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817B1 -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 Google Patents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817B1
KR102452817B1 KR1020210083582A KR20210083582A KR102452817B1 KR 102452817 B1 KR102452817 B1 KR 102452817B1 KR 1020210083582 A KR1020210083582 A KR 1020210083582A KR 20210083582 A KR20210083582 A KR 20210083582A KR 102452817 B1 KR102452817 B1 KR 10245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ver
support
waterproof
hot 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희
Original Assignee
최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희 filed Critical 최순희
Priority to KR102021008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29C66/8362Rollers, cylinders or drums 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나눠진 방수 커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ㅗ" 형태의 방수 커버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는 건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관구에 삽입한 뒤,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 열융착으로 손쉽게 접합함으로써, 기존의 시트식 방수 공법에서 배수구 등의 배관이 설치된 부위에 대한 방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를 넓게 할 수록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의 열융착을 여러 곳에 할 수 있어 이음새 등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의 효율성 및 기능성이 좋아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Waterproof cover manufacturing device for plumbing and waterproof cover for plumbing}
본 발명은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나눠진 방수 커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ㅗ" 형태의 방수 커버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는 건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관구에 삽입한 뒤,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 열융착으로 손쉽게 접합함으로써, 기존의 시트식 방수 공법에서 배수구 등의 배관이 설치된 부위에 대한 방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를 넓게 할 수록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의 열융착을 여러 곳에 할 수 있어 이음새 등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의 효율성 및 기능성이 좋아지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건축 구조물들이 점차 복합화, 대형화, 기술 집약화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건축 동향을 반영하여 더욱 시스템적이고 고성능을 얻을 수 있는 건설 방법과 보수 및 보수 재료들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또는 교량 등과 같이 외부 환경 요인과 많이 접촉하는 건축 구조물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화 부위가 습기에 쉽게 노출되면서 열화 인자의 침입이 쉬워져 구조물의 수명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문제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 요인과 많이 접촉하는 건축 구조물 표면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처리 방법과 방수 재료 등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과거의 방수 관련한 건설 기술은 지붕 및 옥상의 방수 공법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및 교량 등의 누수 보수를 위한 방수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및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건축물의 형태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아스팔트 방수용 시트 및 도막 방수제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고가의 수입 제품을 대체하기 위한 방수 공법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에 시행되는 방수 처리 방법으로는 침투식 방수 공법, 도막식 방수 공법 및 시트식 방수 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침투식 방수 공법은 무기계 화합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미세 공극을 따라 방수제를 침투시켜 콘크리트 내의 칼슘 성분과 방수제의 결합에 의한 확산으로 수막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도막식 방수 공법은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으로써, 접착력이 우수한 합성 고무계, 아스팔트계, 합성 수지계 방수제를 건축 구조물 표면에 도포하여 방수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즉, 클로로프렌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 무기질 충전제, 섬유, 첨가제 및 안료 등의 휘발성 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점도의 용액을 도포한 다음, 상기 용제를 휘발시켜 방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시트식 방수 공법은 유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 표면에 점착력이 높은 시트를 점착시켜 매우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트식 방수 공법은 가열 용해한 고무 혼합 아스팔트가 함침된 두께 10∼35㎜, 폭 1m 정도의 부직포 또는 직포 시트에 광물질 분말을 추가로 도포하여 롤 형태의 시트를 제조한 후 이렇게 제조된 시트 이면을 버너로 녹여서 콘크리트 건축물 표면에 붙이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막식 방수 공법은 통상 서로 다른 소재의 여러 도막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해야 하고 또한 아래쪽의 도막층이 건조된 후 그 위쪽의 도막층을 시공해야 하는데 따른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동시에 그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지는 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트식 방수 공법은 통상 방수용 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접착 기능을 통해 해당 방수용 시트 간의 마주하는 단부를 포개지는 상태로 연결 후 해당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로 마감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방수용 시트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해당 방수용 시트의 서로 포개지지 않는 영역에도 접착제가 묻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되고 이는 열융착 시트를 통한 마감 공정의 작업성 및 열융착 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시트식 방수 공법은 배수구 등의 배관이 설치된 부위에 대해 시트로 방수하는 것이 쉽지 않고, 기존에 수작업으로 시트로 방수작업을 하여도 이음새 등의 틈새가 발생하여 방수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98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407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로 나눠진 방수 커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ㅗ" 형태의 방수 커버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는 건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관구에 삽입한 뒤,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 열융착으로 손쉽게 접합함으로써, 기존의 시트식 방수 공법에서 배수구 등의 배관이 설치된 부위에 대한 방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를 넓게 할 수록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의 열융착을 여러 곳에 할 수 있어 이음새 