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697A -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697A
KR20180137697A KR1020170077212A KR20170077212A KR20180137697A KR 20180137697 A KR20180137697 A KR 20180137697A KR 1020170077212 A KR1020170077212 A KR 1020170077212A KR 20170077212 A KR20170077212 A KR 20170077212A KR 20180137697 A KR20180137697 A KR 2018013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emulsion
water
particles
polyimid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853B1 (ko
Inventor
정찬문
이광명
조유진
최주영
김범준
정진원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853B1/ko
Priority to PCT/KR2017/012738 priority patent/WO2018236003A1/ko
Priority to US16/305,713 priority patent/US11097240B2/en
Publication of KR2018013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7/00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28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tself, e.g. steps, 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6Amines or poly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05Methods of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 B01F23/41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using vibrations
    • B01F3/08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01F31/86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with vibration of the receptacle or part of i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08G73/101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 C08G73/1014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containing chain terminating or branching agents in the form of (mono)anhyd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6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08G73/105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with oxygen only in the diamino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08G73/1071Wholly aromatic 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75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 C08G73/1078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wholly aromatic in the diamino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4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ulsion
    • B01F23/4145Emulsions of oils, e.g. fuel, an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4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ulsion
    • B01F23/4146Emulsions including solid particles, e.g. as solution or dispersion, i.e. molten material or material dissolved in a solvent or dispersed in a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입자에 의해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은 매우 안정적인 분산상을 가지며,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응집, 크리밍, 유착 및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에멀젼의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입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하며, 표면처리 및 pH 조절 없이도 부분 젖음성(partial wettability)을 지니고 있어, 에멀젼 안정화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ickering emulsion composition using polyimide 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입자에 의해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은 매우 안정적인 분산상을 가지며,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응집, 크리밍, 유착 및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에멀젼의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입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하며, 표면처리 및 pH 조절 없이도 부분 젖음성(partial wettability)을 지니고 있어, 에멀젼 안정화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에멀젼(emulsion)은 액체 매질 중에 그에 용해하기 어려운 다른 액체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액체-액체 분산계를 말하며, 기름의 미립자가 수중에 분산한 계를 수중 유형(o/w형) 에멀젼, 반대인 경우를 유중 수형(w/o형) 에멀젼이라 한다. 에멀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하여 다공성 물질 또는 캡슐의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종국에는 응집, 크리밍, 유착, 상분리 등과 같은 경로에 의해 에멀젼의 분산계가 파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멀젼을 안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유화제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유화제는 친수기와 친유기를 동시에 함유하고 있어 물과 오일상의 경계면에 응집되어 흡착층을 만들고, 이를 통해 에멀젼 시스템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이나 고분자로 이루어진 유화제는 수용액 또는 유기용매 등에서 응집체를 형성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분자 및 고분자 유화제의 경우, 과량을 첨가하였을 때 분산 방울의 크기 제어가 어려우며, 첨가된 유화제의 세척 및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할 심물질에 따라 각기 다른 유화제를 선택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탄산칼슘, 실리카, 점토, 라포나이트, 흑연, 라텍스, 자분(magnetic particle), 탄소나노튜브(CNT) 등과 같은 고체 입자를 사용하여, 고체 입자가 오일-물의 두 상 사이의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이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유·무기 입자를 이용하여 피커링 에멀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고체 입자는 수상과 오일상의 양쪽 계면에 걸쳐 부분적으로 젖은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이를 위해 복잡한 화학적 표면처리 즉, 표면 개질(surface modification) 공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을 통해 고체 입자 표면의 소수성 정도를 조절하여 입자의 비가역적 계면흡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표면 개질을 위해, 유기 분자를 고체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화학 그래프팅법(chemical grafting)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친수성 표면을 가진 실리카 입자는 피커링 에멀젼을 형성하기 어려우나 유기실란(organosilanes)의 그래프팅에 의한 소수성 표면 처리를 통하여 피커링 에멀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처리를 통해 조절된 친수-친유성의 균형은 주변 환경 변화, 예를 들어 pH의 변화, 심물질의 농도 변화, 그래프팅된 분자와의 결합 세기 변화 등에 의해 깨지기 쉽기 때문에, 입자의 종류가 달라짐에 따라 에멀젼 안정화의 조건 또한 그에 맞게 맞추어 주어야 하므로, 피커링 에멀젼의 다양한 상업적 적용에 한계점이 있다.
