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753B1 -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753B1
KR102246753B1 KR1020190082720A KR20190082720A KR102246753B1 KR 102246753 B1 KR102246753 B1 KR 102246753B1 KR 1020190082720 A KR1020190082720 A KR 1020190082720A KR 20190082720 A KR20190082720 A KR 20190082720A KR 102246753 B1 KR102246753 B1 KR 10224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sliding member
sliding
bas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738A (ko
Inventor
황선준
Original Assignee
황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준 filed Critical 황선준
Priority to KR102019008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7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조작하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번호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FOR NUMBER PLAT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번호판을 차량에 결합할 때에 이용가능한 보조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은, 차량별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차량등록번호를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에 타각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의 번호판은, 통상 차량의 지정된 장소,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부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번호판은, 볼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부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에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 및/또는 손상이 발생된 경우, 번호판의 교체가 더욱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5734(공고일: 2018.07.09.)에서는 탄성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번호판을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하는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의 번호판은 교체 시,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볼트를 분리하고, 새로운 번호판을 장착한 뒤 다시 볼트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교체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번호판의 부착 및 교체시에 조작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한다.
JP 2011084142 A KR 101875734 B1
따라서, 본 발명은, 번호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고, 교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호판의 장착 및 교체시에 조작이 용이한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번호판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조작부와 제한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조작하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한부 및 조작부가 배치되는 슬라이딩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덮개부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의 측벽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분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부분을 탄성가압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홈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는 것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된다.
상기 조작부의 자유단이 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스프링의 어느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1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며, 번호판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일 측에서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 측을 덮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번호판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어 상기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번호판이 걸림되는 제1상태와, 상기 제1상태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는 제2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한부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조작부가 상기 제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를 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번호판의 일측이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번호판의 타측이 상기 고정돌기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제한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번호판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제한부는 번호판의 가압에 의해 밀려났다가 번호판이 설치 위치로 들어가면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하여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한다. 따라서, 고정돌기에 걸림된 번호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번호판을 회동 및 가압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번호판이 번호판 결합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한부가 고정돌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이동에 의해 번호판의 걸림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나아가, 조작부가 제한부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테두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번호판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이 조작부를 통하여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기존의 볼트 체결방식에 비해 번호판의 분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부가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구조를 통하여, 제한부가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하지 않는 해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조작부의 자유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조작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구조를 통하여 제한부의 이동에 대한 제어가 매우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가 테두리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번호판을 설치 위치로 삽입한 후에 상기 걸림을 해제하면, 제한부가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번호판이 제한부를 가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번호판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에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고, 테두리부에 이동홈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가 컴팩트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과 슬라이딩 부재의 각각 스프링의 수용홈을 형성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돌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
도 5은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에서 번호판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3 은 도 12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슬라이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는, 차량의 번호판이 장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번호판(110)은, 상기 차량(10)의 지정된 장소, 예를 들면, 상기 차량(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번호판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00)은, 규정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 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번호판(110)은, 직사각 판 형상의 바디(112)와, 상기 바디(112)에 표시되는 차량등록번호(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량등록번호(114)는 상기 차량(10)의 종류별로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차량등록번호(114)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112)의 표면에 돌출되게 양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차량등록번호(114)는 상기 바디(112)의 표면에 함몰되게 음각될 수 있다.
