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862A -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 Google Patents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862A
KR20180133862A KR1020187030193A KR20187030193A KR20180133862A KR 20180133862 A KR20180133862 A KR 20180133862A KR 1020187030193 A KR1020187030193 A KR 1020187030193A KR 20187030193 A KR20187030193 A KR 20187030193A KR 20180133862 A KR20180133862 A KR 20180133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oup
grease composition
mass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 요코야마
테루요시 타나카
테추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5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02Carbon;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10Metal 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r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2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26Compounds containing silicon or boron, e.g. silica,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 C10M143/02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 C10M143/04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containing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10M145/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monocarboxylic
    • C10M145/14Acrylate;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10M147/02Monomer containing carbon, hydrogen and hal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 condensation reaction being involved
    • C10M149/18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143/00 - C10M153/00
    • C10M155/02Monomer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1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41Carbon; Graphite;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2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r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5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 C10M2201/066Molybdenum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1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C10M2201/105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4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1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used as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10M2209/084Acrylate; Methacrylate
    • C10M2209/0845Acrylate; Methacrylate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3/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3/06Perfluoro polymers
    • C10M2213/062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4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2Unspecified siloxanes;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4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 C10M2229/041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liphatic substituents
    • C10M2229/041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liphatic substituent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4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 C10M2229/042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romatic substituents
    • C10M2229/042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romatic substituent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4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 C10M2229/0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 C10M2229/051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containing halogen
    • C10M2229/051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containing halog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8Resistance to extreme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6Reduction of noise, shudder, or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10Semi-solids; greas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댐핑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도 기름 분리의 문제가 거의 없고, 뛰어난 윤활 성능을 갖는 한편,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소음 발생 부위에 적용했을 경우에,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리스 조성물, 그것을 적용한 접동 부재 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 및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0이며,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5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1~50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B) 성분을 조성물 전체의 1~40질량%의 범위로 함유하고, 추가로 (C) 고체 입자를 함유할 수도 있는 그리스 조성물.

Description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본 발명은 댐핑 특성(damping characteristics)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도 기름 분리(油分離) 문제가 거의 없고, 뛰어난 윤활 성능을 갖는 한편,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접동 부재(摺動部材; sliding member)에 적용했을 경우에,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리스 조성물(grease composition), 그것을 적용한 접동 부재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당해 부재를 갖는 부품, 기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그리스 조성물을 접동 부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의 소음 저감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기계 장치에 이용하는 구동 부품, 접동 부품 또는 반송 부품에는 그리스 조성물을 도포한 접동 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접동 부재의 신뢰성 개선과 장수명화를 위해, 장기간에 걸쳐서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했을 경우에도 내구성과 윤활 성능이 뛰어난 그리스 조성물이 강하게 시장으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부품에 있어서는 종래부터의 과제인 외기(外氣)의 접촉에 의한 저온화, 엔진의 열에 의한 고온화뿐 아니라, 전자화의 요구 및 정숙성(靜肅性) 향상의 요망에 따라, 각 유닛의 밀폐화 및 소형화가 진행된 결과로서, 당해 유닛 내 및 사용 시의 고온화가 촉진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기계 장치는 한랭지의 사용에도 견딜 필요가 있어, 고온에서 저온 영역까지의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윤활 성능을 발휘하는 그리스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메틸실리콘 오일, 페닐메틸실리콘 오일 등을 기유(基油; base oil)로 하는 그리스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에 있어서는, 윤활 성능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기유로서 사용했을 경우,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윤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실익이 있다. 