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00A -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00A
KR20190003200A KR1020170083776A KR20170083776A KR20190003200A KR 20190003200 A KR20190003200 A KR 20190003200A KR 1020170083776 A KR1020170083776 A KR 1020170083776A KR 20170083776 A KR20170083776 A KR 20170083776A KR 20190003200 A KR20190003200 A KR 2019000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oil
milking
drying
peri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살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살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살림터
Priority to KR102017008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200A/ko
Publication of KR2019000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면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처리 공정이 단축되며 동시에 살균효과가 있기 위한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은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깨를 착유장치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되는 깨는 30 ~ 48℃에서 수분 함량이 5 ~ 10%가 되도록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며, 상기 착유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와 상기 압착스크류 외주면을 덮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을 통해 배출된다.

Description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VEGETABLE OI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면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처리 공정이 단축되며 동시에 살균효과가 있기 위한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기름인 참기름의 원료는 참깨이고, 들기름의 원료는 들깨로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참깨의 유지방 함유비율은 42 내지 55%이며, 들깨의 유지방 함유비율은 35 내지 50%로, 영양학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대표적인 조미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참깨는 참깨과(Pedaliaceae) 참깨속(Sesamum)에 속하는 1년생 초목(Sesamun indicum)으로 종자가 식품으로 사용된다. 참깨가 유량식물(油糧植物)중에서 특히 귀중한 유량식품(油糧食品)으로 인식이 되어 있는데 이는 언제부터인가 확실치는 않으나 다양한 약효를 지니는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세기경 중국의 고의서「신농본초경」에서는 참깨가 신장의 기능을 회복시켜 신체에 활력을 주는 식품이고, 오장의 기능을 보강하고 원기를 주며 체력을 튼튼하게 하고 성장을 촉진시키며, 뇌를 좋게 한다고 쓰여져 있다.
또한, 참깨에 존재하는 주요 생리활성물질로서 토코페롤을 들 수가 있다.
특히 γ-토코페롤은 비타민 E로서의 활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γ-토코페롤의 비타민 E로서의 생화학적 기능은 항암 효과, 면역기능 강화 효과, 혈전증과 염증반응 조절 효과, 그리고 핵산과 단백질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 등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γ-토코페롤의 가장 큰 기능은 생체막에서의 항산화제로서 프리 래디칼(free radical)과 과산화물에 의해 야기된 손상된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다.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또는 free radical은 생성되어 축적되면 생체기능을 저하 시킴과 동시에 노화 및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는 노화, 암, 동맥경화 및 당뇨 등의 원인이라는 학설이 인정됨에 따라 오래전부터 활성산소 및 free radical 등의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는, 즉 항산화 기능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또한, γ-토코페롤의 항산화 효과는 참깨에 함께 존재하는 세사몰과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는 연구보고(H. Yoshida and S. Takagi,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 79, 220~226, 1999년)도 있다.
그리고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 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어 신선 잎채소로 이용되고 있고, 들깨잎의 추출물은 화장품 색소나 향료로 이용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토코페롤이 심장혈관계 질환 및 암을 예방하고, 면역기능을 보조하며,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러한 토코페롤의 최대 천연 공급원 중의 하나인 들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참깨 또는 들깨로 제조되는 종래의 기름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이물질이 제거된 참깨 또는 들깨를 고온에서 볶은 다음, 볶은 참깨 또는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추출 생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기름 생산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데, 첫 번째로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발암 물질인 벤조피린이 발생되고, 갈색 성상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화학 색소와 같은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고, 두 번째로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참깨 또는 들깨의 고유의 향이 증산되어 소실되고, 열처리에 의한 높은 산가를 갖게 되어 보관시 기름이 산화 및 변질되어 지방산이 많아져 기름을 장기간 보관할 수 없고, 세 번째로 유지성분 외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함량이 낮고 고열에 의해 파괴 변질되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산 에너지를 낮추고 처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며 동시에 살균 효과 및 연속적인 생산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30349호, 발명의 명칭이 "생기름 제조방법"(등록일자 2008.05.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에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연속적으로 생산되면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처리 공정이 단축되며 동시에 살균효과가 있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은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깨를 착유장치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되는 깨는 30 ~ 48℃에서 수분 함량이 5 ~ 10%가 되도록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며, 상기 착유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와 상기 압착스크류 외주면을 덮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정 처리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면서 살균 효과를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장치(100)는 세척부(110), 임시저장부(120), 착유전처리장치(130), 착유장치(140), 원심분리장치(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깨'는 참깨와 들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척부(110)는 깨를 정제수로 세척하는 장치로, 선별된 깨를 정제수에 침전시키고, 3 내지 8분 동안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깨의 표면에 묻은 흙, 먼지 및 선별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쭉정이와 같은 부유물 등을 제거한 후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임시저장부(120)로 이송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부(110)는 식물성 기름인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혼합용액으로 깨의 표면을 세척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임시저장부(120)는 세척된 깨를 이송받아 임시 보관하여 착유전처리장치(130)로 공급하는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된 깨가 상부로 투입되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식의 이송장치에 의해 착유전처리장치(130)로 공급한다.
