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55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559A
KR20180133559A KR1020187035473A KR20187035473A KR20180133559A KR 20180133559 A KR20180133559 A KR 20180133559A KR 1020187035473 A KR1020187035473 A KR 1020187035473A KR 20187035473 A KR20187035473 A KR 20187035473A KR 20180133559 A KR20180133559 A KR 2018013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image
display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022B1 (ko
Inventor
세이고 다네
가츠미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81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4094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81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02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07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03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45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68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45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704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436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35304A1/ja
Publication of KR2018013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11
    • B60K35/213
    • B60K35/215
    • B60K35/29
    • B60K35/8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 G01D7/06Luminous indications projected on a common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B60K2360/1868
    • B60K2360/20
    • B60K2360/23
    • B60K2360/31
    • B60K2360/332
    • B60K2360/334
    • B60K2360/336
    • B60K2360/341
    • B60K2360/347
    • B60K2360/682
    • B60K2360/695
    • B60K2360/69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isplaying permanent signs or mar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2020a)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2020)과,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2030)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2040, 2400, 2420, 2430, 2440, 2450)과, 표시면 중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G2010, G2100, G2300, G2050, G2060, G2070, G2071)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2020, G2400)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260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당해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 2014년 9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81584호, 2014년 9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81585호, 2014년 9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81586호, 2014년 9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81587호, 2014년 10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07414호, 2014년 12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45280호 및, 2015년 3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45147호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개시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표시 장치에는, 예를 들어 지침 등의 실체물을 움직이게 해서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이 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상기 실체물을 본뜬 화상을 액정 패널에 표시시킴으로써, 표시 내용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시키고 있다.
단, 액정 패널에서는 표시 화상을 입체적으로 시인시키는 것에 물리적 한계가 있어, 실체물을 사용한 표시 장치에 비해 평면적인 미관이 되는 것이 결점이다. 이 결점에 대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에 대하여 시인 방향 전방측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링을 배치하고 있다. 가식 링은 입체적으로 시인되므로, 액정 패널의 평면적인 미관에 깊이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전체를, 액정 패널과 가식 링의 조합에 의한 입체적인 미관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전방측에 가식 링(실체물)을 배치하면,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므로,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전방측에 실체 부재를 배치하였지만, 액정 패널의 표시 내용과 액정 패널의 전방측 실체 부재의 2단으로밖에 깊이감을 부여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입체적인 미관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제518015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787102호 공보
본 개시의 목적은, 액정 패널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게 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목적은, 보다 깊이감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미관이 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제1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과, 표시면 중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실체물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에 의하면,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시켜 시인되는 실체물이 눈에 띄게 되어, 실체물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실체물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이며, 화상을 가식하는 가식 부재와, 표시면 중 가식 부재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가식하는 가식 부재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형태에 의하면, 가식 부재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해해서 시인되는 가식 부재가 눈에 띄게 되어, 가식 부재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가식 부재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과, 허상용 표시광을 반사하여, 액정 패널과 겹치는 위치에 허상을 시인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한다. 반사면은, 액정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실체물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안쪽에, 실체물 외에도 허상도 시인되게 되므로,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 형태의 베리에이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허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액정 패널의 표면에서 형성하므로, 액정 패널과는 별도로 반사면을 구비시키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과,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서 실체물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와, 표시면 중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제4 형태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실체물이,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가동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면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형태에 의하면,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시인되는 실체물이 눈에 띄게 되어, 실체물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가동의 실체물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에 표시면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에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이면측 실체 부재와, 액정 패널의 표시면의 표면측에서 시인되는 표시면 실체 부재를 구비한다.
제5 형태에 의하면, 표시면 실체 부재,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 및 이면측 실체 부재의 3종류에 의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보다 입체적인 미관이 되는 표시 장치가 된다.
본 개시의 제6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에 표시면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에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이면측 실체 부재와, 액정 패널의 표시면보다 표면측에 설치되는 확대 렌즈부를 구비한다. 확대 렌즈부는 액정 패널을 통해, 이면측 실체 부재를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6 형태에 의하면, 확대 렌즈부에 의해 이면측 실체 부재가 확대된다. 그에 수반하여, 이면측 실체 부재와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과의 깊이 방향의 거리가 확대되어서 시인된다. 따라서, 보다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입체적인 미관이 되는 표시 장치가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다른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대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표시 제어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조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조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조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대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표시 제어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본 개시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개시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본 개시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29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다른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개시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3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34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액추에이터가, 액정 패널에 대향하는 위치로 실체물을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액추에이터가, 액정 패널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실체물을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본 개시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을 분할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본 개시의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9는 본 개시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1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42는 본 개시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3은 본 개시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5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케이스를 생략해서 모식적으로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6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대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7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 있어서, 실체물 레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 있어서, 허상 레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49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 있어서, 화상 레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50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1은 본 개시의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2는 본 개시의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3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4는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55는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액추에이터가, 액정 패널에 대향하는 위치로 실체물을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6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액추에이터가, 액정 패널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실체물을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7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제어 대상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58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표시 제어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9는 본 개시의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며, 실체물 표시 모드에 의한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60은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을 분할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1은 본 개시의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2는 본 개시의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에 배치된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63은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4는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5는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측 실체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6은 제2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7은 본 개시의 제2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8은 본 개시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9는 본 개시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해서 설명한 다른 형태를 참조해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표시하거나, 각종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거나, 연출 화상을 표시하거나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는 주로, 케이스(1010), 액정 패널(1020), 백라이트(1030), 가식 링(1420), 가식 보스 부재(1430) 및 회로 기판(106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10)는 차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액정 패널(1020), 백라이트(1030) 및 회로 기판(1060) 등을 내부에 수용해서 보유 지지한다.
액정 패널(1020)은, 액정이 보유 지지된 액정층, 액정층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컬러 필터 기판 및 한 쌍의 편광 필름을 갖고 구성된, TFT 액정 패널이다. 전극은,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조합한 매트릭스 전극이며, 화소마다 설치된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갖고, 각 필터는 화소 마다(전극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필름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해서 광의 진동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필터이다. 한 쌍의 편광 필름은, 진동 방향이 9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TFT 액정 패널은 공지된 구조이다.
백라이트(1030)는, 도광판(1031), 반사판(1032), 확산판(1033) 및 광원(1034)(도 3 참조)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광원(1034)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며, 복수의 광원(1034)이 도광판(1031)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1034)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1031)으로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반사판(1032)에 의해 반사되면서 도광판(1031)의 내부를 진행하고, 도광판(1031)의 정면측(도 2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도광판(1031)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확산판(1033)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투과한다. 이에 의해, 확산판(1033)의 전체가 면 발광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1020)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고 불균일이 적은 광이, 백라이트(1030)로부터 액정 패널(1020)로 사출된다.
반사판(1032)은 도광판(1031)의 배면측에 밀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확산판(1033)은 도광판(1031)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은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1020)은 확산판(1033)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1040a)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간극(1040a)에, 실체물인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가 배치되어 있다.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는, 확산판(1033)의 정면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식 보스 부재(1430)는 액정 패널(1020)의 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방향에 배치된 원뿔 형상이며, 원뿔면에 도금이 실시된 수지제이다. 해당 도금은, 후술하는 지침 화상(G1014)과 같은 색으로 반사 착색된다. 예를 들어, 가식 링(1420)의 내주측 에지(1420a)로부터 출사한 LED 광 적색으로 반사 착색된다. 가식 보스 부재(1430)는, 가식 링(142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가식 링(1420)은,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된 링 형상(환상)이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링(1420)은 원 환상이다. 가식 링(1420)은, 확산판(1033)과의 접촉면으로부터 정면측으로 융기한 형상이다. 가식 링(1420)의 정면측의 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홈은 가식 링(142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무늬 형상이며, 지침 화상(G1014)에 지시되는 눈금(1421)으로서 기능한다.
가식 링(1420)에는 도광부(1422)가 설치되어 있고, 가식 링(1420) 및 도광부(1422)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1422)의 측면에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원(1423)이 설치되어 있다. 광원(1423)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부(1422)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도광부(1422) 및 가식 링(1420)의 내부를 진행하고, 눈금(1421)을 형성하는 홈에서 반사되어, 가식 링(1420)의 정면측(도 2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눈금(1421)에서 반사된 광은, 액정 패널(1020)의 후술하는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광원(1423)을 점등시키면 눈금(1421) 부분이 빛나 보인다. 광원(1423)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3종류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광원(1423)의 휘도를 마이크로 컴퓨터(1061)가 제어함으로써, 가식 링(142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눈금(1421)을 원하는 색으로 시인시킬 수 있다.
액정 패널(1020)은 플렉시블 배선판(1021)을 갖고 있으며, 플렉시블 배선판(10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단자(1021a)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1061)]가 실장된 회로 기판(1060)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061)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 및 메모리 등을 갖고,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회로 기판(1060)으로부터 액정 패널(1020)로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플렉시블 배선판(1021)을 거쳐 액정 패널(1020)의 전극으로 송신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에 표시되는 화상 내용은, 마이크로 컴퓨터(1061)에 의해 제어된다.
회로 기판(1060)은, 차량에 탑재된 전자 제어 장치 중 표시 장치(D)의 외부에 설치된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1020)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상기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나타낸 정보 및 각종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0)는 액정 패널(1020)의 정면측에 위치하는 페이싱 판(1011)을 갖고, 페이싱 판(1011)에는 개구부(10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중, 개구부(1011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시인 가능 영역이 되고, 이 시인 가능 영역은 페이싱 판(1011)에 의해 구획되어서 특정된다. 또한, 액정 패널(1020)의 외측 에지 부분(P1001)(도 2 참조)이 페이싱 판(1011)에 의해 덮어 가리게 된다. 케이스(1010)에는, 페이싱 판(1011)을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1012)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101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백라이트(1030)의 광원(1034)을 점등시키면, 확산판(1033)의 정면측의 면[발광면(1033b)]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고, 개구부(1011a) 및 커버(1012)를 통해서 표시 장치(D)의 정면측에 사출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1020)이 투과 조명되어, 표시면(1020a)에 표시되는 화상이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1020)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광 투과성)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대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백색으로 시인된다. 즉, 확산판(1033)의 발광색으로 시인된다. 한편, 각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소가 되게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소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흑색으로 시인된다.
표시면(1020a)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이 높게 된 영역[특정 화소 영역(G1010)]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가식 링(1420), 가식 보스 부재(1430) 또는 확산판(1033)이,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백라이트(1030)로부터 사출된 광 중, 가식 보스 부재(1430)의 도금 부분에서 반사된 광 및 가식 링(1420)의 내주측 에지(1420a)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된다. 또한, 광원(1423)으로부터 사출해서 눈금(1421)에서 반사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또한, 백라이트(1030) 중 가식 링(1420)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해서 배경 화상으로서 유저에게 시인된다.
한편, 표시면(1020a) 중 특정 화소 영역(G1010)에 비하여 투과율이 낮게 제어된 영역[다른 화소 영역(G1020)]에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는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실체물인 가식 링(1420) 또는 가식 보스 부재(1430)로부터 액정 패널(1020)을 향하는 광은, 다른 화소 영역(G1020)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사선은, 단면 해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른 화소 영역(G1020, G1400) 또는 화소 영역(G1410)의 범위를 의미한다.
투과율을 높게 제어할수록, 실체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커져, 가식 보스 부재(1430), 내주측 에지(1420a) 및 눈금(1421)이 선명하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투과율을 낮게 할수록, 가식 보스 부재(1430), 내주측 에지(1420a) 및 눈금(1421)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작아져, 흐릿해져서 시인되게 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실체물이 시인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1 및 도 4 참조)와, 실체물이 시인되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5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이하의 형태로 표시 장치(D)를 시인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서 실체물의 선명 정도(흐릿해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실체물이 흐릿해져서 시인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1010)에 표시되는 화상과 실체물을 겹쳐서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1010) 중 실체물과 겹치는 부분을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체물이 그 표시색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020a) 중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1010)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며, 특정 화소 영역(G101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102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1010)에는, 눈금(1421)을 지시하는 지침 화상(G1014), 눈금(1421)에 대응하는 수치를 나타낸 숫자 화상(G1013) 및 그림자 화상(G1012)이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1012)은, 레이더를 이미지시키는 형태로 지침의 잔상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차속에 따라서 지침 화상(G101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지침 화상(G1014)과 눈금(1421)의 조합에 의해 차속이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1012)은, 지침 화상(G1014)으로부터 회전 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그림자를 본뜬 화상이다. 따라서, 지침 화상(G1014)의 표시 위치에 따라서 그림자 화상(G1012)의 표시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 화상(G1012)의 회전 방향 길이는, 지침 화상(G1014)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길게 설정된다.
요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표시된 흑색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확산판(1033), 가식 링(1420), 가식 보스 부재(1430), 지침 화상(G1014), 숫자 화상(G1013) 및 그림자 화상(G1012)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또한, 표시면(1020a)과 실체물과 확산판(1033)에서는, 시인 방향에 있어서의 광로 길이가 다르므로, 초점 거리의 차이에 의한 시차가 발생한다. 즉, 실체물은 표시면(1020a)의 시인 방향 안쪽(배면측)에 존재하도록 시인되고, 확산판(1033)은 실체물의 더욱 안쪽에 존재하도록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102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102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1022) 및 각종 이상을 경고 표시하는 경고 화상(G1023)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표시되는 모든 화상, 즉 방향 지시 화상(G1022), 경고 화상(G1023) 및 흑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불투과(RGB가 모두 오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1010)에 표시되는 백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전체 투과(RGB가 모두 온)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020a) 중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1300)으로서 설정하고, 특정 화소 영역(G130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140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1300)에는, 배터리 전력 잔존량을 나타내는 전력 잔량 화상(G1320) 및 가식 링(1420)과 동일한 형상의 링 화상(G1301)이 표시된다. 가식 보스 부재(1430)를 중심으로 링 화상(G1301)이 회전하도록 표시시킴으로써, 가식 링(1420)이 실제로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착각시킨다. 이에 의해, 충전 중인 취지를 유저에게 인식시킨다.
다른 화소 영역(G140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1400)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1401)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배경 화상 및 차속 화상(G1401)은, 투과율이 소정값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1300)에 표시되는 링 화상(G1301)은, 투과율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전력 잔량 화상(G1320)의 투과율을 소정값 미만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가식 보스 부재(1430)는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잔량 화상(G1320)이 표시되는 영역은,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는 다른 화소 영역의 일부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020a) 전체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낮은 투과율로 표시되는 화소 영역(G1410)으로 설정되어 있다. 화소 영역(G1410) 중에는, 소정값 미만의 저투과율로 설정된 연출 화상(G1411)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의 양쪽이 유저에게 시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는, 종료 연출 모드 또는 개시 연출 모드의 일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1063)는, 회로 기판(1060)에 실장된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1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액정 패널(1020)이 갖는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1064)는, 회로 기판(1060)에 실장된 것이며, 백라이트(1030)가 갖는 광원(1034)으로의 전력 공급량을, 마이크로 컴퓨터(1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1034)으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회로 기판(1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1061), 메모리(1062), 입력 처리 회로, 출력 처리 회로 등에 의해, 제어 장치(16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1600)는, 구동 회로(1063)를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1020)의 표시 화상을 제어함과 함께, 전원 회로(1064)를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103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메모리(1062)에는, 액정 패널(1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을 나타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061)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1061a)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IGSW(1601)]가 온 조작되면, 백라이트(1030)로의 전력 공급을 온으로 해서,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개시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1020)을 표시시킨다. IGSW(1601)가 오프 조작된 경우에도,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종료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1020)을 표시시키고, 그 후 백라이트(1030)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로 한다.
개시 연출 모드의 종료 후, IGSW(1601)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센서(1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 등의 물리량에 기초하여, 해당 물리량을 지시하도록 지침 화상(G101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액정 패널(1020)을 표시시킨다. 이 경우, 액정 패널(1020)의 표시 레이아웃은 유저의 기호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단, 다른 화소 영역(G1020)의 투과율은 소정값 미만으로 한다.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존량이 소정값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유저가 표시 전환을 요구한 경우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도 4에 예시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도 4의 예에서는, 가식 보스 부재(1430)를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중 가식 보스 부재(1430)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화소 영역이 되도록 표시 제어한다. 차속 화상(G1401)은, 센서(1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을 나타낸 화상으로 제어된다. 또한, 다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도 5에 예시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도 5의 예에서는,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의 양쪽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시면(1020a)의 전체면이 저투과율이 되도록 표시 제어한다.
도 7은, 마이크로 컴퓨터(1061)가 갖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에 의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우선 스텝 S1010에서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실체물을 유저에게 시인시키는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가식 링(1420)의 눈금(1421)을 지침 화상(G1014)에 의해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식 보스 부재(1430)를 시인시키지 않고 가식 링(1420)을 시인시키는 경우가, 실체물 표시 모드의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한편,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의 양쪽을 유저에게 시인시키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액정 패널(102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D)의 기동 시에 표시되는 오프닝 화상(도 5 참조), 표시 장치(D)의 작동 종료 시에 표시되는 엔딩 화상 등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스텝 S1010에서 비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1011에 있어서, 액정 패널(1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켜서 모든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는 연출 제어를 실행한다. 즉, 표시면(1020a)의 전체면에,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은 화상을 표시시킨다. 즉, 상술한 배경 화상 및 연출 화상(G1411)을 표시시킨다.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1020a)의 전체면을 저투과율로 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시 영역을 저투과율로 하면 된다.
스텝 S1010에서 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1012에 있어서, 액정 패널(1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키고, 모든 실체물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인시키도록, 특정 화소 영역(G1010)의 투과율을 제어한다. 특정 화소 영역(G1010)은,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1010)에, 지침 화상(G1014), 숫자 화상(G1013) 및 그림자 화상(G1012)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지침 화상(G1014)이 눈금(1421)을 지시함으로써 차속 등의 물리량이 표시되게 된다.