그러나, 그 성능에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한편, 적은 첨가량으로 점도 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저온 특성, 유동 특성 및 전단 안정성을 개량할 수 있는 그리스 첨가제로서, 특허문헌 2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윤활유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특허문헌 2에는 실리콘유, 특히 페닐기를 갖는 실리콘유의 사용에 대하여 아무런 기재도 시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기계 장치, 특히 자동차 등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차바퀴와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를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양측에서 누르는(押壓)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제동 시, 즉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 로터에 눌렸을 때, 일반적으로 「울림(squeal)」이라고 칭해지고 있는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울림이 발생해도 제동 성능에 영향은 없지만, 드라이버나 동승자에게는 불쾌한 소리로서 들리는 점에서, 실리콘유를 이용한 그리스에 의한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등). 그러나, 이들의 제안된 그리스 조성물은 특히 정음화(靜音化)나 윤활 성능 등의 특성이 불충분하여,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공보 제WO2015/077391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공보 제WO06/009083호(일본 특허공보 제5021303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41167호
상기 과제뿐 아니라, 발명자들은 내열성이 뛰어난 실리콘유를 기유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에 대하여 새로운 과제를 발견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공지된 실리콘유를 기유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을 고온하에서 이용했을 경우, 그리스 조성물로부터 기름 성분의 분리가 발생하고, 특히 댐핑 특성 및 윤활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게다가, 그리스 조성물로부터 기름 성분의 분리는 건조의 원인이 되어, 그리스 전체의 윤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이용해도 해결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특허문헌 2, 3 등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을 이용해도 브레이크 패드의 제동 시의 이음이나 접동 부재의 마찰음(소음)을 억제한다는 정음화 그리스의 제공이라는 기술적 과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들은 댐핑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기름 분리의 문제가 거의 없고, 뛰어난 윤활 성능을 갖는 한편,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접동 부재, 특히 브레이크 등의 자동차용 접동 부재, 기어, 복사기(複寫機) 등의 접동부에 적용했을 경우에,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리스 조성물, 그것을 적용한 접동 부재, 특히 브레이크, 기어, 복사기 등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원 발명자들은 그리스 조성물을 이용한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여 당해 기계 장치를 정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 및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0이며,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5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1~50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성분(B)를 조성물 전체의 1~40질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성분(A)가,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든 1가 관능기 중 10몰% 이상이 페닐기인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이며, 상기 성분(B)가 일반식 (Y-Z)a, (Y-Z)b-Y 및 (Z-Y)c-Z〔식 중, Y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Z는 탄소수 4~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a, b 및 c는 동일 혹은 상이할 수도 있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성분뿐 아니라, 추가로 (C) 고체 입자 1~200질량부를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아주 알맞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그리고, 상기 성분(C)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고체 윤활제이며, 그리스 조성물 전체의 1~60질량%가 당해 성분(C)인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가장 호적(好適)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한 접동 부재; 당해 접동 부재를 갖는 구동 부품, 접동 부품 또는 반송 부품인 부품; 당해 접동 부재를 갖는 자동차, 복사기 또는 인쇄기인 기계 장치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그리스 조성물을 접동 부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의 소음 저감 방법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자에 의해, 댐핑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기름 분리의 문제가 거의 없고, 뛰어난 윤활 성능을 갖는 한편,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접동 부재, 특히 브레이크 등의 자동차용 접동 부재에 적용했을 경우에,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그리스 조성물, 그것을 적용한 접동 부재, 특히 브레이크 등의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의해 그리스 조성물을 이용한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여 당해 기계 장치를 정음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 및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0이며,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5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1~50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성분(B)를 조성물 전체의 1~40질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이며, 아주 알맞게는, 추가로, (C) 고체 입자 1~20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하, 당해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은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기유이며, 후술하는 성분(B)와의 조합에 의해 특히 댐핑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기름 분리의 문제가 없는 그리스 조성물을 실현하는 성분이다. 또한, 아릴기는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관능기이며, 수소 원자의 일부가 할로겐 원자(불소, 염소 등)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비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아릴기로서, 페닐기, 메틸페닐기(톨릴기), 크실릴기 및 나프틸기 등이 예시되고, 특히 공업적 견지(見地)에서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A)에 있어서, 폴리오가노실록산쇄 상의 아릴기의 치환 위치, 개수 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분(B)와의 상용성의 견지에서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든 1가 관능기 중 10몰% 이상, 아주 알맞게는 15~50몰%, 보다 아주 알맞게는 20~45몰%가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의 아릴기(특히, 페닐기)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혼합 시에 성분(B)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그리스 조성물로서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양 말단이 트리오가노실록시기로 봉쇄되고, 디오가노실록시기(RRSiO2/2)를 주쇄의 구성 요소로 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에 있어서, 주쇄의 디오가노실록시기(RRSiO2/2) 상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든 1가 관능기(-R)의 반수(半數)가 페닐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자쇄의 양 말단의 트리오가노실록시기 상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1가 