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981A -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 Google Patents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981A
KR20190010981A KR1020170093311A KR20170093311A KR20190010981A KR 20190010981 A KR20190010981 A KR 20190010981A KR 1020170093311 A KR1020170093311 A KR 1020170093311A KR 20170093311 A KR20170093311 A KR 20170093311A KR 20190010981 A KR20190010981 A KR 20190010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asphalt
layer
sheet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0981A/ko
Publication of KR2019001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용 도막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의 도막층을 구현하여 이를 기반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도막층 및 방수시트층만으로 기존의 다층 복합방수구조와 대응되거나 향상된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및 그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를 통해 마감하는 공정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어 해당 공정의 작업성 향상 및 열융착 시트의 열융착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하되,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Welding type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using PVC sheet and complex waterproofing structure therefor}
본 발명은 방수용 도막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의 도막층을 구현하여 이를 기반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도막층 및 방수시트층만으로 기존의 다층 복합방수구조와 대응되거나 향상된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및 그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를 통해 마감하는 공정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어 해당 공정의 작업성 향상 및 열융착 시트의 열융착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건축 구조물들이 점차 복합화, 대형화, 기술 집약화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건축 동향을 반영하여 더욱 시스템적이고 고성능을 얻을 수 있는 건설 방법과 보수 및 보수 재료들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또는 교량 등과 같이 외부 환경 요인과 많이 접촉하는 건축 구조물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화 부위가 습기에 쉽게 노출되면서 열화 인자의 침입이 쉬워져 구조물의 수명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문제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 요인과 많이 접촉하는 건축 구조물 표면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처리 방법과 방수 재료 등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과거의 방수 관련한 건설 기술은 지붕 및 옥상의 방수 공법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및 교량 등의 누수 보수를 위한 방수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및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건축물의 형태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아스팔트 방수용 시트 및 도막 방수제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고가의 수입 제품을 대체하기 위한 방수 공법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에 시행되는 방수 처리 방법으로는 침투식 방수 공법, 도막식 방수 공법 및 시트식 방수 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침투식 방수 공법은 무기계 화합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미세 공극을 따라 방수제를 침투시켜 콘크리트 내의 칼슘 성분과 방수제의 결합에 의한 확산으로 수막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도막식 방수 공법은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으로써, 접착력이 우수한 합성 고무계, 아스팔트계, 합성 수지계 방수제를 건축 구조물 표면에 도포하여 방수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즉, 클로로프렌 고무 등과 같은 합성 고무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 무기질 충전제, 섬유, 첨가제 및 안료 등의 휘발성 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점도의 용액을 도포한 다음, 상기 용제를 휘발시켜 방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시트식 방수 공법은 유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 표면에 점착력이 높은 시트를 점착시켜 매우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트식 방수 공법은 가열 용해한 고무 혼합 아스팔트가 함침된 두께 1.0∼3.5㎜, 폭 1m 정도의 부직포 또는 직포 시트에 광물질 분말을 추가로 도포하여 롤 형태의 시트를 제조한 후 이렇게 제조된 시트 이면을 버너로 녹여서 콘크리트 건축물 표면에 붙이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막식 방수 공법은 통상 서로 다른 소재의 여러 도막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해야 하고 또한 아래쪽의 도막층이 건조된 후 그 위쪽의 도막층을 시공해야 하는데 따른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동시에 그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지는 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트식 방수 공법은 통상 방수용 시트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접착 기능을 통해 해당 방수용 시트 간의 마주하는 단부를 포개지는 상태로 연결 후 해당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로 마감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방수용 시트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해당 방수용 시트의 서로 포개지지 않는 영역에도 접착제가 묻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되고 이는 열융착 시트를 통한 마감 공정의 작업성 및 열융착 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방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방수 기능은 저하되지 않거나 오히려 우수한 방수 공법이 방수 시공의 현장에서 꾸준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94호(2016.10.18.공고), “매쉬 함침형 이중 방수시트 및 이와 유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268299호(2013.05.28.공고), “시트 조립형 방수공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방수용 도막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의 도막층을 구현하여 이를 기반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도막층 및 방수시트층만으로 기존의 다층 복합방수구조와 대응되거나 향상된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및 그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를 통해 마감하는 공정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고 이를 통해 해당 공정의 작업성 향상 및 열융착 시트의 열융착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하되,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PVC 복합시트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된 상기 조인트 시트가 4∼6㎝의 폭으로써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하되,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에는, 상기 PVC 복합시트가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건조 전 접착성을 매개로 해당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VC 복합시트로써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매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의 복합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는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과,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의 표면에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의 건조 전 접착력을 매개로 PVC 복합시트들이 부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PVC 복합시트는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과 마주하는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에 부착되며, 상기 PVC 복합시트들은 다른 PVC 복합시트와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해당 PVC 복합시트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의 배치를 이루면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PVC 복합시트층과,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는 조인트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C 복합시트는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메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수용 도막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의 도막층이 구현되고 이를 기반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도막층만으로 기존의 다층 복합방수구조와 대응되거나 향상된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복합방수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및 그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를 통해 마감하는 공정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고 이를 통해 복합방수 시공 과정에서 해당 공정의 작업성 향상 및 열융착 시트의 열융착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에서 요부 중 하나인 PVC 복합시트를 단면 형태로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설명에 앞서, 이어서 설명될 단계(S110) 이전에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대한 상태점검 및 기본바탕 정리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즉, 레이턴스 및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의 보수, 보강 및 열화나 불량 부분의 보수 작업이 선행된다.
