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131B1 - 일회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일회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131B1
KR102632131B1 KR1020207021835A KR20207021835A KR102632131B1 KR 102632131 B1 KR102632131 B1 KR 102632131B1 KR 1020207021835 A KR1020207021835 A KR 1020207021835A KR 20207021835 A KR20207021835 A KR 20207021835A KR 102632131 B1 KR102632131 B1 KR 10263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line
seal lin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024A (ko
Inventor
가오리 후루야
아키라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7966A external-priority patent/JP70339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7967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854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의 하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과 더불어, 마스크 본체와 콧등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측 고정부(61)의 중심점(61a)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K1)과, 상측 변곡점(34)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K2)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θ1)은, 하측 고정부(62)의 중심점(62a)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K3)과, 하측 변곡점(35)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K4)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θ2)보다도 작으며, 또한 제2 가상선(K2)은 상기 제4가상선(K4)보다도 길다.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의 일부(27a)는 제1 가상선(K1)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마스크
본 발명은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열가소성의 섬유 부직포 및 면(綿)의 거즈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환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갖는 일회용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마스크는 상하 방향에 관해서 선대칭 형상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가 장방형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73350호 공보(U3073350)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마스크에서는, 상하 방향에 관해서 선대칭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하악의 하부로부터 튀어나오는 양태가 되어 안면과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움과 더불어,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가 콧등과 볼과 사이를 덮을 수 없기 때문에, 콧등과 볼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고 하는 제1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가 장방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코너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했을 때에는, 착용자의 피부를 강하게 자극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제2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의 하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과 더불어, 마스크 본체와 콧등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가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착용자의 피부를 강하게 자극할 우려가 없는 일회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발명은,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며, 입코 덮개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를 대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는, 귀걸이부의 양단은,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격리하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를 통해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고, 마스크 본체는,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을 가지며,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시일 라인을 통해 접어 포갤 수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는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시일 라인은, 마스크 본체가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측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이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와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측 변곡점과,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와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있어서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 변곡점을 가지고, 상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과 상측 변곡점과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은,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과 하측 변곡점과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보다도 작으며, 또한 제2 가상선은 제4 가상선보다도 길고,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의 일부는 제1 가상선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발명은,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며, 입코 덮개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를 대상으로 한다.
제2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는, 귀걸이부의 양단은,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격리하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를 통해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고,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에 각각 인접하여 후방 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와,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방 측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를 가지고,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마스크 본체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의 시트를 복수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시트는, 시일 라인 및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용착부에 의해서만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코 덮개부는 유연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는,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중앙 부위와, 중앙 부위 양측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갖는 양측 부위를 갖는다. 이 때문에, 착용 중에 마스크 본체가 위쪽으로 틀어지더라도, 양측 부위에 의해서, 눈에 마스크의 상단 가장자리가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마스크 본체의 오목부의 윤곽의 곡률 반경이 한 쌍의 볼록부의 윤곽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소형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마스크 본체의 입코 덮개부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용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한 용착부의 중앙부가 오목부에 인접한다. 입코 덮개부를 형성하는 복수 매의 시트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오목부에 인접하는 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 시에 양측부가 안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마스크는 유아용이기 때문에, 상기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유아용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에 의하면, 첫째로, 상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과, 상측 변곡점과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은,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과, 하측 변곡점과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보다도 작고, 둘째로,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는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의 일부는 제1 가상선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셋째로, 제2 가상선은 제4 가상선보다도 길다. 이들 세 가지 요건을 전부 갖춤으로써, 마스크가 안면에 간극 없이 핏트된다.
제2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에 각각 인접하여 후방 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와,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 측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를 가지고, 한 쌍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착용자의 피부를 강하게 자극할 우려가 없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가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마스크 본체를 전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같은 식의 마스크 측면도이다.
도 4에서 (a)는 도 2의 IV(a)-IV(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b)는 시일 라인의 형상을 형성하는 각 원호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시일 라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하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10)에 관해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이고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마스크(10)의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좌 반체 패널(20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우 반체 패널(201)에 관해서도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10)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마스크(10)는, 서로 교차(직교)하는 상하 방향(Y) 및 폭 방향(X)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 및 그것에 대향하는 피부 비대향면과, 마스크 본체(20)와,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 연장되는 환상의 한 쌍의 귀걸이부(4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20)는, 상하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점에 의해 정의된 라인(Q)과 폭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을 가지고, 세로 중심선(P)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30)을 갖는다(도 1∼도 3 참조).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라인(Q)은, 마스크 본체(20)의 후술하는 상단 가장자리(20a) 및 하단 가장자리(20b)의 상하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점을 연결함으로써 정의된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곡선이다. 또, 라인(Q)은 직선이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20)의 착용 상태를 고려하여, 폭 방향(X)의 중앙을 전방이라고 하고, 폭 방향(X)의 끝가장자리를 후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마스크 본체(20)는, 세로 중심선(P)에 관해서 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착용자의 안면의 우측을 피복하는 우 반체 패널(201)과 좌측을 피복하는 좌 반체 패널(202)을 갖는다. 우 반체 패널(201)과 좌 반체 패널(202)의 폭 방향(X)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의 내면끼리가 시일 라인(30)을 통해 합장형으로 접합됨으로써, 마스크(10)는 전개한 상태에서 입체적인 모양을 갖는다.