한편, 종래 피커링 에멀젼 기술의 또 다른 기술로서, 에멀젼 전체 중량 중, 10 ㎚ ~ 100 ㎛의 평균 입경을 가진 입자 0.01 ~ 20 중량%, 및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0.01 ~ 20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유적(oil droplet) 표면에 상기 입자가 위치하는 형태의 피커링 에멀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한국공개특허 제2017-0013544호)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특정 평균 입경 범위를 갖는 입자 및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필수적으로 포함시켜 제조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수중유형 에멀젼의 제조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피커링 에멀젼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나 고분자 입체안정제의 사용 없이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한국공개특허 제2016-0137820호), 유상부가 유화제 대신 분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파우더와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에 관한 기술(한국등록특허 제1,547,528호), 유상성분 중에 유화제 대신 실리카 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를 포함하여 장기 보존안정성이 뛰어나며 유화제에 의한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에 도포시 사용성이 매우 우수한 유중수형 조성물에 대한 기술(한국등록특허 제550,967호) 등도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안정적 분산상을 가지는 에멀젼이면서도,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의 피커링 에멀젼의 제조가 모두 가능한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표면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며, pH 조건이나 심물질의 종류에 민감하지 않고 피커링 에멀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의 피커링 에멀젼의 제조가 모두 가능한 미립자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13544호 (2017. 2. 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7820호 (2016. 12. 1.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547,528호 (2015. 8. 2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550,967호(2006. 2. 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604,776호 (2016. 3. 1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7-0018823호 (2017. 2. 20. 공개)
Hao Wu et al., "Janus graphene oxide nanosheets prepared via Pickering emulsion template" Carbon Vol. 93, pp. 473~483, 2015. 11. LU Jianjun et al., "Preparation of polyimide microspheres in non-aqueous inverse emulsion" Acta Polymerica Sinica, 2010. 12. 박지훈, "열가역적으로 계면활성력이 조절되는 양친성 이량체 나노입자 합성", 한양대 학위논문(석사), 2016.
본 발명에서는 표면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며, pH 조건이나 심물질의 종류에 민감하지 않고 피커링 에멀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상 또는 유상 분산상의 액적이 폴리이미드 입자로 둘러싸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입자에 의해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은 매우 안정적인 분산상을 가지며,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응집, 크리밍, 유착 및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폴리이미드 입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하며, 표면처리 및 pH 조절 없이도 부분 젖음성(partial wettability)을 지니고 있어, 에멀젼 안정화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에멀젼은 유중수형(water-in-oil) 또는 수중유형(oil-in-water) 에멀젼의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물을 분산매로 하여 합성된 것이다. 물을 분산매로 하여 합성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용매를 분산매로 하여 합성한 폴리이미드를 피커링 에멀젼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폴리이미드 입자가 연속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가라앉는바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는,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물에 분산시킨 후,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구조를 갖는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다이아민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구조를 갖는 다이아민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2
.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예를 들어 질소 기체로 치환한 플라스크에 다이안하이드라이드와 다이아민을 분산매인 증류수에 분산시키고, 촉매 및 탈수제를 넣어준 뒤, 약 100℃에서 약 24시간 가량 환류하며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증류수, 아세톤 또는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여 얻은 고체를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입자는, 입자의 평균직경이 10 nm 내지 20 μm, 보다 구체적으로 50 nm 내지 15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nm 내지 10 μm일 수 있다. 폴리이미드 입자 크기를 상기 범위로 조절하지 않는 경우, 폴리이미드 입자가 연속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여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을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상 분리(phase separation)를 억제하여 분산상을 안정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입자는, 폴리이미드 합성 후 초음파 인가를 통해 입자크기가 평균직경 10 nm 내지 20 μm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100 kHz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kHz의 범위일 수 있고, 약 10분 내지 120분, 보다 구체적으로 15분 내지 10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20분 내지 8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25분 내지 6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30분 가량 인가함으로써, 적정 직경을 갖는 폴리이미드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수적, 또는 유적의 평균 입경은 약 1 μm 내지 1,000 μm, 보다 구체적으로 약 5 μm 내지 800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10 μm 내지 600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20 μm 내지 400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40 μm 내지 300 μm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은 1일 이상, 2일 이상, 3일 이상, 4일 이상, 5일 이상, 6일 이상, 7일 이상, 2주 이상, 3주 이상, 4주 이상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서, (a)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분산매인 물에 분산시키고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를 