그리고 단계(S110)에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가 도포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아스팔트 프라이머의 사용량이 1㎡당 0.3㎏이 도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정해지고, 또한 도포 작업에 로울러 붓 등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아스팔트 프라이머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 중 바닥면 및 벽체 모두에 도포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단계(S110)의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에 부착한다. 이때,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다시 말해 PVC 복합시트들 간 겹침이나 간격 띄움이 없이 연속적으로 부착되게 하며, 이에 따라 기존의 시트식 방수 공법에서 방수용 시트를 포개지는 상태로 연결하고 이를 위해 방수용 시트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여러 난점들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계(S12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PVC 복합시트는 단계(S110)에 따른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건조 전에 해당 아스팔트 도막재의 점성을 매개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PVC 복합시트는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고도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견고하고 기밀 및 수밀이 잘 유지되는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30)에서 사용되는 PVC 복합시트는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매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의 복합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계(S120)은 PVC 복합시트로써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매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의 복합시트가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접착성을 매개로 해당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PVC 복합시트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 중 바닥면에만 부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S140)에서,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140)에는 PVC 복합시트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된 조인트 시트가 4∼6㎝의 폭으로써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단계(S140)에는 테이핑 용접용의 전용의 웰딩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50)에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의 모서리 부분에 보강 기능을 갖는 전용의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가 부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의 바닥면 다시 말해 PVC 복합시트의 테두리 영역에 포개지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가 10㎝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S160)에서, 방수 시공의 이루어지는 모체 면 중 벽체에 아스팔트 도막이 2차로 도포된다.
이때, 2차로 도포되는 아스팔트 도막은 단계(S150)을 통해 부착된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 중 벽체와 대응되는 영역의 표면을 덮는 형태로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2차로 도포되는 아스팔트 도막의 사용량은 1㎡당 1㎏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에서 요부 중 하나인 PVC 복합시트를 단면 형태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100)는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 PVC 복합시트층(130), 조인트 시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방수구조(100)는 모서리 처리부재(150),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160) 및 벽체용 2차 아스팔트 도막층(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건축구조물 내지 토목구조물의 바닥면(10)은 물론 벽체(20)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PVC 복합시트층(130)은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의 표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의 건조 전 접착력을 매개로 PVC 복합시트(131)들이 부착되어 형성되되, PVC 복합시트(131)는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과 마주하는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132)이 형성되어 이러한 아스팔트 도막재층(132)이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에 부착된다. 또한, PVC 복합시트(131)들은 다른 PVC 복합시트(131)와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해당 PVC 복합시트(131)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의 배치를 이루면서 아스팔트 도막층(120)의 표면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 PVC 복합시트(131)들은 상호 간 겹침이나 간격 띄움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부착된다.
도 3은 이러한 PVD 복합시트(131)의 일 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PVC 복합시트(131)는 열가소성 PVC 상지층(131a)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131b)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메쉬(131c)가 적층 및 혼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PVC 복합시트는 성형성을 높이기 위하여 Poly vinil chloride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 고분자계 연결 PVC 시트를 사용하며, 여기에 난연 PVC와 폴리에스테르 메쉬를 첨가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열융착시 열악한 환경에서도 융착 성능이 좋고 또한 저온에서도 유연성이 확보되어 겨울철 야외 시공 등 기온이 낮은 장소에서의 시공 시에도 원활한 시공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조인트 시트(140)는 PVC 복합시트(131)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을 통해 부착된다. 즉, 조인트 시트(140)는 PVC 복합시트(131)들 간의 서로 접하는 영역에 영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131)들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모서리 처리부재(150)는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의 바닥면(10) 및 벽체(20)가 마나는 모서리 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서리 처리부재(150)는 바닥면(10) 및 벽체(20)가 만나는 직각 영역에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을 직접 형성 시 직각으로 접히는 영역에서 균열이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이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모서리 처리부재(150)의 일면은 라운드를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160)는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의 바닥면(10) 및 벽체(20)가 만나는 모서리 영역에 부착되어 보강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160)는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의 바닥면(10) 다시 말해 PVC 복합시트(131)의 테두리 영역까지 포개지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벽체용 2차 아스팔트 도막층(170)은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모체 면 중 벽체(20)에 도포된다. 즉, 벽체용 2차 아스팔트 도막층(170)은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160) 중 벽체(20)와 대응되는 영역 및 벽체(20)에 시공된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110)을 덮는 형태로 시공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는, 방수용 도막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의 도막층을 구현하여 이를 기반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도막층만으로 기존의 다층 복합방수구조와 대응되거나 향상된 방수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방수용 시트 간의 연결 및 그 연결 부위를 열융착 시트를 통해 마감하는 공정을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고 이를 통해 복합방수 시공 과정에서 해당 공정의 작업성 향상 및 열융착 시트의 열융착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바닥면 20 : 벽체
100 : 복합방수구조 110 :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
130 : PVC 복합시트층 131 : PVC 복합시트
131a : PVC 상지층 131b : PVC 하지층
131c : 폴리에스테르 메쉬 132 : 아스팔트 도막재층
140 : 조인트 시트 150 : 모서리 처리부재
160 : 자착식 아스팔트 시트 170 : 벽체용 2차 아스팔트 도막층

