 식별 기호만으로는 원하는 영역을 찾아가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용객이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영역의 식별 기호를 잊어버린 경우에는 주차 위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에게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알려주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주차장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치 제공 장치는, 제 1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진입한 상기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제 2 영역에 정지해 있는 상기 차량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들 중 상기 차량이 나타날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중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위치 제공 장치는,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결정된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3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구역 외 다른 구역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위치 제공 장치는, 제 4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4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4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제 4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입차 확인 장치; 및 상기 입차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장 내 적어도 일부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 1 주차 확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차 확인 장치는: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입구 영역에 진입한 상기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주차 영역에 정지해 있는 상기 차량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더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 내 상기 주차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 중 상기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중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은,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결정된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 2 주차 확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구역 외 다른 구역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은, 상기 주차장의 출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출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서 빠져나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출차 확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은, 입차 확인 장치가 주차장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제 1 주차 확인 장치가 상기 주차장 내 적어도 일부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입차 확인 장치가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차 확인 장치가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객은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적은 개수의 카메라로 보다 넓은 주차장을 운영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차 확인 장치 및 주차 확인 장치가 설치된 주차장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주차 확인 장치가 각각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및 제 4 주차 확인 장치가 각각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은 입차 확인 장치(110) 및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는 주차장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는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장 내 적어도 일부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 및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는 카메라부, 영상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는 주차장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에 포함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더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가 획득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는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 및 차량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는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 확인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주차장에 주차 확인 장치가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주차장의 전 영역을 촬영하나, 주차 확인 장치가 둘 이상인 경우, 각각의 주차 확인 장치는 주차장의 일부 영역만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차장에 다수의 주차 확인 장치가 설치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차 확인 장치(110) 및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8)가 설치된 주차장(2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는 주차장(20)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8)는 주차장(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는 주차장(20)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각각의 주차 확인 장치는 주차장(20) 내 주차 영역의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8)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8)는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을 처리하여,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가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8)는 해당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에 포함된 영상 처리부는 관할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11)으로부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30)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해당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설정된 구역(21)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차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주차장 내 소정의 주차 단위 구획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차량의 주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및 차량이 주차된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오브젝트(30)가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해당 차량의 이미지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이미지는 입차 확인 장치(1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주차 확인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주차장의 입구 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한 것인 반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는 해당 차량 외 다수의 차량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가 강조된 이미지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 확인 장치에 포함된 영상 처리부는 이미지에서 해당 오브젝트 주위에 화살표 또는 사각형 등의 오브젝트를 더 표시함으로써, 이용객이 상기 이미지로부터 자신의 차량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 상기 주차 확인 장치가 촬영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 중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주차 확인 장치(121 및 122)가 각각의 관할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11 및 12)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차량은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촬영하는 주차 영역에 주차되지 않고 다른 주차 확인 장치가 촬영하는 주차 영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오브젝트(30)의 이동 경로(31)를 분석하여 주차장(20) 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촬영하는 주차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 중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에 포함된 영상 처리부는 영상(11) 내 이동 경로(31)의 종점 좌표를 이용하여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에서 정지하지 않고 영상(11)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차량이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에 인접한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의 관할 영역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브젝트(30)가 주차 영역의 영상(11) 중 기 설정된 지점(22)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지점(22)은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의 관할 영역과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의 관할 영역 간의 교점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는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22)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는 관할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12)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30)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는 상기 수신된 시간에 영상(12) 내 상기 영상(11)의 기 설정된 지점(22)에 대응하는 지점(23)에 