특정 화소 영역(G1010) 중 실체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또한 지침 화상(G1014), 숫자 화상(G1013) 및 그림자 화상(G1012)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확산판(1033)이 시인되게 된다. 이 영역의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1033)은 광원(1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즉, 확산판(1033)을 배경으로 하여, 실체물, 지침 화상(G1014), 숫자 화상(G1013) 및 그림자 화상(G1012)이 시인되게 된다.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대해서는, 특정 화소 영역(G1010)보다도 낮은 투과율로 제어한다. 또한, 스텝 S1010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1061)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에 상당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1020)에 표시되는 화상을 가식하는 가식 부재(실체물)로서의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가, 액정 패널(1020)과 백라이트(10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1020)의 정면측에 실체물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1020)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부재를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화상의 안쪽에 실체물이 시인되고, 또한 그 실체물의 안쪽에 확산판(1033)이 시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3층의 레이어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G1010)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G1020)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102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확산판(1033)]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G1010)을 투과하여 시인되는 실체물이 눈에 띄게 되어, 실체물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1030)와는 별도로, 가식 링(1420)(가식 부재)을 조명하는 광원(1423)을 구비한다. 그로 인해, 가식 링(1420)의 눈금(1421)과, 액정 패널(1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과의 시차로 부유감을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눈금(1421)을 선명하게 시인시킬 수 있으므로, 시차가 강조되어 부유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로서의 눈금(1421)이, 지침 화상(G1014)에 의해 지시된다. 그로 인해, 눈금(1421)이 지침 화상(G1014)의 안쪽에 시인되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눈금(1421)의 안쪽에, 지침 화상(G1014)의 배경이 되는 확산판(1033)이 시인되므로, 깊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화소 영역(G1020)이 흑색 화상이 되게 액정 패널(1020)을 제어한다. 그로 인해, 다른 화소 영역(G1020)에서는 확산판(1033)이 시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특정 화소 영역(G1010)의 휘도가 다른 화소 영역(G1020)의 휘도보다도 높아지므로,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식 링(1420) 및 가식 보스 부재(1430)의 양쪽을 비표시로 하는 비표시 모드(도 5 참조)와, 가식 보스 부재(1430)를 비표시로 하면서, 가식 링(1420)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도 4 참조)를 전환한다. 이와 같이, 실체물을 액정 패널(1020)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액정 패널(1020)에 의한 저휘도 영역(다른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실체물을 비표시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체물에는 표시면(1020a)의 시인 가능 영역의 외측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벽 부재(1400) 및 지침(1040)이 포함되어 있다. 시인 가능 영역의 외측 에지는, 페이싱 판(1011)의 개구부(1011a)의 벽면에 의해 특정된다. 벽 부재(1400)는, 상기 외측 에지를 따라서 환상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이며, 액정 패널(1020)에 가까울수록 개구 면적이 확대되는 형상이다. 벽 부재(1400)의 통 형상 내부에 지침(1040)은 위치한다. 벽 부재(1400)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지침(1040)은, 지침부(1041)와 보스부(1042)를 갖는다. 지침부(1041) 및 보스부(104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042)에는 회전축(1051)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051)은 도광판(1031), 반사판(1032) 및 확산판(1033)에 형성된 관통 구멍(1031a, 1032a, 1033a)에 삽입 배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1050)에 의해 회전한다. 전동 모터(1050)는 회로 기판(1060)에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1061)가 전동 모터(105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침(104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된다.
벽 부재(1400)의 내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요철에 따라서 굴절된 광이,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여 시인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부재(1400)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볼록부(1401)가 4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중, 벽 부재(1400)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은,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비하여 투과율이 높은 특정 화소 영역(G1100)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벽 부재(1400)는 특정 화소 영역(G1100)을 투과하여 도 8과 같이 시인되게 된다. 또한, 비표시 모드에서는, 액정 패널(1020) 중 벽 부재(1400) 및 지침(1040)에 대향하는 위치의 투과율을 낮게 하여, 이들 실체물은 시인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1020)의 안쪽에, 지침(1040) 및 벽 부재(1400)가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1020)의 정면측에 벽 부재 및 지침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벽 부재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1020)에 실체물로서의 벽 부재(1400) 및 지침(1040)을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1030)(제1 백라이트)와 액정 패널(1020) 사이에 가식판(1440)이 배치되어 있다. 가식판(1440)은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의 판이며, 가식판(1440)의 소정 영역에는,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광 영역(P1050)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의 망점은 차광 영역(P105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식판(1440) 중, 흑색 등의 불투광성을 갖는 도료를 소정 영역에 도포함으로써 차광 영역(P1050)이 형성되고,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에 상당한다.
가식판(1440)은, 백라이트(103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광원(1034)을 점등시키면 백라이트(1030)에 의해 투과 조명된다. 그리고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으로부터 사출되는 투과광을 정면측(도 10의 상측)으로부터 봄으로써, 정면측으로부터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의 형상이 시인된다. 예를 들어, 부호 P1050a에 나타내는 투광 영역은, 미터 표시되는 물리량의 수치나 문자, 기호 등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호 P1050b에 나타내는 투광 영역은, 후술하는 지침 화상(G1052a)에 의해 지시되는 눈금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2 참조). 그리고 가식판(1440) 중 투광 영역(P1050a, P1050b) 및 차광 영역(P1050)의 부분은, 액정 패널(1020)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가식 부재)에 상당한다.
가식판(1440)과 액정 패널(1020) 사이에는, 액정 패널(1020)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제2 백라이트(130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백라이트(1300)는, 도광판(1310) 및 제2 광원(1340)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제2 광원(1340)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며, 복수의 제2 광원(1340)이 도광판(1310)의 측면(1310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1310)은,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1310)은, 가식판(1440)과 액정 패널(10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가식판(1440) 및 액정 패널(102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1310)의 배면은 가식판(1440)과 접촉하고, 도광판(1310)의 표면은 액정 패널(1020)과 이격한다.
도광판(1310)의 배면에는, 도광판(1310)의 내부로 유도된 광을 액정 패널(1020)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1310b)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면(1310b)은, 난반사해서 광을 확산시키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310)에 무광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반사면(13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광원(1340)을 점등시키면, 제2 광원(1340)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1310)의 측면(1310a)으로부터 입사한 후, 도광판(1310)의 배면[반사면(1310b)] 및 표면에서 반사되면서 도광판(1310)의 내부를 진행한다. 그리고 반사면(1310b)에서 난반사된 광의 일부가, 도광판(1310)으로부터 액정 패널(1020)을 향해 사출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1310)의 전체가 면 발광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1020)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고 불균일이 적은 광이, 제2 백라이트(1300)로부터 액정 패널(1020)로 사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원(1034)의 작동은, 제어 장치(1600)의 마이크로 컴퓨터(1061)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제2 광원(1340)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61)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제2 광원(1340) 및 광원(1034)의 작동을 제어하고 있을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1061)는 「조명 제어 장치(1061b)」에 상당한다. 조명 제어 장치(1061b)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소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점등시키고(도 10 참조), 제2 백라이트(1300)의 점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소등시키도록(도 13 참조) 제어한다. 이하, 도 10의 표시 모드를 2층 표시 모드라 칭하고, 도 13의 표시 모드를 1층 표시 모드라 칭한다.
2층 표시 모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표시 화상을 액정 패널(1020)에 표시시키고, 백라이트(1030)에 의해 조명되는 가식판(1440)과,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표시 화상이 조합되어, 도 12와 같이 시인된다.
2층 표시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중, 가식판(1440)의 차광 영역(P1050) 및 투광 영역(P1050a, P1050b)의 부분(가식 부재)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G1050)에 상당한다. 표시면(1020a) 중 도 11 중의 사선을 부여한 부분의 화소 영역, 즉 가식판(1440)의 투광 영역(P1051, P1052)의 부분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은, 다른 화소 영역(G1051, G1052)에 상당한다. 2층 표시 모드에서는, 특정 화소 영역(G1050)이 다른 화소 영역(G1051, G1052)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제어 장치(1600)는 액정 패널(102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화소 영역(G1050)에서는 액정 패널(1020)의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의한 광의 투과율을 최대로 한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1030)로 투과 조명되는 가식판(1440) 중, 차광 영역(P1050) 및 투광 영역(P1050a, P1050b)의 부분이, 특정 화소 영역(G1050)을 투과하여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1051, G1052)에서는, 백라이트(1030)로부터 사출된 광 중, 투광 영역(P1051, P1052)을 투과하여 액정 패널(1020)에 입사하는 광을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액정 표시된다. 다른 화소 영역(G1051)에는, 각종 숫자, 문자, 기호, 눈금 등의 화상이, 흑색의 배경 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다른 화소 영역(G1051)에 표시되는 화상은, 가식판(1440)의 차광 영역(P1050)을 배경으로 해서 시인된다(도 12 참조).
다른 화소 영역(G1052)에는, 지침 화상(G1052a) 및 보스 화상(G1052b)이 흑색의 배경 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지침 화상(G1052a)은, 가식판(1440)의 투광 영역(P1050b)에 의해 시인되는 눈금을 지시하도록, 보스 화상(G1052b)을 중심으로 회전 표시된다. 요컨대, 가식판(1440)의 투광 영역(P1050a, P1050b)에 의한 눈금 및 숫자와, 액정 패널(1020)의 다른 화소 영역(G1052)이 조합되어, 스피드 미터 및 타코미터로서 시인된다(도 12 참조). 이들 미터는, 가식판(1440)의 차광 영역(P1050)을 배경으로 해서 시인된다.
투광 영역(P1052) 중 차광 영역(P1050)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투광율이 저하되는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1020) 중 그라데이션 영역(P1052c)과 대향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G1052c)에서는,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표시 휘도를 저하시키도록, 제어 장치(1600)는 액정 패널(1020)을 제어한다.
표시 장치를 바로 정면부터 본 경우에는,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의 일부는, 다른 화소 영역인 화소 영역(G1052c)과 중첩하고,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의 일부는 특정 화소 영역(G1050)과 중첩한다. 따라서,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의 일부와 화소 영역(G1052c)이 인접해서 시인되고, 또한 시인자가 헤드를 움직이게 해서 시점 위치를 이동시키면,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이 보이는 범위가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2층 표시 모드에서는, 가식판(1440)의 차광 영역(P1050)을 시인시키기 위해, 광의 투과율을 높게 설정한 특정 화소 영역(G1050)을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 화소 영역(G1050)에 대해서는, 차광 영역(P1050)에 의해 백라이트(1030)의 광이 차단되므로, 광원레스가 되어 액정 표시할 수 없다.
이에 반해, 1층 표시 모드에서는 제2 백라이트(1300)의 광이 액정 패널(1020)의 전체면에 입사하므로, 표시면(1020a)의 전체를 액정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식판(1440)은 제2 백라이트(1300)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투과 조명되지 않는다. 또한, 백라이트(1030)는 소등하고 있으므로, 가식판(1440)은 백라이트(1030)에 의해서도 조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20)의 배면측에 가식판(1440)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가식판(1440)은 시인되지 않는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1020)의 표시예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5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소 영역(G1410)을 배경으로 한 연출 화상(G1411)이 표시되어 있다. 단,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1020a)의 전체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낮은 투과율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투과율로 설정하는 것은 불필요해서, 투과율을 높게 설정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식판(1440)(실체물)은 시인되지 않는다.
요컨대, 제2 백라이트(1300) 및 백라이트(103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실체물이 시인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2층 표시 모드)와, 실체물이 시인되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1층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1020)과 가식판(1440)(가식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백라이트(1300)를 구비하고, 가식판(1440)은 백라이트(1030)에 의해 투과 조명된다. 그리고 제2 백라이트(1300)는, 내부로 유도된 광을 액정 패널(1020)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1310b)이 형성된 도광판(1310)을 갖는다. 이에 의하면, 가식판(1440)(실체물)을 백라이트(1030)로 조명하고, 도광판(1310)을 투과하여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1020)을 제2 백라이트(1300)로 조명하고, 이하에 설명한 것처럼 액정 패널(1020)을 풀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백라이트(1030)와 액정 패널(1020) 사이에는 가식판(1440)(실체물)이 존재하므로, 백라이트(1030)로 액정 패널(1020)을 조명하려고 하면, 가식판(1440)의 그림자가 되어서 충분히 조명할 수 없는 개소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1020)과 가식판(1440) 사이에 제2 백라이트(1300)를 구비하므로, 제2 백라이트(1300)로 액정 패널(1020)을 조명하면, 상기 그림자의 개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의 전체면을 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판(1440)에 투광 영역(P1051, P1052)을 형성하고, 액정 패널(1020) 중 투광 영역(P1051, P105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화소 영역(G1051, G1052)을 표시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1020)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소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점등시키고, 제2 백라이트(1300)의 점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1061b)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실체물 표시 모드(2층 표시 모드)와 실체물 비표시 모드(1층 표시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는 백라이트(1030)를 소등시키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판(1440)은 백라이트(1030)의 광을 투과하는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 및 백라이트(1030)의 광을 차단하는 차광 영역(P1050)을 갖는다. 그리고 투광 영역 중 차광 영역(P1050)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투광율이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표시면(1020a) 중 그라데이션 영역(P1052c)과 대향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G1052c)에서는,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표시 휘도를 변화시키도록, 액정 패널(1020)은 표시 제어된다. 이에 의하면, 가식판(1440)에 의한 그라데이션과 액정 패널(1020)에 의한 그라데이션이, 시인자로부터 보아 전방측과 안쪽에서 겹쳐서 시인된다. 그리고 시인자가 헤드의 위치를 움직이게 해서 시점 위치를 바꾸어 양 그라데이션의 경계선을 본 경우에, 전방측과 안쪽의 시차를 강조해서 시인시킬 수 있어,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점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소등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점등 시에도, 백라이트(1030)를 점등시키고 있다. 단, 백라이트(1030)의 색을 제2 백라이트(1300)와는 다르게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조명 제어 장치(1061c)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소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백라이트(1030)에 의해 조명되는 가식판(1440)과, 액정 패널(1020)에 의한 표시 화상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한편, 조명 제어 장치(1061c)는, 제2 백라이트(1300)의 점등 시에는 백라이트(1030)도 점등시킨다(도 16 참조). 제2 백라이트(1300)의 제2 광원(1340)은 적색광을 사출하고, 백라이트(1030)의 광원(1034)은 백색광을 사출한다. 그 결과, 가식판(1440)의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을 투과하여, 광원(1034)에 의한 백색광이 액정 패널(1020)에 입사한다. 또한, 도광판(1310)의 전체면으로부터는, 제2 광원(1340)에 의한 적색광이 액정 패널(1020)에 입사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1020) 중, 투광 영역(P1050a, P1050b, P1051, P1052)에 대향하는 부분(담적색 부분)은 백색광과 적색광의 양쪽에 의해 조명되고, 그 이외의 부분(적색 부분)은 적색광에 의해 조명된다. 즉, 액정 패널(1020)의 전체가 적색을 띤 표시가 되고, 특별히 적색 부분은 담적색 부분에 비해 선명한 적색으로 표시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백라이트(1300)의 소등 시 및 점등 시 중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백라이트(1030)를 점등시키도록, 백라이트(1030) 및 제2 백라이트(1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1061c)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 외에도,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즉, 표시 장치 중 백라이트(1030)의 색으로 시인시키는 부분에 대해서는, 백라이트(1030)의 광으로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1020)의 컬러 필터에 의해 색을 표현하는 경우에 비하여, 선명한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일 없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라이트(1030)의 발광면(1033b)은,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표시면(1020a)의 전체면을 저투과율로 한 경우에, 백라이트(1030) 중 발광면(1033b)보다도 외측 부분(P1002)(도 2 참조)이 액정 패널(1020)을 투과하여 시인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의 미관이 손상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 화상(G1011)을 특정 화소 영역(G1010)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1420)에 광원(1423)을 설치하고 있지만, 해당 광원(1423)을 폐지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침(1040)에 광원을 설치하고, 해당 광원으로 지침(1040)을 조명시켜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1010, G1100, G1300)은, 실체물 전체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되고, 실체물의 일부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1010, G1100, G1300)과 다른 화소 영역(G1020, G1400)의 경계는, 휘도가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표시의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을 임의로 조합하여 표시 장치(D)에 구비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가식 링(1420)과 지침(1040)의 양쪽을 구비시켜도 되고, 가식 보스 부재(1430)나 벽 부재(1400)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벽 부재(1400)를 환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벽 부재(1400)는 환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을 투명한 수지로 형성하고 있지만, 착색된 수지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백라이트(1030)가 갖는 반사판(1032)에, 문자 또는 도형을 나타내는 인쇄나 오목부를 형성하고, 반사판(1032)을 문자반으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의 가식 링(1420)이지만, 본 개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침 화상(G1014)이나 지침(1040)의 회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이라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1020)에 표시되는 배경 화상을 흑색으로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배경 화상은 흑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화소 영역(G1010)보다도 저투과율이면, 배경 화상의 색이나 휘도는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1020)은 풀컬러 타입이지만, 모노크롬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이 아닌, 소정 형상의 세그먼트 전극을 구비하여 그에 대응하는 화소에 의한 화상을 표시하는 세그먼트 액정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1020)의 표시면(1020a) 중 가식 부재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가식 부재 전체가 특정 화소 영역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지도록, 특정 화소 영역의 범위나 광 투과율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가식 부재가 부분적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지도록, 특정 화소 영역의 범위나 광 투과율을 제어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표시 장치(D)에 본 개시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전자 미러에 적용시켜도 된다. 또한, 전자 미러라 함은, 프론트 윈드쉴드나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미러에 비추는 상을 본뜬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며, 차량 후방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칭코나 스로틀 등의 유기기 등이나, 가전 제품에 탑재된 표시 장치라도 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판(1440)에 투광 영역(P1051, P1052)을 형성하고, 실체물 표시 모드 시에, 백라이트(1030)의 광이 액정 패널(1020)로 입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가식판(1440) 중 투광 영역(P1051, P1052)에 상당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관통 구멍을 통해서, 백라이트(1030)의 광이 액정 패널(1020)로 입사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그라데이션 영역(P1052c)에서는,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투광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차광 영역(P1050)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투광율을 상승시켜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7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표시하거나, 각종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거나, 연출 화상을 표시하거나 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는 주로, 케이스(2010), 액정 패널(2020), 백라이트(2030), 지침(2040), 전동 모터(2050) 및 회로 기판(206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010)는 차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액정 패널(2020), 백라이트(2030) 및 회로 기판(2060) 등을 내부에 수용해서 보유 지지한다.
액정 패널(2020)은, 액정이 보유 지지된 액정층, 액정층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컬러 필터 기판 및 한 쌍의 편광 필름을 갖고 구성된, TFT 액정 패널이다. 전극은,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조합한 매트릭스 전극이며, 화소마다 설치된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갖고, 각 필터는 화소 마다(전극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필름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해서 광의 진동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필터이다. 한 쌍의 편광 필름은, 진동 방향이 9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2030)는, 도광판(2031), 반사판(2032), 확산판(2033) 및 광원(2034)(도 19 참조)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광원(2034)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며, 복수의 광원(2034)이 도광판(2031)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2034)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2031)으로 측면으로부터 입사된 후, 반사판(2032)에서 반사되면서 도광판(2031)의 내부를 진행하고, 도광판(2031)의 정면측(도 18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도광판(2031)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확산판(2033)에서 난반사되면서 투과한다. 이에 의해, 확산판(2033) 전체가 면 발광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2020)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고 불균일이 적은 광이, 백라이트(2030)로부터 액정 패널(2020)로 사출된다.
반사판(2032)은 도광판(2031)의 배면측에 밀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확산판(2033)은 도광판(2031)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은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2020)은 확산판(2033)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2040a)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간극(2040a)에, 가동 실체물인 지침(2040)이 배치되어 있다.
