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348A -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348A
KR20180133348A KR1020180150020A KR20180150020A KR20180133348A KR 20180133348 A KR20180133348 A KR 20180133348A KR 1020180150020 A KR1020180150020 A KR 1020180150020A KR 20180150020 A KR20180150020 A KR 20180150020A KR 20180133348 A KR20180133348 A KR 2018013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member
rim
elastic fixing
licen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942B1 (ko
Inventor
황선준
Original Assignee
황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0780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333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준 filed Critical 황선준
Publication of KR2018013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348A/ko
Priority to KR102022003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5Licence numbe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 상기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를 구비하고,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및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번호판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되게 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 시 상기 번호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번호판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번호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은, 차량별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차량등록번호를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에 타각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의 번호판은, 통상 차량의 지정된 장소,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번호판은, 볼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부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번호판의 교체 시,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볼트를 분리하고, 새로운 번호판을 장착한 뒤 다시 볼트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교체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 및/또는 손상이 발생된 경우, 번호판의 교체가 더욱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61908 Y1 KR 100309347 B1
따라서, 본 발명은, 번호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호판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호판의 매입 설치가 가능하여 번호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의 번호팡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 상기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를 구비하고,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및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번호판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되게 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 시 상기 번호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번호판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가동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 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측면부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저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 측이 판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게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함몰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함몰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탄성고정부재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가동부가 상기 번호판수용부로 돌출될 수 있게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나란하게 상기 연결부에 대해 절곡 연장되는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에 대해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고정부 및 가동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상호 접촉면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가 삽입방향과 반대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분리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상호 접촉면에서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로부터 삽입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편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번호판의 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상기 번호판수용부를 향해 절곡된 측면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구간은 상기 측면지지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일 변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대향측 변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 측에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판의 저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접촉가능하게 각각 절곡된 삽입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구간, 상기 수직구간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구간 및 상기 수평구간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구간에는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절곡된 절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베이스판의 번호판수용부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삽입된 번호판을 탄성고정부재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번호판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 및 탄성고정부재에 의해 번호판이 고정되고 볼트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탄성고정부재를 분리하고, 상기 번호판수용부로부터 상기 번호판을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번호판을 분리할 수 있어, 상기 볼트 체결방식에 비해 번호판의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탄성고정부재는 번호판의 가압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번호판을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내부에 기울여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번호판은 볼트 체결작업을 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번호판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탄성고정부재는 번호판의 가압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이 차량의 미리 설정된 장소에 매입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번호판의 설치(장소)의 제약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이 매입 설치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판 및 번호판의 손상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도중 상기 탄성고정부재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고정돌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2고정돌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전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번호판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번호판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탄성고정부재영역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탄성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분리방지부의 변형례,
