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73A -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 Google Patents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73A
KR20190000273A KR1020170158136A KR20170158136A KR20190000273A KR 20190000273 A KR20190000273 A KR 20190000273A KR 1020170158136 A KR1020170158136 A KR 1020170158136A KR 20170158136 A KR20170158136 A KR 20170158136A KR 20190000273 A KR20190000273 A KR 2019000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erminated
peanuts
peanu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성
이광진
안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Priority to PCT/KR2018/0144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0350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Abstract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은 땅콩 종자를 2~7일 동안 발아 재배하는 단계,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오일을 여과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Method for Extracting Oil from Germinated Peanuts, Oil therefrom, Oil with Capsule}
본 발명은 오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아 땅콩(또는 땅콩 새싹)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그것의 오일, 그리고 기능성 재료의 캡슐을 담은 오일에 관한 것이다.
땅콩은 콜레스테롤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다른 식품에 비해 양질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올레산, 알기닌, 폴린산, 비타민 E, 비타민 B6 등의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항암물질인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레스베라트롤은 파이토알렉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박테리아, 균류의 병원체 감염에 대한 방어 기제로 몇몇 식물들에서 천연적으로 생산된다. 레스베라트롤은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의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인간에 대한 다수의 건강상 효과, 예를들어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노화방지, 항염증, 수명연장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에 약학 활성인 다른 페놀계 화합물을 함유시키면, 레스베라트롤의 효과가 증대되거나, 약효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레스베라트롤과 같은 유효 성분을 추출할 때, 레스베라트롤과 화학 반응하는 화학 물질을 인위적으로 투입하여 레스베라트롤의 수율을 높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화학적 추출은 수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화학 부산물을 유발할 수 있고, 최근의 친환경, 웰빙 선호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땅콩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함에 있어, 땅콩의 영양 및 생리활성성분들을 파괴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최대한 많이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31658호, "프로토펙티나아제를 이용한 땅콩새싹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오일을 친환경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둘째, 기능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셋째, 오일의 맛과 향을 다양화할 수 있고,
넷째, 식감을 높일 수 있으며,
다섯째, 소비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구매욕을 높일 수 있는, 오일 추출 방법, 오일, 그리고 기능성 재료의 캡슐을 담은 오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은, 땅콩 종자를 2~7일 동안 발아 재배하는 단계,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 오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건조 발아 땅콩을 로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로스팅 단계 전에 건조 발아 땅콩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건조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 발아 땅콩을 다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추출 단계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기능성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그리고 건조 기능성 재료를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에서, 기능성 재료는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태양의 오일 추출 방법은 땅콩 종자를 2~7일 동안 발아 재배하는 단계,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오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태양의 오일 추출 방법은 증숙 단계와 건조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태양의 오일 추출 방법은, 증숙 단계 전에,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오일 추출 방법으로 제조한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담은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오일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오일에 기능성 재료를 내장하는 캡슐을 담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담은 오일에서, 기능성 재료는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모링가, 딸기, 사과, 수박, 포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담은 오일에서, 기능성 재료는 생즙, 추출액, 또는 농축액의 상태로 캡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담은 오일에서, 기능성 재료 또는 캡슐은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다른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고순도의 발아 땅콩 오일을 친환경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땅콩 새싹, 인삼 새싹, 발아 커피 등의 기능성 재료의 기능 성분을 추출 오일에 친환경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삼 새싹을 건조 분쇄한 후 여과 오일이나 정제 오일에 침지함으로써, 인삼 새싹에 포함된 지용성 기능 성분을 발아 땅콩 오일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지용성 성분을 추출 오일에 추가로 용해시킴으로써 부산물에 잔존하는 유효한 기능 성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출 수율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로스팅, 증숙 등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오일의 맛, 향, 성분 등을 다양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기능성 재료를 생즙, 추출액, 농축액, 건조분말 등의 상태로 캡슐화하여 이를 오일에 추가함으로써, 기능 성분의 추가 외에 식감, 시각 등을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기능성 재료 또는 캡슐에 색소를 추가하면 사용자 기호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에 의하면, 2~7일 발아시킨 땅콩(또는 땅콩 새싹)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함으로써, 땅콩으로부터 직접 추출할 때 나타나는 땅콩 고유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b는 땅콩 새싹, 안개 분무 땅콩 새싹, 땅콩 오일, 땅콩 새싹 오일에 대한 독성, NO 생성의 실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2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b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2c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b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c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d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4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a는 발아 땅콩 오일에 기능성 재료의 캡슐을 담아 캡슐 담은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b는 도 6a의 캡슐 오일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캡슐 담은 오일들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오일 추출 방법은, 먼저 단계(S110)에서, 땅콩을 2~7 일 동안 재배한다. 땅콩이 발아하여 줄기, 뿌리 등이 생기면, 땅콩 새싹으로 성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아 땅콩과 땅콩 새싹은 땅콩에서 발아하여 성장 과정에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또한 동일 의미로 사용한다.
