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313A -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313A
KR20180135313A KR1020170073283A KR20170073283A KR20180135313A KR 20180135313 A KR20180135313 A KR 20180135313A KR 1020170073283 A KR1020170073283 A KR 1020170073283A KR 20170073283 A KR20170073283 A KR 20170073283A KR 20180135313 A KR20180135313 A KR 20180135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emi
melt
ho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590B1 (ko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최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국 filed Critical 최병국
Priority to KR102017007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9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2Visc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5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도록 구성된 절단부(100)와, 상기 절단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100)에서 떨어지는 칩에 열을 가하여, 점도가 20℃에서 250,000∼270,000 cps가 되도록 용융시키는, 반용융된 용융물을 제조하여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교반 이송부(200)와,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반용융 압출부(300)와,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재가열하면서, 점도가 20℃에서 50,000∼100,000 cps가 되도록 완전용융된 용융물로 제조하여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완전용융 압출부(400)와,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와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내지는 완전용융 압출부(400)를 선별적으로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대응시킬 수 있는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9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지 재생방법의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500)를 작동시켜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컵(340) 중의 하나 및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호퍼(41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시키는 조준단계와, 상기 조준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부(100)를 이용하여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교반 이송부(200)에 상기 칩이 통과하도록 하여 반용융 상태의 용융물이 되어 하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반용융단계와, 상기 반용융단계 이후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및 완전용융 압출부 (4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서 폐수지를 반용융시켜서 대형 보일러용 펠릿(P)을 제조할 수도 있고, 완전용융시켜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 난방기용 펠릿(P)도 겸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ABOLISHED PLASTIC PLAYBACK EQUIPMENT FOR HALF OR COMPLETE FUSION AND ABOLISHED PLASTIC PLAYBACK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폐수지를 칩으로 절단하여 반용융시켜서 펠릿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상기 반용융된 용융물을 완전용융시켜서 펠릿으로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한 이유로 가연성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이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연성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품은 폐기하게 되면, 썩지 않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버려진 가연성 합성수지인 폐수지를 수거하여 재활용 업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 중 하나로서, 폐수지를 고형연료제품(SRF)으로 제조하여 신재생 에너지로 재활용되는 예가 있다.
즉, 문헌 1에서 기재하고 있는 폐수지 재활용 시스템에서는, 버려진 폐수지 중 가연성 합성수지를 수거하여 절단기에 투입시켜서 칩으로 절개한다. 그리고 교반부에 투입시켜서 용융시키면서 교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교반된 용융물을 스크류로 압송하여 다이스의 홀을 통해서 국수 모양으로 압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압출되는 것을 커터로 절단함으로써 펠릿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렇게 성형된 펠릿은 고형연료제품(SRF)으로서 화력발전소, 산업용 보일러 등의 대형 보일러 내지는, 소형 보일러 및 개인용 난방기 등의 연료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펠릿 중, 화력발전소나 산업용 보일러 등 대형 보일러에 사용되는 것은, 완전 용융시키지 않고 반용융만으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완전 용융시키게 되면 너무 묽게 되어, 펠릿 성형 후 반드시 냉각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연소용 연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굳이 완전 용융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부만 용융되는 반용융 상태로 펠릿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펠릿의 경우, 반용유 상태이므로 점도가 높아서 상기 다이스의 홀 직경을 5∼10cm의 것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이스를 통과한 펠릿의 직경은 냉각되면서 부피가 축소되어 4∼9cm가 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상기 대형 보일러보다 사이즈가 작은 소형 보일러 내지는 가정용 내지는 식당용, 사무실용 난방기의 경우에는, 상기 대형 보일러용의 펠릿처럼 사이즈가 크게 되면 효율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상기 소형 보일러나 난방기는 산업용 대형 보일러에 비해서 화력이 작기 때문에, 직경이 4∼9cm가 되는 상기 펠릿을 원활하게 연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장작을 태우는 것보다 톱밥이 더 잘 연소되는 것으로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펠릿의 직경은 0.3∼0.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폐수지를 반용융 상태로 용융시킨 상태에서는 펠릿의 응축을 감안하여 홀의 직경이 0.4∼0.6cm인 다이스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용융물의 점도에 의해서 상기 홀은 금방 폐색되어 펠릿 성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폐수지를 완전용융시켜서 유동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홀의 직경이 0.4∼0.6cm인 다이스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펠릿은 직경이 0.3∼0.5cm로 소형이므로 소형 보일러나 개인용 난방기의 작은 화력에도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다.
