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75U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75U
KR20190000375U KR2020180003347U KR20180003347U KR20190000375U KR 20190000375 U KR20190000375 U KR 20190000375U KR 2020180003347 U KR2020180003347 U KR 2020180003347U KR 20180003347 U KR20180003347 U KR 20180003347U KR 20190000375 U KR20190000375 U KR 201900003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fabric
skin
fac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 와카스기
아키라 시바타
유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0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과제] 본 개시는,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쉬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마스크(1)는, 세로 방향(L) 및 가로 방향(C)을 갖는 마스크 본체(3)와, 귀걸이부(5)를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과 피부 비대향면(S2)을 구비하며, 플리츠 구조(P)를 갖고,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의 각각에 있어서, 절결부(15)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17)과,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으로 구획되며, 마스크 본체(3)는, 적어도 절결부 형성 영역(17)에 있어서, 절결부(15)를 덮는 사이드 시트(13)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에 있어서, 세로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29)를 갖고, 절결부 형성 영역(17)의 강성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의 강성보다 낮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개시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분(花粉)용 마스크나 위생 마스크 등, 여러 가지 형상의 마스크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마스크 본체와, 착용자의 양 귀 또는 머리 부분에 걸므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를 장착자의 안면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2개의 끈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를 향해 1 또는 복수의 절입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를 향해 1 또는 복수의 절입이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코 주위나 귀측으로부터의 공기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137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 시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가,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이, 착용자의 안면의 형상을 따라 만곡한다. 상기 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를 향해 1 또는 복수의 절입이 형성됨으로써, 착용 시에 있어서, 상기 절입이 상기 양측의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양측과 착용자의 안면의 밀착성을 높여,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착용 시에 있어서는, 상기 양측에 형성된 당해 절결이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되기 쉽기 때문에, 착용자가, 그 안면에 있어서 가려움이나 아픔 등의 위화감을 느끼기 쉬웠다.
그래서, 본 개시는,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쉬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플리츠(pleats)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절결부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과, 절결부 비형성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쉬운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를 피부 비대향면(S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를 피부 대향면(S1)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양태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플리츠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절결부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과, 절결부 비형성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은
상기 마스크.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플리츠 구조 및 상기 구성을 갖는 엠보스부에 의해, 착용 시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保形性)을 유지하기 쉽고, 상기 절결부를 구비함으로써, 당해 절결부가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때문에,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적어도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시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절결부가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닿는 것을 억제하기 쉽고,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절결부 형성 영역이 착용자의 안면에 닿아도,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의 마스크는,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양태 2]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을 갖는, 양태 1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을 가짐으로써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과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의 2층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쉬우며,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양태 3]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은 직물이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포백이 용단(溶斷)되어 있는, 양태 2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은, 직물이기 때문에 흡습성을 유지하면서 땀이 차기 어렵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포백이 용단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용단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포백과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이 용착되어, 양 포백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쉽고 마스크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쉬우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양태 4]
상기 합성 섬유 포백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혀진 제1 접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음부가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을 덮고 있는, 양태 2 또는 3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하단 가장자리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이 상기 합성 섬유 포백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하단 가장자리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 본 개시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양태 5]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은, 상기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혀진 제2 접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양태 4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하단 가장자리부 근방에 있어서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이 높아져, 본 개시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양태 6]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양태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이 착용자의 안면에 닿아도, 당해 부분이 엠보스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본 개시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려워,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양태 7]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되는 보조 엠보스부를 갖는, 양태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보조 엠보스부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더 한층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본 개시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이하, 본 개시의 마스크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예컨대, 마스크 등)을, 수직 방향의 상방측으로부터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간단히 「평면시(平面視)」라고 하고, 또한, 당해 평면시에 의한 도면은 「평면도」라고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이용하는 각종 방향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이하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로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형상의 대상물의 상하의 방향」을 가리키고, 「가로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형상의 대상물의 좌우의 방향」을 가리키며, 「두께 방향」은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에 대해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이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평면 방향」이란, 대상물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대상물(예컨대, 마스크 등)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상물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近位)측」을 「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하고, 「대상물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遠位)측」을 「피부 비대향면측」이라고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대상물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예컨대, 마스크 본체, 셀룰로오스 포백, 합성 섬유 포백 등)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 및 「피부 비대향면측의 표면」을, 각각 간단히 「피부 대향면」 및 「피부 비대향면」이라고 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를 피부 비대향면(S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를 피부 대향면(S1)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와, 마스크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귀걸이부(5, 5)를 구비한다.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할 때에는, 마스크 본체(3)를 착용자의 안면에 대향하도록 대고, 착용자의 양 귀의 각각에 귀걸이부(5)를 걸어 장착된다.