땅콩은 발아하는 과정에서 그 형태가 달라진다. 발아 과정에서 지방이 줄면서 열량이 감소하지만,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늘어난다. 또한, 나트륨은 줄고, 마그네슘, 아연, 칼륨은 늘어난다. 특히, 땅콩은 발아하는 과정에서 세균, 곰팡이의 공격에 취약해지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방어 무기인 레스베라트롤이라는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 발아 땅콩은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땅콩에 비해 90배 이상 증가하는데, 이것은 포도주의 20배 이상에 해당한다. 또한, 발아 땅콩에는 아미노산 중에서도 아스파라긴산의 함량이 높아져, 그 양이 콩나물의 10배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발아 땅콩에는 땅콩과 비교하여 유효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땅콩은 분무수경 재배기에서 발아시킬 수 있다. 분무수경 재배기는 케이스, 재배대, 영양액 분무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는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재배대는 땅콩을 지지하는 것으로, 케이스 내에 상하로 이격시켜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영양액 분무기는 재배대에 물이나 영양액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는 것으로, 분사 노즐은 케이스의 바닥, 내벽, 또는 상면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땅콩의 발아 기간은 발아 기간에 따라 추출 오일의 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예를들어 2~4일, 4~5일, 또는 6~7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발아 땅콩을 건조시킨다. 발아 땅콩의 건조는 자연 건조, 열풍, 원적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풍이나 원적외선을 이용할 경우, 온도는 20~60℃, 바람직하게는 30~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온도가 낮으면 원하는 시간에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온도가 높으면 발아 땅콩의 일부 성분이 파괴되어 추출 오일에서 원하는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130)에서,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할 수 있다. 오일 추출은 저온 압착법, 열 압착법, 용매 추출법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성분 파괴를 최소화하고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저온 압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압착법의 경우,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에서 건조 발아 땅콩을 압착할 수 있다. 압착 방법은 발아 땅콩에서 오일이 추출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으로 발아 땅콩을 압착하는 것으로, 다른 첨가제 없이 물리적인 힘만을 가하여 오일을 추출하므로, 오일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출되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추출 오일을 여과한다. 여과는 추출 오일에서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발아 땅콩 오일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여과는 필터 프레스, 하우징 필터, 원심 분리(디스크 타입의 원심 분리, 연속성 초고속 원심 분리 등), 감압 여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필터 프레스는 5∼30 Kg/㎠ 의 유압으로 기름을 밀어 내면서 필터에서 찌꺼기를 걸러내는 압력 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S140) 이후에, 정제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정제는 여과 오일에서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0.45 또는 0.2 ㎛의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b는 땅콩 새싹, 안개 분무 땅콩 새싹, 땅콩 오일, 땅콩 새싹 오일에 대한 독성, NO 생성의 실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성 실험의 경우, 땅콩 오일에서는 독성이 나타났으나, 땅콩 새싹 오일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NO 생성에서는, 땅콩 오일과 땅콩 새싹 오일의 모두에서 60%까지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땅콩 새싹(또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추출한 땅콩 새싹 오일은, 독성에서 자유로울 뿐 아니라, NO 생성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c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1c에서, 왼쪽부터 땅콩 오일, 3일차 발아 땅콩, 5일차 발아 땅콩으로부터 제1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 오일들인데, 재배 기간에 따라 오일의 색깔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오일의 유효 성분이 재배 기간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도 2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오일 추출 방법은, 단계(S210)에서, 건조된 발아 땅콩을 로스팅(roasting)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로스팅은 고온의 건열을 사용하여 수분을 더하지 않고 가열하는 것이다.
