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99B1 -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299B1
KR102648299B1 KR1020210132104A KR20210132104A KR102648299B1 KR 102648299 B1 KR102648299 B1 KR 102648299B1 KR 1020210132104 A KR1020210132104 A KR 1020210132104A KR 20210132104 A KR20210132104 A KR 20210132104A KR 102648299 B1 KR102648299 B1 KR 10264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composite waste
unit
composit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784A (ko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최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국 filed Critical 최병국
Priority to KR102021013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9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a location other than through a barrel, e.g. through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55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different melting or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8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들로 뒤섞인 산업 폐기물을 별도의 선별 작업없이 장치에 투입하는 단순 행위만으로 불순물이 자동 제거되면서 PP, PE, PET, PVC 등 재활용 가능한 복합 폐플라스틱만이 정교하게 분리 보존되고, 분리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반복적인 파·분쇄와 절단 등의 과정을 거쳐 입자가 균일해지면서 일괄적으로 용융됨에 따라 선별 작업에 투입될 인건비 절감과 용융 작업의 신속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인 펠릿으로 가공하고 이를 고형연료제품(SRF)이나 농업용품 등의 제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재활용 복합 플라스틱의 활용 범위 확장과 환경 문제 개선 및 경제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내부 수용하고, 주위에 설치된 열선으로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하향 배출하는 공급유닛(100);과, 공급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200);과, 이송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고, 내부에 수평 탑재된 스크류의 작동으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내장 설치된 열선의 발열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하면서 일방향 배출하는 용융유닛(300);과, 용융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용융으닛으로부터 배출된 용융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유닛(4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Mixture Plastics pellet Manufacturing Devices}
본 발명은 복합 폐플라스틱의 재사용을 위해 용융 가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 용융 성형장치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소재들로 뒤섞인 산업 폐기물을 별도의 선별 작업없이 장치에 투입하는 단순 행위만으로 불순물이 자동 제거되면서 PP, PE, PET, PVC 등 재활용 가능한 복합 폐플라스틱만이 정교하게 분리 보존되고, 분리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반복적인 파·분쇄와 절단 등의 과정을 거쳐 입자가 균일해지면서 일괄적으로 용융됨에 따라 선별 작업에 투입될 인건비 절감과 용융 작업의 신속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인 펠릿으로 가공하고 이를 고형연료제품(SRF)이나 농업용품 등의 제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재활용 복합 플라스틱의 활용 범위 확장과 환경 문제 개선 및 경제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과 가정에서 버려진 복합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과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선별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선별 작업은 복합 폐합성수지를 물속에 넣어 비중으로 분류하거나 정전기로 분류하는 등의 상용화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써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1759호 "재활용 플라스틱 효율적인 선별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생활용 쓰레기로부터 플라스틱을 선별하고, 선별된 복합 플라스틱류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을 분류하고, 분류된 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기 위해 수작업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과, 철 금속을 분리하는 과정과, 근적외선 센서를 통해 플라스틱을 PE, PP, PS, PET로 선별하는 과정과, 풍력을 통해 경량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과정과, 경량 플라스틱 중에서 알루미늄 캔 등을 선별하는 과정과, 경량 플라스틱을 파쇄하는 과정과, 파쇄된 경량플라스틱을 수조에 넣어 비중차를 이용하여 PE, PP, 와 일부 PS 및 PET와 PVC로 선별하는 과정과,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된 PE, PP, PS, PET, PVC의 복합 플라스틱 일부와 전량 PVC를 별도로 탈수하는 과정과, 탈수된 PE, PP, PS, PET, PVC의 복합 플라스틱 일부를 건조하는 과정과, 건조된 PE, PP, PS, PET, PVC 복합 플라스틱을 정전선별기를 이용하여 PE, PP, PS, PET와 PVC를 세밀하게 선별하는 과정을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생활 폐기물에서 재활용 복합 폐플라스틱을 선별하는 것 만으로도 수 선별작업, 근접외선 센서 선별작업, 풍력 선별작업, 비중 선별작업, 정전 선별작업 등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며, 생활 폐기물보다 난이도가 높은 산업용 폐기물에서 재활용 복합 폐플라스틱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더욱 복잡하고 번거로운 선별작업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
특히 풍력이나 비중 및 정전기만으로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선별하는 것이 어려워 별도의 선별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국제 유가 하락이나 국제 정세에 따라 복합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재활용 업체에서는 재생합성수지 판매 수익보다 선별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으로 적자가 발생하여 복합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이 점차 꺼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별도의 선별 작업없이 PP, PE, PET, PVC 등이 뒤섞인 폐합성수지를 반 용융하여 펠릿으로 제조하고, 이를 고형연료제품(SRF)으로 사용하거나 농업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70881호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중공의 내부를 갖도록 정면커버, 후면커버, 좌우커버로 형성되는 몸체와, 좌우커버를 매개로 하여 횡으로 배열되고 구동모터에 기인한 회전력으로 한 쌍의 파쇄롤러가 회전 구동되면서 폐수지의 파쇄를 유도하는 파쇄부와, 파쇄부의 하방에서 좌우커버를 매개로 하여 횡으로 배열되고 파쇄부로부터 낙하하는 폐수지의 입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와, 분쇄부의 하방에서 좌우커버를 매개로 하여 횡으로 배열되고 분쇄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수지를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부로 압송하면서 이송스크류의 중심축에 개재된 히터의 발열로 폐수지를 용융하는 용융부와, 용융부로부터 압송된 폐수지를 반용융 상태의 폐수지로 배출하는 배출노즐을 