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079B1 -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 Google Patents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079B1
KR101354079B1 KR1020130048011A KR20130048011A KR101354079B1 KR 101354079 B1 KR101354079 B1 KR 101354079B1 KR 1020130048011 A KR1020130048011 A KR 1020130048011A KR 20130048011 A KR20130048011 A KR 20130048011A KR 101354079 B1 KR101354079 B1 KR 10135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finger
sheet
spring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양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양건설
Priority to KR102013004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079B1/ko
Priority to CN201490000630.2U priority patent/CN205363163U/zh
Priority to PCT/KR2014/003761 priority patent/WO20141785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시킨 스터드를 이동시켜 열을 가한후 시트에 열접착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에 관한 것이며, 공급부(11), 작동부(12), 배출부(13)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시트(1)가 시트공급장치(3)에서 피딩롤러(15)에 의해 공급부(11)를 통해 공급되어 작동부(12)에서 스터드(100)가 시트(1)에 열접착되고, 스터드(100)가 고정된 스터드시트(5)가 배출부(13) 측에 설치된 디코일러(4)에 감기게 되도록 이송컨베이어(20), 부품가이드(30), 핑거어셈블리(40), 가열수단(5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구동풀리(22)와 풀리(23) 사이에 컨베이어벨트(2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구동풀리(22)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모터(24)가 설치되며, 메인프레임(10)의 공급부(11) 상부에서 설치되되 이송되는 시트(1)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 이송컨베이어(20) 상부로 스터드(100) 부착부(10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평판체(31)가 설치되고, 수직판체(32)에 스터드(100)가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며, 이송라인홀(33)은 시작되는 부분은 개방되되 끝나는 부분은 막혀있도록 형성되고, 이송라인홀(33)의 끝나는 부분에 다수의 멈춤부(35)가 형성되는 부품가이드(30); 메인프레임(10)의 작동부(12)에 핑거고정프레임(41)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핑거고정프레임(41)에 승강실린더(42)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핑거고정바(43)가 설치되며, 핑거고정바(43)의 저면에 다수의 핑거(44)가 고정 설치되고, 핑거(44)에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스터드(100)를 단계에 따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핑거어셈블리(40);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44)에 흡착된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맞닿게 설치되고, 몸체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몸체와 맞닿는 부착부(101)에 열을 가해 부착부(101)의 맞닿는 면을 녹이도록 구성된 가열수단(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자동으로 부품가이드에 의해 정열되어 이송된 스터드가 핑거어셈블리에 의해 가열수단으로 이동해 녹은 부분을 시트에 압착하여 열접착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 An Automatic heat seal machine for stud and a stud grip sheet made in the machine }
본 발명은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렬시킨 스터드를 이동시켜 열을 가한후 시트에 열접착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에 사용되는 시트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시트와, 외부로부터의 복사열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빼앗기지 않도록 하는 보온 단열 시트 및 건물의 옥상이나 외벽 및 물탱크의 내벽 방수를 위한 방수시트가 시공되고 있다.
방수를 위해서는 방수가 필요한 곳의 표면을 라이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라이닝이라 하면, 유체가 접촉하는 금속, 수지,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내부표면의 방청 또는 방식을 위하여 다른 물질을 두껍게 피복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보통은 얇은 피복을 의미하는 코팅(Coating)과 혼용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라이닝에 주로 사용되는 코팅제로는 아연, 알루미늄, 니켈, 납, 구리, 주석 등의 금속재와, 법랑, 유리, 세라믹등의 무기질재 및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덴수지, 에폭시수지, 플루오르수지, 페놀수지 등의 유기질재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제들은 용접, 침지, 칠하기, 접착,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해 코팅된다.
코팅제를 이용하여 방수를 할 경우에는 코팅제가 벗겨지고, 물에 의해 불려지는등의 문제를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방수용 시트를 콘크리트에 고정시켜 방수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용 시트는 시멘트에 고정하려면,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해 시트 배면에 스터드가 형성되어 시트가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인다.
하지만 이러한 시트에 스터드를 형성하려면, 스터드가 형성된 시트를 한번에 사출하여야 하나 스터드의 형상에 따라 사출이 불가능하고, 시트에 수많은 스터드를 고정하여야 하지만,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계장치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에 스터드를 빠른 시간내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장치에서 생산되는 스터드 그립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터드가 시트에 부착되기 위해 이동될 때, 자동으로 정렬하게 하고, 정렬된 스터드를 가열수단으로 이동시켜 열을 가하며, 열이 가해진 스터드를 시트에 가압하여 부착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고자 한다.