마스크(10)는, 좌우 반체 패널(201, 202)의 내측 가장자리부의 내면끼리가 맞닿은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으므로, 항상 좌우 반체 패널(201, 202)의 내면끼리 서로 대향 또는/및 맞닿은 상태에 있다. 마스크 본체(20)는, 착용자의 안면에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은 내면이라고 하고, 피부 비대향면은 외면이라고도 한다.
마스크 본체(20)는 복수의 섬유 부직포를 적층하여 형성된 것으로, 착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부분인 입코 덮개부(21)(필터 영역)와 양측부(22)를 갖는다. 마스크 본체(20)는, 상단 가장자리(20a)와 하단 가장자리(20b)와 상하단 가장자리(20a, 20b) 사이에서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갖는다.
마스크 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20a)는 웨이브형이며, 폭 방향(X) 중앙 부분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중앙 부위(36a)와, 중앙 부위(36a)의 양측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갖는 양측 부위(36b)를 갖는다. 상단 가장자리(20a)가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는 폭 방향(X)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갖는다.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는 폭 방향(X) 외측으로 두 갈래 형상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며, 하단 가장자리(20b)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는 대략 V자형을 갖는다.
마스크(10)는, 주로 3∼6세까지의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소위 유아용의 마스크이며, 외형 크기가 비교적으로 작고,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마스크 본체(20)의 폭 방향(X)의 치수(W1)는 130∼190 mm이고, 상하 방향의 치수(W2)는 100∼120 mm이다. 마스크 본체(20)는, 전개한 상태에서 대략 별모양을 가지고, 단순한 직사각형, 타원형 등을 갖는 종래의 어른용 마스크와는 다른 특이한 디자인성을 갖는다. 따라서, 착용 대상자인 유아에 대하여, 둥그스런 귀여운 인상을 부여하여, 구매 의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는, (폭 방향(X) 및 상하 방향(Y)으로 각각 교차(직교)한다)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적층된 복수 매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코 덮개부(21)의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외층 시트(23)와, 외층 시트(23)에서부터 순차 피부 대향면 측에 적층된, 제1 중간층 시트(외측 중간층)(24), 제2 중간층 시트(내측 중간층)(25) 및 내층 시트(26)를 갖는다. 내층 시트(26)는 입코 덮개부(21)의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고 있다. 외층 시트(23)와 제1중간층 시트(24)는 제2 중간층 시트(25) 및 내층 시트(26)보다도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으며, 마스크 본체(20)의 양측부(22)는 제2 중간층 시트(25)와 내층 시트(26)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20)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시트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용착부(38a, 38b)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입코 덮개부(21)에 위치하는 시트(23, 24, 25, 26)는 제1 용착부(38a)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양측부(22)에 위치하는 제2 중간층 시트(25) 및 내층 시트(26)는 제2 용착부(38b)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1 용착부(38a) 및 제2 용착부(38b)에 의해서, 마스크 본체(20)를 환상으로 둘러싸는 외주 시일 영역(38)이 정의된다. 또한, 제1 용착부(38a) 및 제2 용착부(38b) 각각은 타원형이기 때문에, 착용자 및 제삼자에게 부드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입코 덮개부(21)의 양측부(21a)에는, 상하 방향(Y)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제3 용착부(39a, 39b)가 상하 방향(Y)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시트(23, 24, 25, 26)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3 용착부(39a, 39b)에 의해서, 입코 덮개부(21)를 형성하는 시트(23, 24)가 시트(25, 26)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Y)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한 제3 용착부(39a, 39b)의 중앙부가 오목 커브 부분(53)에 인접한다. 이 때문에, 오목 커브 부분(53)에 인접하는 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착용 시에 양측부(22)가 안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복수의 시트는, 마스크 본체(2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 시일 영역(38)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각 시트(23∼26)는, 입코 덮개부(21)의 폭 방향(X) 양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종단 시일 영역(39)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종단 시일 영역(39)은 웨이브형(곡선형)이며, 상측 및 하측에 있어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음과 더불어, 중앙에 있어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굽은 만곡 형상을 갖는다. 만곡 형상의 종단 시일 영역(39)에 의해서 착용자 및 제삼자에게 부드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종단 시일 영역(39)은 간격을 두고서 직선형으로 배치한 제3 용착부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도 4(a)를 참조하면, 외층 시트(23)와 제1 중간층 시트(24)의 외측 가장자리(23a, 24a)는 종단 시일 영역(39)보다도 폭 방향(X)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종단 시일 영역(39)으로부터 폭 방향(X)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층 시트(23)의 일부와 제1 중간층 시트(24)의 일부에 의해서 드라이 엣지 부분(70)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 시일 영역(38)은, 마스크 본체(2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용착부(38a, 38b)를 갖는다. 종단 시일 영역(39)은, 입코 덮개부(21)의 양측부(21a)의 상하 방향(Y)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용착부(39a, 39b)를 갖는다. 종단 시일 영역(39)의 용착부(39b)는 선단이 굽은 형상인 대략 별모양이고, 용착부(39a)는 크기가 다른 원형이다. 