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757B1 - 일회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일회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757B1
KR102611757B1 KR1020207021946A KR20207021946A KR102611757B1 KR 102611757 B1 KR102611757 B1 KR 102611757B1 KR 1020207021946 A KR1020207021946 A KR 1020207021946A KR 20207021946 A KR20207021946 A KR 20207021946A KR 102611757 B1 KR102611757 B1 KR 10261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idth direction
mask body
wrink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025A (ko
Inventor
가오리 후루야
아키라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Abstract

마스크 본체에 의해 장착자의 입부 및 코부를 충분히 피복할 수 있고, 턱밑의 적정한 위치에 피트할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마스크(10)의 마스크 본체(20)는,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접어 포개어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60)를 포함하고,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중앙 부분(25)을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마스크
본 발명은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마스크는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환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82810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의 입코 덮개부가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접어 포개어 형성한 복수의 주름부를 갖기 때문에, 장착 시에 주름부의 상하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 영역을 신장함으로써, 장착자의 입부 및 코부의 전체를 피복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의 상하단 가장자리가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장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주름부의 신장 영역이 위치하는 마스크 본체의 중앙 영역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주름부가 고정된 양측 영역의 세로 치수는 동일하고, 장착할 때에, 신장 영역이 신장되어 중앙 영역의 세로 치수가 커진다. 장착자가 아이이며, 턱이 둥글고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의 중앙 영역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장착자의 턱밑으로부터 더욱 목 언저리를 향해 연장되어 버려,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 마스크 본체 전체의 세로 치수를 작게 한 경우에는, 장착자의 입부 및 코부를 충분히 피복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의 개량으로서, 마스크 본체에 의해 장착자의 입부 및 코부를 충분히 피복할 수 있고, 턱밑의 적정한 위치에 피트할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갖고,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접어 포개어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중앙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기 하단 가장자리의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하측 고정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부분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 부위가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2)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하단 가장자리의 상기 중앙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하측 시일 영역과, 상기 하측 시일 영역의 상방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 시일부를 갖고,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은 상기 하측 시일 영역과 상기 횡단 시일부에 둘러싸여 위치한다.
(3) 상기 마스크 본체에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을 고정하기 위한 하측 고착부를 더 갖고, 상기 하측 고착부의 일부와 상기 횡단 시일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된다.
(4) 상기 중앙 부분의 양단 간을 연결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상기 최상 부위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는, 5∼15 ㎜이다.
(5) 상기 주름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주름부, 제2 주름부, 제3 주름부 및 제4 주름부를 갖고,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에 의해 단면 대략 Ω형의 절곡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 영역 중의 상기 본체 시트가 접어 포개져 있지 않은 중앙 부분과, 상기 제3 주름부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절곡 부위와 상기 제4 주름부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절곡 부위 사이에는, 사이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사이드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6) 상기 주름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주름부를 갖고, 상기 상방 주름부에는, 그 신장을 억제하기 위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름 조정 수단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가, 본체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접어 포개어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마스크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중앙 부분을 갖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가 장착자의 안면에 피트되고, 마스크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가 턱밑의 적정한 위치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턱부를 확실히 피복하면서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마스크 본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III-III(a)선을 따라 절단하여, 마스크의 한쪽 측부측을 외면에서 본 사시도, (b)는 도 3(a)의 일점 쇄선 IV(b)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를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하기의 실시형태는, 도 1∼도 8에 도시된 일회용 마스크(10)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0)는, 상하 방향(세로 방향)(Y) 및 폭 방향(X)을 갖고, 피부 대향면(내면) 및 그것에 대향하는 피부 비대향면(외면)과, 상하 방향(Y)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Q)과, 마스크 본체(20)와,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환형의 귀걸이부(3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20)는, 본체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20a)와,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20b)와, 상하단 가장자리(20a, 20b)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상단 가장자리(20a)를 따라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상단부(21)와,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하단부(22)와, 상단부(21)와 하단부(22) 사이에 위치하는 입코 덮개부(23)를 갖는다. 마스크 본체(20)는, 또한, 상하단 가장자리(20a, 20b)와 양측 가장자리(20c, 20d)가 교차하는 곡형의 모퉁이부(24)를 갖는다. 모퉁이부(24)가, 첨예형이 아니라 곡형을 가짐으로써, 장착자의 안면이 모퉁이부(24)에 닿아도 자극을 주는 일은 없다.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는, 상방으로 완만히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하단 가장자리(20b)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는 모퉁이부(24) 사이에 있어서 폭 방향(X)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는 중앙 부분(25)을 갖는다. 중앙 부분(25)의 양단(25a, 25b)은, 중앙 부분(25)의 폭 방향(X)의 기점이 되는 부위이고, 모퉁이부(24)의 외형 라인과 상방으로 만곡되는 외형 라인의 교점이며, 중앙 부분(25)의 길이 치수(L2)는, 양단(25a, 25b) 사이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만곡되는 외형 라인의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2)의 중앙 부분도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모퉁이부(24)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으나, 예컨대, 각형이며, 하단 가장자리(20b)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폭 방향(X)으로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는,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 폭 방향(X)에 있어서 그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직선형의 양측 부분이 된다.