도 16은 도 12의 탄성고정부재의 변형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분리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베이스판의 고정돌기 및 탄성고정부재영역의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베이스판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번호판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등록번호(114)가 표시되는 번호판(110);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하고, 차량(10)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30); 및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191) 및 상기 고정부(19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영역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201)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1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상기 차량(10)의 지정된 장소, 예를 들면, 상기 차량(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번호판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규정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직사각 판 형상의 바디(112), 상기 바디(112)에 표시되는 차량등록번호(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량등록번호(114)는 상기 차량(10)의 종류별로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차량등록번호(114)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12)의 표면에 돌출되게 양각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예를 들면, 상기 바디(112)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게 양각된 테두리선(11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상기 차량(10)에 결합되는 베이스판(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의 결합 전에, 상기 번호판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을 두께방향을 따라 수용할 수 있게 함몰된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132)는 상기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는 상기 차량(10)에 결합되는 볼트(137)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1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30)이 상기 차량(1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135)은 상기 차량(10)에 결합되는 볼트(137)의 개수에 비해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10)의 종류 별로 상기 볼트(137)가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상기 베이스판(130)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135)은, 예를 들면, 일 측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볼트(137)의 위치의 편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테두리에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1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돌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테두리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단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양 단부 중 상기 탄성고정부재(190)가 결합되는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와 대향되는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은 도면상 좌측 단부를, 먼저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도면 상 우측 단부를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에 접촉 및 가압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장변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151) 및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단변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1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고정돌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고정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돌기(151)는,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 시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1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152)은, 예를 들면, 상기 제1고정돌기(151)의 상기 탄성고정부재(190) 측을 향해 입구가 넓어질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돌기(153)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 시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15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번호판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는,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191) 및 상기 고정부(19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201)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201)는 상기 번호판(110)의 일 단부가 접촉되어 가압되는 경우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번호판(110)을 통과시킨 후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01)는 상기 초기 위치 복귀 시 자유단부가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고정부(191)는, 예를 들면, 상면부(192a), 상기 상면부(192a)의 양 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측면부(192b) 및 상기 측면부(192b)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저면부(192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92a)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면부(192c)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01)는, 예를 들면, 상기 상면부(192a)에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01)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91)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구간(203) 및 상기 수직구간(203)으로부터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구간(204)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204)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과 접촉 시 상기 번호판(110)의 긁힘 또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부(192a)가 상기 측면부(192b)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상면부(192a)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190)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5)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고정부(191))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146)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측면부(192b))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관통부(146)와 연통되게 절개된 절개부(14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46)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91) 및 측면부(192b)가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46)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48)는, 예를 들면, 상기 관통부(146)의 일 측에 상기 측면부(192b)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각각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48) 사이에는 상기 상면부(192a) 및 양 측면부(192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91)를 지지하는 지지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49)는, 예를 들면, 두께방향으로 절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결합 시 고정부(191)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9)에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결합 시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220)는,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결합 시 상기 상면부(192a)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22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판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방지부(220)가 돌기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고정부재(190) 및 상기 베이스판(130)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미도시) 및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미도시)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가동부(201)가 탄성 변형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1)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우측 단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1)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와 연통되고 외측으로 확장되게 절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탄성고정부재(190)를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탄성고정부재(190)를 상기 관통부(146)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측면부(192b)를 상기 절개부(148)에 각각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190)를 상기 수용부(141)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측면부(192b)는 상기 절개부(148)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동부(201)는 상기 수용부(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볼트(137)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의 번호판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10)에 결합된 상기 베이스판(130)에 상기 번호판(11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번호판(110)의 좌측 단부를 상기 제1고정돌기(151)의 우측에 접근되게 기울이고, 상기 번호판(110)을 상기 제1고정돌기(151)의 하측으로 삽입한다.
