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808A -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808A
KR20190004808A KR1020187037444A KR20187037444A KR20190004808A KR 20190004808 A KR20190004808 A KR 20190004808A KR 1020187037444 A KR1020187037444 A KR 1020187037444A KR 20187037444 A KR20187037444 A KR 20187037444A KR 20190004808 A KR20190004808 A KR 2019000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oup
binding
binding member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959B1 (ko
Inventor
다이조 야나이
다카시 고토
마사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데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폴딩 가능한 철근 케이지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후프근(5)과, 이 후프근(5)의 4 코너부에 배치된 주근(1 내지 4)을 구비하고 있다.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은, 그 교차부에 있어서 결속 부재(6)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후프근(5)의 상변부(5a)와 우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주근(1)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프근(5)의 상변부(5a)와 좌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주근(2)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프근(5)의 하변부(5b)와 우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주근(3)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프근(5)의 하변부(5b)와 좌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주근(4)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철근 케이지와, 이 철근 케이지를 폴딩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회복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빔이나 기둥 등에 사용되는 철근 케이지는, 서로 평행을 이루고 연장되는 복수의 주근과, 이들 복수의 주근을 둘러쌈과 함께 주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을 갖고 있고, 이들 주근과 후프근이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결속 부재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상기 철근 케이지를 시공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립 작업의 효율이 낮다. 철근 케이지를 공장에서 조립하여 시공 현장까지 반송하는 경우에는, 철근 케이지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는 있지만, 철근 케이지의 반송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철근 케이지는 용적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후술하는 특허문헌 1은 철근 케이지를 공장에서 조립한 후, 접은 상태로 시공 현장까지 반송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철근 케이지의 조립과 반송의 양쪽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주근과 후프근을 그 교차부에 있어서, 결속 부재에 의해 가결속한다. 이 가결속에서는, 주근에 대해 후프근이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결속되어 있다. 이 느슨한 가결속에 의해, 철근 케이지는 폴딩 가능하고, 폴딩 상태로 반송되어, 시공 현장에서 제조 시의 정규 형상으로 되돌려진다.
후기하는 특허문헌 2에는, 신축 가능한 결속 부재를 사용하여 주근과 후프근을 결속함으로써, 폴딩 가능한 철근 케이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83475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39963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가결속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다. 느슨한 가결속에서는, 시공 현장에서 철근 케이지를 정규 형상으로 되돌린 후, 다시 결속해야 해, 수고가 든다.
특허문헌 2에서는,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의 주근과 후프근의 교차부에 있어서의 결속 부재의 방향에 대해 상세한 기재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서로 평행을 이루고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근과, 상기 복수의 주근을 둘러쌈과 함께 상기 주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과,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부재 각각은, 상기 교차부에 걸쳐짐과 함께,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으로 구획된 4개의 공간 중, 인접하지 않는 2개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프근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주근이 적어도 상기 후프근의 4 코너부에 배치된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결속 부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후프근의 우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좌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우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좌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철근 케이지를 폴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철근 케이지의 조립, 반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결속 부재의 방향을 고안하였기 때문에, 주근과 후프근을 확실하게 결속해도, 철근 케이지의 상면부를 하면부에 대해 주근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고, 폴딩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되돌린 후에도, 결속 상태를 거의 유지할 수 있어, 다시 결속하는 수고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후프근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주근이 상기 후프근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결속 부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후프근의 상변부와 우측의 상기 주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상변부와 좌측의 상기 주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하변부와 우측의 상기 주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의 하변부와 좌측의 상기 주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 부재는, 금속 와이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상기 결속 부재는,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와, 이 중간 부재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금속 와이어를 가져도 된다. 이 결속 부재를 사용하면, 철근 케이지의 폴딩 시에 중간 부재가 신장되기 때문에 결속의 느슨해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철근 케이지를 폴딩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되돌려도, 재결속 작업은 거의 불필요하고, 폴딩과 정규 형상 복귀를 반복해도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주근은 길이 방향으로 등피치로 형성된 나사 마디를 갖는 나사 철근이어도 된다. 나사 마디가 비교적 높고 피치도 짧다는 점에서, 결속 부재와 나사 마디의 걸림에 의해, 안정된 결속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에서는, 상기 철근 케이지를 폴딩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되돌린 후, 비스듬히 연장되는 브레이스근을 다른 결속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주근에 결속시킴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정규 형상으로 유지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철근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정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실한 결속 상태로 철근 케이지를 접을 수 있고, 접은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회복한 후의 작업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이루는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주근과 후프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철근 케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철근 케이지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후프근의 상변부와 상기 주근의 확대 평면도이며, 상기 결속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4b는 철근 케이지의 폴딩 도중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4a 상당도이다.