여기서, 횡단 중심선(Q)은,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2등분하는 것인 바,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하단 가장자리(20b)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20)에 있어서 세로 방향(Y)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횡단 중심선(Q)이란, 마스크 본체(20)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와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와의 이격 치수를 2등분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Y)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2등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스크(10)는, 어른과 아이 등의 연령적 및 성별의 구별없이, 남녀노소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W1)는, 75∼100 ㎜, 폭 방향(X)의 치수(L1)는, 115∼185 ㎜이다. 단, 바람직하게는, 6∼9세까지의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이른바 아이용의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마스크(10)가, 아이용인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양측 가장자리(20c, 20d)의 길이 치수)(W1)는, 75∼95 ㎜, 폭 방향(X)의 치수(상하단 가장자리(20a, 20b)의 길이 치수)(L1)는, 115∼135 ㎜이다.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은, 이와 같이,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던 경우의 길이 치수, 즉, 양단(25a, 25b)을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선(K1)의 길이 치수(L3)에 비해, 그 길이 치수(L2)는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아이용의 마스크(10)에 있어서, 가상선(K1)의 길이 치수(L3)가, 105∼125 ㎜인 경우에 있어서, 중앙 부분(25)의 길이 치수(L2)는, 110∼133 ㎜이며, 길이 치수(L3)보다 약 5∼8 ㎜ 길어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본체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내층 시트(41)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외층 시트(42)와, 내외층 시트(41, 4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 시트(43)로 구성되어 있다. 내외층 시트(41, 42) 및 중간층 시트(43)는, 예컨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질량 10∼40 g/㎡의 통기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 시트이며, 멜트 블로운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및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 외에, 거즈, 목면포 등의 양호한 통기성을 갖는 시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 시트(43)로서는, 미립자의 통과를 저지하는 필터 기능을 구비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20)에 있어서는, 예컨대, 외층 시트(42)로서 질량 20∼45 g/㎡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 또는 스펀 본드 부직포, 중간층 시트(43)로서 질량 20∼30 g/㎡의 멜트 블로운 부직포, 내층 시트(41)로서 질량 20∼30 g/㎡의 스펀 본드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도시예 외에, 2층 또는 3층 이상의 시트의 적층체로 형성해도 좋고, 예컨대, 내외층 시트(41, 42) 사이에 미립자의 필터 기능을 구비하는 것 외에, 항균제, 방향제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간층 시트(43)를 개재시켜도 좋다.
마스크 본체(20)는, 상단부(21)에 있어서, 내층 시트(41)의 일부와 중간층 시트(43)의 일부를 외층 시트(42)의 상단 가장자리를 통해 마스크 본체(20)의 외면 또한 하방을 향해 절곡시켜 형성된 상측 절곡 부분(26)과, 하단부(22)에 있어서, 외층 시트(42)의 일부를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 마스크 본체(20)의 외면 또한 상방을 향해 절곡시켜 형성된 하측 절곡 부분(27)을 갖는다.
내외층 시트(41, 42) 및 중간층 시트(43)는, 마스크 본체(2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주 시일 영역(50)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외주 시일 영역(50)은, 마스크 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20a)를 따라 폭 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2줄의 라인을 포함하는 상측 시일 영역(51)과,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 폭 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하측 시일 영역(52)과,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따라 상하 방향(Y)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일 영역(53)을 갖는다.
외주 시일 영역(50)은, 단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에 있어서 내외층 시트(41, 42) 및 중간층 시트(43)를 서로 용착하는 용착 시일 라인이며, 각 시트(41-43)는, 외주 시일 영역(50)에 있어서만 접합되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각 시트(41-43)의 내면 전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마스크(10) 전체는 유연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상측 시일 영역(51)과 하측 시일 영역(52)을 형성하는 접합부(51a, 52a)는, 폭 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 형상이다. 한편, 사이드 시일 영역(53)은, 크고 작은 대략 별 형상의 접합부(53a, 53b)와 대략 원형 형상의 접합부(53c)로 형성되어 있다. 상하측 시일 영역(51, 52)과 달리, 사이드 시일 영역(53)이, 디자인화된 복수의 접합부(53a∼53c)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10)는 그 정면시 및 측면시에 있어서, 외주 시일 영역(50) 전체가 단순히 대략 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의 접합부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의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사이드 시일 영역(53)은, 마스크 본체(20)의 한쪽 측 가장자리(20c)에 배치된 사이드 접합부(53a∼53c)와 다른쪽 측 가장자리(20d)에 배치된 사이드 접합부(53a∼53c)가,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일성이 있는 디자인을 갖는다.
상측 시일 영역(51)의 2줄의 시일 라인 사이에는,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탄성 띠편(노우즈 피트)(16)이 배치되어 있다. 탄성 띠편(16)은, 외층 시트(42)와 상측 절곡 부분(26)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측 시일 영역(51)을 형성하는 2개의 시일 라인 사이에 형성된 통형의 공간 내에 협지(挾持) 고정되어 있다. 탄성 띠편(16)의 양단의 폭 방향(X)의 외측에는, 탄성 띠편(16)의 폭 방향(X)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접합부(51b)가 배치되어 있다.
귀걸이부(30)는,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고무줄, 직조끈 등의 각종 공지된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1)와 하단부(22)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 고정단(31, 32)과, 상하 고정단(31, 32) 사이에 있어서 환형으로 연장되는 자유부(33)를 갖는다. 귀걸이부(30)의 상측 고정단(31)은,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1)의 외면에 있어서 상측 고착부(17)를 통해 고정되고, 하측 고정단(32)은,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2)의 외면에 있어서 하측 고착부(18)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귀걸이부(30)로서, 폭 치수 4∼8 ㎜의 직조끈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무줄이 아니라, 비교적 폭이 넓은 직조끈을 사용함으로써, 장착자의 귀부에 부드럽게 닿아 고무 자국이 생기는 일은 없고, 또한, 아이의 장착자가 난잡하게 취급해도 파단되거나 다 늘어나 버리거나 하는 일은 없다.