포함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융부에 가하는 히터의 발열 온도는 90~300℃의 온도로 폐수지를 반용융 상태로 반죽하여 이송스크류를 통해 배출노즐로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융부는 분쇄부로부터 낙하하는 복합 폐합성수지를 투입받을 수 있도록 상단면에 절개된 원형의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의 형태로 제공되는 용융로와, 용융로의 동축상에 개재되어 중공부와 동일한 지름의 나선형을 갖으며 몸체 외부에 구비된 모터에 권취되어 일방향 회전하는 이송스크류와, 이송스크류의 축 내부를 관통하여 인입 설치되는 히터로 구성되며,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에 의해 이송스크류를 매개로 중공부 내부에 90~300℃의 열을 발산하여 폐수지를 반 용융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용융로의 중공부와 이송스크류의 나선형 지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폐합성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이송스크류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작동이 멈추거나 느려지며,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선별 작업없이 복합 폐합성수지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복합 폐플라스틱을 세밀하게 분리할 수 있는 용융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 용융장치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 및 생산성이 뛰어난 우수한 기능의 용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1759호 "재활용 플라스틱 효율적인 선별법" 등록특허공보 제10-1770881호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복합 폐기물을 장치에 투입하는 행위만으로도 재활용이 불가능한 이물질과 재활용이 가능한 복합 폐플라스틱이 세밀하게 자동 선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별에 필요한 인력과 각종 비용을 절감을 적극 유도하여 재활용 업계의 부담감을 해소하고, 나아가 폐기물의 재활용을 적극 권장하여 경제 발전과 환경보호에 적극 이바지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반용융 성형장치의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투입되는 에너지 대비 높은 효율을 가진 복합 폐플라스틱 펠릿을 생산하고, 더불어 반용융 성형장치에 내장된 각종 스크류가 작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펠릿 생산이 가능한 장치 제공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용융 성형장치(1)는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내부 수용하고, 주위에 설치된 열선으로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하향 배출하는 공급유닛(100);과, 공급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200);과, 이송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고, 내부에 수평 탑재된 스크류의 작동으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내장 설치된 열선의 발열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하면서 일방향 배출하는 용융유닛(300);과, 용융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용융으닛으로부터 배출된 용융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유닛(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100)은 폐플라스틱을 공급받아 내부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수용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1스크류(12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100)은 수용부(110)와 제1스크류(120)에 내장 탑재되어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하는 제1발열체(1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크류(120)는 수용부(110)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1모터(121);와, 제1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스크류축(122);과, 제1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베어링(123);과, 제1베어링을 매개로 제1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며, 내부에 제1발열체(130)가 수직으로 내장된 제1하우징(124);과, 제1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날(12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융유닛(300)은 폐플라스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용융부(310);와, 용융부의 상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이송유닛(200)이 제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공급부(320);와, 용융부의 하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배출부(330);와, 용융부의 내부공간에 가로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복합 폐플라스틱을 교반 및 배출부로 이송하는 메인스크류(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320)는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는 호퍼부(321);와, 호퍼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2스크류(322);와, 호퍼부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320)는 호퍼부(321)와 제2스크류(322)에 내장 탑재되어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하는 제2발열체(32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크류(322)는 호퍼부(321)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2모터(322a);와, 제2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스크류축(322b);과, 제2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베어링(322c);과, 제2베어링을 매개로 제2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며, 내부에 제2발열체(324)가 수직으로 내장된 제2하우징(322d);과, 제2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날(322e);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323)는 열선이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발열함에 따라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용융부(31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스크류(340)는 용융부(3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스크류축(341);과, 메인스크류축에 기설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개스킷(342);과, 각 개스킷에 관통 설치되어 메인스크류축의 주위로 복수 배열되는 메인발열체(343);와, 메인발열체로 둘러쌓인 메인스크류축을 포위하는 메인커버체(344);와, 커버체의 양단에 각 설치되는 메인베어링(345);과, 메인베어링을 매개로 메인커버체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회전날(34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330)는 용융부(310)와 내통되며, 용융부에서 절단유닛(400)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배출탱크(331);와, 배출탱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유닛으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332);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노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노즐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관통홀이 