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89A -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89A
KR20190003089A KR1020170083570A KR20170083570A KR20190003089A KR 20190003089 A KR20190003089 A KR 20190003089A KR 1020170083570 A KR1020170083570 A KR 1020170083570A KR 20170083570 A KR20170083570 A KR 20170083570A KR 20190003089 A KR20190003089 A KR 2019000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extract
anxiety
preventing
anxiety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918B1 (ko
Inventor
이미영
박보경
김영화
양창섭
김유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2Magnesium silic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에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은 우울증 및 불안장애에 대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현재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한약재로 안전성이 이미 확보된 것이므로,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개선하거나 치료하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comprising Bangpungtongseong-san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흔한 정신질환으로 마음의 감기라고도 부르며, 원활하지 못한 대인관계를 야기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는 뇌질환이다. 다행히도 우울증은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며, 초기 완쾌율이 2개월 내에 70~80%에 이르는 의학적 질환이다. 우울증에는 상담과 정신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은 항우울제 투여도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개발된 항우울제들은 뇌 내의 저하된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우울 증상을 호전시키고,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우울증을 개선할 수 있다.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있는 경우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이다.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의 예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등이 있다. 흔히 세로토닌이라는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저하가 우울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활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과 같은 스트레스가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신체적인 질환이나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암, 내분비계 질환,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격한 의식장애와 운동마비를 수반하는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을 통칭한다. 불안과 공포는 정상적인 정서 반응이지만, 정상적 범위를 넘어서면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증상을 초래한다. 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두통, 심장 박동 증가, 호흡수 증가, 위장관계 이상 증상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 불편하고 가정 생활, 직장 생활, 학업과 같은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안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장애에는 다양한 진단이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정의와 진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불안장애에 해당하는 질환으로는 공황 장애, 특정 공포증(고소 공포증, 혈액 공포증, 뱀 공포증 등),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 불안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가 포함된다. 불안장애에는 각기 다른 성격의 여러 정신질환이 속해 있어, 복합적이라 원인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뇌신경 내의 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소인, 뇌영상 연구에서 밝혀진 뇌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사회심리학적인 측면,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받아들인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인지행동적인 부분까지도 병적인 불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급성 스트레스 장애는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일으키는 사고나 재해 등이 원인으로 주로 발병한다.
한편, 방풍통성산은 비만형인 중풍 체질자의 고혈압 ·동맥경화증으로 맥은 힘이 있으나 지방심(脂肪心)이고 장성 자가중독물(腸性自家中毒物)인 식중독, 신장성 자가중독물인 수독(水毒)이 있을 때 쓰이는 한의학 처방이며, 방풍통성산을 이용하는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199961호에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9940호에 방풍통성산 한약재로부터 방향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방풍통성상 추출물을 투여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항우울 효과를 확인하였고, 혈액 내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 감소 및 세로토닌 함량의 증가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세로토닌의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우울증 유도 동물모델에서 우울증에 의한 행동 및 활동성 감소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Control)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Fluoxetine; FXT)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 5, 10일째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1, ###: p<0.001 vs. normal(정상군), **: p<0.01, ***: p<0.001 vs. control).
도 2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Control)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FXT)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5, 10일째 식이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5 vs. normal, *: p<0.05, **: p<0.01 vs. control).
도 3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Control)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FXT)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1일째 강제수영 검사를 실시한 결과로 수중에서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p<0.001 vs. normal, *: p<0.05, **: p<0.01, ***: p<0.001 vs. control).
도 4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FXT)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1일째 꼬리 현수 시험을 실시한 결과로 거꾸로 꼬리가 매달린 상태에서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p<0.05 vs. normal, *: p<0.05, **: p<0.01 vs. control).
도 5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1일째 열린공간 시험을 실시한 결과로 열린 공간에서의 총 이동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p< 0.001 vs. normal, *: p<0.05, ***: p<0.001 vs. control).
도 6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FXT)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2일째 얻은 혈액에서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농도를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1 vs. normal, *: p<0.05, ***: p<0.001 vs. control).
