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74U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74U
KR20190000374U KR2020180003344U KR20180003344U KR20190000374U KR 20190000374 U KR20190000374 U KR 20190000374U KR 2020180003344 U KR2020180003344 U KR 2020180003344U KR 20180003344 U KR20180003344 U KR 20180003344U KR 20190000374 U KR20190000374 U KR 201900003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bric
mask body
facing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 와카스기
아키라 시바타
유스케 나카무라
류이치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0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고, 장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마스크(1)는, 세로 방향(L) 및 가로 방향(C)을 갖는 마스크 본체(3)와, 귀걸이부(5)를 구비하고,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과 피부 비대향면(S2)을 구비하고, 플리츠 구조(P)를 가지며,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의 일부를 구성하고 흡습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포백(9)과 피부 비대향면(S2)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을 포함하고, 셀룰로오스 포백(9)이 합성 섬유 포백(11)보다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많고, 마스크 본체(3)는, 착용자의 코를 덮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진 코 커버부(39)이며, 마스크 본체(3)의 가로 방향(C)을 따라서 연장된 상단 가장자리부(3A)로부터, 마스크 본체(3)의 세로 방향(L)의 적어도 30%의 길이까지 세로 방향(L)으로 연장된 것을 갖는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개시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분용 마스크나 위생 마스크 등 여러가지 형상의 마스크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마스크 본체와, 착용자의 양쪽 귀 또는 머리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를 상기 착용자의 안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끈과,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쪽의 면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안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기립하며 착용시에 상기 착용자의 콧마루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노우즈 그립부를 갖는 마스크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쪽의 면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안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기립하는 노우즈 그립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입이나 안면의 움직임에 의해 착용 당초의 위치로부터 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4-30654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시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쪽의 면과 착용자의 안면, 특히 코의 부분과 밀착되기 쉽기 때문에, 착용자가, 그 안면에 있어서 가려움이나 통증 등의 위화감을 느끼기 쉬웠다. 특히,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의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쪽의 면이, 마스크의 흡습성 향상의 관점에서 소정의 포백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쉬우면, 그 위화감을 느끼기 쉬웠다.
따라서, 본 개시는,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고, 장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 관한 마스크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사용시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기 위한 플리츠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흡습성을 갖는 제1 포백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제2 포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상기 제2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보다 많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착용자의 코를 덮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진 코 커버부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적어도 30%의 길이까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고, 장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를 피부 비대향면(S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를 피부 대향면(S1)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부면도이다.
도 4는, 셀룰로오스 포백(9)의 피부 대향면을 측면에서 본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은 50배)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양태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사용시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기 위한 플리츠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흡습성을 갖는 제1 포백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제2 포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상기 제2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보다 많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착용자의 코를 덮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진 코 커버부이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적어도 30%의 길이까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갖는 상기 마스크.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포백에 의해 마스크 본체의 흡습성을 확보하면서, 소정의 구성을 갖는 코 커버부를 갖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포백보다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많고,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안면에 자극을 주기 쉬운 상기 제1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 특히 코의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본 개시의 마스크는, 마스크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고, 장착감이 우수하다.
