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77A -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77A
KR20190002977A KR1020170083338A KR20170083338A KR20190002977A KR 20190002977 A KR20190002977 A KR 20190002977A KR 1020170083338 A KR1020170083338 A KR 1020170083338A KR 20170083338 A KR20170083338 A KR 20170083338A KR 20190002977 A KR20190002977 A KR 2019000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ud
aligning
stud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295B1 (ko
Inventor
박하용
이월남
Original Assignee
박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용 filed Critical 박하용
Priority to KR102017008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2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4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non-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29C65/787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using conveyor belts or convey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18Permeability to gases or liquids
    • B29C66/73185Permeability to gases or liquids non-permeable
    • B29C66/73187Permeability to gases or liquids non-permeable to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8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 B29K2995/0069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스터드를 하나씩 정렬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되, 다수의 스터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해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결속하여 용융부로 이송시켜 스터드의 하부를 용융시킨 후, 시트의 상면으로 이송 안착시켜 시트의 상면에 다수의 스터드를 배치 고정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를 통해 이송되는 스터드의 하면을 용융하는 동시에,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시트의 상면을 용융시켜 시트의 상면에 배치 고정되는 스터드가 시트와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용융부;와, 시트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치부와 용융부를 통해 다수의 스터드가 시트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송부;와, 시트의 상면에 스터드가 안착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완제품인 방수시트를 받아 전방으로 안내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정렬부를 통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는 배치부에 결속되어 용융부로 이송되어 하부가 용융되고 동시에 용융부에서 스터드가 부착될 시트의 상면을 용융하고, 그 용융된 시트가 이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배치부에서 시트 상면으로 스터드를 밀착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자동으로 부착 고정함으로, 방수시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자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가 배제되어 제품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를 저렴한 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와 스터드가 결합되는 부위가 용융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므로 시트와 스터드의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여 종래의 방수시트에서 스터드가 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콘크리트와 방수시트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건물의 안정적인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Waterproofing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for building concrete}
본 발명은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렬부를 통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는 배치부에 결속되어 용융부로 이송되어 하부가 용융되고 동시에 용융부에서 스터드가 부착될 시트의 상면을 용융하고, 그 용융된 시트가 이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배치부에서 시트 상면으로 스터드를 밀착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자동으로 부착 고정함으로, 방수시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자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가 배제되어 제품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를 저렴한 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큰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수공법은 현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트 방수, 도막 방수, 아스팔트 방수, 금속판 방수,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 등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시트 방수공법은 방수 특성을 가지는 방수시트를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시트 방수공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상온에서 시공이 가능하며, 기후의 변화나 대기 중의 오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른 방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방수시트는 수지재질의 시트(sheet)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스터드(stud)를 부착 제작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스터드를 매개체로 시트와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시트에는 콘크리트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다수의 스터드가 부착되도록 제작되는데, 종래에는 시트에 스터드를 부착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직접 수행함으로 제품의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해 제품의 불량 발생률이 다소 높아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와 스터드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시트와 스터드가 부착되는 표면을 열원을 통해 용융시켜(녹여) 결합함이 바람직하나, 제품의 신속한 제작을 위해 통상 접착제를 통해 시트의 표면에 스터드를 부착하는 특성상 시트와 스터드의 결합성이 낮아 시트에 부착된 시터드가 종종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콘크리트와 방수시트의 안정적인 결합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렬부를 통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는 배치부에 결속되어 용융부로 이송되어 하부가 용융되고 동시에 용융부에서 스터드가 부착될 시트의 상면을 용융하고, 그 용융된 시트가 이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배치부에서 시트 상면으로 스터드를 밀착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자동으로 부착 고정함으로, 방수시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자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가 배제되어 제품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를 저렴한 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트와 스터드가 결합되는 부위가 용융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므로 시트와 스터드의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여 종래의 방수시트에서 스터드가 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콘크리트와 방수시트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건물의 안정적인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는 다수의 스터드를 하나씩 정렬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되, 다수의 스터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해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결속하여 용융부로 이송시켜 스터드의 하부를 용융시킨 후, 시트의 상면으로 이송 안착시켜 시트의 상면에 다수의 스터드를 배치 고정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를 