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340A -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340A
KR20230027340A KR1020210108431A KR20210108431A KR20230027340A KR 20230027340 A KR20230027340 A KR 20230027340A KR 1020210108431 A KR1020210108431 A KR 1020210108431A KR 20210108431 A KR20210108431 A KR 20210108431A KR 20230027340 A KR20230027340 A KR 2023002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weight
part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식
김성민
홍이표
Original Assignee
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식 filed Critical 고영식
Priority to KR102021010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340A/ko
Publication of KR2023002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8L9/08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을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혼합한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하고, 시트방수층의 상부와 하부에 도막방수층을 2중으로 형성하여 방수층을 두껍게 형성하면서 시트와 도막층을 일체화시켜 하나의 방수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시트방수층을 이음매가 없는 방수층으로 시공하여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두꺼운 방수층으로 인하여 우수한 신축률을 갖게 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4-layer composit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층을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혼합한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하고, 도막방수층이 2중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에 부착된 시트방수층이 일체화되어 시공되며, 시트방수층을 이음매가 없는 방수층으로 시공하여 수밀성이 크게 향상되고 두꺼운 방수층으로 인하여 뛰어난 신축률을 갖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트방수는 공장에서 생산된 방수시트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열융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시트가 규격화되어 있어서 방수층의 두께가 균일하고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시트와 시트의 이음부위에서 결함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도막방수는 액상의 방수제를 바탕면에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액상의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것만으로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고 복잡한 바탕면에 시공하더라도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지만, 콘크리트 바탕면은 아무리 시공을 잘해도 요철과 굴곡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요철과 굴곡을 따라 도막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트방수와 도막방수의 단점을 서로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수 있는 복합방수공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허등록 제238994호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특허등록 제1015120호 "바탕조정용 방수도막재와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특허등록 제1173410호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오랜 기간 동안 현장에서 직접 방수시공을 해오면서 방수시공에서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특허등록 제10-1531210호 "3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개발하여 특허받아 많은 현장에 시공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상기 특허 뿐만 아니라 어떤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을 하더라도 방수층의 가장 취약한 부분은 시트방수층에서 시트와 시트가 연결되는 이음매 즉 조인트 부분이므로, 방수시공에서 시트의 조인트 부분은 매우 중요한 시공 포인트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한 방수구조에서 시트방수층의 시트와 시트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이음매 부분의 처리 구조 및 방식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방수시공에서 하자를 줄일 수 있는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층을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혼합한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하고, 시트방수층의 상부와 하부에 도막방수층을 2중으로 형성하여 방수층을 두껍게 형성하면서 시트와 도막층을 일체화시켜 하나의 방수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시트방수층을 이음매가 없는 방수층으로 시공하여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두꺼운 방수층으로 인하여 우수한 신축률을 갖게 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구조는,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제1도막방수층; 상기 제1도막방수층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시트방수층; 상기 시트방수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제2도막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도막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된 방수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2∼58중량부, SB-LATEX 31∼38중량부, 유화제 10∼14중량부, 분산제 6∼10중량부, 안정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38∼58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2∼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10∼15중량부, 열가소성수지 3∼5중량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5∼10중량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4∼7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시트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직포로 제작되고, 상기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 중심보강재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부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0∼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5∼15중량부, NBR 5∼10중량부를 혼합 가열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시트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직포로 제작되고, 상기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 중심보강재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하부와 제2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각각 함침되면서 부착되는 부직포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0∼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5∼15중량부, NBR 5∼10중량부를 혼합 가열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0.3∼0.4ℓ/㎡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프라이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1차로 도포하는 단계; 도막방수제가 경화되기 전에, 도막방수제 상부 전면(全面)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키는 단계; 방수시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2차로 도포하는 단계; 2차로 도포된 도막방수제 상부에 PE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은 방수층을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혼합한 복합방수공법으로 시공하는데, 프라이머층 상부에 도포한 제1도막방수층의 도막제가 경화되기 전에 그 상부에 방수시트를 펼쳐서 일체가 되도록 부착시키고, 곧바로 방수시트 상부에 다시 도막제를 도포하여 제2도막방수층을 시공하며, 도막제와 시트가 동질(同質)의 고무아스팔트를 사용하므로 방수시트가 그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의 도막방수제와 일체화되면서 방수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와 시트가 연결되는 부위에 이음매가 생기지 않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시트방수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시트와 시트의 이음매 부위가 없으므로 조인트 부위에서의 누수가 차단되어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도막방수층이 2중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부착된 방수시트와 일체화되어 하나의 도막방수층처럼 되면서 방수층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신축률이 매우 우수하여 바탕면의 미세균열과 외기온도에 따른 신축에 방수층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와 2b는 방수시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의 기술적 특징은, 시트방수와 도막방수를 혼합한 복합방수공법으로 방수층을 형성하면서, 도막방수층을 2중으로 형성하면서 그 사이에 형성하는 시트방수층을 이음매가 없는 방수층으로 시공하여 조인트 부위에서의 누수를 차단하여 수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도막방수층과 방수시트가 일체화되어 두꺼운 하나의 방수층이 형성되게 되어 신축률이 우수하여 바탕면의 미세균열과 외기온도에 따른 신축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붕, 지하 외벽, 지하바닥, 지상 비노출바닥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 적용하며, 4중층이라고 한 것은 방수층이 바탕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과, 2중으로 도포되는 제1 및 제2도막방수층과, 도막방수층 사이에 시공되는 시트방수층의 4겹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명명한 것이다.