상기 번호판(110)은, 예를 들면, 상기 바디(112)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게 양각된 테두리선(116)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번호판(110)이 결합되는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판(130) 및 테두리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차량(10)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판(130)에는 상기 번호판(1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의 결합 전에, 상기 번호판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판(1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을 수용할 수 있게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번호판 수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는 상기 번호판(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번호판(110)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문자 및 도형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110)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부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상호 및/또는 로고가 표시된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31)는 상기 베이스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30)과 함께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는 상기 차량(10)에 결합되는 체결요소(137)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요소(137)는 볼트, 핀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30)이 상기 차량(1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135)은 상기 차량(10)에 결합되는 체결요소(137)의 개수에 비해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요소(137)가 볼트인 경우에, 차량(10)의 종류 별로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 상기 베이스판(130)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135)은, 예를 들면, 일 측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요소(137)의 위치의 편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30)은 상기 체결요소(137)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의 번호판 장착부(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차량(10)에 결합된 상기 베이스판(130)에 상기 번호판(110)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테두리부(131) 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1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돌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1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테두리부(131)의 일측에서 상기 테두리부(131)의 타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테두리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돌기(150)는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테두리부(131)나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가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장변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단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변부는 번호판 수용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 측 변부를 지칭하며, 여기서 길이방향은 상기 베이스판(130)에서 보다 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단변부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부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장변부 및 단변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돌기(150)가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장변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상측 변부와 하측 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돌기(150)가 하측 변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하측 변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테두리부(131)의 측벽 및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이 상기 번호판(110)의 일측이 삽입 배치되는 배치 공간 또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0)는 테두리부(131)에서 돌출되거나 테두리부(131) 또는 베이스판(130)에 결합되고,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일측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50)는, 상기 테두리부(131)에서 돌출되는 돌기(151)와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 시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1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152)은, 예를 들면, 상기 테두리부(131)의 타측을 향하여 상기 배치 공간의 입구가 넓어질 수 있게 상기 돌기(151)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안내면(152)을 통하여,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 시 상기 번호판(110)의 삽입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면상 상기 번호판(110)의 하측 변부를, 먼저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한 후에,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변부를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상기 번호판(110)을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번호판(110)의 상측 변부가 슬라이딩 부재(19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2의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1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150)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베이스판(130)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거나 고정돌기(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번호판(110)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제한부(191)를 구비하며, 상기 제한부(191)는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60)을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한부(191)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항햐여 탄성력을 받아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스프링, 자기력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상기 제한부(191)가 배치되는 슬라이딩 몸체(19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가 상기 베이스판(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의 일면에서 상기 제한부(19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한부(191)가 구현되도록, 상기 제한부(191)의 일측에는 관통공(19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91)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191a)와 상기 번호판을 덮도록 상기 수직부(191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번호판을 고정하는 고정부(19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부(191b)는 상기 수직부(191a)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91b)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110)과 접촉 시 상기 번호판(110)의 긁힘 또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돌기(150)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191)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19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94)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에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194)를 당기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 및 상기 제한부(19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194)에 대한 당김을 중지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한부(191)도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슬롯(1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은 상기 베이스판(상기 번호판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걸림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의 이동 범위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60)이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는 상기 제한부(19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분(192a)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2부분(19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제1부분(192a)을 탄성가압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부분(192b)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한부(191)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93)은 상기 제1부분(192a)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상기 조작부(194)는 상기 제2부분(192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94)는 외부의 공구에 걸림되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가능하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131)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과 연통되는 이동홈(136)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194)가 상기 이동홈(13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홈(136)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의 하단부에서 테두리부(131)를 절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홈(136)은 상기 테두리부(131)의 측벽에서 외부를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부(194)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홈(136)과 연결되는 관통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7)은 상기 이동홈(136)의 일측벽에서 상기 테두리부(13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137)과 상기 이동홈(136)은 각각 상기 조작부(194)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137)을 통하여 외부의 공구가 상기 테두리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194)에 걸림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의 슬라이딩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192)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덮개부(137)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의 측벽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137)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4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부는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한부(191)는 상기 조작부(194)를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110)으로부터 이격되었다가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수용된 후에 상기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을 덮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에서 번호판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190)가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고정된 제1상태에서는, 제한부(191)가 번호판 수용부(1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번호판(110)의 일측이 고정돌기(150)에 끼워지고, 상기 번호판(110)이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110)의 타측이 상기 제한부(191)를 접촉 가압하게 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191)가 가압되는 제2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한부(191)가 탄성변형이 수반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번호판(110)이 상기 제한부(191)를 통과하고 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는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타측을 가압 또는 접촉하거나 상기 번호판(110)의 전면 타측에 걸림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한부(191)는 자유단부가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상태로 상기 번호판(110)의 전방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번호판(110)을 차량에 볼트 체결을 하지 아니하고,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예시에서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191)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임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191)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조작부를 이용하여 번호판이 번호판 수용부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3상태에서, 사용자는 외부의 공구를 테두리부(131)의 관통홀(137)에 삽입하여, 상기 조작부(194)에 공구를 걸림한다. 