통해 이송되는 스터드의 하면을 용융하는 동시에,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시트의 상면을 용융시켜 시트의 상면에 배치 고정되는 스터드가 시트와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용융부;와, 시트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치부와 용융부를 통해 다수의 스터드가 시트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송부;와, 시트의 상면에 스터드가 안착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완제품인 방수시트를 받아 전방으로 안내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부는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스터드가 위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스터드의 상부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정렬봉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끝단에 위치되는 상기 정렬봉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스터드 상부에 위치되는 정렬부재와, 상기 정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정렬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실린더와 함께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평블록과, 상기 수평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수평블록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좌우실린더와, 상기 제1좌우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제1좌우실린더와 함께 상기 수평블록과 제1승강실린더와 정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고정판과 연결되는 상기 정렬부재를 상기 배치부로 이송하는 제1전후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정렬판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정렬부를 통해 정렬 배치된 다수의 스터드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배치봉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배치봉의 하부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배치부재와, 상기 배치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배치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와, 상기 배치봉의 결속홈에 내입되어 상기 배치봉에 내입된 스터드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판과, 상기 배치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결속판의 결속편이 상기 배치봉의 결속홈에 내입되거나 이탈되게 하는 제2좌우실린더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실린더와 함께 상기 배치부재와 결속판과 제2좌우실린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고정판과 연결되는 상기 배치부재를 상기 용융부와 시트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2전후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부는 상기 배치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원이 인가되면 열원을 제공하는 전열봉이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융부재와, 상기 용융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용융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3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융부재의 전열봉 상면에는 상기 배치부의 배치부재에 결속된 스터드의 하부가 밀착되면서 용융되고, 상기 전열봉의 하면에는 시트의 상면에 밀착되어 스터드가 배치될 시트의 상면이 용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시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의 전방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 상에 형성되어 하부가 시트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시트를 전방으로 강제 이송시키되, 시트와 접촉되는 외주면에는 널링이 형성되어 시트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밀착롤러와, 상기 이송축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에 의하면, 정렬부를 통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터드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는 배치부에 결속되어 용융부로 이송되어 하부가 용융되고 동시에 용융부에서 스터드가 부착될 시트의 상면을 용융하고, 그 용융된 시트가 이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배치부에서 시트 상면으로 스터드를 밀착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를 자동으로 부착 고정함으로, 방수시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자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가 배제되어 제품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를 저렴한 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와 스터드가 결합되는 부위가 용융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므로 시트와 스터드의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여 종래의 방수시트에서 스터드가 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콘크리트와 방수시트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건물의 안정적인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배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용융부 및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정렬부를 도시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배치부를 도시한 도면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용융부 및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100)는 공급부(10)와, 정렬부(20)와, 배치부(30)와, 용융부(40)와, 이송부(50)와, 컨베이어(6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는 다수의 스터드(1)를 하나씩 후설될 상기 정렬부(20)로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10)로는 통상의 피더기를 사용하나 이러한 장치로 한정하여 구체화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20)는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를 일렬로 정렬하되, 다수의 스터드(1)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정렬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스터드(1)가 위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정렬판(21)과, 상기 정렬판(21)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스터드(1)의 상부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정렬봉(22a)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끝단에 위치되는 상기 정렬봉(22a)은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 상부에 위치되는 정렬부재(22)와, 상기 정렬부재(22)와 연결되어 상기 정렬부재(22)를 승·하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23)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23)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실린더(23)와 함께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평블록(24)과, 상기 수평블록(24)과 연결되어 상기 수평블록(24)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좌우실린더(25)와, 상기 제1좌우실린더(25)와 결합되어 상기 제1좌우실린더(25)와 함께 상기 수평블록(24)과 제1승강실린더(23)와 정렬부재(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판(26)과, 상기 제1고정판(26)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고정판(26)과 연결되는 상기 정렬부재(22)를 상기 배치부(30)로 이송하는 제1전후실린더(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상기 공급부(10)에서 하나씩 공급되는 스터드(1)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정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스터드(1)가 상기 정렬판(21)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23)를 통해 상기 정렬부재(22)가 하강하면, 상기 정렬부재(22)의 끝단에 위치되는 상기 정렬봉(22a)에 스터드(1)의 상부가 내입되고, 이때 상기 제1좌우실린더(25)를 통해 상기 수평블록(24)이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정렬부재(22)의 정렬봉(22a)에 내입된 스터드(1)가 좌측으로 이송된다.