각 용착부(38a, 38b, 39a, 39b)는 첨예한 형상 부분을 갖지 않으며, 굽은 형상 부분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에 대하여 비교적으로 강성이 높은 각 용착부(38a, 38b, 39a, 39b)에 피부가 닿더라도 자극이 주어지는 일이 없는 유연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아울러, 각 용착부(38a, 38b, 39a, 39b)는, 상하단 가장자리(20a, 20b) 및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시트(23∼26)의 용착 시에 시트(23∼26)의 자투리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시트(23∼26)의 자투리가 피부에 대하여 자극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용착부(39a, 39b)가 디자인성을 가지므로, 종단 시일 영역(39)은 장식 요소로서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각 시트(23∼26)는, 시일 라인(30)을 제외하고, 외주 시일 영역(38) 및 종단 시일 영역(39)에서만 서로 접합되고, 다른 부분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복수의 섬유 부직포를 적층하여 형성된 시트의 대향면 전체가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스크 본체(20)는 유연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또한, 외주 시일 영역(38)과 종단 시일 영역(39)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각 용착부(38a, 38b, 39a, 39b)가 서로 겹쳐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각 용착부가 서로 겹침으로써 국소적으로 강성이 높은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시트(23∼26)는, 예컨대 질량 10∼60 g/㎡의 통기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섬유 부직포 시트이며,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및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간층 시트(24)는, 미립자의 통과를 저지하는 필터 기능을 갖는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중간층 시트(25)는, 마스크 본체(20)의 베이스 시트로서 기능하도록 비교적 시트 강도가 강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 시트(26)에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촉감이 양호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외층 시트(23)로서 질량 35∼50 g/㎡의 스펀레이스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고, 제1 중간층 시트(24)로서 질량 20∼30 g/㎡의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고, 제2 중간층 시트(25)로서 질량 35∼50 g/㎡의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고, 내층 시트(26)로서 질량 20∼30 g/㎡의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20)의 양측부(22)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 볼록 커브 부분(볼록부)(51)과, 하 볼록 커브 부분(볼록부)(52)과, 상 볼록 커브 부분(51)과 하 볼록 커브 부분(52)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 커브 부분(오목부)(53)을 갖는다.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은 완만한 커브형을 가지고, 오목 커브 부분(53)은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과 비교하여 곡률 반경이 작고, 급한 커브형을 갖는다. 오목 커브 부분(53)은, 연속하여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므로, 이들의 일부와 겹쳐 있다. 양측부(22)에 있어서의 상 볼록 커브 부분(51) 및 하 볼록 커브 부분(52), 그리고 오목 커브 부분(53)이 모두 곡선형이기 때문에, 피부에 닿더라도 피부를 강하게 자극하는 일이 없다. 아울러, 오목 커브 부분(53)에 착용자의 귀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귀걸이부(40)의 자유부(42)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마스크 본체(20)가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 및 오목 커브 부분은 커브형에 한정되지 않고, 곧은 형상이라도 좋다.
Figure 112020078274071-pct00001
표 1의 비교예 1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 및 오목 커브 부분(53)의 곡률 반경이 작기 때문에, 착용자의 귀의 크기에 대하여 오목 커브 부분(53)을 포함하는, 귀걸이부(40)에 있어서의 양단부(41a, 41b)의 세로 방향의 치수(양단부(41a, 41b) 중, 위쪽에 위치하는 한쪽의 단부(41a)의 하단에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41b)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좁아, 귀걸이부(40)의 양단부(41a, 41b)가 귀에 강하게 접촉해 버리는 문제가 있음과 더불어,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가 착용자의 볼에서 떨어져 버리는(마스크의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와 착용자의 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표 1의 비교예 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가 착용자의 볼에서 떨어져 버리는(마스크의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와 착용자의 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표 1의 비교예 3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오목 커브 부분(53)의 곡률 반경이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귀의 크기에 대하여 오목 커브 부분(53)을 포함하는, 귀걸이부(40)에 있어서의 양단부(41a, 41b)의 세로 방향의 치수(양단부(41a, 41b) 중, 위쪽에 위치하는 한쪽의 단부(41a)의 하단에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41b)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너무 넓어,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가 착용자의 볼에서 떨어져 버리는(마스크의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와 착용자의 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착용자의 턱 라인에 마스크가 따르지 않아, 마스크 본체(2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실시예 1∼3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 및 오목 커브 부분(53)의 곡률 반경이 적당한 크기이기 때문에, 안면과 마스크 본체(20)의 오목 커브 부분(5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20)가 안면에 핏트되어 있었다. 평가는,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10)가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20)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양호)」로 하고,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10)가 핏트되지 않았기 때문에 안면과 마스크 본체(20)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으면 「×(불가)」로 했다.