이후에, 조작부(194)를 잡아당기면,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가 상기 제4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4상태는 상기 번호판(110)과 상기 제한부(191)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가 이동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4상태에서는 상기 제한부(191)가 상기 번호판(110)과 오버랩되는 것이 해제되므로, 상기 번호판(110)을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를 활용하면, 상기 번호판(110)을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에 결합하는 경우에 다른 조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를 상기 제1상태에서 제4상태로 잡아 당긴 후에, 상기 번호판(110)의 일측을 상기 고정돌기(150)에 끼우고, 상기 번호판(110)을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 수용부(132)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 잡아 당기는 것을 해제하면, 상기 제한부(191)가 상기 제3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번호판(110)을 고정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번호판을 장착하는 경우에,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를 상기 제1상태에서 제4상태로 잡아 당긴 후에, 상기 번호판(110)의 일측을 고정돌기(150)에 끼우고, 회동하여 번호판 수용부(132)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번호판(110)을 번호판 수용부(132)에 수용한 후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을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90)가 이동하여 도 6의 (c)와 같은 제3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번호판(110)의 일측이 고정돌기(150)에 의해 고정되고, 번호판(110)의 타측이 상기 고정돌기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제한부(19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번호판의 결합 및 해제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번호판이 결합되는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판 및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230)은 차량(10, 도 1 참조)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판(230)에는 상기 번호판(2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2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210)의 결합 전에, 상기 번호판장착부(15,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231)는 상기 베이스판(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230)과 함께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230), 테두리부(231) 및 번호판 수용부(232)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지며,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하, 차량(10, 도 1 참조)에 결합된 상기 베이스판(230)에 상기 번호판(210)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테두리부(231) 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2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돌기(150, 도 2,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예시에서도, 도면상 상기 번호판(210)의 하측 변부를, 먼저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한 후에, 상기 번호판(210)의 상측 변부를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상기 번호판을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번호판(210)의 상측 변부가 슬라이딩 부재(29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번호판(210)이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150)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2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베이스판(230)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거나 고정돌기(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번호판(210)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제한부(291)를 구비하며, 상기 제한부(291)는 상기 번호판(210)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2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60)을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한부(291)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항햐여 탄성력을 받아 상기 번호판(210)의 전면 타측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60)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스프링, 자기력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상기 제한부(291)가 배치되는 슬라이딩 몸체(29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가 상기 베이스판(2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일면에서 상기 제한부(29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한부(291)가 구현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291)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291a)와 상기 번호판(210)을 덮도록 상기 수직부(291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번호판(210)을 고정하는 고정부(29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부(291b)는 상기 수직부(291a)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91b)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210)과 접촉 시 상기 번호판(210)의 긁힘 또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29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91c)는 상기 제한부의 끝단이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291b)의 상향 경사가 보다 커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돌기(150)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291)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29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294)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에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294)를 당기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 및 상기 제한부(29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294)에 대한 당김을 중지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한부(291)도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294)는 상기 제한부(291)가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는 것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2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조작부(294)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일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작부(294)의 일측에서 상기 테두리부(2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걸림부(29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294)의 자유단이 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테두리부(2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295)가 상기 자유단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자유단이 굽힘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295)가 회동하게 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231)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2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슬라이딩 슬롯(240)과 연통되는 이동홈(236)이 구비되고, 상기 제한부(291)가 상기 이동홈(23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홈(236)은 상기 테두리부(231)의 측벽에서 외부를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1)에는 상기 걸림부(295)가 관통하여 번호판 결합장치의 외면에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홈(236)과 연결되는 관통홀(2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8)은 상기 이동홈(236)의 일측벽에서 상기 테두리부(23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238)과 상기 이동홈(236)은 각각 상기 조작부(294)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95)가 상기 관통홀(238)을 통과하여 상기 테두리부(231)의 외측벽에 걸림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관통홀(238)에서 상기 걸림부(295)와 대면하는 내주면은 상기 조작부(294)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94)가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홀(238)에 삽입될 수록 상기 조작부(294)에는 굽힘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관통홀(238)을 통과한 후에 복원되어 상기 걸림부(295)가 상기 테두리부(231)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걸림부(295)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231)의 외측벽은 경사진 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294)가 상기 관통홀(238)에 삽입되어 상기 테두리부(231)에 걸림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상기 걸림을 해제하는 외력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230)에는 상기 스프링(260)의 어느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에는 상기 스프링(260)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슬롯(2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은 상기 베이스판(상기 번호판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제1수용홈(241)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는 상기 제한부(29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분(296)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2부분(29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242)은 상기 제1부분(29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242)을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하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전면에는 수용돌기(243)가 원통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제2수용홈(24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수용홈(2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4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수용홈(242)의 단부, 즉 상기 제1부분(296)의 단부를 막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244)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241)에 삽입된다. 이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수용홈(241) 및 제2수용홈(242)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26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제1부분(296)을 압축력으로 탄성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덮개부(245)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의 측벽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2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에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245)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24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판(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한부(291)는 상기 조작부(294)를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두리부(231)에 걸림되었다가, 상기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210)의 전면을 덮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도 8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290)가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고정된 제1상태(도 11의 (a) 참조)에서는, 제한부(291)가 번호판 수용부(2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스프링(260)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슬라이딩 슬롯(240)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 도 11의 (b)와 같이 조작부(294)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당김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가 제4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4상태는 전술한 예시와 유사하게 번호판(210)과 상기 제한부(291)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가 이동한 상태가 된다.