나타나는 오브젝트(30)를 검출하고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2) 내 기 설정된 구역(24)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주차 확인 장치는 차량의 이동에 따라 다수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차량 및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차량이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의 관할 영역에 주차되지 않고 다른 주차 확인 장치의 관할 영역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2 및 제 4 주차 확인 장치(122 및 124)가 각각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12 및 14)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2) 내에서 정지하지 않고 영상(12)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는 차량이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에 인접한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의 관할 영역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는 오브젝트(30)가 영상(12) 내 기 설정된 지점(25)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지점(25)은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의 관할 영역과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의 관할 영역 간의 교점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는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25)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는 관할 영역을 촬영한 영상(14)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30)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33, 34, 35)를 추적하며,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차량의 주차 여부 또는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오브젝트(30)가 영상(14)에서 이동 경로(33)를 따라 이동하여 기 설정된 구역(26)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는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차량 및 구역(26)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오브젝트(30)가 이동 경로(34)를 따라 이동하여 영상(14)의 우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는 인접한 다수의 주차 확인 장치들 중 제 7 주차 확인 장치(127)의 관할 영역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정보, 및 오브젝트(30)가 영상(14) 내 기 설정된 지점(27)을 지나가는 시간을 상기 제 7 주차 확인 장치(127)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오브젝트(30)가 이동 경로(35)를 따라 이동하여 영상(14)의 하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4 주차 확인 장치(124)는 인접한 다수의 주차 확인 장치들 중 제 3 주차 확인 장치(123)의 관할 영역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정보, 및 오브젝트(30)가 영상(14) 내 기 설정된 지점(28)을 지나가는 시간을 상기 제 3 주차 확인 장치(123)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30)의 이동을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11)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던 오브젝트(30)가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31)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해당 차량 및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에 정지하지 않고 상기 영상(11)을 벗어나는 경우, 오브젝트(30)의 이동 경로(31)를 기반으로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의 관할 영역에 인접한 영역들 중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 기 설정된 지점(22)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하여, 상기 결정된 영역을 관할하는 다른 주차 확인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주차장(20)에 새로 진입하는 차량 외에, 이미 주차를 완료하였으나 주차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까지 모니터링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오브젝트(30)가 기 설정된 구역 외 다른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해당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11)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30)가 영상(11) 내 기 설정된 구역(21)으로 이동하여 정지하지 않고, 다른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해당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21)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객이 정해진 주차 단위 구획에 차량을 주차하지 않고 다른 구획에 주차, 예컨대 평행 주차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차 확인 장치는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100)은 출차 확인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차 확인 장치(130)는 주차장(20)의 출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출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입차 확인 장치(110) 및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와 유사하게, 상기 출차 확인 장치(130)도 카메라부, 영상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차 확인 장치(130)는 출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출구를 통해 주차장(20)에서 빠져나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서버(200)는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저장된 정보에서 상기 출차 확인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차 관리 서버(200)는 차량 및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오브젝트(30)를 검출하고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차 확인 장치(121 내지 12N)는 단지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만을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별도의 영상 처리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및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용객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입차 확인 장치(110)가 주차장(20)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상기 주차장(20) 내 적어도 일부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410),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가 입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20)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20),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가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430),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30)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S440), 및 상기 오브젝트가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가 입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20)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20)는, 상기 입차 확인 장치(110)가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설정된 구역(21)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가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S450)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구역(21)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이미지는 상기 차량이 입구 영역에 진입하는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영역에 정지해 있는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차 영역에는 해당 차량 외 다수의 차량이 주차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상기 차량이 주차 영역에 정지해 있는 모습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해당 차량을 부각시켜(예컨대, 이미지에서 화살표, 다각형 등으로 해당 차량을 지시) 이용객이 자신의 차량을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주차장(20) 내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의 관할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 중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30)가 주차 영역의 영상 중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상기 결정된 영역을 관할하는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가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주차 확인 장치(122)가 관할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오브젝트(30)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30)가 관할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가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던 오브젝트(30)의 이동 경로를 검출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30)가 주차 영역의 영상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용객이 이미 주차한 차량을 주차장(20) 내 또 다른 구역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곳에 주차하는 경우에도,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이용객에게 정확한 주차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상기 오브젝트(30)가 기 설정된 구역(21) 외 다른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121)는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용객이 주차 단위 구획으로 정해진 구역에 차량을 주차하지 않고 다른 구역에 주차, 예컨대 평행 주차를 하는 경우에도, 가장 가까운 주차 단위 구획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출차 확인 장치(130)가 주차장의 출구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출차 확인 장치(130)가 출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20)에서 빠져나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200)는 주차장(20)에서 빠져나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차 차량 목록으로부터 해당 차량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안내 방법(4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0: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10: 입차 확인 장치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주차 확인 장치