또한, 양단부(41a, 41b) 사이의 치수에서 봤을 때, 양단부(41a, 41b) 사이의 치수의 최대치는 38.5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양단부(41a, 41b) 사이의 치수를 38.5 mm로 했을 때, 상 볼록 커브 부분(51) 및 하 볼록 커브 부분(52)의 곡률 반경의 최대치는 19.25 mm가 되지만,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의 곡률 반경을 19.25 mm로 하면, 상 볼록 커브 부분(51)과 하 볼록 커브 부분(52)이 접촉하여 오목 커브 부분(53)을 배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오목 커브 부분(53)의 최대치인 9 mm를 확보했을 때,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의 곡률 반경의 최대치는 (38.5 mm-9 mm)÷2=14.25 mm(대략 14 mm)가 된다.
상술한 평가로부터, 상 볼록 커브 부분(51)의 곡률 반경은 예컨대 8∼14 mm가 바람직하다. 하 볼록 커브 부분(52)의 곡률 반경은, 예컨대 8∼14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 커브 부분(53)의 곡률 반경은, 5∼9 mm가 바람직하다.
종단 시일 영역(39)과 오목 커브 부분(53)의 폭 방향(X) 사이의 치수는, 표 1의 결과, 그리고 드라이 엣지 부분(70)을 확보하면서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와 착용자의 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5∼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부(4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며,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고무 밴드, 엮은 고무 등의 공지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특히 귀걸이부(40)에 엮은 고무를 이용한 경우에는, 귀걸이부(40)가 비교적 폭이 넓더라도, 착용자의 귀(3)에 유연하게 접촉하여 강한 아픔을 줄 우려가 없다.
귀걸이부(40)는, 마스크 본체에 고정된 양단부(41a, 41b)와, 양단부(41a, 41b)의 사이에서 환상으로 연장되는 자유부(42)를 갖고 있다. 귀걸이부(40)의 양단부(41a, 41b)는, 양측부(22)의 외면에 있어서 상 볼록 커브 부분(51)에 위치하는 상측 고정부(61)와, 하 볼록 커브 부분(52)에 위치하는 하측 고정부(62)를 통해 각각 마스크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상하측 고정부(61, 62)에 있어서는, 귀걸이부(40)의 양단과 마스크 본체(20)가 열용착 가공에 의해서 접합되고(도 4(a) 참조),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시트(25, 26)의 일부가 용착되어 필름화되어 있다. 또한, 귀걸이부(40)의 양단부(41a, 41b)가 양측부(22)의 외면에 위치하므로, 착용 시에 있어서 귀걸이부(40)가 후방으로 잡아당겨졌을 때에 양단부(41a, 41b)에 의해서 양측부(22)를 안면에 꽉 눌러 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하측 고정부(61, 62)는, 예컨대 네 구석을 곡선형으로 한 장방형이며, 장방형 대각선의 교점인 중심점(61a, 62a)을 갖는다. 상하측 고정부(61, 62)는, 도시하는 예 외에, 삼각형, 정방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공지된 형상이라도 좋고, 상하측 고정부(61, 62)가 원형일 때에는 원의 중심이 상하측 고정부(61, 62)의 중심점으로 된다. 즉, 상하측 고정부(61, 62)의 중심점(61a, 62a)이란, 상하측 고정부(61, 62)의 중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시일 라인(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20)가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측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이며, 2개의 변곡점(34, 35)을 갖는다. 여기서, 변곡점(34, 35)이란, 곡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부위이며, 직선과 직선 또는 직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도 4(b)를 참조하면, 시일 라인(30)은, 예컨대 3개의 원호, 위쪽에 위치하는 제1 원호(C1),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원호(C2), 제1 원호(C1) 및 제2 원호(C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원호(C3)에 의해서 정의된다. 제1 원호(C1)와 제3 원호(C3)의 교점이 상측 변곡점(34)이고, 제2 원호(C2)와 제3 원호(C3)의 교점이 하측 변곡점(35)이다.