여기서 임시저장부(120)는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용이하게 이송받아 연속적으로 착유전처리장치(1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호퍼(hopp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착유전처리장치(130)는 내부에 깨를 교반하면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133)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열매유를 이용한 히팅장치(135)가 구비되어 있는 블록(block) 형상의 장치이다.
즉, 착유전처리장치(130)의 케이스 상부에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론(133)이 장착되어 착유전처리장치(130) 내부로 유입된 깨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깨에 내포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복열식 이송스크류(131)를 이용하여 착유전처리장치(l30)에 투입된 깨의 뭉쳐짐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송스크류(131)를 통한 깨의 이송과 동시에 골고루 교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착유전처리장치(130)가 건조 공정만 수행하는 경우 이외에 건조 및 볶음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위하여 착유전처리장치(130) 내부에 유입된 깨는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마그네트론(133)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팅장치(135)에서 가열되는 열매유에 의하여 동시에 볶아진다.
따라서, 착유전처리장치(130)는 두 개의 별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생기름을 생성할 경우 내부를 가열하지 않고 건조만 시키기 위하여, 착유전처리장치(130)는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론(133)에 의해서 마이크로파가 깨에 조사하여 건조와 함께 살균 처리되지만, 하부에 있는 히팅장치(135)는 동작하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볶음기름을 생성할 경우 착유전처리장치(130) 내부를 가열할 수 있기 위하여, 착유전처리장치(130)는 상부에 있는 마그네트론(131)에 의해서 마이크로파가 깨에 조사하여 건조하는 동시에 하부에 있는 히팅장치(135)가 동작하여 열매유가 순환하면서 이송스크류(131)에 의해서 이송되는 전처리부(130) 내부의 깨를 볶게 한다.
착유장치(140)는 착유전처리장치(130)에서 통과된 깨를 압착하여 착유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착유장치(140)는 스크류식으로 압착스크류(141) 외주면을 덮는 타공튜브(143), 타공튜브(143)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착스크류(14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주면을 덮는 타공튜브(1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타공(143h)이 형성되어 압착스크류(141)가 회전하면서 깨를 압착하면 착유된 깨기름이 상기 타공(143h)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특히, 압착스크류(141)는 진행 방향을 따라 점점 테이퍼지게 넓어져 착유전처리장치(130)에서 유입된 깨를 점점 압착하여 착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착유장치(140)는 압착 시 소정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압착스크류(141) 내부에 중공(141h)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141h)의 공간으로 소정 온도의 열매유가 통과하여 온도를 유지시킨다.
원심분리장치(150)는 착유된 깨 기름에 식염수를 혼합하여 고속 원심분리하는 장치로, 초고속 원심분리에 의해, 예를 들어 10,000 내지 30,000G의 회전 속도를 가진다.
원심분리장치(150)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 중에 혼합되어 있는 고상 지질 성분, 부유 물질,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액상 유지를 얻기 위한 정제 공정에 사용된다.
이때, 30,000G를 초과하는 회전 속도를 초고속 원심분리장치는 가격이 고가이므로, 공정 경제상 30,000G 이하의 회전 속도로 정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10,000G 미만의 회전 속도에서는 고체-액체 분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은 깨의 세척, 건조단계에서 가열과정이 없이 기름을 착유하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200)은 깨의 볶음단계가 포함하여 기름을 착유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 S2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장치(100)를 이용한다.
그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생기름이란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 전에 일정온도로 가열과정 없이 착유하는 참깨기름 또는 들깨기름을 말한다.
또한, 생기름을 착유하기 위해서는 깨의 세척, 건조공정에서부터 가열과정이 없어야 한다.