연속상인 수상에 넣고 초음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에 유상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서, (a)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분산매인 물에 분산시키고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를 연속상인 유상에 넣고 초음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에 수상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일 예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은 유적이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 즉, 유상(oil phase)이 분산상(dispersed phase)이고, 수상(water phase)이 연속상(continuous phase)인 수중유형의 피커링 에멀젼(oil-in-water type pickering emulsio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일 예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은 수적이 유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 즉, 수상(water phase)이 분산상(dispersed phase)이고, 유상(oil phase)이 연속상(continuous phase)인 유중수형의 피커링 에멀젼(water-in-oil type pickering emulsion)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에멀젼의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초음파는, 20 kHz 내지 100 kHz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 20 kHz 내지 40 kHz의 범위일 수 있고, 약 10분 내지 120분, 보다 구체적으로 15분 내지 10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20분 내지 8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25분 내지 6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30분 가량 인가함으로써, 적정 직경을 갖는 폴리이미드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 중의 상기 폴리이미드 입자는, 입자의 평균직경이 10 nm 내지 20 μm, 보다 구체적으로 50 nm 내지 15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nm 내지 10 μm일 수 있다. 폴리이미드 입자 크기를 상기 범위로 조절하지 않는 경우, 폴리이미드 입자가 연속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여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혼합 시 기계식 교반, 초음파 유화, 고압 균질화, 고속 전단 또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식 교반을 하는 경우, 500 내지 5,000 rpm으로 교반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000 내지 2,500 rpm, 보다 더 구체적으로 1,100 내지 1,800 rpm, 1,200 내지 1,700 rpm, 1,300 내지 1,600 rpm으로 교반할 수 있다. 교반 시간은 약 10초 내지 30분,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초 내지 25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1분 내지 20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5분 내지 15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10분 가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입자에 의해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은 매우 안정적인 분산상을 가지며,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응집, 크리밍, 유착 및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입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하며, 표면처리 및 pH 조절 없이도 부분 젖음성(partial wettability)을 지니고 있어, 에멀젼 안정화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에멀젼의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입자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의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합성예 1.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합성 ( PMDA -ODA)
질소 기체로 치환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피로멜리틱 다이안하이드라이드(PMDA, 1.09 g, 5.0 mmol)와 4,4'-옥시다이아닐린(ODA, 1.00 g, 5.0 mmol)을 분산매인 증류수 20 mL에 분산시키고 촉매인 피리딘(2 mL, 25.0 mmol)과 탈수제인 아세틱안하이드라이드(0.94 mL, 10.0 mmol)를 넣어준 뒤, 100℃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증류수,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진공 건조시켜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합성된 폴리이미드 입자는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1775 cm- 1와 1725 cm-1에서 이미드기의 C=O 흡수띠, 1378 cm-1에서 이미드기의 C-N 흡수띠가 관찰되었다.
합성예 2.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합성 ( HPMDA -ODA)
질소 기체로 치환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1,2,4,5-싸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릭 다이안하이드라이드(HPMDA, 1.12 g, 5.0 mmol)와 4,4'-옥시다이아닐린(ODA, 1.00 g, 5.0 mmol)을 분산매인 증류수 20 mL에 분산시키고 촉매인 피리딘(2 mL, 25.0 mmol)과 탈수제인 아세틱안하이드라이드(0.94 mL, 10.0 mmol)를 넣어준 뒤, 100℃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증류수,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진공 건조시켜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제조
합성예 1에 의해 합성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증류수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폴리이미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 8 mL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10분 뒤 교반을 멈추었을 때, N-헥사데케인 방울이 평균 약 250 μm의 직경을 가진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이 7일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제조
합성예 2에 의해 합성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증류수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폴리이미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 8 mL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10분 뒤 교반을 멈추었을 때, N-헥사데케인 방울이 평균 약 250 μm의 직경을 가진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이 7일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제조
합성예 1에 의해 합성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데칼린(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폴리이미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 8 mL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10분 뒤 교반을 멈추었을 때, 증류수는 평균 약 250 μm의 직경을 가진 유중수형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이 7일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제조