다만,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4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94)의 걸림부(295)가 상기 테두리부(2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294)가 상기 슬라이딩 몸체(29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38)이 상기 조작부(294)와 반대 방향로 경사지므로, 상기 걸림부(295)는 상기 관통홀(238)에 삽입될 수록 더 많이 눌려져서 상기 조작부(294)에 굽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후에, 제4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294)가 상기 관통홀(238)을 통과한 후에 복원되어 상기 걸림부(295)가 상기 테두리부(231)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제4상태에서는 상기 제한부(291)가 상기 번호판(210)과 오버랩되는 것이 해제되므로, 상기 번호판(210)을 상기 번호판 수용부(23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도 11의 (c)와 같이 상기 걸림부(295)에 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부(295)가 상기 테두리부(231)에 걸리는 것을 해제하면, 도 11의 (d)와 같이 상기 제한부(291)가 제3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번호판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3상태는 상기 제한부는 자유단부(210)가 상기 번호판(2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태로, 이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210)의 전방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도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임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번호판을 차량에 볼트 체결을 하지 아니하고,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삽입한 후에, 조작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번호판(210)을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조작부(294)를 잡아당겨 상기 제4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90)를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부(295)가 걸림되고, 상기 번호판(210)과 상기 제한부(291)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번호판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기존의 볼트 체결방식에 비해 번호판의 결함 빛 분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걸림부를 이용하는 구조도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 은 도 12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슬라이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번호판 결합장치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번호판 결합장치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부가 테두리부에 걸리는 부분이 변형된다. 따라서, 본 예시에서는 걸림부가 테두리부에 걸리는 부분 이외에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조작부(394)는 제한부(391)가 번호판(310)의 전면 타측을 덮는 것이 해제된 상태에서 테두리부(3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시와 달리 상기 조작부(394)는 상기 관통홀(338)의 내측벽에 걸림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조작부(394)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392)의 일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392)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작부(394)의 일측에서 상기 테두리부(3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걸림부(39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대한 걸림이 가능하도록 이동홈(336)과 연결되는 관통홀(3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8)은 상기 이동홈(336)의 일측벽에서 상기 테두리부(33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에, 상기 관통홀(338)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영역(338a)은 상기 이동홈(336)과 연통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338b)은 상기 제1영역(338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영역(338a)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걸림부(395)가 걸릴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영역(338a)은 상기 조작부(394)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1영역(338a)에 삽입될 수록 상기 조작부(394)에는 굽힘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제1영역(338a)을 통과한 후에 복원되어 상기 걸림부(395)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도, 상기 조작부(394)의 자유단이 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영역(338b)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331)를 상기 제2영역(338b)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작홀(3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홀(339)로 공구를 삽입하면, 상기 걸림부(395)가 가압되어 상기 자유단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490)의 조작부(494)는 제1부분(494a), 제2부분(494b) 및 제3부분(494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494a)은 슬라이딩 몸체(49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49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부분(494b)은 상기 제1부분(494a)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3부분(494c)은 상기 제2부분(494b)에서 상기 제1부분(494a)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494c)에 걸림부(49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도 전술한 걸림 및 해제의 동작이 모두 가능한 구조로서 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탄성력을 부가하는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번호판이 결합되는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판(530) 및 테두리부(53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530)은 차량(10, 도 1 참조)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판(530)에는 번호판(510, 도 18 참조)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5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510)의 결합 전에, 상기 번호판장착부(15,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531)는 상기 베이스판(5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530)과 함께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530), 테두리부(531) 및 번호판 수용부(532)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지며,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테두리부(531) 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5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돌기(150, 도 2,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예시에서도, 도면상 상기 번호판(510)의 하측 변부를, 먼저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한 후에, 상기 번호판(510)의 상측 변부를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상기 번호판을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번호판(510)의 상측 변부가 슬라이딩 부재(59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번호판(510)이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150)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5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베이스판(530)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거나 고정돌기(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슬라이딩 몸체(592), 제한부(591), 조작부(594) 및 걸림부(593) 등을 구비하며, 이들은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지며,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531)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536)과, 상기 걸림부(595)가 관통하여 번호판 결합장치의 외면에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홈(536)과 연결되는 관통홀(5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536) 및 관통홀(538)은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560)을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한부(591)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항햐여 