그런 후, 상기 제1승강실린더(23)를 통해 상기 정렬부재(22)가 승강하면 상기 정렬봉(22a)으로부터 스터드(1)가 이탈되고, 이때 상기 제1좌우실린더(25)를 통해 상기 수평블록(24)이 우측 방향으로 이송 복귀되면 상기 정렬부재(22) 끝단의 정렬봉(22a)은 다시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런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실린더(23)를 통해 상기 정렬부재(22)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정렬부재(22)의 끝단에 위치되는 상기 정렬봉(22a)에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가 내입되는 동시에, 상기 정렬부재(22) 끝단의 정렬봉(22a)에 인접하는 다른 정렬봉(22a)에 좌측으로 이송된 스터드(1)가 내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좌우실린더(25)를 통해 상기 수평블록(24)이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면 상기 정렬부재(22)의 정렬봉(22a)에 내입된 2개의 스터드(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좌측으로 이송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 다수가 일정한 간격을 수평 정렬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스터드(1)가 일렬로 정렬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재(22)의 정렬봉(22a)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스터드(1)를 내입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전후실린더(27)를 통해 상기 제1고정판(26)과 함께 상기 정렬부재(22)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를 상기 배치부(30)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런 후, 상기 제1승강실린더(23)를 통해 상기 정렬부재(22)를 승강시켜 상기 정렬부재(22)로부터 스터드(1)를 이탈시킨 후, 상기 제1전후실린더(27)를 통해 상기 제1고정판(26)과 함께 복귀된다.
즉, 상기 정렬부(20)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스터드(1)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1)를 전방의 상기 배치부(30)로 이송 배치하게 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부(30)는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를 결속하여 용융부(40)로 이송시켜 스터드(1)의 하부를 용융시킨 후, 시트(sheet:2)의 상면으로 이송 안착시켜 시트(2)의 상면에 다수의 스터드(1)를 배치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정렬판(21)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정렬 배치된 다수의 스터드(1)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배치봉(31a)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배치봉(31a)의 하부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결속홈(31b)이 형성되는 배치부재(31)와, 상기 배치부재(31)와 연결되어 상기 배치부재(31)를 승·하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32)와, 상기 배치봉(31a)의 결속홈(31b)에 내입되어 상기 배치봉(31a)에 내입된 스터드(1)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편(33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판(33)과, 상기 배치부재(31)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33)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결속판(33)의 결속편(33a)이 상기 배치봉(31a)의 결속홈(31b)에 내입되거나 이탈되게 하는 제2좌우실린더(34)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32)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실린더(32)와 함께 상기 배치부재(31)와 결속판(33)과 제2좌우실린더(34)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판(35)과, 상기 제2고정판(35)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고정판(35)과 연결되는 상기 배치부재(31)를 상기 용융부(40)와 시트(2)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2전후실린더(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다수의 스터드(1)가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상기 배치부(30)로 이송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부(30)의 제2승강실린더(32)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를 하강시켜 다수의 상기 배치봉(31a)에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가 내입되게 한 후, 상기 제2좌우실린더(34)를 통해 상기 결속편(33a)이 상기 배치봉(31a)의 결속홈(31b)에 내입되게 상기 결속판(33)을 이송시켜 상기 배치봉(31a)에 스터드(1)를 결속 고정한다.
그런 후,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실린더(32)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와 함께 결속된 다수의 스터드(1)를 승강시킨 후, 상기 제2전후실린더(36)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를 상기 용융부(40)가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스터드(1)를 상기 용융부(40)의 상부에 배치한다.
그런 후,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실린더(32)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와 함께 스터드(1)를 상기 용융부(40)로 하강시켜 스터드(1)의 하부를 용융시킨 후, 다시 승강 복귀시킨다.
