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281B1 -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281B1
KR102021281B1 KR1020180059716A KR20180059716A KR102021281B1 KR 102021281 B1 KR102021281 B1 KR 102021281B1 KR 1020180059716 A KR1020180059716 A KR 1020180059716A KR 20180059716 A KR20180059716 A KR 20180059716A KR 102021281 B1 KR102021281 B1 KR 10202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anxiety
fraxin
active ingredient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김유리
김영화
박보경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281B1/ko
Priority to PCT/KR2019/006201 priority patent/WO20192259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eu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레세르핀에 의해 우울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코르티코스테론과 세로토닌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열린 공간 및 강제 수영 시험법에서 우울증 및 불안장애와 같은 행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comprising fraxin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흔한 정신질환으로 마음의 감기라고도 부르며, 원활하지 못한 대인관계를 야기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는 뇌질환이다. 다행히도 우울증은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며, 초기 완쾌율이 2개월 내에 70~80%에 이르는 의학적 질환이다. 우울증에는 상담과 정신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은 항우울제 투여도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개발된 항우울제들은 뇌 내의 저하된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우울 증상을 호전시키고,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우울증을 개선할 수 있다.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서 생물학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이다.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의 예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등이 있다. 흔히 세로토닌이라는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저하가 우울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활 및 환경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과 같은 스트레스가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신체적인 질환이나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암, 내분비계 질환,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격한 의식장애와 운동마비를 수반하는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불안장애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을 통칭한다. 불안과 공포는 정상적인 정서 반응이지만, 정상적 범위를 넘어서면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증상을 초래한다. 불안으로 교감신경이 흥분되어 두통, 심장 박동 증가, 호흡수 증가, 위장관계 이상 증상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 불편하고 가정생활, 직장생활, 학업과 같은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불안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장애에는 다양한 진단이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정의와 진단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불안장애에 해당하는 질환으로는 공황 장애, 특정 공포증(고소 공포증, 혈액 공포증, 뱀 공포증 등), 사회 공포증,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 불안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가 포함된다. 불안장애에는 각기 다른 성격의 여러 정신질환이 속해 있어, 복합적이라 원인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뇌신경 내의 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소인, 뇌영상 연구에서 밝혀진 뇌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사회심리학적인 측면,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받아들인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인지행동적인 부분까지도 병적인 불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급성 스트레스 장애는 극심한 정신적 충격을 일으키는 사고나 재해 등이 원인으로 주로 발병한다.
한편, 프락신(Fraxin)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6415호에 피부미용, 영양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수용성의 [6)O―α―D―GLCP―(1→]n―6―O―β―D―GLCP―(1→―페놀성 유도체, 및 상기 수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중국공개특허특허 제102091132호에 진피 추출물로부터 에스쿨린, 에스쿨레틴, 프락신 및 프락세틴을 감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 레세르핀에 의해 우울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의 열린공간 시험, 꼬리현수 시험 및 강제수영 시험을 통해 행동변화를 확인하고, 코르티솔과 세로토닌의 함량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8051481776-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레세르핀에 의해 우울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코르티코스테론과 세로토닌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열린 공간 및 강제 수영 시험법에서 우울증 및 불안장애와 같은 행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 후, 프락신의 투여에 따른 동물의 행동양상 변화분석에 대한 일정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프락신(fraxin) 및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10일 동안 투여한 후, 열린 공간 시험법(open field test, OFT)을 실시한 결과이며, 중앙에서 움직인 거리(A)와 중앙으로 들어가는 횟수(B)를 나타낸 것이다. ####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우울증 유발군(control)의 중앙에서 움직인 거리 또는 중앙으로 들어간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 **, ***, ****은 우울증 유발군(control)에 비해 프락신 또는 플루옥세틴을 처리한 군의 중앙에서 움직인 거리 또는 중앙으로 들어간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며, ***는 p<0.001이고, ****는 p<0.0001이다.