관능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페닐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단의 6개의 관능기의 반수가 페닐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되었을 경우, 모든 규소 원자에 결합한 1가 관능기의 50몰%가 페닐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성분(A)는 분기 구조 또는 수지상 구조를 형성하는 다른 오가노실록시기, 구체적으로는 모노오가노실록시 단위(RSiO3/2), SiO4/2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직쇄상 외, 분기쇄상, 네트워크상 또는 환상 구조를 일부에 포함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분(A)는 페닐기 등의 아릴기 외에, 분자 중에 -(CH2)x-R1(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2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x는 0~6의 범위의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루오로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펜타플루오로부틸기, 헵타플루오로펜틸기, 노나플루오로헥실기, 운데카플루오로헵틸기,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기, 펜타데카플루오로노닐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이다. 이 중에서는 경제성,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가 바람직한 기이다. 특히, 성분(A) 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든 1가 관능기 중 1몰% 이상, 아주 알맞게는 5~40몰%가 플루오로알킬기이면,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윤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아주 알맞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A)는 기타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1가 관능기로서, 아릴기를 갖고, 아주 알맞게는 추가로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것이지만, 기타의 관능기로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를 가질 수도 있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경제성, 내열성을 고려하면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추가로,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A)의 아릴기 및 플루오로알킬기 이외의 규소 원자 결합 관능기는 메틸기 또는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A)의 25℃에서의 동점도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유 및 그리스 조성물로서의 취급의 견지에서 100~100,000 mm2/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50,000 mm2/s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20]
본 발명의 성분(A)로서, 가장 호적하게는 이하의 디실록산 단위(a1):
SiR2((CH2)x-R1)O2/2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2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R2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이며, x는 0~6의 범위의 수이다)
및, 디실록산 단위(a2):
SiR2(Ph)O2/2
(식 중, R2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h는 페닐기이다)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이다. 이러한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은 특허문헌 1(국제 공개공보 제WO2015/077391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윤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또한, 당해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이 후술하는 성분(B)와의 상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들 성분을 조합했을 경우에, 특히 아주 알맞게 본 발명의 과제인, 댐핑 특성,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기름 분리 문제의 개선, 및 기계 장치의 정음화라는 기술적 효과를 바람직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 중의 R2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이며,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은, 25℃에서의 동점도가 100~100,000 mm2/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취급 작업성의 견지에서 250~50,000 mm2/s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의 아릴기의 함유량 및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함유량의 아주 알맞은 범위는 상기와 동일하고, 코폴리머 구조에서의 디실록산 단위(a1) 및 (a2)의 배치는 블록형일 수도 랜덤일 수도 있다. 가장 호적하게는,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나는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이다.
R3Me2SiO(SiMe(Tfp)O)m(SiMePh)n(SiMe2O)pSiMe2R3
(식 중, Me는 메틸기이며, Ph는 페닐기이며, Tfp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며, R3은 메틸기 또는 수산기이며;
m, n, p는, m은 1 이상의 수, n은 1 이상의 수, p은 0 이상의 수이며;
m+n+p는 당해 구조식으로 나타나는 폴리오가노실록산의 25℃에서의 동점도가 100~100,000 mm2/s의 범위가 되는 수이며,
전체 치환기 중의 페닐기의 함유율: n/(6+2m+2n+2p)×100 (몰%)이 5~45몰%의 범위이며,
전체 치환기 중의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의 함유율: m/(6+2m+2n+2p)×100 (몰%)이 5~45몰%의 범위이다)
이러한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은 특허문헌 1(국제 공개공보 제WO2015/077391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 가능하고, 다른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시판되고 있다.
[(B)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성분(B)는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과 병용함으로써, 특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 성분이다. 한편, 본 발명과 동일한 사용량의 성분(B)를 폴리메틸실록산 등의 다른 실리콘계 기유와 병용했을 경우, 상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리스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기타의 공지의 기유와 조합했을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다.
즉, 성분(A) 및 성분(B)의 조합은 본 발명의 현저한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는 데 있어서 필수이면서 특이적인 조합이다.
성분(B)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0이며,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5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이며, 아주 알맞게는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3 이하이다. 이러한 윤활유 첨가제로서, 특허문헌 2(국제 공개공보 제WO06/009083호(일본 특허공보 제5021303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수 평균 분자량(Mn),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 분포(Mw/Mn)의 측정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성분(B)로서 아주 알맞게는 일반식 (Y-Z)a, (Y-Z)b-Y 및 (Z-Y)c-Z〔식 중, Y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Z는 탄소수 4~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a, b 및 c는 동일 혹은 상이할 수도 있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란, 후술하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와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 양쪽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아주 알맞게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로서, Y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총질량과 Z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총질량의 비율이 Y/Z의 질량비에 있어서 1/99~40/60인 것이 예시되고, 당해 질량비는 2/98~30/70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95~25/75이다. 상기 범위일 때, 기유인 성분(A)에 균일하게 용해되고, 소량으로 점도 지수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특히 뛰어나다.