특히, 국산 깨는 흙이 많이 섞여 있어 여러 번 세척하여야 하고 자연건조는 3 ~ 4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자연건조 과정에서 산패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섭씨 70℃ 이하의 저온에서 단시간에 건조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은 세척단계(S110), 건조단계(S120), 착유단계(S130), 정제단계(S140)를 포함한다.
1-1. 세척단계(S110)
상기 세척단계(S110)는 깨를 정제수로 세척하는 단계로, 선별된 깨를 정제수에 침전시키고, 3 내지 8분 동안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깨의 표면에 묻은 흙, 먼지 및 선별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쭉정이와 같은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다. (여기서 깨는 참깨 또는 들깨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깨에 존재하는 흙, 먼지 및 부유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식물성 기름의 탁도가 좋지 않고, 풍미를 저하(低下)시키기 때문에, 깨에 존재하는 흙, 먼지 및 부유물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2 ~ 3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세척되는 깨는 참깨 또는 들깨를 사용하는 것으로, 참깨나 들깨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식물성 기름은 참기름 또는 들기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단계(S110)는 식물성 기름인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혼합용액으로 상기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을 세척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세척단계(S110)에서 혼합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2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1000 내지 1500rpm의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3 내지 8분 동안 교반하여 세척할 수 있다.
세척단계(S110)에서 참깨 또는 들깨의 세척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 진행되는 경우에는,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이용하여 제조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이 우리나라 식품공전 상에 규정되어 있는 산가 기준을 벗어나거나, 세척되는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단계(S110)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을 세척하였는데, 상기 참깨 또는 들깨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이외에 죽염가루를 더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
1-2. 건조단계(S120)
상기 건조단계(S120)는 혼합용액으로 깨의 표면을 세척한 후 정제수(수분)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건조단계(S120)는 세척단계(S110)를 통해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건조하는 다음 단계로, 세척단계(S110)를 통해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의 함수량이 5 내지 10%가 되도록 5분 내지 10분 동안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한다.
즉, 건조 단계(S120)에서의 수분 함량은 5 ~ 10%이다. 이때, 수분함량이 5% 미만인 경우 착유시 기름양이 적고, 10%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량이 많아져 보관 기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조단계(S120)는 착유전처리장치(130) 내에 마그네트론(133)를 이용하여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마이크로파로 조사하여 건조할 수 있고 살균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건조단계(S120)에서 건조 온도는 40℃ 내외로 30 ~ 48℃가 적정하다. 이때, 건조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48℃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고온 가열 효과와 동일해져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열처리에 의한 높은 산가를 갖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은 볶는 단계가 없이 세척 단계와 건조 단계(건조시 섭씨 40℃ 내외로 유지)를 거친 후 바로 착유단계(S130)로 넘어간다.
참고로, 마그네트론(131)은 블록(Block) 형상으로 자계(磁界)를 작용시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특수한 진공관으로서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출력 또는 발생하는 장치이다.
마이크로파(Microwave)는 파장의 범위가 1mm부터 1m 사이의 전파들을 모두 가리키는 용어이다. 파장이 짧으므로 빛과 거의 비슷한 성질을 갖으며 살균력이 강하고 식물이나 물에 잘 흡수되어 열을 발생한다. 또는 전자파를 주파수에 따라 분류하면 30~300kHz를 장파, 300~3,000kHz를 중파, 3,000MHz(3GHz)~30GHz를 centimeter파, 30~300GHz를 millimeter파, 300GHz 이상을 submillimeter파라고 부르고 있다. 이 중 300MHz~30GHz까지의 전자파를 마이크로파(Microwave)라고 말한다. 마이크로파(Microwave)와 같이 파장이 짧으면 광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직진, 반사, 흡수의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통신(전파의 전송)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것 이외에 초단파 유전가열에 의한 식품의 가열, 냉동식품의 해동, 식품의 간이살균, 식품 중의 해충의 살균 등에 이용된다.