[마스크 본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는, 세로 방향(L)과 가로 방향(C)을 갖고,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 평면시로 가로 방향(C)으로 장척(長尺)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과, 피부 대향면(S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S2)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는, 피부 대향면(S1)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과 피부 비대향면(S2)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의 2층 구조를 갖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포백은, 예컨대 타입(打入) 개수 80∼120개의 거즈, 목면포 등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료 중, 통기성, 흡습성이나 촉감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 포백은,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된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 포백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료여도 좋으나, 합성 섬유 포백의 상단 가장자리, 하단 가장자리의 각각이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스 처리가 행해지는 관점에서, 상기 합성 섬유는, 열융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과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 사이에, 미립자를 흡착시키는 필터 기능 및/또는 방향제, 항균제를 포함하는 중간 시트를 개재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3a) 및 하단 가장자리(3b)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가로 방향(C)에 있어서의 양측부의 각각에, 세로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측가장자리부(3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가로 방향(C)에 있어서의 길이는, 10 ㎜이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5 ㎜∼20 ㎜ 정도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마스크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는, 후술하는 사이드 시트(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 3c) 각각은, 후술하는 절결부(15)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17)과 당해 절결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으로 구획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치수, 즉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 사이의 길이는,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 즉 비전개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0 ㎜∼100 ㎜ 정도이고,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는, 140∼180 ㎜ 정도이다.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성인 착용자의 표준적인 크기의 볼 및 턱 부분을 충분히 피복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착용 시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S2)측으로 융기하기 위한 플리츠 구조(P)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에는, 마스크 본체(3)의 상단 가장자리(3a)의 근위측으로부터, 제1 주름부(27a)와 제2 주름부(27b)와 제3 주름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름부(27a)∼제3 주름부(27c)의 각각의 구성 내지 위치 관계는, 마스크 본체(3)의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 즉 비전개 상태에 있어서 이하와 같다.
제1 주름부(27a)는, 제1 기부(基部; 21a)와; 제1 기부(21a)와 제1 꼭대기부(23a) 사이의 자락부(S3)와; 제1 꼭대기부(23a)와; 제1 꼭대기부(23a)와 제2 기부(21b) 사이의 자락부(S4)를 포함한다. 제1 주름부(27a)에 있어서, 제1 꼭대기부(23a)는, 상단 가장자리(3a)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주름부(27a)에 있어서, 자락부(S3)의 세로 방향(L)의 길이는, 자락부(S4)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제2 주름부(27b)는, 제2 기부(21b)와; 제2 기부(21b)와 제2 꼭대기부(23b) 사이의 자락부(S5)와; 제2 꼭대기부(23b)와; 제2 꼭대기부(23b)와 제3 기부(21c) 사이의 자락부(S6)를 포함한다. 제2 주름부(27b)는, 제1 주름부(27a)보다 피부 비대향면(S2)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주름부(27b)에 있어서, 제2 꼭대기부(23b)는, 제1 주름부(27a)의 제1 꼭대기부(23a)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하고, 제2 기부(21b)는, 제1 주름부(27a)의 제1 기부(21a)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주름부(27b)에 있어서, 자락부(S5)의 세로 방향(L)의 길이는, 자락부(S6)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제3 주름부(27c)는, 제3 기부(21c)와; 제3 기부(21c)와 제3 꼭대기부(23c) 사이의 자락부(S7)와; 제3 꼭대기부(23c)와; 제3 꼭대기부(23c)와 바닥부(25) 사이의 자락부(S8)와; 바닥부(25)와; 바닥부(25)와 제4 기부(21d) 사이의 자락부(S9)와; 제4 기부(21d)를 포함한다. 제3 주름부(27c)는, 제2 주름부(27b)보다 피부 비대향면(S2)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제3 꼭대기부(23c)는, 제2 주름부(27b)의 제2 꼭대기부(23b)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하고, 제3 기부(21c)는, 제2 주름부(27b)의 제2 기부(21b)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제4 기부(21d)는, 제3 기부(21c)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바닥부(25)는,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보다 상단 가장자리(3a)측에 위치하고, 제4 기부(21d)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자락부(S7)의 세로 방향(L)의 길이와 자락부(S9)의 세로 방향(L)의 길이의 합은, 자락부(S8)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상단 가장자리(3a)와 제1 기부(21a) 사이의 기저부(S10), 제4 기부(21d)와 하단 가장자리(3b) 사이의 기저부(S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 주름부(27a)∼제3 주름부(27c) 및 기저부(S10), 기저부(S11)에 의해 형성되는 주름상자형 구조가 마스크 본체(3)의 플리츠 구조(P)이다.