[양태 2]
상기 플리츠 구조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상단 가장자리부의 가까운 쪽으로부터, 제1 기부로부터 상기 상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기립하는 제1 주름부와, 상기 제1 주름부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기부보다 하단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제2 기부로부터 상기 상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기립하는 제2 주름부를 가지며,
상기 코 커버부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기부를 넘어서 연장된 양태 1에 기재된 마스크.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코 커버부와 상기 플리츠 구조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3]
상기 제1 포백이 셀룰로오스 포백인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마스크.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제1 포백이 셀룰로오스 포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흡습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양태 4]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절결부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과,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적어도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은 양태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플리츠 구조 및 상기 구성을 갖는 엠보스부에 의해, 사용시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고, 상기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결부가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개시의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가, 적어도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절결부가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고,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더라도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의 마스크는,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5]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양태 4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부분이 엠보스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본 개시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렵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6]
상기 제1 포백은 직물이고,
상기 제2 포백은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백이 용단되어 있는 양태 4 또는 5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제1 포백은 직물이기 때문에, 흡습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습기가 차기 어렵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백이 용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단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백과 상기 제1 포백이 용착하여, 양 포백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쉽고 마스크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쉬우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7]
상기 제2 포백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힌 제1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음부가 상기 제1 포백을 덮고 있는 양태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하단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백이 상기 제2 포백에 덮여 있기 때문에, 상기 하단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기 어렵고, 본 개시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8]
상기 제1 포백은, 상기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힌 제2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양태 7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하단 가장자리 근방에서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이 높아지고, 본 개시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양태 9]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세로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연장된 보조 엠보스부를 갖는 양태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보조 엠보스부에 의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한층 더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본 개시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이하, 본 개시의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예컨대 마스크 등)을, 수직 방향의 상방측으로부터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순히 「평면시」라고 하고, 또한 상기 평면시에 의한 도면을 「평면도」라고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이용하는 각종 방향 등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로 방향」은 「평면시에서의 직사각형의 대상물의 상하 방향」을 가리키고, 「가로 방향」은 「평면시에서의 직사각형의 대상물의 좌우 방향」을 가리키고, 「두께 방향」은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이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이다.
또한, 「평면 방향」이란, 대상물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이루어진 평면이 연장된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대상물(예컨대 마스크 등)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상물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을 「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하고, 「대상물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쪽」를 「피부 비대향면측」이라고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대상물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예컨대, 마스크 본체, 제1 포백, 제2 포백 등)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 및 「피부 비대향면측의 표면」을, 각각 단순히 「피부 대향면」 및 「피부 비대향면」이라고 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를 피부 비대향면(S2)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를 피부 대향면(S1)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부면도이다. 도 4는, 셀룰로오스 포백(9)의 피부 대향면을 측면에서 본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은 50배)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와, 마스크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귀걸이부(5, 5)를 구비한다.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할 때에는, 마스크 본체(3)를 착용자의 안면에 대향하도록 대고, 착용자의 양 귀의 각각에 귀걸이부(5)를 걸어서 장착된다.
[마스크 본체]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는, 세로 방향(L)과 가로 방향(C)을 가지며, 착용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가로 방향(C)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피부 대향면(S1)과, 피부 대향면(S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S2)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는,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의 일부를 형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제1 포백)과 피부 비대향면(S2)을 형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제2 포백)의 2층 구조를 갖는다.
본 개시에서의 제1 포백은, 흡습성을 갖는 한, 통기성이나 촉감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예컨대 타입수 80∼120개의 거즈, 무명 등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포백이 흡습성을 갖는다는 것은, 이하의 경우를 말한다.
흡습성 유무의 평가 대상이 되는 포백의 샘플을 11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켜, 절건(絶乾)시의 샘플의 질량(W0)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온도 20℃, 습도 90% RH로 조절된 항온 항습기에 상기 샘플을 24시간 정치하고, 정치후의 샘플의 질량(W1)을 측정한다. 샘플의 질량이 W1>W0인 경우에, 상기 샘플에 관한 포백이 흡습성을 갖는다고 평가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제2 포백은,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제2 포백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시트 재료이어도 좋지만, 상기 포백의 상단 가장자리, 하단 가장자리가 각각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로는,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스 처리가 행해지는 관점에서, 상기 합성 섬유는 열융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제1 포백과 피부 비대향면을 형성하는 제2 포백의 사이에, 미립자를 흡착시키는 필터 기능 및/또는 방향제, 항균제를 포함하는 중간 시트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제1 포백과 제2 포백의 사이에,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포백을 1장 이상 개재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은, 복수의 셀룰로오스계 단섬유를 서로 꼰 실의 편물로 이루어진 거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셀룰로오스 포백(9)의 피부 대향면(T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단섬유의 섬유단이 상기 피부 대향면(T1)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돌출되기 쉽고, 상기 섬유단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콕콕 찌르는 느낌 등의 자극을 주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합성 섬유 포백(11)은, 장섬유에 의한 스펀 본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합성 섬유 포백(11)은, 셀룰로오스 포백(9)과는 달리, 그 섬유단이 합성 섬유 포백(11)의 표면(피부 대향면 또는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돌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합성 섬유 포백(1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착용자에게 콕콕 찌르는 느낌 등의 자극을 줄 우려가 적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섬유란, 평균 섬유 길이가 0.5∼100 mm인 섬유를 말한다. 또한, 장섬유란, 평균 섬유 길이가 100 mm 초과를 말하며, 그 중에는 연속 섬유가 포함된다.