형성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분할 배출되게 하는 압입판(333);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압입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입판까지 도달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 및 압입판에 강제 압입되게 하는 교반부재(334);와, 배출탱크 외주에 권취되어 열을 공급하는 제3발열체(3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334)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34a) 및 회전축의 외면에서 방사 형태로 복수 설치되는 교반날(334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334b)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하는 칼날과 주변의 복합 폐플라스틱을 칼날로 유인 및 압입판(333)으로 가압하는 롤러로 구성되며, 칼날과 롤러는 회전축 상에서 교번 배열된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적인 파·분쇄를 통해 복합 폐플라스틱의 입자를 균일하게 하면서 재활용이 불가능한 이물질은 완벽하게 분리 제거하고, 나아가 용융 공정을 반 용융과 2차 용융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용융점으로 이루어진 복합 폐플라스틱들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용융할 수 있어 재생 가공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재활용 업계 발전과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유닛마다 발열체가 내장 설치되고, 특히 발열체는 호퍼나 탱크 내부와 같이 폐플라스틱이 장시간 수용되는 구간마다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소모 전력 대비 높은 열 효율을 발휘함으로써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유도하고, 나아가 생산 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부와 메인스크류 사이에 확보된 유격공간으로 하여금 반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므로 메인스크류의 과부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급유닛에 설치된 제1스크류와 공급부에 설치된 제2스크류가 복합 폐플라스틱을 유실없이 일정하게 공급 유도하여 가공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안정성이 적극 확보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융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급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융유닛과 절단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융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급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메인스크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출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교반부재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복합 폐플라스틱의 재사용을 위해 용융 가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 용융 성형장치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들로 뒤섞인 산업 폐기물을 별도의 선별 작업없이 장치에 투입하는 단순 행위만으로 불순물이 자동 제거되면서 PP, PE, PET, PVC 등 재활용 가능한 복합 폐플라스틱만이 정교하게 분리 보존되고, 분리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반복적인 파·분쇄와 절단 등의 과정을 거쳐 입자가 균일해지면서 일괄적으로 용융됨에 따라 선별 작업에 투입될 인건비 절감과 용융 작업의 신속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인 펠릿으로 가공하고 이를 고형연료제품(SRF)이나 농업용품 등의 제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재활용 복합 플라스틱의 활용 범위 확장과 환경 문제 개선 및 경제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융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급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융유닛과 절단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융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급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메인스크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교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용융장치(1)는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내부 수용하고, 주위에 설치된 열선으로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하향 배출하는 공급유닛(100);과, 공급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200);과, 이송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고, 내부에 수평 탑재된 스크류의 작동으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내장 설치된 열선의 발열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하면서 일방향 배출하는 용융유닛(300);과, 용융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용융으닛으로부터 배출된 용융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지면으로부터 입설 설치된 프레임(100a)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a)은 지면으로부터 입설되는 4개소의 지지대와, 지지대 상단을 가로와 세로로 횡 방향 연결되는 연결대로 이루어져 육면체의 골조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프레임(100a)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 배치된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아 내부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수용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1스크류(1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상광하협의 통상적인 호퍼의 외형을 가지며, 상부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대량 공급받아 하부로 배출함으로써 이송유닛(200)에 균일하게 전달한다. 특히 수용부(110)는 상광하협의 외형으로 인해 복합 폐플라스틱의 하향 배출에 대해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스크류(120)가 내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크류(120)는 수용부(110)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1모터(121)와, 제1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스크류축(122)과, 제1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베어링(123)과, 제1베어링을 매개로 제1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제1하우징(124)과, 제1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날(125)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급유닛(100)은 수용부(110)와 제1스크류(120)에 각각 제1발열체(130)가 내장 탑재되고, 상기 제1발열체는 전력 케이블과 연결되어 발열함에 따라 수용부에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한다. 상기 제1스크류(120)의 경우 제1하우징(124)의 내부에 복수의 제1발열체(130)가 원형 패턴으로 수직 내장 설치되어 교반 중인 복합 폐플라스틱을 균일하게 예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복합 폐플라스틱은 파쇄, 분쇄, 절단, 가압 장치를 거쳐 균일한 크기로 이송되고, 살균처리제와 악취제거제가 도포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제공된다. 위생 절차를 거친 복합 폐플라스틱은 비중, 풍력, 자석, 바이브레이터 및 기타 장치를 거쳐 재활용이 불가능한 이물질이 선별되고, 이 상태로 상기 공급유닛(100)의 수용부(110)로 공급된다.