상기 번호판(110)을 도면상 좌측으로 계속 삽입하면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가동부(201)와 접촉된다.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가동부(201)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190)의 가동부(201)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경사구간(204)의 절곡부는 상기 번호판(110)과 접촉시 상기 번호판(110)의 표면의 긁힘(스크래치) 또는 찍힘 등 손방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등록번호(114)가 표시되는 번호판(110);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하고, 차량(10)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30); 및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251) 및 상기 고정부(25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영역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261)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2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금속부재로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번호판(110)은, 금속부재의 바디(112) 및 상기 바디(112)에 표시되는 차량등록번호(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합성수지부재로 작사각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번호판(110)을 수용할 수 있게 함몰된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250)는, 상기 베이스판(130)에 고정되는 고정부(251) 및 상기 고정부(251)에 대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2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1)는 대략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61)는 상기 고정부(251)의 일 측에서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261)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61)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251)의 일 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구간(263) 및 상기 수직구간(263)에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경사구간(26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265)의 단부는 원형, 원호형 또는 곡면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26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과 접촉 시 상기 번호판(110)의 표면이 상기 경사구간(265)의 단부에 의해 긁힘 또는 찍힘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에는, 상기 가동부(261)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용부(141); 및 상기 고정부(251)가 결합되는 결합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1)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테두리를 외측으로 확장되게 절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1)는, 상기 탄성고정부재(250)(가동부(261))가 외측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41)의 외측벽은 상기 가동부(261)가 상기 번호판(110)이 삽입 시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가동부(261)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141)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일 단변부(도면상 우측 단변부)를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취하여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수용부(141)의 위치 및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는, 상기 고정부(251)의 변부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부(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5)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가동부(261)가 상기 수용부(14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51)의 적어도 일 측 변부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5)는,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고정부(251)의 양 측 변부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5)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구간(176) 및 상기 수직구간(176)에서 절곡된 수평구간(177)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5)의 수직구간(176)은 상기 고정부(25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구간(177)은 상기 고정부(25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수용부(141)측으로 접근 및 이격이 가능하고 횡방향 이동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1)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고 상기 삽입부(175)가 형성되는 함몰부(17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고정부재(250)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73)는 상기 수용부(141)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73)의 저부면과 상기 수용부(141)의 저부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여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와 상기 베이스판(1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분리 방지를 위한 분리방지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280)는, 예를 들면, 상기 함몰부(173)와 상기 고정부(251)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기(281) 및 상기 돌기(281)를 수용할 수 있게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28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81)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130)의 함몰부(173)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283)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고정부(25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283)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251)에 상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가 상기 함몰부(173)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283)가 상기 고정부(251)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돌기가 상기 고정부(251)에 하향 돌출되고 상기 돌기수용부가 상기 함몰부에 하향 함몰되거나 관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번호판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탄성고정부재(250)를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가동부(261)가 상기 수용부(141)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고정부(251)의 양 측 변부를 상기 삽입부(175)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251)를 상기 수용부(14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고정부(251)는 상기 삽입부(175)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141)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가동부(261)는 상기 수용부(14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61)가 상기 수용부(141)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281)가 상기 돌기수용부(28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고정부재(250)는 판면방향을 따른 전후, 좌우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30)에 상기 번호판(11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베이스판(130)이 상기 볼트(137)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110)은 좌측 단부를 기울여 상기 제1고정돌기(151)의 우측 하측으로 삽입되어 좌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좌측 단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부재(250)(경사구간(26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를 상기 탄성고정부재(250)를 향해 가압하면, 상기 가동부(261)는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는 하향 이동되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261)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의 상기 초기위치 복귀 시, 상기 가동부(261)의 경사구간(265)은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265)의 절곡부(267)는 상기 번호판(110)의 표면과 접촉 시 상기 탄성고정부재(250)에 의한 상기 번호판(110)의 긁힘 또는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탄성고정부재영역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탄성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등록번호(114)가 표시되는 번호판(110);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하고, 차량(10)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30); 및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 및 상기 고정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영역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321)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310a);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금속부재로 직사각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합성수지부재로 직사각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번호판(110)을 수용할 수 있게 번호판수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장변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151) 및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일 측 단변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돌기(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가 상기 베이스판(130)의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삽입부(162); 및 상기 가동부(321)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로 돌출될 수 있게 관통 형성된 관통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2)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130)의 일 측 변부(도면상 우측 