본 개시에서는, 열융착성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펄프 이외의 것, 예컨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및 반합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는, JIS L1015 : 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이 있는 유리판 상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한다.
또,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해당하는 시험 방법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는, 제2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보다 많다. 또, 제1 포백 및 제2 포백은, 각각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갯수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제1 포백과 제2 포백으로부터 각각 10 mm×10 mm의 샘플을 잘라내고, 각각의 샘플에 있어서, 제1 포백의 피부 대향면과 제2 포백의 피부 비대향면을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여, 각 샘플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섬유단의 갯수를 육안으로 세어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3a) 및 하단 가장자리(3b)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상단 가장자리(3a) 전역으로부터 세로 방향(L)으로 10 mm 하측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영역인 상단 가장자리부(3A)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가로 방향(C)에서의 양 측부 각각에, 세로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된 측가장자리부(3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가장자리부(3c, 3c) 각각의 가로 방향(C)에서의 길이는 10 mm이지만, 본 개시에서의 측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길이는 5 mm∼20 mm 정도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마스크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는, 후술하는 사이드 시트(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3)의 측가장자리부(3c, 3c) 각각은, 후술하는 절결부(15)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17)과 상기 절결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으로 구획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치수, 즉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의 길이는, 착용전(미사용)의 상태, 즉 비전개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0 mm∼100 mm 정도이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는 140∼180 mm 정도이다.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어른 착용자의 표준 크기의 볼 및 턱부분을 충분히 피복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착용시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S2)측으로 융기하기 위한 플리츠 구조(P)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에는, 마스크 본체(3)의 상단 가장자리(3a)의 가까운 쪽으로부터, 제1 주름부(27a)와 제2 주름부(27b)와 제3 주름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름부(27a)∼제3 주름부(27c)의 각각의 구성 내지 위치 관계는, 마스크 본체(3)의 착용전(미사용)의 상태, 즉 비전개 상태에 있어서 이하와 같다.
제1 주름부(27a)는, 제1 기부(21a)와; 제1 기부(21a)와 제1 꼭대기부(23a) 사이의 자락부(S3)와; 제1 꼭대기부(23a)와; 제1 꼭대기부(23a)와 제2 기부(21b) 사이의 자락부(S4)를 포함한다. 제1 주름부(27a)에 있어서, 제1 꼭대기부(23a)는, 상단 가장자리(3a)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주름부(27a)에 있어서, 자락부(S3)의 세로 방향(L)의 길이는, 자락부(S4)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제2 주름부(27b)는, 제2 기부(21b)와; 제2 기부(21b)와 제2 꼭대기부(23b) 사이의 자락부(S5)와; 제2 꼭대기부(23b)와; 제2 꼭대기부(23b)와 제3 기부(21c) 사이의 자락부(S6)를 포함한다. 제2 주름부(27b)는, 제1 주름부(27a)보다 피부 비대향면(S2)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주름부(27b)에 있어서, 제2 꼭대기부(23b)는, 제1 주름부(27a)의 제1 꼭대기부(23a)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하고, 제2 기부(21b)는, 제1 주름부(27a)의 제1 기부(21a)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주름부(27b)에 있어서, 자락부(S5)의 세로 방향(L)의 길이는, 자락부(S6)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제3 주름부(27c)는, 제3 기부(21c)와; 제3 기부(21c)와 제3 꼭대기부(23c) 사이의 자락부(S7)와; 제3 꼭대기부(23c)와; 제3 꼭대기부(23c)와 바닥부(25) 사이의 자락부(S8)와; 바닥부(25)와; 바닥부(25)와 제4 기부(21d) 사이의 자락부(S9)와; 제4 기부(21d)를 포함한다. 제3 주름부(27c)는, 제2 주름부(27b)보다 피부 비대향면(S2)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제3 꼭대기부(23c)는, 제2 주름부(27b)의 제2 꼭대기부(23b)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하고, 제3 기부(21c)는, 제2 주름부(27b)의 제2 기부(21b)보다 더욱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제4 기부(21d)는, 제3 기부(21c)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바닥부(25)는,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보다 상단 가장자리(3a)측에 위치하고, 제4 기부(21d)보다 하단 가장자리(3b)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주름부(27c)에 있어서, 자락부(S7)의 세로 방향(L)의 길이와 자락부(S9)의 세로 방향(L)의 길이의 합은, 자락부(S8)의 세로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상단 가장자리(3a)와 제1 기부(21a) 사이의 제1 기저부(S10), 제4 기부(21d)와 하단 가장자리(3b) 사이의 제2 기저부(S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주름부(27a)∼제3 주름부(27c) 및 제1 기저부(S10), 제2 기저부(S11)에 의해 형성되는 주름상자형 구조가 마스크 본체(3)의 플리츠 구조(P)이다.