상하 고착부(17, 18)는, 귀걸이부(30)의 상하 고정단(31, 32)보다 한층 크고, 그물코형의 엠보스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하 고정단(31, 32)을 마스크 본체(20)에 접착 또는 용착하고 있다. 상하 고착부(17, 18)가, 귀걸이부(30)의 상하 고정단(31, 32)의 외형보다 큼으로써, 상하 고정단(31, 32)은, 마스크 본체(20)에 대해 소요의 박리 강도를 갖고, 장착 중에 그것을 박리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해도, 용이하게 박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하 고착부(17, 18)의 일부는, 상하측 시일 영역(51, 52)을 형성하는 접합부(51a, 52a)와 중첩되어 있고, 이러한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보다 접합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귀걸이부(30)의 상하 고정단(31, 32)은, 상하 고착부(17, 18)에 의해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30)의 자유부(33)의 양단 부분인 상하 고정단(31, 32)이,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하 고정단(31, 32)이 마스크 본체(20)를 안면에 밀어붙이도록 작용하여, 그것이 마스크 본체(20)의 내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마스크 본체(20)의 안면에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측 시일 영역(52)의 양측의 상방에는, 폭 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횡단 시일부(67)가 배치된다. 횡단 시일부(67)는, 하측 절곡 부분(27)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횡단 시일부(67)와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 상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하측 시일 영역(5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80)에는, 이들에 둘러싸이도록, 하측 고착부(18)를 통해 귀걸이부(30)의 하측 고정단(32)이 마스크 본체(2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횡단 시일부(67)는, 폭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67a)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67a)의 일부가, 하측 고착부(18)와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단 시일부(67)의 접합부(67a)와 하측 고착부(18)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하측 고착부(18)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보다 강성이 높은 부분이 형성되고, 귀걸이부(30)의 하측 고정단(32)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마스크 본체(20)를 안면에 밀어붙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의 입코 덮개부(23)는, 본체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부(플리츠)(60)를 갖는다. 주름부(60)는, 마스크 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20a)측으로부터 하단 가장자리(20b)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주름부(61), 제2 주름부(62), 제3 주름부(63), 제4 주름부(64)를 갖는다.
각 주름부(61∼64)는, 플리츠형으로 절곡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외면측과 내면측에 있어서 상하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제1 주름부(61)는, 외면측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외측 절곡 부위(61A)와, 내면측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내측 절곡 부위(61B), 제2 주름부(62)는, 외면측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외측 절곡 부위(62A), 내면측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내측 절곡 부위(62B), 제3 주름부(63)는, 외면측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외측 절곡 부위(63A), 내면측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내측 절곡 부위(63B), 제4 주름부(64)는, 외면측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외측 절곡 부위(64A), 내면측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내측 절곡 부위(64B)를 각각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름부(60) 중의 횡단 중심선(Q)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주름부를 상방 주름부, 횡단 중심선(Q)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주름부를 하방 주름부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주름부(61, 62)가 상방 주름부, 제3 및 제4 주름부(63, 64)가 하방 주름부가 되는데, 상방 주름부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주름부여도 좋고, 하방 주름부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주름부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 본체(20)에 있어서는, 외면측에 있어서, 제2 주름부(62)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되고, 그것과 대향하는 제3 주름부(63)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중앙부에는 단면 Ω형으로 절곡된 절곡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했을 때에 비교적 큰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제4 주름부(61∼64)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일 영역(53)에서 본체 시트의 절첩된 상태가 유지되어 비신장 영역인 데 대해, 사이드 시일 영역(53)을 구성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 사이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 영역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주름부(61∼64)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 중에서 가장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이 신장 영역이 된다. 예컨대, 제4 주름부(64)에 있어서는, 가장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 사이의 영역이 신장 영역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 접합부(53a∼53c)는, 제2 주름부(62)와 제3 주름부(63)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며, 본체 시트가 접어 포개져 있지 않은 비(非)접어 포갬 부분(55)과, 제3 주름부(63)의 외측 절곡 부위(63A)와 제4 주름부(64)의 내측 절곡 부위(64B) 사이의 부분(56)에는, 사이드 접합부(53a∼53c)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들 부분(55, 56)에 사이드 접합부(53a∼53c)가 배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귀걸이부(30)에 의한 후방으로의 인장력에 의해 이들 부분(55, 56)을 기점으로 하여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절곡의 기점을 컨트롤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0)를 장착자의 안면 형상에 따르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는, 설명의 편의상, 폭 방향(X)에 있어서 중앙 영역(14)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15)으로 구분되어 있다. 중앙 영역(14)은, 제1∼제4 주름부(61∼64)의 신장 영역이 위치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완전히 신장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양측 영역(15)은, 중앙 영역(14)과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사이드 시일 영역(53)을 포함하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도 완전히 외측 절곡 부위(61A∼64A)가 신장할 수 없는 영역을 의미한다. 마스크(1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은, 장착자의 안면의 세로 길이(코부로부터 턱밑까지의 길이)에 맞춰 주름부(60)의 신장 영역이 신장함으로써 그 세로 치수(상하 방향(Y)의 치수)가 커지는 한편, 양측 영역(15)에서는 외측 절곡 부위(61A∼64A)가 완전히는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장착 전에 비해 약간 신장할 뿐이다.
