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679B1 - 브러시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679B1
KR102221679B1 KR1020190149067A KR20190149067A KR102221679B1 KR 102221679 B1 KR102221679 B1 KR 102221679B1 KR 1020190149067 A KR1020190149067 A KR 1020190149067A KR 20190149067 A KR20190149067 A KR 20190149067A KR 102221679 B1 KR102221679 B1 KR 10222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guide
housing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수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30')가 관통하는 중심홀(C) 및 터미널(T)이 관통하는 수용홀(33)이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시키는 로터조립체와, 상기 하우징(30)과 로터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30)과 결합되는 스테이터조립체와, 상기 터미널(T)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30)과 스테이터조립체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상기 수용홀(33)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맷(G)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는 가이드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과 스테이터조립체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그로맷(G)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로맷이 설치될 때, 그로맷을 가압하는 가이드부(13)가 제1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그로맷 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하고,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모터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터미널을 실링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DC모터에서 브러시, 정류자 등 기계적인 접촉부를 없애고 이를 대신하여 전자적인 정류기구를 설치한 직류모터로서, 무정류자 모터라고도 하며, BLDC모터(BLDC MOTOR) 또는 ECM모터(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로 표현하기도 한다.
종래의 DC모터와 브러시리스 모터를 비교하였을 때에, 브러시리스 모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적인 접촉부가 없어 회전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DC모터에서는 브러시 마모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나 브러시리스 모터는 브러시의 교체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브러시리스 모터는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브러시리스 모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메인마그넷이 있는 로터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스테이터코어를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PCB에 설치되고 커버가 하우징에 조립되어 PCB 부분을 차폐시킨다.
PCB와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된 코일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터미널이 사용되는데, 상기 터미널은 스테이터코어 쪽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후에 그 끝 부분이 PCB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과 스테이터코어 사이에는 터미널이 통과하기 위한 경로가 형성되고, 이 부분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터미널이 통과하기 위한 경로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리콘을 도포하는 방법과 그로맷 및 그로맷 가이드를 적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방법은 하우징을 통과하는 터미널 주변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데, 실리콘이 경화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모터의 조립이 중단되어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실리콘 건조를 위한 별도 보관 장소까지 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리콘 도포과정에서 터미널에 실리콘이 묻어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한편, 그로맷 및 그로맷 가이드를 적용하는 방법은 터미널에 그로맷을 끼우고 그 위로 그로맷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그로맷 가이드가 설치된 후 스테이터코어가 하우징과 조립된다. 스테이터코어가 하우징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스테이터 코어에 그로맷 가이드가 압축되며 실링이 이루어진다. 상기 그로맷 가이드는 그로맷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데, 직접적인 실링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그로맷을 고정하기 위한 그로맷 가이드를 추가로 필요로 하여 부품수가 증가하고 그로맷 가이드를 별도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8189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로맷 가이드 없이 그로맷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홀 및 터미널이 관통하는 수용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터조립체와, 상기 하우징과 로터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스테이터조립체와, 상기 터미널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터조립체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상기 수용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맷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는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터조립체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그로맷을 가압한다.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는 환형의 코어몸체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코어암이 등각도로 복수개 연장되는 스테이터코어와, 환형의 절연몸체 중심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절연암이 등각도로 복수개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일면을 감싸는 제1인슐레이터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는 상대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반대면을 감싸는 제2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와 제2인슐레이터의 외면으로 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안착공간이 구비된 그로맷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을 안내하며 상기 스테이터코어를 향하도록 터미널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그로맷가이드는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그로맷이 일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그로맷을 가압하고, 상기 터미널가이드는 상기 그로맷가이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와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터미널가이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가이드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그로맷가이드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보강부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심홀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중심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는 체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2보강부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심홀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되 상기 중심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수용부가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홀이 상기 수용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의 선단에는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를 향해 개방되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그로맷은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가 노출되게 안착된다.