마스크 본체(3)는, 착용전(미사용)의 상태에 있어서, 제1 기저부(S10)와 자락부(S3)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4)와 자락부(S5)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6)와 자락부(S7)의 적어도 일부, 자락부(S9)와 제2 기저부(S11)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중복되어 접혀 포개지는 것에 의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편평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마스크 본체(3)는, 마스크(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의 길이에 따라서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가 세로 방향(L)의 하측으로 늘여지고, 마스크 본체(3)가 피부 비대향면(S2)측으로 융기하여, Ω형상에 변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크(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자락부(S8)는 가장 융기하는 면이며, 착용자의 코의 선단 또는 입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본 개시에서의 마스크 본체의 플리츠 구조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가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그 주름의 수나 주름의 방향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절결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 중앙 축선(CL)보다 하측의 위치에 절결부(15)를 갖고 있다. 절결부(15)는, 마스크 본체(3)의 가로 방향(C)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으로부터 가로 방향(C)의 내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형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3)는 절결부(15)를 갖는 것에 의해, 마스크(1)의 사용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5)가 양측 가장자리부(3c, 3c) 각각의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과 착용자의 안면의 밀착성을 높이고,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절결부(15)는, 마스크 본체(3)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대략 V자형으로 셀룰로오스 포백(9)이 절단되고, 합성 섬유 포백(11)이 용단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절결부(15)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17)과, 절결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절결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 또는 복수의 직선형, 곡선형 등의 각종 공지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절결부는, 기재 시트를 절단하는 것으로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기재 시트가 복수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끼리 절단 및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 엠보스부, 접음부]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피부 대향면(S1) 및 피부 비대향면(S2)을 덮는 사이드 시트(13)를 갖는다. 사이드 시트(13)는,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3)의 기재 시트(7)의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을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사이드 시트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의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절결부를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포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포백은,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제2 포백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포백은,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진 시트 재료이어도 좋지만, 사이드 시트가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된 엠보스부(29)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부(29)는,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 즉,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과, 사이드 시트(13)를 두께 방향(T)으로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엠보스부(29)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2열씩 배치되어 있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열 또는 3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에 있어서는 엠보스부(29)를 갖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의 강성은,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의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의 강성보다 낮다.