단부)에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가동부(321)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2)는, 예를 들면, 상기 가동부(321)가 삽입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결합시 상기 가동부(321)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64)는, 상기 번호판수용부(132) 및 상기 삽입부(162)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삽입부(162)를 통해 삽입된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가동부(321)가 상기 관통부(164)를 통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고정부(311) 및 가동부(321)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321)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6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6)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13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6)는, 예를 들면, 상기 삽입부(162)의 일 측에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저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는,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는, 판 상의 금속부재를 소성 변형되게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는,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 및 상기 고정부(311)에 대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영역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321) 및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가동부(321)를 연결하는 연결부(3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11)는 직사각 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1)는 상기 고정부(311)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331)의 단부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고정부(311)와 거의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가동부(321) 사이에 상기 지지부(166)가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6)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가동부(321)의 결합 전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공차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166)는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가동부(321) 사이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연결부(331)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수직구간(322a) 및 상기 수직구간(322a)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사구간(322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322b)은 단부에 원형, 원호형 또는 곡면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의 표면의 손상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와 상기 베이스판(1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350)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에 삽입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편(35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51)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의 판면을 'U'형상으로 절개한 후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부(321)를 향해 돌출되게 절곡(소성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51)의 일 측에는 관통공(3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도 13의 분리방지부의 변형례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방지부(360)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66)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상호 접촉면에서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는 돌기(361) 및 상기 돌기(361)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3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61)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61)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66)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363)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363)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363)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311)에 일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361)가 상기 지지부(166)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363)가 상기 고정부(311)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돌기를 상기 고정부(311)에 형성하고 상기 돌기수용부를 상기 지지부(166)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를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베이스판(130)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부(166)가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고정부(311) 및 가동부(321) 사이에 삽입되게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6)가 상기 고정부(311)와 가동부(321)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삽입부(162)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경사구간(322b)이 상기 관통부(164)를 통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51)은 상기 지지부(166)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결합 완료시 상기 고정부(311)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가 분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볼트(137)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을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번호판(110)의 좌측 단부를 기울여 상기 제1고정돌기(151)의 우측 단부 하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번호판(110)을 좌측으로 가압하여 제2고정돌기(153)의 하측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좌측 단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는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경사구간(322b)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를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의 가동부(321)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번호판(110)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a)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경사구간(322b)은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도 12의 탄성고정부재의 변형례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부재(310b)는,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되는 고정부(311), 상기 고정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영역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구비되어,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321) 및 상기 고정부(311)와 상기 가동부(321)를 연결하는 연결부(3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는 판 상의 금속부재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소성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는 직사각 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1)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의 일 단부에 거의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연결부(331)의 단부에 상기 고정부(311)와 나란하게 배치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11)는 상기 삽입부(162)의 내벽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331)는 상기 고정부(311)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연결부(33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 연결부(331) 및 가동부(321)는, 예를 들면, 상기 삽입부(162)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와 상기 베이스판(130)의 결합이 공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321)는,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331)에 수직하게 절곡되는 수직구간(322a) 및 상기 수직구간(322a)에서 상기 번호판수용부(1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구간(322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321)는, 상기 번호판(11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번호판(110)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2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부(323)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직구간(322a)에서 상기 관통부(164)를 통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번호판(110)과 상기 측면지지부(323)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번호판(110)의 판면 방향 유격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322b)은 상기 