지침(2040)은, 지침부(2041)와 보스부(2042)를 갖는다. 지침부(2041) 및 보스부(204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2042)에는 회전축(2051)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2051)은, 도광판(2031), 반사판(2032) 및 확산판(2033)에 형성된 관통 구멍(2031a, 2032a, 2033a)에 삽입 배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2050)에 의해 회전한다. 전동 모터(2050)는 회로 기판(2060)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2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2061)]가 전동 모터(205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침(204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된다. 마이크로 컴퓨터(2061)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 및 메모리 등을 갖고,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액정 패널(2020)은 플렉시블 배선판(2021)을 갖고 있으며, 플렉시블 배선판(2021)의 선단에 형성된 단자(2021a)는 회로 기판(2060)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2060)으로부터 액정 패널(2020)로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플렉시블 배선판(2021)을 거쳐 액정 패널(2020)의 전극으로 송신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에 표시되는 화상 내용은, 마이크로 컴퓨터(2061)에 의해 제어된다.
회로 기판(2060)은, 차량에 탑재된 전자 제어 장치 중 표시 장치(D)의 외부에 설치된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2020)의 표시 내용 및 지침(2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나타낸 정보 및 각종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들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10)는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위치하는 페이싱 판(2011)을 갖고, 페이싱 판(2011)에는 개구부(20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중, 개구부(2011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시인 가능 영역이 되고, 이 시인 가능 영역은 페이싱 판(2011)에 의해 구획되어서 특정된다. 또한, 액정 패널(2020)의 외측 에지 부분(P2001)(도 18 참조)이 페이싱 판(2011)에 의해 덮어 가리게 된다. 케이스(2010)에는, 페이싱 판(2011)을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2012)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201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백라이트(2030)의 광원(2034)을 점등시키면, 액정 패널(2020)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이 조사된다. 상세하게는, 확산판(2033)의 정면측의 면[발광면(2033b)]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고, 개구부(2011a) 및 커버(2012)를 통해서 표시 장치(D)의 정면측에 사출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2020)이 투과 조명되어, 표시면(2020a)에 표시되는 화상이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2020)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광 투과성)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대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백색으로 시인된다. 즉, 확산판(2033)의 발광색으로 시인된다. 한편, 각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전체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소가 되게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소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흑색으로 시인된다.
표시면(2020a)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이 높게 제어된 영역[특정 화소 영역(G2010)]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지침(2040) 또는 확산판(2033)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백라이트(2030)로부터 사출된 광(백색광) 중 지침(2040)에 반사해서 액정 패널(2020)을 향하는 광은,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표시면(2020a) 중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비하여 투과율이 낮게 제어된 영역[다른 화소 영역(G2020)]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는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지침(2040)에 반사해서 액정 패널(2020)을 향하는 광은, 다른 화소 영역(G2020)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사선은, 단면 해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른 화소 영역(G2020) 또는 제2 화소 영역(G2040)의 범위를 의미한다.
투과율을 높게 할수록, 지침(2040)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커져, 지침(2040)이 선명하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투과율을 낮게 할수록, 지침(2040)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작아져, 지침(2040)이 흐릿해져서 시인되게 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지침(2040)이 시인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17 참조)와, 지침(2040)이 시인되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20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이하의 형태로 표시 장치(D)를 시인시킬 수도 있다. 즉,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서 지침(2040)의 선명 정도(흐릿해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지침(2040)이 흐릿해져서 시인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되는 화상과 지침(2040)을 겹쳐서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2010) 중 지침(2040)과 겹치는 부분을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지침(2040)이 그 표시색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 중 지침(2040)의 회전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2010)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며,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202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010)에는, 지침(2040)에 지시되는 눈금 화상(G2011)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표시된다. 차속에 따라서 지침(2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지침(2040)과 눈금 화상(G2011)의 조합에 의해 차속이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2012)은, 지침부(2041)로부터 회전 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그림자를 본뜬 화상이다. 따라서, 지침(204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그림자 화상(G2012)의 표시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 화상(G2012)의 회전 방향 길이는, 지침(204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길게 설정된다.
요컨대, 도 17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된 흑색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확산판(2033), 지침(2040), 눈금 화상(G2011)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또한, 표시면(2020a)과 지침(2040)과 확산판(2033)은, 시인 방향에 있어서의 광로 길이가 다르므로, 초점 거리의 차이에 의한 시차가 발생한다. 즉, 지침(2040)은 표시면(2020a)의 시인 방향 안쪽(배면측)에 존재하도록 시인되고, 확산판(2033)은 지침(2040)의 더욱 안쪽에 존재하도록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2022) 및 각종 이상을 경고 표시하는 경고 화상(G2023)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되는 모든 화상, 즉 방향 지시 화상(G2022), 경고 화상(G2023) 및 흑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소정값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되는 백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화소 영역(G2030)과, 제1 화소 영역(G2030)의 외측 전체의 영역인 제2 화소 영역(G2040)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2 화소 영역(G2040)은, 지침(2040)이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게 설정되어 있고, 지침(2040)의 회전 위치는 제2 화소 영역(G2040)에 대응하는 위치로 제어되고 있다. 그로 인해, 지침(2040)은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제1 화소 영역(G2030)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2031)과,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을 나타낸 전력 잔량 화상(G2032)이 표시되어 있다. 제1 화소 영역(G2030) 중 전력 잔량 화상(G2032)의 배경 부분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전력 잔량 화상(G2032)을 중심으로 해서 배경 화상이 회전함으로써, 충전 중인 것을 표현하고 있다.
제2 화소 영역(G204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제2 화소 영역(G204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2041)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2063)는, 회로 기판(2060)에 실장된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2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액정 패널(2020)이 갖는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2064)는, 회로 기판(2060)에 실장된 것이며, 백라이트(2030)가 갖는 광원(2034)으로의 전력 공급량을, 마이크로 컴퓨터(2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2034)으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회로 기판(2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2061), 메모리(2062), 입력 처리 회로, 출력 처리 회로 등에 의해, 제어 장치(26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2600)는, 구동 회로(2063)를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2020)의 표시 화상을 제어함과 함께, 전원 회로(2064)를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203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600)는, 전동 모터(2050)를 제어함으로써 지침(2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메모리(2062)에는, 액정 패널(2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을 나타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2061)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2061a)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IGSW(2601)]가 온 조작되면, 백라이트(2030)로의 전력 공급을 온으로 해서, 지침(204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개시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2020)을 표시시킨다. IGSW(2601)가 오프 조작된 경우에도, 지침(204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종료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2020)을 표시시키고, 그 후, 백라이트(2030)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로 한다.
개시 연출 모드의 종료 후, IGSW(2601)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센서(2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 등의 물리량에 기초하여, 해당 물리량을 지시하도록 지침(2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액정 패널(2020)을 표시시킨다. 이 경우, 다른 화소 영역(G2020)의 화상 내용에 대해서는, 유저의 기호에 따른 화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단, 다른 화소 영역(G2020)의 투과율은 소정값 미만으로 한다.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존량이 소정값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유저가 표시 전환을 요구한 경우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실체물 표시 모드로부터 도 20에 예시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도 20의 예에서는, 지침(2040)의 일부가, 액정 패널(2020)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지침(2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지침(204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중 지침(2040)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 화소 영역(G2040)이 되도록 표시 제어한다. 차속 화상(G2031)은, 센서(2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을 나타낸 화상으로 제어된다.
도 22는, 마이크로 컴퓨터(2061)가 갖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에 의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우선, 스텝 S2010에서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지침(2040)을 유저에게 시인시키는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지침(2040)으로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지침(2040)을 유저에게 시인시키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액정 패널(202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0에 나타내는 전력 잔량 화상(G2032)이나, 표시 장치(D)의 기동 시에 표시되는 오프닝 화상, 표시 장치(D)의 작동 종료 시에 표시되는 엔딩 화상 등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스텝 S2010에서 비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2011에 있어서, 도 20 중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화소 영역(G2040)의 배면측에 지침(2040)을 퇴피시키는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2012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켜서 지침(204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는 연출 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2 화소 영역(G2040)에서는, 지침(2040)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은 화상을 표시시킨다. 제1 화소 영역(G2030)에서는, 차속 화상(G2031)이나 전력 잔량 화상(G2032) 등의 물리량을 통지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비표시 모드에서의 제1 화소 영역(G2030)에서는,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인 확산판(2033)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투과율을 낮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G2030)의 투과율을 높게 해도, 지침(2040)은 퇴피 제어되고 있으므로 시인되지 않고, 지침(204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확산판(2033)이 시인되게 된다. 가령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2033)은 광원(2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스텝 S2010에서 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2013에 있어서, 도 17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지시키고 싶은 물리량에 따른 회전 위치에 지침(2040)을 회동시키도록, 전동 모터(2050)를 제어한다. 그 후, 스텝 S2014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켜서 회동 제어되는 지침(2040)을 시인시키도록,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투과율을 제어한다. 특정 화소 영역(G2010)은, 지침(2040)의 물리량에 따른 회동 범위의 전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눈금 화상(G2011) 및 그림자 화상(G2012)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지침(2040)이 눈금 화상(G2011)을 지시함으로써 차속 등의 물리량이 표시되게 된다.
특정 화소 영역(G2010) 중 지침(204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또한 눈금 화상(G2011)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확산판(2033)이 시인되게 된다. 이 영역의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2033)은 광원(2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즉, 확산판(2033)을 배경으로 하여, 지침(2040), 눈금 화상(G2011)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시인되게 된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대해서는, 특정 화소 영역(G2010)보다도 낮은 투과율로 제어한다. 또한, 스텝 S2010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2061)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에 상당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 지침(2040)(실체물)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지침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지침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에 실체물로서의 지침(2040)을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안쪽에 지침(2040)이 시인되고, 또한 그 지침(2040)의 안쪽에 확산판(2033)이 시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3층의 레이어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침(2040)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G2020)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지침(2040)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확산판(2033)]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하여 시인되는 지침(2040)이 눈에 잘 띄게 되어, 지침(2040)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지침(204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600)는 다른 화소 영역(G2020)이 흑색 화상이 되도록 액정 패널(2020)을 제어한다. 그로 인해, 다른 화소 영역(G2020)에서는 확산판(2033)이 시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휘도가 다른 화소 영역(G2020)의 휘도보다도 높아지므로, 지침(204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서 실체물[지침(2040)]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전동 모터(205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액정 패널(2020)의 표시 변화에 실체물의 변화를 합체시켜서, 다양한 표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에는 액추에이터[전동 모터(205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지침(2040)이 포함되어 있고, 액정 패널(2020)에는, 지침(2040)에 의해 지시되는 복수의 눈금 화상(G2011)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반해서 지침(2040)을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배치하면, 지침(2040)의 보스부(2042)의 두께분만큼 지침(2040)을 표시면(2020a)으로부터 이격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지침(2040)을 배치하므로, 시인 방향에 있어서의 표시면(2020a)과 지침부(2041)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눈금 화상(G2011)과 지침부(2041)의 시선 방향 거리의 차, 즉 초점 거리의 차(시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눈금 화상(G2011)을 지시하고 있는 것인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에는, 지침(2040)의 그림자를 나타내는 그림자 화상(G2012)이, 지침(2040)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표시 위치가 이동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면(2020a)과 지침부(2041)의 시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그림자 화상(G2012)을 표시시킨 경우, 그 그림자 화상(G2012)과 지침부(2041)의 시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자 화상(G2012)이 실체물에 꼭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실제 그림자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어, 표시 장치(D)에 의한 표시의 리얼리티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투과율을, 실체물[지침(2040)]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스텝 S2010)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2020)의 표시를 전환함으로써, 실체물이 드러나거나 사라지거나 하는 표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숫자 화상(G2013)이 표시되어 있다. 숫자 화상(G2013)은, 눈금 화상(G2011)에 대응하는 수치를 나타낸 화상이다. 그리고 숫자 화상(G2013)이 부분적으로 지침부(2041)와 겹치고 있을 때, 숫자 화상(G2013) 중 지침부(2041)와 겹치고 있는 부분을 표시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내고 있는 복수의 숫자 화상(G2013) 중, 「0」 「40」 「60」 「80」 「100」 「120」 「140」을 나타내는 숫자 화상은 지침부(2041)와 겹치고 있지 않으므로, 숫자 전체가 숫자 화상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반해 「20」을 나타내는 숫자 화상은, 부분적으로 지침부(2041)와 겹치고 있고, 그 겹친 부분은 숫자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지 않다.
가령, 본 실시 형태에 반해서 지침부(2041)와 겹친 부분의 숫자 화상도 표시시키면, 지침(2040)이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지침부(2041) 중 숫자 화상과 겹친 부분의 시인성이 악화된다. 따라서, 지침부(2041)가, 복수의 눈금 화상(G2011) 중 어느 것을 지시하고 있는지의 시인성이 악화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부(2041) 중 숫자 화상과 겹친 부분에 대해서는 숫자 화상(G2013)을 부분적으로 표시시키지 않도록 하므로, 지침부(2041)의 시인성 악화를 피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체물에는 표시면(2020a)의 시인 가능 영역의 외측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벽 부재(2400)가 포함되어 있다. 시인 가능 영역의 외측 에지는, 페이싱 판(2011)의 개구부(2011a)의 벽면에 의해 특정된다. 벽 부재(2400)는, 상기 외측 에지를 따라서 환상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이며, 액정 패널(2020)에 가까울수록 개구 면적이 확대되는 형상이다. 벽 부재(2400)의 통 형상 내부에 지침부(2041)는 위치한다. 벽 부재(2400)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벽 부재(2400)의 내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요철에 따라서 굴절된 광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여 시인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부재(2400)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볼록부(2401)가 4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중, 벽 부재(2400)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은,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비하여 투과율이 높은 특정 화소 영역(G2100)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벽 부재(2400)는 특정 화소 영역(G2100)을 투과하여 도 24와 같이 시인되게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비표시 모드에서는, 제2 화소 영역(G2040)의 배면측에 벽 부재(2400)가 위치하게 되어, 벽 부재(2400)는 시인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의 안쪽에, 지침(2040)과 함께 벽 부재(2400)가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벽 부재를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벽 부재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에 실체물로서의 벽 부재(2400)를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8 실시 형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2040)을 실체물로서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체물로서의 지침을 폐지하고 있으며, 액정 패널(2020)의 화상[지침 화상(G2014)]에 의해 지침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가 실체물로서, 백라이트(2030)와 액정 패널(2020)의 간극(2040a)에 배치되어 있다.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는, 확산판(2033)의 정면측의 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가식 보스 부재(2430)는, 액정 패널(2020)의 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방향에 배치된 원뿔 형상이며, 원뿔면에 도금이 실시된 수지제이다. 해당 도금은, 지침 화상(G2014)과 같은 색으로 반사 착색된다. 예를 들어, 가식 링(2420)의 내주측 에지(2420a)로부터 출사한 LED 광 적색으로 반사 착색된다. 가식 보스 부재(2430)는, 가식 링(242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가식 링(2420)은,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된 링 형상(환상)이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링(2420)은 원 환상이다. 가식 링(2420)은, 확산판(2033)과의 접촉면에서 정면측으로 융기한 형상이다. 가식 링(2420)의 정면측의 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홈은 가식 링(242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무늬 형상이며, 지침 화상(G2014)에 지시되는 눈금(2421)으로서 기능한다.
가식 링(2420)에는 도광부(2422)가 설치되어 있고, 가식 링(2420) 및 도광부(2422)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2422)의 측면에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원(2423)이 설치되어 있다. 광원(2423)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부(2422)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도광부(2422) 및 가식 링(2420)의 내부를 진행하고, 눈금(2421)을 형성하는 홈에서 반사되어, 가식 링(2420)의 정면측(도 27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눈금(2421)에서 반사된 광은, 액정 패널(2020)의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광원(2423)을 점등시키면 눈금(2421)의 부분이 빛나 보인다. 광원(2423)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3종류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광원(2423)의 휘도를 마이크로 컴퓨터(2061)가 제어함으로써, 가식 링(242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눈금(2421)을 원하는 색으로 시인시킬 수 있다.
표시면(2020a) 중, 투과율이 높게 제어된 영역[특정 화소 영역(G2010)]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가식 링(2420), 가식 보스 부재(2430) 또는 확산판(2033)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백라이트(2030)로부터 사출된 광(백색광) 중,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에서 반사 또는 굴절해서 액정 패널(2020)을 향하는 광은,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백라이트(2030)로부터 사출된 광 중, 가식 보스 부재(2430)의 도금 부분에서 반사된 광 및 가식 링(2420)의 내주측 에지(2420a)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또한, 광원(2423)으로부터 사출해서 눈금(2421)에서 반사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또한, 백라이트(2030) 중 가식 링(2420)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배경 화상으로서 시인된다.
한편, 표시면(2020a) 중 투과율이 낮게 제어된 영역[다른 화소 영역(G2020)]에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는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에서 반사 또는 굴절해서 액정 패널(2020)을 향하는 광은, 다른 화소 영역(G2020)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26,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사선은, 단면 해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투과율이 소정값 미만으로 낮게 설정된 화소 영역의 범위를 의미한다.
투과율을 높게 할수록,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커져, 가식 보스 부재(2430), 내주측 에지(2420a) 및 눈금(2421)이 선명하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투과율을 작게 할수록, 가식 보스 부재(2430), 내주측 에지(2420a) 및 눈금(2421)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작아져, 흐릿해져서 시인되게 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실체물이 시인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26, 도 29 참조)와, 실체물이 시인되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30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이하의 형태로 표시 장치(D)를 시인시킬 수도 있다. 즉,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서 지침(2040)의 선명 정도(흐릿해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실체물이 흐릿해져서 시인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되는 화상과 실체물을 겹쳐서 시인시킬 수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010) 중 실체물과 겹치는 부분을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체물이 그 표시색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 중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2010)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며,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202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010)에는, 눈금(2421)을 지시하는 지침 화상(G2014), 눈금(2421)의 물리량을 나타내는 숫자 화상(G2013)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2012)은, 레이더를 이미지시키는 형태로 지침의 잔상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차속에 따라서 지침 화상(G2014)의 표시 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침 화상(G2014)과 눈금(2421)의 조합에 의해 차속이 표시된다.
지침 화상(G2014)은, 가식 보스 부재(2430)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화상이며, 가식 보스 부재(2430)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표시된다. 이에 의해, 지침 화상(G2014)에 의해 표시되는 지침과 가식 보스 부재(2430)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착각시킨다. 그림자 화상(G2012)은, 지침 화상(G2014)으로부터 회전 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그림자를 본뜬 화상이다. 따라서, 지침 화상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그림자 화상(G2012)의 표시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 화상(G2012)의 회전 방향 길이는, 지침 화상(G2014)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길게 설정된다.