제1 원호(C1)의 반경(R1)은, 예컨대 85∼100 mm이며, 제2 원호(C2)의 반경(R2)은, 예컨대 50∼65 mm이고, 제3 원호(C3)의 반경(R3)은, 예컨대 95∼110 mm이다. 제3 원호(C3)의 반경(R3)이 제1 원호(C1)의 반경(R1)보다도 크며, 또한 제2 원호(C2)의 반경(R2)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3 원호(C3)에 의해서 형성되는 시일 라인(30)의 중앙 부분은, 제1 및 제2 원호(C1, C2)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하측 부분과 비교하여 완만한 커브형을 갖는다. 또한, 제2 원호(C2)의 반경(R2)은 제1 원호(C1)의 반경(R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호(C1)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측부분은, 제2 원호(C2)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측 부분과 비교하여 완만한 커브형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변곡점(34)은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와 라인(Q)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변곡점(35)은,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와 라인(Q) 사이에 있어서, 하측 고정부(62)의 중심점(62a)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측 고정부(61)의 중심점(61a)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제1 가상 선분)(K1)과, 상측 변곡점(34)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제2 가상 선분)(K2)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θ1)은, 하측 고정부(62)의 중심점(62a)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제3 가상 선분)(K3)과, 하측 변곡점(35)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제4 가상 선분)(K4)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θ2)보다도 작다.
Figure 112020078274071-pct00002
표 2의 비교예 1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비근(鼻根)에 대하여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가 떠올라, 비근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었다. 표 2의 비교예 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코의 아래쪽에 대하여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가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표 2의 비교예 3∼4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비근의 커브에 대하여,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의 굽은 형상 부분이 맞지 않고, 비근의 위쪽으로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가 튀어나와 버렸다. 한편, 실시예 1∼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 및 하단부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 핏트되었다. 평가는,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가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양호)」로 하고, 핏트되지 않았거나 혹은 안면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으면 「×(불가)」로 했다. 이 때문에, 제1 교각(θ1)은 예컨대 80∼90도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78274071-pct00003
표 3의 비교예 1∼3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턱의 측방에 위치하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의 아래쪽이 안면으로부터 떠올라 간극이 생겨 버렸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하악에서 튀어나오는 양태가 되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렸다. 한편, 표 3의 비교예 4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턱의 선단으로부터 떠올라 간극이 생겨 버렸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하악에서 튀어나오는 양태가 되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렸다. 한편, 실시예 1∼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 및 하단부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 핏트되어 있었다. 평가는,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가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양호)」로 하고,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 핏트되지 않고서 안면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으면 「×(불가)」로 했다. 이 때문에, 제2 교각(θ2)은, 예컨대 95∼105도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78274071-pct00004
또한, 표 4의 비교예 1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제4 가상선(K4)의 길이 치수(L2)가 짧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렸다. 표 4의 비교예 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제4 가상선(K4)의 치수(L2)가 길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하악에서 튀어나오는 양태가 되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렸다. 한편, 실시예 1∼2에 나타내는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이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하악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았다. 평가는,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가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양호)」로 하고,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 핏트되지 않고서 안면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으면 「×(불가)」로 했다. 이 때문에, 제4 가상선(K4)의 길이 치수(L2)는, 예컨대 17∼30 mm가 바람직하다.
제2 가상선(K2)의 길이 치수(L1)는, 예컨대 10∼45 mm이다. 제2 가상선(K2)의 길이 치수(L1)는 제4 가상선(K4)의 길이 치수(L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는 폭 방향(X) 중앙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27)의 일부(27a)는 제1 가상선(K1)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예컨대, 어른용의 종래의 마스크에서는, 양측 가장자리가 직선형으로 연장된 장방형을 가지고,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의 폭 치수와 하단 가장자리의 폭 치수가 동일하다. 한편, 착용자의 얼굴은, 볼의 폭 치수와 비교하여 하악의 폭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아울러, 유아는, 어른과 비교하여 비근가 낮으며, 또한 하악의 선단이 둥글면서 동시에 하악이 작다. 이 때문에, 단순히 어른용의 종래의 마스크를 작게 한 마스크를 유아에게 착용하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하악의 하부에서 튀어나오는 양태가 되어 안면과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 아울러,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가 콧등과 볼 사이를 덮을 수 없기 때문에, 콧등과 볼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 더욱이, 종래의 마스크에서는,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를 고정하는 위치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와 안면과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할 때, 예컨대 비근(4)에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를 접촉시키고, 이어서 양쪽 귀(3)에 귀걸이부(40)의 자유부(42)를 걸고, 마지막으로 하악의 선단(1)과 하측 변곡점(35)이 대향하도록 하악의 하부(2)에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8)를 접촉시켜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10)를 착용한다. 착용 상태에서는, 양측부(22)가 후방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상하단부(27, 28)는 후방으로, 즉, 안면으로 향하여 꺾여 구부러진다. 이러한 꺾여 구부러지는 기점으로서 상하측 변곡점(34, 35)이 기능하여, 상하측 변곡점(34, 35)의 사이에서 콧구멍과 입(5)이 위치하는 공간(S)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측 고정부(61)의 중심점(61a)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K1)과, 상측 변곡점(34)과 시일 라인(30)의 상단 가장자리(30a)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K2)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θ1)은, 하측 고정부(62)의 중심점(62a)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K3)과, 하측 변곡점(35)과 시일 라인(30)의 하단 가장자리(30b)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K4)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제1 요건).