측면지지부(323)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 및 상기 베이스판(1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350)는, 예를 들면,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에 삽입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편(35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51)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의 상기 걸림편(351)의 일 측에는 관통공(3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를 상기 베이스판(13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베이스판(130)의 후방에서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의 고정부(311) 및 가동부(321)는 상기 삽입부(162)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를 계속해서 삽입하면 상기 가동부(321)의 경사구간(322b) 및 측면지지부(323)가 상기 관통부(164)를 통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51)은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부(162)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30)이 상기 차량(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좌측 단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번호판(110)의 우측 단부가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의 경사구간(322b)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호판(110)을 가압하면 상기 가동부(321)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번호판(110)은 상기 번호판수용부(13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부재(310b)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경사구간(322b)의 절곡부(322c) 및 측면지지부(323)는 상기 번호판(110)의 표면 및 측면과 각각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의 판면 방향 및 두께방향의 유격 발생이 각각 억제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등록번호(114)가 표시되는 번호판(110);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는 번호판수용부(412)를 구비하고,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410);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11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30); 및 상기 베이스판(410)에 결합되는 고정부(451) 및 상기 고정부(45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번호판(110)에 의한 가압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에 수용되게 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 시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번호판(1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가동부(461)를 구비한 탄성고정부재(4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바디(112) 및 상기 바디(112)에 표시되는 차량등록번호(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2)에는, 예를 들면 테두리선(116)이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테두리선(116)은, 상기 직사각 판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바디(112)의 각 변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410)은,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은,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번호판수용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부재를 프레스 등의 금속가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4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에는 문자 및 도형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42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42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410)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42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호 및/또는 로고가 표시된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420)에는, 예를 들면, 상호 및/또는 로고가 양각 또는 음각 등의 방법으로 제작 시 일체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표시부(420)가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위치 및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내부에는 상기 차량(10)(의 번호판장착부(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37)가 삽입 결합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공(415)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415)은 차량별로 고유하게 형성되는 볼트결합부에 대응되게 복수의 개소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베이스판(410)이 다양한 차종에 장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내부에는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의 강성 보강을 위해 보강부(4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417)는, 예를 들면,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41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418)는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깊이 및 모양을 가지게 복수 개(예를 들면, 제1함몰부(418a) 및 제2함몰부418b))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417)가 함몰부(418)를 구비하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보강용 비드(미도시)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에는 상기 번호판(110)의 일 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고정돌기(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일 측 장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구간(431a) 및 상기 돌출구간(431a)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구간(431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430)는,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하측 장변부에 3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 및 위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가동부(461)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40)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돌기(430)의 대향측 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하측 장변부에 형성된 고정돌기(430)의 대향측 변부인 상측 장변부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고정돌기(430)의 위치 변경 시 상기 수용부(440)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4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상측 장변부에 상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탄성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부재(45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410)에 고정되는 고정부(451) 및 상기 고정부(451)에 대해 탄성변형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부(4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51)는, 예를 들면, 사각 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461)는, 상기 고정부(451)의 일 측 변부에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451)는, 상기 베이스판(410)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461)는 상기 베이스판(410)의 바닥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461)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45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구간(462a), 상기 수직구간(462a)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구간(462b) 및 상기 수평구간(462b)으로부터 상기 고정부(451)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구간(462c)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51)의 일 측(도면상 상측 변부)에는 상기 가동부(46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구비하여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구간(4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461)는 상기 연장구간(452)의 단부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구간(462a)의 하단은 상기 연장구간(45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462c)은, 예를 들면, 상기 수평구간에 대해 100도 내지 120도의 내각(θ1)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462c)은, 예를 들면, 상기 수평구간에 대해 110도의 내각(θ1)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구간(462c)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번호판(110)으로부터 이격되게 절곡된 절곡부(462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62d)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또는 상기 번호판(110))에 대해 16도 내지 26도의 경사각(θ2)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462d)는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또는 상기 번호판(110))에 대해 21도의 경사각(θ2)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62d)는, 상기 번호판(110)의 테두리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62d)는 