도 3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프락신(fraxin) 및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10일 동안 투여한 후, 꼬리 현수 시험법을 거꾸로 꼬리가 매달린 상태에서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우울증 유발군(control)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우울증 유발군(control)에 비해 프락신을 처리한 군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4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프락신(fraxin) 및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10일 동안 투여하고 11일째 강제수영 시험법을 실시한 결과이며, 물속에서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우울증 유발군(control)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은 우울증 유발군(control)에 비해 프락신을 처리한 군의 부동자세 유지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5는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프락신(fraxin) 및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10일 동안 투여하고 12일째 얻은 혈액에서 세로토닌(serotonin)의 함량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우울증 유발군(control)의 세로토닌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우울증 유발군(control)에 비해 프락신을 처리한 군의 세로토닌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6은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해 우울증 및 불안장애가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프락신(fraxin) 및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10일 동안 투여 후 12일째 얻은 혈액에서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함량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normal)에 비해 우울증 유발군(control)의 코르티코스테론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우울증 유발군(control)에 비해 플루옥세틴을 처리한 군의 코르티코스테론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1481776-pat00002
상기 프락신은 물푸레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물푸레나무 줄기 껍질 또는 가지 껍질의 진피 추출물인 것이 특징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물푸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푸레나무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진공 회전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우울증 및 불안장애는 스트레스에 의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base)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물푸레나무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으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1481776-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프락신,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성식품 중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성분의 양은 전체 건강기능성식품 중량의 0.1~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사용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과육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프락신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 시료투여
10일 동안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기 위한 레세르핀(reserpine)을 투여하기 1시간 전에 약물을 농도별로 경구투여 하였다. 정상군(normal)과 대조군(control)은 생리 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고, 프락신(fraxin) 투여군은 50mg/kg의 프락신(fraxin)을 0.1㎖씩 10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20mg/kg의 fluoxetine(FXT)을 0.1㎖씩 10일 동안 투여하였다.
2. 레세르핀(reserpine)에 의한 우울증 유발 모델
무게가 20~22g인 수컷 7주령의 C57BL/6 마우스는 대한바이오링크(eumseong-gun, chungcheongbugdo, Korea)에서 공급받았고, 동물은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 (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 습도 55±15%, 12시간 명/암 주기의 환경을 유지하며 1 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도 1과 같이 진행되었고,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일 일정시간에 10일 동안 0.5mg/kg의 레세르핀(reserpine)을 복강주사(i.p.)하여 모노아민 결핍(monoamine depletion)에 의한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하였다.
3. 열린 공간 시험법(open field test)
열린 공간 시험법은 낯선 공간에 처음 들어간 마우스의 자발적인 움직임을 측정하여, 우울 증상인 불안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마우스를 30×30×30cm 크기의 흰색 아크릴박스 중앙에 놓고 Video tracking software(Ethovision XT, Noldus, Nederland)을 이용하여 10분 동안 임의로 지정한 아크릴박스의 중앙(10×10cm)으로 들어가는 빈도 수(Number of entry into center)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4. 꼬리 현수 시험법(Tail suspension test, TST )
하얀색의 아크릴로 제작된 20cm×25cm×30cm 규격의 오픈된 상자에 꼬리 현수 장치를 설치하고 우울증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를 꼬리가 바닥에 닿지 않을 높이로 매달아 놓은 뒤 6분 동안 같은 환경에서 관찰하면서 부동자세(Immobility)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최종 4분 동안 이루어졌으며,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한 후, Video tracking software(SMART 3.0, Panlab, Spain)를 이용하여 C57BL/6 마우스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5. 강제 수영 시험법(forced swim test)