이에 따라, 상측 변곡점(34)이 상측 고정부(61)의 중심점(61a)과 전방에 대향하여 위치하여 시일 라인(30)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어, 어른과 비교하여 콧날이 짧은 유아의 코에도 상단부(27)가 핏트된다. 또한, 하측 변곡점(35)이 하측 고정부(62)의 하측이며 시일 라인(30)의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하단부(28)가 옆으로 넓어지는 식으로 둥근 형상을 갖는 유아의 하악에 대향하여 핏트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는 폭 방향(X) 중앙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상단부(27)의 일부(27a)는 제1 가상선(K1)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제2 요건). 유아의 비근(4)은, 어른과 비교하여 낮고 옆으로 넓어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단부(27)가 제1 가상선(K1)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근(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마스크 본체(20)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부(27)의 일부(27a)가 제1 가상선(K1)보다도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비근(4)의 횡측 부분 전체를 피복하여 마스크 본체(20)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단부(27)가 굽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비근(4)에 닿더라도 자극을 줄 우려는 없다.
더욱이, 제2 가상선(K2)은 제4 가상선(K4)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제3 요건). 이에 따라,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단부(27)가 콧등 전체에 핏트됨과 더불어, 하단부(28)가 하악의 아래쪽으로 첨예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간극이 형성되거나, 정면에서 봤을 때 마스크 본체(20)가 세로로 길어져 실제 얼굴보다도 길다는 인상을 주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시일 라인(30)이 이들 세 가지 요건을 전부 갖춤으로써, 입(5)의 전방에 공간(S)을 가지과 더불어, 어른과 비교하여 비근(4)과 볼이 낮으며, 또한 하악의 선단(1)이 둥글면서 하악의 폭이 좁은 유아의 안면에 간극 없이 핏트되는 마스크(10)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하악의 선단(1)과 하측 변곡점(35)이 대향하도록 하악의 하부(2)에 마스크 본체(20)의 하단부(28)를 접촉시켜 마스크(10)를 착용하기 때문에, 안면에 대하여 마스크(10)를 고정하는 위치가 명확하게 된다. 마스크(10)가 올바른 위치에서 착용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게 됨과 더불어, 착용 중에 마스크 본체(20)가 안면으로부터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가 폭 방향 및 상하 각각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시일 라인을 통해 접어 포갤 수 있는 종래의 어른용 마스크를 단순히 축소했을 뿐인 마스크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는 없다.
종래의 마스크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는, 착용자의 굽은 형상의 볼부를 따르게 하도록 밀착시키기 어려워, 안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게 된다. 특히 귀걸이부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 안면에 꽉 눌려지는 상하측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안면으로부터 떠오르게 쉽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에서는, 상하측 고정부(61, 62)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용착부(38a, 38b, 39a, 39b)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54)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측 고정부(61, 62)의 주위에서는 적절한 유연성을 갖는 한편, 비존재 영역(54)에 인접함과 더불어 둘러싸는 양태로 용착부(38b, 39a, 39b)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존재 영역(54)의 주위에 위치하는 용착부(38b, 39a, 39b)가 적절한 강성을 가짐으로써, 오목 커브 부분(53)을 포함하는 양측부(22)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오목 커브 부분(53)은 전방으로 움푹 들어가는 식으로 오목하게 굽어 있음과 더불어, 오목 커브 부분(53)의 중앙부는 상하측 고정부(61, 62)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양단보다도 더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하측 고정부(61, 62) 주위의 변형을 쉽게 하여, 동체에 대하여 안면을 움직였을 때에도, 마스크 본체(20)가 안면으로부터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용착부(38b, 39a, 39b)에 의해서, 양측부(22)가 안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목 커브 부분(53)과 종단 시일 영역(39)이 가장 근접하는 부위에서도 비존재 영역(54)이 존재하여, 비존재 영역(54)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됨으로써, 상술한 작용·효과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20)에 있어서의 상단 가장자리(20a) 및 하단 가장자리(20b)가 예각의 코너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직선형이거나 곡선형이기 때문에, 착용자 및 제삼자에게 부드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아울러, 양측부(22)에 있어서의 상하 볼록 커브 부분(51, 52) 및 오목 커브 부분(53)이 모두 곡선형이기 때문에, 피부에 닿더라도 피부를 강하게 자극하는 일이 없다.