나머지 단계는 제1 실시예의 단계들(S110,S120,S130,S140)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오일 추출의 수율을 높일 수 있고, 참기름과 같은 고소한 맛이 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기호에 더 부합하는 발아 땅콩 오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b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2b에서, 왼쪽부터 땅콩 오일, 3일차 발아 땅콩, 5일차 발아 땅콩으로부터 제2 실시예의 방법, 즉 로스팅 단계를 추가한 방법으로 추출한 오일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로스팅을 거치지 않은 도 1c의 오일들과 비교하여, 오일의 색깔이 진하고, 맛도 훨씬 고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c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건조 발아 땅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단계(S230)를 거친 후, 로스팅 단계(S210)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분쇄 단계(S230)는 기류식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800메쉬(mesh) 이하, 즉 초미세 분말화할 수 있다.
로스팅 단계(S210)는 분쇄된 건조 발아 땅콩, 즉 발아 땅콩 분말을 열풍식 유동층 로스터기, 원적외선 로스터기 등으로 로스팅할 수 있다.
나머지 단계는 제1 실시예의 단계들(S110,S120,S130,S140)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 의하면, 로스팅 효과에 더하여, 오일 추출의 수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3a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오일 추출 방법은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S310)와 증숙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S310)에서, 발아 땅콩을 생체로 증숙할 수 있다. 발아 땅콩을 물로 깨끗이 수세하여 이물질이나 부패균 등을 제거한 후, 발아 땅콩을 생체로 증숙기에 넣어 100-15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증숙 발아 땅콩을 건조시킨다. 증숙 발아 땅콩의 건조는 자연 건조, 열풍, 원적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풍이나 원적외선을 이용할 경우, 온도는 20~60℃, 바람직하게는 30~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나머지 단계(S110,S130,S140)는 제1 실시예의 단계들(S110,S130,S140)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방법과 증숙을 거치면, 발아 땅콩 특유의 냄새(비린내 등)나 떫은 맛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증숙을 거치면, 유효 성분이 저분자화되어 오일이 몸 흡수에 적합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도 3b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S310)와 증숙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S320)를 2회 이상 반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변형례와 같이, 증숙과 건조를 여러번 반복하면, 땅콩 특유의 냄새나 맛을 거의 제거할 수 있고, 몸 흡수도 훨씬 잘되는 오일을 얻을 수 있다.
도 3c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오일 추출 방법은 발아 땅콩을 건조시킨 후(S120)에 건조 발아 땅콩의 증숙 단계(S310)와 증숙 발아 땅콩의 건조 단계(S320)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와 같이, 발아 땅콩을 생체로 증숙하지 않고 건조시킨 후 증숙과 건조를 거치면, 증숙 단계의 효과, 즉 땅콩 특유의 냄새나 맛의 제거가 훨씬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3D는 재배 기간이 다른 발아 땅콩을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따라 제조한 오일들을 비교하고 있다.
도 3D에서, 왼쪽부터 땅콩 오일, 3일차 발아 땅콩, 5일차 발아 땅콩, 7일차 발아 땅콩으로부터 제3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의 방법, 즉 발아 땅콩을 건조시킨 후에 증숙 단계와 건조 단계를 수행하여 얻은 오일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1,2 실시예와 비교하여, 색깔이 더 진하고 땅콩 특유의 냄새나 맛이 최소화된 오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30)의 오일 추출에서는 액체 형태의 오일과 고체 형태의 부산물(건더기)이 발생하는데, 부산물에는 지용성 기능 성분이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잔존 지용성 기능 성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부산물을 여과 오일에 소정 시간 침지하여 부산물 내의 지용성 성분이 추출 오일에 추가로 용해되게 할 수 있다(S420). 침지 단계(S420)에서, 부산물의 침지 시간은 30~60일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부산물은, 단계(S410)와 같이 건조 후 바로 침지 단계(S420)를 수행하거나, 그렇지 않고 건조 부산물을 분쇄하여 여과 오일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산물 내의 지용성 성분이 더 많이 그리고 원활히 추출될 수 있다.