그런 후,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후실린더(32)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를 전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이송된 시트(2)의 상면으로 하강시켜 용융된 스터드(1)의 하부(바닥)를 밀착시켜 시트(2)의 상면에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가 접착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스터드(1)가 고정될 위치의 시트(2) 상면 역시 상기 용융부(40)를 통해 용융되어 시트(2)와 스터드(1)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데, 상기 용융부(40)를 통한 스터드(1) 및 시트(2)의 용융 과정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좌우실린더(34)를 통해 상기 결속편(33a)이 상기 결속홈(31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결속판(33)을 이송시켜 상기 배치봉(31a)에 내입된 스터드(1)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2승강실린더(32) 및 제2전후실린더(36)를 통해 상기 배치부재(31)를 승강시켜 후방으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치부(3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를 시트(2)의 상면에 연속 배치 부착하게 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부(40)는 상기 배치부(30)를 통해 이송되는 스터드(1)의 하면을 용융하는 동시에, 이송부(50)를 통해 이송된 시트(2)의 상면을 용융시켜 시트(2)의 상면에 배치 고정되는 스터드(1)가 시트(2)와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배치부(30)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원이 인가되면 열원을 제공하는 전열봉(41a)이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융부재(41)와, 상기 용융부재(41)와 연결되어 상기 용융부재(41)를 승·하강시키는 제3승강실린더(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융부재(41)의 전열봉(41a) 상면에는 상기 배치부(30)의 배치부재(31)에 결속된 스터드(1)의 하부가 밀착되면서 용융되고, 상기 전열봉(41a)의 하면에는 시트(2)의 상면에 밀착되어 스터드(1)가 배치될 시트(2)의 상면이 용융되도록 한다.
즉,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부(40)는 용융부재(41)의 전열봉(41a)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상기 융융부재(41)의 하부에 시트(2)가 배치되면, 상기 제3승강실린더(42)를 통해 상기 용융부재(41)를 하강시켜 상기 전열봉(41a)의 하부가 시트(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시트(2) 상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용융시키는데, 이때 상기 배치부(30)의 배치부재(31)가 하강하여 상기 배치부재(31)에 고정된 스터드(1)의 하부가 상기 전열봉(41a)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스터드(1)의 하부가 용융된다.
그런 후,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부재(41)의 전열봉(41a)을 통해 시트(2) 및 스터드(1)의 용융이 완료되면 상기 배치부재(31)가 승강하여 스터드(1)가 상기 전열봉(41a)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상기 제3승강실린더(42)를 통해 상기 용융부재(41)가 승강하여 상기 전열봉(41a)이 시트(2)로부터 이탈되면서 시트(2)와 스터드(1)의 용융이 완료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는 시트(2)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치부(30)와 용융부(40)를 통해 다수의 스터드(1)가 시트(2)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시트(2)의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2)의 전방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이송롤러(51)와, 상기 이송롤러(5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이송축(52)과, 상기 이송축(52) 상에 형성되어 하부가 시트(2)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52)과 함께 회전되면서 시트(2)를 전방으로 강제 이송시키되, 시트(2)와 접촉되는 외주면에는 널링이 형성되어 시트(2)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밀착롤러(53)와, 상기 이송축(52)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는 이송모터(54)의 작동을 통해 상기 회전축(52)과 함께 상기 밀착롤러(53)를 회전시켜 시트(2)를 상기 용융부(40)로 강제 이송시켜 시트(2)의 상면이 용융되게 하고, 다시 시트(2)를 전방으로 강제 이송시켜 상기 배치부(30)를 통해 용융된 시트(2)의 상면에 스터드(1)가 접합되도록 시트(1)의 적합한 위치를 안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60)는 시트(2)의 상면에 스터드(1)가 안착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완제품인 방수시트(S)를 받아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100)에서 구성요소를 이송시키는 방법으로 간편히 실린더를 사용하나, 실린더를 대신하여 통상의 모터 등과 같은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성요소를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성요소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기 위한 LM가이드와 LM블록이나, 구성요소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프레임 등을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100)는 정렬부(10)를 통해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다수의 스터드(1)를 일렬로 정렬하고, 그 정렬된 스터드(1)는 상기 배치부(30)에 결속되어 상기 용융부(40)로 이송되어 하부가 용융되고 동시에 상기 용융부(40)에서 스터드(1)가 부착될 시트(2)의 상면을 용융하고, 그 용융된 시트(2)가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배치부(30)에서 시트(2) 상면으로 스터드(1)를 밀착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시트(2)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를 자동으로 부착 고정함으로, 방수시트(S)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자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가 배제되어 제품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S)를 저렴한 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2)와 스터드(1)가 결합되는 부위가 용융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므로 시트(2)와 스터드(1)의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여 종래의 방수시트에서 스터드가 떨어져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콘크리트와 방수시트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건물의 안정적인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방수시트(S)를 제작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를 정렬부(10)를 통해 일렬로 정렬한 후, 배치부(30)가 위치되는 전방으로 일괄 이송 배치한다.
