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325A -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325A
KR20220029325A KR1020210058019A KR20210058019A KR20220029325A KR 20220029325 A KR20220029325 A KR 20220029325A KR 1020210058019 A KR1020210058019 A KR 1020210058019A KR 20210058019 A KR20210058019 A KR 20210058019A KR 20220029325 A KR20220029325 A KR 20220029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ixing
license plate
fastening
fixing memb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236B1 (ko
Inventor
송승한
송경창
Original Assignee
(주) 대성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성글로벌 filed Critical (주) 대성글로벌
Publication of KR2022002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며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탄성 고정부재(4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복수 개 형성되어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되는 체결부(20), 및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부(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체결봉(50)을 포함한다.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는 차량 번호판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용될 때 차량 번호판에 의한 가압시 탄성 변형되어 차량 번호판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용되게 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차량 번호판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of vehicle license plate}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을 차량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별로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부여된 차량등록번호가 새겨진 차량 번호판은 보통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 등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번호판은 볼트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되는데, 번호판의 교체시 등의 경우 볼트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일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상으로 안좋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하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번호판을 쉽고 빠르게 장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는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상승 등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기 선행기술의 경우 차량 번호판의 일측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돌기에 먼저 삽입 지지한 상태에서 차량 번호판의 타측을 탄성 고정부재에 체결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차량의 구조나 베이스 플레이트가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고정돌기에 먼저 삽입하는 것이 불편할 수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3988호(2018.07.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의 구조나 베이스 플레이트가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관계 없이 차량 번호판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체결이 편리한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수용부와,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탄성 고정부재;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탄성 고정부재; 제1탄성 고정부재와 제2탄성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체결봉을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체결공이 둘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번호판에 의한 가압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차량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되게 하며 초기 위치로 복귀 시 상기 차량 번호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번호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고정부를 포함한다.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로 형성되어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는 장착부 수용부와, 상기 탄성 고정부가 수용되는 탄성 고정부 수용부를 포함한다.
체결봉은,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번호판수용부의 후면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 각각은, 상기 장착부에 탄성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의 장착부의 체결공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장착부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번호판수용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체결공이 관통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장착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봉은,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세로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부 수용부 부근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탄성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봉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봉 지지부는, 상기 체결봉의 세로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로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가로부재가 통과하고 세로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이 완료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로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제1탄성 고정부재와 제2탄성 고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므로, 차량 번호판의 일측 또는 타측을 제1탄성 고정부제 또는 제2탄성 고정부재의 어느 곳에서든 먼저 삽입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차량 번호판을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가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와 체결부를 체결봉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의 체결 편의성이 향상되고 차량 번호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의 전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의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제1탄성 고정부재와 제2탄성 고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에서 제1탄성 고정부재와 제2탄성 고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체결봉을 통해 체결부에 체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차량 번호판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며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탄성 고정부재(4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복수 개 형성되어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되는 체결부(20), 및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상기 체결부(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봉(50)을 포함한다.
미도시된 차량 번호판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볼트 결합이 아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차량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합성수지재(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기 위해 깊이 방향으로 함몰된 번호판수용부(12)와, 번호판수용부(12)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3)를 구비한다. 번호판수용부(12)는 차량 번호판에 대응되게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번호판수용부(12)에는 차량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공은 그 형상과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차량의 종류 별로 볼트가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기 다른 종류의 차량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볼트 결합에 의해 차량에 고정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상기 복수의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20)가 구비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는 차량 번호판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용될 때 차량 번호판에 의한 가압시 탄성 변형되어 차량 번호판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용되게 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차량 번호판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하게 한다.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는 그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며 설치 위치만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제1탄성 고정부재(30)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설명하고 제2탄성 고정부재(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에 장착되는 장착부(31)와, 장착부(31)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 고정부(35) 및 장착부(31)에 형성된 탄성 가압부(38)를 포함한다.
장착부(3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후면에는 체결공(32)이 돌출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은 1개 이상이면 족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장착부(31)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고정부(35)는 장착부(31)의 일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6)와, 수직부(36)의 상부에서 장착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곡면 구조의 돌출부(37)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부(36)의 외벽에는 좌우 폭방향으로 벤딩홈(36a)이 형성된다.
탄성 고정부(35)는 장착부(31)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다. 따라서, 차량 번호판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에 장착될 때, 차량 번호판은 탄성 고정부(35)의 돌출부(37)와 접촉하면서 가압하면 탄성 고정부(35)는 테두리부(13) 방향(도 8의 B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차량 번호판은 돌출부(37)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탄성 고정부(35)의 수직부(36)에 형성된 벤딩홈(36a)에 의해 탄성 고정부(35)가 테두리부(13) 방향으로 좀 더 수월하게 밀리고 굽혀질 수 있게 된다.