마스크 본체(3)는,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 기저부(S10)와 자락부(S3)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4)와 자락부(S5)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6)와 자락부(S7)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9)와 기저부(S11)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겹쳐져 접혀짐으로써,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편평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마스크 본체(3)는, 마스크(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의 길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가 세로 방향(L)의 하방으로 잡아 늘려지고, 마스크 본체(3)가 피부 비대향면(S2)측으로 융기하여, Ω형상으로 변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크(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자락부(S8)는 가장 융기하는 면이며, 착용자의 코의 선단 또는 입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의 플리츠 구조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가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그 주름의 수나 주름의 방향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절결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 중앙 축선(CL)보다 하방의 위치에 절결부(15)를 갖고 있다. 절결부(15)는, 마스크 본체(3)의 가로 방향(C)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으로부터 가로 방향(C)의 내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 형상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3)는, 절결부(15)를 가짐으로써, 마스크(1)의 사용 시에 있어서, 당해 절결부(15)가 양측 가장자리부(3c, 3c) 각각의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과 착용자의 안면의 밀착성을 높여,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절결부(15)는, 마스크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대략 V자형으로 셀룰로오스 포백(9)이 절단되고, 합성 섬유 포백(11)이 용단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절결부(15)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17)과, 절결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으로 구획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절결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 또는 복수의 직선형, 곡선형 등의 각종 공지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절결부는, 기재 시트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당해 기재 시트가 복수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기재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끼리를 절단 및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 엠보스부, 접음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피부 대향면(S1) 및 피부 비대향면(S2)을 덮는 사이드 시트(13)를 갖는다. 사이드 시트(13)는,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3)의 기재 시트(7)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의,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절결부를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포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포백은,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된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포백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료여도 좋으나, 사이드 시트가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29)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부(29)는,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 즉,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과, 사이드 시트(13)를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스부(29)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2열씩 배치되어 있으나,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열 또는 3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에 있어서는, 엠보스부(29)를 갖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의 강성은,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의 강성보다 낮다.
한편,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절결부 형성 영역 및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각각의 강성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강성값은, 굽힘 강성 시험, 즉, 측정 대상의 시트재로부터 소정 사이즈(예컨대, 100 ㎜×10 ㎜)의 시험편을 잘라낸 후, 이 시험편의 각종 방향(즉, 측정 대상 부재의 세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절결부 형성 영역 또는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을, 단순 굽힘 시험기 KES FB-2(가토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 시트(7)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은, 마스크 본체(3)의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3b)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S1)측으로 접혀진 제1 접음부(31)를 갖고, 당해 제1 접음부(31)가, 셀룰로오스 포백(9)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포백(9)은, 하단 가장자리(3b)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S1)측으로 접혀진 제2 접음부(33)를 갖는다.
또한, 합성 섬유 포백(11)의 제1 접음부(31)의 세로 방향(L)의 길이(L1)는, 셀룰로오스 포백(9)의 제2 접음부(33)의 세로 방향(L)의 길이(L2)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합성 섬유 포백(11)의 제1 접음부(31)와, 셀룰로오스 포백(9)의 제2 접음부(33)는 모두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엠보스부(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 포백의 제1 접음부와 셀룰로오스 포백의 제2 접음부는, HMA 등의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는 또한, 세로 방향(L)의 중앙부에 있어서,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되는 보조 엠보스부(37)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엠보스부(37)는, 제2 주름부(27b)에 있어서의 자락부(S6)에서의, 마스크(1)의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 자락부(S5)와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 즉,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을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코 커버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셀룰로오스 포백(9)보다 더욱 피부 대향면(S1)측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3a)로부터 세로 방향(L)으로 연장되는 코 커버부(39)를 갖는다. 코 커버부(39)의 세로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를 L3이라고 하면, L3은, 마스크(1)의 착용 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3)의 세로 방향(L)의 길이의 30% 정도이다.