요컨대, 도 26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된 흑색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확산판(2033), 가식 링(2420), 가식 보스 부재(2430), 지침 화상(G2014), 숫자 화상(G2013) 및 그림자 화상(G2012)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또한, 표시면(2020a)과 실체물과 확산판(2033)에서는, 시인 방향에 있어서의 광로 길이가 다르므로, 초점 거리의 차이에 의한 시차가 발생한다. 즉, 실체물은 표시면(2020a)의 시인 방향 안쪽(배면측)에 존재하도록 시인되고, 확산판(2033)은 실체물의 더욱 안쪽에 존재하도록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2022) 및 각종 이상을 경고 표시하는 경고 화상(G2023)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되는 모든 화상, 즉 방향 지시 화상(G2022), 경고 화상(G2023) 및 흑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불투과(RGB가 모두 오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되는 백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전체 투과(RGB가 모두 온)가 되게 설정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 중 가식 링(2420)을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2300)으로서 설정하고, 특정 화소 영역(G230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240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300)에는, 배터리 전력 잔존량을 나타내는 전력 잔량 화상(G2320) 및 가식 링(2420)과 동일한 형상의 링 화상(G2301)이 표시된다. 가식 보스 부재(2430)를 중심으로 링 화상(G2301)이 회전하도록 표시시킴으로써, 가식 링(2420)이 실제로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착각시킨다. 이에 의해, 충전 중인 취지를 유저에게 인식시킨다.
다른 화소 영역(G240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2400)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2401)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배경 화상 및 차속 화상(G2401)은, 투과율이 소정값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2300)에 표시되는 링 화상(G2301)은, 투과율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9의 예에서는 전력 잔량 화상(G2320)의 투과율을 소정값 미만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가식 보스 부재(2430)는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잔량 화상(G2320)이 표시되는 영역은,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는 다른 화소 영역의 일부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 전체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낮은 투과율로 표시되는 화소 영역(G2410)으로 설정되어 있다. 화소 영역(G2410) 중에는, 소정값 미만의 저투과율로 설정된 연출 화상(G2411)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의 양쪽이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30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는, 종료 연출 모드 또는 개시 연출 모드의 일례이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 가식 링(2420)(실체물)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실체물)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이들 실체물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를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 표시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안쪽에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가 시인되고, 또한 그 안쪽에 확산판(2033)이 시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3층의 레이어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G2020)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확산판(2033)]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G2010)을 투과하여 시인되는 실체물이 눈에 띄게 되어, 실체물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실체물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2030)와는 별도로, 가식 링(2420)(가식 부재)을 조명하는 광원(2423)을 구비한다. 그로 인해, 가식 링(2420)의 눈금(2421)과, 액정 패널(2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과의 시차로 부유감을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눈금(2421)을 선명하게 시인시킬 수 있으므로, 시차가 강조되어 부유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로서의 눈금(2421)이, 지침 화상(G2014)에 의해 지시된다. 그로 인해, 눈금(2421)이 지침 화상(G2014)의 안쪽에 시인되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눈금(2421)의 안쪽에, 지침 화상(G2014)의 배경이 되는 확산판(2033)이 시인되므로, 깊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화소 영역(G2020)이 흑색 화상이 되게 액정 패널(2020)을 제어한다. 그로 인해, 다른 화소 영역(G2020)에서는 확산판(2033)이 시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휘도가 다른 화소 영역(G2020)의 휘도보다도 높아지므로,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의 양쪽을 비표시로 하는 비표시 모드(도 30 참조)와, 가식 보스 부재(2430)를 비표시로 하면서, 가식 링(2420)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도 29 참조)를 전환한다. 이와 같이, 실체물을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액정 패널(2020)에 의한 저휘도 영역(다른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실체물을 비표시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26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20)이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31 내지 도 35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전동 모터(2424)]에 의해 가식 링(2420)을 가동으로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식 링(2420)에 설치된 브래킷(2425)에, 전동 모터(2424)의 회전축을 설치하고 있다. 전동 모터(2424)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면 브래킷(2425)이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가식 링(2420)이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가식 보스 부재(2430)를 폐지하여(도 32 참조), 가식 보스 부재(2430)를 본뜬 보스 화상(G2015)을 액정 패널(2020)에 표시시키고 있다(도 31 참조).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가식 링(2420)에 가식 보스 부재(2430)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시키고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제어 장치(2600)가 전동 모터(2424)를 제어함으로써, 가식 링(2420)은,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도 34 참조)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도 35 참조)로 왕복 이동한다. 브래킷(2425)은, 광원(2423)과 함께,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34, 도 35 참조). 그로 인해, 브래킷(2425), 전동 모터(2424) 및 광원(2423)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면측에 숨겨 배치되게 되므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인되는 일은 없다.
또한, 케이스(201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도 31에서는, 케이스(2010)의 주위에 존재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표시 장치(D)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위치하는 가식 링(2420)의 일부가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해서 시인되게 된다. 한편, 도 35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가식 링(2420)은 제2 화소 영역(G2040)에 의해 숨겨져서 시인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식 링(2420)을 가동시킴으로써, 가식 링(2420) 중,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부분의 면적은,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실체물 표시 모드 시보다 감소한다.
도 31 및 도 34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 중 가식 링(2420)을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2010)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며, 특정 화소 영역(G201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202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2010)에는, 눈금(2421)을 지시하는 지침 화상(G2014), 눈금(2421)의 물리량을 나타내는 숫자 화상(G2013), 그림자 화상(G2012) 및 보스 화상(G2015)이 표시된다. 이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된 흑색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확산판(2033), 가식 링(2420), 지침 화상(G2014), 숫자 화상(G2013), 그림자 화상(G2012) 및 보스 화상(G2015)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202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2022) 및 각종 이상을 경고 표시하는 경고 화상(G2023)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되는 화상은, 투과율이 소정값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되는 백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2020a)은 제1 화소 영역(G2030)과, 제1 화소 영역(G2030)의 외측 전체의 영역인 제2 화소 영역(G2040)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2 화소 영역(G2040)은, 가식 링(2420)이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게 설정되어 있고, 가식 링(2420)의 회전 위치는 제1 화소 영역(G2030)에 대응하는 위치 밖으로 제어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가식 링(2420)의 일부는 제2 화소 영역(G2040)에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 밖에 존재한다. 그로 인해, 가식 링(2420)은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화소 영역(G204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방향 지시 화상(G2041)이 표시되어 있다.
제1 화소 영역(G2030)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2031)과,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을 나타낸 전력 잔량 화상(G2032)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차속 화상(G2031) 및 전력 잔량 화상(G2032)의 배경을 나타내는 제1 화소 영역(G2030)의 배경 화상은, 제2 화소 영역(G2040)의 배경 화상보다도 고투과율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 가식 링(2420)(실체물)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2020)의 정면측에 이 실체물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2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링(2420)을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든 실체물, 즉 가식 링(2420) 및 가식 보스 부재(2430)의 양쪽을 비표시로 하는 비표시 모드(도 30 참조)와, 일부의 실체물 즉 가식 보스 부재(2430)를 비표시로 하는 비표시 모드(도 29 참조)를 전환한다. 이와 같이, 실체물을 액정 패널(2020)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액정 패널(2020)에 의한 저휘도 영역(다른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실체물을 비표시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동 모터(2424)는 표시면(202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실체물을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표시 장치(D)를 시인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것을 회피하면서, 실체물을 가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2424)는,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와, 그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실체물을 왕복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실체물 중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의 제2 화소 영역(G2040), 즉 실체물을 숨기기 위한 화소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저휘도로 하는 것이 요구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의 표시 내용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상기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인 가식 링(2420)을 회전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40)을, 방향을 바꿀 수 없어 표시면(202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시키고 있다. 게다가, 복수의 분할 피스(2441, 2442, 2443, 2444)를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도 36에 나타내는 합체 모드와 도 37에 나타내는 분리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합체 모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를 조합해서 1개의 가식 링(2440)을 형성하도록 이동시킨다. 액정 패널(2020) 중 가식 링(244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가식 링 화상(G2050)이 표시되어 있다. 가식 링 화상(G2050)의 외측 부분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2051) 및 연료 잔량을 나타낸 연료 잔량 화상(G2052)이 표시되어 있다. 가식 링 화상(G2050)의 내측 부분에는, 지침 화상(G2053), 눈금 화상(G2054) 및 수치 화상(G2055)이 표시되어 있다.
합체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 중 가식 링 화상(G2050)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상기 각 화상(G2050 내지 G2055)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 표시되는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2050)은 가식 링(2440)에 중첩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식 링(2440)은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2050)이 가식 링(2440)에 겹쳐서 시인되어, 가식 링(2440)이 가식 링 화상(G2050)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를 분리해서 배치시킨다.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의 각각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각의 지침 화상(G2063) 및 눈금 화상(G2064)을 가식한다. 액정 패널(2020)의 네 구석에 위치하는 4 세트의 지침 화상(G2063) 및 눈금 화상(G2064)은, 연료 잔량, 엔진 회전수, 엔진 냉각수 온도, 연비 지표를 각각 표시한다. 액정 패널(2020)의 중앙 부분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2061)이 표시되어 있다.
분리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 중 가식 링 화상(G2060)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하고, 상기 각 화상(G2060 내지 G2064)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며,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2060)은,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는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2060)이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에 겹쳐서 시인되어,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가 가식 링 화상(G2060)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합체 모드와 분리 모드로 전환해서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따라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경시키도록 액정 패널(2020)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20)의 회전 이동 범위를, 표시면(2020a)의 외측에까지 확대시키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의 이동 범위를,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범위(내측)로 제한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가식 링(2440)을 평행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가식 링(2440)을 복수의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로 분리해서 이동시키므로, 가식 링(242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실체물 표시 모드 및 실체물 비표시 모드 중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 내용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상기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를, 방향을 바꿀 수 없어 평행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도 38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 피스(2451, 2452, 2453, 2454)는 복수의 회전축(2450a, 2450b)의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8 중의 이점 쇄선은, 복수의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를 조합해서 1개의 가식 링(2450)을 형성하도록 이동시킨, 합체 모드를 나타낸다.
합체 모드 및 분리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2020) 중 가식 링 화상(G2070, G2071)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가식 링 화상(G2070, G2071)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 표시되는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2070, G2071)은,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가식 링(2450) 또는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는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2070, G2071)이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에 겹쳐서 시인되어, 가식 링(2450)이 가식 링 화상(G2070, G2071)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합체 모드와 분리 모드로 전환해서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따라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경시키도록 액정 패널(2020)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식 링(2440)을 복수의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로 분리해서 이동시키므로, 분리시키지 않는 제9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분할 피스(2441 내지 2444)를 평행 이동시키는 상기 제10 실시 형태에 비하여,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를 회전시키는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의하면, 분할 피스(2451 내지 2454)를 회전시키는 기구를 간소하게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20)에 대하여 백라이트(2030)의 반대측(정면측)에, 회전 구동되는 지침(2070)이 구비되어 있다. 지침(2070)은, 지시부(2071) 및 커버부(2072)를 갖는다. 케이스(2010)에는, 시인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2010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10a)에는, 모터(2081) 및 광원(2082)이 실장된 기판(2080)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2080)은 회로 기판(2060)에 접속되어 있고, 모터(2081) 및 광원(2082)의 작동은 마이크로 컴퓨터(2061)에 의해 제어된다. 기판(2080)은 케이스(2010)에 지지되고, 모터(2081)는 기판(2080)에 지지되고, 지침(2070)은 모터(2081)에 지지된다.
지시부(2071)의 회전 중심 부분에는 모터(2081)의 회전축(2081a)이 고정되어 있고, 모터(2081)가 구동하면, 지시부(2071)는 커버부(2072)와 함께 표시면(2020a)에 따라 회전한다. 광원(2082)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이며, 광원(2082)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지시부(2071)의 입사면(2071a)으로부터 지시부(2071)의 내부로 입사한다. 지시부(2071)는 도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내부로 입사한 광은 반사면(2071b)에서 반사되어, 지시부(2071)의 회전 중심 부분으로부터 선단 부분을 향해 진행된다.
지시부(2071) 중 배면측의 면은 반사면(2071c)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무광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반사면(2071c)을 형성한다. 또는, 백색의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반사면(2071c)을 형성한다. 반사면(2071b)에서 반사된 후, 반사면(2071c)에서 반사되면서 지시부(2071)의 내부를 진행하는 광은, 지시부(2071)의 전방측(시인자측)의 면인 사출면(2071d)으로부터 사출한다. 이에 의해, 광원(2082)의 광으로 지시부(2071)는 투과 조명되어, 사출면(2071d)의 전체가 빛나는 것처럼 시인된다.
지시부(2071)의 회전 중심 부분이며, 회전축(2081a) 및 입사면(2071a)을 형성하는 부분은, 그 전방측으로부터 커버부(2072)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부(2072)는, 투광성을 갖지 않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커버부(2072)의 표면에 차광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커버부(2072)는, 그 전방측으로부터 케이스(2010)에 의해 덮여 있다. 케이스(2010)는, 투광성을 갖지 않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침(2070) 중 커버부(2072)는, 케이스(2010)에 의해 덮여서 시인할 수 없도록 은폐된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20)을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지침(2070)이 눈금(2421)을 지시하는 범위(표시 범위)에서 지침(2070)을 회전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지침(2070)이 표시면(2020a)과 겹쳐서 보이는 범위, 즉 개구부(2011a)의 내측 범위에서 지침(2070)을 회전시킨다. 액정 패널(2020)을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도 39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침(2070)이 표시면(2020a)과 겹치지 않는 범위(비표시 범위), 즉 개구부(2011a)의 외측 범위에 지침(2070)을 회전시켜서 수용한다. 이에 의해, 지침(2070) 전체가 케이스(2010)에 덮여서 시인되지 않게 된다.
요컨대, 지침(2070)의 회전 범위에는,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표시 범위 및 표시 범위와는 다른 비표시 범위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10) 중, 비표시 범위에 있는 지침(2070)을 덮어 가린 부분은, 가림 부재(2010b)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2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 배치하고, 지침(207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2020)에 대하여 백라이트(2030)의 반대측(전방측)인 액정 패널(2020)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측에 배치하는 구성이다. 또한, 지침(2070)을 조명하는 광원(2082)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로 인해, 지침(2070)이 직접 시인자에게 시인되므로, 지침(2070)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액정 패널(2020)과 백라이트(2030) 사이에 지침 이외의 실체물을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D)를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2070)의 회전 범위에는,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표시 범위 및 그 표시 범위와는 다른 비표시 범위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비표시 범위에 있는 지침(2070)을 덮어서 가린 가림 부재(2010b)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가림 부재(2010b)의 배면인 비표시 범위 내로 지침(2070)을 회전 이동시키면, 액정 패널(2020)의 표시 일부가, 지침(207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비표시 범위에 지침(2070)을 회전시켜서 수용하고, 지침(2070) 전체가 케이스(2010)에 덮여서 시인되지 않게 한다. 그로 인해,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의한 액정 패널(2020)의 표시 일부가, 지침(207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2020)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42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 조명용의 광원(2091)을 설치하고 있다. 광원(2091)은 기판(2090)에 실장되고, 기판(2090)은 회로 기판(2060)에 접속되고, 광원(2091)의 작동은 마이크로 컴퓨터(2061)에 의해 제어된다. 케이스(2010)에는, 시인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2010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10c)에는, 광원(2091)이 실장된 기판(2090)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2091)은, 지침(2040)의 회전 궤적을 따라서 링 형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원(2091) 및 그 광원(2091)이 실장된 기판(2090)이, 지침(204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 조명용의 광원(2091)을 구비하므로, 백라이트(2030)와 액정 패널(2020) 사이에 지침(2040)이 배치되어 있어도 지침(2040)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일 없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라이트(2030)의 발광면(2033b)은, 액정 패널(2020)의 표시면(2020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표시면(2020a)의 전체면을 저투과율로 한 경우에, 백라이트(2030) 중 발광면(2033b)보다도 외측 부분(P2002)(도 18 참조)이 액정 패널(2020)을 투과하여 시인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의 미관이 손상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204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051) 및 전동 모터(205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회전축(2051) 및 전동 모터(2050)를, 지침(204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 화상(G2011)을 특정 화소 영역(G2010)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숫자 화상(G2013) 중 지침(2040)과 겹친 부분을 비표시로 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 눈금 화상(G2011)에 대해서도, 지침(2040)과 겹친 부분을 비표시로 해도 된다.
도 28 및 도 3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2420)에 광원(2423)을 설치하고 있지만, 해당 광원(2423)을 폐지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침(2040)에 광원을 설치하여, 해당 광원으로 지침(2040)을 조명시켜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2010, G2100, G2300)은, 실체물 전체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되고, 실체물의 일부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실체물 전체가 보이지 않는 표시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2010, G2100, G2300, G2050, G2060, G2070, G2071)과 다른 화소 영역(G2020, G2400)의 경계는, 휘도가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표시의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실체물을 임의로 조합하여 표시 장치(D)에 구비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가식 링(2420, 2440, 2450)과 지침(2040)의 양쪽을 구비시켜도 되고, 가식 보스 부재(2430)나 벽 부재(2400)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벽 부재(2400)를 환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벽 부재(2400)는 환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체물을 투명한 수지로 형성하고 있지만, 착색된 수지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백라이트(2030)가 갖는 반사판(2032)에, 문자 또는 도형을 나타내는 인쇄나 오목부를 형성하고, 반사판(2032)을 문자반으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상기 제4 및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의 가식 링(2420)이지만, 본 개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침 화상(G2014)이나 지침(2040)의 회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2020)에 표시되는 배경 화상을 흑색으로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배경 화상은 흑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화소 영역(G2010)보다도 저투과율이면, 배경 화상의 색이나 휘도는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2040)의 가동 범위 전체를 특정 화소 영역(G2010)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가동 범위 전체 중 지침(2040)이 존재하는 부분을 특정 화소 영역(G2010)으로 설정하고, 가동 범위라도 지침(2040)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다른 화소 영역(G2020)으로 설정해서 저투과율로 해도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면(2020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지침(2040)을 회전 제어하는 데 있어서, 지침(2040)의 일부를 벗어난 위치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지침(2040) 전체를 벗어난 위치로 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2020)은 풀컬러 타입이지만, 모노크롬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이 아닌, 소정 형상의 세그먼트 전극을 구비해서 그에 대응하는 화소에 의한 화상을 표시하는 세그먼트 액정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2040)의 시인자측으로부터 광원(2091)의 광을 조사해서 조명하고 있지만, 광원(2091)의 광을 지침(2040) 내부에 도광시켜서 투과 조명시켜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표시 장치(D)에 본 개시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전자 미러에 적용시켜도 된다. 또한, 전자 미러라 함은, 프론트 윈드쉴드나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미러에 비추는 상을 본뜬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며, 차량 후방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칭코나 스로틀 등의 유기기 등이나, 가전 제품에 탑재된 표시 장치라도 된다.
