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80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808A
KR20170142808A KR1020160101943A KR20160101943A KR20170142808A KR 20170142808 A KR20170142808 A KR 20170142808A KR 1020160101943 A KR1020160101943 A KR 1020160101943A KR 20160101943 A KR20160101943 A KR 20160101943A KR 20170142808 A KR20170142808 A KR 20170142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ortions
mask
main body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옥
원정희
이혜지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14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 안면에서 코 주위를 커버하는 코부; 및 상기 코부와 결합되며 상기 안면에서 입 주위를 커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는 이종(異種)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코와 볼 등과 같이 위치별로 요구되는 특성에 대응하여,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는 안감을 서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여명의 조기사망과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최근 국내에 유행하였던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감기 등을 유발하는 전염성 병균으로부터 감염 또는 전염을 막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부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와 착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일부 마스크에서는 착용시 편안함이나 마스크와 안면의 밀착을 높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를 덮는 코부와 턱을 감싸는 턱부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 외에 보다 밀착력을 높이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 차단을 높이기 위한 마스크도 존재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마스크 본체에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전필터를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귀걸이 부는 탄성실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는 모두 안감을 한 가지 소재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코부, 본체부, 턱부 등 위치별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설계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부, 본체부, 턱부 등에 적용되는 소재 또는 재질이 상이하도록 안감을 설계함으로써, 위치별로 적합한 기능을 구현한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 안면에서 코 주위를 커버하는 코부; 및 상기 코부와 결합되며 상기 안면에서 입 주위를 커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는 이종(異種)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소수성과 친수성의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마찰력이 크거나 작은 것의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는, plane type 부직포이고,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는, mesh type 부직포 또는 embo type 부직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평량의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의 평량차는, 1.3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재질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사용자 안면의 턱 주위를 커버하는 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기 본체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안감을 한가지 소재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중의 소재를 적용하여, 일례로 코부는 습기를 막아주고 본체부는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흡수하는 등의 기능성을 부여해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안감(1101, 1201, 1301)이 위치, 영역별로 재질 등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 200)의 안감(1101, 1201, 1301)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동일/유사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식별부호 1101은 본체부의 안감일 수 있고, 식별부호 1201은 코부의 안감일 수 있으며, 식별부호 1301은 턱부의 안감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 200)는,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턱부(130, 130A)가 본체부(110, 210)에 포함되거나 생략되는 바와 같이 코부(120, 120A, 220)와 본체부(110, 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마스크(100, 200)가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체부(110, 210)와 턱부(130, 130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마스크(100, 200)는 사용자 안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입과 코 주변 등을 가려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진용 마스크 또는 한기를 차단하는 방한용 마스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 210)는 사용자의 입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코부(120, 120A, 220)는 사용자의 코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턱부(130, 130A)는 사용자의 턱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본체부(110, 210),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코, 입, 턱 등과 같이 위치별로 구분되어 안면을 커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 턱부(130, 130A)는 마스크(100, 200)에 있어서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코부(120, 120A, 220)와 본체부(110, 210)가 필터 기능을 이루는 경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도 먼지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겉감이 극세사, 부직포 등(이하 후술되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흡시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 후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마스크(100, 2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불편 없이 숨을 쉴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상부부재(111)와 하부부재(112)로 구분되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부부재(111)와 하부부재(112)는 사용자의 입 주변에서 상부와 하부를 이룰 수 있고, 이와 달리, 좌우로 구획되어 구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일반적인 사용자의 안면은 코를 중심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는데,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및 본체부(110, 210)는 사용자가 마스크(100, 200)를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로 분리된 구성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턱부(130, 130A)는 입 영역의 하부인 턱이 목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입 영역으로부터 턱 영역으로 확장되어 커버될 수 있다.
즉,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영역인 콧구멍은 코의 하단부인 입술 위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안면 중에서도 코가 두드러지게 돌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100, 200)는 콧구멍이 형성되는 코끝을 중심으로 안면의 좌우(귀가 위치되는 방향) 및 상하(이마와 턱을 향하는 방향)를 향해 들어가도록 경사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100)는 부직포, 면직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재질의 특성상 평면을 이루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전에 평면을 이루는 코부(120, 120A), 턱부(130, 130A), 본체부(110)가 서로 결합(융착, 봉제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음)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입체형상을 이루게 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조가 완료된 마스크(200)가 평면 구조를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코부(220)와 본체부(210)의 구분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재질 및/또는 소재의 차이로 인해 육안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또한, 코부(120, 120A, 220)에서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을 가로질러 지지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철심 또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철심, 스펀지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구부러짐이 가능한 재질이 삽입되어, 마스크(100, 200)의 상단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 200)는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또는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가 위치별, 부위별로 다른 소재 및/또는 재질의 안감(1101, 1201, 1301)을 적용하여 부위별로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소재로 적용,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 턱부(130, 130A)가 마스크(100, 200)의 위치별로 소재 및/또는 재질이 상이하도록 안감(1101, 1201, 1301)이 구비된 마스크(100, 200)일 수 있다.