이러한 마스크(10)를 장착할 때에는, 귀걸이부(30)를 귀부에 건 후에,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2)를 하방으로 인장하여, 복수의 주름부(60)를 신장한다. 이때, 귀걸이부(30)에 의해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단부(21, 22)가 안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제4 주름부(61∼64)가 하방으로 인장되어 각 신장 영역이 신장되어,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가 커진다.
도 2에 도시된 가상선(K1)과 같이,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와 양측 영역(15)의 세로 치수는 동일하다. 예컨대, 장착자가 아이이며, 턱이 둥글고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20)의 주름부(60)를 신장했을 때에,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중앙 부분(25)이 그 양측 부분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즉,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가 양측 영역(15)의 세로 치수보다 커짐으로써, 턱밑에서 헐렁거려 버려,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2)가 충분히 피트되지 않고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헐렁거림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단부(22)를 더욱 인장했을 때에는 목 언저리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특히 아이의 장착자에 대해,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10)에서는,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가 상방으로 만곡된 중앙 부분(25)을 가짐으로써, 신장되기 전에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가 작아지도록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하여 그 세로 치수가 커졌을 때에 하단부(22)가 헐렁거리지 않고, 하단 가장자리(20b)가 거의 직선형의 상태로 턱밑에 피트된다.
도 4에 있어서는, 비장착 상태에 있어서, 가상선(K1)과, 중앙 부분(25)이 가상선(K1)을 따르도록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던 경우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20)의 측가장자리(20d)를 나타내는 가상선(K2)을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중앙 부분(25)이 가상선(K1)을 따르는 직선형인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20)의 폭 방향(X)의 치수에 큰 변화는 없기 때문에, 하단부(22)가 가로로 넓어지는 일은 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0)에 있어서는, 비장착 상태에 있어서,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으나,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각 주름부(61∼64)의 신장 영역이 신장하여,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변형함으로써, 하단부(22)는, 상단부(21) 및 입코 덮개부(23)보다 그 폭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양측 가장자리(20d)는 가상선(K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하단부(22)는 가로로 넓어진 것과 같은 양태로 장착자의 턱부 근방을 넓게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자의 턱밑에 적정히 위치하고, 또한 턱부 근방을 넓게 면형으로 덮음으로써, 하단부(22)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면에 피트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착 시에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거의 직선형이 되도록 하단부(22)가 하방으로 인장되기 위해서는, 중앙 부분(25)의 일부가 귀걸이부(30)의 하측 고정단(3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부분(25)의 일부가 하측 고정단(32)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안면에 밀어붙여진 하측 고정단(32)을 기점으로 하여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25)을 포함하는 만곡형의 부분을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내릴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25)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 부위(25c)가 귀걸이부(30)의 하측 고정단(32)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귀걸이부(30)의 하측 고정단(32)에 의해, 하단부(22) 중의 중앙 부분(25)을 따르는 곡형 부분 전체에 후방 또한 폭 방향(X)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곡형 부분을 확실히 직선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측 고정단(32)이, 횡단 시일부(67)와 하측 시일 영역(52)으로 둘러싸인 영역(80)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고정단(32)이, 횡단 시일부(67) 및 하측 시일 영역(52)과 중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착되어 경화된 접합부(52a, 67a)가 피부에 직접 밀어붙여져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하측 고정단(32)이, 그 일부에 있어서 횡단 시일부(67)의 접합부(67a) 및/또는 하측 시일 영역(52)의 접합부(52a)와 중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라도, 접합부(52a, 67a)가 독립된 비교적 작은 타원 형상이기 때문에, 서로 중첩되어 있었다고 해도 지나치게 경화되어 피부에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방 주름부로서 제3 및 제4 주름부(63, 64)를 갖고, 이들의 신장하기 전의 세로 치수(제3 주름부(63)의 세로 치수와 제4 주름부(64)의 세로 치수의 합계 치수)는 20∼30 ㎜이다. 따라서, 이들의 신장 영역이 완전히 신장함으로써 상기 합계의 세로 치수가 55∼65 ㎜의 크기가 되어, 장착자의 턱부를 피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선(K1)이 장착자의 목 언저리를 향해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특히, 아이에 대해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는 데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앙 부분(25)이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턱밑의 적정한 위치에서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부분(25)은, 하악골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15∼25 ㎜ 정도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턱부를 안정적으로 피복할 수 있고, 하단부(22)의 일부가 목 언저리로 파고드는 것과 같은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의 만곡 정도에 대해서는, 장착자의 안면의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히 조정 가능하고, 예컨대, 어른용의 마스크의 경우에는, 아이에 비해 안면이 세로로 길기 때문에, 장착 후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를 크게 조정할 필요가 없어, 아이용에 비해 그 만곡 정도는 작아진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마스크(10)가 아이용이고, 가상선(K1)의 치수(L3)가 105∼125 ㎜인 경우에 있어서, 중앙 부분(25)의 세로 치수, 즉, 중앙 부분(25)의 양단(25a, 25b)을 연결하여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가상선(K1)과 최상 부위(25c)와의 상하 방향(Y)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R1)는, 아이용의 마스크(10)의 경우에는, 5∼15 ㎜, 바람직하게는 8∼15 ㎜, 마스크(10)가 아이용과 어른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5∼25 ㎜이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장착자가 마스크(10)의 내외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20)의 외면에 장식 요소를 배치해도 좋다. 장식 요소는, 본체 시트에 인쇄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컨대, 동물을 모방한 캐릭터, 각종 공지된 도형, 장식 모양, 무늬, 문자, 기호, 마스크 본체와 상이한 착색 부분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마스크의 장착 레벨에 관한 측정>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아이용)를 실시예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가상선(K1)을 따르도록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마스크를 비교예 1, 비교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감싸도록 본체 시트와는 별체의 부직포 시트가 고정된 마스크를 비교예 2로 하여, 마스크의 장착 레벨(장착자의 안면에 대한 접촉 면적의 정도)에 대해 이하의 측정을 행하였다. 비교예 2의 마스크에서는, 별체의 부직포 시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각 주름부 전체에 사이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는 탄성 띠편(노우즈 피트)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측정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각 마스크의 샘플을 표준적인 아이의 머리의 크기를 갖는 인형에 장착시켜, 1분 정도 그 형상에 친숙하게 한 후에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인형 중의 마스크가 밀착되는 부분(예컨대, 코부, 양안부의 하측 부분, 볼부, 턱부, 턱밑의 부분)에 착색물(예컨대, 여성의 화장용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색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각 샘플을 인형의 적정한 위치에 30초간 장착시켜, 그 내면측에 착색물을 전사시켰다.