그런데 문헌 1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스템은, 폐수지를 완전 용융시켜서 펠릿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반용융 상태의 펠릿은 제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폐수지를 용융시키면서 압송하여 펠릿으로 성형할 경우, 스크류축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용융 상태의 용융물은 점도가 커서 스크류축으로 압송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 대형 보일러에도 직경이 0.3∼0.5cm로 작은 펠릿을 사용하기 때문에 펠릿 제조 시 냉각 과정을 거치게 되어 번거롭고, 완전 용융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필요에 따라서 폐수지를 반용융시켜서 펠릿을 제조할 수도 있고, 완전용융시켜서 펠릿을 성형할 수도 있어야 하지만, 문헌 1에서 제시하는 폐수지 재활용 시스템으로는 완전용융 상태의 펠릿만 제조할 뿐, 반용융 상태의 펠릿은 겸하여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134405호 (2012년 04월 02일)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하나의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서 폐수지를 반용융시켜서 대형 보일러용 펠릿을 제조할 수도 있고, 완전용융시켜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 난방기용 펠릿도 겸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도록 구성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에서 떨어지는 칩에 열을 가하여, 점도가 20℃에서 250,000∼270,000 cps가 되도록 용융시키는, 반용융된 용융물을 제조하여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교반 이송부와, 상기 교반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여,펠릿을 제조하는 반용융 압출부와, 상기 교반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재가열하면서, 점도가 20℃에서 50,000∼100,000 cps가 되도록 완전용융된 용융물로 제조하여 압출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완전용융 압출부와, 상기 반용융 압출부와 완전용융 압출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반용융 압출부 내지는 완전용융 압출부를 선별적으로 상기 교반 이송부의 하부에 대응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 이송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가 상기 절단부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호퍼가 연결되며, 상기 호퍼의 하방으로 배출관이 연결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지지된 히터와,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개폐 기능을 하는 밸브와,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때에는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반용융 압출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서보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방을 향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수평하게 연결된 다수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컵과, 상기 컵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대응된 경우, 대응하지 않는 나머지 컵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로드가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컵에 대응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컵의 내부로 수용되어 압축 기능을 하는 압축판을 포함한다.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대응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의 상대측으로 개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부착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레그와,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쪽에 마감되는 것으로서 성형홀이 형성된 다이스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의 상대측에 회전하도록 지지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계된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중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히터와, 상기 스크류축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축의 양측 단부 밖으로 연장되는 히터와, 상기 다이스 및 상기 다이스의 상대측인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히터에 접촉되는 단자와, 상기 다이스의 외측면에 감겨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레그와 모터, 서보모터 및 측판이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부착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가 안착되는 레일과, 상기 지지판에 로드가 연결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다수의 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호퍼는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수지 재생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의 컵 및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대응시키는 조준단계와, 상기 조준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부를 이용하여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는 절단단계와,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교반 이송부를 상기 칩이 통과하도록 하여 반용융 상태의 용융물이 되어 하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반용융단계와, 상기 반용융단계 이후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 및 완전용융 압출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의 다수의 컵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와,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컵으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밸브를 닫는 폐색단계와,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시켜서 비어 있는 다른 컵이 상기 배출관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용융물이 충전된 컵이 상기 압축판의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회전단계와,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개방단계에서 폐색단계까지 반복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상기 