(제14 실시 형태)
도 43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표시하거나, 각종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거나, 연출 화상을 표시하거나 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는 주로, 케이스(3010), 액정 패널(3020), 백라이트(3030), 지침(3040), 전동 모터(3040m), 표시물(3050), 회로 기판(3060) 및 허상 표시 유닛(307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3010)는 차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액정 패널(3020), 백라이트(3030), 회로 기판(3060) 및 허상 표시 유닛(3070) 등을 내부에 수용해서 보유 지지한다. 케이스(3010)에는, 내부의 수용물을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액정 패널(3020)은, 액정이 보유 지지된 액정층, 액정층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컬러 필터 기판 및 한 쌍의 편광 필름을 갖고 구성된, TFT 액정 패널이다. 전극은,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조합한 매트릭스 전극이며, 화소마다 설치된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갖고, 각 필터는 화소 마다(전극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필름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해서 광의 진동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필터이다. 한 쌍의 편광 필름은, 진동 방향이 9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3030)는, 도광판(3031), 반사판(3032), 확산판(3033) 및 광원(3034)(도 45 참조)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광원(3034)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며, 복수의 광원(3034)이 도광판(3031)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3034)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3031)으로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반사판(3032)에서 반사되면서 도광판(3031)의 내부를 진행하고, 도광판(3031)의 정면측(도 44의 우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도광판(3031)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확산판(3033)에서 난반사되면서 투과한다. 이에 의해, 확산판(3033) 전체가 면 발광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3020)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고 불균일이 적은 광이, 백라이트(3030)로부터 액정 패널(3020)로 사출된다.
반사판(3032)은 도광판(3031)의 배면측(도 44의 좌측)에 밀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확산판(3033)은 도광판(3031)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은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3020)은 확산판(3033)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3040a)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3040a)에는, 가동 실체물인 지침(3040) 및 비가동 실체물인 표시물(305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백라이트(3030)가, 도 44 중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시인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액정 패널(3020)은 시인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기울여서 배치되어 있다.
지침(3040)은, 지침부(3041)와 보스부(3042)를 갖는다. 지침부(3041) 및 보스부(304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042)에는 회전축(3041m)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3041m)은 도광판(3031), 반사판(3032) 및 확산판(3033)에 형성된 관통 구멍(3031a, 3032a, 3033a)에 삽입 배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3040m)에 의해 회전한다. 전동 모터(3040m)는 회로 기판(3060)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3061)]가 전동 모터(3040m)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침(304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된다. 마이크로 컴퓨터(3061)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 및 메모리 등을 갖고,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액정 패널(3020)은 플렉시블 배선판(3021)을 갖고 있으며, 플렉시블 배선판(3021)의 선단에 형성된 단자(3021a)는 회로 기판(3060)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3060)으로부터 액정 패널(3020)로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플렉시블 배선판(3021)을 거쳐 액정 패널(3020)의 전극으로 송신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는 화상 G의 내용은, 마이크로 컴퓨터(3061)에 의해 제어된다.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상 표시 유닛(3070)은, 도광판(3071), 반사판(3072) 및 확산판(3073)을 갖는 허상용 백라이트와,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을 갖는다. 허상 표시 유닛(3070)은, 액정 패널(3020)의 정면측에 있어서, 시인 방향으로 평행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정 패널(3020)과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이 이루는 각도 θ1은 45도이며, 허상용 액정 패널(3074)과 백라이트(3030)가 이루는 각도 θ2는 90도이다(도 45 참조).
허상 표시 유닛(3070)은, 케이스(30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3011)에 수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도 44 참조). 또한, 수용부(3011)에는, 허상 표시 유닛(3070)을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가림부(3011a)가 형성되어 있다. 허상 표시 유닛(3070)은 가림부(3011a)에 의해 덮여서, 시인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060)은, 차량에 탑재된 전자 제어 장치 중 표시 장치(D)의 외부에 설치된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3020) 및 허상 표시 유닛(3070)의 표시 내용과, 지침(3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나타낸 정보 및 각종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들 수 있다.
백라이트(3030)의 광원(3034)을 점등시키면, 액정 패널(3020)에 배면측으로부터 광이 조사된다. 상세하게는, 확산판(3033)의 정면측의 면[발광면(3033b)]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액정 패널(3020)을 투과하고, 커버를 통해서 표시 장치(D)의 정면측에 사출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3020)이 투과 조명되어,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는 화상 G가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3020)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광 투과성)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대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백색으로 시인된다. 즉, 확산판(3033)의 발광색으로 시인된다. 한편, 각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소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소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흑색으로 시인된다.
액정 패널(3020)의 표시 영역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이 높게 제어된 영역(투광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지침(3040), 표시물(3050) 또는 확산판(3033)이, 액정 패널(3020)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백라이트(3030)로부터 사출된 광(백색광) 중, 지침(3040) 또는 표시물(3050)인 실체물에 반사해서 액정 패널(3020)을 향하는 광은, 투광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액정 패널(3020)의 표시 영역 중 투광 화소 영역에 비하여 투과율이 낮게 제어된 영역(불투광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는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실체물에 반사해서 액정 패널(3020)을 향하는 광은, 불투광 화소 영역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4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액정 패널(3020)의 표시 영역 중, 지침(3040)의 회전 범위 및 표시물(3050)에 대향하는 부분이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의 영역은 불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투과율을 높게 할수록, 실체물로부터의 반사광이 액정 패널(3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커져, 실체물이 선명하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투과율을 낮게 할수록, 실체물로부터의 반사광이 액정 패널(3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작아져, 실체물이 흐릿해져서 시인되게 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3020)에 의한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실체물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43 참조)와, 실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인 불가능하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50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0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의 예에서는, 액정 패널(3020)의 표시 영역 중, 표시물(3050)에 대향하는 부분이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의 영역은 불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침(3040)은 시인 불가능하지만, 표시물(3050)에 대해서는 시인 가능하다.
허상 표시 유닛(3070)이 갖는 백라이트의 광원(3075)(도 46 참조)을 점등시키면, 허상용 액정 패널(3074)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이 조사되고, 그 조사광은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을 투과해서 표시광이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3020)과 마찬가지로 하여,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을 조정해서 표시광을 생성한다. 이 표시광은, 액정 패널(3020)의 반사면(3020a)에서 시인자측으로 반사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3020)의 안쪽(배면측)에, 허상 표시 유닛(3070)으로부터 사출된 표시광이 허상 V로서 시인된다. 그리고 허상 V의 더욱 안쪽에 실체물이 시인되고, 실체물의 더욱 안쪽에 확산판(3033)의 발광면(3033b)이 시인된다.
바꾸어 말하면, 확산판(3033)의 레이어, 실체물의 레이어(도 47 참조), 허상 V의 레이어(도 48 참조), 화상 G의 레이어(도 49 참조)의 4층이 겹쳐서 시인된다. 그리고 각 레이어의 초점 거리는 다르고, 시인 방향에 있어서 각 레이어가 다른 위치에 시인되므로, 표시 장치(D)의 표시에 깊이감이 부여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3020)은 허상용 액정 패널(3074)에 대하여 45도 기울고,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은 백라이트(3030)에 대하여 90도 기울어져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3020)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G의 면은, 백라이트(3030)에 대하여 45도 기울어져 있다. 이에 반해, 허상 표시 유닛(3070)의 표시광에 의한 허상 V의 면은, 백라이트(3030)에 대하여 평행해진다.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는 화상 G는, 반사면(3020a)의 기울기에 맞추어 왜곡 보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상 G에 포함되는 문자나 기호 중, 시인자로부터의 거리가 긴 부분일수록, 크게 표시함으로써, 해당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작게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여, 문자나 기호가 왜곡되어서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다.
액정 패널(3020)의 시인자측의 표면에는, 소정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재질로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3020)의 표면은, 허상을 비추는 반사면(3020a)으로서 기능한다.
도 43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의 표시 내용은, 도 47, 도 48 및 도 49에 나타내는 각 레이어를 겹쳐서 조합한 합성 영상에 의한 것이다. 즉, 허상 표시 유닛(3070)의 표시광에 의한 허상 V에는, 지침(3040)에 지시되는 눈금 화상(G3011), 숫자 화상(G3012) 및 그림자 화상(G3013)이 포함된다. 차속 및 엔진 회전수에 따라서 지침(3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지침(3040)과 눈금 화상(G3011)의 조합에 의해 차속 및 엔진 회전수가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3013)은, 레이더를 이미지시키는 형태로 지침의 잔상을 나타내는 화상이며, 지침부(3041)로부터 회전 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그림자를 본뜬 화상이다. 따라서, 지침(304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그림자 화상(G3013)의 표시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 화상(G3013)의 회전 방향 길이는, 지침(304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길게 설정된다.
또한 허상 V에는, 맵 배경 화상(G3020)과, 맵 배경 화상(G3020)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는 맵 화상(G23)과, 표시물(3050)에 겹쳐서 표시되는 바 화상(G3021)이 포함된다. 바 화상(G3021)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등록된 자차량의 주행 출발 위치에서의 주행 거리에 따른 길이로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한, 주행 출발 위치에서 도착 예정 위치까지의 주행 예정 거리를, 표시물(3050)의 길이로 설정하고 있으며, 표시물(3050)의 길이(주행 예정 거리)에 따른 길이(주행 거리)가 바 화상(G3021)의 길이에 상당한다.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는 화상 G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가식 링 화상(G3010), 전체 배경 화상(G3030), 눈금 화상(G3022), 유도 화상(G3024) 및 유도 문자 화상(G3025)이 포함되어 있다. 가식 링 화상(G3010)은, 지침(3040)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화상이며, 지침 화상(G3014)에 의한 표시 내용을 가식한다. 눈금 화상(G3011) 및 숫자 화상(G3012)은, 가식 링 화상(G3010)과 겹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전체 배경 화상(G3030)은, 가식 링 화상(G3010) 및 맵 배경 화상(G3020)의 배경을 나타낸, 흑색 화상이다.
눈금 화상(G3022)은, 바 화상(G3021)의 길이 지표가 되는 눈금을 나타낸 화상이며, 맵 배경 화상(G3020)과 겹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유도 화상(G3024)은, 오른쪽 왼쪽으로 꺾는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 화살표를 나타낸 화상이며, 맵 화상(G23)과 겹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유도 문자 화상(G3025)은, 유도 화상(G3024)을 보충 설명하는 문자를 나타낸 화상이며, 맵 배경 화상(G3020)과 겹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 50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실체물 중 표시물(3050)을 표시키는 한편, 지침(3040)을 비표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차속을 숫자로 나타낸 차속 화상(G3041) 및 차량 탑재 배터리의 축전량의 잔량을 나타낸 전력 잔량 화상(G3042)을, 지침(3040) 대신에 표시시키고 있다. 차속 화상(G3041) 및 전력 잔량 화상(G3042)은 허상 V에 포함되는 화상이다. 그리고 도 43에 나타내는 전체 배경 화상(G3030)에서는, 지침(3040)의 회전 범위의 영역을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해서 고투과율의 화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도 50에 나타내는 전체 배경 화상(G3040)에서는, 지침(3040)의 회전 범위의 영역을 불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해서 저투과율의 화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면, 지침(3040)이 시인되지 않도록 표시 내용이 전환된다.
또한, 표시물(3050)에 대향하는 부분의 영역은, 어떠한 모드의 전체 배경 화상(G3030, G3040)에 있어서도,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해서 고투과율의 화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모드라도 표시물(3050)이 시인되는 표시 내용이 된다. 또한, 투광 화소 영역 중 지침(304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확산판(3033)이 시인되게 된다. 이 영역의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3033)은 광원(3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즉, 확산판(3033)을 배경으로 하여, 지침(3040)이 시인되게 된다.
도 46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3063, 3065)는, 회로 기판(3060)에 실장된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3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액정 패널(3020) 및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이 갖는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3064)는, 회로 기판(3060)에 실장된 것이며, 광원(3034, 3075)으로의 전력 공급량을, 마이크로 컴퓨터(3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3034, 3075)으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회로 기판(3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3061), 메모리(3062), 입력 처리 회로, 출력 처리 회로 등에 의해, 제어 장치(36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3600)는, 구동 회로(3063, 3065)를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3020) 및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의 표시 화상을 제어함과 함께, 전원 회로(3064)를 제어함으로써 광원(3034, 3075)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600)는, 전동 모터(3040m)를 제어함으로써 지침(3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메모리(3062)에는, 액정 패널(3020) 및 허상용 액정 패널(3074)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을 나타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061)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3061a)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IGSW(3601)]가 온 조작되면, 광원(3034, 3075)으로의 전력 공급을 온으로 해서, 지침(3040) 및 표시물(305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액정 패널(3020)을 저투과율로 제어한다. 그리고 그 저투과율의 표시를 유지시키면서, 개시용 연출 화상을 액정 패널(3020)에 표시시킨다. IGSW(3601)가 오프 조작된 경우에도, 지침(3040) 및 표시물(305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액정 패널(3020)을 저투과율로 제어한다. 그리고 그 저투과율의 표시를 유지시키면서, 종료용 연출 화상을 액정 패널(3020)에 표시시키고, 그 후, 광원(3034, 3075)으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로 한다.
개시용 연출 화상의 표시 종료 후, IGSW(3601)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센서(3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등의 물리량에 기초하여, 해당 물리량을 지시하도록 지침(30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43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액정 패널(3020)을 표시시킨다.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존량이 소정값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유저가 표시 전환을 요구한 경우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도 50에 예시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지침(3040)을 유저에게 시인시키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3에 나타내는 전력 잔량 화상(G3042)이나, 표시 장치(D)의 기동 시에 표시되는 오프닝 화상, 표시 장치(D)의 작동 종료 시에 표시되는 엔딩 화상 등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3020)과 백라이트(3030) 사이에, 실체물로서의 지침(3040) 및 표시물(3050)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3020)의 정면측에 실체물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3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지침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3020)에 실체물을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3020)의 표시 영역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3020)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G의 안쪽에, 실체물 외에 허상 V도 시인되게 되므로, 표시 장치(D)에 의한 표시 형태의 베리에이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침(3040)에 화상을 조합해서 합성 영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당해 화상을, 액정 패널(3020)에 의한 화상 G 및 허상 표시 유닛(3070)에 의한 허상 V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조합 패턴이 풍부해진다.
게다가, 허상 V를 표시시키기 위한 반사면(3020a)을, 액정 패널(3020)의 표면으로 형성하므로, 액정 패널(3020)과는 별도로 반사면을 구비시키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표시 장치(D)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사면(3020a)은 실체물로의 시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그로 인해, 시인자에게서 시인되지 않는 위치에 허상 표시 유닛(3070)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3020)에 표시되는 화상 G는, 반사면(3020a)의 기울기에 맞추어 왜곡 보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3020)을 기울여서 배치하고 있음에도, 도 49에 나타내는 화상 레이어의 문자나 기호를 나타낸 화상, 예를 들어 유도 문자 화상(G3025)이나 유도 화상(G3024)이 왜곡된 화상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허상 V에는, 실체물과 중복해서 시인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실체물 바로 그것이, 허상 V에 의한 표시 내용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체물 바로 그것이, 그 실체물에 겹치는 허상 V의 색, 모양인 것처럼 착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바 화상(G3021)을 표시물(3050)과 중복되는 위치에 표시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표시물(3050)의 일부가, 바 화상(G3021)에 의한 색, 모양인 것처럼 착시되어, 바 화상(G3021)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표시 장치(D)에 의한 표시를 입체적인 미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 또는 화상 G와 허상 V의 조합에 의해 시인되는 합성 영상에 의해, 소정의 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3020)에 의한 눈금 화상(G3011), 숫자 화상(G3012) 및 그림자 화상(G3013)과, 허상 V에 의한 가식 링 화상(G3010)과, 실체물인 지침(3040)을 조합하여, 차속계 및 타코미터의 합성 영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차속계나 타코미터 등을,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허상 V의 초점 거리를, 화상 G 및 실체물의 중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3020)에 의한 화상 G의 안쪽에 허상 V가 시인되고, 또한 그 허상 V의 안쪽에 실체물이 시인되고, 또한 그 실체물의 안쪽에 확산판(3033)이 시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4층의 레이어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3020) 중 지침(3040)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영역(투광 화소 영역)의 투과율이, 다른 영역(불투광 화소 영역)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투광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지침(3040)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불투광 화소 영역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302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확산판(3033)]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투광 화소 영역을 투과해서 시인되는 지침(3040)이 눈에 잘 띄게 되어, 지침(3040)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즉, 지침(304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광 화소 영역의 투과율을, 실체물[지침(3040)]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43 참조)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50 참조)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3061a)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3020)의 표시를 전환함으로써, 실체물이 드러나거나 사라지거나 하는 표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체물과 액정 패널(3020) 사이의 위치에 허상 V의 초점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시인자가 실체물에 초점을 맞추어 본 경우에, 실체물과 겹쳐서 표시되어 있는 허상 V가 흐릿해져 보이게 되어, 흐릿해진 부유감이 있는 미관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5 실시 형태에서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상 V의 초점 거리를, 실체물인 지침(3040) 및 표시물(3050)의 초점 거리와 일치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시인자가 실체물에 초점을 맞추어 본 경우에, 실체물과 겹쳐서 표시되어 있는 허상 V도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그로 인해, 실체물에 겹치는 허상 V의 색이나 모양이, 실체물 바로 그것의 색이나 모양인 것처럼 착시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물(3050)에 겹쳐서 표시되는 바 화상(G3021)의 색이나 모양이, 표시물(3050) 그 자체의 색이나 모양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침(3040)에 허상 V를 겹치는 것으로, 그 허상 V의 색이나 모양이 지침(3040) 그 자체의 색이나 모양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허상 V를 변화시킴으로써, 표시물(3050)이나 지침(3040)이 변화된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허상용 액정 패널(3074)로부터 반사면(3020a)까지의 거리 L1과, 반사면(3020a)으로부터 허상 V까지의 거리 L2는 일치한다. 그로 인해, 허상용 액정 패널(3074)의 위치를 조정해서 거리 L1을 조정함으로써, 허상 V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침(3040) 중 액정 패널(3020) 측의 표면과, 표시물(3050) 중 액정 패널(3020) 측의 표면이라 함은, 시인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표시물(3050)과 지침(3040)의 양쪽에 대하여, 허상 V의 초점 거리가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반해서 도 44와 같이 초점 거리가 다를 경우에는, 시인자가 허상 V에 초점을 맞추면 실체물이 흐릿해져서 보이고, 실체물에 초점을 맞추면 허상 V가 흐릿해져서 보이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상 V의 초점 거리를 실체물의 초점 거리와 일치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허상 V와 실체물의 양쪽에 대하여 동시에 초점을 맞춰 볼 수 있으므로, 실체물 바로 그것이 허상 V에 의한 표시 내용인 것처럼 착시되는, 등의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 의한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체물 바로 그것이, 그 실체물에 겹치는 허상 V의 색, 모양인 것처럼 착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침(3040)에 겹쳐서 허상 V를 표시시킴으로써, 지침(3040) 그 자체가 허상 V의 색, 모양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허상 V의 표시 내용을 변화시킴으로써, 지침(3040) 그 자체가 변화된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허상 V에 포함되는 바 화상(G3021)을 표시물(3050)에 겹쳐서 표시하므로, 지침(3040) 그 자체가 바 화상(G3021)의 색, 모양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 화상(G3021)의 표시 내용을 변화시킴으로써, 지침(3040) 그 자체가 변화된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이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일 없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304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041m) 및 전동 모터(3040m)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회전축(3041m) 및 전동 모터(3040m)를, 지침(304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 화상(G3011), 숫자 화상(G3012), 맵 배경 화상(G3020), 바 화상(G3021) 및 맵 화상(G3023)을 허상 V로 표시시키고 있지만, 액정 패널(3020)의 화상 G로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 화상(G3010), 눈금 화상(G3022), 유도 화상(G3024), 유도 문자 화상(G3025) 및 전체 배경 화상(G3030)을 액정 패널(3020)의 화상 G로 표시시키고 있지만, 허상 V로 표시시켜도 된다. 가식 링 화상(G3010) 대신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링을, 백라이트(3030)와 액정 패널(3020)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실체물인 지침(3040)을 폐지해서 화상 G 또는 허상 V로 나타내도 되고, 표시물(3050)을 폐지해서 화상 G 또는 허상 V로 나타내도 된다.