상기 번호판(110)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의 수평방향 유격 발생 및 수직방향 유격 발생을 모두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440)의 일 측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고정부(451)가 결합되는 결합부(4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70)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451)의 양 측에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판(410)의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451)의 상면(외면, 전면)에 접촉가능하게 각각 절곡된 한 쌍의 삽입부(4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삽입부(480)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4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구간(481a) 및 상기 수직구간(481a)으로부터 절곡된 수평구간(481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80)의 일 측에는 상기 삽입부(480)의 형성을 위한 관통공(4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80)의 일 측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결합 시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부(4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485)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분리방지돌기(485a)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돌기(485a)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의 배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485)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결합 시 상기 고정부(451)의 후단(도면상 하측 변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탄성고정부재(450)가 상기 삽입부(480)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방지부(485)가 2개의 분리방지돌기(485a)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그 개수 및 형태는 목적에 부합되게 적절히 조절 및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은 도 19의 베이스판의 고정돌기 및 탄성고정부재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베이스판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의 번호판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10)은 금속부재를 프레스가공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번호판수용부(412)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하측 장변부에는 상기 고정돌기(43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상측 장변부에는 복수의 수용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 수용부(440)에 대응되게 결합부(47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결합부(470)에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각 고정부(451)가 각각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고정부(451)의 상기 가동부(461)측 단부를 상기 삽입부(480)의 하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고정부(451)의 양 모서리를 상기 삽입부(48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451) 및 삽입부(480)가 미세하게 각각 탄성변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가동부(461)를 잡고 상기 탄성고정부재(450)를 상기 수용부(440)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고정부(451)의 양 측 변부가 상기 각 삽입부(48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한편, 상기 각 탄성고정부재(450)가 해당 결합부(470)에 각각 결합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장변부를 상기 고정돌기(430)의 입구를 향하게 상기 번호판(110)을 기울여 상기 고정돌기(43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장변부는 상기 각 탄성고정부재(450)의 경사구간(462c)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호판(110)의 상기 각 탄성고정부재(450)영역을 상기 번호판수용부(412)측으로 각각 가압하면, 상기 각 탄성고정부재(450)의 경사구간(462c)이 상기 수직구간(462a)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변부는,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구간(462c)과 상기 절곡부(462d)의 경계영역은 상기 번호판(110)의 테두리선(116)의 외측(상측 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절곡부(462d)는 상기 번호판(110)의 테두리선(116)의 외측의 단부(상기 바디(112)의 상단부)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변부(상기 바디(112)의 하측 단부)는, 상기 고정돌기(430)의 돌출구간(431a)에 접촉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의 테두리선(116)은 절곡구간(431b)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변부는 상기 탄성고정부재(450)의 경사구간(462c) 및 절곡부(462d)에 의해 수평방향 유격 및 수직방향 유격이 모두 억제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변부는 상기 고정돌기(430)의 돌출구간(431a) 및 절곡구간(431b)에 의해 수평방향 유격 및 수직방향 유격 발생이 모두 억제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각 실시예의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삽입 결합 시 탄성변형이 가능하지만, 미리 설정된 요건에 부합되는 지지강도를 구비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번호판의 결합 후, 차량의 주행 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번호판이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 및/또는 효과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번호판의 분리가 용이하다고 하는 것은, 상기 번호판이 미리 설정된 방식(예를 들면, 적절한 공구를 이용한 분리 방식)에 의한 분리 시,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불시(의도하지 아니함)에 분리되는 것이 쉽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 및 도시한 각 실시예의 고정돌기 및 탄성고정부재의 위치, 개수 및 크기는 상기 번호판의 체결력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 15 : 번호판장착부
110 : 번호판 114 : 차량들록번호
130,410 : 베이스판 132, 412 : 번호판수용부
135, 415, 482 : 관통공 137: 볼트
141 : 수용부 145,470 : 결합부
146,164 : 관통부 148 : 절개부
149,166 : 지지부 150, 430: 고정돌기
151: 제1고정돌기 153: 제2고정돌기
162,175, 480 : 삽입부
190,250,310a,310b, 450 : 탄성고정부재
191,251,311,451 : 고정부
201,261,321, 461 : 가동부
220,280,350,360,485 : 분리방지부

Claims (20)

  1.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테두리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일측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향하여 회동시 상기 번호판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호 마주하는 상기 테두리부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향하여 회동시 상기 번호판의 타측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번호판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경사부는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각도는 100도 내지 12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번호판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은,
    직사각판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는 번호판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번호판 테두리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결합장치.
  12.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번호판 수용부;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일 측에서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 측을 덮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타 측에 구비되는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번호판의 일측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향하여 회동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번호판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테두리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며,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수용부는,
    상기 번호판이 안착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바닥면에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의 타측에서 상기 테두리의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와 서로 기설정된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5.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를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테두리부의 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 인입되도록 탄성 변형되었다가,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수용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번호판의 전면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이 안착되는 바닥면; 및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향하여 회동시 상기 번호판의 타측은 상기 경사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동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번호판의 타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와 기 설정된 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번호판과 접촉하여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180150020A 2017-03-23 2018-11-28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37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40A KR20220050100A (ko) 2017-03-23 2022-03-14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67 2017-03-23