등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의 효율성 및 기능성이 좋아지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배관구에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배관구 사이를 방수하는 방수 커버를 제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를 열융착(熱融着)에 의해 접합하기 위해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설치되는 열풍장치에서 발생하는 열풍을 방수 커버의 접합부위에 공급하여 열융착시키는 접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에 의해 방수 커버의 접합부위에 열융착시, 방수 커버의 접합부위를 압박하여 용이하게 열융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압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 중 수평부의 방수 커버를 지지해주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 중 수직부의 방수 커버가 외주연에 감기도록 지지해주는 원통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열풍장치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봉이 형성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지지봉에 설치되어 지지봉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끝단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열풍장치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끝단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일측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공급하는 열풍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박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인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스톤을 압력에 의해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피스톤에 일측이 연결되어 피스톤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원통구 상측에 위치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통구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를 받쳐주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받침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평부의 방수 커버와 수직부의 방수 커버가 접합되는 부위를 롤러에 의해 압착시키는 롤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는 다수개로 나눠진 방수 커버를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ㅗ" 형태의 방수 커버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는 건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관구에 삽입한 뒤,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 열융착으로 손쉽게 접합함으로써, 기존의 시트식 방수 공법에서 배수구 등의 배관이 설치된 부위에 대한 방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작한 방수 커버의 수평부를 넓게 할 수록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방수 커버와의 열융착을 여러 곳에 할 수 있어 이음새 등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의 효율성 및 기능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압박부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압박부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용 방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는 프레임(10)과, 지지부(20)와, 접합부(30)와, 압박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 또는 원형파이프와 플레이트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은 지지부(20)와, 접합부(30)와, 압박부(40)를 지지 또는 받쳐주는데, 지지부(20)와, 접합부(30)와, 압박부(4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21)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100)를 열융착(熱融着)에 의해 접합하기 위해 지지해주도록 모터(21)와, 회전판(22)과, 원통구(23)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21)는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써, 상기 모터(21)의 일측에는 축이 돌출 형성되어 회전력을 회전판(22)에 전달하고, 상기 모터(21)는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어 회전판(22)의 회전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모터(21)의 축에 연결되고 모터(2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100) 중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를 지지해준다.
또한, 상기 원통구(23)는 회전판(22)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22)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100) 중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외주연에 감기도록 지지해준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2)과 원통구(23)는 평면상 "ㅗ" 형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모터(21)의 회전력에 의해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를 원통구(23)가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끼워넣은 상태에서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 일면이 회전판(22)의 일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접합부(3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설치되는 열풍장치(33)에서 발생하는 열풍을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공급하여 열융착시키도록 수평대(31)와, 회동대(32)와, 열풍장치(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대(31)는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열풍장치(33)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봉(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32)는 수평대(31)의 지지봉(34)에 설치되어 지지봉(34)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대(32)의 끝단부에 힌지장치(35)에 의해 연결되는 열풍장치(33)를 수직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열풍장치(33)는 회동대(32)에 의해 이동 및 회동됨으로써, 다수개의 방수 커버(100)가 접합되는 부위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장치(33)는 회동대(32)의 끝단부에 힌지장치(35)에 의해 연결되는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일측에 형성된 노즐(36)을 통해 공급한다. 이때, 상기 열풍장치(33)는 외부 전력과 연결되면 내부에서 열선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상기 열풍장치(33)의 내부에 설치된 소형 송풍팬 등에 의해 열풍을 노즐(36)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풍장치(33)의 노즐(36)은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맞춰 곡선지게 절곡 형성되고, 끝단부가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맞춰 납작하게 형성되어 광범위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노즐(36)은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렇듯, 상기 열풍장치(33)는 미사용시에는 회동대(32)에 의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 있다가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열을 공급할 때, 회동대(32)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노즐(36)이 위치되고, 상기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 위치에 따라 수평대(31)와 회동대(32)를 따라 수평 및 상하로 이동되면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열풍을 공급하여 열융착시킨다.