도 5a는 상기 후프근의 하변부와 상기 주근의 확대 평면도이며, 후프근의 측변부를 단면으로 함과 함께 상기 결속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5b는 철근 케이지의 폴딩 도중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5a 상당도이다.
도 6a는 상기 후프근의 우측변부와 상기 주근의 확대 측면도이며, 상기 결속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6b는 철근 케이지의 폴딩 도중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6a 상당도이다.
도 7은 상기 철근 케이지를 폴딩 상태로부터 시공 현장에서 정규의 상태로 되돌린 후, 브레이스근으로 보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이루는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의 후프근의 우측변부와 주근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이루는 철근 케이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동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동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케이지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철근 케이지의 폴딩 도중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1a 상당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이루는 철근 케이지의 주근과 후프근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며, 결속 부재를 이중의 링으로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 13은 결속 부재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빔 등에 사용되는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쓰러뜨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철근 케이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 평면(P)(도 2 참조)을 설정한다. 도시한 철근 케이지는 기준 평면(P)이 수직인 상태에서 수평하게 쓰러져 있다.
철근 케이지는, 기준 평면(P)과 평행을 이룸과 함께 서로 평행을 이루고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4개(복수)의 주근(1 내지 4)과, 이들 주근(1 내지 4)을 둘러쌈과 함께, 주근(1 내지 4)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5)을 갖고 있다.
후프근(5)은 상하 방향으로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주근(1 내지 4)은 후프근(5)의 4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후술하는 폴딩 방향(F)을 전방으로 하여 좌우를 설정한다. 후프근(5)은, 기준 평면(P)과 직교하는 상변부(5a) 및 하변부(5b)와, 기준 평면(P)과 평행한 우측변부(5c) 및 좌측변부(5d)를 갖고 있다. 후프근(5)은 상하 방향으로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즉, 측변부(5c, 5d)가 상변부(5a)와 하변부(5b)보다 길다.