KR20170037067 2017-03-23
KR1020180086796A KR101925345B1 (ko) 2017-03-23 2018-07-25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96A Division KR101925345B1 (ko) 2017-03-23 2018-07-25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48A Division KR102112447B1 (ko) 2017-03-23 2019-04-11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220031640A Division KR20220050100A (ko) 2017-03-23 2022-03-14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348A true KR20180133348A (ko) 2018-12-14
KR102375942B1 KR102375942B1 (ko) 2022-03-18

Family

ID=6307805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35A KR101883988B1 (ko) 2017-03-23 2017-05-23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180086796A KR101925345B1 (ko) 2017-03-23 2018-07-25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180150020A KR102375942B1 (ko) 2017-03-23 2018-11-28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190042548A KR102112447B1 (ko) 2017-03-23 2019-04-11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220031640A KR20220050100A (ko) 2017-03-23 2022-03-14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35A KR101883988B1 (ko) 2017-03-23 2017-05-23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180086796A KR101925345B1 (ko) 2017-03-23 2018-07-25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48A KR102112447B1 (ko) 2017-03-23 2019-04-11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220031640A KR20220050100A (ko) 2017-03-23 2022-03-14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88398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179A (ko) * 2017-03-23 2019-04-17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995473B1 (ko) 2019-05-03 2019-10-01 신윤재 차량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00124580A (ko) * 2019-04-24 2020-11-03 강종균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10046963A (ko) * 2019-10-21 2021-04-29 황선재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20220029325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20220029324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20220029326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2022-11-09 2023-04-11 조태환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23B1 (ko) * 2018-05-10 2019-09-02 강종균 차량번호판을 간단한 방법으로 장착 가능토록 한 보호판
KR200492711Y1 (ko) * 2018-11-14 2020-11-27 이문기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KR102184008B1 (ko) * 2018-12-04 2020-11-27 강종균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번호판 장착대
KR101979441B1 (ko) * 2018-12-27 2019-05-16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101993576B1 (ko) * 2019-01-28 2019-06-26 심재국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2246753B1 (ko) * 2019-07-09 2021-04-29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295983B1 (ko) * 2019-07-09 2021-08-30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110555B1 (ko) * 2019-08-16 2020-06-08 조선행 전기자동차용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KR20220005937A (ko) 2020-07-07 2022-01-14 윤주영 차량 센서 부착용 브라켓
KR102311633B1 (ko) * 2020-07-27 2021-10-08 이동준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KR102327485B1 (ko) * 2020-09-03 2021-11-16 이동준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KR102458792B1 (ko) 2021-01-14 2022-10-26 (주)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53U (ko) * 1994-04-19 1995-11-20 김우성 차량번호판의 보조판
KR200161908Y1 (ko) 1996-12-12 2000-01-15 김태구 강성이 보강된 차량 번호판의 차체 체결구조
KR100309347B1 (ko) 1999-07-02 2001-09-26 이계안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EP1661763A1 (en) * 2004-11-29 2006-05-31 Johannes Abraham Ehrensperger License plate holder and method of mounting a license plate
KR200437980Y1 (ko) * 2007-02-23 2008-01-15 한국뷔르트주식회사 차량용 번호판 보조대
JP2011084142A (ja) * 2009-10-14 2011-04-28 Honda Motor Co Ltd ライセンスプレート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63Y1 (ko) * 1993-02-23 1994-10-19 채종천 차량의 번호판 장식프레임
KR20050023854A (ko) * 2003-09-03 2005-03-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구조
KR200381620Y1 (ko) * 2005-01-24 2005-04-14 주식회사 삼디월드 자동차 보조 번호판 홀더
KR100643958B1 (ko) * 2005-07-16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1883988B1 (ko) * 2017-03-23 2018-07-31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53U (ko) * 1994-04-19 1995-11-20 김우성 차량번호판의 보조판
KR200161908Y1 (ko) 1996-12-12 2000-01-15 김태구 강성이 보강된 차량 번호판의 차체 체결구조
KR100309347B1 (ko) 1999-07-02 2001-09-26 이계안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EP1661763A1 (en) * 2004-11-29 2006-05-31 Johannes Abraham Ehrensperger License plate holder and method of mounting a license plate
KR200437980Y1 (ko) * 2007-02-23 2008-01-15 한국뷔르트주식회사 차량용 번호판 보조대
JP2011084142A (ja) * 2009-10-14 2011-04-28 Honda Motor Co Ltd ライセンスプレート取付構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179A (ko) * 2017-03-23 2019-04-17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20200124580A (ko) * 2019-04-24 2020-11-03 강종균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101995473B1 (ko) 2019-05-03 2019-10-01 신윤재 차량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10046963A (ko) * 2019-10-21 2021-04-29 황선재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20220029325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20220029324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20220029326A (ko) * 2020-08-28 2022-03-08 (주) 대성글로벌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2022-11-09 2023-04-11 조태환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942B1 (ko) 2022-03-18
KR101925345B1 (ko) 2018-12-05
KR101883988B1 (ko) 2018-07-31
KR102112447B1 (ko) 2020-05-19
KR20190040179A (ko) 2019-04-17
KR20180108519A (ko) 2018-10-04
KR20220050100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345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875734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993576B1 (ko)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JP2017171167A (ja) センサブラケット
KR200492711Y1 (ko)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US20210323483A1 (en) Bracket for vehicle mount device
KR102458792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US20040262479A1 (en) Mounting assembly
JP2010011723A (ja) 保持具
US20200346593A1 (en) Fitting structure
KR101995473B1 (ko) 차량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US7100247B2 (en) Clip fixing structure
KR20220029326A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WO2020162107A1 (ja) ユニット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05133783A (ja) クリップ
JP6718611B2 (ja) カッター用の替刃及びカッター
US4969187A (en) Telephone set
JP2011094754A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2735007B2 (ja) 収納トレー
JP6435367B2 (ja) ラックにおけるアングルと棚板との固定構造
KR102439139B1 (ko) 자동차 번호판 고정장치
KR20220029325A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JP2007022241A (ja) バンパ取付構造
KR102454885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