상기 수용부(110)와 제1스크류(120)에 내장된 제1발열체(130)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는 정도로만 발열하고, 그 발열 온도는 약 100℃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수용부에서 하향 배출되는 복합 폐플라스틱의 이동속도에 따라 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0)은 공급유닛(100)과 용융유닛(300) 사이에 가로 방향 배치되고,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유닛으로 전달하는 연결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유닛(200)은 컨베이어가 내장 설치되어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탱크(210)와, 이송탱크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낙하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투입부(220)와, 이송탱크의 타측 하단에 설치되어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유닛(300)으로 전달하는 토출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유닛(200)은 공급유닛(100)에서 용융유닛(300)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차 상승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송탱크(210) 내부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복합 폐플라스틱을 지속적으로 예열한다.
상기 용융유닛(300)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용융부(310);와, 용융부의 상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이송유닛(200)이 제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공급부(320);와, 용융부의 하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배출부(330);와, 용융부의 내부공간에 가로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복합 폐플라스틱을 교반 및 배출부로 이송하는 메인스크류(340);로 구성된다.
상기 용융부(310)는 이송유닛(200)과 절단유닛(400) 사이에 가로 배치되고, 이송유닛의 이송탱크(210)와 마찬가지로 이송유닛에서 절단유닛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차 상승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용융부(310)는 메인스크류(340)의 설치 및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과 복합 폐플라스틱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여유 공간이 확보된 내부공간으로 구성되고, 용융부의 상측에는 용융부의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체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용융부(310)는 일측 상단에 공급부(320)가 설치되고, 타측 하단에는 배출부(3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320)는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는 호퍼부(321)와, 호퍼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2스크류(322)와, 호퍼부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23)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부(321)는 공급유닛(100)의 수용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광하협의 통상적인 호퍼의 외형을 가지며, 이송유닛(200)의 토출부(230)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대량 공급받아 용융부(310)로 전달한다. 상기 호퍼부(321) 역시 수용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광하협의 외형으로 인해 복합 폐플라스틱의 하향 배출에 대해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2스크류(322)가 내부 설치된다.
상기 제2스크류(322)는 호퍼부(321)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2모터(322a)와, 제2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스크류축(322b)과, 제2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베어링(322c)과, 제2베어링을 매개로 제2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제2하우징(322d)과, 제2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날(322e)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유닛(100)과 같이 호퍼부(321)와 제2스크류(322)에 각각 제2발열체(324)가 내장 탑재되고, 상기 제2발열체는 전력 케이블과 연결되어 발열함에 따라 호퍼부에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한다. 상기 제2스크류(322)의 경우 제2하우징(322d)의 내부에 복수의 제2발열체(324)가 원형 패턴으로 수직 내장 설치되어 교반 중인 복합 폐플라스틱을 균일하게 예열한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323)는 열선이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발열함에 따라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용융부(310)로 전달한다.
상기 메인스크류(340)는 용융부(3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스크류축(341)과, 메인스크류축에 기설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개스킷(342)과, 각 개스킷에 관통 설치되어 메인스크류축의 주위로 복수 배열되는 메인발열체(343)와, 메인발열체로 둘러쌓인 메인스크류축을 포위하는 메인커버체(344)와, 커버체의 양단에 각 설치되는 메인베어링(345)과, 메인베어링을 매개로 메인커버체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회전날(347)로 구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메인스크류(340)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메인스크류(340)는 메인스크류축(341)을 기준으로 주위에 복수의 메인발열체(343)가 포위하듯이 배열되고, 메인스크류축에 관통 결합된 복수의 개스킷이 메인발열체의 배열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메인발열체(343)는 외부의 전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발열하며,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회전날(347)을 순차적으로 가온시켜 그 주변의 복합 폐플라스틱을 반 용융시킨다.