코 커버부(39)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코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코 커버부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은,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된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코 커버부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닿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마스크 본체의 플리츠 구조에 있어서의 제1 기부를 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도 1∼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상단 가장자리(3a)측에 설치되고, 상단 가장자리(3a)의 일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41)를 갖는다. 유지 부재(41)는, 합성 섬유 포백(11)과 셀룰로오스 포백(9) 사이에 배치되고, 주위에 배치된 엠보스부(43)에 의해 그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는, 박판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예컨대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41)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고, 일단 소정 형상으로 변형하면, 다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한 후에 유지 부재(41)를 코의 형상에 맞춰 변형시키면, 유지 부재(41)는, 마스크 본체(3)의 상단 가장자리(3a) 근방을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맞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 부재(41)는, 상단 가장자리(3a)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귀걸이부]
귀걸이부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고,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고무줄 등의 공지된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상기 플리츠 구조(P) 및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29)에 의해, 사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마스크 본체(3)가 절결부(15)를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구비함으로써, 절결부(15)가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때문에, 사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가,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에 있어서, 절결부(15)를 피부 비대향면(S2)측 및 피부 대향면(S1)측으로부터 덮는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시트(13)를 구비하기 때문에, 절결부(15)가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닿는 것을 억제하기 쉽고, 절결부 형성 영역(17)의 강성이,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의 강성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부 형성 영역(17)이 착용자의 안면에 닿아도,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사용 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을 가짐으로써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피부 비대향면(S2)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과 셀룰로오스 포백(9)의 2층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1)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고,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또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은, 직물이기 때문에, 흡습성을 유지하면서 땀이 차기 어렵다. 또한, 마스크 본체(3)가,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의 절결부(15)에 있어서, 합성 섬유 포백(11)이 용단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용단 부분에 있어서 합성 섬유 포백(11)과 셀룰로오스 포백(9)이 용착되어, 양 포백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쉽고 마스크(1)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쉬우며,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또한, 절결부 형성 영역(17)이 착용자의 안면에 닿아도, 당해 부분이 엠보스부(35)를 갖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려워,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보조 엠보스부(37)에 의해 마스크 본체(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더 한층 유지하기 쉬우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또한, 제1 접음부(31)에 의해,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이 합성 섬유 포백(11)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제2 접음부(33)에 의해,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이 높아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는, 전술한 실시형태나 예시적 기재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서수는, 당해 서수가 붙여진 사항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각 사항의 순서나 우선도, 중요도 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1: 마스크 3: 마스크 본체
3a: 상단 가장자리 3b: 하단 가장자리
3c: 측가장자리부 5: 귀걸이부
7: 기재 시트 9: 셀룰로오스 포백
11: 합성 섬유 포백 13: 사이드 시트
15: 절결부 17: 절결부 형성 영역
19: 절결부 비형성 영역 21a: 제1 기부
21b: 제2 기부 21c: 제3 기부
21d: 제4 기부 23a: 제1 꼭대기부
23b: 제2 꼭대기부 23c: 제3 꼭대기부
25: 바닥부 27a: 제1 주름부
27b: 제2 주름부 27c: 제3 주름부
29: 엠보스부 31: 제1 접음부
33: 제2 접음부 35: 엠보스부
37: 보조 엠보스부 39: 코 커버부
41: 유지 부재 43: 엠보스부
S1: 피부 대향면 S2: 피부 비대향면
S3∼S9: 자락부 P: 플리츠 구조
L1: 제1 접음부(31)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2: 제2 접음부(33)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3: 코 커버부(39)의 세로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

Claims (7)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플리츠(pleats)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절결부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과, 절결부 비형성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은 상기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을 갖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은 직물이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포백이 용단(溶斷)되어 있는 마스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포백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혀진 제1 접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음부가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을 덮고 있는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포백은, 상기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혀진 제2 접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마스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마스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세로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연장되는 보조 엠보스부를 갖는 마스크.
KR2020180003347U 2017-07-28 2018-07-20 마스크 KR2019000037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7-003485 2017-07-28
JP2017003485U JP3212966U (ja) 2017-07-28 2017-07-28 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75U true KR20190000375U (ko) 2019-02-11

Family

ID=6003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47U KR20190000375U (ko) 2017-07-28 2018-07-20 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12966U (ko)
KR (1) KR20190000375U (ko)
CN (1) CN208821775U (ko)
TW (1) TWM57605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8534A1 (de) 2020-10-29 2022-05-05 Wolf Pvg Gmbh & Co. Kg Atemschutz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temschutzmaske
CN112806642B (zh) * 2021-02-09 2023-12-22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口罩
WO2022170462A1 (zh) * 2021-02-09 2022-08-18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
WO2022170463A1 (zh) * 2021-02-09 2022-08-18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口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370A (ja)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370A (ja)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821775U (zh) 2019-05-07
JP3212966U (ja) 2017-10-12
TWM576057U (zh)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814B1 (ko) 일회용 마스크
KR20190000375U (ko) 마스크
KR20190000374U (ko) 마스크
CN110602959B (zh) 口罩
KR102078070B1 (ko) 마스크
JP3117500U (ja) マスク
KR102611757B1 (ko) 일회용 마스크
WO2019198286A1 (ja) 使い捨てマスク
KR20120036826A (ko) 코부분 쿠션 부착 마스크
KR20140038428A (ko) 마스크
MX2008015673A (es) Almohadilla absorbente de leche materna.
EP1944247B1 (en) Breast milk pad package
WO2011116173A2 (en) Mask with leak preventing section
WO2017110943A1 (ja) マスク
JP4939035B2 (ja) 母乳パッド
JP2015126821A (ja) 保湿体、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JP3131051U (ja) マスク
JP6345368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3226830U (ja) マスクの耳掛け構造及びマスク
JP3209423U (ja) 保湿体及びマスク
JP7026471B2 (ja) 脇用汗取りパッド
JP3138397U (ja) マスク
CN212036103U (zh) 一种绑带式口罩
EP4309531A1 (en) Mask
JP3212578U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