압축판이 상기 컵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용융물을 압축시켜서 상기 관통구로 용융물이 배출되도록 한 후 상기 압축판을 상승시키는 압축단계와,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에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와,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상기 호퍼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와,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면서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켜서 반용융된 상기 용융물이 완전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단계와,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수관을 통해서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면서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서 폐수지를 반용융시켜서 대형 보일러용 펠릿을 제조할 수도 있고, 완전용융시켜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 난방기용 펠릿도 겸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대형 보일러용 펠릿은 직경이 4∼9cm의 큰 것이라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반용융된 용융물을 사용하고 상기 컵을 통과함과 동시에 응고된다. 따라서, 완전용융시킬 필요가 없고 냉각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소형 보일러나 개인용 난방기의 경우, 직경이 4∼9cm인 펠릿을 사용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화력이 대형 보일러보다 약하기 때문에 연소가 잘 안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완정용융 압출부에서 상기 반용융된 용융물을 완전용융시켜서 작은 직경 즉, 0.3∼0.5cm의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용 난방기의 화력으로도 충분히 연소가 가능한 펠릿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용융 압출부의 컵이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가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에 구성되는 반용융 압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에 구성되는 완전용융 압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를 통해서 성형된 펠릿으로서, (a)는 반용융 압출부를 통해서 제조된 것이고, (b)는 완전용융 압출부를 통해서 제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용융 압출부의 컵이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가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지 재생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90)에 대해서 먼저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용융 압출부의 컵이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가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에 구성되는 반용융 압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1실시예에 구성되는 완전용융 압출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를 통해서 성형된 펠릿으로서, (a)는 반용융 압출부를 통해서 제조된 것이고, (b)는 완전용융 압출부를 통해서 제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PET, PP, PVC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도록 구성된 절단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100)에서 떨어지는 칩에 열을 가하여 반용융된 용융물을 제조하여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교반 이송부(2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반용융 압출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재가열하여 완전용융된 용융물로 제조하여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완전용융 압출부(4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와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내지는 완전용융 압출부(400)를 선별적으로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대응시킬 수 있는 구동부(500)가 구성된다.
상기 반용융된 용융물은 칩에 열을 가하여, 점도가 20℃에서 250,000∼270,000 cps가 되도록 용융시킨 것으로서 땅콩 버터, 된장 정도의 점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완전용융된 용융물은 상기 반용융된 용융물을 재가열하여 점도가 20℃에서 50,000∼100,000 cps가 되도록 용융된 것으로서 케첩, 마가린 정도의 점도가 된다.
상기 절단부(1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방으로 개방되고 하방으로 스크린(130)이 마감된 함체(110)가 구성되고, 내부에 절단롤(120)이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그 하부에 컷팅롤(125)이 구성되고, 상기 컷팅롤(125)에 대응하도록 함체(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블레이드(127)가 구성된다. 상기 절단롤(120)과 컷팅롤(125)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롤(120) 사이로 폐수지를 투입하게 되면, 상기 절단롤(120)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컷팅롤(125)과 블레이드(127) 사이로 떨어지면 가위처럼 다시 절단되어 칩으로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린(130)을 통해서 규정된 사이즈가 걸러져서 떨어지도록 한다. 걸러지지 않은 칩은 회전하는 컷팅롤(125)에 의해서 다시 상방으로 올려져서 블레이드(127)와 컷팅롤(125) 사이로 떨어지면서 재차 절단되어 스크린(1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절단부(100)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 상기 절단부(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호퍼(220)가 연결되며, 상기 호퍼(220)의 하방으로 배출관(230)이 연결된 케이싱(2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면에 지지된 히터(26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교반축(27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230)에 장착되어 개폐 기능을 하는 밸브(24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10)을 지지하는 레그(28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210)은 상하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용융물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히터(260)의 발열에 의해서 반용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축(270)은 양측이 상호 마주 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외측에 블레이드(273)가 형성되어 용융물을 하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270)이 양측으로 한쌍을 이루고 이것이 상하방으로 다수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케이싱(210)의 외측면에 장착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히터(260)는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발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130)을 통과한 칩이 회전하는 교반축(270)의 블레이드(273)에 의해서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반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반용융된 용융물은 상기 교반축(270)에 의해서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교반된다. 