상기 메인발열체(343)에 의해 가온된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회전날(347)의 주변 온도는 약 150~350℃로 조성되는 것이 복합 폐플라스틱을 원하는 수준으로 용융시킬 뿐만 아니라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이 메인하우징이나 메인회전날, 용융부의 내면에 달라붙지 않는다.
상기 상기 배출부(330)는 용융부(310)와 내통되며 용융부에서 절단유닛(400)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배출탱크(331)와, 배출탱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유닛으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332)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노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노즐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관통홀이 형성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분할 배출되게 하는 압입판(333)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압입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입판까지 도달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 및 압입판에 강제 압입되게 하는 교반부재(334)와, 배출탱크 외주에 권취되어 열을 공급하는 제3발열체(335)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탱크(331)는 용융부(310)의 일측 하단에서 절단유닛(400)에 이르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이 수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의 공간을 가진다.
상기 노즐(332)은 배출탱크(3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이 토출되는 토출공이 복수 마련되어 면 가닥처럼 토출된다. 특히 상기 토출공은 압입판(333)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과 일대일 연결되어 배출탱크(331)에 수용된 폐플라스틱을 원활하게 토출된다.
상기 교반부재(334)는 압입판(333)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탱크(331)에 수용된 반 용융 폐플라스틱을 다시 한번 절단 및 교반하고, 절단 및 교반된 반 용융 폐플라스틱을 압입판으로 밀어넣는 역할을 동반 수행한다.
상기 교반부재(334)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34a) 및 회전축의 외면에서 방사 형태로 복수 설치되는 교반날(334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334b)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하는 칼날과 주변의 복합 폐플라스틱을 칼날로 유인 및 압입판(333)으로 가압하는 롤러로 구성되며, 칼날과 롤러는 회전축 상에서 교번 배열된 구조이다.
상기 절단유닛(400)은 용융유닛(300)의 배출부(330) 하단에 배치되는 이송컨베이어(410)와, 이송컨베이어 상단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반 용융 폐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롤러(420)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롤러(420)는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에서 이송컨베이어의 양측 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421)과, 가이드판을 상호 연결하며 모터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절단축(422)과, 두 가이드판 사이 외곽에 용접된 커팅날(423)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롤러(420)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절단축(422)에 결합된 커팅날(4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이로부터 가이드판(421) 사이의 커팅날(423)이 이송컨베이어(410) 상의 반 용융 폐플라스틱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고, 절단축의 양 측면에 위치한 가이드판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반 용융 폐플라스틱을 절단시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위치를 보정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절단유닛(400)까지 거친 반 용융 폐플라스틱은 최종적으로 기설정 길이의 펠릿 형태로 성형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 마련된 포장유닛으로 이송되어 냉각 및 건조되었다가 포장되어 판매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융장치(1)를 활용하여 복합 폐플라스틱을 펠릿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는, 여러 종류의 재질이 뒤섞인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유닛(100)의 수용부(110)에 투입하고, 제1스크류(120)의 모터를 구동시켜 복합 폐플라스틱을 1차 파·분쇄한다. 이 과정에서 제1발열체(130)가 100℃ 이하로 발열하여 1차 파·분쇄 중인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한다. 상기 1차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제1스크류(120)의 회전으로 제1회전날(125)의 나선을 따라 하향 이송되고, 결과적으로 수용부(110)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이송유닛(200)의 투입부(220)로 낙하하고, 투입부와 내통된 이송탱크(210)로 진입하며, 이송탱크에 내장 설치된 컨베이어에 의해 용융유닛(300)이 위치한 토출부(230)로 이동한다. 이때 이송탱크(210)에 내장 설치된 열선에 의해 예열이 지속된다.
상기 토출부(230)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용융유닛(300)의 호퍼부(321)로 낙하하며, 제2스크류(322)의 모터를 구동시켜 복합 폐플라스틱을 2차 파·분쇄한다. 이 과정에서 제2발열체(324)가 90~200℃로 발열하여 2차 파·분쇄 중인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한다. 상기 2차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제2스크류(322)의 회전으로 제2회전날(322e)의 나선을 따라 하향 이송되고, 결과적으로 호퍼부(321)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복합 폐플라스틱은 호퍼부(321)의 하측에 배치된 가압롤러(323)에 의해 소정 압착 내지 으깨진 상태로 용융부(310)에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복합 폐플라스틱이 용융부(310)로 진입하면 메인모터가 구동하여 메인스크류(340)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와 더불어 메인스크류에 내장된 메인발열체(343)가 약 150~350℃로 발열하여 메인스크류를 가온시킨다. 복합 폐플라스틱은 메인스크류(340)의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교반되면서 메인스크류에 형성된 메인회전날(347)의 나선을 따라 배출부(330)로 서서히 이동하고, 메인발열체에 열기로 서서히 반 용융 상태가 된다.