그런 후, 도 5d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부(30)는 정렬된 스터드(1)를 결속한 상태에서 용융부(40)로 이송시켜 스터드(1)의 하부를 용융시킨다.
이때, 상기 용융부(40)는 이송부(50)를 통해 이송 배치된 시트(2)의 상면을 밀착 용융시킨다.
상기와 같이 스터드(1)와 시트(2)의 용융이 완료되면, 도 5g와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시트(2)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배치부(30)는 용융된 시트(2)의 상면에 스터드(1)를 밀착 접합하여 시트(2)의 상면에 스터드(1)가 견고히 결합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반복되면서 시트(2)에 연속적으로 정렬된 스터드(1)가 접합 형성되며,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2)는 컨베이어(60)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시트(2)에 다수의 스터드(1)가 배치된 방수시트(S)가 매우 신속하게 제작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스터드 2. 시트
S. 완제품
10. 공급부 20. 정렬부
21. 정렬판 22. 정렬부재
22a. 정렬봉 23. 제1승강실린더
24. 수평블록 25. 제1좌우실린더
26. 제1고정판 27. 제1전후실린더
30. 배치부 31. 배치부재
31a. 배치봉 31b. 결속홈
32. 제2승강실린더 33. 결속판
33a. 결속편 34. 제2좌우실린더
35. 제2고정판 36. 제2전후실린더
40. 용융부 41. 용융부재
41a. 전열봉 42. 제3승강실린더
50. 이송부 51. 이송롤러
52. 이송축 53. 밀착롤러
54. 이송모터 60. 컨베이어
100.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Claims (5)

  1. 다수의 스터드(stud:1)를 하나씩 정렬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를 일렬로 정렬하되, 다수의 스터드(1)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정렬하는 정렬부(20);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스터드(1)를 결속하여 용융부(40)로 이송시켜 스터드(1)의 하부를 용융시킨 후, 시트(sheet:2)의 상면으로 이송 안착시켜 시트(2)의 상면에 다수의 스터드(1)를 배치 고정하는 배치부(30);
    상기 배치부(30)를 통해 이송되는 스터드(1)의 하면을 용융하는 동시에, 이송부(50)를 통해 이송된 시트(2)의 상면을 용융시켜 시트(2)의 상면에 배치 고정되는 스터드(1)가 시트(2)와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용융부(40);
    시트(2)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치부(30)와 용융부(40)를 통해 다수의 스터드(1)가 시트(2)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송부(50); 및
    시트(2)의 상면에 스터드(1)가 안착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완제품인 방수시트(S)를 받아 전방으로 안내하는 컨베이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는,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스터드(1)가 위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정렬판(21)과,
    상기 정렬판(21)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스터드(1)의 상부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정렬봉(22a)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끝단에 위치되는 상기 정렬봉(22a)은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스터드(1) 상부에 위치되는 정렬부재(22)와,
    상기 정렬부재(22)와 연결되어 상기 정렬부재(22)를 승·하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23)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23)와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실린더(23)와 함께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수평블록(24)과,
    상기 수평블록(24)과 연결되어 상기 수평블록(24)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좌우실린더(25)와,
    상기 제1좌우실린더(25)와 결합되어 상기 제1좌우실린더(25)와 함께 상기 수평블록(24)과 제1승강실린더(23)와 정렬부재(22)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판(26)과,
    상기 제1고정판(26)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고정판(26)과 연결되는 상기 정렬부재(22)를 상기 배치부(30)로 이송하는 제1전후실린더(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30)는,
    상기 정렬판(21)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정렬 배치된 다수의 스터드(1)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배치봉(31a)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되, 상기 배치봉(31a)의 하부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결속홈(31b)이 형성되는 배치부재(31)와,
    상기 배치부재(31)와 연결되어 상기 배치부재(31)를 승·하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32)와,
    상기 배치봉(31a)의 결속홈(31b)에 내입되어 상기 배치봉(31a)에 내입된 스터드(1)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편(33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판(33)과,
    상기 배치부재(31)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33)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결속판(33)의 결속편(33a)이 상기 배치봉(31a)의 결속홈(31b)에 내입되거나 이탈되게 하는 제2좌우실린더(34)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32)와 결합되어 상기 제2승강실린더(32)와 함께 상기 배치부재(31)와 결속판(33)과 제2좌우실린더(34)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판(35)과,