만약, 교반축(270)이 없다면 하방으로 신속하게 떨어지게 되어 히팅 및 교반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떨어진 용융물은 상기 호퍼(220)를 통해서 배출관(230)으로 모여서 배출된다.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구성을 도 1 내지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서보모터(31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방을 향하는 샤프트(3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20)에 수평하게 연결된 다수의 아암(330)이 구성되고, 상기 아암(33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345)가 형성된 컵(340)이 구성된다. 상기 관통구(345)의 직경은 일례로서 5∼10cm의 원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34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된 경우, 대응하지 않는 나머지 컵(34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판(353)과 상기 상판(35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355)으로 구성된 프레임(35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353)의 상부에 장착되어 로드(370)가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컵(340)에 대응되는 유압실린더(360)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370)에 고정되어 상기 컵(340)의 내부로 수용되어 압축 기능을 하는 압축판(380)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서처럼, 상기 컵(340) 중 일측이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후술하는 구동부(500)를 작동시키고 나서, 도 3에서처럼, 상기 밸브(240)를 개방시켜서 반용융된 용융물이 상기 컵(340)에 주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240)를 닫은 후에 상기 서보모터(310)를 작동시켜서 샤프트(320)가 회전하도록 하여, 비어진 컵(340)이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하고, 용융물이 채워진 컵(340)은 상기 유압실린더(360)를 작동시켜서 압축판(380)이 상기 컵(340)의 내부로 하강하여 압축하도록 하여 컵(340)에 형성된 관통구(345)로 용융물이 국수가락처럼 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배출된 용융물은 별도의 커터로 절단하여 펠릿(P)으로 성형된다. 상기 커터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구성을 도 1, 도 2 및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호퍼(410)가 구성되고, 상기 호퍼(4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410)의 상대측으로 개방되는 실린더(420)가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4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레그(42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420)의 개방된 쪽에 마감되는 것으로서 성형홀(433)이 형성된 다이스(43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420)의 내측에서 상기 다이스(430)와 상기 다이스(430)의 상대측에 회전하도록 지지된 스크류축(440)이 구성된다. 상기 성형홀(433)은 일례로 직경이 0.4∼0.6cm인 원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44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계된 모터(490)가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42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히터(450)가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축(44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축(440)의 양측 단부 밖으로 연장되는 히터(460)가 구성된다. 상기 히터(450, 460)는 전기의 인가에 의해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축(440)은 회전하는 것이므로 상기 히터(460)에 전원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이스(430) 및 상기 다이스(430)의 상대측인 상기 실린더(4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히터(460)에 접촉되는 ㄱ형의 단자(4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스크류축(440)과 함께 히터(460)가 회전하더라도 일측의 상기 단자(470)를 통해서 공급된 전류는 히터(460)를 경유해서 상대측 단자(470)를 통해서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460)에는 저항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스(430)의 외측면에 감겨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관(480)이 구성되므로, 완전용융된 용융물이 다이스(4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절단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에 의하면 상기 호퍼(410)로 투입된 반용융된 용융물이 상기 스크류축(440)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상기 히터(450, 460)에 의해서 완전용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430)의 성형홀(433)을 국수가락처럼 압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관(480)에 의해서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응고가 진행되도록 하면서 커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P)으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성형홀(433)의 직경은 상기 컵(340)의 관통구(345)보다 작게 성형된 것이어도 충분히 성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유동이 용이한 완전용융된 용융물을 압출시킬 때 상기 성형홀(433)이 