합성예 2에 의해 합성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데칼린(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폴리이미드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기 분산액을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 8 mL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교반하였고, 10분 뒤 교반을 멈추었을 때, 증류수는 평균 약 250 μm의 직경을 가진 유중수형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이 7일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합성예 1. 유기용매를 이용한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 PMDA -ODA)의 합성
질소 기체로 치환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유기용매인 N-메틸피롤리돈을 20 mL 넣고 피로멜리틱 다이안하이드라이드(1.09 g, 5.0 mmol)와 4,4'-옥시다이아닐린(1.00 g, 5.0 mmol)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용액에 탈수제인 아세틱안하이드라이드(0.94 mL, 10.0 mmol)와 촉매인 피리딘(0.8 mL, 25.0 mmol)을 넣고 160℃에서 6시간 동안 환류하여 이미드화 반응을 진행시켰고, 반응을 종결한 후 상온까지 냉각한 후 과량의 얼음물(증류수)을 이용하여 재침전 하였다. 침전물을 증류수,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비교합성예 2. 유기용매를 이용한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 HPMDA -ODA)의 합성
질소 기체로 치환한 100 mL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유기용매인 N-메틸피롤리돈을 20 mL 넣고 1,2,4,5-싸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릭 다이안하이드라이드(1.12 g, 5.0 mmol)와 4,4'-옥시다이아닐린(1.00 g, 5.0 mmol)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용액에 탈수제인 아세틱안하이드라이드(0.94 mL, 10.0 mmol)와 촉매인 피리딘(0.8 mL, 25.0 mmol)을 넣고 160℃에서 6시간 동안 환류하여 이미드화 반응을 진행시켰고, 반응을 종결한 후 상온까지 냉각한 후 과량의 얼음물(증류수)을 이용하여 재침전 하였다. 침전물을 증류수,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체를 진공 건조시켜 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1. 유기용매로 합성한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 PMDA -ODA)를 이용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비교합성예1에 따라 합성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증류수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였을 때, 유기용매로 합성한 PMDA-ODA 폴리이미드 입자는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대부분 가라앉았다. 폴리이미드 입자가 대부분 가라앉고 일부만 분산된 분산액을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을 투입하였을 때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라앉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여과로 제거하고 분산액만을 취하여 실험하였을 때에도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 유기용매로 합성한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 HPMDA -ODA)를 이용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비교합성예2에 따라 합성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물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였을 때, 유기용매로 합성한 HPMDA-ODA 폴리이미드 입자는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대부분 가라앉았으며, 폴리이미드 입자가 대부분 가라앉고 일부만 분산된 분산액을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을 투입하였을 때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라앉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여과로 제거하고 분산액만을 취하여 실험하였을 때에도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3. 유기용매로 합성한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 PMDA -ODA)를 이용한 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데칼린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였을 때, 유기용매로 합성한 PMDA-ODA 폴리이미드 입자는 데칼린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대부분 가라앉았으며, 폴리이미드 입자가 대부분 가라앉고 일부만 분산된 분산액을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를 투입하였을 때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라앉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여과로 제거하고 분산액만을 취하여 실험하였을 때에도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4. 유기용매로 합성한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 HPMDA -ODA)를 이용한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비교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이미드 분말 0.1 g과 연속상인 데칼린 50 mL를 100 mL 비커에 넣고 30분간 20 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였을 때, 유기용매로 합성한 HPMDA-ODA 폴리이미드 입자는 데칼린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대부분 가라앉았으며, 폴리이미드 입자가 대부분 가라앉고 일부만 분산된 분산액을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를 투입하였을 때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라앉은 폴리이미드 입자를 여과로 제거하고 분산액만을 취하여 실험하였을 때에도 에멀젼 안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5-1. 초음파 인가를 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입자의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형성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입자(PMDA-ODA)를 0.1 g 취하고, 여기에 50 mL의 증류수를 넣은 후 별도의 초음파 인가 없이,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을 투입하였다.
폴리이미드 입자는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N-헥사데케인의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 또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5-2. 초음파 인가를 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입자의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형성
합성예 2에서 제조한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입자(HPMDA-ODA)를 0.1 g 취하고, 여기에 50 mL의 증류수를 넣은 후 별도의 초음파 인가 없이,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오일상인 N-헥사데케인을 투입하였다.
폴리이미드 입자는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N-헥사데케인의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 또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6-1. 초음파 인가를 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입자의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형성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전방향족 폴리이미드 입자(PMDA-ODA)를 0.1 g 취하고, 여기에 50 mL의 데칼린을 넣은 후 별도의 초음파 인가 없이,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를 투입하였다.