콘크리트 바탕면(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합방수층(10)은, 하부로부터 프라이머층(11), 제1도막방수층(12), 시트방수층(13), 제2도막방수층(1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2도막방수층(12')의 상부에 방수보호층(15)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막방수는 표면에 약간의 잔류 수분이 있어도 증기가 발생하여 방수층에 부풀음(에어포켓)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접착층 표면의 건조상태를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먼지, 진흙, 기타 유해물을 제거하는 청소를 해야 하고, 청소작업이 끝난 후에 로라, 뿜칠기구 또는 고무주걱 등으로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1)을 형성한다. 프라이머층(11)은 콘크리트 바탕면을 상부에 도포되는 일종의 접착제이면서 방수층의 역할도 하게 된다.
제1도막방수층(12)은 프라이머층(11)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층이고, 제1도막방수층(12)의 상부에는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시트방수층(13)을 형성하며, 시트방수층(13)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제2도막방수층(12')을 형성한 구조이다.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제2도막방수층(12')의 상부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하여 방수보호층(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제1 및 제2도막방수층(12, 12')을 이루는 도막제의 주성분은 고무아스팔트인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2∼58중량부, SB-LATEX 31∼38중량부, 유화제 10∼14중량부, 분산제 6∼10중량부, 안정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숙성(안정화) 및 냉각시킨 것으로, 액상 상태의 도막방수제이다.
유화제는 유성인 아스팔트와 수성인 합성고무 라텍스가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하여 에멀젼 상태의 연장과 안정화를 유지시켜 이들의 분리를 방지하는 물질이고, 분산제는 RONDIS-K를 사용하는데 아스팔트와 라텍스가 섞였을 때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물질이며, 안정제는 아스팔트와 라텍스가 섞였을 때 안정화시키는 물질이다. 특수첨가제는 고무아스팔트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이데, 예를 들면 점착력 및 접착력 강화와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검로진과 같은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12, 12')을 이루는 도막제 주성분인 고무아스팔트의 다른 실시예는 아스팔트 38∼58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2∼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10∼15중량부, 열가소성수지 3∼5중량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5∼10중량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4∼7중량부를 혼합여 숙성(안정화)시킨 것으로, 덩어리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사용할 때는 180∼250℃의 열을 가해서 녹여서 도막제로 도포하게 된다.
아스팔트의 함량은 38∼58중량부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38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융점이 높아져 유동성이 감소하고 가소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58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감소되고, 경도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합성고무)은 아스팔트를 개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이드로카본형 오일은 조성물의 유동성, 분산성 및 아스팔트의 물성 강화제로 사용되며, 소량 사용시 방수제의 인장성능이나 내열성능 향상을 확보하기 곤란하며, 그 양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가소성을 상실하여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오일은 10∼15중량부를 혼합하는 적이 적절하다.
도 2a에 도시한 방수시트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시트방수층(13)을 형성하는 방수시트에 대하여 설명하면, 방수시트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직포로 제작되어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132)와, 중심보강재(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과,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 상부에 부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15)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이다.
방수시트에서 제1 및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 131')의 주재료인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0∼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5∼15중량부, NBR 5∼10중량부를 혼합한 것으로, 덩어리 형태이기 때문에 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포할 때는 180∼250℃의 열을 가해서 녹여서 도포하여 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방수시트에서 고무아스팔트 시트층의 고무아스팔트의 주성분이 도막방수제의 성분과 동질(同質)이기 때문에 도막방수층과 시트방수층이 접착이 잘 이루어져서 일체화되게 된다.
도 2b에 도시한 방수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시트방수층(13')을 형성하는 방수시트에 대하여 설명하면, 방수시트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과, 폴리프로필렌(PP) 직포로 제작되어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132)와, 중심보강재(132)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과,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131) 하부와 제2아스팔트 시트층(131') 상부에 각각 함침되면서 부착되는 부직포(135, 135')가 적층되어 구성된 것이다. 고무아스팔트의 성분은 도 2a에 도시한 방수시트와 동일하고, 방수시트의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135, 135')가 배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돌출된 섬유가 도막방수제에 함침되게 되므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12, 12')과 시트방수층(13)의 결합력이 훨씬 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4중층 복합방수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0.3∼0.4ℓ/㎡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1), 프라이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1차로 도포하는 단계(S2), 도막방수제가 경화되기 전에 도막방수제 상부 전면(全面)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키는 단계(S3), 방수시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2차로 도포하는 단계(S4), 2차로 도포된 도막방수제 상부에 PE 필름 또는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하는 단계(S5)를 거쳐서 복합방수구조를 시공한다.
프라이머층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S2 단계는, S1 단계에서 도포한 프라이머가 손에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양생이 되면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 또는 컴파운드를 바탕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균일하게 도포한다.