상기 메인스크류(340)에 의해 일방향 이송된 반 용융 폐플라스틱은 배출부(330)의 배출탱크(331)로 이동하고, 압입판(333)과 교반부재(334)의 조합에 의해 노즐(332)로 압출된다.
상기 노즐(332)로부터 수개의 가닥으로 분할 토출된 반 용융 폐플라스틱은 절단유닛(400)의 이송컨베이어(410)에 안착되어 일방향 이동하고, 이송컨베이어의 상단에 배치된 절단롤러(420)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최종적으로 펠릿의 형상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성형된 펠릿은 별도 마련된 포장유닛으로 이송되어 냉각 및 건조되었다가 포장되어 판매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용융장치(1)는 금형용 플레이트(Plate)판을 활용한 복합플라스틱 제품, 예를 들어 기설정 형상의 펠릿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금형용 플레이트판을 활용한 복합플라스틱 제품 제조용 용융장치(1)는 공급유닛(100)부터 절단유닛(400)에 이르는 모든 구간이 컨베이어로 연결되어 원료와 제품의 일방향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용융유닛(300)은 원료를 교반하는 메인스크류(340)가 배제된 것을 전재로 한다.
상기 금형용 플레이트판을 활용한 복합플라스틱 제품 제조용 용융장치(1)는 공급유닛(100)을 통해 복합플라스틱 원료를 공급받고, 공급된 복합플라스틱은 약 80 ~ 100℃로 가열 중인 공급유닛에 의해 예열된 상태로 정량 배출된다.
상기 공급유닛(100)의 하측에는 용융유닛(300)으로 안내하는 이송유닛(200)이 배치되고, 이송유닛의 컨베이어 상에는 플레이트판이 비치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예열된 복합플라스틱을 수용한다.
상기 플레이트판에 수용된 복합플라스틱은 이송유닛(200)에 의해 용융유닛(300)에 장입되고, 장입된 복합플라스틱은 상에서 예열과 용융과정을 거쳐 반용융 상태가 되며, 다시 이송유닛에 의해 플레이트판과 함께 일방향 이송된다. 반용융된 복합플레스틱을 수용한 플레이트판은 상단에 가압플레이트가 삽입 설치되고, 프레스 장치로 이동하여 압축 가공됨에 따라 제품이 성형된다. 이후 플레이트판으로부터 가압플레이트가 분리되고, 반용융 상태인 성형 제품이 고체화되도록 플레이트판을 냉각시킨다.
냉각된 성형 제품은 플레이트판으로부터 탈거하여 포장하고, 사용이 완료된 플레이트판은 정리되어 이송유닛(200)을 통해 다시 공급유닛(100)의 하측으로 재비치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용융 성형장치는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내부 수용하고, 주위에 설치된 열선으로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하향 배출하는 공급유닛(100);과, 공급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200);과, 이송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고, 내부에 수평 탑재된 스크류의 작동으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내장 설치된 열선의 발열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하면서 일방향 배출하는 용융유닛(300);과, 용융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용융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용융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유닛(40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용융유닛(300)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용융부(310);와, 용융부의 상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이송유닛(200)이 제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공급부(320);와, 용융부의 하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배출부(330);와, 용융부의 내부공간에 가로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복합 폐플라스틱을 교반 및 배출부로 이송하는 메인스크류(3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20)는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는 호퍼부(321);와, 호퍼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2스크류(322);와, 호퍼부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크류(322)는 호퍼부(321)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2모터(322a);와, 제2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스크류축(322b);과, 제2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베어링(322c);과, 제2베어링을 매개로 제2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며, 내부에 제2발열체(324)가 수직으로 내장된 제2하우징(322d);과, 제2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날(322e);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30)는 용융부(310)와 내통되며, 용융부에서 절단유닛(400)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배출탱크(331);와, 배출탱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유닛으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332);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노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노즐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관통홀이 형성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분할 배출되게 하는 압입판(333);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압입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입판까지 도달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 및 압입판에 강제 압입되게 하는 교반부재(334);와, 배출탱크 외주에 권취되어 열을 공급하는 제3발열체(335);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334)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34a) 및 회전축의 외면에서 방사 형태로 복수 설치되는 교반날(334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334b)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하는 칼날과 주변의 복합 폐플라스틱을 칼날로 유인 및 압입판(333)으로 가압하는 롤러로 구성되며, 칼날과 롤러는 회전축 상에서 교번 배열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스크류(340)는 용융부(3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스크류축(341);과, 메인스크류축에 기설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개스킷(342);과, 각 개스킷에 관통 설치되어 메인스크류축의 주위로 복수 배열되는 메인발열체(343);와, 메인발열체로 둘러쌓인 