또한, 마그네트론(Magnetron)은 자전관(磁電管)이라고도 한다. 1921년 미국의 A.W.헐 등에 의해서 발명되었다. 순동(純銅)의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축방향으로 음극과 그리드를 배치한다. 음극의 축방향으로 자기장을 걸면 음극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튀어나온 전자는 양극에 흡인됨과 동시에 자기장에 의해서 진행방향으로 직각의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전자는 나선상의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자기장의 강도를 크게 하면 전자가 구부러지는 양도 커지며, 양극에 도달하기 전에 몇 번이라도 돌게 된다. 그리고 자기장의 강도가 어느 한계(임계자속밀도)에 도달하면 전자는 거의 양극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음극 주위에는 전자에 의한 회전전자극(回轉電子極)이 생기고 양극의 진동회로에는 유도전류(誘導電流)가 생겨서 진동이 자극되어 지속한다. 발진 주파수는 대부분 진동회로에 의해 정해지고 고능률이며, 또한 대출력을 얻는다. 고주파가열·입자가속기·레이더 등의 산업응용을 비롯하여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정용 기기에도 널리 사용된다.
1-3. 착유단계(S130)
상기 착유단계(S130)는 건조단계(S120)에서 건조된 깨를 착유장치(140)에 이송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을 수행한다.
착유단계(S130)는 착유장치(140) 내부 온도가 50℃ 내지 70℃에서 압착스크류(141) 회전 속도를 10 내지 20rpm으로 하여 5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한다. 이때 열매유 온도는 90 ~ 110℃로 중공의 압축스크류(141) 내부를 통과한다.
즉, 착유단계(S130)는 건조된 참깨 또는 들깨를 착유장치(140)를 이용하여 기름을 짜는 단계로, 상기 착유장치(140)는 건조된 참깨 또는 들깨로부터 기름을 충분히 채취할 수 있도록 압착하는데, 상기 착유단계(S130)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스크류식으로 압착을 가하여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착유장치(140)는 스크류방식으로,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141)와 상기 압착스크류(141) 외주면을 덮는 타공(143h)이 형성된 타공튜브(143)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S130)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14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143h)을 통해 배출된다.
다만, 참기름이나 들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을 착유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나, 상기에 나타낸 온도범위로 조절 가능한 가열장치를 실행할 수 있는 착유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유단계(S130)에서의 압착 온도는 50 ~ 70℃이다. 이때, 생기름일 경우 착유 온도가 50℃ 미만인 경우 착유 온도가 낮아 추출량이 줄어들고, 70℃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고온 가열 효과와 동일해져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열처리에 따른 높은 산가를 갖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1-4. 정제단계(S140)
상기 정제단계(S140)는 착유단계(S130)에서 착유된 깨 기름에 식염수를 혼합하여 고속 원심분리하는 정제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정제단계(S140)는 초고속 원심분리에 의해, 예를 들어 10,000 내지 30,000G의 회전 속도로 5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된다.
이와 같은 정제단계(S140)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 중에 혼합되어 있는 고상 지질 성분, 부유 물질,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액상 유지를 얻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30,000G를 초과하는 회전 속도를 초고속 원심분리장치는 가격이 고가이므로, 공정 경제상 30,000G 이하의 회전 속도로 정제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는 원심분리장치(150)를 사용한다.
또한, 원심분리장치(150)는 10,000G 미만의 회전 속도에서는 고체-액체 분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으므로, 10,000G 이상의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제단계(S140)가 5분 미만인 경우에는 고액분리가 불충분하게 수행되어 침전물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 액체 부분인 상등액을 옮길 때 침전물이 같이 이동해 원심분리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가 있고, 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커져서 공정 경제상 비효율적이다.
정제단계(S140)는 착유된 깨 기름 250ml 당 5 내지 15ml의 식염수를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고, 식염수가 깨 기름 250ml 당 5 ml 미만인 경우에는 일부 인지질 성분 등과 같은 이물질 침전 효과가 불충분한 문제가 있으며, 15m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식염수량 증가에 비하여 획득되는 효과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정제단계(S140)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지질이 고농도로 현탁되어 있는 참기름 추출물로부터 초고속 원심 분리를 통해 고형분과 액상분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정제된 생참기름 또는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2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볶음기름이란 기름을 착유하는 과정 전에 일정온도로 가열과정을 통하여 착유하는 참깨기름 또는 들깨기름을 말하는 것으로, 볶음단계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200)은 세척단계(S210), 건조 및 볶음단계(S220), 착유단계(S230), 정제단계(S240)를 포함한다.