여기서, 안감(1101, 1201, 130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 등 각각에 대응하여 안감(1101, 1201, 1301)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마스크(100, 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과 구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직접 대향하는 면을 안쪽으로 하는 경우, 마스크(100, 200)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겉감 및 안감(1101, 1201, 1301)이 차례로 적층되거나, 겉감, 중간부재, 안감(1101, 1201, 1301)이 차례로 적층되는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 등이 적용되는 구성을 안감(1101, 1201, 1301)으로 명칭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접촉면이 위치별로 소재를 달리 이루는 것으로서, 안감(1101, 1201, 1301)이 겉감과 구별되지 않고 마스크(100, 200)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안감(1101, 1201, 1301)만 구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안감(1101, 1201, 1301)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구성으로 사용하며, 안감(1101, 1201, 1301)이라는 명칭에 의해 겉감이 제외되지 않고, 그 기능이 안쪽면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마스크(100, 200)가 안감(1101, 1201, 1301)으로만 구비되어 안감(1101, 1201, 1301)이 겉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재질이 위치별로 상이하게 이루어지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감(1101, 1201, 1301)이 마스크의 단층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안감(1101, 1201, 1301)이 겉감을 포함하여 이룰 수도 있고, 마스크가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 안감(1101, 1201, 1301)과 겉감이 위치별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안감(1101, 1201, 1301)이 위치별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겉감은 위치에 관계없이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코부(120, 120A, 220)는 소수성, 본체부(110, 210)는 친수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친수성 본체부(110, 210)에서 흡수하면서 코부(120, 120A, 220)로 올라오는 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평량(낮은 마찰력)의 코부(120, 120A, 220), 고평량(높은 마찰력)의 본체부(110, 2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부(120, 120A, 220)는 마찰력이 작은 저평량의 부직포를 적용하여 코부(120, 120A, 220)의 화장의 묻어남을 방지하고, 본체부(110, 210)는 고평량의 부직포를 적용하여 마스크(100, 200) 형태 유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마스크(100, 200)의 안감(1101, 1201, 1301)을 한가지 소재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중의 소재를 적용하여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한 것이다.
종래 마스크(기존 제품)는 레이어 별로 각기 다른 소재를 사용하지만, 본 실시예는 마스크(기존 제품)의 안감(1101, 1201, 1301)에 동일한 레이어에서 다중의 소재/재질을 사용하고자 한 것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먼저, 소수성, 친수성 소재의 적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코부(120, 120A, 220)는 소수성, 본체부(110, 210)는 친수성 부직포를 적용하여,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본체부(110, 210)에서 흡수하면서 코부(120, 120A, 220)로 올라오는 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소수성을 정의한다.
- 깨끗하고 건조한 시험 table 위에 화장실용 화장지를 6매 포개어 펼친다.
- 시험편을 얹고 그 위에 ten-point-plate를 얹는다.
- 정제수를 시험편의 100mm 높이에서 0.5ml를 1 drop 한다.
- 정제수가 부직포에 접촉한 후부터 10초 후, 부직포를 통과하여 티슈 속으로 흡수되는지의 유무를 파악한다.
10회 측정하여 90% 이상인 통과하지 못한 시험편을 소수성으로 정의한다.
* 시험편 준비: 시험편을 구김이나 장력이 없도록 깨끗한 table 위에 펼친 후 랜덤 샘플링하여 가로 23cm, 세로 5cm의 시험편을 제조하고 수량은 3개가 되게 한다.
* ten-point-plate: Stainless 재질, 두께 5mm, 폭 30mmm 길이 200mm, Hole직경 10mm, Hole 개수 10개
다음으로, 마찰력이 다른 소재의 적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코부(120, 120A, 220)는 마찰력이 작은 부직포를 적용하여 코부(120, 120A, 220)의 화장 묻어남을 방지하고, 본체부(110, 210)는 마찰력이 큰 부직포를 적용하여 얼굴의 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패턴이 다른 소재의 적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밀착이 필요한 부분은 깊고 촘촘한 패턴으로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데, 예를 들어 mesh type의 부직포 또는 embo가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100, 200)는 외부 공기를 거르는 작용을 하므로 마스크(100, 200)의 외곽 주변이 뜨지 않도록 마스크(100, 200)의 외곽에 인접한 예를 들어 턱부(130, 130A)와 코부(120, 120A, 220)의 좌우 양측의 소재가 밀착이 필요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화장이 잘 묻어나는 부분에는 피부결과 같은 방향의 패턴(일례로, plane type의 부직포일 수 있음) 또는 표면적이 좁은 패턴을 이용하여 화장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부(120, 120A, 220)의 중심 영역 및 본체부(110, 210)에서 입술이 향하는 중심 영역일 수 있다.
다음으로, 평량이 다른 소재의 적용은 아래와 같다.