다음으로, 내면측에 착색물이 전사된 샘플을 인형으로부터 제거하고, 내면측을 상측으로 하여 측정대에 배치하며, 내면측의 거의 중앙 부분에 1엔 동전(질량 0.20 g, 면적 3.14 ㎠)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샘플을 바로 위에서 촬영하고, 컬러 사진을 프린터로부터 프린트 아웃하였다. 프린트 아웃된 컬러 사진으로부터 1엔 동전의 면적(A)과, 착색물이 전사된 부분의 총 면적인 접촉 면적(B)을 잘라내고, 이들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1엔 동전의 면적을 3.14 ㎠로 하여, 면적(A)의 중량과 접촉 면적(B)의 중량의 비율로부터 접촉 면적(B)(㎠)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샘플마다 3회 동일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각 마스크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B)(㎠)으로 하였다.
이러한 측정의 결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접촉 면적(B)은 33.2 ㎠, 비교예 1의 접촉 면적(B)은, 31.2 ㎠, 비교예 2의 접촉 면적(B)은 19.7 ㎠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의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장착 전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의 면적은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의 면적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의 접촉 면적(B)이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의 접촉 면적(B)보다 커지고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는, 귀걸이부의 인장력이 장착자의 턱부와 대향하는 부분에까지 전해지기 어려워 피부로부터 들뜬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 한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는, 중앙 부분(25)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하단부(22)가 폭넓게 안면에 접촉되는 것에 더하여,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부분(14)의 세로 치수가 작아져 턱부와 대향하는 부분 전체에 귀걸이부(30)의 인장력이 전해지기 쉬워, 턱부에 대한 접촉 면적이 커진 것이 이유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비교예 1, 2의 각 마스크 중에서 비교예 2에 따른 마스크의 접촉 면적(B)이 가장 작아지고 있는데, 이것은, 비교예 2에 따른 마스크에서는,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비해 턱부측의 부분이 피부에 충분히 접촉하지 않은 것에 더하여,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본건 시트와는 별체의 부직포 시트가 고정되어 있고, 주름부 전체에 사이드 시일 영역의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지나치게 딱딱해져 볼부의 윤곽을 따를 수 없으며, 또한, 각 주름부의 신장이 제한된 것과,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 탄성 띠편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마스크 본체(20)가 코부의 양측으로부터 들떠 버린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마스크에 비해 접촉 면적(B)이 크고, 장착감이 우수하며, 특히, 턱부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입부나 턱부의 움직임에 의해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평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제1 주름부(61)는, 폭 방향(X)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주름 조정 수단)가 배치된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 및 사이드 시일 영역(53)보다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본체 시트끼리를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름부(61)에 한 쌍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배치됨으로써, 제1 주름부(61)에 있어서는, 한 쌍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 있어서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장착했을 때에 상하 방향(Y)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 영역이 된다. 주름 조정 수단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절곡된 본체 시트의 중첩 부분끼리가 그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에 있어서, 열엠보스 처리나 초음파 처리 등에 의한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해 용착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 공지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중첩 부분끼리를 접착해도 좋고, 구성 섬유끼리를 서로 얽히게 함으로써 절곡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한편, 제2∼제4 주름부(62∼64)에 있어서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 영역(53)을 구성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 사이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 영역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주름부(62∼64)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 중에서 가장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 사이의 영역이 신장 영역이 된다. 예컨대, 제4 주름부(64)에 있어서는, 가장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 사이의 영역(사이드 접합부(53a∼53c)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신장 영역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주름부(61)에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그 신장 영역의 폭 치수(L4)는, 제4 주름부(64)의 신장 영역의 폭 치수(L5)보다 작아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0)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은, 제1∼제4 주름부(61∼64)의 신장 영역이 위치하는 영역, 즉,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이 위치하는 영역, 양측 영역(15)은,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과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 된다.