2-1. 세척단계(S210)
상기 세척단계(S210)는 깨를 정제수로 세척하는 단계로, 선별된 깨를 정제수에 침전시키고, 3 내지 8분 동안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깨의 표면에 묻은 흙, 먼지 및 선별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쭉정이와 같은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다. 여기서 깨는 참깨 또는 들깨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깨에 존재하는 흙, 먼지 및 부유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식물성 기름의 탁도가 좋지 않고, 풍미를 저하(低下)시키기 때문에, 깨에 존재하는 흙, 먼지 및 부유물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2 ~ 3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세척되는 깨는 참깨 또는 들깨를 사용하는 것으로, 참깨나 들깨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식물성 기름은 참기름 또는 들기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단계(S210)는 식물성 기름인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혼합용액으로 상기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을 세척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세척단계(S210)에서 혼합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2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1000 내지 1500rpm의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3 내지 8분 동안 교반하여 세척할 수 있다.
세척단계(S210)에서 참깨 또는 들깨의 세척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 진행되는 경우에는,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이용하여 제조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이 우리나라 식품공전 상에 규정되어 있는 산가 기준을 벗어나거나, 세척되는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단계(S210)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참깨 또는 들깨의 표면을 세척하였는데, 상기 참깨 또는 들깨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이외에 죽염가루를 더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
2-2. 건조 및 볶음단계(S220)
상기 건조 및 볶음단계(S220)는 세척단계(S210)를 통해 세척된 참깨 또는 들깨를 건조하는 동시에 히팅장치(135)에 의해서 가열된 열매유가 순환하면서 볶아지는 단계이다.
종래에는 건조 단계와 볶음 단계가 구분되어 건조 단계를 거친 후에 볶음 단계로 넘어가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에너지 소요가 많았으나, 본 발명은 깨를 건조하면서 동시에 깨를 볶으므로,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시킬 수 있고 소요 전기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조 및 볶음단계(S220)는 5 내지 10분 동안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동시에 하부에 열매유를 히팅시켜 순환시켜 깨를 볶으므로 식물성 기름의 수율 향상과 위생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식물성 기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다.
건조 및 볶음단계(S220)는 세척된 깨를 스크류식으로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킴과 동시에 깨를 볶는 단계로,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참깨 또는 들깨를 볶음으로써 표피가 팽창하도록 하여 상기 참깨 또는 들깨에 함유된 유지성분이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건조 및 볶음단계(S220)는 세척단계(S210)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 및 볶는 단계로, 열매유 온도는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이루어지는데, 내부 온도가 120 내지 150℃로 유지되는 착유전처리장치(130) 내에서 깨를 건조 및 볶는 단계로, 깨의 표피가 부풀어 오르고 깨의 색이 암갈색으로 변할 때까지 볶는데 통상적으로, 상기의 온도 조건에서는 5 내지 10분 동안 이루어진다.
이때, 착유전처리장치(130)의 내부 온도가 120℃ 미만이면, 건조 및 볶음단계(S220)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배전시간이 길어지며, 내부 온도가 150℃를 초과하게 되면, 볶음 시간은 단축되지만 깨가 타는 비율이 높아져서 참기름이나 들기름에서 탄맛이 강해져 풍미를 저하시킨다.
건조 및 볶음 단계(S220)는 착유전처리장치(130)를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착유전처리장치(130)는 열매유에 의해서 150 ~ 200℃의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착유전처리장치(130)에 투입되어 있는 참깨 또는 들깨는 1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볶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볶음 단계(S220)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참깨 또는 들깨의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충분히 가열되어 볶아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참깨 또는 들깨의 표피가 탄화되어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고, 제조되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다.
특히, 깨의 볶음공정 중 가장 중요한 관리항목은 깨의 볶는 온도이다.
볶음 온도는 참깨냐 들깨냐에 따라 다르고 같은 깨라도 산지별 깨 특성에 따라 온도조절이 필요한데 모두 섭씨 170℃는 넘지 않게 볶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기름의 볶음 온도가 섭씨 270℃ 이상의 고온인데 볶는 온도가 높을수록 1급 발암물질로 알려진 벤조피렌의 발생이 우려되고, 특히 고온에서의 볶음작업은 벤조피렌의 발생이 필연적이다.
깨는 볶음 온도가 높을수록, 볶는 시간이 길수록 산화안정성이 높아지는 반면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줄어들게 되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에서 판대되는 참기름, 들기름의 볶는 온도가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 높은 온도에서 참깨, 들깨를 볶게 되면 기름 양이 많아지게 된다.