폐색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부(5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그(427)와 모터(490), 서보모터(310) 및 측판(355)이 고정되는 지지판(510)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510)의 하면에 부착된 가이더(520)가 구성되며, 상기 가이더(520)가 안착되는 레일(5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510)에 로드(545)가 연결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54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54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다수의 컵(34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호퍼(410)가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서 반용융 압출부(300) 또는 완전용융 압출부(4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를 통해서 제조된 펠릿(P)은 도 5의 (a)에서처럼 나무토막처럼 사이즈가 큰 것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를 통해서 도 5의 (b)에서처럼 사이즈가 작은 펠릿(P)을 성형할 수도 있다. 즉, 사이즈가 큰 것 즉, 직경이 4∼9cm인 펠릿(P) 반용융된 용융물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컵(340)의 관통구(345)가 5∼10cm인 것을 사용하더라도 폐색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펠릿(P)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직경이 0.3∼0.5cm인 펠릿(P)은 완전용융된 용융물을 직경이 0.4∼0.6cm인 다이스(430)의 성형홀(433)을 사용하므로 폐색되지 않고 충분히 성형이 가능하다. 이때, 각 펠릿(P)의 직경이 관통구(345) 및 성형홀(433)보다 작은 것은 냉각되면서 응축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용융 압출부의 컵이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완전용융 압출부의 호퍼가 배출관의 하부에 조준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교반 이송부(2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은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 의한 교반 이송부(200)의 구성을 도 6 및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 상기 절단부(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호퍼(220)가 연결되며, 상기 호퍼(220)의 하방으로 배출관(230)이 연결된 케이싱(2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면에 지지된 히터(26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교반축(27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230)에 장착되어 개폐 기능을 하는 밸브(24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10)을 지지하는 레그(28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210)은 절단부(100) 쪽에서 경사지게 하향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260)는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저항열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케이싱(210)의 내측상면(205)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히터(260)와 내측상면(205) 사이에 열반사판(207)이 개재되어 구성되므로 하방으로 효율적으로 열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반사판(207)은 일례로서 거울면처럼 니켈크롬 도금된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축(270)은 경사진 케이싱(210)을 따라 배치된 것으로서 케이싱(210)의 양측면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블레이드(273)가 형성되어 케이싱(210) 바닥면을 따라 반용융된 용융물이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축(270)은 케이싱(210)의 외측면에 부착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때, 용융물은 블레이드(273)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지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교반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히터(260)에 의해서 반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의 하단부에는 케이싱(210)보다 폭이 좁은 배출관(230)이 형성되어, 상기 컵(340) 내지는 호퍼(410)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230)의 내측에는 개폐 기능을 하는 밸브(24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에는 진동모터와 같은 진동수단(250)이 장착되므로 경사진 케이싱(210)에 진동을 부가하므로 내부의 용융물이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100)를 통해서 공급된 폐수지의 칩은 상기 교반 이송부(200)를 통해서 반용융된 용융물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내지는 완정용융 압출부(400)로 공급하게 된다.
(폐수지 재생방법)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지 재생방법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수지 재생방법은 상기 제시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90)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로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500)를 작동시켜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컵(340) 중의 하나 및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호퍼(41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시키는 조준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조준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부(100)를 이용하여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는 절단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규정된 사이즈의 칩이 상기 스크린(130)을 통해서 배출되는데, 일례로서, 폭×길이가 각각 1∼2cm가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교반 이송부(200)에 상기 칩이 통과하도록 하여 반용융 상태의 용융물이 되어 하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반용융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칩이 상기 케이싱(210)을 통과하는 속도는 1∼1.5m/min이 바람직하고, 상기 히터(260)를 통한 케이싱(210) 내부의 온도는 100∼150℃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속도와 온도일 때, 상기 칩은 반용융 상태 즉, 점도가 20℃에서 250,000∼270,000 cps가 되도록 용융시킨 것으로서 땅콩 버터, 된장 정도의 점도가 된다.
