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735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735A
KR20180136735A KR1020170075858A KR20170075858A KR20180136735A KR 20180136735 A KR20180136735 A KR 20180136735A KR 1020170075858 A KR1020170075858 A KR 1020170075858A KR 20170075858 A KR20170075858 A KR 20170075858A KR 20180136735 A KR20180136735 A KR 2018013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coil
stator
terminal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247B1 (ko
Inventor
황광열
최종현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247B1/ko
Priority to EP18166332.9A priority patent/EP3416267A1/en
Priority to US15/948,094 priority patent/US10873240B2/en
Priority to CN201810623315.XA priority patent/CN109149830A/zh
Publication of KR2018013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37Curve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외부 케이스로의 전류 누설과, 외부 케이스와의 구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모터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마련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의 끝단부를 지지하며, 매그메이트 단자가 수용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과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와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크 터미널과,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을 수용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자기적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동력을 얻는 장치이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하며,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로터에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한다.
스테이터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과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 간의 연결이 필요하다. 이 때 외부 전원과 스테이터 코일의 매개체가 되는 커넥터를 매그메이트 단자와 포크 터미널이라고 한다.
매그메이트 단자를 이용한 기존의 방식 중에는 스테이터 코일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된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 노출된 코일의 단면과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외부 케이스를 통해 전류가 누설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포크 터미널 중에는 클램핑부와 포크부 사이가 벤딩이 된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의 소형화 등으로 인해 외부 케이스의 크기가 작아지면, 외부 케이스와 포크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장치 간의 구조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간섭은 모터의 성능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테이터 코일의 단면 노출을 막아 연면거리를 증가시키고, 전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원 연결장치와 전원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기구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터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마련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의 끝단부를 지지하며, 매그메이트 단자가 수용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과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와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크 터미널과,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을 수용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 터미널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이 결합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는 상기 전원 연결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절개된 코일 삽입부와, 상기 포크부와 탄성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의 요크(Yoke) 폭은 30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코일의 끝단부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일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의 끝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외면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두께는 0.5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의 끝단부와 매그메이트 단자가 수용되는 전원 연결부와,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압축기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고,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크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코일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이 압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 터미널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상기 전원 연결장치가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는 상기 전원 연결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절개된 코일 삽입부와, 상기 포크부와 탄성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끝단부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터는 코일이 권선되며,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와, 매그메이트 단자를 수용하는 매그메이트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여 외부 전원과 상기 코일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와이어와, 상기 리드와이어의 끝단부와 결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결합하는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포크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포크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테이터 코일의 단면 노출을 막아 연면거리를 증가시키고, 전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원 연결장치와 전원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기구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공기조화기용 밀폐형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는 코일(20)이 권선되는 스테이터(10)와, 스테이터(10)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미도시)와, 스테이터(10)에 외부의 전원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연결장치(100) 및 스테이터(10)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10)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인슐레이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1)는 원호 형상의 요크(12)와, 요크(12)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티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요크 폭이 30mm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로터(미도시)는 스테이터(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0)에 권선되는 코일(20)에 전류가 인가되면, 로터(미도시)는 스테이터(10)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로터(미도시)는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는 로터에 장착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를 통해 모터는 압축기(미도시)의 압축유닛(미도시)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는 코일(20)과 스테이터 코어(11)를 절연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인슐레이터(30)는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압입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고, 스테이터 코어(11)의 하부에 하방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의 일측에는 전원 연결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200)에는 전원 연결장치(100)가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코일(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원 연결부(200)는 인슐레이터(30)와 별개의 구성으로서 인슐레이터(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부(200)에는 매그메이트 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다.
매그메이트 단자(210)는 매그메이트 단자(21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코일 삽입부(211)와, 매그메이트 단자(210)의 일부분이 벤딩되어 형성된 탄성 접촉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삽입부(211)는 매그메이트 단자(210)가 코일(20)과 결합할 때 코일(20)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접촉부(212)는 전원 연결장치(100)가 전원 연결부(200)에 결합되면, 포크 터미널(120)과 탄성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장치(100)와 전원 연결부(200)는 별도의 장치 없이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연결장치(100)를 전원 연결부(200)의 상방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전원 연결장치(100)와 전원 연결부(200)를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연결장치(100)의 하우징(130)은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31)과 가이드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200)는 양 측면에 결합돌기(203)와 가이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03)가 결합홈(131)에 삽입됨으로써 전원 연결장치(100)가 전원 연결부(200)에 별도의 장치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204)가 가이드홈(132)에 삽입되므로 전원 연결장치(100)와 전원 연결부(200)는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장치(100)는 리드 와이어(110)와, 포크 터미널(120)과,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와이어(110)는 모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드 와이어(110)와 코일(20)은 u, v, w 각 상에 대응되어 구비된다.