차량 번호판이 돌출부(37)를 통과하여 수직부(36)에 위치하여 번호판수용부(12)에 수용되면, 탄성 고정부(35)는 원위치로 복원되고 돌출부(37)는 차량 번호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 번호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 가압부(38)는 장착부(31)에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며 돌출부(38a)를 구비하여, 차량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12)에 수용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압부(38)는 장착부(31)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단부가 장착부(31)의 일정 위치에서부터 연장되며 나머지 부분은 장착부(3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탄성 가압부(38)는 장착부(31)의 전방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다. 따라서, 차량 번호판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에 장착될 때, 탄성 가압부(38)는 차량 번호판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차량 번호판이 탄성 가압부(38)의 돌출부(38a)에 밀착되게 하여 차량 번호판을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20)는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 탄성 고정부재(40)의 장착부(31)가 수용되는 장착부 수용부(21)와,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 탄성 고정부재(40)의 탄성 고정부(35)가 수용되는 탄성 고정부 수용부(25) 및 체결봉 지지부(27)을 포함한다.
장착부 수용부(21)는 장착부(31)가 안착되는 장착대(22)를 구비하는데, 장착대(22)는 장착부(31)가 장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한편, 장착대(22)는 장착부(31)의 체결공(32)이 번호판수용부(12)를 관통하기 위한 통과홀(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대(22)가 두 개의 막대부재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 부분이 모두 번호판수용부(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장착대가 판 형상을 가지고, 판 형상에 장착부(31)의 체결공(32)이 관통하기 위한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고정부 수용부(25)는 상기 탄성 고정부(35)가 수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테두리부(13)에서 두께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탄성 고정부 수용부(25)에 탄성 고정부(35)가 장착될 때, 탄성 고정부(35)가 차량 번호판의 가압에 의한 이동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탄성 고정부 수용부(25)의 내벽과 탄성 고정부(35) 외벽(수직부(36)의 외벽)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한다.
체결봉 지지부(27)는 장착부 수용부(21) 부근에 위치하며, 번호판 수용부(12)의 후면에서 탄성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봉 지지부(27)는 체결봉(50)의 세로부재(53)가 체결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체결봉(50)의 가로부재(5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세로부재(53)가 체결공(32)에 삽입이 완료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로부재(52)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체결봉(50)은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의 후면방향에서 장착부(31)의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부(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체결봉(50)은 가로부재(52)와, 가로부재(52)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공(32)에 삽입되는 세로부재(53)를 구비한다.
이렇게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가 체결부(20)에 장착되고 체결봉(5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면, 차량 번호판을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체결하면 되는데,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에 차량 번호판이 체결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차량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데, 결합공(14)에 볼트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된다.
그 후, 차량 번호판(1)의 일측(또는 타측) 단부를 제1탄성 고정부재(30)(또는 제2탄성 고정부재(40))의 탄성 고정부(35)의 수직부(36) 내에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차량 번호판(1)을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 측으로 이동(또는 회동) 시키게 되면, 차량 번호판(1)의 타측(또는 일측) 단부는 제2탄성 고정부재(40)의 탄성 고정부(35)의 돌출부(37)에 걸리게 된다.
그 후, 사용자(작업자)가 차량 번호판(1)의 타측 단부를 번호판 수용부(12) 측으로 힘을 주어 가압하는데 특히 제2탄성 고정부재(40)의 돌출부(37)와 접촉하는 부분을 가압하면, 탄성 고정부(35)는 테두리부(13) 방향 즉, 체결부(20)의 탄성 고정부 수용부(25) 방향(B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벌어지면서, 차량 번호판(1)의 타측 단부는 장착부(31)의 수직부(36)에 안착하게 되고 차량 번호판(1)은 번호판수용부(12)에 완전히 장착되게 된다. 이 때 가압력에 의해 차량 번호판(1)의 일측 단부와 접하는 제1탄성 고정부재(30)의 탄성 고정부(35)도 탄성 고정부 수용부(25) 방향(B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벌어질 수 있다. 차량 번호판(1)이 번호판수용부(12)에 장착되면 제1탄성 고정부재(30)와 제2탄성 고정부재(40)의 탄성 고정부(35)는 탄성 복원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탄성 고정부(35)의 돌출부(37)는 차량 번호판(1)의 전방에 위치하여 차량 번호판(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 번호판(1)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번호판수용부(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탄성 고정부재(30) 및 제2탄성 고정부재(40)의 탄성 가압부(38)는 탄성력에 의해 차량 번호판(1)을 후면에서 전면으로 가압하게 된다.