강제 수영 시험법은 발과 꼬리가 닿지 않는 깊이의 실린더에서 마우스의 부동성을 측정하여, 우울 증상인 절망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은 첫날 15분 동안 물에 노출시키는 예비실험(pretest)과 24시간 후에 시행하는 본 실험(test)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예비실험은 25℃ 내외의 물을 아크릴로 된 투명한 원통(45cm 깊이×18cm 직경)의 바닥으로부터 30cm까지 채우고 마우스를 물에 노출시켜 15분 동안 강제로 예비수영을 시켰다. 그리고 24시간 후에 6분 동안 마우스를 물에 노출시켜 본 실험을 진행하게 되는데 Video tracking 소프트웨어(Smart3.0, Panlab, S.L.U, spain)를 이용하여 최종 4분 동안 부동시간(immobile time)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6. 혈장 내 세로토닌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장에서 세로토닌(serotonin)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로토닌 ELISA 키트(Abcam Inc, Cambridge, UK)의 매뉴얼에 따라 염소 항-토끼 IgG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비특이적 결합 웰에 150㎕, B0 웰에 100㎕의 어세이 완충용액을 넣고, 표준물질과 시료 웰에는 각각 100㎕를 넣은 후, 총 활성 웰과 블랭크 웰을 제외하고, 세로토닌 Alkaline Phosphase Conjugate를 50㎕씩 주입하였다. 블랭크 웰, 총 활성 웰, 비특이적 결합 웰을 제외하고 B0와 표준물질, 실험군에는 세로토닌 항체를 넣어주었다. 상온에서 5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3번의 세척 후, 총 활성 웰에만 세로토닌 Alkaline Phosphase Conjugate을 20배 희석하여, 5㎕ 넣었다. 최종적으로 200㎕씩 pNpp 기질용액을 넣고, 교반 없이 1시간 동안 상온에 반응시켰다. 50㎕의 멈춤 용액으로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반응을 종료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 혈장 내 코르티코스테론 측정
실험 종료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장에서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코르티코스테론 ELISA 키트(Cayman Chemical Company, Ann Arbor, MI, USA)의 매뉴얼에 따라 염소 항-마우스 IgG 코팅된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비특이적 결합 웰에 100㎕의 ELISA 완충용액을 가하고, B0 well에는 50㎕의 ELISA 완충용액을 넣었다. 표준물질과 시료 웰에 각각의 준비한 시료를 50㎕를 가하고, 블랭크 웰, 총 활성 웰을 제외한 모든 웰에 희석한 코르티코스테론 AChE Tracer를 50㎕를 주입하였다. 블랭크 웰, 총 활성 웰, 비특이적 결합 웰을 제외한 웰에 희석한 코르티코스테론 ELISA Antiserum를 50㎕를 첨가하였다. 4℃에서 overnight 반응한 후 5번의 세척과정을 거친 후, 희석한 200㎕ Ellman's 시약을 각 웰에 반응시키고, 총 활성 웰에는 Ellman's 시약을 5㎕를 더해서 총량을 맞춰주었다. 90~120분 동안 오비탈 교반기(orbital shaker)를 이용하여 교반하며 반응시킨 후,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8. 통계처리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로 표기하였으며, 실험군 사이의 통계학적 비교는 사후검증 (Tukey)을 통해 one-way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NA)를 시행하였으며,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 우울증이 유발된 c57BL /6 마우스에서 열린 공간 시험법(open filed test)에 미치는 프락신( fraxin )의 효과 확인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프락신(fraxin)이 우울증과 같은 행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 경구투여 방법으로, 정상군과 대조군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프락신(fraxin) 투여군에는 50mg/kg의 프락신(fraxin)을 투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20mg/kg의 플루옥세틴(fluoxetine)를 투여하였다. 1시간 후에 0.5mg/kg의 레세르핀(reserpine)을 복강 주사하여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유도한 후, 실험 종료하고, 우울 및 불안 관련 행동 양상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중앙에서 움직인 거리(A; The distance in center)와 중앙으로 들어가는 횟수(B; Number of entries into center)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락신(fraxin)과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중앙에서 움직인 거리와 중앙으로 들어가는 횟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우울증이 유발된 c57BL /6 마우스에서 꼬리 현수 시험법(tail suspension test)에 미치는 프락신( fraxin )의 효과 확인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프락신(fraxin)이 우울증과 같은 행동(절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10일 동안 시료 투여와 레세르핀(reserpine) 주사 후 꼬리 현수 시험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락신(frax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부동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우울증이 유발된 c57BL /6 마우스에서 강제 수영 시험법(forced swim test)에 미치는 프락신( fraxin )의 효과 확인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프락신(fraxin)이 우울증과 같은 행동(절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10일 동안 시료 투여와 레세르핀(reserpine) 주사 후 예비실험을 실시하였고, 11일째에 강제 수영 시험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락신(frax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부동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우울증이 유발된 c57BL /6 마우스에서 혈중 세로토닌( serotonin )의 함량에 미치는 프락신( fraxin )의 효과 확인