나머지 단계(S110,S120,S130,S140)는 제1 실시예의 단계들(S110,S120,S130,S140)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와 같이, 부산물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도 4와 같이 여과 오일에 침지시켜 처리함으로써, 저온 압착법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서 물리적 방법으로 추출되기 어려운 잔존 유효 성분들을 친환경적 방법으로 추가 추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부산물을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것으로 도시 설명하고 있으나, 여과 단계(S140) 후에 정제 단계를 추가 수행할 경우에는 정제 오일에 부산물을 침지하고 여과 단계를 한번 더 거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 단계(S140) 후에 기능성 재료의 침지 단계(S520)를 추가로 수행하여,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등과 같은 기능성 재료의 기능 성분을 오일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삼 새싹은 진세노사이드류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발아 땅콩 오일이 건강 기능 식품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단계(S510)와 같이,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등의 기능성 재료는 건조 후(필요에 따라서는 분쇄를 추가로 거친 후) 여과 오일에 30~60일 동안 침지할 수 있다. 기능성 재료에 포함된 지용성 기능 성분은 여과 오일에 용해되어 오일에 추가될 수 있다. 기능성 재료의 지용성 기능 성분은 여과 오일 총중량의 1 내지 3 중량%로 첨가되게 할 수 있다.
나머지 단계(S110,S120,S130,S140)는 제1 실시예의 단계들(S110,S120,S130,S140)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와 같이, 기능성 재료를 여과 오일에 침지시켜 기능성 재료의 지용성 성분을 오일에 추가하면, 오일의 기능성을 강화 내지 다양화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기능성 재료를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것으로 도시 설명하고 있으나, 여과 단계(S140) 후에 정제 단계를 추가 수행하는 경우에는 정제 오일에 기능성 재료를 침지하고 여과 단계를 한번 더 거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5와 같이, 기능이 추가된 오일은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a는 발아 땅콩 오일에 기능성 재료의 캡슐을 담아 캡슐 담은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담은 오일의 제조는, 먼저 단계(S610)에서, 위의 제1~5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발아 땅콩 오일을 준비한다.
단계(S620)에서, 기능성 재료를 캡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기능성 재료의 캡슐은 생즙, 추출액, 농축액, 건조분말(농축액의 동결건조분말, 원재료 자체의 동결건조분말, 원적외선 로스팅 미세분말 등) 형태의 기능성 재료와 알긴산염 용액을 혼합한 후, 다가 양이온 용액에 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기능성 재료는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모링가, 딸기, 사과, 수박, 포도 등일 수 있다. 기능성 재료는 생즙, 추출액, 농축액, 건조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재료는 식용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알긴산염은 직선상의 폴리글루쿠로닌산(polyglucuronic acid)인 알긴산의 염(alginate)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긴산의 나트륨(Na), 칼슘(Ca), 마그네슘(Mg) 염 형태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인 알긴산의 나트륨염 형태일 수 있다. 알긴산염은 다시마, 미역 등의 갈조류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알긴산염 용액은 위의 알긴산염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정제수에 알긴산염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가 양이온 용액은 알긴산염과 가교될 수 있는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염화칼슘(CaCl2), 염화바륨(BaCl2), 염화 스트론튬(SrCl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아연(ZnCl2) 등이 함유된 용액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 (CaCl2) 용액일 수 있다.
캡슐화 단계에서, 분사는 노즐 사이즈 0.5~2.0mm, 분사 공기 압력 0.1~2.0 kgf/㎠ , 액체 분사 압력 0.1~2.0 kgf/㎠ 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계(S630)에서, 기능성 재료의 캡슐을 발아 땅콩 오일에 담아, 캡슐 담은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캡슐 오일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캡슐 오일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 담은 오일은 다양한 기능성 재료를 캡슐 형태로 포함하면서 천연색소, 식용색소 등을 추가하여 다양한 색깔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아 땅콩 오일에 다양한 기능 성분을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색깔로 구성함으로써 상품성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그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5)

  1. 땅콩 종자를 2~7일 동안 발아 재배하는 단계;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오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발아 땅콩을 로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단계 전에
    건조 발아 땅콩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 발아 땅콩을 다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 기능성 재료를 여과 오일에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재료는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오일 추출 방법.