도 7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게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 및 플루옥세틴 20mg/kg을 10일간 투여하고 12일째 얻은 혈액에서 세로토닌(serotonin)의 농도를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01 vs. normal, *: p<0.05, **: p<0.01 vs. control).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활석, 석고, 감초, 황금, 길경, 백출, 망초, 대황, 마황, 방풍, 형개, 생강, 박하, 연교, 치자, 천궁, 작약 및 당귀의 혼합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4~18중량%의 활석, 7~11중량%의 석고, 4~8중량%의 감초, 4~8중량%의 황금, 4~8중량%의 길경, 4~8중량%의 백출, 3~6중량%의 망초, 3~6중량%의 대황, 2~5중량%의 마황, 2~5중량%의 방풍, 2~5중량%의 형개, 2~5중량%의 생강, 2~5중량%의 박하, 2~5중량%의 연교, 2~5중량%의 치자, 2~5중량%의 천궁, 2~5중량%의 작약 및 2~5중량%의 당귀의 혼합 추출물인 것이지만, 한의학 처방에서 방풍통성산으로 처방될 수 있는 한약재를 추가로 처방할 수 있다.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방풍통성산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방풍통성산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진공 회전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base)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으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에 포함되는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양은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사용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인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과육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험방법>
1.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의 개별 한약재를 혼합한 방풍통성산의 중량에 대비하여 10배의 물을 넣고, 90~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걸러내고, 60℃ 이하의 온도에서 증류장치(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개별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방풍통성산 추출물(BPX)을 100, 300 및 500mg/kg의 투여량에 맞게 생리 식염수에 녹인 후 분주하였다.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구성하는 한약재 성분 및 함량비(중량%)
한약재 성분 함량(g) 중량%
당귀 0.4 3.86
작약 0.4 3.86
천궁 0.4 3.86
치자 0.4 3.86
연교 0.4 3.86
박하 0.4 3.86
생강 0.4 3.86
형개 0.4 3.86
방풍 0.4 3.86
마황 0.4 3.86
대황 0.5 4.83
망초 0.5 4.83
백출 0.67 6.48
길경 0.67 6.48
황금 0.67 6.48
감초 0.67 6.48
석고 1.00 9.67
활석 1.67 16.15
총계 10.35 100
2.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 유도 동물모델 확립
수컷 7주령의 C57BL/6 생쥐(20~25g)는 ㈜대한바이오링크(Chungbuk, Korea)에서 공급받았고, 동물은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 습도 55±15%, 12 시간 명암주기의 환경을 유지하며 1 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일 일정시간에 10일 동안 0.5mg/kg의 레세르핀(reserpine)을 복강주사하여 모노아민 결핍(monoamine depletion)에 의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였다.
3.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기 위한 레세르핀(reserpine)을 투여하기 1시간 전에 약물을 농도별로 경구투여 하였다. 정상군(normal)과 대조군(control)은 생리 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고, 방풍통성산 추출물(BPX) 투여군은 100, 300 및 5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BPX)을 0.1㎖씩 10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FXT)을 0.1㎖씩 10일 동안 투여하였다.
4.체중 측정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의 체중을 1, 5, 10일째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측정은 실험동물 사육실 내 정밀저울로 측정하였다.
5. 식이량 측정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의 식이량을 1, 5, 10일째 일정한 시간에 실험동물 사육실 내 정밀저울로 측정하였다. 식이량은 처음 제공된 사료량에서 일정시간에 측정된 사료량을 제하여 소비된 양을 평가하였다.
6.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 test, FST)
투명 아크릴로 제작된 원통의 수조(Visionscientific Co., Korea)에 상온의 물을 넣고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를 꼬리가 바닥에 닿지 않을 높이에 빠뜨린 다음 15분 동안 강제로 예비수영을 시켰다. 24시간 후에 6분 동안 같은 환경에서 수영을 시키면서 부동자세(Immobility)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최종 4분 동안 이루어졌으며,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한 후, Video tracking software(SMART 3.0, Panlab, Spain)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C57BL/6 생쥐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7. 꼬리 현수 시험법(Tail suspension test, TST )