탄성력을 받아 상기 번호판(510)의 전면 타측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6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는 상기 베이스판(53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슬롯(540)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은 상기 베이스판(상기 번호판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 내에 위치하는 스토퍼(561)에서 걸림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이동 범위는 상기 스토퍼(561)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61)는 상기 번호판(510)에 의하여 덮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스프링(560)이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를 상기 스토퍼(561)를 향하여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560)으로 인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항햐여 탄성력을 받아 상기 번호판(510)의 일측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60)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자석 스프링, 유압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에는 상기 스프링(560)을 지지하는 지지벽(56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60)은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와 상기 지지벽(562)에 각각 탄성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은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가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슬롯(541)과 상기 스프링(560)을 수용하는 수용 슬롯(5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슬롯(542)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벽(562)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슬롯(542)은 상기 이동 슬롯(54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562)에서 끼움봉(563)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봉(563)에 상기 스프링(56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끼움봉(563)에 삽입된 스프링(560)과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접촉돌기(598)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는 상기 베이스판(53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598)가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560)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598)에는 상기 끼움봉(563)이 삽입되는 관통홀(59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끼움봉(56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봉(5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564)이 삽입되도도록 상기 접촉돌기(598)에는 상기 관통홀(598a)의 양측에 가이드 홀(598b, 598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561)가 상기 가이드 봉(564)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부(599)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99)는 상기 접촉돌기(598)와 동일하게 하측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양측변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의 적어도 일부에는 걸림돌기(599a)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599)에서 걸림돌기(599a)가 돌출되어, 상기 수용 슬롯(542)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540)의 하단부까지 이동되며, 상기 번호판(5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592)는 상기 스프링(56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토퍼(56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접촉돌기(598)가 상기 스토퍼(56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와 같이, 상기 제한부(591)는 상기 조작부(594)를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두리부(531)에 걸림되었다가, 상기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5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번호판(510)의 전면을 덮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도 15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590)가 스프링(5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고정된 제1상태(도 18의 (a) 참조)에서는, 제한부(591)가 번호판 수용부(5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스프링(560)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가이드봉(564)의 스토퍼(561)에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태에서 도 18의 (b)와 같이 조작부(594)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당김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590)가 제4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4상태에서 상기 조작부(594)의 걸림부(595)가 상기 테두리부(53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될 수 있다.
이후에 도 18의 (c)와 같이 상기 걸림부(595)에 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부(595)가 상기 테두리부(531)에 걸리는 것을 해제하면, 도 18의 (d)와 같이 상기 제한부(591)가 제3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번호판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시에서도 상기 번호판(510)을 차량에 볼트 체결을 하지 아니하고, 상기 번호판 수용부(53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예시에서도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591)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임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태와 제3상태에서 상기 제한부(591)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에서는 번호판이 고정돌기에 먼저 끼워지고, 회동하여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는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번호판이 먼저 슬라이딩 부재에 끼워지고,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시킨 후에 회동하여 고정돌기에 삽입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번호판 결합장치에 번호판이 결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번호판(610)이 결합되는 번호판 결합장치는 베이스판(630) 및 테두리부(63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630)은 차량(10, 도 1 참조)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판(630)에는 번호판(6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630)은,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610)의 결합 전에, 상기 번호판장착부(15,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631)는 상기 베이스판(6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630)과 함께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630), 테두리부(631) 및 번호판 수용부(632)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지며,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부분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테두리부(631) 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의 내부에 삽입된 번호판(610)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고정돌기(150, 도 2,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예시에서, 상기 고정돌기(150)의 반대측에는 슬라이딩 부재(690)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상기 베이스판(63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630)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상기 번호판(610)의 일측에 걸림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면상 상기 번호판(610)의 상측 변부를, 먼저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에 걸림한 후에, 힘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를 상측으로 밀어올렸다가 상기 번호판(610)의 하측 변부를 회동하여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에 상기 번호판(610)을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에, 상기 번호판(6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번호판(610)의 하측 변부가 