상기 반용융단계 이후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및 완전용융 압출부 (4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성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230)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다수의 컵(340)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된 상태라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240)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컵(340)으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밸브(240)를 닫는 폐색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서보모터(310)를 작동시켜서 비어 있는 다른 컵(340)이 상기 배출관 (230)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용융물이 충전된 컵(340)이 상기 압축판(380)의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회전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개방단계에서 폐색단계까지 반복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360)를 작동시켜서 상기 압축판(380)이 상기 컵(340)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용융물을 압축시켜서 상기 관통구(345)로 용융물이 배출되도록 한 후 압축판(380)을 상승시키는 압축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도시하지 않음)로 절단하여 펠릿(P)을 성형하는 절단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컵(340)의 관통구(345)의 직경이 5∼10cm이더라도 용융물은 반용융된 상태이므로 흘러내리지 않고 충분히 통과하면서 펠릿(P)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나무토막처럼 사이즈가 큰 펠릿(P)의 성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성형된 펠릿(P)은 별도의 냉각과정 없이 대기 중에서 신속하게 응고된다. 직경이 5∼10cm인 관통구(345)를 통과한 펠릿(P)은 대기 중에서 냉각되면서 직경이 4∼9cm인 펠릿(P)이 된다. 이때, 길이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데, 10∼20cm가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단계가,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230)에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호퍼(410)가 대응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240)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상기 호퍼(410)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히터(450, 460)를 발열시키면서 상기 스크류축(440)을 회전시켜서 반용융된 상기 용융물이 완전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홀(433)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히터(450, 460)를 통해서 실린더(420) 내부의 온도는 150∼200℃의 온도가 되도록 하고, 스크류축(440)을 통해서 용융물이 이송되는 속도는 1∼1.5m/min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점도가 20℃에서 50,000∼100,000 cps가 되도록 용융된 것으로서 케첩, 마가린 정도의 점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수관(480)을 통해서 -10∼-20℃의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면서 상기 다이스(430)의 성형홀(433)을 통과하는 용융물이 응고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도시하지 않음)로 절단하여 펠릿(P)을 성형하는 절단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서 폐수지를 반용융시켜서 대형 보일러용 펠릿(P)을 제조할 수도 있고, 완전용융시켜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 난방기용 펠릿(P)도 겸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대형 보일러용 펠릿(P)은 직경이 4∼9cm의 큰 것이라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반용융된 용융물을 사용하고 상기 컵(340)을 통과함과 동시에 응고된다. 따라서, 완전용융시킬 필요가 없고 냉각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소형 보일러나 개인용 난방기의 경우, 직경이 4∼9cm인 펠릿(P)을 사용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화력이 대형 보일러보다 약하기 때문에 연소가 잘 안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완정용융 압출부(400)에서 상기 반용융된 용융물을 완전용융시켜서 작은 직경 즉, 0.3∼0.5cm의 펠릿(P)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보일러나 개인용 난방기의 화력으로도 충분히 연소가 가능한 펠릿(P)을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반용융 완전용융 폐수지 재생장치 100: 절단부
110: 함체 120: 절단롤
125: 컷팅롤 127: 블레이드
130: 스크린 200: 교반 이송부
210: 케이싱 220: 호퍼
230: 배출관 240: 밸브
250: 진동수단 260: 히터
270: 교반축 273: 블레이드
280: 레그 300: 반용융 압출부
310: 서버모터 320: 샤프트
330: 아암 340: 컵
345: 관통구 350: 프레임
353: 상판 355: 측판
360: 유압실린더 370: 로드
380: 압축판 400: 완전용융 압출부
410: 호퍼 420: 실린더
427: 레그 430: 다이스
433: 성형홀 440: 스크류축
450: 히터 460: 히터
470: 단자 480: 수관
500: 구동부 510: 지지판
520: 가이더 530: 레일
540: 유압실린더 545: 로드

Claims (8)

  1.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도록 구성된 절단부(100)와,
    상기 절단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100)에서 떨어지는 칩에 열을 가하여, 점도가 20℃에서 250,000∼270,000 cps가 되도록 용융시키는, 반용융된 용융물을 제조하여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교반 이송부(200)와,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반용융 압출부(300)와,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용융물을 재가열하면서, 점도가 20℃에서 50,000∼100,000 cps가 되도록 완전용융된 용융물로 제조하여 압출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완전용융 압출부(400)와,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와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내지는 완전용융 압출부(400)를 선별적으로 상기 교반 이송부(200)의 하부에 대응시킬 수 있는 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이송부(200)는,
    상부가 상기 절단부(100)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호퍼(220)가 연결되며, 상기 호퍼(220)의 하방으로 배출관(230)이 연결된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면에 지지된 히터(260)와,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교반축(270)과,