하얀색의 아크릴로 제작된 20cm×25cm×30cm 규격의 오픈된 상자에 꼬리 현수 장치를 설치하고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를 꼬리가 바닥에 닿지 않을 높이로 매달아 놓은 뒤 6분 동안 같은 환경에서 관찰하면서 부동자세(Immobility)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최종 4분 동안 이루어졌으며,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한 후, Video tracking software(SMART 3.0, Panlab, Spain)를 이용하여 C57BL/6 생쥐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8. 열린공간시험법 (Open field test, OFT)
하얀색의 아크릴로 제작된 30cm×30cm×30cm 규격의 오픈된 상자에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를 중앙에 놓고 10분 동안 같은 환경에서 관찰하면서 총 이동거리(Total distance)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한 후, Video tracking software(SMART 3.0, Panlab, Spain)를 이용하여 C57BL/6 생쥐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9. 혈청 내 코르티코스테론 ( corticosterone )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청에서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코르티코스테론 EIA kit (Cayman chemical company, MI, USA)의 메뉴얼에 따라 goat anti-mouse IgG coated microplate의 비특이적 결합 웰(non-specific binding well)에 100㎕의 EIA 완충용액를 가하고, B0 well에는 100㎕의 EIA 완충용액를 넣었다. 표준물질과 시료 웰에 각각의 준비한 시료를 50㎕를 가하고, 블랭크 웰, 총 활성 웰(Total activity well)을 제외한 모든 웰에 희석한 코르티코스테론 AChE Tracer를 50㎕를 주입하였다. 블랭크 웰, 총 활성 웰(Total activity well), 비특이적 결합 웰(non-specific binding well)를 제외한 웰에 희석한 코르티코스테론 EIA 모노클로날 항체를 50㎕를 첨가하였다. 4℃에서 밤새도록 반응한 후 5번의 세척과정을 거친 뒤, 희석한 200㎕ Ellman's 시약을 각 웰에 반응시키고, 총 활성 웰(Total activity well)에는 Ellman's 시약을 5㎕를 더해서 총량을 맞춰주었다. 90~120분 동안 오비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및 반응시킨 뒤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 혈청 내 세로토닌( serotonin )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청에서 세로토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로토닌 ELISA kit(Abcam, Cambridge, MA)의 메뉴얼대로 goat anti-rabbit IgG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비특이적 결합 웰(non-specific binding well)에 150㎕, B0 웰에 100㎕의 어세이 완충용액을 넣고, 표준물질과 시료 웰에는 각각 100㎕를 넣은 후, 총 활성 웰(Total activity well)과 블랭크 웰(blank well)을 제외하고, 세로토닌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효소 컨쥬게이트(serotonin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50㎕씩 주입하였다. 블랭크 웰(Blank well), 총 활성 웰(Total activity well), 비특이적 결합 웰(non-specific binding well)을 제외하고 B0, 표준물질 및 실험군에는 세로토닌 항체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00rpm으로 2시간 교반하고 3번의 세척 후, 총 활성 웰에만 세로토닌 알카리성 인산 가수분해효소 컨쥬게이트(serotonin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을 20배 희석하여, 5㎕ 넣었다. 최종적으로 200㎕씩 pNpp 기질용액을 넣고, 교반 없이 1시간 동안 상온에 반응시켰다. 50㎕의 반응정지 용액(stop solution)으로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반응을 종료하여 마이트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1. 통계 처리
모든 데이터는 평균± 표준편차(means±SD)로 표시하였다. 각 실험군 결과 값은 통계프로그램(one-way ANOVA; post hoc Tukey tests)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p<0.05 이하의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p<0.05, **p<0.01, ***p<0.001).
실시예 1.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체중 및 식이량의 변화 확인
본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체중 및 식이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10일 동안 C57BL/6 생쥐에 경구투여 방법으로 정상군과 대조군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여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였고, 양성 대조군에는 20mg/kg의 플루옥세틴을 투여하였으며, 방풍통성산 추출물 투여군에는 방풍통성산 추출물 100(BPX-100), 300(BPX-300), 500(BPX-500)mg/kg을 투여하였다. 1시간 후에 레세르핀(reserpine) 0.5mg/kg을 복강 투여하여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후, 실험 종료하고, 우울 및 불안 관련 행동 양상 변화 및 생리적 표적물질을 검사하였다.