제1 주름부(61)에 있어서,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일 영역(53)과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는, 사이드 접합부(53a∼53c)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이 위치하고 있다. 사이드 시일 영역(53)과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이 위치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소요의 유연성을 가져, 복수의 시트의 접합에 의해 경화한 것에 의한 장착 시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영역(15)이 장착자의 볼부의 윤곽을 따르는 것이며 볼부로부터 들뜨지 않을 정도의 시트 강성을 갖는 한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 영역(53)과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도 사이드 접합부(53a∼53c)를 배치하여,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통상, 본체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복수의 주름부를 갖는 마스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귀걸이부의 자유부를 장착자의 귀부에 건 후에,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집어 하방으로 인장함으로써, 각 주름부를 신장시킨다. 이때, 장착자의 안면 중에서 움직임이 있는 것은, 코부측이 아니라 입부측이기 때문에, 마스크의 장착 중에 입가에 공간을 만들어, 입에 마스크가 달라붙게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하방 주름부 전체가 신장된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를 집어 하방으로 인장했을 때에, 어느 주름부가 먼저 신장하는지 컨트롤할 수 없어, 하방 주름부보다 먼저 상방 주름부가 전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장착자의 안면이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을 때에는, 상방 주름부가 완전히 신장된 후에, 마스크 본체의 중앙 영역의 세로 치수를 안면의 세로 길이에 맞춰 조정하게 되기 때문에, 하방 주름부가 완전히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턱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입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입에 마스크가 달라붙게 접촉하여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0)는, 제1 주름부(상방 주름부)(61)에 한 쌍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신장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L4)가, 제4 주름부(하방 주름부)(64)의 신장 영역의 폭 방향(X)의 치수(L5)보다 작아지고 있고, 그 신장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크(10)를 장착할 때에는, 제4 주름부(64)로부터 상방을 향해 제3 주름부(63), 제2 주름부(62)가 순서대로 신장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이 상하로 크게 넓혀지고, 입부와의 사이에 충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장착자에게 답답함을 부여하는 일은 없다. 한편, 제1 주름부(61)에 있어서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위치함으로써 그 신장이 억제되기 때문에, 장착자의 안면의 세로 길이에 맞춰, 그 신장 영역이 전혀 신장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신장한 상태로 장착된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장착자가 아이이고, 안면의 세로 길이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은, 거의 신장되어 있지 않다.
또한,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제1 주름부(61)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절곡 부위(61A)와 내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절곡 부위(61B)에 교차하고 있지 않다. 제1 주름부(61)가 상하 절곡 부위(61A, 61B)에 교차하는 경우에는, 제1 주름부(61)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70)에 의해 국부적으로 또한 완전히 그 신장이 저지됨으로써,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 위치하는 신장 영역의 신장 정도(가동 정도)가 작아져, 장착자의 안면의 크기에 맞춰 적절히 신장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양 절곡 부위(61A, 61B)의 어느 것에도 교차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장착자의 안면의 크기에 맞춰 적절히 그 신장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름부(61)에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위치함으로써, 장착 시에 마스크 본체(20)의 복수의 주름부(60)가 신장될 때에, 하방 주름부인 제4 주름부(64)로부터 순서대로 신장되기 때문에, 제3 및 제4 주름부(63, 64)가 신장되어, 장착자의 턱밑에 있어서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상태로 확실히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단부(22)에 있어서 비교적 폭넓게 턱부를 덮을 수 있고, 제1 주름부(61)의 신장 정도에 의해 안면의 세로 길이에 맞춰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상하 방향(Y)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다. 예컨대,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폭 방향(X)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우에는,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기 때문에, 신장했을 때에 외측 절곡 부위(61A)측의 부분은, 코부의 형상을 따라 피부에 밀접되는 한편, 내측 절곡 부위(61B)측의 부분은 외측 절곡 부위(61A)측의 부분보다 더욱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커져, 코밑 근방에 있어서 헐렁거려 내측으로 절곡되어, 콧구멍을 막아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하고, 신장되었을 때에 내측 절곡 부위(61B)측의 부분이 코밑 근방에 있어서 헐렁거리지 않고, 콧구멍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독립된 접합부(71, 72)를 갖는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제1 주름부(61)의 신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하 방향(Y)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 시트 강성이 높은 부분이 형성되어, 장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특히,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사이드 접합부(53a∼53c)와 달리 안면의 중심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연한 감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상하 방향(Y)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독립된 접합부(71, 72)를 가짐으로써, 비교적 넓은 범위에 시트 강성이 높은 부분이 형성되어 장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각 접합부(71, 72)가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가짐으로써, 장착자의 볼에 닿아도 자극을 주는 일은 없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제1 주름부(61)에 있어서 하방으로 편의(偏倚)하여 위치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20)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주름부(61)의 내외 절곡 부위(61A, 61B)에 있어서 복수의 시트가 접어 포개져 있는 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접은 선이 밖으로 나오게 접혀진 외측 절곡 부위(61A)는 접은 선이 안으로 들어가게 접혀진 내측 절곡 부위(61B)보다 시트끼리가 어긋난 상태로 절곡되기 쉬워진다.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를 제1 주름부(61)의 하방으로 편의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내측 절곡 부위(61B)측의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어 포개진 시트 모두를 확실히 접합할 수 있다. 