주근(1)은 후프근(5)의 우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고, 주근(2)은 후프근(5)의 좌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고, 주근(3)은 후프근(5)의 우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고, 주근(4)은 후프근(5)의 좌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은 교차부에 있어서 결속 부재(6)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결속 부재(6)는, 예를 들어 복수 개 묶은 가느다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각 교차부에 있어서, 결속 부재(6)는,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의 교차부에 걸쳐지고,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에 의해 분할된 4개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하지 않는 2개의 공간을 통과한다. 결속 부재(6)의 양단부를 함께 비틀어 연결함으로써,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이 결속된다. 도면에서는, 결속 부재(6)를 한 겹의 링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상부 코너부의 주근(1)과 모든 후프근(5)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후술하는 폴딩 방향(F)을 향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좌측 상부 코너부의 주근(2)과 모든 후프근(5)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제1,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주근(1, 2)에서의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폴딩 방향(F)을 향해 서로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부 코너부의 주근(3)과 모든 후프근(5)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좌측 하부 코너부의 주근(4)과 모든 후프근(5)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주근(3, 4)에서의 결속 부재(6)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폴딩 방향(F)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결속 부재(6)에 있어서 후프근(5)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는, 후프근(5)의 상변부(5a) 또는 하변부(5b)에 위치하는 경우와, 측변부(5c 또는 5d)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결속 부재(6)의 외측 부위가 상변부(5a) 또는 하변부(5b)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도 4a,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선상을 이루어 경사지지만, 측변부(5c 또는 5d)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구부러진 형상이 된다. 이 경우라도 결속 부재(6)의 내측의 부위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선상을 이루어 경사져 있다. 후프근(5)의 직경이 주근(1 내지 4)보다 작아지면, 상기 두 경우의 결속 부재(6)의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의 차이는 작아진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평면(P)과 직교하는 방향,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결속 부재(6)는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도록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폴딩 방향(F)을 향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우측 상부 코너부의 주근(1)에서의 결속 부재(6)의 방향(제1 방향)과 우측 하부 코너부의 주근(3)에서의 결속 부재(6)의 방향(제2 방향)이 상이하므로, 상방으로부터 겹쳐 보았을 때에는, 주근(1)에서의 결속 부재(6)와 주근(3)에서의 결속 부재(6)는 X자를 그리는 것처럼 보인다. 좌측 상부 코너부의 주근(2)에서의 결속 부재(6)와 좌측 하부 코너부의 주근(4)에서의 결속 부재(6)도 마찬가지로 X자를 그리는 것처럼 보인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철근 케이지는 공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철근 케이지는, 조립 후에 철근 케이지를 접을 수 있다. 이때, 철근 케이지의 상면부를 철근 케이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면 중 F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접는다.
상기 폴딩 공정에서는, 후프근(5)의 상변부(5a)가 주근(1, 2)에 대해 회동하지만 위치 관계는 거의 변화되지 않고, 하변부(5b)도 주근(3, 4)에 대해 회동하지만 위치 관계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후프근(5)의 우측변부(5c)는, 주근(1, 3)에 대해 직교한 상태로부터 크게 경사져, 인접하는 우측변부(5c)끼리가 서로 겹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후프근(5)의 좌측변부(5d)는 주근(2, 4)에 대해 직교한 상태로부터 크게 경사져, 인접하는 좌측변부(5d)끼리가 서로 겹치게 된다.
상기 폴딩 공정에 있어서, 결속 부재(6)는 후프근(5)의 우측변부(5c)와 좌측변부(5d)의 틸팅에 대해 큰 저항은 되지 않는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폴딩 시, 도 4b,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변부(5c)와 좌측변부(5d)는 상측의 주근(1, 2)에 대해 F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우측변부(5c)는 주근(1)과 우측변부(5c)로 구획된 공간을 통과하는 결속 부재(6)의 부분(6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좌측변부(5d)는 주근(2)과 좌측변부(5d)로 구획된 공간을 통과하는 결속 부재(6)의 부분(6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폴딩 시, 도 5b,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변부(5c)와 좌측변부(5d)는 하측의 주근(3, 4)에 대해 F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우측변부(5c)는 주근(3)과 우측변부(5c)로 구획된 공간을 통과하는 결속 부재(6)의 부분(6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좌측변부(5d)는 주근(4)과 좌측변부(5d)로 구획된 공간을 통과하는 결속 부재(6)의 부분(6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 케이지의 폴딩 시에, 측변부(5c, 5d)가 결속 부재(6)와 간섭하지 않고 주근(1 내지 4)에 대해 회동하기 때문에,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접을 수 있다. 그 때문에 결속 부재(6)는 공장에서의 철근 케이지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철근(1 내지 4)과 후프근(5)을 느슨하게 한 가결속이 아니라, 확실하게 본결속할 수 있다.