상기 A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3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200,000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00~100,000이다. 또한, 상기 B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7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500,000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00~200,000이다.
상기 일반식 (Y-Z)a, 일반식 (Y-Z)b-Y 및 일반식 (Z-Y)c-Z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라우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n-부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2-에틸헥실,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2-에틸헥실-b-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라우릴-b-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n-부틸-b-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2-에틸헥실-b-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2-에틸헥실-b-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폴리메타크릴산 라우릴-b-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메타크릴산 라우릴, 폴리아크릴산 n-부틸-b-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n-부틸, 폴리아크릴산 2-에틸헥실-b-폴리메타크릴산 메틸-b-폴리아크릴산 2-에틸헥실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Y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이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며, Z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이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인 것이 기유인 성분(A)에 첨가하여 사용 중의 전단 안정성이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Y, Z의 각 중합체 블록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의 적은 비율(중합체 블록 중 20질량% 이하)이면, 기타의 중합체 블록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B)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는 외에, 아크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쿠라리티(kurarity)(등록 상표, 상품명)」로서 가부시키가이샤구라레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부수(질량부)]
본 발명의 성분(B)는 기유로서 실리콘유를 선택했을 경우, 성분(A)인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과만 특이적으로 상용성을 갖는 것이지만, 발명의 기술적 효과의 관점에서,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성분(B)를 1~5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으로, 2~30질량부, 3~25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그리스로서의 조도(稠度)가 너무 낮아지는 경우가 있고, 경도 때문에 그리스로서 실용 가능한 부재가 극히 한정되어 버린다.
[함유량(질량%)]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상기의 양적 관계를 갖는 성분(A) 및 성분(B)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기타의 임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발명의 기술적 효과의 관점에서, 성분(B)는 상기 그리스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1~40질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0질량%, 3~18질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상기의 양적 관계를 충족하는 성분(A)와의 병용계(倂用系)라도 발명의 기술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그 높은 점도 지수 향상능에 의해 그리스상으로 조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명의 기술적 효과의 관점에서, 조성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고, 또한 기유인 성분(A)의 함유량이 30~99질량%, 35~95질량% 또는 36~90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고체 입자]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상기 성분(A) 및 성분(B)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추가로 1종류 이상의 (C)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기름 분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고체 입자의 기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러로서 기능하는 성분일 수도 있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로 대표되는 고체 윤활제일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유기 수지 분체일 수도 있고,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무기 분체일 수도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고체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종류의 분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류 이상의 분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스테아르산 칼슘, 마이카, 흑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기타의 윤활성 수지 및 산소 결함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복합 산화물(SrxCa1 -xCuOy 등)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탄산염(Na2CO3, CaCO3, MgCO3 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탄산염 등), 규산염(MxOySiO2〔M: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등), 금속 산화물(전형 금속 원소의 산화물, 전이 금속 원소의 산화물, 및 그들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Al2O3/MgO 등〕 등), 황화물(PbS 등), 불화물(CaF2, BaF2 등), 탄화물(SiC, TiC), 질화물(TiN, BN, AlN, Si3N4 등), 클러스터 다이아몬드(cluster diamond), 및 풀러렌 C60 또는 C60과 C70의 혼합물처럼 마찰 계수를 극단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금속간의 직접 접촉을 억제하여 소부(燒付) 방지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미립자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전형 금속 원소의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Al2O3, CaO, ZnO, SnO, SnO2, CdO, PbO, Bi2O3, Li2O, K2O, Na2O, B2O3, SiO2, MgO 및 In2O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형 금속 원소가 알칼리 토류 금속, 알루미늄, 아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이 금속 원소의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TiO2, NiO, Cr2O3, MnO2, Mn3O4, ZrO2, Fe2O3, Fe3O4, Y2O3, CeO2, CuO, MoO3, Nd2O3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아주 알맞게는, 당해 고체 입자는 고체 윤활제로서 기능하는 성분이며, 예를 들어 불소 수지(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 등),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화합물의 미립자, 이황화몰리브덴, 그라파이트,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납 등의 금속의 미립자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이황화몰리브덴, 그라파이트,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고체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윤활제의 평균 입경은 30 μm 이하일 수도 있고, 0.1~20 μm가 바람직하고, 0.2~15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 체적 평균 입자 지름, 또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된 입자 지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고체 윤활제 이외의 고체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고체 입자는 본 발명에 관한 그리스 조성물에 소망의 기능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고체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강성 충전제; 증조제(增稠劑); 내마모제; 안료; 색재; 자외선 흡수제; 열전도성 충전제; 도전성 충전제; 절연재 등의 기능성 입자가 예시된다. 