상기 압박부(4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외측 즉, 상기 지지부(20)의 근처에 위치하기 위한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30)에 의해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열융착시,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를 압박하여 용이하게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린더부(41)와, 받침부(42)와, 롤러부(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41)는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스톤(44)을 압력에 의해 상,하로 구동시키는 장치로써,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실린더부(41)는 프레임(10)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피스톤(44)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2)는 피스톤(44)에 일측이 연결되어 피스톤(4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데, 상기 받침부(42)는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20)의 원통구(23) 상측에 위치되거나 멀어지거나 하고, 상기 받침부(42)는 플레이트 판 형태로 수평선상보다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통구(23)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를 받쳐준다. 즉,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에 열융착으로 접합될 때,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원통형으로 용이하게 접합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43)는 받침부(42)의 타측 즉 원통구(23)와 대응되는 받침부(4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받침부(4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와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접합되는 부위를 롤러에 의해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롤러부(43)의 롤러는 받침부(42)의 일단부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부(20)의 원통구 회전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방수 커버(100)의 접합 부위를 압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에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열융착되면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는 원통형으로 말려진 상태이지만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의 양측이 상호 접합된 상태가 아니기에 이 부위를 열풍장치(33)에 의해 열융착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는 양측이 버러진 상태이기에 열풍장치(33)의 열풍을 상호 접합하는 부위에 공급하여도 열융착할 수 없어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외주연에 별도의 고정부(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버려진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양측을 오무려준다. 이 상태에서 열풍장치(3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접합부위에 열풍을 공급하여 열융착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된 배관구용 방수 커버에 대해 기술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구용 방수 커버(100)는 다수개의 방수 커버(100)를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에 의해 열융착시켜 형성되는데, 완성된 배관구용 방수 커버(100)는 평면상 "ㅗ"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방수 커버(100)는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와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로 구분되는데, 상기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는 플레이트 판 형태로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열융착시, 지지부의 원통구(23)가 관통홀을 관통하여 원통구(23)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되다 지지부(20)의 회전판(22) 일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는 원통구(23)의 외주연에 원통형으로 말리도록 사각형의 플레이트판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가 지지부(20)의 회전판(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의 끝단부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의 관통홀 가장자리에 열융착하고, 그런 뒤에 말려진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양측도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여 "ㅗ" 형태의 배관구용 방수 커버(100)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관구용 방수 커버(100)는 복합 방수 시트로써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된 다수개의 시트층이 적층되어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는 것으로 우수한 내후성, 내마모성, 내구성 및 인장강도를 가지며, 유연성 및 접착성 역시 우수하여 건축물의 옥상 또는 굴곡진 바닥 등 어디 부위에도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를 이용한 배관구용 방수 커버의 제작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배관구용 방수 커버의 제작방법은 먼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를 원통구(23)가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끼워넣은 상태에서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 일면이 회전판(22)의 일면과 접촉되면서 지지시킨 다음,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의 끝단부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의 관통홀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면 압박부(40)를 작동시켜 받침부(42)와 롤러부(43)를 지지부(20)의 원통구(23)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롤러부(43)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를 압착시키고, 상기 받침부(42)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의 일측을 받쳐준다.
그런 다음, 상기 접합부(30)의 열풍장치(33) 노즐(36)이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와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위치시킨 뒤, 열풍장치(33)를 작동시켜 열풍을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공급하고, 동시에 모터(21)를 작동시켜 회전판(22)과 원통구(23)를 회전시켜서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를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에 열융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는 지지부(20)의 원통구(23) 외주연에 감겨진 상태인데, 상기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양측은 벌어진 상태이기에 이 부위를 열융착시켜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를 원통형으로 형성해야 한다.