철근 케이지는 폴딩 상태로 시공 현장 또는 시공 현장에 인접하는 야드까지 반송할 수 있어, 반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시공 현장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폴딩 상태인 철근 케이지를, 그 상면부를 F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들어 올림으로써, 정규의 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 부재(6)는 원래의 결속 상태로 되돌아가지만, 확실하게 본결속되어 있으므로, 다시 결속하는 작업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정규의 형상으로 되돌린 후에, 철근 케이지의 찌부러짐(폴딩)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근(1 내지 4)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브레이스근(100)을 사용한다. 이 브레이스근(100)의 양단부는 주근(1 내지 4)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 양단부를, 결속 부재를 사용하여 주근(1 내지 4)에 결속한다. 필요에 따라서 브레이스근(100)을 후프근(5)의 측변부(5c, 5d)에 결속한다. 브레이스근(100)은, 상기 F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브레이스근(100)으로 보강한 후, 철근 케이지를 건축 시공에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철근 케이지의 중간 높이에, 상기 주근(1 내지 4)과 평행을 이루는 추가 주근(8)이 배치되어 있다. 추가 주근(8)은, 후프근(5)의 측변부(5c, 5d)와 직각을 이루고 교차하고 있고, 결속 부재(6)에 의해 측변부(5c, 5d)에 결속되어 있다. 이들 결속 부재(6)는, 상술한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추가 주근(8)과 측변부(5c, 5d)에 의해 구획된 4개의 공간 중, 상기 폴딩 시에 추가 주근(8)과 측변부(5c, 5d)의 각도가 확대되는 2개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추가 주근(8)의 결속 부재(6)도 폴딩 시에 측변부(5c, 5d)와 간섭하지 않는다. 그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후프근(5)의 상변부(5a), 하변부(5b)의 중간부에 추가 주근을 배근해도 된다. 이 경우, 추가 주근과 상변부(5a), 하변부(5b)를 결속하는 결속 부재의 방향은, 상술한 제1 방향, 제2 방향 중 어느 쪽이어도 되고, 양방향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폴딩 공정에 있어서 추가 주근과 상변부(5a), 하변부(5b)의 위치 관계가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는, 기둥 등에 사용되는 철근 케이지를 나타낸다. 이 철근 케이지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주근(9)과, 이들 주근(9)을 둘러싸고 주근(9)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10)을 구비하고 있다. 후프근(10)은 원형을 이루고, 주근(9)은 후프근(10)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철근 케이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기준 평면(P)을 설정한다.
기준 평면(P)을 수직으로 하고,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철근 케이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모든 결속 부재(6)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수평 상태의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프근(10)의 상변부(10a)와 우측의 주근(9)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후프근(10)의 상변부(10a)와 좌측의 주근(9)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수평 상태의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후프근(10)의 하변부(10b)와 우측의 주근(9)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후프근(10)의 하변부(10b)와 좌측의 주근(9)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폴딩 방향(F)을 향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아가도록 경사져 있다.
기준 평면(P) 상에 위치하는 주근(9)과, 후프근(10)의 상변부(10a), 하변부(10b)의 중앙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의 방향은, 상술한 제1 방향, 제2 방향 중 어느 쪽이어도 되고, 양방향이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케이지를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을 때, 결속 부재(6)가 후프근(10)과 간섭하지 않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프근(10)의 상변부(10a), 하변부(10b)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나 그 근방에 주근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 주근과 후프근(10)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의 방향을 특정할 필요는 없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주근(1 내지 4)으로서, 나사 마디(N)를 등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나사 철근을 사용하고 있다. 나사 마디(N)는 통상의 이형 철근의 마디보다 높고 간격이 좁기 때문에, 결속 부재(6)와의 걸림이 좋아, 주근(1 내지 4)과 후프근(5)을 확실하게 결속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나사 철근은, 제2, 제3 실시 형태의 철근(8, 9)에 사용해도 된다.