메인스크류축을 포위하는 메인커버체(344);와, 커버체의 양단에 각 설치되는 메인베어링(345);과, 메인베어링을 매개로 메인커버체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회전날(34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용융장치(1)는 반복적인 파·분쇄를 통해 복합 폐플라스틱의 입자를 균일하게 하면서 재활용이 불가능한 이물질은 완벽하게 분리 제거하고, 나아가 용융 공정을 반 용융과 2차 용융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용융점으로 이루어진 복합 폐플라스틱들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용융할 수 있어 재생 가공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재활용 업계 발전과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마다 발열체가 내장 설치되고, 특히 발열체는 호퍼나 탱크 내부와 같이 복합 폐플라스틱이 장시간 수용되는 구간마다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소모 전력 대비 높은 열 효율을 발휘함으로써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유도하고, 나아가 생산 비용을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용융부와 메인스크류 사이에 확보된 유격공간으로 하여금 반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므로 메인스크류의 과부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급유닛에 설치된 제1스크류와 공급부에 설치된 제2스크류가 복합 폐플라스틱을 유실없이 일정하게 공급 유도하여 가공의 신속성과 효율성 및 안정성이 적극 확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급유닛
200. 이송유닛
300. 용융유닛
400. 절단유닛
1. 용융장치

Claims (9)

  1.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내부 수용하고, 주위에 설치된 열선으로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예열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예열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하향 배출하는 공급유닛(100);과, 공급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유닛(200);과, 이송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고, 내부에 수평 탑재된 스크류의 작동으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분쇄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내장 설치된 열선의 발열로 복합 폐플라스틱을 용융하면서 일방향 배출하는 용융유닛(300);과, 용융유닛의 하단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용융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용융플라스틱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하는 절단유닛(400);으로 이루어지는 용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닛(300)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용융부(310);와, 용융부의 상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이송유닛(200)이 제공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공급부(320);와, 용융부의 하단 일측에서 내통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배출부(330);와, 용융부의 내부공간에 가로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복합 폐플라스틱을 교반 및 배출부로 이송하는 메인스크류(3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20)는 이송유닛(200)으로부터 복합 폐플라스틱을 인계받아 내부 수용하는 호퍼부(321);와, 호퍼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2스크류(322);와, 호퍼부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복합 폐플라스틱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크류(322)는 호퍼부(321)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2모터(322a);와, 제2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스크류축(322b);과, 제2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베어링(322c);과, 제2베어링을 매개로 제2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며, 내부에 제2발열체(324)가 수직으로 내장된 제2하우징(322d);과, 제2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날(322e);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30)는 용융부(310)와 내통되며, 용융부에서 절단유닛(400)에 이르도록 연장되는 배출탱크(331);와, 배출탱크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유닛으로 토출시키는 복수의 노즐(332);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노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노즐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관통홀이 형성되어 용융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분할 배출되게 하는 압입판(333);과, 배출탱크 내부에서 압입판과 밀접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압입판까지 도달한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 및 압입판에 강제 압입되게 하는 교반부재(334);와, 배출탱크 외주에 권취되어 열을 공급하는 제3발열체(335);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334)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34a) 및 회전축의 외면에서 방사 형태로 복수 설치되는 교반날(334b)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334b)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절단하는 칼날과 주변의 복합 폐플라스틱을 칼날로 유인 및 압입판(333)으로 가압하는 롤러로 구성되며, 칼날과 롤러는 회전축 상에서 교번 배열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스크류(340)는 용융부(3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스크류축(341);과, 메인스크류축에 기설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개스킷(342);과, 각 개스킷에 관통 설치되어 메인스크류축의 주위로 복수 배열되는 메인발열체(343);와, 메인발열체로 둘러쌓인 메인스크류축을 포위하는 메인커버체(344);와, 커버체의 양단에 각 설치되는 메인베어링(345);과, 메인베어링을 매개로 메인커버체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는 메인하우징(346);과,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메인회전날(34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00)은,