그렇기에 상기 원통구(23)의 외주연에 감겨진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외주연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벌어진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 양측이 상호 접촉시키고, 그런 다음 열풍장치(33)를 작동시켜 열풍을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공급하면서 압착시켜 열융착시킨다. 이때, 상기 열풍장치(33)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열풍을 공급하여 열융착시키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부를 탈거하고 방수 커버(100)를 지지부(20)에서 탈거하면 배관구용 방수 커버(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10 : 프레임 20 : 지지부
21 : 모터 22 : 회전판
23 : 원통구
30 : 접합부 31 : 수평대
32 : 회동대 33 : 열풍장치
34 : 지지봉 35 : 힌지장치
36 : 노즐
40 : 압박부 41 : 실린더부
42 : 받침부 43 : 롤러부
44 : 피스톤
100 : 방수 커버 110 : 수평부의 방수 커버
120 : 수직부의 방수 커버

Claims (5)

  1. 배관구에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배관구 사이를 방수하는 방수 커버(100)를 제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21)에 의해 회전되고,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100)를 열융착(熱融着)에 의해 접합하기 위해 지지해주는 지지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설치되는 열풍장치(33)에서 발생하는 열풍을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공급하여 열융착시키는 접합부(30)와;
    상기 지지부(20)의 외측인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30)에 의해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에 열융착시, 방수 커버(100)의 접합부위를 압박하여 용이하게 열융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압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21)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 중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를 지지해주는 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22)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22)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다수개로 나눠져 있는 방수 커버 중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외주연에 감기도록 지지해주는 원통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합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열풍장치(33)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지지봉(34)이 형성되는 수평대(31)와;
    상기 수평대(31)의 지지봉(34)에 설치되어 지지봉(34)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끝단부에 힌지장치(35)에 의해 연결되는 열풍장치(33)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대(32)와;
    상기 회동대(32)의 끝단부에 힌지장치(35)에 의해 연결되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일측에 형성된 노즐(36)을 통해 공급하는 열풍장치(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박부(40)는, 상기 지지부(20)의 외측인 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스톤(44)을 압력에 의해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41)와;
    상기 피스톤(44)에 일측이 연결되어 피스톤(4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20)의 원통구(2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원통구(23)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를 받쳐주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받침부(42)와;
    상기 받침부(42)의 타측에 설치되어 받침부(4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수평부의 방수 커버(110)와 수직부의 방수 커버(120)가 접합되는 부위를 롤러에 의해 압착시키는 롤러부(4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3582A 2021-06-28 2021-06-28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KR10245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82A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1-06-28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582A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1-06-28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17B1 true KR10245281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582A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1-06-28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694B2 (ja) * 2001-10-03 2006-11-01 旭硝子ポリウレタン建材株式会社 ドレンカバ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系塗膜防水工法
KR100830610B1 (ko) * 2007-07-13 2008-05-22 서기원 직선부와 원호부의 선택 용착을 가능케 하는 방수용 테이프열풍용착기의 하부롤러 구동체
KR101354079B1 (ko) 2013-04-30 2014-01-24 주식회사 희양건설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KR20190010981A (ko) 2017-07-24 2019-02-01 주안건설 주식회사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2260254B1 (ko) * 2020-01-23 2021-06-0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윈 친환경 부표 제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694B2 (ja) * 2001-10-03 2006-11-01 旭硝子ポリウレタン建材株式会社 ドレンカバ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系塗膜防水工法
KR100830610B1 (ko) * 2007-07-13 2008-05-22 서기원 직선부와 원호부의 선택 용착을 가능케 하는 방수용 테이프열풍용착기의 하부롤러 구동체
KR101354079B1 (ko) 2013-04-30 2014-01-24 주식회사 희양건설 자동 스터드 열접착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제조된 스터드 그립시트
KR20190010981A (ko) 2017-07-24 2019-02-01 주안건설 주식회사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2260254B1 (ko) * 2020-01-23 2021-06-0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윈 친환경 부표 제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555B1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6038A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49419A1 (en) Draining construction wrap and methods for same
KR100885944B1 (ko) 콘크리트 표면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1274437B2 (en) Draining construction framework and methods for same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452817B1 (ko)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KR101003735B1 (ko) 이중 단열방수 구조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982188B1 (ko) 욕실 건식 방수 구조
KR200396919Y1 (ko) 방수시트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KR100650374B1 (ko)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0342539B1 (ko) 다층복합형방수시공방법
KR101164400B1 (ko) 폴리염화비닐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6306A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0271421B1 (ko)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CN207110322U (zh) 一种外墙防水结构
KR20190010981A (ko)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JP2010216134A (ja) 防水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1032864A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CN210947440U (zh) 一种用于屋面女儿墙泛水处的sbs防水卷材
CN101696595B (zh) 外墙用保温装饰板的施工工艺
JP2008008076A (ja) 外装材及び外装構造
RU188028U1 (ru)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ая шпо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