또,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절결부 형성 영역 및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각각의 강성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강성치는, 굽힘 강성 시험, 즉, 측정 대상인 시트재로부터 소정 사이즈(예컨대 100 mm×10 mm)의 시험편을 잘라낸 후, 그 시험편의 각종 방향(즉, 측정 대상 부재의 세로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서의 절결부 형성 영역 또는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굽힘 강성을, 순굽힘 시험기 KES FB-2(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 시트(7)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11)은, 마스크 본체(3)의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3b)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S1)측으로 접힌 제1 접음부(31)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음부(31)가 셀룰로오스 포백(9)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포백(9)은, 하단 가장자리(3b)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S1)측으로 접힌 제2 접음부(33)를 갖는다.
또한, 합성 섬유 포백(11)의 제1 접음부(31)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1은, 셀룰로오스 포백(9)의 제2 접음부(33)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2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합성 섬유 포백(11)의 제1 접음부(31)와 셀룰로오스 포백(9)의 제2 접음부(33)는 모두,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엠보스부(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제2 포백의 제1 접음부와 제1 포백의 제2 접음부는, HMA 등의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는 또한, 세로 방향(L)의 중앙부에 있어서,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된 보조 엠보스부(37)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엠보스부(37)는, 제2 주름부(27b)에서의 자락부(S6)에서의 마스크(1)의 착용전(미사용)의 상태에서 자락부(S5)와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7), 즉, 셀룰로오스 포백(9) 및 합성 섬유 포백(11)을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코 커버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셀룰로오스 포백(9)보다 더욱 피부 대향면(S1)측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부(3A)로부터 세로 방향(L)으로 연장된 코 커버부(39)를 갖는다. 코 커버부(39)의 세로 방향(L)에서의 길이를 L3으로 하면, L3은, 마스크(1)의 착용전(미사용)의 상태에서의 마스크 본체(3)의 세로 방향(L)의 길이의 30% 정도이다.
코 커버부(39)는, 마스크 본체(3)의 상단 가장자리부(3A)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고정단(38)과, 고정단(38)의 하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C)으로 연장된 자유단(40)을 갖는다. 마스크(1)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코 커버부(39)의 고정단(38)의 가로 방향(C)에서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비근 부분에, 자유단(40)의 가로 방향(C)에서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의 코의 선단 부분에, 각각 접촉하기 쉽다. 또, 본 개시에서의 코 커버부의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대한 접합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열융착 등 다른 접합 형태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코 커버부(39)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코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의 코 커버부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 포백은,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제2 포백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평량 10∼40 g/㎡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합성 섬유 부직포 시트 중,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서의 코 커버의 세로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0%의 길이이며,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3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30∼6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30∼50%의 길이이다. 코 커버의 세로 방향에서의 길이의 바람직한 범위의 하한치는, 제1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하는 관점, 상기 상한치는, 코 커버부가 착용자의 입가에 접촉하여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결정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코 커버는, 제1 포백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마스크 본체의 플리츠 구조에서의 제1 기저부의 하단 가장자리측의 단부를 넘어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는, 상단 가장자리(3a)측에 설치되고, 상단 가장자리(3a)의 일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41)를 갖는다. 유지 부재(41)는, 합성 섬유 포백(11)과 셀룰로오스 포백(9) 사이에 배치되고, 주위에 배치된 엠보스부(43)에 의해 그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의 유지 부재는, 박판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의 열가소성 수지(예컨대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41)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고, 일단 소정 형상으로 변형되면, 다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한 후에 유지 부재(41)를 코의 형상에 맞춰 변형시키면, 유지 부재(41)는, 마스크 본체(3)의 상단 가장자리(3a)의 근방을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맞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 부재(41)는, 상단 가장자리(3a)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귀걸이부]