세로토닌은 기분과 감정을 조절하는데 관련된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의 혈액 내에서 프락신(fraxin)이 세로토닌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10일 동안 시료 투여와 레세르핀(reserpine) 주사 후 12일째 부검 시 마우스의 혈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한 후, 혈장 부분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세로토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혈중 세로토닌의 함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락신(frax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세로토닌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5. 우울증이 유발된 c57BL /6 마우스에서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corticosterone)의 함량에 미치는 프락신(fraxin)의 효과 확인
코르티코스테론은 뇌의 스트레스 반응에 기여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의 혈액 내에서 프락신(fraxin)이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10일 동안 시료 투여와 레세르핀(reserpine) 주사 후 12일째 부검 시 마우스의 혈액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한 후, 혈장 부분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락신(frax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51481776-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프락신(Fraxin),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51481776-pat0000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0180059716A 2018-05-25 2018-05-25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16A KR102021281B1 (ko) 2018-05-25 2018-05-25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9/006201 WO2019225983A1 (ko) 2018-05-25 2019-05-23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16A KR102021281B1 (ko) 2018-05-25 2018-05-25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281B1 true KR102021281B1 (ko) 2019-09-16

Family

ID=6806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16A KR102021281B1 (ko) 2018-05-25 2018-05-25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1281B1 (ko)
WO (1) WO2019225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6927B (en) 2018-12-18 2022-04-06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ability
GB2596491B (en) * 2018-12-18 2022-06-29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3047B (ko) * 1991-06-21 1993-04-01 American Home Prod
EP2202237A1 (en) * 2008-12-23 2010-06-30 Libragen Hydrosoluble [6)-O-alpha-d-glcp-(1->]n-6-o-bêta-d-glcp-(1->-phenllic derivatives with dermocosmetic, nutritional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id water soluble compounds
CN104311616B (zh) * 2014-09-30 2016-08-24 陕西省西安植物园 一种从秦皮中提取高纯度秦皮甲素和秦皮苷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ume 63, Issue 10, pp. 837-842, 2015.10.01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4, 481-536, 2014. *
MOLECULAR MEDICINE, Vol. 37, No. 5, 436-446, 2005.10.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983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012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CN100998650A (zh) 肉桂在治疗糖尿病上的用途及产品和其制备方法
WO2019182379A1 (ko)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281B1 (ko)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7918B1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814749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
KR102041847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4068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WO2015076286A1 (ja) エフェドリンアルカロイド除去麻黄エキスと、その製法及び用途
CN104546987A (zh) 绞股蓝总皂苷在防治高尿酸血症中的应用
KR20220152514A (ko) 계지, 복령 및 도인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KR102096346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달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2175A (ko) 계지, 작약 및 목단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Rebecca et al. The Combination Effect Analysis of Catharanthus roseus, Abelmoschus manihot and Dysphania ambrosioides on Rattus norvegicus Blood Triglyceride Content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00943B1 (ko)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학요법유발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30196A1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246849A (zh) 学习记忆能力增强组合物
KR102612099B1 (ko) 흑미 호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154063B1 (ko) 목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3324A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3326A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469967A (zh) 一种苍术苷a及其衍生物在制备抗焦虑和抗抑郁药物上的应用
KR20220170519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