폴리이미드 입자는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증류수의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 또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6-2. 초음파 인가를 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입자의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형성
합성예 2에서 제조한 부분방향족 폴리이미드 입자(HPMDA-ODA)를 0.1 g 취하고, 여기에 50 mL의 데칼린을 넣은 후 별도의 초음파 인가 없이,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교반하며, 증류수를 투입하였다.
폴리이미드 입자는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증류수의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 또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Claims (15)

  1. 수상 또는 유상 분산상의 액적이 폴리이미드 입자로 둘러싸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은 유중수형(water-in-oil) 또는 수중유형(oil-in-water) 에멀젼 조성물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물을 분산매로 하여 합성된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입자는, 입자의 평균직경이 10 nm 내지 20 μm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입자는, 폴리이미드 합성 후 초음파 인가를 통해 입자크기가 평균직경 10 nm 내지 20 μm로 조절된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100 kHz인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10 내지 120분 인가되는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9. (a)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분산매인 물에 분산시키고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를 연속상인 수상에 넣고 초음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에 유상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a) 다이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및 다이아민 화합물을 분산매인 물에 분산시키고 반응시켜, 폴리이미드를 수득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수득된 폴리이미드를 연속상인 유상에 넣고 초음파를 인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에 수상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초음파는 20 내지 100 kHz인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초음파는 10 내지 120분 인가하는 것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단계(b)에서 수득된 분산액 중의 폴리이미드 입자의 평균입경이 10 nm 내지 20 μm인,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9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중유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15. 제10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KR1020170077212A 2017-06-19 2017-06-19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12A KR101981853B1 (ko) 2017-06-19 2017-06-19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7/012738 WO2018236003A1 (ko) 2017-06-19 2017-11-10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6/305,713 US11097240B2 (en) 2017-06-19 2017-11-10 Pickering emulsion composition using polyimide 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12A KR101981853B1 (ko) 2017-06-19 2017-06-19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97A true KR20180137697A (ko) 2018-12-28
KR101981853B1 KR101981853B1 (ko) 2019-05-23

Family

ID=6473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212A KR101981853B1 (ko) 2017-06-19 2017-06-19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7240B2 (ko)
KR (1) KR101981853B1 (ko)
WO (1) WO201823600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782A (zh) * 2019-01-31 2019-05-28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黑茶纳米聚集体稳定的Pickering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01073A (ko) 2019-06-26 2021-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제
KR20210026496A (ko) * 2019-08-30 2021-03-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내상 에멀전을 이용한 다공성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WO2021172908A1 (ko) * 2020-02-27 2021-09-02 ㈜아모레퍼시픽 사용감이 개선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5747B (zh) * 2021-05-11 2022-07-05 贵州航天天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硬质聚酰亚胺泡沫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7528A (en) 1922-09-01 1925-07-28 Niles Bement Pond Co Ratchet-and-pawl mechanism
KR100550967B1 (ko) 2003-12-03 2006-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04776B1 (ko) 2007-05-10 2016-03-18 노이부르크 스킨 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계면활성제-무함유 폼 제제
KR20160137820A (ko) 2015-05-22 2016-12-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커링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6586A (ko) * 2015-07-08 2017-01-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폴리이미드 제조방법
KR20170013544A (ko) 2015-07-28 2017-02-07 한국과학기술원 피커링 에멀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8823A (ko) 2014-07-08 2017-02-20 다이또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1899A (en) 1980-12-27 1982-07-12 Fujitsu Ltd Constituting system of storage device
JP2768205B2 (ja) * 1992-03-04 1998-06-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乳化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7300524A (ja) * 1994-05-09 1995-11-14 Hitachi Chem Co Ltd 粒子状ポリイミドの製造法及び粒子状ポリイミド
JPH10524A (ja) 1996-06-13 1998-01-06 Hitachi Koki Haramachi Co Ltd ねじ移動テーブル装置のガタ防止機構
JP5645169B2 (ja) * 2009-11-13 2014-12-24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超微小液滴調製装置
KR101547528B1 (ko) 2014-01-08 2015-08-2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7528A (en) 1922-09-01 1925-07-28 Niles Bement Pond Co Ratchet-and-pawl mechanism
KR100550967B1 (ko) 2003-12-03 2006-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04776B1 (ko) 2007-05-10 2016-03-18 노이부르크 스킨 케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계면활성제-무함유 폼 제제
KR20170018823A (ko) 2014-07-08 2017-02-20 다이또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화장료
KR20160137820A (ko) 2015-05-22 2016-12-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커링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6586A (ko) * 2015-07-08 2017-01-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폴리이미드 제조방법
KR20170013544A (ko) 2015-07-28 2017-02-07 한국과학기술원 피커링 에멀젼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o Wu et al., "Janus graphene oxide nanosheets prepared via Pickering emulsion template" Carbon Vol. 93, pp. 473~483, 2015. 11.