또한, 일부의 입자는 복수의 기능성 입자로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자상, 판상, 침상, 섬유상 등의 임의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고체 입자의 형상이 판상, 침상, 섬유상 등의 이방성인 경우, 그 종횡비는 1.5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C) 고체 입자로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고체 윤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지는 고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호적하게는,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건식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이 1~10 μm인 구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C) 고체 입자의 함유량은 기유인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하여, 1~200질량부의 범위이며, 아주 알맞게는 3~150질량부, 더욱더 아주 알맞게는 5~12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고체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그리스 조성물은 고온하에서 사용했을 경우의 기름 분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고체 윤활제를 포함함으로써, 기름 분리의 해소뿐 아니라, 그리스 조성물의 윤활 성능이 더욱더 개선되고, 당해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한 접동 부재는 뛰어난 접동 특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당해 접동 부재를 갖는 기계 장치의 정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증조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임의로 기타의 증조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성분(C)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는 증조제로서도 기능하는 성분이다. 불소 수지 이외의 증조제로서, Li 비누 등의 금속 비누, 우레아 수지,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 유기 안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내열성 및 윤활성의 관점에서 지방족 디카복실산 금속염, 모노아미드모노카복실산 금속염, 모노에스테르카복실산 금속염, 디우레아, 트리우레아, 테트라우레아 등이 아주 알맞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 중에는 추가로 산화방지제, 방청제, 부식 방지제, 극압제, 유성제(油性劑), 이장제(離漿劑) 또는 기유 확산 방지제, 부식 방지제, 금속 불활성제, 염료, 색상 안정제, 증점제, 구조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통상의 첨가제 이외에, 합성, 재생, 천연의 각종 섬유물이나, 고무 더스트, 캐슈 더스트(cashew dust) 등의 점착 물질을 가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2,6-디제3 부틸-4-메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제3 부틸페놀) 등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알킬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페노티아진, 알킬화-α-나프틸아민, 알킬화 페노티아진 등의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방청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지방산 아민, 알킬설폰산 금속염, 알킬설폰산아민염, 산화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부식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 벤조이미다졸, 티아디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극압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에스테르, 아인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아민염 등의 인계 화합물, 설파이드류, 디설파이드류 등의 황계 화합물, 디알킬디티오인산 금속염, 디알킬디티오카밤산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유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지방족 아민,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장제 또는 기유 확산 방지제로서는 불소계 실란 화합물, 베헨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A), (B), 및 임의 성분(C) 기타 성분을 상기 조건에서 혼합하고, 롤 밀을 통한 밀 후처리(mill finish)를 하는 것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스의 조도]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조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50~4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용상, 200~400, 210~39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도가 상기 하한 미만에서는, 그리스 조성물이 너무 딱딱해서 코팅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조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적용 부분이 브레이크 등인 경우, 발열에 수반하는 기유의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금속 부재, 수지 부재,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동 부재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윤활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접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윤활부/접동부에 대한 내구 수명의 개선성이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댐핑 특성이 뛰어나고, 고온하에서도 기름 분리의 문제가 거의 없고, 뛰어난 윤활 성능을 갖는 한편, 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접동 부재, 특히 브레이크용 부재 등의 자동차용 접동 부재에 적용했을 경우에,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특히 옥외(屋外)에 있어서 이용되는 자동차 등의 접동 부재에 적용함으로써, 저기온에서 엔진의 방열에 의한 고온까지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인 윤활 성능을 실현하는 한편, 기계 장치의 정음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상기의 접동 부재 외에,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미끄럼 베어링(plain bearing), 미끄럼면, 톱니바퀴(齒車) 등의 윤활 부분을 비롯하여, 그리스를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윤활 부분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댐핑 특성, 내열성, 윤활성, 정음성이 뛰어나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인 윤활 성능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복사기 또는 인쇄기인 기계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의 도포·적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을 도포한 접동 부재는 당해 부재를 갖는 구동 부품, 접동 부품 또는 반송 부품인 부품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당해 접동 부재를 갖는 자동차, 복사기 또는 인쇄기인 기계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아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상기 부재에 적용함으로써,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브레이크 울림 등의 이음을 포함한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는 접동 부재로서 아주 알맞은 것은 자동차, 복사기 또는 인쇄기(프린터) 등의 구동 부재, 접동 부재, 반송부 등이 예시되고, 소음이 저감된 기계 장치가 제공된다. 가장 호적한 예로서, 자동차 등의 브레이크용 부재 또는 톱니바퀴가 예시된다.