    상기 제2고정판(35)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고정판(35)과 연결되는 상기 배치부재(31)를 상기 용융부(40)와 시트(2)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2전후실린더(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40)는,
    상기 배치부(30)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원이 인가되면 열원을 제공하는 전열봉(41a)이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용융부재(41)와,
    상기 용융부재(41)와 연결되어 상기 용융부재(41)를 승·하강시키는 제3승강실린더(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융부재(41)의 전열봉(41a) 상면에는 상기 배치부(30)의 배치부재(31)에 결속된 스터드(1)의 하부가 밀착되면서 용융되고, 상기 전열봉(41a)의 하면에는 시트(2)의 상면에 밀착되어 스터드(1)가 배치될 시트(2)의 상면이 용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50)는,
    시트(2)의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2)의 전방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이송롤러(51)와,
    상기 이송롤러(5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이송축(52)과,
    상기 이송축(52) 상에 형성되어 하부가 시트(2)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축(52)과 함께 회전되면서 시트(2)를 전방으로 강제 이송시키되, 시트(2)와 접촉되는 외주면에는 널링이 형성되어 시트(2)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밀착롤러(53)와,
    상기 이송축(52)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20170083338A 2017-06-30 2017-06-30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201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38A KR102016295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38A KR102016295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77A true KR20190002977A (ko) 2019-01-09
KR102016295B1 KR102016295B1 (ko) 2019-08-29

Family

ID=6501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338A KR102016295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152A (ja) * 2003-04-14 2004-11-11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熱融着方法及び防水シートの熱融着装置
JP2004332524A (ja) * 2003-04-14 2004-11-25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熱融着方法
JP2007185913A (ja) * 2006-01-16 2007-07-26 Hayakawa Rubber Co Ltd 突起付き基材の製造方法、及び突起付き基材の製造装置
KR101354079B1 (ko) * 2013-04-30 2014-01-24 주식회사 희양건설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152A (ja) * 2003-04-14 2004-11-11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熱融着方法及び防水シートの熱融着装置
JP2004332524A (ja) * 2003-04-14 2004-11-25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熱融着方法
JP2007185913A (ja) * 2006-01-16 2007-07-26 Hayakawa Rubber Co Ltd 突起付き基材の製造方法、及び突起付き基材の製造装置
KR101354079B1 (ko) * 2013-04-30 2014-01-24 주식회사 희양건설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295B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7020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転写方法
CN102066064B (zh) 用于将榫插入榫槽中的方法和装置
KR20160049453A (ko) 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6344B1 (ko) 스트링거
CN111244005A (zh) 上料方法及串焊装置
CN104400274B (zh) 一种单双头动力电池全自动焊接线
KR101936072B1 (ko)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용 스트링거
JP5955384B2 (ja) トップテープ装填装置およびテープ自動セット装置
KR20190002977A (ko)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1109058B1 (ko) 전기 매트 제조장치
CN111864012B (zh) 电池串、电池组件的制造装置及制备电池组件的方法
KR101695471B1 (ko) 성형재를 굽힘 가공하기 위한 설비 및 방법
KR101539952B1 (ko) 전극탭 테이핑 머신
JP5225669B2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の製造方法
CN103358644B (zh) 一种地毯自动成型设备
JP6161115B2 (ja) 無線綴じ製本装置の糊付けユニット
CN210894901U (zh) 一种背光与lcd自动组装机
KR102091029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WO2021258576A1 (zh) 电池串、电池组件、电池串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200472699Y1 (ko) 열융착장치
CN209999377U (zh) 木板拼接机
KR102274690B1 (ko) 멜라민 보드 제조 시스템
KR101662580B1 (ko) 목재판넬 이송장치
JP2005347703A (ja) 太陽電池セルのタブリード付け装置
CN106794667B (zh) 填料热结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