  8. 땅콩 종자를 2~7일 동안 발아 재배하는 단계;
    발아 땅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발아 땅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 오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는, 오일 추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 단계 전에
    상기 발아 땅콩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일 추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오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오일;
    기능성 재료를 내장하고 상기 오일에 담겨지는 캡슐을 포함하는, 캡슐 담은 오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재료는
    인삼 새싹, 땅콩 새싹, 발아 커피, 모링가, 딸기, 사과, 수박, 포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캡슐 담은 오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재료는
    생즙, 추출액, 농축액 또는 건조분말의 상태로 캡슐화되는, 캡슐 담은 오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색소를 포함하는, 캡슐 담은 오일.
KR1020170158136A 2017-06-22 2017-11-24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KR20190000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485 WO2019103507A1 (ko) 2017-06-22 2018-11-23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및 추출 오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9131 2017-06-22
KR1020170079131 2017-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73A true KR20190000273A (ko) 2019-01-02

Family

ID=6502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136A KR20190000273A (ko) 2017-06-22 2017-11-24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00273A (ko)
WO (1) WO20191035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653B1 (ko) * 2019-06-24 2020-02-17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한방재료를 활용한 한방참기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한방 참기름
KR20230047674A (ko) 2021-10-01 2023-04-10 농업회사법인 크레이지피넛 주식회사 땅콩 오일 정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8436B (zh) * 2020-07-27 2024-01-05 益海嘉里(青岛)风味食品应用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花生油、花生制品及其制备方法
CN114073273A (zh) * 2020-08-17 2022-02-22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上色浅、残油低的花生风味油脂及其制备方法
CN113881488A (zh) * 2020-08-17 2022-01-04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浓香油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6310C (en) * 2004-11-04 2013-09-24 Monsanto Technology Llc Seed oil compositions
KR101080076B1 (ko) * 2009-02-26 2011-11-07 주식회사농심 발효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5488B1 (ko) * 2011-11-18 2014-01-29 농업회사법인(주)장수채 땅콩나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중미세캡슐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460402B1 (ko) * 2012-07-01 2014-11-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분무건조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미세캡슐 제조방법
KR20140006273A (ko) * 2012-07-02 2014-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풍건조를 이용한 땅콩새싹 추출물의 분말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653B1 (ko) * 2019-06-24 2020-02-17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한방재료를 활용한 한방참기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한방 참기름
KR20230047674A (ko) 2021-10-01 2023-04-10 농업회사법인 크레이지피넛 주식회사 땅콩 오일 정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507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273A (ko) 발아 땅콩 오일의 추출 방법, 오일, 및 캡슐 담은 오일
JP2009171949A (ja) 明日葉茶
KR102311303B1 (ko)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KR102018334B1 (ko) 기능성 조미 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미 김
KR1018269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96522A (ko) 아로니아 분말이 함유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로니아 분말이 함유된 초콜릿
KR102248555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N107410810B (zh) 一种柳叶蜡梅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88449B1 (ko) 모링가 송이버섯 발효차와 이의 제조방법
KR20120017520A (ko) 식품용 솔잎차 및 건강식품용 솔잎분말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CN104223122A (zh) 金柚膳食纤维及其制备方法
CN103283896A (zh) 一种杜仲雄花茶的制备方法
KR20170104916A (ko) 증포무우 또는 증포야콘을 베이스로 하는 한방발효농축 식품첨가제 및 한방차
KR101727075B1 (ko) 조미 김의 제조방법
KR20170036844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2293285B1 (ko)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CN107296143A (zh) 一种百香果果糕及其加工方法
KR101853416B1 (ko) 더치커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930B1 (ko) 향 덧입힘 분말의 추출물로부터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의 제조방법 및 그 향 덧입힘 분말의 농축물 및 증류물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KR101628538B1 (ko) 기능성 김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4494B1 (ko)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