단,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는, 서로 접어 포개진 모든 시트를 접합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각 주름부(61∼64)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되고, 각 주름부(61∼64)의 거의 중앙 또는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일 영역(53)을 구성하는 사이드 접합부(53a∼53c)는, 폭 방향(X) 및 상하 방향(Y)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 영역(53)은 소요의 유연성을 가져, 그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안면 형상을 따르지 않고 들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주름부(61∼64)가 사이드 시일 영역(53)에 있어서 완전히 접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장착했을 때에 장착자의 안면의 크기에 맞춰 신장하기 쉬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20)의 폭 치수(L1)가 115∼135 ㎜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주름부(61)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 영역(53)과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의 폭 치수(R2)는, 5∼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의 폭 치수(R2)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비교적 커져 버려, 하방으로 향하는 그것을 신장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제2 주름부(62)와 거의 동시에 제1 주름부(61)가 신장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의 폭 치수(R2)가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비교적 작아지고, 그것을 신장시키려고 하는 힘이 주름 조정용 접합부(70)에 의해 분산되어 버림으로써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며, 신장 영역이 장착자의 코밑 근방을 향해 젖혀져 버려, 콧구멍을 막아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사이드 비접합 영역(59)의 폭 치수(R2)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더욱 작아져, 거의 신장되지 않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10)의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평면도이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2 주름부(62)에도 주름 조정용 접합부(주름 조정 수단)(17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주름부(61, 62)에 주름 조정용 접합부(70, 17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10)를 장착할 때에, 제4 주름부(64)와 제3 주름부(63)가 순서대로 신장되는 한편, 제2 주름부(62)와 제1 주름부(61)는, 장착자의 안면의 크기에 맞춰, 신장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신장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름부(62)의 신장 영역의 폭 방향(X)의 치수가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의 폭 방향(X)의 치수와 동등 또는 그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과 제2 주름부(62)의 신장 영역이 동시에 전개되어 버려, 장착자의 안면의 세로 길이에 맞춰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를 조정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주름부(62)에 위치하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170)는, 제1 주름부(61)에 위치하는 주름 조정용 접합부(70)보다 폭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에 의해, 제1 주름부(61)의 신장 영역의 폭 치수보다 제2 주름부(62)의 신장 영역의 폭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장착자가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2)를 하방으로 인장했을 때에 그 인장력을 제2 주름부(62)의 신장 영역에서 넓게 받아 신장되기 쉬워져, 제1 주름부(61)보다 먼저, 안면의 세로 길이에 맞춰 적절한 정도로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의 안면의 크기에 맞춰 제2 주름부(62), 제1 주름부(61)의 순서로 신장됨으로써, 제1 주름부(61)에만 주름 조정용 접합부(7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마스크 본체(20)의 중앙 영역(14)의 세로 치수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하방 주름부인 제4 주름부(64)부터 먼저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턱밑의 적정한 위치에서 하단 가장자리(20b)의 중앙 부분(25)이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상태이며, 비교적 폭넓게 턱부를 덮을 수 있다. 덧붙여, 제2 주름부(62)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170)가 제1 주름부(61)의 주름 조정용 접합부(7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독립된 접합부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배치 부분이 안면에 닿아 장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고, 신장 영역의 신장이 완전히 억제되는 일도 없다.
마스크(10)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제4」 등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10: 일회용 마스크(마스크)
20: 마스크 본체
20b: 하단 가장자리
20c: 측가장자리
20d: 측가장자리
25: 중앙 부분
53: 사이드 시일 영역
53a∼53c: 사이드 접합부
60: 주름부
61: 제1 주름부(상방 주름부, 제1 상방 주름부)
61A: 외측 절곡 부위
61B: 내측 절곡 부위
62: 제2 주름부(상방 주름부, 제2 상방 주름부)
63: 제3 주름부(하방 주름부)
63A: 외측 절곡 부위
64: 제4 주름부(하방 주름부)
64B: 내측 절곡 부위
70: 주름 조정 수단(주름 조정용 접합부)
71: 접합부
170: 주름 조정 수단(주름 조정용 접합부)
L4: 상방 주름부의 신장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
L5: 하방 주름부의 신장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
Q: 횡단 중심선
R1: 중앙 부분의 양단 간을 연결하여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최상 부위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
X: 폭 방향
Y: 상하 방향

Claims (7)

  1.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갖고,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시트를 플리츠형으로 접어 포개어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장착 상태에서, 상기 하단 가장자리가 직선형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가장자리의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하측 고정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부분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최상 부위가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인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하단 가장자리의 상기 중앙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하측 시일 영역과, 상기 하측 시일 영역의 상방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 시일부를 갖고,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은 상기 하측 시일 영역과 상기 횡단 시일부에 둘러싸여 위치하는 것인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상기 하측 고정단을 고정하기 위한 하측 고착부를 더 갖고, 상기 하측 고착부의 일부와 상기 횡단 시일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인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의 양단 간을 연결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상기 최상 부위와의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치수는, 5∼15 ㎜인 마스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주름부, 제2 주름부, 제3 주름부 및 제4 주름부를 갖고,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에 의해 단면 Ω형의 절곡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 영역 중의 상기 본체 시트가 접어 포개져 있지 않은 중앙 부분과, 상기 제3 주름부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절곡 부위와 상기 제4 주름부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절곡 부위 사이에는, 사이드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사이드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인 마스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주름부를 갖고, 상기 상방 주름부에는, 그 신장을 억제하기 위한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름 조정 수단이 배치되는 것인 마스크.