스터드가 정렬된 상태에서 쉽게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스터드를 놓고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급부(11), 작동부(12), 배출부(13)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시트(1)가 시트공급장치(3)에서 피딩롤러(15)에 의해 공급부(11)를 통해 공급되어 작동부(12)에서 스터드(100)가 시트(1)에 열접착되고, 스터드(100)가 고정된 스터드시트(5)가 배출부(13) 측에 설치된 디코일러(4)에 감기게 되도록 이송컨베이어(20), 부품가이드(30), 핑거어셈블리(40), 가열수단(5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구동풀리(22)와 풀리(23) 사이에 컨베이어벨트(2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구동풀리(22)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모터(24)가 설치되며, 메인프레임(10)의 공급부(11) 상부에서 설치되되 이송되는 시트(1)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 이송컨베이어(20) 상부로 스터드(100) 부착부(10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평판체(31)가 설치되고, 수직판체(32)에 스터드(100)가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며, 이송라인홀(33)은 시작되는 부분은 개방되되 끝나는 부분은 막혀있도록 형성되고, 이송라인홀(33)의 끝나는 부분에 다수의 멈춤부(35)가 형성되는 부품가이드(30); 메인프레임(10)의 작동부(12)에 핑거고정프레임(41)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핑거고정프레임(41)에 승강실린더(42)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핑거고정바(43)가 설치되며, 핑거고정바(43)의 저면에 다수의 핑거(44)가 고정 설치되고, 핑거(44)에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스터드(100)를 단계에 따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핑거어셈블리(40);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44)에 흡착된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맞닿게 설치되고, 몸체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몸체와 맞닿는 부착부(101)에 열을 가해 부착부(101)의 맞닿는 면을 녹이도록 구성된 가열수단(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자동으로 부품가이드에 의해 정열되어 이송된 스터드가 핑거어셈블리에 의해 가열수단으로 이동해 녹은 부분을 시트에 압착하여 열접착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핑거(44)의 몸체 내부에 하단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에어컴프레서 연결되며, 에어컴프레서의 작동에 의해 스터드(100)가 흡 탈착되게 하거나,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스프링설치홈(44-3)이 형성되고, 스프링설치홈(44-3)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원형의 스프링(44-2)이 설치되며, 원형의 스프링(44-2)의 중앙을 통하여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스프링(44-2)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스프링(44-2)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2)의 탄력을 이기면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되거나,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걸림부(44-4)가 형성되고, 걸림부(44-4)에 다수의 홈부(44-5)가 형성되며, 홈부(44-5)에 스프링(44-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볼(44-6)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되고,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볼(44-6)을 눌러 스프링(44-7)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볼(44-6)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7)의 탄력을 이기면서 볼(44-6) 사이를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부품가이드(30)는 수평판체(31)에 이송컨베이어(20)의 진행 방향으로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고, 수평판체(31)는 중앙부분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경사단(34)이 형성되며, 수평판체(31)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수직판체(32)가 고정되며, 이송라인홀(33)이 위치한 곳의 수직판체(32)에 돌기홀(32-1)이 형성되고, 이송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벨트(21) 상부에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지나가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가열수단(50)은 바형상으로 메인프레임(10) 작동부(12) 전단에 고정되어 있고,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가 가열수단(50)으로 이동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를 녹이고 시트(1)로 이동하여 스터드(100)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가열수단(50)은 이동실린더(51)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핑거(44)가 하향 이동할 때 핑거(44)의 수직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닿게 하여 녹이고, 부착부(101)가 녹으면 가열수단(5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녹은 부착부(101)가 시트(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에 스터드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빠른 작업시간으로 스터드 시트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품가이드에 의해 스터드를 일열 또는 이열로 자동 정열시키고, 스터드를 진공흡착 방식으로 핑거에서 잡아 자동으로 이동하므로 간편하게 스터드를 열을 유지한 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열을 유지한 채 가열수단에서 스터드에 열을 가한 후 시트에 가압하는 것이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품질의 스터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의 부품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의 핑거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의 핑거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의 전단부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의 후단부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에 사용하는 핑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에 사용하는 핑거를 도시한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에 사용하는 핑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에 사용하는 핑거를 도시한 도 11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스터드(100)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열접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10), 이송컨베이어(20), 부품가이드(30), 핑거어셈블리(40), 가열수단(50)으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공급부(11), 작동부(12), 배출부(13)가 순차적으로 이루진다. 공급부(11)는 시트(1)가 공급되고, 부품가이드(30)에 의해 스터드(100)가 정렬되어 공급되는 부분이다.