나. 향이 휠씬 진해지고 맛도 탄 맛과 함께 고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 기름을 장시간 보관,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양소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우수한 참기름, 들기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섭씨 150℃ 이하의 볶음조건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들기름의 경우 섭씨 150℃ 이하의 볶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저온에서 참기름, 들기름을 볶아 착유할 경우 고온에서 착유한 기름보다는 고소한 향(실제로 탄 향일 수 있음)이 다소 약해질 수 있다.
그러나 참기름, 들기름 고유의 향이 은은하고 고소한 향이 느껴지면서 실제 맛에서는 전혀 다른 참기름, 들기름의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2-3. 착유단계(S230)
상기 착유단계(S230)는 건조 및 볶음단계(S220)를 거친 깨를 착유장치(140)에 이송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을 수행한다.
착유단계(S230)는 착유장치(140) 내부 온도가 90℃ 내지 110℃에서 압착스크류(141) 회전 속도를 10 내지 20rpm으로 하여 5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한다. 이때 열매유 온도는 130 ~ 150℃로 중공의 압축스크류(141) 내부를 통과한다.
즉, 착유단계(S230)는 건조 및 볶음단계(S220)를 거친 참깨 또는 들깨를 착유장치(140)를 이용하여 기름을 짜는 단계로, 상기 착유장치(140)는 건조 및 볶음단계(S220)를 거친 참깨 또는 들깨로부터 기름을 충분히 채취할 수 있도록 스크류식으로 압착하는데, 상기 착유단계(S230)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스크류식으로 압착을 가하여 볶음참기름 또는 볶음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착유장치(140)는 스크류방식으로,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141)와 상기 압착스크류(141) 외주면을 덮는 타공(143h)이 형성된 타공튜브(143)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S130)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14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143h)을 통해 배출된다.
다만, 참기름이나 들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을 착유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나, 상기에 나타낸 온도범위로 조절 가능한 가열장치를 실행할 수 있는 착유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유단계(S230)에서의 압착 온도는 90 ~ 110℃이다. 이때, 볶음기름의 경우 착유 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착유 온도가 낮아 추출량이 줄어들고, 110℃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고온 가열 효과와 동일해져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열처리에 따른 높은 산가를 갖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2-4. 정제단계(S240)
상기 정제단계(S240)는 착유단계(S230)에서 착유된 깨 기름에 식염수를 혼합하여 고속 원심분리하는 정제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정제단계(S240)는 초고속 원심분리에 의해, 예를 들어 10,000 내지 30,000G의 회전 속도로 5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된다.
이와 같은 정제단계(S240)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 중에 혼합되어 있는 고상 지질 성분, 부유 물질,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액상 유지를 얻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30,000G를 초과하는 회전 속도를 초고속 원심분리장치는 가격이 고가이므로, 공정 경제상 30,000G 이하의 회전 속도로 정제단계(S240)를 수행할 수 있는 원심분리장치(150)를 사용한다.
또한, 원심분리장치(150)는 10,000G 미만의 회전 속도에서는 고체-액체 분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으므로, 10,000G 이상의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제단계(S240)가 5분 미만인 경우에는 고액분리가 불충분하게 수행되어 침전물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 액체 부분인 상등액을 옮길 때 침전물이 같이 이동해 원심분리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가 있고, 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커져서 공정 경제상 비효율적이다.