상기 수용부의 수용홀과 수용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로맷이 설치될 때, 그로맷을 가압하는 그로맷 가이드가 제1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그로맷 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하고,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코어에 제1보강부가 형성되어 그로맷가이드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그로맷가이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따라서, 그로맷가이드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할 수 있게되므로 그로맷을 강하게 가압시켜 터미널이 관통되는 하우징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는 터미널이 관통하는 수용부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터미널을 면지지하므로 조립과정에서 터미널이 변형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가 돌출되어 터미널을 감싸므로 수분유입 경로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리스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인슐레이터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코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된 복수의 터미널(T)이 하우징(30)을 관통하여 반대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T)이 돌출된 쪽으로 모터 조립체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조립체는 로터조립체(미도시)와 스테이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조립체와 스테이터조립체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된 로터조립체의 내측으로 상기 스테이터조립체가 설치된다. 코일이 권선된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로터조립체가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복수의 터미널(T)은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여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 설치된 상대터미널(T')에 접촉되는데, 상기 하우징(30)의 터미널(T)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구멍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씰 역할을 하는 그로맷(G)이 상기 터미널(T)의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터미널(T)에 끼워지고, 상기 스테이터조립체가 상기 하우징(30)에 결합되면서 압착되어 상기 그로맷(G)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그로맷(G)이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와 하우징(30)의 사이에 결합되는 형상은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는 복수의 금속판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테이터코어(20)와 상기 스테이터코어(20)를 감싸는 한 쌍의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0)의 양쪽을 한 쌍의 인슐레이터인 제1인슐레이터(10)와 제2인슐레이터(10')가 각각 감싸고 상기 인슐레이터(10,10')의 외면으로 코일(미도시)이 권선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슐레이터(10,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0)가 상기 하우징(30)을 바라보는 쪽에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10)가 결합되고, 그 반대쪽에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1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0)와 제2인슐레이터(1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한 터미널(T)은 상기 제2인슐레이터(10')에 설치된 상대터미널(T')과 접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슐레이터(10)는 환형의 절연몸체(11)를 가진다. 상기 절연몸체(11)에는 복수의 절연암(12)이 등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암(12)은 상기 절연몸체(11)의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연암(12)은 상기 스테이터코어(20)를 감싸므로 일측이 개방되게 빈 공간을 가진다. 상기 빈 공간으로 상기 스테이터코어(20)의 코어암(22)이 안착된다.
상기 절연몸체(11)에는 상기 절연몸체(11)의 중심을 향해서 가이드부(13)가 돌출되어 상기 절연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절연몸체(11)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터미널(T)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는 그로맷가이드(14)와 터미널가이드(15)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하우징(30)과 마주보는 쪽에 그로맷가이드(14)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에 터미널가이드(15)가 형성된다. 상기 그로맷가이드(14)는 상기 하우징(30)과 스테이터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그로맷(G)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그로맷(G)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터미널가이드(15)는 상기 터미널(T)이 상기 상대터미널(T')에 접촉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그로맷가이드(14)에는 상기 하우징(30)을 향하는 면이 개방되게 안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4')에 상기 그로맷(G)의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30)으로 가압된다. 상기 안착공간(14')의 단면은 상기 그로맷(G)의 형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가이드(15)는 상기 그로맷가이드(14)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안착공간(14')이 개방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터미널가이드(15)는 상기 그로맷가이드(14)의 바닥과 직교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그로맷가이드(1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가이드(15)에는 내부에 관통홀(1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5')은 상기 터미널가이드(15)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간(14')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T)이 상기 가이드부(13)에 결합되면, 상기 터미널(T)에 끼워진 그로맷(G)은 상기 안착공간(14')에 안착되어 가압되고, 상기 터미널(T)은 상기 관통홀(15')의 내부를 관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0)는 환형의 코어몸체(21)를 가지며, 상기 코어몸체(21)에는 복수의 코어암(22)이 등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암(22)은 상기 코어몸체(21)의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코어암(22)은 상기 절연암(12)에 의해 감싸진 후 그 외면으로 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코어몸체(21)에는 상기 코어몸체(21)의 중심을 향해서 보강부(23,24)가 돌출되어 상기 코어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3,24)는 상기 코어몸체(21)와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T)의 개수와 대응되게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3,24)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10)와 하우징(3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30)과 스테이터조립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23,24)는 제1보강부(23)와 제2보강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23)에는 삽입홀(2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3')에 상기 제1인슐레이터(10)의 터미널가이드(15)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보강부(23)는 상기 가이드부(13)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분산시켜서 상기 가이드부(1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몸체(11)의 일측으로만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그로맷(G)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13)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상기 제1보강부(23)가 상기 터미널가이드(15)에 결합되어 상기 그로맷가이드(14)를 면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보강부(24)에는 체결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부(24)는 상기 하우징(30)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체결홀(24')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보강부(24)와 하우징(30)이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례에서 도 4에 도시된 상기 스테이터코어(20)가 마치 하나의 구성인 것처럼 표현되어 있으나, 편의상 하나의 구성품인 것처럼 설명한 것 뿐이다. 실제로 상기 스테이터코어(20)는 복수의 금속판재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부(23,24)가 금속판재 및 상기 보강부(23,24)가 형성되지 않은 금속판재가 적절한 순서로 적층되며,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금속판재가 적층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0)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은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대략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에는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T)과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T)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조립체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은 모터조립체 전체를 특정공간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30)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에 사용되는 체결방식을 따를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30)의 중심홀(C)에는 상기 로터조립체(미도시)와 연결된 샤프트(30')가 관통되고, 상기 중심홀(C)의 주변에 수용부(31)와 지지부(34)가 복수개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31)는 상기 중심홀(C)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중심홀(C)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31)는 상기 가이드부(13)와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31)는 대략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테이터코어(20)를 향해서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31)를 통해서 상기 터미널(T)이 관통되고, 상기 수용부(31)에는 상기 그로맷(G)이 안착된다.