1)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 /6 생쥐에서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 확인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에 대한 1, 5, 10일째 체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5일째부터 몸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10일째 이르러 현저한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고,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10일째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 /6 생쥐에서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누적 식이량 변화 확인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C57BL/6 생쥐에 대한 5, 10일째 누적 식이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일째 대조군의 경우 누적 식이량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00 및 5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누적 식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 /6 생쥐에서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 및 불안 관련 행동에 미치는 효과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의 우울 및 불안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제수영 검사, 꼬리 현수 시험 및 열린 공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1) 강제수영 검사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정상군,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대조군,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및 양성대조군인 플루옥세틴 투여군에 대한 강제수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수중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2) 꼬리 현수 시험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정상군,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대조군,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및 양성대조군인 플루옥세틴 투여군에 대한 꼬리 현수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0 및 5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부동자세 유지시간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3) 열린 공간 시험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 대한 열린 공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총 이동거리(Total distance)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300 및 5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총 이동거리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 /6 생쥐에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코르티코스테론 호르몬의 함량 변화 확인
본 실시예 3은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함에 따른 혈액 내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시킨 생쥐의 혈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한 후 혈청 부분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100 및 3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코르티코스테론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 /6 생쥐에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세로토닌 호르몬의 함량 변화 확인
본 실시예 4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함에 따른 혈액 내 세로토닌(serotonin)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시킨 생쥐의 혈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한 후 혈청 부분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세로토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혈중 세로토닌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0mg/kg의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세로토닌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생쥐에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우울증 및 불안장애로 인해 감소된 체중 및 식이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우울 및 불안장애로 나타나는 행동과 감소된 활동성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로 증가된 코르티코스테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세로토닌을 회복시키는 것으로부터,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활석, 석고, 감초, 황금, 길경, 백출, 망초, 대황, 마황, 방풍, 형개, 생강, 박하, 연교, 치자, 천궁, 작약 및 당귀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은 14~18중량%의 활석, 7~11중량%의 석고, 4~8중량%의 감초, 4~8중량%의 황금, 4~8중량%의 길경, 4~8중량%의 백출, 3~6중량%의 망초, 3~6중량%의 대황, 2~5중량%의 마황, 2~5중량%의 방풍, 2~5중량%의 형개, 2~5중량%의 생강, 2~5중량%의 박하, 2~5중량%의 연교, 2~5중량%의 치자, 2~5중량%의 천궁, 2~5중량%의 작약 및 2~5중량%의 당귀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통성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70083570A 2017-06-30 2017-06-30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70A KR101967918B1 (ko) 2017-06-30 2017-06-30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70A KR101967918B1 (ko) 2017-06-30 2017-06-30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89A true KR20190003089A (ko) 2019-01-09
KR101967918B1 KR101967918B1 (ko) 2019-08-19

Family

ID=6501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70A KR101967918B1 (ko) 2017-06-30 2017-06-30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196A1 (ko) * 2018-12-20 2020-06-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5702A (ko) * 2020-03-16 2021-09-27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KR102532944B1 (ko) * 2022-04-20 2023-05-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09A (ko) * 1998-07-16 2000-02-15 피영준 한방녹심원의 제조방법
KR20070013378A (ko) * 2005-07-26 2007-01-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20080106514A (ko) * 2006-01-11 2008-12-08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우울증 치료용 전통 한방 약제 조성물, 그의 제형,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용도
JP2011157344A (ja) * 2009-10-23 2011-08-18 Kracie Seiyaku Kk 心身不調を改善し、脳の活動効率を向上させる作用を有する香気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製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09A (ko) * 1998-07-16 2000-02-15 피영준 한방녹심원의 제조방법
KR20070013378A (ko) * 2005-07-26 2007-01-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20080106514A (ko) * 2006-01-11 2008-12-08 허베이 이링 메디슨 리서치 인스티튜트 코오포레이션 리미티드 우울증 치료용 전통 한방 약제 조성물, 그의 제형,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용도
JP2011157344A (ja) * 2009-10-23 2011-08-18 Kracie Seiyaku Kk 心身不調を改善し、脳の活動効率を向上させる作用を有する香気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製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196A1 (ko) * 2018-12-20 2020-06-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5702A (ko) * 2020-03-16 2021-09-27 (주)내츄럴엔도텍 신경 안정용 조성물
KR102532944B1 (ko) * 2022-04-20 2023-05-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918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9497A1 (en) Ampk activator
US20030161903A1 (en) Carbohydrate Aborption Inhib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61547A (zh) 用于调节代谢途径的组合物和方法
JP2020172523A (ja) ユウリコマ・ロンギフォリア抽出物並びに免疫系の増強及び/又は刺激におけるその使用
KR20190003089A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2168B1 (ko)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63328A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KR102041847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281B1 (ko)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EP2668851B1 (en) Liver function-improving agent
CN100431537C (zh) 血液流动性改善剂
WO2020080695A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720808B (zh) 一种具有通便功效的组合物及其用途、制备方法
CN111246849A (zh) 学习记忆能力增强组合物
CN101143203A (zh) 一种具有护肝养胃功能的复方口服液
WO2020130196A1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889479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2010B1 (ko) 대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생성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CN111480841A (zh) 具有神经营养功能的植物提取物,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52175A (ko) 계지, 작약 및 목단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Ismail Clinic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ctivity of Bael leaves
KR102154063B1 (ko) 목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091646A (ja) 経口組成物およびその摂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