상기 고무제 접동 부재로서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벨트, 선루프용 바디 실(body seal), 글라스 런(glass run),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오일 실(oil seal), 패킹, 와이퍼 블레이드, 닥터 블레이드, 대전 롤러, 현상 롤러, 토너 공급 롤러, 전사 롤러, 히트 롤러, 가압 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급지 롤러, 반송 롤러, 닥터 블레이드, 중간 전사 벨트, 중간 전사 드럼, 히트 벨트, 기타 자동차용, 복사기용, 프린터용 등의 구동 부재, 접동 부재, 반송부 등이 예시된다.
상기 플라스틱제 접동 부재로서는 도어 패널,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도어록(door lock), 베어링, 기어, 벨트 텐셔너, 정착 벨트, 가압 벨트, 기타 자동차용, 복사기용, 프린터용 등의 구동 부재, 접동 부재, 반송 부재 등이 예시된다.
상기 금속제 접동 부재로서는 크랭크 샤프트, 컴프레서 샤프트(compressor shaft), 슬라이드 베어링, 기어, 오일 펌프 기어, 피스톤, 피스톤 링, 피스톤 핀, 개스킷, 도어록, 가이드 레일, 시트 벨트 버클,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패드 클립, 브레이크 심, 브레이크 인슐레이터(brake insulator), 힌지, 나사, 가압 패드, 기타 자동차용, 복사기용, 프린터용 등의 구동 부재, 접동 부재, 반송 부재 등이 예시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그리스 조성물은 저온에서 고온까지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윤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접동부, 기어(톱니바퀴), 회전부 등의 소음 발생 부위에 적용했을 경우, 기계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고, 정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한 부재의 용도로서는 아무런 제약이 없고, 예를 들어 가전, 선박, 철도, 항공기, 기계, 구조물, 자동차 보수, 자동차, 건축, 건재, 섬유, 피혁, 문방구, 목공, 가구, 잡화, 강판, 캔, 전자 기판, 전자 부품, 인쇄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C1~C5]
각 성분을 표 1~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우선 성분 B를 톨루엔에 용해하고, B의 톨루엔 용액과 오일 A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오븐 속에서 톨루엔을 휘발시켜 A와 B의 균일 혼합물을 조제했다. A와 B의 혼합물에 고체 분말 C를 가하고, 덴탈 믹서(dental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3롤 밀(three roll mill)로 처리하고, 덴탈 믹서로 탈포(脫泡)함으로써, 실시예 1~8 및 비교예 C1~C5의 그리스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수치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혼합 단계에서 각 성분이 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리스 조성물의 조제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그 취지를 표에 기재했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C5에 대해서는 메틸실리콘은 어느 (B) 성분과도 상용되지 않아서 그리스 조성물의 조제를 수행할 수 없었다.
표 1~표 2에 있어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또한, 성분(a1)에 있어서, 「Tfp기」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성분(a1)을 구성하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 단위와 메틸페닐실록산의 몰 비는 약 50:50이다.
(A) 기유
(a1) Tfp기 함유 페닐 실리콘: 특허문헌 1(국제 공개공보 제WO2015/077391호)의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된,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 봉쇄 폴리(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코폴리머
(a2) 페닐실리콘: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 봉쇄 폴리메틸페닐실록산(도레이·다우 코닝(주) 제품, 550 FLUID)
(a3) 메틸실리콘: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
(도레이·다우 코닝(주) 제품, SH 200 FLUID 350 cSt)
(B)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가부시키가이샤구라레 제품,
상품명: 쿠라리티 KL- LA1892, 상품명: 쿠라리티 LA2140
표 중, KL-LA1892/LA2140=10/1은 KL-LA1892/LA2140의 질량비가 10/1인 혼합물을 이용한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KL-LA1892/LA2140=10/2는 KL-LA1892/LA2140의 질량비가 10/2인 혼합물을 이용한 것을 의미한다.