    상기 배출관(230)에 장착되어 개폐 기능을 하는 밸브(240)와,
    상기 케이싱(210)을 지지하는 레그(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10)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10)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는,
    회전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진 서보모터(310)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방을 향하는 샤프트(320)와,
    상기 샤프트(320)에 수평하게 연결된 다수의 아암(330)과,
    상기 아암(33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345)가 형성된 컵(340)과,
    상기 컵(34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된 경우, 대응하지 않는 나머지 컵(34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판(353)과 상기 상판(35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355)으로 구성된 프레임(350)과,
    상기 상판(353)의 상부에 장착되어 로드(370)가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컵(340)에 대응되는 유압실린더(360)와,
    상기 로드(370)에 고정되어 상기 컵(340)의 내부로 수용되어 압축 기능을 하는 압축판(380)을 포함하고,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는,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호퍼(410)와,
    상기 호퍼(4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410)의 상대측으로 개방되는 실린더(420)와,
    상기 실린더(4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레그(427)와,
    상기 실린더(420)의 개방된 쪽에 마감되는 것으로서 성형홀(433)이 형성된 다이스(430)와,
    상기 실린더(420)의 내측에서 상기 다이스(430)와 상기 다이스(430)의 상대측에 회전하도록 지지된 스크류축(440)과,
    상기 스크류축(44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계된 모터(49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420)는 이중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히터(450)와,
    상기 스크류축(44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스크류축(440)의 양측 단부 밖으로 연장되는 히터(460)와,
    상기 다이스(430) 및 상기 다이스(430)의 상대측인 상기 실린더(4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히터(460)에 접촉되는 단자(470)와,
    상기 다이스(430)의 외측면에 감겨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관(48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레그(427)와 모터(490), 서보모터(310) 및 측판(355)이 고정되는 지지판(510)과,
    상기 지지판(510)의 하면에 부착된 가이더(520)와,
    상기 가이더(520)가 안착되는 레일(530)과,
    상기 지지판(510)에 로드(545)가 연결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540)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5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다수의 컵(34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호퍼(410)는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6. 제5항에 의한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9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지 재생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부(500)를 작동시켜서,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컵(340) 중의 하나 및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호퍼(41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관(230)의 하부에 대응시키는 조준단계와,
    상기 조준단계 이후에, 상기 절단부(100)를 이용하여 폐수지를 칩으로 절개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상기 교반 이송부(200)에 상기 칩이 통과하도록 하여 반용융 상태의 용융물이 되어 하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반용융단계와,
    상기 반용융단계 이후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 및 완전용융 압출부 (4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재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230)에 상기 반용융 압출부(300)의 다수의 컵(340)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240)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와,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컵(340)으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밸브(240)를 닫는 폐색단계와,
    상기 서보모터(310)를 작동시켜서 비어 있는 다른 컵(340)이 상기 배출관 (230)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용융물이 충전된 컵(340)이 상기 압축판(380)의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회전단계와,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개방단계에서 폐색단계까지 반복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360)를 작동시켜서 상기 압축판(380)이 상기 컵(340)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용융물을 압축시켜서 상기 관통구(345)로 용융물이 배출되도록 한 후 압축판(380)을 상승시키는 압축단계와,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도시하지 않음)로 절단하여 펠릿(P)을 성형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재새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조준단계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230)에 상기 완전용융 압출부(400)의 호퍼(410)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240)를 개방시키는 개방단계와,
    상기 개방단계 이후에, 상기 호퍼(410)로 반용융된 용융물이 공급되는 공급단계와,
    상기 히터(450, 460)를 발열시키면서 상기 스크류축(440)을 회전시켜서 반용융된 상기 용융물이 완전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성형홀(433)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단계와,
    상기 압축단계 이후에, 상기 수관(480)을 통해서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하면서 상기 배출되는 용융물을 커터(도시하지 않음)로 절단하여 펠릿(P)을 성형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재생방법.