    복합 폐플라스틱을 공급받아 내부 수용하는 수용부(110);
    수용부 내부에 수직 개재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수용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고,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하향 배출되게 하는 제1스크류(120);
    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00)은 수용부(110)와 제1스크류(120)에 내장 탑재되어 파쇄된 복합 폐플라스틱을 기설정 예열하는 제1발열체(1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120)는,
    수용부(110)의 내부 상단에서 구동축이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1모터(121);
    제1모터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스크류축(122);
    제1스크류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베어링(123);
    제1베어링을 매개로 제1스크류축 외측에 설치되어 개별 회전하며, 내부에 제1발열체(130)가 수직으로 내장된 제1하우징(124);
    제1하우징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날(125);
    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32104A 2021-10-06 2021-10-06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KR10264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04A KR102648299B1 (ko) 2021-10-06 2021-10-06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04A KR102648299B1 (ko) 2021-10-06 2021-10-06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784A KR20230049784A (ko) 2023-04-14
KR102648299B1 true KR102648299B1 (ko) 2024-03-18

Family

ID=8594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04A KR102648299B1 (ko) 2021-10-06 2021-10-06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54304B (zh) * 2024-01-16 2024-09-10 浙江江山朗众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造粒机边角料的回收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150Y1 (ko) 2004-07-21 2004-11-04 (주)엠엔씨 엔지니어링 생활폐기물의 수분제거용 가열기의 취출물 자동 절단장치
JP5182001B2 (ja) 2008-02-29 2013-04-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造粒装置
KR101827216B1 (ko) * 2017-07-20 2018-02-08 백은정 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KR101852683B1 (ko) * 2016-10-07 2018-06-04 유재필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목분 플라스틱 파이프 제조방법
KR101975590B1 (ko) * 2017-06-12 2019-05-07 최병국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KR102272927B1 (ko) 2021-01-25 2021-07-05 서유상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947B1 (ko) * 1998-09-04 2000-12-15 황부성 폐플라스틱 조립기
KR100715482B1 (ko) * 2005-10-28 2007-05-09 김범식 절단기가 장착된 폐합성수지의 처리장치
KR101770881B1 (ko) 2014-11-13 2017-09-05 최병국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
KR20190001352A (ko) * 2017-06-27 2019-01-04 김진성 폐기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KR20200091759A (ko) 2019-01-23 2020-07-31 허옥숙 재활용 플라스틱 효율적인 선별법
KR102536224B1 (ko) * 2021-03-10 2023-05-26 고영재 플라스틱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150Y1 (ko) 2004-07-21 2004-11-04 (주)엠엔씨 엔지니어링 생활폐기물의 수분제거용 가열기의 취출물 자동 절단장치
JP5182001B2 (ja) 2008-02-29 2013-04-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造粒装置
KR101852683B1 (ko) * 2016-10-07 2018-06-04 유재필 압출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목분 플라스틱 파이프 제조방법
KR101975590B1 (ko) * 2017-06-12 2019-05-07 최병국 반용융 완전용융 겸용 폐수지 재생장치 및 폐수지 재생방법
KR101827216B1 (ko) * 2017-07-20 2018-02-08 백은정 플라스틱 펠릿 제조장치
KR102272927B1 (ko) 2021-01-25 2021-07-05 서유상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784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732B1 (ko)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10175310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CN104741196B (zh) 一种分离碎料的粉碎机
KR102482717B1 (ko) 폐기물 관리 및 재생 시스템
KR102648299B1 (ko) 복합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한 용융 성형장치
CN108621342A (zh) 一种塑料破碎机
CN218609572U (zh) 一种酒花分散设备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CN201076826Y (zh) 塑料粉碎机
CN206254356U (zh) 一种用于塑料加工的高效挤出机
CN107627608A (zh) 一种fdm打印废料的回收再生装置
KR101770881B1 (ko)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
CN219880044U (zh) 一种pc+abs塑胶粒加工用原料粉碎机构
CN205951089U (zh) 一种塑料泡沫废品回收处理装置
KR20200085462A (ko) 폐플라스틱 병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WO1995034418A1 (en) Plastic recycler
JP5775343B2 (ja) 高発泡プラスチック成型体のリサイクル方法
CN202271460U (zh) 基于机械物理法可产业化废旧热固性塑料再生设备
CN206170386U (zh) 一种具有粉碎功能的塑料搅拌机
KR101206068B1 (ko) 폐전선 수지피복물의 재활용 방법
KR100276750B1 (ko)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재활용장치
CN112208058A (zh) 一种注塑成型机废料处理装置
CN208100822U (zh) 一种用于塑料回收的带破碎装置的切粒设备
CN206216966U (zh) 桌面型3d打印材料自制设备
CN220919375U (zh) 一种具备边角料回收的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