마스크 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20a)는, 시일 라인(30)의 위쪽에서 폭 방향(X) 각각으로 연장되는 중앙 부위(36a)와, 중앙 부위(36a)의 단부에서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양측 부위(36b)에 의해서 정의되고, 양측 부위(36b)는 폭 방향(X) 중앙이 아래쪽으로 향해서 움푹 들어가는 곡선형이기 때문에, 착용 중에 마스크 본체(20)가 위쪽으로 틀어지더라도, 눈(6)에 마스크(10)의 상단 가장자리(20a)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락 [0065]∼[0067]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비근이 낮은 유아의 코 주위에 핏트되어,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볼이 높은 유아의 얼굴의 눈(6)에 마스크(10)의 상단 가장자리(20a)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마스크(10)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마스크 본체(20)의 하측 부분의 외면에, 인쇄에 의해서 꽃무늬나 캐릭터, 문자, 부호 및 기호 등의 장식 요소를 원포인트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장식 요소는,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착용자에게 마스크(10)의 위아래를 알리기 위한 식별 요소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특히 마스크(10)는 종래의 마스크와는 다른 특이한 외형을 가지므로 순간적으로 위아래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식별 요소가 유효하게 기능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 예컨대 인간을 본뜬 것과 같은 장식 디자인을 마스크 본체(20)의 형상에 맞춰 넣더라도 좋다. 물론 장식 요소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원포인트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입코 덮개부(21) 전체 또는 마스크 본체(20) 전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20)를 펼친 상태에서, 하측 고정부(62)의 중심점(62a)끼리의 길이 치수(L3)보다도 상측 고정부(61)의 중심점(61a)끼리의 치수(L4)가 크면,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7)에 있어서의 상측 고정부(61)끼리의 거리를 크게 하여 공간(S)을 크게 함과 더불어, 어른과 비교하여 귀(3)의 위치가 낮은 유아의 안면에 마스크(10)를 핏트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20)를 펼친 상태란, 평탄한 물건 위에 마스크 본체(20)를 놓았을 때, 마스크 본체(20)의 시일 라인(30) 근방을 제외한 부분이 평탄한 물건의 상면에 평행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마스크(10)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런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10: 일회용 마스크
20: 마스크 본체
21: 입코 덮개부
22: 양측부
23: 외층 시트(시트)
24: 제1 중간층 시트(시트)
25: 제2 중간층 시트(시트)
26: 내층 시트(시트)
27: 상단부
30: 시일 라인
30a: 상단 가장자리
30b: 하단 가장자리
34: 상측 변곡점
35: 하측 변곡점
36a: 중앙 부위
36b: 양측 부위
38a: 제1 용입착부(용착부)
38b: 제2 용착부(용착부)
39a: 제3 용착부(용착부)
39b: 제3 용착부(용착부)
40: 귀걸이부
51: 상 볼록 커브 부분(볼록부)
52: 하 볼록 커브 부분(볼록부)
53: 오목 커브 부분(오목부)
61: 상측 고정부
62: 하측 고정부
61a: (상측 고정부의) 중심점
62a: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
K1: 제1 가상선
K2: 제2 가상선
K3: 제3 가상선
K4: 제4 가상선
L1: 제2 가상선(K2)의 길이 치수
L2: 제4 가상선(K4)의 길이 치수
Q: 라인(가로 중심선)
X: 폭 방향
Y: 상하 방향
θ1: 제1 교각
θ2: 제2 교각

Claims (9)

  1.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며, 입코 덮개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의 양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하 방향으로 격리하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시일 라인을 통해 접어 포갤 수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는 상기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일 라인은,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측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이며,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 라인의 원호 반경이 변경되는 상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 라인의 원호 반경이 변경되는 하측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상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상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은, 상기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과 상기 하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보다도 작으며, 또한 상기 제2 가상선은 상기 제4 가상선보다도 길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의 일부는 상기 제1 가상선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의 시트를 복수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일 라인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용착부에 의해서만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상측 고정부 및 상기 하측 고정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용착부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을 배치하고 있고,
    상기 비존재 영역에 인접함과 더불어 둘러싸는 양태로 용착부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며, 입코 덮개부를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시일 라인을 통해 접어 포갤 수 있고,
    상기 귀걸이부의 양단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하 방향으로 격리하는 상측 고정부 및 하측 고정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는, 상기 상측 고정부 및 상기 하측 고정부에 각각 인접하여 후방 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와, 상기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방 측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을 갖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의 시트를 복수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는, 상기 시일 라인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용착부에 의해서만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상측 고정부 및 상기 하측 고정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용착부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을 배치하고 있고,
    상기 비존재 영역에 인접함과 더불어 둘러싸는 양태로 용착부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윤곽의 곡률 반경이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윤곽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는, 상기 상측 고정부 및 상기 하측 고정부에 각각 인접하여 후방 측으로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볼록부와, 상기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방 측으로 향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윤곽은 곡선형을 갖고 있는 마스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는, 상기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일 라인은,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접어 포개어진 상태의 측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이며,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 라인의 원호 반경이 변경되는 상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가로 중심선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 라인의 원호 반경이 변경되는 하측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상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상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1 교각은, 상기 하측 고정부의 중심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상선과 상기 하측 변곡점과 상기 시일 라인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가상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교각보다도 작으며, 또한 상기 제2 가상선은 상기 제4 가상선보다도 길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의 일부는 상기 제1 가상선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스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위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중앙 부위와, 상기 중앙 부위의 양측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을 갖는 양측 부위를 갖는 마스크.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코 덮개부의 상기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한 상기 용착부의 중앙부가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마스크.