포크 터미널(120)은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와 압착하여 결합하는 클램핑부(121)와, 클램핑부(121)로부터 로터(미도시)의 회전축(axis)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121)는 서로 마주보는 금속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판 사이의 간격은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보다 크게 마련된다. 금속판 사이에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를 위치시킨 후, 클램핑부(121)를 프레스함으로써 포크 터미널(120)과 리드 와이어(110)가 결합할 수 있다. 클램핑부(121)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포크부(122)는 클램핑부(1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포크부(122)는 클램핑부(121)로부터 전원 연결장치(100)가 전원 연결부(20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크부(122)는 클램핑부(121)로부터 로터(미도시)의 회전축(axis)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크부(122)는 전원 연결장치(100)가 전원 연결부(200)와 결합하였을 때, 매그메이트 단자(210)의 탄성 접촉부(212)와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포크부(122)의 끝단은 양 갈래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크 터미널(120)을 직선형 포크 터미널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포크부가 클램핑부로부터 로터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크 터미널을 벤딩형 포크 터미널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벤딩형 포크 터미널의 경우, 본 발명에 비해 전원 연결장치의 폭이 커질 수 있다. 전원 연결장치의 폭이 커지는 경우, 모터의 외부 케이스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켜 성능 불량 등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선형 포크 터미널을 포함하여 이러한 구조 간섭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30)은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와 포크 터미널(12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전원 연결부(200)와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전원 연결부(200)와 결합하여 코일의 끝단부(21)를 커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연결장치(100)가 전원 연결부(200)에 결합되면,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연면거리가 증가하여 전류누설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하우징(13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크 터미널(120)의 클램핑부(121)에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를 위치시키고, 클램핑부(121)에 압력을 가해 포크 터미널(120)과 리드 와이어(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포크 터미널(120)과 리드 와이어(110)가 결합된 상태로 사출장치에 인서트하면, 포크 터미널(120)과 리드 와이어(110)가 하우징(13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13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때, 포크 터미널(120)과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111)가 하우징(1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하우징(130)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하우징 조립 과정 없이도 전원 연결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작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양 측면에는 결합홀(131)과 가이드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연결부(200)와 별도의 장치 없이 결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부(200)는 코일 지지부(201)와 매그메이트 수용부(202)와, 결합돌기(203) 및 가이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지지부(201)는 코일(20)을 지지할 수 있다. u, v, w 각 상에 대응되는 코일(20)을 코일 지지부(201)에 삽입한 후, 도 2와 같이, 코일(20)의 끝단을 잘라낼 수 있다.
코일 지지부(201)에 코일(20)을 위치시킨 후, 매그메이트 단자(210)를 매그메이트 수용부(202)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매그메이트 단자(210)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코일 삽입부(211)에 코일(20)이 삽입될 수 있다. 코일 삽입부(211)에 코일이 삽입되면서, 코일(20)의 피복이 제거될 수 있다. 코일(20)의 피복이 제거되면, 매그메이트 단자(210)와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매그메이트 단자(210)는 포크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포크 터미널(120)은 리드 와이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코일(20)과 리드 와이어(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리드 와이어(110)를 거쳐 코일(20)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전원 연결장치가 전원 연결부로부터 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밀폐형 압축기(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외부 케이스(40)는 밀폐형 압축기의 케이스를 가리킬 수 있다.