메인프레임(10)의 공급부(11) 전단에는 아이들롤러(16)와 피딩롤러(15)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피딩롤러(15)와 아이들롤러(16) 사이로 시트(1)가 들어가 피딩롤러(15)의 회전에 의해 시트(1)가 이동하여 공급된다.
시트(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공급장치(3)에 롤 형태인 시트롤(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롤(2)에서 풀러 나오는 시트(1)가 피딩롤러(15)와 아이들롤러(16)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피딩롤러(15)의 회전을 하면 아이들롤러(16)와 피딩롤러(16) 사이에 끼인 시트(1)는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딩롤러(15)는 메인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된 모터(15-1)에 의해 구동되도록 동력전달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동력전달 구조는 일반적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시트(1)는 후술할 이송컨베이어(20)의 아래를 지나가게 된다.
시트(1)가 시트공급장치(3)에서 피딩롤러(15)에 의해 공급부(11)를 통해 공급되어 작동부(12)에서 스터드(100)가 시트(1)에 열접착된다. 그리고 스터드(100)가 고정된 스터드시트(5)는 메인프레임(10)의 배출부(13) 측에 설치된 디코일러(4)에 감기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에는 이송컨베이어(20), 부품가이드(30), 핑거어셈블리(40), 가열수단(50)이 설치되어 각각 구동하게 된다.
이송컨베이어(20)는 구동풀리(22)와 풀리(23) 사이에 컨베이어벨트(2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구동풀리(22)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모터(24)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20)는 메인프레임(10)의 공급부(11) 상부에서 설치되되 컨베이어벨트(21)의 아래에 시트(1)가 이송되어 지나가도록 설치된다.
부품가이드(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송컨베이어(20) 상부로 스터드(100) 부착부(10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평판체(3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터드(100)는 판체 형상의 부착부(101)와 부착부(101)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부(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기부(102)는 콘크리트에 스터드 그립시트가 잘 물려있도록 상단이 크게 형성된다.
부품가이드(30)는 수평판체(31)에 스터드(100)가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수평판체(31)에 형성된다. 이송라인홀(33)의 시작되는 부분은 개방되고, 이송라인홀(33)의 끝나는 부분은 막혀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라인홀(33)의 끝나는 부분에 다수의 멈춤부(35)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35)에는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핑거(44)에 의해 들려질 수 있도록 수평판체(31)에 부착부(101)보다 큰 홀이 형성된다.
멈춤부(35)는 두줄 또는 네줄로 형성되어 핑거(44)가 잡기 쉽게 횡방향 정렬을 시켜 준다. 이때 정렬을 시키기 위해 멈춤부(35) 전단에 차단바(미도시)가 위치하여 더 이상 스터드(100)가 이송되지 않게 하고, 정렬된 상태에서 핑거(44)가 핑거어셈블리(40)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차단바의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일반적으로 스터드(100)를 멈추게 하는 구성이면 족하다.
핑거어셈블리(40)는 도 1, 도 4, 도 5,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메인프레임(10)의 작동부(12)에 핑거고정프레임(41)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핑거고정프레임(41)에 승강실린더(42)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핑거고정바(43)가 설치된다.
핑거고정바(43)의 저면에 다수의 핑거(44)가 고정 설치되고, 핑거(44)는 에어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스터드(100)가 흡 탈착된다. 그리고 핑거(44)에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스터드(100)를 단계에 따라 탈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아래와 같은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핑거(44)의 몸체 내부에 하단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에어컴프레서 연결되며, 에어컴프레서의 작동에 의해 스터드(100)가 흡 탈착된다.