  8. 삭제
  9. 삭제
KR1020207021835A 2018-04-13 2018-04-26 일회용 마스크 KR102632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7966A JP7033998B2 (ja) 2018-04-13 2018-04-13 使い捨てマスク
JP2018077967A JP7058540B2 (ja) 2018-04-13 2018-04-13 使い捨てマスク
JPJP-P-2018-077967 2018-04-13
JPJP-P-2018-077966 2018-04-13
PCT/JP2018/017093 WO2019198251A1 (ja) 2018-04-13 2018-04-26 使い捨てマ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024A KR20200141024A (ko) 2020-12-17
KR102632131B1 true KR102632131B1 (ko) 2024-01-31

Family

ID=6816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835A KR102632131B1 (ko) 2018-04-13 2018-04-26 일회용 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32131B1 (ko)
CN (1) CN111601525B (ko)
WO (1) WO2019198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302A1 (ja) * 2020-03-19 2021-09-23 興和株式会社 マスク
JP3246397U (ja) * 2020-12-28 2024-04-17 林淨植 平面マス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036A (ja) * 2006-09-01 2008-03-13 Iris Ohyama Inc マスク
JP2015003275A (ja) * 2014-10-09 2015-01-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090B1 (en) * 1999-02-17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JP3073350U (ja) 2000-05-18 2000-11-24 株式会社興和ヘルスケアー 衛生マスク
JP2006247046A (ja) * 2005-03-09 2006-09-21 Ebuno:Kk メガ立体マスク
JP4976916B2 (ja) * 2007-05-11 2012-07-18 優 今泉 眼鏡を掛けた人用マスク
JP3159977U (ja) * 2010-02-15 2010-06-10 株式会社メイリ−ジャパン 立体マスク
EP2486815A1 (en) * 2011-02-14 2012-08-15 Sperian Protection Armor Flat-folded mask forming trihedrals in an opened state
JP2015051135A (ja) * 2013-09-06 2015-03-1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マスク
JP6038071B2 (ja) * 2014-05-12 2016-12-07 小林製薬株式会社 マスク
CN105795549A (zh) * 2014-12-30 2016-07-27 天津市四维康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功能型防霾民用口罩
CN204444336U (zh) * 2014-12-30 2015-07-08 天津市四维康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功能型防霾民用口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036A (ja) * 2006-09-01 2008-03-13 Iris Ohyama Inc マスク
JP2015003275A (ja) * 2014-10-09 2015-01-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024A (ko) 2020-12-17
CN111601525A (zh) 2020-08-28
WO2019198251A1 (ja) 2019-10-17
CN111601525B (zh)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757B1 (ko) 일회용 마스크
JP6356370B1 (ja) 使い捨てマスク
KR102413814B1 (ko) 일회용 마스크
WO2019198286A1 (ja) 使い捨てマスク
JP3205181U (ja) 使い捨てマスク
JP5937748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3212967U (ja) マスク
JP6462793B1 (ja) マスク
KR102632131B1 (ko) 일회용 마스크
JP3212966U (ja) マスク
JP5917757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7033998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7058540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6345368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6356371B1 (ja) 使い捨てマスク
JP2020165074A (ja) マスク
KR102682693B1 (ko) 일회용 마스크
KR102617198B1 (ko) 착용성이 개선된 입체형 마스크
KR102677332B1 (ko) 일회용 마스크
JP3231897U (ja) 周縁全体を粘着剤で顔面に貼り付けて装着する、貼るマスク
JP3238363U (ja) 衛生マスク
JP3232179U (ja) マスクと顔面とが隙間がなく密着する不織布マスク
JP2022019532A (ja) マスクセットシート、及びマスクシート
JP2022019481A (ja) マスクの補助具
KR20220001596U (ko) 광고 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