정제단계(S240)는 착유된 깨 기름 250ml 당 5 내지 15ml의 식염수를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고, 식염수가 깨 기름 250ml 당 5 ml 미만인 경우에는 일부 인지질 성분 등과 같은 이물질 침전 효과가 불충분한 문제가 있으며, 15m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식염수량 증가에 비하여 획득되는 효과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정제단계(S240)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지질이 고농도로 현탁되어 있는 참기름 추출물로부터 초고속 원심 분리를 통해 고형분과 액상분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정제된 볶음참기름 또는 볶음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100)은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10); 상기 세척단계(S110)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20); 상기 건조단계(S120)를 통해 건조된 깨를 착유장치(140)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S130); 및 상기 착유단계(S130)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150)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단계(S120)에서 건조되는 깨는 30 ~ 48℃에서 수분 함량이 5 ~ 10%가 되도록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며, 상기 착유장치(140)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141)와 상기 압착스크류(141) 외주면을 덮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튜브(143)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S130)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14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143h)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중공(141h)의 압착스크류(141) 내로 열매유가 통과하여 착유장치(140) 내부를 50 ~ 70 ℃로 유지시켜 생기름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S200)은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210); 상기 세척단계(S210)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와 동시에 볶는 건조 및 볶음단계(S220); 상기 건조 및 볶음단계(S220)를 거친 깨를 착유장치(140)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S230); 및 상기 착유단계(S230)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150)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 및 볶음단계(S220)를 거치는 깨는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는 동시에 열매유 히팅장치(135)에 의해서 120 ~ 150℃ 온도가 유지되면서 볶아지며, 상기 착유장치(140)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141)와 상기 압착스크류(141) 외주면을 덮는 타공(143h)이 형성된 타공튜브(143)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S230)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14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143h)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중공(141h)의 압착스크류(141) 내로 열매유가 통과하여 상기 착유장치(140) 내부를 90 ~ 110 ℃로 유지시켜 볶음기름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공정 처리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면서 살균 효과를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세척단계
S120 : 건조단계
S130 : 착유단계
S140 : 정제단계

Claims (3)

  1.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깨를 착유장치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되는 깨는 30 ~ 48℃에서 수분 함량이 5 ~ 10%가 되도록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며,
    상기 착유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와 상기 압착스크류 외주면을 덮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중공의 압착스크류 내로 열매유가 통과하여 상기 착유장치 내부를 50 ~ 70 ℃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2. 깨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깨를 건조와 동시에 볶는 건조 및 볶음단계;
    상기 건조 및 볶음단계를 거친 깨를 착유장치를 통하여 기름성분을 짜내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를 거친 착유된 깨기름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 및 볶음단계를 거치는 깨는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어 건조되는 동시에 열매유 히팅장치에 의해서 120 ~ 150℃ 온도가 유지되면서 볶아지며,
    상기 착유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점차 압착 공간이 좁아지는 중공의 압착스크류와 상기 압착스크류 외주면을 덮는 타공이 형성된 타공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착유단계로 유입된 깨가 상기 압착스크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타공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중공의 압착스크류 내로 열매유가 통과하여 상기 착유장치 내부를 90 ~ 110 ℃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깨는 참깨 또는 들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KR1020170083776A 2017-06-30 2017-06-30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KR20190003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76A KR20190003200A (ko) 2017-06-30 2017-06-30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76A KR20190003200A (ko) 2017-06-30 2017-06-30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00A true KR20190003200A (ko) 2019-01-09

Family

ID=6501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76A KR20190003200A (ko) 2017-06-30 2017-06-30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6Y1 (ko) * 2019-01-16 2019-07-02 강희순 착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6Y1 (ko) * 2019-01-16 2019-07-02 강희순 착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triana et al. Development of methods used in the extraction of avocado oil
KR102061047B1 (ko) 동애등에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ebrianto et al. Producing high quality edible oil by using eco-friendly technology: a review
EP2335494A1 (en) Method for concentrating lipid
JP2012116877A (ja) 植物油および植物粕の製造方法
KR102139730B1 (ko) 식용 달팽이 비가열 가공방법
KR102018334B1 (ko) 기능성 조미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미 김
Sundrasegaran et al. Extraction Methods of Virgin Coconut Oil and Palm‐pressed Mesocarp Oil and their Phytonutrients
Williams Extraction of lipids from natural sources
AU2018335949B2 (en) Methods and devices to extract oil from oily fruits
KR20190003200A (ko)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CN105285967A (zh) 一种草菇红枣保健粉的加工方法
KR101698039B1 (ko) 깨 기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획득된 깨 기름
CN104223122A (zh) 金柚膳食纤维及其制备方法
JP6639836B2 (ja) 大豆油の製造方法、大豆トコフェロールの製造方法
CN103564549A (zh) 一种蒜香花生果及其制备方法
KR20090131179A (ko) 양파껍질을 이용한 양파음료 제조방법
CN107960503B (zh) 一种速溶藜蒿绿茶粉及其生产方法
CN107692188A (zh) 一种黑木耳营养粉及其加工方法
KR20170027615A (ko) 식물성 기름 제조방법
KR101788395B1 (ko) 분말상 탈지박을 이용한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들깨추출물 제조방법
JPH0145520B2 (ko)
KR102641665B1 (ko)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KR101999887B1 (ko) 관능성이 개선된 다시마 차의 제조방법
CN112586679A (zh) 一种动物肾脏烘焙粉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