도 13에는, 다른 양태를 이루는 결속 부재(6)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결속 부재(6)는, 고무(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6a)와, 이 중간 부재(6a)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금속 와이어(6b, 6c)를 갖고 있다. 중간 부재(6a)는 원통 형상(링 형상)을 이루고, 이 중간 부재(6a)에 금속 와이어(6b, 6c)가 통과하고 있다. 이 결속 부재(6)를 주근과 후프근의 교차부에 걸쳐, 금속 와이어(6b, 6c)를 묶어 꼬는 것에 의해, 주근과 후프근을 결속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6)를 사용하면, 철근 케이지의 폴딩 시에 중간 부재(6a)가 신장되기 때문에, 금속 와이어(6b, 6c)에 큰 힘이 걸리지 않아, 결속의 느슨해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철근 케이지의 폴딩을 반복해도 재결속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가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브레이스근(100)을 제2, 제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철근 케이지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평행을 이루고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근(1 내지 4; 8)과,
    상기 복수의 주근을 둘러쌈과 함께 상기 주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5)과,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부재(6) 각각은, 상기 교차부에 걸쳐짐과 함께,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으로 구획된 4개의 공간 중, 인접하지 않는 2개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프근(5)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주근(1 내지 4; 8)이 적어도 상기 후프근의 4 코너부에 배치된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결속 부재(6)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후프근(5)의 우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1)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5)의 좌측 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2)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5)의 우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3)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5)의 좌측 하부 코너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근(4)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
  2. 서로 평행을 이루고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근(9)과,
    상기 복수의 주근을 둘러쌈과 함께 상기 주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다수의 후프근(10)과,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을 결속하는 결속 부재(6)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부재(6) 각각은, 상기 교차부에 걸쳐짐과 함께, 상기 주근과 상기 후프근으로 구획된 4개의 공간 중, 인접하지 않는 2개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프근(10)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주근(9)이 상기 후프근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결속 부재(6)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철근 케이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 케이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후프근(10)의 상변부(10a)와 우측의 상기 주근(9)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10)의 상변부(10a)와 좌측의 상기 주근(9)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10)의 하변부(10b)와 우측의 상기 주근(9)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후프근(10)의 하변부(10b)와 좌측의 상기 주근(9)을 결속하는 상기 결속 부재(6)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6)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6)가,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간 부재(6a)와, 이 중간 부재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금속 와이어(6b, 6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근(1 내지 4)은 길이 방향으로 등피치로 형성된 나사 마디(N)를 갖는 나사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철근 케이지를 폴딩 상태로부터 정규 형상으로 되돌린 후, 비스듬히 연장되는 브레이스근(100)을 다른 결속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주근(1 내지 4)에 결속함으로써, 철근 케이지를 정규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KR1020187037444A 2017-04-28 2017-07-20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KR102035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0213 2017-04-28
JPJP-P-2017-090213 2017-04-28
PCT/JP2017/026336 WO2018198388A1 (ja) 2017-04-28 2017-07-20 鉄筋籠および鉄筋籠の形状回復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08A true KR20190004808A (ko) 2019-01-14