귀걸이부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며,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고무끈 등의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상기 플리츠 구조(P) 및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세로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된 엠보스부(29)에 의해,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마스크 본체(3)가 절결부(15)를 양측 가장자리부(3c, 3c)의 각각에 있어서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절결부(15)가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의 일부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에 의해 마스크 본체(3)의 흡습성을 확보하면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코 커버부(39)를 갖는 것에 의해, 합성 섬유 포백(11)보다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많고,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안면에 자극을 주기 쉬운 셀룰로오스 포백(9)이 착용자의 안면, 특히 코의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의 일부가 셀룰로오스 포백(9)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흡습성에 의해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3) 내에서 뱉은 숨을 흡습ㆍ증산시키기 쉬워 습기가 차기 어렵다. 한편,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의 일부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포백(9)이, 예컨대 거즈 등, 셀룰로오스계의 단섬유를 서로 꼰 실의 편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계 단섬유의 섬유단이 상기 피부 대향면(T1)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돌출되기 쉽고, 상기 섬유단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콕콕 찌르는 느낌 등의 자극을 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마스크 본체(3)가 소정의 위치에,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진 코 커버부(39)를 갖는 것에 의해, 상기 콕콕 찌르는 느낌 등의 자극이나 위화감을 착용자에게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1)의 흡습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고, 장착감이 우수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에 있어서, 유지 부재(41)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3)가 착용자의 비근 부분에 특히 밀착되기 쉽다. 또한, 유지 부재(41)의 강성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을 통해 착용자의 비근 부분에 마찰 등, 특히 착용자에게 자극을 주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코 커버부(39)가 유지 부재(41)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보다 확실하게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코 커버부(39)와 플리츠 구조(P)가 전술한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포백(9)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피부 대향면(S1)의 일부를 구성하는 포백이 셀룰로오스 포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흡습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 플리츠 구조(P) 및 전술한 구성을 갖는 엠보스부(29)에 의해,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고, 마스크 본체(3)가 절결부(15)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결부(15)가 변형 유도의 기점이 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가,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부(3c)의 각각의 절결부 형성 영역(17)에 있어서, 절결부(15)를 피부 비대향면측(S2) 및 피부 대향면측(S1)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13)를 구비하기 때문에, 절결부(15)가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고, 절결부 형성 영역(17)의 강성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19)의 강성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결부 형성 영역(17)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더라도,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억제하기 쉽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사용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 절결부 형성 영역(17)이 엠보스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17)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더라도,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에 자극을 주기 어렵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은 직물이기 때문에, 흡습성을 유지하면서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습기가 차기 어렵다. 또한, 마스크 본체(3)는, 양측 가장자리부(3c)의 각각에서의 절결부(15)에 있어서, 합성 섬유 포백(11)이 용단되어 있기 때문에, 용단 부분에 있어서 합성 섬유 포백(11)과 셀룰로오스 포백(9)이 용착하여, 양 포백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쉽고 마스크(1)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쉬우며,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이 합성 섬유 포백(11)에 덮여 있기 때문에,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포백(9)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제2 접음부(33)에 의해, 하단 가장자리(3b) 근방에서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보조 엠보스부(37)에 의해 마스크 본체(3)의 입체 구조의 보형성을 한층 더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3)의 안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쉽고, 착용자의 안면에서의 위화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 본 개시에 관한 마스크는, 전술한 실시형태나 예시적 기재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서수는, 상기 서수가 부여된 사항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각 사항의 순서나 우선도, 중요도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 : 마스크
3 : 마스크 본체
3a : 상단 가장자리
3A : 상단 가장자리부
3b : 하단 가장자리
3c : 측가장자리부
5 : 귀걸이부
7 : 기재 시트
9 : 셀룰로오스 포백
11 : 합성 섬유 포백
13 : 사이드 시트
15 : 절결부
17 : 절결부 형성 영역
19 : 절결부 비형성 영역