상기 수용부(31)의 선단에는 돌출된 방향이 개방되게 수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32)에 상기 그로맷(G)이 안착되고, 상기 수용부(31)에 안착된 상기 그로맷(G)이 상기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부(31)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그로맷(G)은 상기 수용공간(32)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고 그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그로맷(G)은 상기 수용공간(32)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13)에 안착되어 가압된다. 상기 수용공간(32)의 직경은 상기 그로맷가이드(14)의 외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로맷가이드(14)의 직경이 더 작으면, 상기 수용공간(32)에 안착된 그로맷(G)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홀(33)을 더욱 확실히 차폐시킬 수 있다.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그로맷(G)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31)와 그로맷가이드(14)의 직경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에는 상기 수용부(31)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수용홀(3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수용부(31)의 수용공간(32)과 연통된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하우징(30)까지 관통되며, 상기 수용홀(33)을 통해서 상기 터미널(T)이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한다. 관통된 상기 터미널(T)은 상기 제2인슐레이터(10')에 설치된 상대터미널(T')과 접촉된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수용부(31)가 돌출된 만큼 연장되는 것이므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되어 상기 수용홀(33)을 따라서 상기 터미널(T)이 면지지되므로 조립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줄이고, 수분유입경로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수용부(31)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홀(C)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중심홀(C)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돌출된다.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스테이터코어(20)의 제2보강부(24)와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수용부(31)보다 상대적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그로맷(G)을 감싸는 상기 그로맷가이드(14)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코어(20)에 형성된 제1보강부(23) 및 제2보강부(24)는 수평이 되며, 상기 스테이터코어(2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가 변형되는 일 없이 상기 제1보강부(23)는 상기 그로맷가이드(14)에 접촉되고, 상기 제2보강부(24)는 상기 지지부(34)의 선단에 접촉된다.
상기 지지부(34)의 선단에는 체결단(3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34')은 상기 제2보강부(24)에 형성된 체결홀(2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 또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34')이 구멍으로 형성되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24') 및 체결단(34')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3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34')이 돌기형상이면, 상기 체결홀(24')에 끼워져 상기 제2보강부(24)와 지지부(34)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조립체와 하우징(30)이 실링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의 수용부(31)에 형성된 수용홀(33)을 통해서 상기 터미널(T)이 관통된다. 상기 터미널(T)은 상기 하우징(30)을 완전히 통과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터미널(T)의 일측은 상기 수용홀(33)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32)이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T)의 타측은 상기 수용부(31)가 형성된 하우징(30)의 반대면에서 상기 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T)이 상기 하우징(30)에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그로맷(G)이 상기 터미널(T)에 각각 끼워진다. 상기 그로맷(G)은 상기 터미널(T)의 선단으로 끼워져서 상기 수용부(31)의 수용공간(32)에 안착되기까지 상기 터미널(T)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용공간(32)에 상기 그로맷(G)이 안착되면, 상기 그로맷(G)은 상기 수용홀(33)을 상기 수용공간(32)으로부터 구획시키고, 그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32) 밖으로 노출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는 상기 스테이터코어(20)를 상기 제1인슐레이터(10)와 제2인슐레이터(10')가 양쪽에서 감싼다. 이때, 상기 제1인슐레이터(10)는 상기 하우징(30)을 바라보는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터코어(20)에 결합되며, 상기 제1보강부(23)는 상기 가이드부(13)의 터미널가이드(15)에 끼워지고, 상기 그로맷가이드(14)에 접촉된다. 상기 하우징(30)의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를 바라보면, 상기 절연몸체(11) 내측으로 상기 그로맷가이드(14)와 제2보강부(24)가 노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조립체가 상기 하우징(3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10)의 가이드부(13)에 형성된 그로맷가이드(14)가 상기 수용부(31)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T)이 상기 터미널가이드(15)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터미널(T)은 상기 터미널가이드(15)의 관통홀(15')을 관통하여 상기 제2인슐레이터(10')에 설치된 상대터미널(T')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32) 밖으로 노출된 그로맷(G)의 일부가 상기 그로맷가이드(14)의 안착공간(14')에 안착되어 가압된다. 상기 그로맷(G)은 상기 그로맷가이드(14)와 수용부(3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홀(33)을 완전히 차폐시킨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3)는 절연재질이고, 상기 절연몸체(11)의 일측으로만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그로맷(G)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13)가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상기 제1보강부(23)가 상기 터미널가이드(15)에 결합되어 상기 그로맷가이드(14)를 면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보강부(24)의 체결홀(24')과 상기 지지부(34)의 체결단(34')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0)와 하우징(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부(23)와 제2보강부(24)는 서로 같은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0)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34)가 상기 수용부(31)에 비해 더 많이 돌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인슐레이터 10' : 제2인슐레이터