또한, 1차로 도포한 도막방수제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1도막방수층(12) 상면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킨다. 제1도막방수층(12)의 도막제가 완전히 굳기 전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키기 때문에 제1도막방수층(12)의 도막제와 방수시트가 일체화되어 접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가 경화되지 않은 도막제 상부에 부착되면서 시트와 도막제의 고무아스팔트 재질이 동질(同質)이기 때문에 강력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면서 이음매 없는 방수시트층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트 상호간에는 50∼100㎜ 정도 겹쳐지게 부착시키기 때문에 시트가 도막제에 부착된 부분은 일체화 되지만, 시트와 시트가 겹쳐진 부분에서 상부에 있는 부분은 도막제에 접착되지 않게 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겹친 부위 즉 조인트 부분에서 하부에 있는 시트는 시트 전체가 제1도막방수층(12)의 도막제와 강력하게 접착하여 일체화되게 되고, 겹친 부위에서 상부에 있는 시트 부위는 자착에 의해 하부에 있는 시트 부위와 접착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토치램프나 버너로 가열하여 열융착으로 부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단계에서 방수시트를 부착시킨 후에 곧바로 방수시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2차로 도포하는 S4 단계를 진행하게 되는데, 제2도막방수층(12')으로 도포된 도막제가 굳으면서 방수시트와 일체화되게 된다, 따라서 제1도막방수층(12)과 방수시트에 의해 형성된 방수시트층(13) 및 제2도막방수층(12')이 일체화되면서 두꺼운 하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막제가 굳기 전에 방수시트를 부착시켜 시공하고, 제1 및 제2도막방수층(12, 12')을 이루는 도막제의 주성분인 고무아스팔트와 방수시트의 주성분인 고무아스팔트가 동질(同質)이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접착이 잘 되므로, 2중의 도막방수층과 시트방수층이 일체화되어 두꺼운 하나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복합방수층
11 : 프라이머층
12, 12' : 제1 및 제2도막방수층
13, 13' : 시트방수층 131, 131' : 고무아스팔트 시트층
132 : 중심보강재 133 : 폴리에틸렌 필름
135, 135' : 부직포
15 : 방수보호층
20 : 콘크리트 바탕면

Claims (7)

  1. 콘크리트 바탕면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수구조는,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제1도막방수층;
    상기 제1도막방수층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시트방수층;
    상기 시트방수층 상부에 고무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는 도막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제2도막방수층;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막방수층의 상부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된 방수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2∼58중량부;
    SB-LATEX 31∼38중량부;
    유화제 10∼14중량부;
    분산제 6∼10중량부;
    안정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5∼10중량부;
    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38∼58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2∼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10∼15중량부;
    열가소성수지 3∼5중량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5∼10중량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4∼7중량부;
    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직포로 제작되고, 상기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
    상기 중심보강재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기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부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
    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0∼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5∼15중량부, NBR 5∼10중량부를 혼합 가열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직포로 제작되고, 상기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중심보강재;
    상기 중심보강재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무아스팔트 시트층;
    상기 제1고무아스팔트 시트층 하부와 제2아스팔트 시트층 상부에 각각 함침되면서 부착되는 부직포;
    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무아스팔트는, 아스팔트 40∼60중량부,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10∼20중량부, 하이드로카본형 오일 5∼15중량부, NBR 5∼10중량부를 혼합 가열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구조.
  7. 콘크리트 바탕면의 표면에 0.3∼0.4ℓ/㎡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프라이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1차로 도포하는 단계;
    도막방수제가 경화되기 전에, 도막방수제 상부 전면(全面)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키는 단계;
    방수시트 상부에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를 2차로 도포하는 단계;
    2차로 도포된 도막방수제 상부에 PE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층 복합방수의 시공방법.
KR1020210108431A 2021-08-18 2021-08-18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27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31A KR20230027340A (ko) 2021-08-18 2021-08-18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31A KR20230027340A (ko) 2021-08-18 2021-08-18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340A true KR20230027340A (ko) 2023-02-28

Family

ID=8532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31A KR20230027340A (ko) 2021-08-18 2021-08-18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KR101219636B1 (ko) 방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 및 삼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680555B1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4295911A (en) Protective layer for surface seals in building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N104251140B (zh) 一种地下工程用复合防水层及其制备和施工方法
KR101988801B1 (ko) 교면용 가열 복합방수공법
KR20060136038A (ko)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912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CN105401962B (zh) 侧墙、工程顶面的全密封防水施工方法
CN110116523A (zh) 具有防粘涂料预浸布的预铺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0444907B1 (ko)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CA2938593C (en) Joint structure at end of concrete floor slab of bridge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20230027340A (ko) 4중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396919Y1 (ko) 방수시트
KR20130013164A (ko) 열가소성 비가황부틸고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틈새 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204745B1 (ko)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구조체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US20160097278A1 (en) Waterproofing system for exposed rock surfaces
KR100916179B1 (ko) 개량된 도막방수공법
KR100342539B1 (ko) 다층복합형방수시공방법
KR100238994B1 (ko)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