압축기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스테이터(10)의 요크 폭(Y)이 점차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스테이터(10)의 요크 폭(Y)이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의 외경(d1)에서 슬롯의 외경(d2)을 뺀 값을 2로 나눈 값을 가리킨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요크 폭(Y) = (d1 - d2)/2 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 밀폐형 압축기의 소형화에 따라, 모터의 요크 폭(Y)은 30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압축기가 소형화되면서, 압축기의 외부 케이스의 크기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의 끝단부(21)와 외부 케이스(40) 사이의 거리(z), 즉, 절연거리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기존에는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절연거리(Z)가 5mm 미만으로 작아지게 되면 외부 케이스(40)를 통해 전류가 누설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끝단부(21)와 외부 케이스(40) 사이의 거리(Z)는 5mm 미만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의 끝단부(21)로부터 외부 케이스(40)로 전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130)은 커버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33)는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코일의 끝단부(21)를 커버할 수 있다.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 코일의 전류 누설 가능성이 대폭 하향될 수 있다. 이는 코일의 끝단부(21)와 외부 케이스(40) 사이의 연면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우징(130)은 커버부(133)를 포함하여 코일의 전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133)의 두께(t)가 너무 얇으면, 코일의 끝단부(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비해서는 전류 누설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으나, 여전히 전류 누설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의 두께(t)는 0.5mm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3)의 외면과 외부 케이스(40)의 내면 사이의 거리(d)가 너무 가까우면, 마찬가지로 전류 누설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133)의 외면과 외부 케이스(40)의 내면 사이의 거리(d)는 0.5mm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원 연결장치(100)는 직선형 포크 터미널을 포함하여 전원 연결장치의 폭(L)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벤딩형 포크 터미널을 사용하면, 전원 연결장치의 폭이 L보다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터(10)와 외부 케이스(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전원 연결장치가 외부 케이스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전원 연결장치(100)와 외부 케이스(40)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100)는 직선형 포크 터미널을 사용하여 전원 연결장치의 폭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연결장치(100)와 외부 케이스(40)의 구조적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장치(100)와 전원 연결부(200)가 결합하면, 포크부(122)와 탄성 접촉부(212)는 탄성 접촉할 수 있다. 탄성 접촉부(2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포크부(122)와 탄성 접촉부(212)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테이터 11 : 스테이터 코어
12 : 요크 13 : 티스
20 : 코일 30 : 인슐레이터
40 : 외부 케이스 100 : 전원 연결장치
110 : 리드 와이어 120 : 포크 터미널
121 : 클램핑부 122 : 포크부
130 : 하우징 131 : 결합홀
200 : 전원 연결부 201 : 코일 지지부
202 : 매그메이트 수용부 203 : 결합돌기
204 : 가이드부 210 : 매그메이트 단자
211 : 코일 삽입부 212 : 탄성 접촉부

Claims (20)

  1.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마련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의 끝단부를 지지하며, 매그메이트 단자가 수용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전원과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전원 연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리드 와이어와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포크 터미널과,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을 수용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터미널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이 결합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는 상기 전원 연결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절개된 코일 삽입부와, 상기 포크부와 탄성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요크(Yoke) 폭은 30mm 미만인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끝단부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인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일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의 끝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외면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이상인 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두께는 0.5mm 이상인 모터.
  12. 스테이터에 권선되는 코일의 끝단부와 매그메이트 단자가 수용되는 전원 연결부와,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압축기용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고,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크 터미널; 및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코일의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와 상기 포크 터미널이 압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모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터미널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끝단부를 압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상기 전원 연결장치가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는 상기 전원 연결부에 수용될 때 상기 코일의 피복을 제거하도록 절개된 코일 삽입부와, 상기 포크부와 탄성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모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모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모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끝단부와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5mm 미만인 모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이상인 모터.
  20. 코일이 권선되며,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로터;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와, 매그메이트 단자를 수용하는 매그메이트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와 결합하여 외부 전원과 상기 코일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장치는,
    리드와이어와,
    상기 리드와이어의 끝단부와 결합하는 클램핑부와, 상기 매그메이트 단자와 결합하는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포크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포크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터.