백라이트(3030)와는 별도로, 지침(3040) 또는 표시물(3050)을 조명하는 광원을 구비시켜도 된다. 상술한 투광 화소 영역과 불투광 화소 영역의 경계는, 휘도가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표시의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식 링 화상(G3010)은, 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침(3040)의 회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이라도 된다. 전체 배경 화상(G3030)은 흑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광 화소 영역보다도 저투과율이며 실체물이 시인되지 않을 정도의 저투과율이면 다른 색이라도 된다.
상기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지침(3040)의 가동 범위 전체를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가동 범위 전체 중 지침(3040)이 존재하는 부분을 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가동 범위라도 지침(3040)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불투광 화소 영역으로 설정해서 저투과율로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3020)의 표면을 광택 처리함으로써, 액정 패널(3020)의 표면 자체를 고반사율로 해서 반사면(3020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액정 패널(3020)의 표면보다도 고반사율의 시트를 액정 패널(3020)의 표면에 부착해서 반사면(3020a)을 형성해도 된다.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이하의 형태로 표시 장치(D)를 시인시킬 수도 있다. 즉, 액정 패널(3020)에 의한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서 지침(3040)의 선명 정도(흐릿해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지침(3040)이 흐릿해져서 시인되는 정도를 조정해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3020)의 화상 G와 지침(3040)을 겹쳐서 시인시켜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3020)은 풀컬러 타입이지만, 모노크롬 타입이라도 된다. 또한,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이 아닌, 소정 형상의 세그먼트 전극을 구비해서 그에 대응하는 화소에 의한 화상을 표시하는 세그먼트 액정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표시 장치(D)에 본 개시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전자 미러에 적용시켜도 된다. 또한, 전자 미러라 함은, 프론트 윈드쉴드나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미러에 비추는 상을 본뜬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며, 차량 후방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칭코나 스로틀 등의 유기기 등이나, 가전 제품에 탑재된 표시 장치라도 된다.
(제16 실시 형태)
도 52에 나타내는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차량용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D)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표시하거나, 각종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를 표시하거나, 연출 화상을 표시하거나 한다.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는 주로, 케이스(4010), 액정 패널(4020), 백라이트(4030), 가식 링(4420), 액추에이터[전동 모터(4424)] 및 회로 기판(406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4010)는 차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액정 패널(4020), 백라이트(4030) 및 회로 기판(4060) 등을 내부에 수용해서 보유 지지한다.
액정 패널(4020)은, 액정이 보유 지지된 액정층, 액정층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컬러 필터 기판 및 한 쌍의 편광 필름을 갖고 구성된 TFT 액정 패널이다. 전극은,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조합한 매트릭스 전극이며, 화소마다 설치된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갖고, 각 필터는 화소마다(전극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필름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해서 광의 진동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필터이다. 한 쌍의 편광 필름은, 진동 방향이 9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4030)는, 도광판(4031), 반사판(4032), 확산판(4033) 및 광원(4034)(도 54 참조)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광원(4034)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이며, 복수의 광원(4034)이 도광판(4031)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4034)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4031)으로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반사판(4032)에서 반사되면서 도광판(4031)의 내부를 진행하고, 도광판(4031)의 정면측(도 53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도광판(4031)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확산판(4033)에서 난반사되면서 투과한다. 이에 의해, 확산판(4033) 전체가 면 발광한 상태가 되어, 액정 패널(4020)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고 불균일이 적은 광이, 백라이트(4030)로부터 액정 패널(4020)로 사출된다.
반사판(4032)은 도광판(4031)의 배면측에 밀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확산판(4033)은 도광판(4031)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간극은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액정 패널(4020)은 확산판(4033)의 정면측에 소정의 간극(4040a)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간극(4040a)에, 실체물인 가식 링(4420)이 배치되어 있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식 링(4420)은 투광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된 링 형상(환상)이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링(4420)은 원 환상이다. 가식 링(4420)은, 확산판(4033) 측으로부터 액정 패널(4020) 측을 향해 융기한 형상이다. 가식 링(4420)의 정면측의 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홈은 가식 링(442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무늬 형상이며, 지침 화상(G4014)에 지시되는 눈금(4421)으로서 기능한다.
가식 링(4420)에는 도광부(4422)가 설치되어 있고, 가식 링(4420) 및 도광부(4422)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부(4422)의 측면에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원(4423)이 설치되어 있다. 광원(4423)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부(4422)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후, 도광부(4422) 및 가식 링(4420)의 내부를 진행하고, 눈금(4421)을 형성하는 홈에서 반사되어, 가식 링(4420)의 정면측(도 53의 상측)으로부터 출사한다. 눈금(4421)에서 반사된 광은, 액정 패널(4020)의 후술하는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광원(4423)을 점등시키면 눈금(4421) 부분이 빛나 보인다. 광원(4423)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3종류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광원(4423)의 휘도를 마이크로 컴퓨터(4061)가 제어함으로써, 가식 링(4420)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눈금(4421)을 원하는 색으로 시인시킬 수 있다.
액정 패널(4020)은 플렉시블 배선판(4021)을 갖고 있으며, 플렉시블 배선판(40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단자(4021a)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4061)]가 실장된 회로 기판(4060)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4061)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 및 메모리 등을 갖고,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회로 기판(4060)으로부터 액정 패널(4020)로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플렉시블 배선판(4021)을 거쳐 액정 패널(4020)의 전극으로 송신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에 표시되는 화상의 내용은, 마이크로 컴퓨터(4061)에 의해 제어된다.
회로 기판(4060)은, 차량에 탑재된 전자 제어 장치 중 표시 장치(D)의 외부에 설치된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4020)의 표시 내용 및 가식 링(442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나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 등,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나타낸 정보 및 각종 이상이 발생했다고 하는 취지의 정보를 들 수 있다.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010)는 액정 패널(4020)의 정면측에 위치하는 페이싱 판(4011)을 갖고, 페이싱 판(4011)에는 개구부(40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 중, 개구부(4011a)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시인 가능 영역이 되어, 이 시인 가능 영역은 페이싱 판(4011)에 의해 구획되어서 특정된다. 또한, 액정 패널(4020)의 외측 에지 부분(P4001)(도 53 참조)이 페이싱 판(4011)에 의해 덮여 숨겨지게 된다. 케이스(4010)에는, 페이싱 판(4011)을 정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4012)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4012)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제이다.
백라이트(4030)의 광원(4034)을 점등시키면, 확산판(4033)의 정면측의 면[발광면(4033b)]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은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하고, 개구부(4011a) 및 커버(4012)를 통해서 표시 장치(D)의 정면측에 사출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4020)이 투과 조명되어, 표시면(4020a)에 표시되는 화상이 유저에게 시인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4020)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광 투과성)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대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백색으로 시인된다. 즉, 확산판(4033)의 발광색으로 시인된다. 한편, 각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소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소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흑색으로 시인된다.
표시면(4020a)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이 높게 된 영역[특정 화소 영역(G4010)]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가식 링(4420) 또는 확산판(4033)이,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백라이트(4030)로부터 사출된 광 중, 가식 링(4420)의 내주측 에지(4420a)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해서 유저에게 시인된다. 또한, 광원(4423)으로부터 사출해서 눈금(4421)에서 반사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또한, 백라이트(4030) 중 가식 링(4420)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사출된 광이,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해서 배경 화상으로서 유저에게 시인된다.
한편, 표시면(4020a) 중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비하여 투과율이 낮게 제어된 영역[다른 화소 영역(G4020)]에서는, 그 영역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는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실체물인 가식 링(4420)으로부터 액정 패널(4020)을 향하는 광은, 다른 화소 영역(G4020)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52, 도 54, 도 55 및 도 56에 나타내는 사선은, 단면 해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른 화소 영역(G4020) 또는 제2 화소 영역(G4040)의 범위를 의미한다.
투과율을 높게 할수록, 실체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커져, 가식 링(4420)의 내주측 에지(4420a) 및 눈금(4421)이 선명하게 시인되게 된다. 한편, 투과율을 낮게 할수록, 내주측 에지(4420a) 및 눈금(4421)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하는 정도가 작아져, 흐릿해져서 시인되게 된다.
요컨대, 액정 패널(4020)에 의한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실체물이 시인되는 실체물 표시 모드(도 52 및 도 55 참조)와, 실체물이 시인되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도 56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이하의 형태로 표시 장치(D)를 시인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4020)에 의한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서 실체물의 선명 정도(흐릿해지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실체물이 흐릿해져서 시인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표시되는 화상과 실체물을 겹쳐서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4010) 중 실체물과 겹치는 부분을 다른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체물이 그 표시색인 것처럼 착각시킬 수 있다.
그런데, 후술하는 제어 장치(4600)(도 57 참조)가 전동 모터(4424)를 제어함으로써, 가식 링(4420)은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도 55 참조)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도 56 참조)로 왕복 이동한다. 브래킷(4425)은, 광원(4423)과 함께,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55, 도 56 참조). 그로 인해, 브래킷(4425), 전동 모터(4424) 및 광원(4423)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면측에 가려져 배치되게 되므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인되는 일은 없다.
또한, 케이스(401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도 52에서는, 케이스(4010)의 주위에 존재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55 및 도 56에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표시 장치(D)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5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위치하는 가식 링(4420)의 일부가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해서 시인되게 된다. 한편, 도 56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가식 링(4420)은 제2 화소 영역(G4040)에 의해 가려져 시인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식 링(4420)을 가동시킴으로써, 가식 링(4420) 중,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부분의 면적은,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실체물 표시 모드 시보다 감소한다.
도 52 및 도 55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4020a) 중 가식 링(4420)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 화소 영역(G4010)으로서 설정하고 있으며, 특정 화소 영역(G4010)의 외측 전체를 다른 화소 영역(G4020)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특정 화소 영역(G4010)에는, 눈금(4421)을 지시하는 지침 화상(G4014), 지침 화상(G4014)의 회전 중심에 위치해서 지침을 보유 지지하는 보스부를 모의한 보스 화상(G4015), 눈금(4421)에 대응하는 수치를 나타낸 숫자 화상(G4013) 및 그림자 화상(G4012)이 표시된다. 그림자 화상(G4012)은, 레이더를 이미지시키는 형태로 지침의 잔상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그림자 화상(G4012)은, 지침 화상(G4014)으로부터 회전 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그림자를 본뜬 화상이다. 따라서, 지침 화상(G4014)의 표시 위치에 따라서 그림자 화상(G4012)의 표시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 화상(G4012)의 회전 방향 길이는, 지침 화상(G4014)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길게 설정된다. 그리고 차속에 따라서 지침 화상(G401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지침 화상(G4014)과 눈금(4421)의 조합에 의해 차속이 표시된다.
요컨대, 도 52 및 도 55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표시된 흑색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확산판(4033), 가식 링(4420), 지침 화상(G4014), 숫자 화상(G4013), 보스 화상(G4015) 및 그림자 화상(G4012)이 조합되어서 시인된다. 또한, 표시면(4020a)과 실체물과 확산판(4033)은, 시인 방향에 있어서의 광로 길이가 다르므로, 초점 거리의 차이에 의한 시차가 발생한다. 즉, 실체물은 표시면(4020a)의 시인 방향 안쪽(배면측)에 존재하는 것처럼 시인되고, 확산판(4033)은 실체물의 더욱 안쪽에 존재하는 것처럼 시인된다.
다른 화소 영역(G402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이 표시된다. 또 다른 화소 영역(G4020)에는, 방향 지시등이 조작된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화상(G4022) 및 각종 이상을 경고 표시하는 경고 화상(G4023)이,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해서 표시되어 있다.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표시되는 모든 화상, 즉 방향 지시 화상(G4022), 경고 화상(G4023) 및 흑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불투과(RGB가 모두 오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표시되는 백색의 배경 화상은, 투과율이 전투과(RGB가 모두 온)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6에 나타내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는, 표시면(4020a)은 제1 화소 영역(G4030)과, 제1 화소 영역(G4030)의 외측 전체 영역인 제2 화소 영역(G4040)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2 화소 영역(G4040)은, 가식 링(4420)이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게 설정되어 있고, 가식 링(4420)의 회전 위치는 제1 화소 영역(G4030)에 대응하는 위치 밖으로 제어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가식 링(4420)의 일부는 제2 화소 영역(G4040)에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 밖에 존재한다. 그로 인해, 가식 링(4420)은 유저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화소 영역(G4040)에는 흑색의 배경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방향 지시 화상(G4041)이 표시되어 있다.
제1 화소 영역(G4030)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4031)과,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량을 나타낸 전력 잔량 화상(G4032)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차속 화상(G4031) 및 전력 잔량 화상(G4032)의 배경을 나타내는 제1 화소 영역(G4030)의 배경 화상은, 제2 화소 영역(G4040)의 배경 화상보다도 고투과율로 설정되어 있다.
도 57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4063)는, 회로 기판(4060)에 실장된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4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액정 패널(4020)이 갖는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 회로(4064)는, 회로 기판(4060)에 실장된 것이며, 백라이트(4030)가 갖는 광원(4034)에 대한 전력 공급량을, 마이크로 컴퓨터(4061)로부터 출력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4034)으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회로 기판(40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컴퓨터(4061), 메모리(4062), 입력 처리 회로, 출력 처리 회로 등에 의해, 제어 장치(460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4600)는, 구동 회로(4063)를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4020)의 표시 화상을 제어함과 함께, 전원 회로(4064)를 제어함으로써 백라이트(403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메모리(4062)에는, 액정 패널(4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을 나타낸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4061)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4061a)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이그니션 스위치[IGSW(4601)]가 온 조작되면, 백라이트(403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온으로 해서,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개시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4020)을 표시시킨다. IGSW(4601)가 오프 조작된 경우에도, 실체물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연출 화상을 표시하는 종료 연출 모드에서 액정 패널(4020)을 표시시키고, 그 후, 백라이트(403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오프로 한다.
개시 연출 모드의 종료 후, IGSW(4601)가 오프 조작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센서(4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 등의 물리량에 기초하여, 해당 물리량을 지시하도록 지침 화상(G4014)의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2 및 도 55에 나타내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액정 패널(4020)을 표시시킨다. 이 경우, 액정 패널(4020)의 표시 레이아웃은 유저의 기호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단, 다른 화소 영역(G4020)의 투과율은 소정값 미만으로 한다.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잔존량이 소정값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유저가 표시 전환을 요구한 경우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는, 실체물 표시 모드에서 도 56에 예시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도 56의 예에서는, 가식 링(4420)의 일부가, 액정 패널(4020)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가식 링(442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가식 링(442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 중 가식 링(4420)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 화소 영역(G4040)이 되도록 표시 제어한다. 차속 화상(G4031)은, 센서(4602)에 의해 검출된 차속을 나타낸 화상으로 제어된다.
도 58은, 마이크로 컴퓨터(4061)가 갖는 중앙 처리 연산 장치에 의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우선, 스텝 S4010에서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가식 링(4420)을 유저에게 시인시키는 실체물 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가식 링(4420)의 눈금(4421)을 지침 화상(G4014)으로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을 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가식 링(4420)을 유저에게 시인시키지 않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가 요구되는 예로서는, 액정 패널(402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5에 나타내는 전력 잔량 화상(G4032)이나, 표시 장치(D)의 기동 시에 표시되는 오프닝 화상, 표시 장치(D)의 작동 종료 시에 표시되는 엔딩 화상 등에 주목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스텝 S4010에서 비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4011에 있어서, 도 55 중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화소 영역(G4040)의 배면측에 가식 링(4420)을 퇴피시키는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4012에 있어서, 액정 패널(4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켜서 가식 링(4420)을 시인시키지 않도록 하는 연출 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2 화소 영역(G4040)에서는, 가식 링(4420)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투과율이 낮은 화상을 표시시킨다. 제1 화소 영역(G4030)에서는, 차속 화상(G4031)이나 전력 잔량 화상(G4032) 등의 물리량을 통지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비표시 모드에서의 제1 화소 영역(G4030)에서는, 액정 패널(402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물체인 확산판(4033)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투과율을 낮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G4030)의 투과율을 높게 해도, 가식 링(4420)은 퇴피 제어되고 있으므로 시인되지 않고, 가식 링(442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확산판(4033)이 시인되게 된다. 가령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4033)은 광원(4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스텝 S4010에서 표시 모드라 판정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4013에 있어서, 도 52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침 화상(G4014)에 지시되는 위치에 가식 링(4420)을 이동시키도록, 전동 모터(4424)를 제어한다. 그 후, 스텝 S4014에 있어서, 액정 패널(4020)을 이하와 같이 표시시키고, 가식 링(4420)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시키도록, 특정 화소 영역(G4010)의 투과율을 제어한다. 특정 화소 영역(G4010)은, 가식 링(4420)을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지침 화상(G4014), 숫자 화상(G4013), 보스 화상(G4015) 및 그림자 화상(G4012)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지침 화상(G4014)이 눈금(4421)을 지시함으로써 차속 등의 물리량이 표시되게 된다.