(C) 고체 입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파우더):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건식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이 3.5 μm인 구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미립자(고형분 100중량%)
·산화규소: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에 의해 표면 처리된, 주사형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한 1차 입자의 입자 지름이 16 nm인 백색 이산화규소 분말(고형분 100중량%)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그리스 조성물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결과를 표 1~2에 함께 나타낸다.
[낙구 시험(落球試驗)]
각 그리스 조성물을 폴리에틸렌제 봉지(85 mm×60 mm)에 11 ml 봉입하고, 30 cm 위에서 강구(鋼球)(3/4인치, 28 g)를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음의 크기를 소음계로 측정하고, 그 충격음의 크기를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 77 dB 미만
○: 77 dB 이상~78 dB 미만
×: 78 dB 이상
[고온하에서의 그리스의 안정성]
표 1~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조제한 각 그리스 조성물을 불투명 유리 위에 2 mm 두께, 직경 10 mm의 그리스를 도포, 이하의 조건 온도하에서 평평하게 놓고, 기유의 분리 범위의 직경(mm) 및 그리스 조성물 그 자체의 퍼짐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조건 1: 100℃에서 24시간 정치
조건 2: 150℃에서 72시간 정치
그리스의 안정성:
○: 기유의 분리 직경이 16 mm 미만 또한 그리스의 퍼짐 없음
(그리스의 도포 직경 10 mm이므로, 기유 분리 직경 10 mm는 그리스의 도포 직경이 변화하지 않아 「분리가 전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 기유의 분리 직경이 16 mm 이상, 또는 그리스의 퍼짐 있음
<평가 방법>
[윤활성 측정]
하기 조건에서 사구 시험(四球試驗)을 수행하고, 시험 후의 마모흔(摩耗痕)의 직경을 현미경으로 측정하고, 값을 평균냈다.
측정 장치: 사구 시험기
시험편: 1/2인치 베어링 강구(SUJ2)
측정 조건
회전수: 1200 rpm,
하중: 10 kgf,
시간: 1시간
[표 1]
Figure pct00001
[0068]
[표 2]
Figure pct00002

Claims (15)

  1. (A)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 및
    (B)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1,000,000이며,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1.5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1~50질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성분(B)를 조성물 전체의 1~40질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가,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든 1가 관능기 중 10몰% 이상이 페닐기인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인, 그리스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C) 고체 입자 1~200질량부를 함유하는, 그리스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가 분자 중에 -(CH2)x-R1(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2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x는 0~6의 범위의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추가로 갖는, 그리스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가 이하의 디실록산 단위(a1):
    SiR2((CH2)x-R1)O2/2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2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며, R2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이며, x는 0~6의 범위의 수이다)
    및, 디실록산 단위 (a2):
    SiR2(Ph)O2/2
    (식 중, R2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h는 페닐기이다)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폴리머형 아릴기 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이고, 또한 당해 (A) 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100~100,000 mm2/s의 범위인, 그리스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가 일반식 (Y-Z)a, (Y-Z)b-Y 및 (Z-Y)c-Z〔식 중, Y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Z는 탄소수 4~3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을 나타내고; a, b 및 c는 동일 혹은 상이할 수도 있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인, 그리스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가 일반식 (Y-Z)a, (Y-Z)b-Y 및 (Z-Y)c-Z
    〔식 중, Y가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며; Z가 탄소수 4~3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며; a, b 및 c는 동일 혹은 상이할 수도 있는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이고, 또한 Y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총질량과 Z로 표시되는 중합체 블록의 총질량의 비율이 Y/Z의 질량비에 있어서 1/99~40/60인, 그리스 조성물.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이황화몰리브덴, 그라파이트,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고체 윤활제인, 그리스 조성물.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고체 윤활제이며, 그리스 조성물 전체의 1~60질량%가 당해 성분(C)인, 그리스 조성물.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그리스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한 접동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그리스 조성물을 적용한 브레이크용 부재.