KR1020170075858A 2017-06-15 2017-06-15 모터 KR10247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858A KR102478247B1 (ko) 2017-06-15 2017-06-15 모터
EP18166332.9A EP3416267A1 (en) 2017-06-15 2018-04-09 Motor
US15/948,094 US10873240B2 (en) 2017-06-15 2018-04-09 Motor
CN201810623315.XA CN109149830A (zh) 2017-06-15 2018-06-15 电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858A KR102478247B1 (ko) 2017-06-15 2017-06-15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735A true KR20180136735A (ko) 2018-12-26
KR102478247B1 KR102478247B1 (ko) 2022-12-19

Family

ID=6191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858A KR102478247B1 (ko) 2017-06-15 2017-06-15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73240B2 (ko)
EP (1) EP3416267A1 (ko)
KR (1) KR102478247B1 (ko)
CN (1) CN1091498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7526A1 (de) * 2018-07-11 2020-01-16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orrichtung
CN109802261B (zh) * 2019-01-09 2020-11-10 宁国市兴源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空调弱电连接器插件
WO2020194619A1 (ja) * 2019-03-27 2020-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電動機
JP7100276B2 (ja) * 2020-04-30 2022-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圧縮機、及びファンモータ
LU101924B1 (de) 2020-07-13 2022-01-13 Adcos Gmbh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Verdichtersystem zur Drucklufterzeugung bei einer Fahrzeugbremse
JP6978711B1 (ja) * 2020-09-09 2021-1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ステータ、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送風装置、空気調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010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KR20100110039A (ko) * 2009-04-02 201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자권선 연결장치
KR20140007774A (ko) * 2012-07-10 2014-01-2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KR20150145318A (ko) * 2014-06-18 2015-12-30 주식회사 지앤제이 모터의 스테이터 리드선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6378A (en) 1985-11-12 1987-04-07 Amp Incorporated Motor stator and connector for making connections to stator windings
JPH0517821Y2 (ko) * 1988-07-27 1993-05-12
DE4037753A1 (de) * 1990-11-28 1992-06-11 Danfoss Flensburg Gmbh Elektrische maschine
DE10045471A1 (de) * 2000-09-14 2002-04-04 Miele & Cie Stator für Elektromotoren, insbesondere für Asynchronmotoren
BR0104134A (pt) * 2001-07-30 2003-08-05 Brasil Compressores Sa Conector elétrico para motor de compressor hermético e seu processo de obtenção
JP3895588B2 (ja) 2001-11-16 2007-03-2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密閉形圧縮機
JP4594026B2 (ja) * 2004-10-07 2010-12-0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レゾルバ外部導線固定構造
JP2007159192A (ja)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刷子電動機及びそれを具備した密閉型圧縮機
JP4848842B2 (ja) * 2006-05-29 2011-12-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04620B2 (ja) 2007-03-13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20262015A1 (en) * 2009-10-14 2012-10-18 Daesung Electric Co., Ltd. Resolver of electric driving motor for vehicle
JP2011139555A (ja)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0978B1 (ko) * 2010-06-23 2012-03-28 주식회사 아모텍 슬림형 스테이터와 그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슬림형 모터 및 드럼세탁기용 직결식 구동장치
US8313343B2 (en) * 2010-08-31 2012-11-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erminal block cover with nut retention feature
KR101422320B1 (ko) * 2010-09-20 2014-07-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CN202535179U (zh) * 2011-08-02 2012-11-14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电机的电气连接结构
US10263487B2 (en) * 2014-03-31 2019-04-16 Arcelik Anonim Sirketi Household appliance electric motor terminal direct socket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010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KR20100110039A (ko) * 2009-04-02 201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자권선 연결장치
KR20140007774A (ko) * 2012-07-10 2014-01-2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KR20150145318A (ko) * 2014-06-18 2015-12-30 주식회사 지앤제이 모터의 스테이터 리드선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6267A1 (en) 2018-12-19
CN109149830A (zh) 2019-01-04
KR102478247B1 (ko) 2022-12-19
US10873240B2 (en) 2020-12-22
US20180367008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735A (ko) 모터
EP1653585A1 (en) Insulated stator with wire routing element
US7531938B2 (en) Insertable brush holder assembly for electric motor
JP2003534762A (ja) ステータ
US11329523B2 (en) Permanent magnet brush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9030059B2 (en) Actuator
US20150280509A1 (en) Electric motor
JP4291789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US6617742B2 (en) Star connected rotor
CN102340202B (zh) 小型电动机及其制造方法
JPH08140302A (ja) 磁石式発電機の固定子
US20230047683A1 (en) Motor, compressor, and fan motor
JP2013044396A (ja) 通気構造
US20130285503A1 (en) Commutator Motor
US20220247141A1 (en) Electric motor with connecting element for a winding of a stator on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at least two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KR200475473Y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로기판 커넥터 접속장치
JPH0526917Y2 (ko)
KR100901305B1 (ko) 직류 모터용 회전자 조립체
CN218415985U (zh) 用于塑封电机的壳体结构
WO2023188591A1 (ja) 端子及び電動機
KR102221679B1 (ko) 브러시리스 모터
KR101658348B1 (ko) 스텝 모터
WO2022067696A1 (zh) 一种降低pwm逆变器驱动型塑封电机轴电压的结构
KR20040008784A (ko) 전자클러치용 전자석 조립체
JP3589853B2 (ja) 電動機の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