21a : 제1 기부
21b : 제2 기부
21c : 제3 기부
21d : 제4 기부
23a : 제1 꼭대기부
23b : 제2 꼭대기부
23c : 제3 꼭대기부
25 : 바닥부
27a : 제1 주름부
27b : 제2 주름부
27c : 제3 주름부
29 : 엠보스부
31 : 제1 접음부
33 : 제2 접음부
35 : 엠보스부
37 : 보조 엠보스부
38 : 고정단
39 : 코 커버부
40 : 자유단
41 : 유지 부재
43 : 엠보스부
S1 : 피부 대향면
S2 : 피부 비대향면
S3∼S9 : 자락부
P : 플리츠 구조
L1 : 제1 접음부(31)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2 : 제2 접음부(33)의 세로 방향(L)의 길이
L3 : 코 커버부(39)의 세로 방향(L)에서의 길이

Claims (9)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구비하고, 사용시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융기하기 위한 플리츠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흡습성을 갖는 제1 포백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을 구성하는 제2 포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가 상기 제2 포백에서의 단위면적당 섬유단의 수보다 많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착용자의 코를 덮는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진 코 커버부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적어도 30%의 길이까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갖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츠 구조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상단 가장자리부 및 하단 가장자리를 각각 구성하는 제1 기저부 및 제2 기저부와, 이들 사이의 주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 커버부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저부의 상기 하단 가장자리측의 단부를 넘어서 연장된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백이 셀룰로오스 포백인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절결부가 형성된 절결부 형성 영역과,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절결부 비형성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적어도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피부 비대향면측 및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시트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의 강성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비형성 영역의 강성보다 낮은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부를 갖지 않는 마스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백은 직물이고,
    상기 제2 포백은 합성 섬유 포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에서의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백이 용단(溶斷)되어 있는 마스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백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힌 제1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음부가 상기 제1 포백을 덮고 있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백은, 상기 하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접힌 제2 접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접음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마스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세로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연장된 보조 엠보스부를 갖는 마스크.
KR2020180003344U 2017-07-28 2018-07-20 마스크 KR2019000037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7-003486 2017-07-28
JP2017003486U JP3212967U (ja) 2017-07-28 2017-07-28 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74U true KR20190000374U (ko) 2019-02-11

Family

ID=6003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44U KR20190000374U (ko) 2017-07-28 2018-07-20 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12967U (ko)
KR (1) KR20190000374U (ko)
CN (1) CN208821776U (ko)
TW (1) TWM57597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4579B2 (ja) 2018-04-13 2023-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7100611B2 (ja) * 2019-08-22 2022-07-13 伊藤忠リーテイルリンク株式会社 衛生マスク
JP7113863B2 (ja) * 2020-03-27 2022-08-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US20220117331A1 (en) * 2020-10-15 2022-04-21 Raytheon Company Augmented face mask
CN112602970B (zh) * 2020-12-21 2023-08-08 厦门蓝星企业有限公司 一种抑菌型医用外科口罩生产工艺
JPWO2022269746A1 (ko) * 2021-06-22 2022-12-29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654A (ja) 2012-08-06 2014-02-2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654A (ja) 2012-08-06 2014-02-2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75974U (zh) 2019-04-01
JP3212967U (ja) 2017-10-12
CN208821776U (zh)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374U (ko) 마스크
TWI769283B (zh) 口罩
KR20190000375U (ko) 마스크
KR102413814B1 (ko) 일회용 마스크
KR102078070B1 (ko) 마스크
EP0081943B1 (en) Anti-fogging surgical mask
JP5694812B2 (ja) 機能性シートを収容可能なマスク
TWI321992B (ko)
JP4594180B2 (ja) マスク
WO2021090585A1 (ja) 使い捨てマスク
WO2017110943A1 (ja) マスク
JP2007021025A5 (ko)
JP4822810B2 (ja) 母乳パッド包装体
JP4939035B2 (ja) 母乳パッド
KR101336188B1 (ko) 마스크
JP2007202790A (ja) 吸収性物品
WO2021131246A1 (ja) 使い捨てマスク
JP3179917U (ja) 衛生マスク
JP7026471B2 (ja) 脇用汗取りパッド
JP2023035558A (ja) マスク
JP3235927U (ja) 使い捨てマスク
JP3212578U (ja) マスク
JP3129067U (ja) 不織布製マスク
KR20170142808A (ko) 마스크
KR20230155418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