  13. 제11항에 기재한 접동 부재를 갖는, 구동 부품, 접동 부품 또는 반송 부품인 부품.
  14. 제11항에 기재한 접동 부재를 갖는, 자동차, 복사기 또는 인쇄기인 기계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그리스 조성물을 소음 발생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의 소음 저감 방법.
KR1020187030193A 2016-04-06 2017-03-30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KR20180133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6254 2016-04-06
JP2016076254 2016-04-06
PCT/JP2017/013138 WO2017175653A1 (ja) 2016-04-06 2017-03-30 グリース組成物および摺動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62A true KR20180133862A (ko) 2018-12-17

Family

ID=6000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193A KR20180133862A (ko) 2016-04-06 2017-03-30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19595A1 (ko)
EP (1) EP3450528A4 (ko)
JP (1) JPWO2017175653A1 (ko)
KR (1) KR20180133862A (ko)
CN (1) CN109072118A (ko)
WO (1) WO2017175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7252A (zh) * 2018-09-11 2018-12-11 江苏天成生化制品有限公司 一种机械润滑油酯
CN110172369B (zh) * 2019-04-02 2021-12-07 大锦(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碟式刹车片和刹车分泵导向销的润滑剂
RU2741176C1 (ru) * 2020-06-19 2021-01-22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ФОНД ПЕРСПЕКТИВ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Радиальные уплотнения роторно-поршневого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7290612B2 (ja) 2020-07-20 2023-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摺動部材
JP7339214B2 (ja) 2020-07-20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摺動部材
JP7290611B2 (ja) * 2020-07-20 2023-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摺動部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5558B2 (ja) * 2000-02-16 2006-04-12 株式会社和光ケミカル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鳴き音防止用グリ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ブレーキ鳴き音防止方法
JP2005054007A (ja) * 2003-08-08 2005-03-03 Cosmo Sekiyu Lubricants Kk グリース組成物
WO2006009083A1 (ja) * 2004-07-16 2006-01-26 Kuraray Co., Ltd. アクリル系重合体を含む潤滑油添加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CN102144021B (zh) * 2008-09-05 2016-10-12 Ntn株式会社 润滑脂组合物、封入了该润滑脂组合物的滚动轴承及万向接头
JP6549576B2 (ja) * 2013-11-20 2019-07-24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0528A4 (en) 2019-10-30
US20190119595A1 (en) 2019-04-25
EP3450528A1 (en) 2019-03-06
WO2017175653A1 (ja) 2017-10-12
JPWO2017175653A1 (ja) 2019-02-28
CN109072118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862A (ko) 그리스 조성물 및 접동 부재
JP4811408B2 (ja) グリース組成物
CN105814179B (zh) 有机硅氧烷组合物
JPWO2012111774A1 (ja) 摺動材料組成物及び摺動部材
JP4485131B2 (ja) すべり軸受
JPWO2019021794A1 (ja) 水系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それからなる水系潤滑被膜用塗料組成物
JP6700074B2 (ja) グリース組成物、機械部材及びスタータオーバーランニングクラッチ
JP5796834B2 (ja) 樹脂潤滑用グリース組成物
WO2019017227A1 (ja) グリース組成物、それを用いた摺動部材および低周波数の騒音低減方法
KR100823571B1 (ko) 건축용 슬라이딩 베어링 및 이를 위한 재료
JP2008038047A (ja) 高架橋樹脂添加グリース組成物
CN101484559A (zh) 等速万向节用润滑脂组合物及等速万向节
JP6211924B2 (ja) 摺動用樹脂組成物
CN110662826B (zh) 润滑脂组合物以及用其涂覆的滑动构件
JP6114180B2 (ja) 摺動部材用被膜組成物
JP7146833B2 (ja) 乾性潤滑被膜形成用の塗料組成物、乾性潤滑被膜、及び摺動部材
CN104812877B (zh) 节能、暂时性剪切致稀硅氧烷润滑剂的使用方法
CA3055493C (en) Lubricant composition comprising silasesquioxane
JP4282887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JP2016500131A (ja) 高荷重条件下での面の間の摩擦及び摩耗を低減する方法
JPS6239638B2 (ko)
Chichester Development of High Service Temperature Fluids
JP2004331895A (ja) シリコーン潤滑油組成物
JP6913566B2 (ja) グリース組成物
JP3598694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流体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