상기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의 바닥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번호판(610)에 가한 힘을 완전히 제거하면 상기 번호판(610)이 상기 번호판 결합장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150)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6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 부재(690)는 번호판을 고정하므로, 고정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베이스판(630)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 상기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고정돌기(15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번호판(610)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이동부(692)와 후크부(6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92)는 상기 베이스판(63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640)에 배치되며, 상기 슬롯(6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롯(640)은 상기 베이스판(상기 번호판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92)가 상기 슬롯(640) 내에 위치하는 스토퍼(661)에서 걸림되므로, 상기 이동부(692)의 이동 범위는 상기 스토퍼(661)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61)는 상기 번호판(610)에 의하여 덮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슬롯(640)의 일단부는 상기 번호판(6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에 수용되면 상기 번호판(610)에 의하여 덮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640)의 타단부는 상기 번호판(6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에 수용되면 상기 번호판(610)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를 상기 고정돌기(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660)이 상기 이동부(692)를 상기 스토퍼(661)를 향하여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60)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부(692)는 상기 고정돌기(150)를 항햐여 탄성력을 받아 상기 번호판(610)의 일측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660)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자석 스프링, 유압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슬롯(640)에는 상기 스프링(660)을 지지하는 지지벽(66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660)은 상기 이동부(692)와 상기 지지벽(662)에 각각 탄성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640)은 상기 이동부(692)가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슬롯(641)과 상기 스프링(660)을 수용하는 수용 슬롯(6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슬롯(642)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벽(662)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슬롯(642)은 상기 이동 슬롯(64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662)에서 끼움봉(663)이 돌출되며, 상기 끼움봉(663)에 상기 스프링(66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끼움봉(663)에 삽입된 스프링(660)과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접촉돌기(698)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562)는 상기 베이스판(63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698)가 상기 이동부(592)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660)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698)에는 상기 끼움봉(663)이 삽입되는 관통홀(69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끼움봉(663) 및 수용 슬롯(64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는 상기 이동부(69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이동 슬롯(6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슬롯(642)과 이동 슬롯(641)의 사이에는 긴 바 형태의 가이드(66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664)이 삽입되도도록 상기 접촉돌기(698)에는 상기 관통홀(698a)의 양측에 가이드 홀(698b, 698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661)가 상기 가이드(664)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번호판(6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692)는 상기 스프링(66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토퍼(66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접촉돌기(698)가 상기 스토퍼(661)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상기 번호판(610)의 상측에 걸림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후크부(691)가 상기 이동부(69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롯(640)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번호판(610)의 상부에 걸림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692)에서 상기 후크부(69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92)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후크부(691)가 구현되도록, 상기 이동부(692)의 단부에 상기 후크부(6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691)는 상기 번호판(610)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610)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후크부(691)는 상기 이동부(692)의 양측면에서 양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691)는 상기 이동부(692)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태가 될 수 있다. 환원하면, 상기 후크부(691)의 일부분에서 상기 이동부(692)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692)는 상기 후크부(691)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640)도 상기 복수의 이동부(692)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691)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부(692)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691a)와 상기 번호판을 덮도록 상기 수직부(691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번호판을 고정하는 고정부(69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부(691b)는 상기 수직부(691a)로부터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691b)의 단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번호판(610)과 접촉 시 상기 번호판(610)의 긁힘 또는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631)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6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슬롯(640)과 연통되는 이동홈(636)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691)가 상기 이동홈(63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홈(636)은 상기 슬롯(640)의 하단부에서 테두리부(631)를 절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홈(636)은 상기 테두리부(631)의 측벽에서 외부를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691)가 긴 바 형태이므로, 상기 이동홈(636)은 상기 테두리부(631)의 상변 대부분에 형성되도록 상기 테두리부(63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631)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홈(636)과 연결되는 관통홀(6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637)은 상기 이동홈(636)의 상측벽에서 상기 테두리부(63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에, 상기 이동홈(636)의 바닥에는 바닥홀(6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홀(638)은 상기 테두리부(632)를 따라서 상기 슬롯(6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692)는 상기 번호판이 상기 후크부(691)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에 힘을 가하여 상측으로 밀어올렸다가 설치 위치 또는 분리 위치에서 힘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번호판을 번호판 결합장치에 쉽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태에서 상기 번호판(610)의 일측이 슬라이딩 부재(690)의 후크부(691)에 끼워지고, 상기 번호판이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자는 번호판(610)의 상단이 후크부(691)의 삽입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번호판(610)을 비스듬히 밀어넣는다.