일례로, 본체부(110, 210)는 고평량의 부직포를 적용하여 마스크(100, 200) 형태 유지성을 부여하면서,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는 평량이 작은 부직포를 적용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코부(120, 120A, 220)와 본체부(110, 210)의 평량차는 1.3배이상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부(120, 120A, 220)의 평량차가 40gsm이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천연섬유, 합성섬유의 적용은 아래와 같다.
천연 섬유는 흡습속건의 특성을 가지며, 합성 섬유는 융착력 강화, 방수 기능 부여의 편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특성이 다른 재질의 천연, 합성섬유를 서로 다른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천연 섬유는 코부(120, 120A, 220)를 이룰 수 있고, 합성 섬유는 본체부(110, 210)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또는 코부(120, 120A, 220), 본체부(110, 210)의 조합을, 소수성과 친수성 재질의 조합, 마찰력에 차이를 가지는 재질의 조합, 패턴의 차이를 가지는 재질의 조합, 또는 평량의 차이를 가지는 재질의 조합과 같이 하나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가지는 재질의 조합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하나의 특성에 대한 차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코부(120, 120A, 220)가 소수성을 이루면서 마찰력이 크게 이루어지고 피부결과 같은 방향의 패턴을 가지되, 본체부(110, 210)는 친수성을 이루면서 마찰력이 작게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각각에 적용되는 하나의 재질은 서로 다른 특성이 조합되어 차이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각각에 적용되는 소재의 특성은 2가지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구성과 서로 다른 재질(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코부(120, 120A, 220), 턱부(130, 130A), 본체부(110, 210) 각각에 적용되는 재질이 앞서 설명한 재질과 서로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부(120, 120A, 220)의 재질이 친수성을 가지고 본체부(110, 210)가 소수성을 가지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코부(120)는 도 8에서와 같이 본체부(110)와 구분되어, 코부(120) 전체가 본체부(1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코부(122, 123)는 상하부로 구분되어, 코부(120)의 상부 영역(122)과 하부 영역(123)의 재질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영역(122)은 본체부(110)와 재질이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코부(120)의 상부 영역(122)과 하부 영역(123)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부 영역(122)이 하부 영역(123)에 대비하여 적어도 동일하거나 큰 것과 같이 그 비율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설명하지 않은 부호 140은 귀걸이부로서, 귀걸이부(140)는 마스크(100, 200)를 착용하기 위한 구성이며, 본체부(110, 2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귀걸이부(140)는 융착 또는 봉재 등의 방법으로 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줄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귀걸이부(140)는 고무줄, 탄성실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되거나, 천과 같이 길이가 일정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재질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안감(1101, 1201, 1301)을 한가지 소재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중의 소재를 적용하여, 일례로 코부(120, 120A, 220)는 습기를 막아주고 본체부(110, 210)는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흡수하는 등의 기능성을 부여해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마스크 110, 210: 본체부
120, 120A, 220: 코부 121: 지지부재
130, 130A: 턱부 140: 귀걸이부
1101, 1201, 1301: 안감

Claims (8)

  1. 사용자 안면에서 코 주위를 커버하는 코부; 및
    상기 코부와 결합되며 상기 안면에서 입 주위를 커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는 이종(異種)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소수성과 친수성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마찰력이 크거나 작은 것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는, plane type 부직포이고,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는, mesh type 부직포 또는 embo type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평량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부와 상기 본체부의 평량차는,
    1.3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재질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사용자 안면의 턱 주위를 커버하는 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기 본체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종의 성질 또는 이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60101943A 2016-06-17 2016-08-10 마스크 KR20170142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5750 2016-06-17
KR1020160075750 2016-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08A true KR20170142808A (ko) 2017-12-28

Family

ID=6093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943A KR20170142808A (ko) 2016-06-17 2016-08-1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77B1 (ko) * 2021-01-26 2021-10-13 이종호 초음파 융착 투명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77B1 (ko) * 2021-01-26 2021-10-13 이종호 초음파 융착 투명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6552B (zh) 具有一个或多个纳米纤维层的口罩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2279769B1 (ko) 마스크
AU2014309237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WO2009104442A1 (ja) 呼吸用透明マスク
KR101720674B1 (ko) 마스크
JP2007021031A (ja) 立体マスク
JP7251473B2 (ja) 防護用フード
KR20180075355A (ko) 마스크
KR101556754B1 (ko) 화이머씨엑토미 쉴드
JP2007021025A (ja) マスク
KR20190078254A (ko) 오리가미식 주름을 구비한 닥섬유 부직포의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US20180353781A1 (en) Annular unit for moisture management in respiratory mask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TWM599176U (zh) 口罩
KR101336188B1 (ko) 마스크
KR20170142808A (ko) 마스크
JP2007021028A (ja) マスク
JP2007021028A5 (ko)
KR20210131056A (ko) 오픈셀 2중차단 항균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5830A (ko) 마스크
US20210307422A1 (en) Protective respirators and a method of making a protective respirator
JP2016073444A (ja) マスク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