KR1020207021946A 2018-04-13 2018-04-26 일회용 마스크 KR102611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8028A JP7264579B2 (ja) 2018-04-13 2018-04-13 使い捨てマスク
JPJP-P-2018-078028 2018-04-13
PCT/JP2018/017094 WO2019198252A1 (ja) 2018-04-13 2018-04-26 使い捨てマ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025A KR20200141025A (ko) 2020-12-17
KR102611757B1 true KR102611757B1 (ko) 2023-12-07

Family

ID=6816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946A KR102611757B1 (ko) 2018-04-13 2018-04-26 일회용 마스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22418A1 (ko)
EP (1) EP3777589B1 (ko)
JP (2) JP7264579B2 (ko)
KR (1) KR102611757B1 (ko)
CN (1) CN111770696B (ko)
WO (1) WO2019198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841B2 (en) * 2019-08-16 2021-09-21 Alexander Chieruen Tsuei Face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210361005A1 (en) * 2020-05-20 2021-11-25 Curian Health Llc Face mask
CN111588122A (zh) * 2020-05-28 2020-08-28 湖北康宁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口罩及其加工工艺
US11400323B2 (en) * 2020-06-17 2022-08-02 Sleevz Inc. Protective face coverings
WO2022170462A1 (zh) * 2021-02-09 2022-08-18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
TWI758132B (zh) * 2021-03-16 2022-03-11 中國衛生材料生產中心股份有限公司 口罩
KR102331044B1 (ko) * 2021-04-12 2021-12-01 주식회사 베니슈 누설률을 개선시킨 평면형 마스크
KR102402996B1 (ko) * 2021-09-15 2022-05-30 주식회사 영창에스엔티 일회용 마스크
CN114434944A (zh) * 2022-02-15 2022-05-06 刘定明 一种口罩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228A1 (ja) * 2013-11-29 2015-06-04 興和株式会社 マスク
JP6216628B2 (ja) * 2013-11-26 2017-10-18 優 今泉 横ヒダ型衛生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767A (ja) * 1984-09-29 1986-04-25 Wakayamaken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柑橘類果汁の脱油処理法
JPH0391355A (ja) * 1989-09-04 1991-04-16 Ricoh Co Ltd Isdn端末装置
JPH0391355U (ko) * 1989-12-29 1991-09-18
US5553608A (en) * 1994-07-20 1996-09-10 Tecnol Medical Products, Inc. Face mask with enhanced seal and method
JPH08747A (ja) * 1994-06-16 1996-01-09 Hideko Asakura 鼻マスク
US6568392B1 (en) * 1995-09-11 2003-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JP2000000322A (ja) * 1998-06-16 2000-01-07 Sadaaki Honda マスク
JP3117500U (ja) * 2005-10-11 2006-01-05 玉川衛材株式会社 マスク
KR100996678B1 (ko) * 2009-12-24 2010-11-25 이상호 일회용 황사 마스크
JP2011182810A (ja) 2010-03-04 2011-09-22 Japan Vilene Co Ltd マスク
CZ303299B6 (cs) * 2011-01-17 2012-07-18 Royal Natural Medicine, S.R.O. Oblicejová rouška a zpusob její výroby
JP5615195B2 (ja) * 2011-02-03 2014-10-29 サンエムパッケージ 株式会社 マスク
US11134727B2 (en) * 2012-07-10 2021-10-05 Jennifer V. Hearst Scented mask system
CN203168082U (zh) * 2013-02-26 2013-09-04 曾馨慧 口罩
JP2016067671A (ja) * 2014-09-30 2016-05-09 宇都宮製作株式会社 衛生マスク
JP6499032B2 (ja) * 2015-06-30 2019-04-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5837252B1 (ja) * 2015-08-04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5937746B1 (ja) * 2015-09-04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3212967U (ja) * 2017-07-28 2017-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JP2019081984A (ja) * 2017-10-31 2019-05-30 エスパック株式会社 口腔・口周り保湿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6628B2 (ja) * 2013-11-26 2017-10-18 優 今泉 横ヒダ型衛生マスク
WO2015080228A1 (ja) * 2013-11-29 2015-06-04 興和株式会社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4579B2 (ja) 2023-04-25
EP3777589B1 (en) 2023-07-19
EP3777589A4 (en) 2021-06-02
CN111770696A (zh) 2020-10-13
CN111770696B (zh) 2023-04-28
EP3777589A1 (en) 2021-02-17
JP2019183347A (ja) 2019-10-24
US20210022418A1 (en) 2021-01-28
WO2019198252A1 (ja) 2019-10-17
JP2022111150A (ja) 2022-07-29
KR20200141025A (ko) 2020-12-17
JP7341288B2 (ja)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757B1 (ko) 일회용 마스크
KR102498457B1 (ko) 일회용 마스크
JP3212966U (ja) マスク
JP5074746B2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JP3226830U (ja) マスクの耳掛け構造及びマスク
JP6345368B1 (ja) 使い捨てマスク
KR102632131B1 (ko) 일회용 마스크
WO2022201872A1 (ja) マスク用耳掛け部材、及びマスク
EP4190194A1 (en) Mask
EP4159072A1 (en) Mask
JP7386756B2 (ja) マスク
WO2022196142A1 (ja) マスク
EP4316605A1 (e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JP6356371B1 (ja) 使い捨てマスク
TWM616955U (zh) 口罩
JP2023128037A (ja) マスク
CN115460950A (zh) 口罩用耳部件、口罩、口罩用耳部件的制造方法以及口罩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