11 : 절연몸체 12 : 절연암
13 : 가이드부 14 : 그로맷가이드
14' : 안착공간 15 : 터미널가이드
15' : 관통홀 20 : 스테이터코어
21 : 코어몸체 22 : 코어암
23 : 제1보강부 23' : 삽입홀
24 : 제2보강부 24' : 체결홀
30 : 하우징 30' : 샤프트
31 : 수용부 32 : 수용공간
33 : 수용홀 34 : 지지부
34' : 체결단 C : 중심홀
G : 그로맷 T : 터미널
T' : 상대터미널

Claims (9)

  1.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홀 및 터미널이 관통하는 수용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로터조립체와,
    상기 하우징과 로터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스테이터조립체와,
    상기 터미널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터조립체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상기 수용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맷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에는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터조립체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그로맷을 가압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안착공간이 구비된 그로맷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터미널을 안내하며 상기 스테이터조립체의 스테이터코어를 향하도록 터미널가이드가 형성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는
    환형의 코어몸체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코어암이 등각도로 복수개 연장되는 스테이터코어와,
    환형의 절연몸체 중심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절연암이 등각도로 복수개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일면을 감싸는 제1인슐레이터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는 상대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반대면을 감싸는 제2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와 제2인슐레이터의 외면으로 코일이 권선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맷가이드는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그로맷이 일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그로맷을 가압하고,
    상기 터미널가이드는 상기 그로맷가이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와 결합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터미널가이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가이드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그로맷가이드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보강부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심홀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중심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는 체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제2보강부와 결합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심홀의 가장자리와 소정거리 이격되되 상기 중심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수용부가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홀이 상기 수용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선단에는 상기 스테이터조립체를 향해 개방되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그로맷은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가 노출되게 안착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수용홀과 수용공간은 서로 연통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9. 삭제
KR1020190149067A 2019-11-19 2019-11-19 브러시리스 모터 KR10222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67A KR102221679B1 (ko) 2019-11-19 2019-11-19 브러시리스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67A KR102221679B1 (ko) 2019-11-19 2019-11-19 브러시리스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79B1 true KR102221679B1 (ko) 2021-03-03

Family

ID=7515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67A KR102221679B1 (ko) 2019-11-19 2019-11-19 브러시리스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8911B1 (ko) 1967-02-07 1973-06-09
KR101969889B1 (ko) * 2017-12-01 2019-04-18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8911B1 (ko) 1967-02-07 1973-06-09
KR101969889B1 (ko) * 2017-12-01 2019-04-18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584B2 (en) Motor
JP535488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362808B1 (ko) 수지몰드형 무브러시 직류모터 및 그 제조방법
US7329973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102478247B1 (ko) 모터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WO2018150964A1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US7342334B2 (en) Insulated stator with wire routing element
KR100883599B1 (ko) 모터
KR20080077180A (ko)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단부 디스크와 대응하는 정류자전동기
KR101562736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의 접지 구조
KR100883597B1 (ko) 모터
KR102221679B1 (ko) 브러시리스 모터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0023434A (ja) ブラシ付き直流電動機
KR101655112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
KR102022005B1 (ko) 절연 홀더와 전기 터미널의 조립 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KR101969889B1 (ko)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JPH0828958B2 (ja) 小型電動機
KR20020088567A (ko) 외부입력전원커넥터 구조가 개선된 레진 모터
JP3351728B2 (ja) 直流モータ
KR101117577B1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와 그 제조 방법
KR100883596B1 (ko) 모터
JP6536249B2 (ja) 回転電機
KR100883598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