즉, 핑거(44)의 하단은 스터드(100)의 돌기부(102)와 부착부(101)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핑거(44)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로에 의해 공기를 빨아들이면, 스터드(100) 스터드(100)의 돌기부(102)와 부착부(101)가 핑거(44)에 흡착된다. 이때 부착부(101)는 두께중 일부는 핑거(44) 하단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핑거(44)에 홈이 형성된다. 이는 핑거(44)가 이동하여 부착부(101)가 가열수단(50)에 닿을 때 핑거(44)는 직접 가열수단(50)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스프링설치홈(44-3)이 형성되고, 스프링설치홈(44-3)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원형의 스프링(44-2)이 설치된다. 원형의 스프링(44-2)은 1자형 스프링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원형 형태로 만든것으로, 원형의 스프링(44-2)의 중앙을 통하여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스프링(44-2)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스프링(44-2)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2)의 탄력을 이기면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즉, 스터드(100)가 시트(1)에 열접착되어 소정의 장력 이상을 견딜 수 있을 때 스프링(44-2)에서 빠져 나올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걸림부(44-4)가 형성되고, 걸림부(44-4)에 다수의 홈부(44-5)가 형성되며, 홈부(44-5)에 스프링(44-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볼(44-6)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된다. 볼(44-6)의 절반 이상이 홈부(44-5)에 삽입되고, 홈부(44-5)의 입구는 볼(44-6)의 지름보다 좁게 만들어 볼이 이탈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볼(44-6)을 눌러 스프링(44-7)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볼(44-6)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7)의 탄력을 이기면서 볼(44-6) 사이를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핑거어셈블리(40)는 핑거고정프레임(41)에 승강슬린더(42)가 다수개 설치되고, 핑거고정프레임(41)은 상단대(41-1)의 양단에 하향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대(41-2)로 이루어진다. 승강실린더(42)는 다른쪽 단부에 핑거고정바(43)가 설치되어 수직대(41-2)를 가이드로 하여 상하 이동하게 된다.
수직대(41-2)의 일츨에 수평이동수단(46)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45)의 작동부(12) 양측에 수평가이드(45)가 형성되어 수평가이드(45)를 따라 수평이동수단(46)이 이동하게 된다.
수평이동수단(46)은 여러가지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일례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형상의 수평가이드(45)와 바퀴형상의 수평이동수단(46)의 맞물려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수직대(41-2)의 일측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수직대(41-2)를 밀거나 당겨서 수평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연결된 톱니가 수평이동수단(46)이 되고, 수평가이드(45)에 톱니바를 설치하여 톱니바와 맞물려 수평이동수단(46)의 톱니가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이동과 수직이동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면 적용할 수 있다.
가열수단(5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핑거어셈블리(40) 후단에 설치되고,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44)에 흡착된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맞닿게 설치된다.
가열수단(50)은 몸체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몸체와 맞닿는 부착부(101)에 열을 가해 부착부(101)의 맞닿는 면을 녹이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터드(100)가 자동으로 부품가이드(30)에 의해 정렬되어 이송되고, 이송된 스터드(100)는 핑거어셈블리(40)에 의해 가열수단(50)으로 이동해 열이 가해지고, 스터드(100)의 녹은 부분을 시트(1)에 압착하여 열접착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부품가이드(30)는 수평판체(31)에 이송컨베이어(20)의 진행 방향으로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고, 수평판체(31)는 중앙부분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경사단(34)이 형성된다. 경사단(34)은 스터드(100)가 가운데로 모이면서 이송라인홀(33)에 들어가기 용이하게 해준다.