KR1020170073283A 2017-06-12 2017-06-12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KR10197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83A KR101975590B1 (ko) 2017-06-12 2017-06-12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283A KR101975590B1 (ko) 2017-06-12 2017-06-12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313A true KR20180135313A (ko) 2018-12-20
KR101975590B1 KR101975590B1 (ko) 2019-05-07

Family

ID=6495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283A KR101975590B1 (ko) 2017-06-12 2017-06-12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624A (zh) * 2022-02-15 2022-06-03 常州威可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均温导热硅胶片生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299B1 (ko) * 2021-10-06 2024-03-18 최병국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422A (ja) * 1995-02-21 1996-10-22 Shell Oil Co 超低溶融粘度のポリマーの加工性改良法
KR970064852A (ko) * 1996-03-05 1997-10-13 이승배 폐수지의 용융장치 및 그 방법
JP3897585B2 (ja) * 2001-12-10 2007-03-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押出し成形機における成形物の切断方法
KR101134405B1 (ko) 2009-12-23 2012-04-10 (주)유성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422A (ja) * 1995-02-21 1996-10-22 Shell Oil Co 超低溶融粘度のポリマーの加工性改良法
KR970064852A (ko) * 1996-03-05 1997-10-13 이승배 폐수지의 용융장치 및 그 방법
JP3897585B2 (ja) * 2001-12-10 2007-03-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押出し成形機における成形物の切断方法
KR101134405B1 (ko) 2009-12-23 2012-04-10 (주)유성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624A (zh) * 2022-02-15 2022-06-03 常州威可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均温导热硅胶片生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90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16222B (zh) 一种环保用废弃塑料回收利用造粒机
KR101975590B1 (ko)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CN204604825U (zh) 一种防堵塞可回收废料的注塑成型机
CN109571907A (zh) 一种单螺杆挤出生产线
KR930005706Y1 (ko) 발포수지제품의 폐재(廢材)의 감용(減容) 처리장치
CN108908874A (zh) 一种塑胶生产用挤压注塑装置
CN108582565A (zh) 一种塑料造粒装置
JPH1160798A (ja) 発泡スチロール廃材の破砕.溶融リサイクル装置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CN105856473A (zh) 高频电场与振动力场协同低温加工高分子材料的方法及装置
KR20100117166A (ko) 고형연료 제조장치
CN212472033U (zh) 一种全自动废弃塑料循环使用造粒设备
CN208392396U (zh) 一种可降解塑料生产用造粒装置
CN216658702U (zh) 一种用于托盘生产的改进型注塑装置
CN108705746B (zh) 一种防堵塞塑料热熔注射装置
CN106273030A (zh) 一种吹膜机系统的混料装置
CN106273341A (zh) 一种吹膜机用螺杆挤出装置
CN214324112U (zh) 一种高产量木塑的制备装置
CN205661010U (zh) 一种高效塑料牛奶瓶挤出机
CN109986711B (zh) 一种塑料件生产加工装置
CN207027967U (zh) 热塑性塑料高效回收装置
CN206967915U (zh) 双螺杆挤出机侧喂料机构
CN213412598U (zh) 一种用于注塑机的原料烘干装置
CN206718425U (zh) 一种改进式塑料挤出机
KR101229241B1 (ko) 재생연료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