Claims (6)

  1.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하되,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조인트 시트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어 해당 PVC 복합시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PVC 복합시트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된 상기 조인트 시트가 4∼6㎝의 폭으로써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도포된 PVC 복합시트를 그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하되,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에는,
    상기 PVC 복합시트가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의 건조 전 접착성을 매개로 해당 아스팔트 도막재의 층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VC 복합시트로써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매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의 복합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5.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면에 프라이머 성분 및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도막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의 표면에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의 건조 전 접착력을 매개로 PVC 복합시트들이 부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PVC 복합시트는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과 마주하는 일면에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스팔트 도막재층이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막층에 부착되며, 상기 PVC 복합시트들은 다른 PVC 복합시트와 마주하는 방향의 단부가 해당 PVC 복합시트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의 배치를 이루면서 상기 아스팔트 도막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PVC 복합시트층;
    상기 PVC 복합시트들 간 서로 접하는 영역에 열융착을 통해 부착되는 조인트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VC 복합시트는 열가소성 PVC 상지층 및 열가소성 PVC 하지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메쉬가 적층 및 혼입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구조.
KR1020170093311A 2017-07-24 2017-07-24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20190010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11A KR20190010981A (ko) 2017-07-24 2017-07-24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11A KR20190010981A (ko) 2017-07-24 2017-07-24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81A true KR20190010981A (ko) 2019-02-01

Family

ID=6536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311A KR20190010981A (ko) 2017-07-24 2017-07-24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0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2-10-07 최순희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99B1 (ko) 2012-09-19 2013-05-28 (주) 진일건설 시트 조립형 방수공법
KR101667194B1 (ko) 2016-05-11 2016-10-18 강병선 매쉬 함침형 이중 방수시트 및 이와 유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99B1 (ko) 2012-09-19 2013-05-28 (주) 진일건설 시트 조립형 방수공법
KR101667194B1 (ko) 2016-05-11 2016-10-18 강병선 매쉬 함침형 이중 방수시트 및 이와 유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17B1 (ko) 2021-06-28 2022-10-07 최순희 배관구용 방수 커버 제작장치 및 배관구용 방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555B1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1028850B1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KR20060136038A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4239795A (en) Protective layer for surface seals in building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US20030054127A1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KR1014912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20190010981A (ko)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200396919Y1 (ko) 방수시트
KR20023389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트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US20160097278A1 (en) Waterproofing system for exposed rock surfaces
KR101164400B1 (ko) 폴리염화비닐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90161A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0342539B1 (ko) 다층복합형방수시공방법
KR100238994B1 (ko)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99734B1 (ko) 방수 시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8121375A (ja) 防水施工方法
KR101472053B1 (ko) 자착식 이음매가 구비된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9748B1 (ko) 부분절연식 복합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JP4936752B2 (ja) 防水構造
JP3332223B2 (ja) 防水工法
CN210947440U (zh) 一种用于屋面女儿墙泛水处的sbs防水卷材
KR20230027340A (ko)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8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04

Effective date: 2019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