수평판체(31)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수직판체(32)가 고정되며, 이송라인홀(33)이 위치한 곳의 수직판체(32)에 돌기홀(32-1)이 형성되고, 돌기홀(32-1)을 통해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지나가게 된다. 수직판체(32)는 수평판체(31)에 형성된 이송라인홀(33)로 인하여 수평판체(31)의 중앙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벨트(21) 상부에 수평판체(31)가 설치될 때,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지나갈 수 있는 만큼의 공간부가 수평판체(31) 저면과 컨베이어벨트(21)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가열수단(50)은 고정형과 이동형 두가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첫번째로 고정형의 경우, 가열수단(50)은 바형상으로 메인프레임(10) 작동부(12) 전단에 고정되고,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44)가 가열수단(50)으로 이동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를 녹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녹여진 스터드(100)를 다시 핑거어셈블리(40)에 의해 시트(1)로 이동시켜 압착하여 스터드(100)를 부착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이동형의 경우 가열수단(50)은 이동실린더(51)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핑거(44)가 하향 이동할 때 핑거(44)의 수직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닿게 하여 녹이도록 구성되며, 부착부(101)가 녹으면 가열수단(5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녹은 부착부(101)가 시트(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1 : 시트 2 : 시트롤
3 : 시트공급장치 4 : 디코일러
5 : 스터드시트 10 : 메인프레임
11 : 공그부 12 : 작동부
13 : 배출부 14 : 정반
15 : 피딩롤러 15-1 : 모터
16 : 아이들롤러 20 : 이송컨베이어
21 : 컨베이어벨트 22 : 구동풀리
23 : 풀리 30 : 부품가이드
31 : 수평판체 32 : 수직판체
32-1 : 돌기홀 33 : 이송라인홀
34 : 경사단 35 : 멈춤홈부
36 : 부품공급기 40 : 핑거어셈블리
41 : 핑거고정프레임 41-1 : 상단대
41-2 : 수직대 42 : 승강실린더
43 : 핑거고정바 44 : 핑거
44-1 : 몸체 44-2 : 스프링
44-3 : 스프링설치홈 44-4 : 걸림부
44-5 : 홈부 44-6 : 볼
44-7 : 스프링 45 : 수평가이드
46 : 수평이동수단 50 : 가열수단
51 : 이동실린더 100 : 스터드
101 : 부착부 102 : 돌기부

Claims (8)

  1. 공급부(11), 작동부(12), 배출부(13)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시트(1)가 시트공급장치(3)에서 피딩롤러(15)에 의해 공급부(11)를 통해 공급되어 작동부(12)에서 스터드(100)가 시트(1)에 열접착되고, 스터드(100)가 고정된 스터드시트(5)가 배출부(13) 측에 설치된 디코일러(4)에 감기게 되도록 이송컨베이어(20), 부품가이드(30), 핑거어셈블리(40), 가열수단(5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구동풀리(22)와 풀리(23) 사이에 컨베이어벨트(21)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구동풀리(22)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모터(24)가 설치되며, 메인프레임(10)의 공급부(11) 상부에서 설치되되 이송되는 시트(1)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
    이송컨베이어(20) 상부로 스터드(100) 부착부(10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평판체(31)가 설치되고, 수직판체(32)에 스터드(100)가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며, 이송라인홀(33)은 시작되는 부분은 개방되되 끝나는 부분은 막혀있도록 형성되고, 이송라인홀(33)의 끝나는 부분에 다수의 멈춤부(35)가 형성되는 부품가이드(30);
    메인프레임(10)의 작동부(12)에 핑거고정프레임(41)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핑거고정프레임(41)에 승강실린더(42)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핑거고정바(43)가 설치되며, 핑거고정바(43)의 저면에 다수의 핑거(44)가 고정 설치되고, 핑거(44)에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스터드(100)를 단계에 따라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핑거어셈블리(40);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44)에 흡착된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맞닿게 설치되고, 몸체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몸체와 맞닿는 부착부(101)에 열을 가해 부착부(101)의 맞닿는 면을 녹이도록 구성된 가열수단(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자동으로 부품가이드에 의해 정열되어 이송된 스터드가 핑거어셈블리에 의해 가열수단으로 이동해 녹은 부분을 시트에 압착하여 열접착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핑거(44)의 몸체 내부에 하단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홈의 일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에어컴프레서 연결되며, 에어컴프레서의 작동에 의해 스터드(100)가 흡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스프링설치홈(44-3)이 형성되고, 스프링설치홈(44-3)에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원형의 스프링(44-2)이 설치되며, 원형의 스프링(44-2)의 중앙을 통하여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스프링(44-2)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스프링(44-2)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2)의 탄력을 이기면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핑거(44)에 구비된 탈착수단은,
    중공의 원통형 몸체(44-1) 하단의 내경 둘레에 걸림부(44-4)가 형성되고, 걸림부(44-4)에 다수의 홈부(44-5)가 형성되며, 홈부(44-5)에 스프링(44-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볼(44-6)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되고,
    스터드(100)의 돌기부(102)가 볼(44-6)을 눌러 스프링(44-7)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되어 볼(44-6)에 걸려있다가 시트(1)에 스터드(100)가 열접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44-7)의 탄력을 이기면서 볼(44-6) 사이를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부품가이드(30)는 수평판체(31)에 이송컨베이어(20)의 진행 방향으로 다수의 이송라인홀(33)이 형성되고,
    수평판체(31)는 중앙부분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경사단(34)이 형성되며,
    수평판체(31)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수직판체(32)가 고정되며, 이송라인홀(33)이 위치한 곳의 수직판체(32)에 돌기홀(32-1)이 형성되고,
    이송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벨트(21) 상부에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지나가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50)은 바형상으로 메인프레임(10) 작동부(12) 전단에 고정되어 있고, 핑거어셈블리(40)의 핑거가 가열수단(50)으로 이동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를 녹이고 시트(1)로 이동하여 스터드(100)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50)은 이동실린더(51)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핑거(44)가 하향 이동할 때 핑거(44)의 수직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닿게 하여 녹이고, 부착부(101)가 녹으면 가열수단(5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녹은 부착부(101)가 시트(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터드 열접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스터드 열접착장치에 의해 제조되고, 시트(1)에 스터드(100)의 부착부(101)가 열접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그립시트.