130: 출차 확인 장치
200: 주차 관리 서버
300: 단말기

Claims (19)

  1. 제 1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영상 처리부;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들 중 상기 차량이 나타날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하는 제 2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간에 상기 결정된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에 나타나는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결정된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3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 및 상기 결정된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은 상기 제 2 영상과 상기 결정된 영상 간의 교점이고,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제 2 영상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구역 외 다른 구역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획득하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하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 진입한 상기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제 2 영역에 정지해 있는 상기 차량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하는 차량 위치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주차장의 입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입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입차 확인 장치;
    상기 입차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장 내 적어도 일부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 내 상기 주차 영역과 상이한 영역들 중 상기 차량이 진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획득하는 제 1 주차 확인 장치; 및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 설정된 지점을 지나가는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수신된 시간에 상기 결정된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에 나타나는 상기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그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결정된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 2 주차 확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 및 상기 결정된 영역의 영상 내 기 설정된 지점은 상기 주차 영역과 상기 결정된 영역 간의 교점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오브젝트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주차 영역의 영상 내 또 다른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및 해당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구역 외 다른 구역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구역들 중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확인 장치는:
    상기 입구 영역의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에 기록된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시간을 획득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기 설정된 선으로 둘러싸인 주차 단위 구획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차 확인 장치는: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구역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입구 영역에 진입한 상기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주차 영역에 정지해 있는 상기 차량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더 송신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출구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출구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서 빠져나가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출차 확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19. 삭제
KR1020130144645A 2013-11-26 2013-11-26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KR10157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45A KR101573243B1 (ko) 2013-11-26 2013-11-26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PCT/KR2014/011428 WO2015080468A1 (ko) 2013-11-26 2014-11-26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45A KR101573243B1 (ko) 2013-11-26 2013-11-26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33A KR20150060333A (ko) 2015-06-03
KR101573243B1 true KR101573243B1 (ko) 2015-12-01

Family

ID=5319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645A KR101573243B1 (ko) 2013-11-26 2013-11-26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3243B1 (ko)
WO (1) WO2015080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5008A1 (en) * 2015-07-20 2017-01-26 Dura Operating, Ll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 availability of a parking space
US11790773B2 (en) * 2019-02-25 2023-10-17 Quantifly Llc Vehicle parking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CN113053154B (zh) * 2020-12-31 2022-07-15 金茂智慧科技(广州)有限公司 停车场的车辆监控方法、装置、系统及服务器
KR102473057B1 (ko) * 2022-03-28 2022-11-30 유명철 주차 유도 및 관제를 위한 차량 이동 궤적 추적 방법
CN115035714A (zh) * 2022-05-05 2022-09-0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停车行为确定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608A (ja) 2005-08-24 2007-03-08 Ntt Communications Kk 駐車場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322B1 (ko) * 2007-09-03 2009-03-05 스타패스테크(주)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고려한 주차관리방법
KR100961844B1 (ko) * 2009-04-10 2010-06-09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확인 및 보안 시스템
KR20120119144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레이스전자 카메라 기반 지능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66829A (ko) * 2011-12-13 2013-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카메라 협업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8608A (ja) 2005-08-24 2007-03-08 Ntt Communications Kk 駐車場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68A1 (ko) 2015-06-04
KR20150060333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243B1 (ko) 차량 위치 제공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CA2967638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event and generating review criteria
KR102108383B1 (ko) 실시간 이동경로 및 점유상태를 제공하는 스마트 주차공간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377779A (zh) 停车场寻车方法以及停车场寻车装置
KR102164863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EP2801956A1 (en) Passenger counter
KR10172698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6815262B2 (ja) 交通違反検知装置、システム、交通違反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347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cording traffic law violation events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CN104723991A (zh) 用于车辆的停车支援系统及停车支援方法
KR101404153B1 (ko) 지능형 cctv 통합관제시스템
KR20070058303A (ko) 주차 관제 시스템
US10591576B1 (en) Automated system for vehicle tracking
JP594943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映像サーバ、映像管理方法、映像管理プログラム、及び映像提示端末
CN105528912A (zh) 一种室内车位推荐方法及其系统
KR100970278B1 (ko)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150061160A (ko) 차량 위치 제공 로봇,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KR101210615B1 (ko) 불법유턴 차량 단속 시스템
GB2523659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distance of a vehicle from a traffic-controlling object
JP2018206014A (ja) 交通情報取得装置、交通情報取得システム、交通情報取得方法、および交通情報取得プログラム
KR20140112285A (ko)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CN115471804A (zh) 标注数据质检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399942A (zh) 检测区域数据库制作装置
KR102027171B1 (ko) 안전 운전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