특정 화소 영역(G4010) 중 실체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 또한 지침 화상(G4014), 숫자 화상(G4013), 보스 화상(G4015) 및 그림자 화상(G4012)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확산판(4033)이 시인되게 된다. 이 영역의 투과율이 100%이면, 이 경우의 확산판(4033)은 광원(4034)의 색으로 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즉, 확산판(4033)을 배경으로 하여, 실체물, 지침 화상(G4014), 숫자 화상(G4013), 보스 화상(G4015) 및 그림자 화상(G4012)이 시인되게 된다.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대해서는, 특정 화소 영역(G4010)보다도 낮은 투과율로 제어한다. 또한, 스텝 S4010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마이크로 컴퓨터(4061)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에 상당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4020)에 표시되는 화상을 가식하는 가식 부재(실체물)로서의 가식 링(4420)이, 액정 패널(4020)과 백라이트(40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4020)의 정면측에 실체물을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액정 패널(4020)에 의한 화상의 일부가 실체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4020)에 실체물로서의 가식 링(4420)을 조합해서 표시 장치(D)에 깊이감을 부여시키면서도,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 전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패널(4020)에 의한 화상의 안쪽에 실체물이 시인되고, 또한 그 실체물의 안쪽에 확산판(4033)이 시인된다. 따라서, 적어도 3층의 레이어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특정 화소 영역(G4010)의 투과율이, 다른 화소 영역(G4020)보다 높으므로,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해서 실체물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한편,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대해서는, 액정 패널(4020)의 배면측에 존재하는 것[확산판(4033)]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특정 화소 영역(G4010)을 투과하여 시인되는 실체물이 눈에 띄게 되어, 실체물에 시선을 끌 수 있는 것이 촉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4030)와는 별도로, 가식 링(4420)을 조명하는 광원(4423)을 구비한다. 그로 인해, 가식 링(4420)의 눈금(4421)과, 액정 패널(4020)에 표시되는 각종 화상과의 시차로 부유감을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눈금(4421)을 선명하게 시인시킬 수 있으므로, 시차가 강조되어 부유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로서의 눈금(4421)이, 지침 화상(G4014)에 의해 지시된다. 그로 인해, 눈금(4421)이 지침 화상(G4014)의 안쪽에 시인되어, 깊이가 있는 미관으로 하는 것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눈금(4421)의 안쪽에, 지침 화상(G4014)의 배경이 되는 확산판(4033)이 시인되므로, 깊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화소 영역(G4020)이 흑색 화상이 되도록 액정 패널(4020)을 제어한다. 그로 인해, 다른 화소 영역(G4020)에서는 확산판(4033)이 시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특정 화소 영역(G4010)의 휘도가 다른 화소 영역(G4020)의 휘도보다도 높아지므로, 가식 링(4420)에 대한 시각적 유인성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정 화소 영역(G4010)의 투과율을, 실체물[가식 링(4420)]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스텝 S4010)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4020)의 표시를 전환함으로써, 실체물이 드러나거나 사라지거나 하는 표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동 모터(4424)는 표시면(402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실체물을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표시 장치(D)를 시인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것을 회피하면서, 실체물을 가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4424)는,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와, 그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실체물을 왕복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실체물 중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의 제2 화소 영역(G4040), 즉 실체물을 숨기기 위한 화소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저휘도로 하는 것이 요구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의 표시 내용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제17 실시 형태)
상기 제16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인 가식 링(4420)을 회전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4440)을, 방향을 바꿀 수 없어 표시면(402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시키고 있다. 게다가, 복수의 분할 피스(4441, 4442, 4443, 4444)를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도 59에 나타내는 합체 모드와 도 60에 나타내는 분리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합체 모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를 조합해서 1개의 가식 링(4440)을 형성하도록 이동시킨다. 액정 패널(4020) 중 가식 링(444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가식 링 화상(G4050)이 표시되어 있다. 가식 링 화상(G4050)의 외측 부분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4051) 및 연료 잔량을 나타낸 연료 잔량 화상(G4052)이 표시되어 있다. 가식 링 화상(G4050)의 내측 부분에는, 지침 화상(G4053), 눈금 화상(G4054) 및 수치 화상(G4055)이 표시되어 있다.
합체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4020) 중 가식 링 화상(G4050)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상기 각 화상(G4050 내지 G4055)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 표시되는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4050)은, 가식 링(4440)에 중첩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식 링(4440)은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4050)이 가식 링(4440)에 겹쳐서 시인되어, 가식 링(4440)이 가식 링 화상(G4050)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를 분리해서 배치시킨다.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의 각각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각의 지침 화상(G4063) 및 눈금 화상(G4064)을 가식한다. 액정 패널(4020)의 네 구석에 위치하는 4세트의 지침 화상(G4063) 및 눈금 화상(G4064)은, 연료 잔량, 엔진 회전수, 엔진 냉각수 온도, 연비 지표를 각각 표시한다. 액정 패널(4020)의 중앙 부분에는, 차속을 수치로 나타낸 차속 화상(G4061)이 표시되어 있다.
분리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4020) 중 가식 링 화상(G4060)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하고, 상기 각 화상(G4060 내지 G4064)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며,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4060)은,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는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4060)이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에 겹쳐서 시인되어,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가 가식 링 화상(G4060)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합체 모드와 분리 모드로 전환해서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따라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경시키도록 액정 패널(4020)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6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4420)의 회전 이동 범위를, 표시면(4020a)의 외측에까지 확대시키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의 이동 범위를,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범위(내측)에 제한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가식 링(4440)을 평행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가식 링(4440)을 복수의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로 분리해서 이동시키므로, 가식 링(442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실체물 표시 모드 및 실체물 비표시 모드 중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 내용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제18 실시 형태)
상기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를, 방향을 바꿀 수 없어 평행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도 61에 나타내는 제18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44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분할 피스(4451, 4452, 4453, 4454)는, 복수의 회전축(4450a, 4450b)의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1 중의 이점 쇄선은, 복수의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를 조합해서 1개의 가식 링(4450)을 형성하도록 이동시킨, 합체 모드를 나타낸다.
합체 모드 및 분리 모드에 있어서, 액정 패널(4020) 중 가식 링 화상(G4070, G4071)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가식 링 화상(G4070, G4071)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배경 화상이 표시되는 「다른 화소 영역」에 상당한다. 즉, 가식 링 화상(G4070, G4071)은, 상기 배경 화상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가식 링(4450) 또는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는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해서 시인된다. 따라서, 가식 링 화상(G4070, G4071)이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에 겹쳐서 시인되어, 가식 링(4450)이 가식 링 화상(G4070, G4071)의 색 등으로 형성된 실체물인 것처럼 착시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합체 모드와 분리 모드로 전환해서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따라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또는 형상을 변경시키도록 액정 패널(4020)을 제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식 링(4440)을 복수의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로 분리해서 이동시키므로, 분리시키지 않는 제16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특정 화소 영역의 위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분할 피스(4441 내지 4444)를 평행 이동시키는 상기 제17 실시 형태에 비하여,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를 회전시키는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의하면, 분할 피스(4451 내지 4454)를 회전시키는 기구를 간소하게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일 없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라이트(4030)의 발광면(4033b)은, 액정 패널(4020)의 표시면(4020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표시면(4020a)의 전체면을 저투과율로 한 경우에, 백라이트(4030) 중 발광면(4033b)보다도 외측 부분(P4002)(도 53 참조)이 액정 패널(4020)을 투과하여 시인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의 미관이 손상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도 5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 화상(G4011)을 특정 화소 영역(G4010)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5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4420)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4424)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전동 모터(4424)를, 가식 링(442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도 5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가식 링(4420)에 광원(4423)을 설치하고 있지만, 해당 광원(4423)을 폐지해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4010, G4050, G4060, G4070, G4071)은, 실체물의 전체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되고, 실체물의 일부가 보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특정 화소 영역(G4010, G4050, G4060, G4070, G4071)과 다른 화소 영역(G4020)의 경계는, 휘도가 서서히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표시의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의 가식 링(4420)이지만, 본 개시에 관한 가식 부재는 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침 화상(G4014)의 회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이라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표시되는 배경 화상을 흑색으로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배경 화상은 흑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화소 영역(G4010)보다도 저투과율이면, 배경 화상의 색이나 휘도는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도 5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면(4020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가식 링(4420)을 회전 제어하는 데 있어서, 가식 링(4420)의 일부를 벗어난 위치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가식 링(4420)의 전체를 벗어난 위치로 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4020)은 풀컬러 타입이지만, 모노크롬 타입이라도 된다. 또한,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구비한 매트릭스형이 아닌, 소정 형상의 세그먼트 전극을 구비해서 그에 대응하는 화소에 의한 화상을 표시하는 세그먼트 액정 패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립 장착된 표시 장치(D)에 본 개시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전자 미러에 적용시켜도 된다. 또한, 전자 미러라 함은, 프론트 윈드쉴드나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미러에 비추는 상을 본뜬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며, 차량 후방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칭코나 스로틀 등의 유기기 등이나, 가전 제품에 탑재된 표시 장치라도 된다.
(제19 실시 형태)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표시 장치인 미터(5001)는, 대시보드(5080)와 스티어링 휠(509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3은 미터(5001)를 운전자측 즉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미터(5001)는, 크게 분류하면 좌측, 중앙, 우측의 3개의 표시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좌측 및 우측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반(5016)에 있어서, 표면측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에는, 액정 디스플레이(5014, 5015)[이하, LCD(5014, 5015)]가 설치되어 있다. LCD(5014) 및 LCD(5015)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측을 전방 방향이라 칭하고, 이면측을 안쪽 방향이라 칭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반(5016)을 따르는 쪽 구에 있어서 문자반(5016)의 중심에 가까운 측을 내측이라 칭하고, 문자반(5016)의 단부에 가까운 측을 외측이라 칭한다.
또한, 중앙측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반(5016)의 이면측에는, 액정 패널(50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5011)의 이면측에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백라이트(50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 사이에는, 이면측 링 부재(5013)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5011)은, 액정이 보유 지지된 액정층, 액정층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 컬러 필터 기판 및 한 쌍의 편광 필름을 갖고 구성된, TFT 액정 패널이다. 전극은, 행 전극 및 열 전극을 조합한 매트릭스 전극이며, 화소마다 설치된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컬러 필터 기판은,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갖고, 각 필터는 화소 마다(전극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온 오프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 필름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해서 광의 진동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필터이다. 한 쌍의 편광 필름은, 진동 방향이 90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5021)를 점등시키면, 액정 패널(5011)로 이면측에서 광이 조사된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5011)이 투과 조명되어,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이 운전자에게 시인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5011)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광의 투과율(광 투과성)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대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백색으로 시인된다. 한편, 각 필터에 대응하는 전극 모두에 대해서, 투과율이 최소가 되도록 인가 전압을 제어하면, 각각의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휘도가 최소가 된다. 그 결과, 해당하는 화소는 흑색으로 시인된다.
액정 패널(5011)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이 높게 제어된 영역에 대해서는, 그 영역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물체, 즉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을 투과하여 시인 가능해진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내부에서 광을 반사하는 도광 부재이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아크릴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중앙에 공동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면측 실체 부재이며, 또한 이면측 도광 부재이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2개소의 수광부(51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광부(5136)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에는, 복수 개소의 홈부(5135)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5011)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5011a)에 대응하는 영역의 문자반(5016)에는, 표시면 링 부재(5012)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중앙에 공동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내부에서 광을 유도할 수 있는 도광 부재이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아크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면 링 부재(50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면 실체 부재이며, 또한 표시면 투과 부재이다.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문자반(5016)은, LCD(5014), LCD(5015) 및 액정 패널(5011)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문자반(5016)은, 투과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운전자는 문자반(5016)의 안쪽에 존재하는 각종 부재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문자반(5016)에는, 특정한 영역에 흑색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흑색의 인쇄가 실시된 영역의 문자반(5016)의 안쪽에 존재하는 각종 부재는 시인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CD(5014), LCD(5015) 및 액정 패널(5011)에 대응하는 영역은, 문자반(5016)에 대하여 인쇄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투명한 화살표(5622)가 형성되도록, 문자반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문자반(5016)에 대하여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운전자는, LCD(501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5623)을, 문자반(5016)을 개재한 경우에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LCD(5015)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5623)을, 문자반(5016)을 개재한 경우에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5624)을, 문자반(5016)을 개재한 경우에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에서 광이 조사됨으로써 화살표(5622)는,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도 64는, 도 63의 미터(5001)를 일점 쇄선 방향으로 절단하고, 도 63의 화살표 LX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즉, 미터(5001)의 단면도를 차량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5001)의 좌측 기판(2201)에는, 발광 다이오드(LED)(5221, 52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LED(5221)나 LED(5222)에 의해 광이 문자반(5016)에 조사되면, 문자반(5016)에 형성된 화살표(5622)와 같은 문자가 비추인다. 그러면, 운전자는 문자반(5016)에 형성된 문자를 시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터(5001)의 우측 기판(2202)에는, LED(52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LED(5223)에 의해, 광이 문자반(5016)에 조사되면, 문자반(5016)에 형성된 화살표(5622)와 같은 문자를 비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운전자는 문자반(5016)에 형성된 문자를 시인할 수 있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액정 패널(5011)과 대응하는 영역의 문자반(5016) 위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공동을 형성하는 내측면(5122)과, 내측면(5122)의 직경 길이보다 긴 직경을 갖는, 외측면(51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면(5122)과 외측면(5124)은 서로 평행하다.
내측면(5122)은, 일단부인 안쪽 내주부(5123b)가 문자반(5016)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내측면(5122)은, 안쪽 내주부(5123b)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면이 신장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외측면(5124)은, 일단부인 안쪽 외주부(5123a)가 문자반(5016)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면(5124)은, 안쪽 외주부(5123a)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면이 신장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면(5122)과 외측면(5124) 사이 또한 전방측에는, 전방면(51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면(5122)과 외측면(5124) 사이, 또한 전방면(5121)과는 반대측에, 안쪽면(5123)이 설치되어 있다. 즉, 내측면(5122)과 외측면(5124) 사이 또한 더욱 안쪽에는, 안쪽면(5123)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면 링 부재(5012)의 면 중, 문자반(5016)과 접하고 있는 면인 안쪽면(5123)은, 투광성의 면이다. 그리고 운전자와 대향하는 면인 전방면(5121)은, 투광성의 면이다. 전방면(5121)과 안쪽면(5123)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면(5122)은, 도시하지 않은 커버 등으로 덮여 있고, 광을 투과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방면(5121)과 안쪽면(5123) 사이에 설치되는 외측면(5124)은 커버 등으로 덮여 있고, 광을 투과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5011)로부터 안쪽면(5123)에 조사된 광은, 표시면 링 부재(5012)의 내부를 반사한 후, 전방면(5121)으로부터 출사된다.
그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전방면(5121)에 있어서, 액정 패널(5011)의 투과율에 따른 여러 가지 색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내측면(5122)의 안쪽 방향의 일단부인 안쪽 내주부(5123b)의 직경 길이는, 내측면(5122)의 전방 방향의 일단부인 전방측 내주부(5121b)의 직경 길이에 비교해서 짧아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면(5124)의 안쪽 방향 일단부인 안쪽 외주부(5123a)의 직경 길이는, 전방 방향의 일단부인 전방측 외주부(5121a)의 직경 길이에 비교해서 짧아지고 있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문자반(5016) 및 액정 패널(5011)을 통해서, 표시면 링 부재(50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공동을 형성하는 내측면(5132)과, 내측면(5132)의 직경 길이보다 긴 직경을 갖는, 외측면(51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측면(5132)은, 일단부인 안쪽 내주부(5133b)가 백라이트(5021)와 접하고 있다. 그리고 안쪽 내주부(5133b)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면이 신장됨으로써, 내측면(5132)은 형성되어 있다.
외측면(5134)은, 일단부인 안쪽 외주부(5133a)가 백라이트(5021)와 접하고 있다. 그리고 안쪽 외주부(5133a)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면이 신장됨으로써, 외측면(5134)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면(5132)과 외측면(5134) 사이 또한 전방측에는, 전방면(51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면(5132)과 외측면(5134) 사이 또한 전방면(5131)과는 반대측에, 안쪽면(5133)이 설치되어 있다. 즉, 내측면(5132)과 외측면(5134) 사이 또한 안쪽에는 안쪽면(5133)이 설치되어 있다.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면 중, 전방면(5131)은 액정 패널(5011)과 접하고 있는 투광성의 면이다. 그리고 백라이트(5021)와 접하는 면인 안쪽면(5133)은, 투광성의 면이다. 전방면(5131)과 안쪽면(5133)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면(5132)은, 광을 투과한다. 마찬가지로, 전방면(5131)과 안쪽면(5133) 사이에 설치되는 외측면(5134)은, 광을 투과한다.
또한, 내측면(5132)의 안쪽 방향 일단부인 안쪽 내주부(5133b)의 직경 길이는, 전방 방향의 일단부인 전방측 내주부(5131b)의 직경 길이에 비해 짧아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면(5134)의 안쪽 방향의 일단부인 안쪽 외주부(5133a)의 직경 길이는, 전방 방향의 일단부인 전방측 외주부(5131a)의 직경 길이에 비하여, 짧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문자반(5016) 및 액정 패널(5011)을 사이에 두고, 표시면 링 부재(50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안쪽면(5123)과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면(5131)은, 문자반(5016) 및 액정 패널(5011)을 통해서,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501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안쪽 외주부(5123a)와,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측 외주부(5131a)는, 동일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501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안쪽 내주부(5123b)와,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측 내주부(5131b)는, 동일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그로 인해, 백라이트(5021)로부터 조사된 광은, 먼저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안쪽면(5133)을 거쳐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에 조사된다. 그리고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에서 반사된다. 이어서,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에서 반사된 광은,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면(5131)으로부터 출사된다. 전방면(51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액정 패널(5011) 및 문자반(5016)을 거쳐,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안쪽면(5123)에 조사된다. 안쪽면(5123)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표시면 링 부재(5012)의 내부를 반사한 후, 전방면(5121)으로부터 출사된다. 마지막으로, 전방면(512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또한, 백라이트(5021)는 소정 거리 이격한 액정 패널(5011)을 향해서 광을 조사한다. 그로 인해, 운전자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5021)로부터 조사되어,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되는 광은,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에 비하여 비교적 감쇠가 적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에 비하여, 표시면 링 부재(5012)의 전방면(513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는 높아진다.
이어서, 도 65를 사용해서 이면측 링 부재(5013)에 대해서 설명을 더 한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외측면(5134)로부터 신장하는 2개소의 수광부(5136)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5136)의, 외측면(5134)으로부터 신장하는 방향의 단부면에는, RGB의 발광 소자를 갖는 LED(1361)로부터의 광(1362)이 조사된다. 그로 인해, LED(1361)가 조사하는 광(1362)은, 수광부(5136)의 내부에 조사된다. 그리고 광(1362)은, 수광부(5136)의 내부를 반사하면서 진행하고,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로 침입한다. 그리고 광(1362)은,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외측면(5134)과 내측면(5132)에 대하여 반사를 반복한다. 그리고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를 반사하는 광(1362)의 일부는, 홈부(5135)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광(1362) 중, 홈부(5135)에 의해 반사된 광은, 내측면(5132)을 거쳐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출사된다. 그리고 이 출사된 광(1362)을, 운전자는 시인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홈부(5135)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홈부(5135)는 외측면(5134)에 설치되는 2개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면(5134)으로부터 내측면(5132)을 향해 시스템 방향으로 새겨지는 것으로, 2개의 면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면에 의해 홈부(5135)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면이 이루는 각은 45°이다. 또한, 홈부(5135)는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외측면(5134)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부(5135)는 광(1362)이 홈부(5135)에서 전반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63으로 돌아와, 미터(5001)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63에 있어서, 액정 패널(5011)은 지침 화상(5624)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홈부(5135)가, LED(1361)에 의해 각각 비추어져, 운전자에게는 눈금과 같이 시인된다. 또한, 운전자에 있어서 홈부(5135)와 인접한 위치에서 시인되도록, 액정 패널(5011)에는 속도 화상(5624)이 표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스피드 미터가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운전자는, 표시면(5011a)보다 전방측에서, 표시면 링 부재(5012)를 시인한다. 또한, 액정 패널(5011)은 표시면 링 부재(5012)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은, 표시면 링 부재(5012)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측 내주부(5131b)는,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안쪽 내주부(5133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전방측 내주부(5131b)로부터 안쪽 내주부(5133b)를 향해, 경사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면 링 부재(5012)와 액정 패널(5011)과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안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운전자가 표시면 링 부재(5012)와 액정 패널(5011)과 이면측 링 부재(5013)를 시인 할 때에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면 링 부재(5012)와,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과, 이면측 링 부재(5013)의 전방측 내주부(5131b), 안쪽 내주부(5133b) 및 홈부(5135)를 운전자가 시인할 때에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터(500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미터(5001)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와 이면측 링 부재(5013)와, 표시면 링 부재(5012)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5011)은, 화상(5624)이 표시되는 표시면(5011a)을 형성한다. 백라이트(5021)는, 표시면(5011a)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에서, 액정 패널(5011)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 사이에 배치되고, 액정 패널(5011)을 통해서 시인되는 표시면 링 부재(5012)는, 액정 패널(5011)의 표시면(5011a)보다 표면측에서 시인된다.