KR102035959B1 KR102035959B1 (ko) 2019-10-23

Family

ID=6392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444A KR102035959B1 (ko) 2017-04-28 2017-07-20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905710B2 (ko)
KR (1) KR102035959B1 (ko)
CN (1) CN110418868A (ko)
SG (1) SG11201900429WA (ko)
TW (1) TWI694199B (ko)
WO (1) WO2018198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205A (zh) * 2019-01-25 2019-05-10 云南省铁路总公司 墩柱施工过程中的保护层厚度控制方法
KR102148702B1 (ko) * 2020-01-29 2020-08-27 류승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시스템
CN114837425B (zh) * 2021-02-01 2024-05-1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钢筋绑扎装置和钢筋笼成型设备
TWI743003B (zh) * 2021-02-24 2021-10-11 潤弘精密工程事業股份有限公司 鋼筋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67A (en) * 1979-05-22 1980-12-04 Taisei Corp Method of assembling reinforcing iron
JP2000008549A (ja) * 1998-06-25 2000-01-11 Fukuoka Tekkin Kogyo Kk 鉄筋結束具と鉄筋結束方法
JP2006283475A (ja) 2005-04-04 2006-10-19 Shimizu Corp 鉄筋組立工法および鉄筋籠展開装置
JP2013014924A (ja) * 2011-07-01 2013-01-24 Shinei Co Ltd ユニット鉄筋の補強構造
KR101600719B1 (ko) * 2014-12-15 2016-03-08 기언관 철근 선조립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856U (ja) * 1992-03-02 1994-06-14 有限会社西山鉄網製作所 建築用鉄筋ユニット
JP3735828B2 (ja) * 1997-07-16 2006-01-18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鉄筋籠を用いた杭の造成方法
JP3457294B2 (ja) * 2001-07-02 2003-10-14 株式会社アルテス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鉄筋接合部構造
JP2009215731A (ja) * 2008-03-07 2009-09-24 Yanai Tsusho:Kk 地中梁体構造およびその工法
US8852490B2 (en) * 2009-04-09 2014-10-07 Pat Halton Fore, III Systems and methods of concrete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f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67A (en) * 1979-05-22 1980-12-04 Taisei Corp Method of assembling reinforcing iron
JP2000008549A (ja) * 1998-06-25 2000-01-11 Fukuoka Tekkin Kogyo Kk 鉄筋結束具と鉄筋結束方法
JP3839963B2 (ja) 1998-06-25 2006-11-01 有限会社柳井通商 鉄筋結束具と鉄筋結束方法
JP2006283475A (ja) 2005-04-04 2006-10-19 Shimizu Corp 鉄筋組立工法および鉄筋籠展開装置
JP2013014924A (ja) * 2011-07-01 2013-01-24 Shinei Co Ltd ユニット鉄筋の補強構造
KR101600719B1 (ko) * 2014-12-15 2016-03-08 기언관 철근 선조립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4199B (zh) 2020-05-21
JP6905710B2 (ja) 2021-07-21
SG11201900429WA (en) 2019-02-27
TW201839228A (zh) 2018-11-01
JP2018188944A (ja) 2018-11-29
WO2018198388A1 (ja) 2018-11-01
KR102035959B1 (ko) 2019-10-23
CN110418868A (zh)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808A (ko) 철근 케이지 및 철근 케이지의 형상 회복 방법
JP2010084490A (ja) 鉄筋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鉄筋籠用半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204377A (zh) 用于钢筋混凝土结构的钢筋组件和抗剪钢筋
CN109667385A (zh) 一种钢筋混凝土超短柱
JP200518017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有孔梁の補強金具
KR102296581B1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JP7074445B2 (ja) 鉄筋ユニット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梁
JP3789224B2 (ja) 山腹砂防ネット用リング及び該リングを用いた山腹砂防ネット工法
JP6262459B2 (ja) 鉄筋ユニット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
JP2008019580A (ja) トラス形成筋及びトラス形成方法
AU2020335024A1 (en) Column formwork improvements
CN112324053A (zh) 建筑物钢筋立体结构及其制作方法
JP415951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有孔梁の補強金具
JP737057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有孔梁の補強金具及び補強構造
CN220725532U (zh) 钢筋混凝土构件用横向钢筋
TWI769048B (zh) 耐震結構柱及其雙核心鋼筋結構
JP3145700U (ja) 複合式螺旋状箍構造
JPH1121787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仕口部補強構造
JP4235596B2 (ja) 鉄筋篭
JP6688070B2 (ja) 梁鉄筋組付け方法
JP2002266353A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補強金具
JP2007308966A (ja) 力骨付ラス
JP2006322273A (ja) 接続構造
JP6069075B2 (ja) 法枠用型枠
AU2002362315C1 (en) Spiral ties for reinforced colum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