KR1020130048011A 2013-04-30 2013-04-30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KR10135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011A KR101354079B1 (ko) 2013-04-30 2013-04-30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CN201490000630.2U CN205363163U (zh) 2013-04-30 2014-04-29 自动螺柱热封装置及利用该装置制造的螺柱紧固板
PCT/KR2014/003761 WO2014178597A1 (ko) 2013-04-30 2014-04-29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011A KR101354079B1 (ko) 2013-04-30 2013-04-30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079B1 true KR101354079B1 (ko) 2014-01-24

Family

ID=5014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011A KR101354079B1 (ko) 2013-04-30 2013-04-30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54079B1 (ko)
CN (1) CN205363163U (ko)
WO (1) WO20141785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77A (ko) * 2017-06-30 2019-01-09 박하용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2-10-07 최순희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4013A (zh) * 2018-09-19 2019-03-08 广东建浩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渗水动态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2830804B (zh) * 2020-12-30 2022-06-10 青岛高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温碳碳支架的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741U (ja) * 1997-03-24 1997-10-03 株式会社北冷製作所 融雪用パネル
KR100741439B1 (ko) 2005-03-23 2007-07-25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JP2008106598A (ja) 2006-09-28 2008-05-08 Mitsuboshi Belting Ltd 防水構造物の改修方法
KR100913262B1 (ko) 2000-02-28 2009-08-21 제임스 하디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비.브이. 건축용 시트에 대한 표면 그루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741U (ja) * 1997-03-24 1997-10-03 株式会社北冷製作所 融雪用パネル
KR100913262B1 (ko) 2000-02-28 2009-08-21 제임스 하디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비.브이. 건축용 시트에 대한 표면 그루브 시스템
KR100741439B1 (ko) 2005-03-23 2007-07-25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JP2008106598A (ja) 2006-09-28 2008-05-08 Mitsuboshi Belting Ltd 防水構造物の改修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77A (ko) * 2017-06-30 2019-01-09 박하용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2016295B1 (ko) * 2017-06-30 2019-08-29 박하용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2-10-07 최순희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363163U (zh) 2016-07-06
WO2014178597A1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079B1 (ko)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WO2012039046A1 (ja) ワイヤロープ清掃器具
KR100867739B1 (ko) 장식구 부착기
JP2011512680A5 (ko)
US20140069569A1 (en) Assembling machine and method
JP2016092427A5 (ko)
CN1571876A (zh) 隔热玻璃窗和其生产方法
JPWO2015059748A1 (ja) 電子部品装着装置
CN104249906A (zh) 吸取机构及采用该吸取机构的贴合装置
CN105734653A (zh) 一种料夹输送机构及电镀设备
CN110035647A (zh) 一种贴片机及其贴片方法
CN1231327C (zh) 用于将固定元件放置和粘结在支承表面上的装置和工作方法
KR102091319B1 (ko) 충진물의 정량 공급이 가능한 로터리형 자동포장시스템
TWM588941U (zh) 電路板與膠片自動分離機
CN205529116U (zh) 一种料夹输送机构及电镀设备
JP5173709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07238198A5 (ko)
US20170274407A1 (en) Coating Apparatus
KR101271476B1 (ko) 이중마루용 패널의 접착제 스프레이 장치
CN104227611B (zh) 夹紧固定装置
KR101617630B1 (ko) 실런트 튜브 왁싱 장치 및 실런트 튜브 왁싱 방법
KR101547341B1 (ko) 기능성 밴드합지 제조장치
KR102016295B1 (ko) 건축물 콘크리트용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1123682B1 (ko) 새시용 래핑장치
CN205767504U (zh) 用于lcm模组上的易撕贴自动粘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