LU Jianjun et al., "Preparation of polyimide microspheres in non-aqueous inverse emulsion" Acta Polymerica Sinica, 2010. 12.
박지훈, "열가역적으로 계면활성력이 조절되는 양친성 이량체 나노입자 합성", 한양대 학위논문(석사), 2016.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782A (zh) * 2019-01-31 2019-05-28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黑茶纳米聚集体稳定的Pickering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806782B (zh) * 2019-01-31 2021-05-11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黑茶纳米聚集体稳定的Pickering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01073A (ko) 2019-06-26 2021-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피커링 에멀젼 안정화제
KR20210026496A (ko) * 2019-08-30 2021-03-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내상 에멀전을 이용한 다공성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WO2021172908A1 (ko) * 2020-02-27 2021-09-02 ㈜아모레퍼시픽 사용감이 개선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6003A1 (ko) 2018-12-27
KR101981853B1 (ko) 2019-05-23
US11097240B2 (en) 2021-08-24
US20200078753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853B1 (ko) 폴리이미드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akahara et al. Asymmetrically modified silica particles: a simple particulate surfactant for stabilization of oil droplets in water
Okada et al. Formation of Pickering emulsions stabilized via interaction between nanoparticles dispersed in aqueous phase and polymer end groups dissolved in oil phase
Teixeira et al. Pickering emulsion polymerization using laponite clay as stabilizer to prepare armored “soft” polymer latexes
Xue et al. Tuning the interfacial activity of mesoporous silicas for biphasic interface catalysis reactions
KR102216453B1 (ko) 열팽창성 열가소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 방법
Tang et al. Pickering interfacial catalysts with CO2 and magnetic dual response for fast recovering in biphasic reaction
JP4269078B2 (ja) S/o/w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Tran et al. Templating interfacial nanoparticle assemblies via in situ techniques
CN103788402B (zh) 一种碳量子点/锂皂石乳液稳定体系及制备石蜡乳液的方法
Hu et al. Functional nanoparticle-decorated graphene oxide sheets as stabilizers for Pickering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and graphene oxide based foam monoliths
Jiang et al. Redox-responsive Pickering emulsions based on silica nanoparticles and electrochemical active fluorescent molecules
Yin et al. Fabrication of covalently-bonded polystyrene/SiO2 composites by Pickering emulsion polymerization
WO2016013847A1 (ko) 안정성이 우수한 발포고분자로 둘러싸인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자기유변체 및 그 제조방법
JP6555483B2 (ja) 針状炭酸ストロンチウム微粒子及びその分散液
Pei et al. CO2-Switchable Emulsification and Demulsification of Pickering Emulsion Stabilized by Zirconium-Based Metal–Organic Frameworks
Mao et al. Prob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ickering emulsion droplets stabilized with pH-responsive nanoparticles
CN109096499B (zh) 超顺磁纳米磁珠及其制备方法和可控乳化/破乳性能应用
Xie et al. Salt-resistant switchable pickering emulsions stabilized by mesoporous nanosilica hydrophobized in situ by pH-insensitive surfactants
Zhang et al. Design of Infused-Liquid-Switchable Superamphiphilic and Flame-Retardant Hierarchically Porous Materials from Emulsion-Templated Technique
JP2009242115A (ja) シリカゾ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hen et al. Triple phase inversion of emulsions stabilized by amphiphilic graphene oxide and cationic surfactants
US20170036189A1 (en) Composite Absorbent Particles for Drying an Emulsions
Pei et al. CO2-Responsive CuI-Ionic Liquid/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Stabilized Pickering Emulsions for Azide–Alkyne Click Reaction
Indalkar et al. Janus particles recent and novel approach in drug delivery: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