이렇게 하면, 표시면 링 부재(5012),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 및 이면측 링 부재(5013)의 3종류에 의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보다 입체적인 미관이 되는 미터(5001)가 된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내부로 광이 유도된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광을 투과한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백라이트(5021)가 조사한 광을, 액정 패널(5011)을 거쳐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한다.
이렇게 하면,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되는 광은, 먼저 백라이트(5021)로부터 조사되어,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를 찾아간다. 그리고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를 찾아가는 광은, 액정 패널(5011)을 거쳐,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된다. 한편,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은, 백라이트(50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액정 패널(5011)에 도달한다. 그로 인해,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되는 광이 감쇠되는 양은,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에 비교해 적다. 한편,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이 감쇠하는 양은, 표시면 링 부재(5012)로 유도되는 광에 비교해 많다. 그로 인해, 표시면 링 부재(5012)의 휘도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의 휘도에 비하여 높아진다. 따라서, 표시면 링 부재(5012)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에 비하여 강조된다.
(제20 실시 형태)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 실체 부재를 표시면 링 부재(5012)로 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면 실체 부재를 확대 렌즈부(5321)로 한다. 확대 렌즈부(5321)는, 표시면(5011a)에 대응하는 영역의 문자반(5016)에 설치된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렌즈부(5321)에 의해, 이면측 링 부재(5013)가 확대되어서 시인된다. 확대 렌즈부(5321)는, 문자반(5016) 위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확대 렌즈부(5321)는, 문자반(5016)에 단부가 접하고 있다. 또한, 확대 렌즈부(5321)는, 문자반(5016)으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볼록해지는 형상이다. 또한, 확대 렌즈부(5321)는 링 형상이다. 또한, 도 66에 있어서, 도트가 부여되어 있는 영역이, 확대 렌즈부(5321)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로부터 출사된 광은, 액정 패널(5011)을 거쳐 확대 렌즈부(5321)에 조사된다.
도 67은, 도 66을 일점 쇄선으로 절단해 화살표 LXV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 및 문자반(5016)을 사이에 두고, 이면측 링 부재(5013)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액정 패널(5011)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확대 렌즈부(5321)는 이면측 링 부재(5013)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확대 렌즈부(5321)는 전방측 외주부(5131a), 전방측 내주부(5131b) 및 안쪽 내주부(5133b)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면(5134)은 확대 렌즈부(5321)의 외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내측면(5132)은 확대 렌즈부(5321)의 내측 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면측 링 부재(5013)는 확대되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확대 렌즈부(5321)에 의해, 전방측 외주부(5131a), 전방측 내주부(5131b), 안쪽 내주부(5133b) 및 홈부(5135)가 확대되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와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는, 확대 렌즈부(5321)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도 66으로 돌아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터(5001)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제19 실시 형태와 동일한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미터(5001)는, 확대 렌즈부(5321)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 패널(5011)에 녹색 화상을 표시한다. 즉, 액정 패널(5011)에는, 녹색의 링 화상이 표시된다.
이렇게 하면,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링의 화상 색이 확대 렌즈부(5321)에 달라붙는 것처럼,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터(500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미터(5001)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와 이면측 링 부재(5013)와 확대 렌즈부(5321)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50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5011a)을 형성한다. 백라이트(5021)는, 표시면(5011a)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에서, 액정 패널(5011)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액정 패널(5011)과 백라이트(5021)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5011)을 통해서 시인된다.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의 표시면(5011a)보다 표면측에 설치된다.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을 사이에 두고, 이면측 링 부재(5013)를 확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확대 렌즈부(5321)에 의해 이면측 링 부재(5013)가 확대된다. 그에 수반하여, 이면측 링 부재(5013)와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과의 깊이 방향의 거리가 확대되어서 시인된다. 따라서, 보다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입체적인 미관이 되는 미터(5001)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으로 착색된다. 그로 인해, 확대 렌즈부(5321)는 착색된 실체물과 같이, 운전자에게는 시인된다.
따라서, 안쪽 방향에 있어서, 확대 렌즈부(5321)와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과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이에 의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내부로 광이 유도되는 이면측 도광 부재이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백라이트(5021)가 조사한 광을, 액정 패널(5011)을 통해 확대 렌즈부(5321)로 유도한다.
이렇게 하면, 확대 렌즈부(5321)로 유도되는 광은, 먼저 백라이트(5021)로부터 조사되어, 이면측 링 부재(5013)의 내부를 찾아가, 액정 패널(5011)을 거쳐 유도된다. 한편,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은, 백라이트(50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액정 패널(5011)에 도달한다. 그로 인해, 확대 렌즈부(5321)로 유도되는 광의 감쇠되는 양은,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에 비해 적다. 한편, 액정 패널(5011)에 직접 조사되는 광이 감쇠되는 양은, 확대 렌즈부(5321)로 유도되는 광에 비해 많다. 그로 인해, 확대 렌즈부(5321)의 휘도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의 휘도에 비해 높아진다. 따라서,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5624)에 비해 강조된다.
이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일 없이,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면 실체 부재는 표시면 링 부재(5012)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침 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면측 실체 부재는 이면측 링 부재(5013)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는, 표시면 투과 부재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면 링 부재(5012)는, 투과성이 아닌 링 형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면측 링 부재(5013)는, 이면측 도광 부재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면측 링 부재(5013)는, 도광 부재가 아닌 링 형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면측 링 부재(5013)와 대향하는 영역에는 확대 렌즈부(5321)를 설치하고, 이면측 링 부재(5013)와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는, 확대 렌즈부(5321)와 같은 렌즈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렌즈부(5321)와 평면부(5421)가 일체화되어 있는 렌즈를, 문자반(5016) 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확대 렌즈부(5321)와 대향하는 이면측 링 부재(5013)는, 확대되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측 외주부(5131a), 전방측 내주부(5131b), 안쪽 내주부(5133b) 및 홈부(5135)가 확대되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된다.
한편, 평면부(5421)와 대향하는 액정 패널(5011)에 표시되는 화상은, 확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의 내측면(5122) 및 외측면(5124)에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나 확대 렌즈부(5321)를, 문자반(5016) 위에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면 링 부재(5012)나 확대 렌즈부(5321)를, 액정 패널(5011) 위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면 링 부재(5012)나 확대 렌즈부(5321)는, 액정 패널(5011)과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미터(5001)로 했지만, 내비게이션 장치로 치환해도 된다. 즉,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를 액정 패널(5011)의 단부 부근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안쪽면(5123)은 액정 패널(5011)의 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면(5121)은 액정 패널(5011)의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안쪽면(5123)에 비하여 전방면(5121)은,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5011)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표시면 링 부재(5012)가 액정 패널(5011)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는 데 수반하여, 이면측 링 부재(5013)도 액정 패널(5011)의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또한, 전방측 외주부(5121a)와 전방측 내주부(5121b)의 양쪽이 액정 패널(5011)의 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되고, 전방측 외주부(5121a)만이 액정 패널(5011)의 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부(5135)는 전방면(5131)으로부터 안쪽면(5133)까지의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방면(5131)과 안쪽면(5133) 사이의 일부가 새겨지도록 하여, 홈부(5135)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해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더욱이, 그것들에 1 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25)

  1.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2020a)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2020)과,
    상기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2030)와,
    상기 표시면에, 특정 화소 영역(G2010, G2100, G2300, G2050, G2060, G2070, G2071)과, 다른 화소 영역(G2020, G2400)을 설정하고, 상기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상기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2600)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특정 화소 영역 및 상기 다른 화소 영역 중,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2040, 2400, 2420, 2430, 2440, 2450)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화소 영역은,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을 둘러싸는 양태로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표시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에는 회전 구동되는 지침(2040)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은, 상기 지침에 의해 지시되는 복수의 눈금 화상(G2011)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특정 화소 영역에, 상기 지침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표시 위치가 이동하는 상기 지침의 그림자를 나타내는 그림자 화상(G2012)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상기 특정 화소 영역에, 상기 눈금 화상에 대응하는 수치를 나타낸 숫자 화상(G201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숫자 화상이 부분적으로 상기 지침과 겹쳐 있을 때, 상기 숫자 화상 중 상기 지침과 겹쳐 있는 부분을, 겹쳐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고투과율로 표시 또는 표시시키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에 대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되는 지침(2070)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의 회전 범위에는,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물리량을 표시하는 표시 범위 및 상기 표시 범위와는 다른 비표시 범위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비표시 범위에 있는 상기 지침을 덮어서 가린 가림 부재(2010b)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에는, 상기 표시면의 시인 가능 영역의 외측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벽 부재(2400)가 포함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상기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상기 투과율을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2061a)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다른 화소 영역에 흑색의 배경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10.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1020a)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1020)과,
    상기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1030)와,
    상기 표시면에, 특정 화소 영역(G1010, G1100, G1300, G1050)과, 다른 화소 영역(G1020, G1400, G1051, G1052)을 설정하고, 상기 특정 화소 영역에서는, 상기 다른 화소 영역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600)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특정 화소 영역 및 상기 다른 화소 영역 중,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이며, 상기 화상을 가식하는 가식 부재(1400, 1420, 1430, 1440)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화소 영역은,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을 둘러싸는 양태에서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표시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와는 별도로, 상기 가식 부재를 조명하는 광원(1423)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 부재(1420)는 지침(G1014)에 의해 지시되는 눈금(1421)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화상은 상기 지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상기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상기 투과율을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1061a)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다른 화소 영역에 흑색의 배경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16.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4020a)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4020)과,
    상기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4030)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4420, 4440, 4450)과,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서 상기 실체물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4424)와,
    상기 표시면 중 상기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G4010, G4050, G4060, G4070, G4071)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비해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600)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실체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표시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퇴피시키는, 표시 장치.
  17.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4020a)을 형성하는 액정 패널(4020)과,
    상기 액정 패널로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4030)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통해서 시인되는 실체물(4420, 4440, 4450)과,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서 상기 실체물을 움직이게 하는 액추에이터(4424)와,
    상기 표시면 중 상기 실체물이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화소 영역인 특정 화소 영역(G4010, G4050, G4060, G4070, G4071)에서는, 다른 화소 영역(G4020)에 비해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600)와,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을, 상기 실체물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상기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4061a)을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실체물 비표시 모드에서, 상기 실체물의 일부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표시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가 되고, 상기 실체물의 다른 부분이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표시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실체물을 움직이게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이 시인 가능해질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실체물 표시 모드와, 상기 실체물을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특정 화소 영역의 상기 투과율을 낮게 하는 실체물 비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장치(4061a)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와는 별개로, 상기 실체물을 조명하는 광원(4423)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물(4420)은 지침(G4014)에 의해 지시되는 눈금(4421)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은, 상기 지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표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실체물을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실체물을 왕복 이동시키는, 표시 장치.
  24.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다른 화소 영역에 흑색의 배경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액정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25. 제1항, 제10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투과율은 상기 액정 패널의 화소마다 배치된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표시 장치.
KR1020187035473A 2014-09-05 2015-08-28 표시 장치 KR102018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1584 2014-09-05
JP2014181585 2014-09-05
JPJP-P-2014-181587 2014-09-05
JPJP-P-2014-181585 2014-09-05
JPJP-P-2014-181584 2014-09-05
JP2014181586A JP6409427B2 (ja) 2014-09-05 2014-09-05 車両用表示装置
JPJP-P-2014-181586 2014-09-05
JP2014181587A JP6390286B2 (ja) 2014-09-05 2014-09-05 表示装置
JPJP-P-2014-207414 2014-10-08
JP2014207414A JP6390324B2 (ja) 2014-10-08 2014-10-08 表示装置
JP2014245280A JP6476803B2 (ja) 2014-09-05 2014-12-03 表示装置
JPJP-P-2014-245280 2014-12-03
JPJP-P-2015-045147 2015-03-06
JP2015045147A JP6477046B2 (ja) 2014-09-05 2015-03-06 表示装置
PCT/JP2015/004367 WO2016035304A1 (ja) 2014-09-05 2015-08-28 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96A Division KR101939506B1 (ko) 2014-09-05 2015-08-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59A true KR20180133559A (ko) 2018-12-14
KR102018022B1 KR102018022B1 (ko) 2019-09-03

Family

ID=585858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96A KR101939506B1 (ko) 2014-09-05 2015-08-28 표시 장치
KR1020187035473A KR102018022B1 (ko) 2014-09-05 2015-08-28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96A KR101939506B1 (ko) 2014-09-05 2015-08-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13220B2 (ko)
KR (2) KR101939506B1 (ko)
CN (1) CN106687772B (ko)
DE (1) DE112015004066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4040B2 (ja) * 2014-07-18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EP3509890A4 (en) * 2016-09-06 2020-04-15 Pure Depth Limited MULTI-LAYER DISPLAY FOR VEHICLE DASHBOARD
JP6467386B2 (ja) * 2016-09-14 2019-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713425B2 (ja) * 2017-01-31 2020-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630698B2 (ja) * 2017-03-24 2020-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17212912B4 (de) 2017-07-27 2022-08-18 Audi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07878202A (zh) * 2017-11-28 2018-04-06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透明窗口的段码液晶显示仪表
CN109932659A (zh) * 2017-12-15 2019-06-25 蔚来汽车有限公司 电动车电池电量统计方法以及电动车电池电量统计模块
CN109085720B (zh) 2018-09-10 2021-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智能手表
DE102018216330A1 (de) * 2018-09-25 2020-03-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nutzerschnittstellen-System und Fahrzeug
DE102018220689B4 (de) * 2018-11-30 2020-08-06 Audi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drei separaten Anzeigebereichen sowie Kraftfahrzeug
US11530936B2 (en) * 2019-08-01 2022-12-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lug-and-play stepper motor for a pointer display assembly
JP7306210B2 (ja) * 2019-10-11 2023-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EP3839617A1 (fr) * 2019-12-17 2021-06-2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Dispositif d 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DE102021108391A1 (de) * 2021-04-01 2022-10-06 Lisa Dräxlmaier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15273764B (zh) * 2021-07-15 2024-04-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设备
EP4365003A2 (en) 2022-11-04 2024-05-08 FERRARI S.p.A. Vehicle control pan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150A (ko) 1974-12-31 1976-07-13 Ibm
JPH1120507A (ja) * 1997-06-27 1999-01-26 Yazaki Corp 指針残像表示装置
JP2002328187A (ja) * 1997-07-18 2002-11-15 Citizen Watch Co Ltd 発電機能付き時計
JP2005009957A (ja) * 2003-06-18 2005-01-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4787102B2 (ja) 2006-07-28 2011-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12117894A (ja) * 2010-11-30 2012-06-21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2014066696A (ja) * 2012-09-04 2014-04-1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683A (ja) 1994-12-28 1996-07-16 Seikosha Co Ltd からくり時計等の駆動装置
EP0927917B1 (en) 1997-07-18 2004-03-31 Citizen Watch Co. Ltd. Watch
JP2004271259A (ja) 2003-03-06 2004-09-30 Casio Comput Co Ltd 時計モジュール
JP4637546B2 (ja) 2004-11-02 2011-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06256754A (ja) 2005-03-16 2006-09-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階床表示装置
WO2007018361A1 (en) 2005-08-05 2007-02-15 Namotek Co., Ltd. Lcd light guiding plate and back light unit and lcd using a thereof
JP4504934B2 (ja) * 2006-02-28 2010-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4917339B2 (ja) 2006-04-03 2012-04-18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装置
JP2009179183A (ja) 2008-01-31 2009-08-13 Denso Corp 表示装置
JP5082911B2 (ja) 2008-02-15 2012-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10107267A (ja) 2008-10-29 2010-05-13 Yazak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5180150B2 (ja) 2009-06-04 2013-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2061874A (ja) 2010-09-14 2012-03-29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5522186B2 (ja) * 2012-02-22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150A (ko) 1974-12-31 1976-07-13 Ibm
JPH1120507A (ja) * 1997-06-27 1999-01-26 Yazaki Corp 指針残像表示装置
JP2002328187A (ja) * 1997-07-18 2002-11-15 Citizen Watch Co Ltd 発電機能付き時計
JP2005009957A (ja) * 2003-06-18 2005-01-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4787102B2 (ja) 2006-07-28 2011-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12117894A (ja) * 2010-11-30 2012-06-21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2014066696A (ja) * 2012-09-04 2014-04-1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53178A1 (en) 2017-09-07
KR20170041780A (ko) 2017-04-17
CN106687772B (zh) 2020-04-21
US10513220B2 (en) 2019-12-24
DE112015004066T5 (de) 2017-05-11
KR102018022B1 (ko) 2019-09-03
CN106687772A (zh) 2017-05-17
KR101939506B1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06B1 (ko) 표시 장치
US10227005B2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6478009B2 (ja) 表示装置
JP2009179183A (ja) 表示装置
WO2016035304A1 (ja) 表示装置
JP2009069087A (ja) 表示装置
JP2009168521A (ja) 指針計器
JP5979198B2 (ja) 表示装置
JP6476803B2 (ja) 表示装置
JP2007309837A (ja) 表示装置
JP2007309836A (ja) 表示装置
JP6409427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952458B2 (ja) 表示装置
JP2008102093A (ja) 表示装置
JP4228977B2 (ja) 表示装置
JP540810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7304066A (ja) 車両用指針計器
JP6477046B2 (ja) 表示装置
JP2004233701A (ja) 表示装置
JP6384356B2 (ja) 車両用計器
JP2005258208A (ja) 表示装置
JP4652787B2 (ja) 表示装置
WO2017006506A1 (ja) 車両用表示装置
JP6390286B2 (ja) 表示装置
JP6390324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