상기 번호판(610)의 상단이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번호판(61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690)는 슬롯(64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660)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보다 더 압축된다.
이후, 번호판(610)의 상단을 중심으로 번호판(610)의 하단을 회동시켜, 번호판(610)을 번호판 수용부(632)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번호판(61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610)은 슬라이딩 부재(690)에 의하여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슬롯(640)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따라서, 제4상태로 번호판(610)의 하단은 고정돌기(150)와 상기 번호판 수용부(632) 사이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 상기 번호판(610)의 분리는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각 실시예의 스프링은, 상기 번호판의 삽입 결합 시 탄성변형이 가능하지만, 미리 설정된 요건에 부합되는 지지강도를 구비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번호판의 결합 후, 차량의 주행 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번호판이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 및/또는 효과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번호판의 분리가 용이하다고 하는 것은, 상기 번호판이 미리 설정된 방식(예를 들면, 적절한 공구를 이용한 분리 방식)에 의한 분리 시,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불시(의도하지 아니함)에 분리되는 것이 쉽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 및 도시한 각 실시예의 고정돌기 및 탄성고정부재의 위치, 개수 및 크기는 상기 번호판의 체결력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스프링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조작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한부 및 조작부가 배치되는 슬라이딩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분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부분을 탄성가압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덮개부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의 측벽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조작부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홈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8.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함께 차량등록번호가 표시되는 번호판이 수용되는 번호판 수용부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을 덮도록 상기 테두리부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
    상기 번호판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조작하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번호판의 전면 타측을 덮는 것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자유단이 고정단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스프링의 어느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1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2. 차량에 장착되며, 번호판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일 측에서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 측을 덮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
    상기 번호판의 전면 일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번호판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어 상기 번호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를 상기 고정돌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번호판이 걸림되는 제1상태와, 상기 제1상태로부터 상기 스프링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이 해제되는 제2상태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한부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테두리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조작부가 상기 제한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한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에는 슬라이딩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분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부분을 탄성가압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부분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13. 삭제
KR1020190082720A 2019-07-09 2019-07-09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24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20A KR10224675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20A KR10224675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38A KR20210006738A (ko) 2021-01-19
KR102246753B1 true KR102246753B1 (ko) 2021-04-29

Family

ID=7423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720A KR102246753B1 (ko) 2019-07-09 2019-07-09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85B1 (ko) * 2020-09-03 2021-11-16 이동준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41B1 (ko) * 2018-12-27 2019-05-16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73A (ko) * 2000-12-06 2001-03-05 최은례 가방끈고리
JP4997274B2 (ja) 2009-10-14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イセンスプレート取付構造
KR101875734B1 (ko) 2017-03-23 2018-07-09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883988B1 (ko) * 2017-03-23 2018-07-31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41B1 (ko) * 2018-12-27 2019-05-16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85B1 (ko) * 2020-09-03 2021-11-16 이동준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38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356B1 (en) Head rest support
KR101993576B1 (ko)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2246753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JP2009121633A (ja) 部品取付用のクリップ及び部品の取付構造
US20050212343A1 (en) Head rest apparatus
GB2275465A (en) Cassettes for piles of sheets
JP2014069641A (ja) 部品の取付構造
KR102295983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US20120183342A1 (en) Paper roll fixing device of printer
JP2008179265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154973U (ja) ケーブルロック装置及び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CN105658964A (zh) 用于可逆地组装两个车辆部件的紧固装置和紧固方法
JP5947635B2 (ja) 中留
CN111720531B (zh) 换档装置
US20050104486A1 (en) Detachable device case and top cover mounting structure
CN204809657U (zh) 用于将断路器锁定到导轨的锁定夹子组件
JP4706485B2 (ja) Dinレール取付け構造
US20090025434A1 (en) Buckling assembly and casing structure using the same
WO2013145119A1 (ja) 浴槽用手摺り
EP3342345B1 (en) Scanning imaging device, carrier and carrier positioning device
JP5852860B2 (ja) 部品の固定装置
US20090158787A1 (en) Anti-theft display card structure
JP2003006576A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14403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