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168B1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2168B1 KR102002168B1 KR1020180033584A KR20180033584A KR102002168B1 KR 102002168 B1 KR102002168 B1 KR 102002168B1 KR 1020180033584 A KR1020180033584 A KR 1020180033584A KR 20180033584 A KR20180033584 A KR 20180033584A KR 102002168 B1 KR102002168 B1 KR 102002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ression
- esculin
- preventing
- anxiety disorder
- anxie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기 전 0일째, 투여 7일째 및 투여 14일째 측정한 체중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의 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임을 의미하고,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쿨린 투여군의 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3은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고 15일째 측정한 간 무게 지수(liver weight/body weight×100)를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의 간 무게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임을 의미하고, ***,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쿨린 투여군 및 독세핀(doxepin) 투여군의 간 무게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01임을 의미하며, ****는 p<0.0001임을 의미한다.
도 4는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고 15일째 측정한 열린 공간 시험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이 중앙으로 들어가는 횟수(number of entry into center)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임을 의미하고,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쿨린 투여군이 중앙으로 들어가는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임을 의미한다.
도 5는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고 16일째 측정한 강제 수영 시험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의 부동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쿨린 투여군의 부동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임을 의미한다.
도 6은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고 17일째 얻은 혈액에서 세로토닌(serotonin)의 농도를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의 혈중 세로토닌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임을 의미하고,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독세핀의 혈중 세로토닌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임을 의미한다.
도 7은 발바닥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C57BL/6 마우스에게 50mg/kg의 에스쿨린 및 15mg/kg의 독세핀(doxepin)을 14일 동안 투여하고 17일째 얻은 혈액에서 코르티솔(cortisol)의 농도를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 대비 전기충격과 구속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의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임을 의미하고, *, **는 우울증이 유발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본 발명의 에스쿨린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인 독세핀의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임을 의미하며, **는 p<0.01임을 의미한다.
Claims (9)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쿨린은 물푸레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푸레나무 추출물은 물푸레나무 줄기 껍질 또는 가지 껍질의 진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장애는 분리 또는 격리 불안증, 편집증, 범공포증, 범강박증, 신경불안증 및 공황장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및 불안장애는 스트레스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및 불안장애는 스트레스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584A KR102002168B1 (ko) | 2018-03-23 | 2018-03-23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CT/KR2019/003306 WO2019182379A1 (ko) | 2018-03-23 | 2019-03-21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584A KR102002168B1 (ko) | 2018-03-23 | 2018-03-23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2168B1 true KR102002168B1 (ko) | 2019-07-23 |
Family
ID=6743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3584A Active KR102002168B1 (ko) | 2018-03-23 | 2018-03-23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2168B1 (ko) |
WO (1) | WO2019182379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4537A (ko) | 2020-09-25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KR20210034407A (ko) | 2019-09-20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KR20210034539A (ko) | 2020-12-29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4123A (ko) * | 2016-09-27 | 2018-04-04 | (주)아모레퍼시픽 | 에스쿨린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3449A (ja) * | 2002-08-26 | 2004-03-18 | Kinji Ishida | ストレス緩和用の経口投与組成物 |
KR20090072858A (ko) * | 2007-12-29 | 2009-07-02 | 주식회사 하이폭시 | 진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2018
- 2018-03-23 KR KR1020180033584A patent/KR102002168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3-21 WO PCT/KR2019/003306 patent/WO201918237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4123A (ko) * | 2016-09-27 | 2018-04-04 | (주)아모레퍼시픽 | 에스쿨린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Cell. Mol. Biol., 61(7), 1-5, 2015. * |
Gen. Pharmac. Vol. 22, No. 6, pp. 1001-1004, 1991 * |
한국생약학회, 제24권3호, pp. 197-202, 1993.09.30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4407A (ko) | 2019-09-20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KR20210034537A (ko) | 2020-09-25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KR20210034539A (ko) | 2020-12-29 | 2021-03-30 | 울산과학기술원 | 자살시도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82379A1 (ko) | 2019-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53608B2 (ja) | 鎌状赤血球貧血の治療と管理用の植物薬剤、その製造法と用途 | |
US20060024396A1 (en) | Method of treating diabetes and obesity using carbohydrate absorption inhibitors | |
KR102200012B1 (ko) |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 |
KR102002168B1 (ko) | 에스쿨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0998650A (zh) | 肉桂在治疗糖尿病上的用途及产品和其制备方法 | |
US11253566B2 (en) |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comprising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 |
KR101967918B1 (ko) |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529793B1 (ko) | 솔잎 추출물 및 이것의 용도 | |
KR20130064882A (ko) |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021281B1 (ko) |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16811B1 (ko) |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US20150224161A1 (en) | Methods and uses of an extract from olive leaf in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 |
KR102154068B1 (ko) |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795888A (zh) | 猴耳环提取物用于制备抗过敏药物、食品及化妆品的应用 | |
KR20000026785A (ko) |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 |
KR102154063B1 (ko) | 목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152175A (ko) | 계지, 작약 및 목단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 |
KR20220152514A (ko) | 계지, 복령 및 도인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항불안, 항스트레스 또는 긴장완화용 조성물 | |
EP3417867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tress or depression | |
JP7682014B2 (ja) | 糖尿病性神経障害の予防又は改善剤 | |
JP2022513304A (ja) | 五倍子抽出物およびフラキシ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の改善、認知症および注意欠陥多動性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 |
CN114469967B (zh) | 一种苍术苷a及其衍生物在制备抗焦虑和抗抑郁药物上的应用 | |
KR101166698B1 (ko) |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활성을 갖는 팥 근연종 추출물 | |
KR20190073326A (ko)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73325A (ko)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