결국,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된 차량 번호판(10)은, 탄성 고정부(35)의 돌출부(37)에 의해 전면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지만, 이와 함께 탄성 가압부(38)는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차량 번호판(10)이 번호판수용부(12)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차량 번호판(30)을 제1탄성 고정부재(30)에 먼저 지지된 상태에서 제2탄성 고정부재(40)에 체결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2탄성 고정부재(40)에 먼저 지지된 상태에서 제1탄성 고정부재(30)에 체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차량 번호판의 일측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정돌기에 먼저 삽입 지지한 상태에서 차량 번호판의 타측을 탄성 고정부재에 체결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차량의 구조나 베이스 플레이트가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 번호판을 고정돌기에 먼저 삽입하는 것이 불편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제1탄성 고정부재와 제2탄성 고정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므로, 차량 번호판의 일측 또는 타측을 제1탄성 고정부제 또는 제2탄성 고정부재의 어느 곳에서든 먼저 삽입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체결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차량 번호판을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가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와 체결부를 체결봉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체결 편의성이 향상되고 차량 번호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플레이트 12. 번호판수용부
13. 테두리부 20. 체결부
21. 장착부 수용부 22. 장착대
25. 탄성 고정부 수용부 27. 체결봉 지지부
30. 제1탄성 고정부재 31. 장착부
35. 탄성 고정부 36. 수직부
37. 돌출부 38. 탄성 가압부
40. 제2탄성 고정부재 50. 체결봉
52. 가로부재 53. 세로부재

Claims (4)

  1.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 번호판을 수용하는 번호판수용부와, 상기 번호판수용부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탄성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체결공이 둘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량 번호판에 의한 가압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차량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되게 하며 초기 위치로 복귀 시 상기 차량 번호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번호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로 형성되어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는 장착부 수용부와, 상기 탄성 고정부가 수용되는 탄성 고정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번호판수용부의 후면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봉;을 포함하는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 각각은,
    상기 장착부에 탄성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차량 번호판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고정부재 및 제2탄성 고정부재의 장착부의 체결공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장착부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번호판수용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체결공이 관통하기 위한 통과홀이 형성된 장착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봉은,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세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장착부 수용부 부근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탄성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봉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 지지부는, 상기 체결봉의 세로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로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가로부재가 통과하고 세로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이 완료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로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0210058019A 2020-08-28 2021-05-04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447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4 2020-08-28
KR20200109074 2020-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325A true KR20220029325A (ko) 2022-03-08
KR102447236B1 KR102447236B1 (ko) 2022-09-27

Family

ID=8081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19A KR102447236B1 (ko) 2020-08-28 2021-05-04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88B1 (ko) 2017-03-23 2018-07-31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00001041U (ko) * 2018-11-14 2020-05-22 이문기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KR102110555B1 (ko) * 2019-08-16 2020-06-08 조선행 전기자동차용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88B1 (ko) 2017-03-23 2018-07-31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20180133348A (ko) * 2017-03-23 2018-12-14 황선준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20200001041U (ko) * 2018-11-14 2020-05-22 이문기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102110555B1 (ko) * 2019-08-16 2020-06-08 조선행 전기자동차용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236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792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1925345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US5367751A (en) Panel locator and attachment apparatus
KR101993576B1 (ko)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1846972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1875734B1 (ko) 차량의 번호판 결합장치
KR102463527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520003B1 (ko) 자체 탄성 결속구조를 갖는 차량번호판 결합장치
KR102447236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463525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1995473B1 (ko) 차량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KR102458791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200381620Y1 (ko) 자동차 보조 번호판 홀더
KR102454885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1895271B1 (ko) 차량용 시트 커버의 제조 지그
JP4597836B2 (ja) 表示装置の取付け構造
JPH07229506A (ja) クリップ
KR20080086036A (ko) 차량용 오디오 인스톨장치
KR102619060B1 (ko)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KR102200610B1 (ko) 번호판의 테두리 보호구조를 갖도록 체결되는 자동차 번호판 장착대
JP2001065517A (ja) クリップ
JPS5850096Y2 (ja) シ−ト状物の取付構造
JP3704735B2 (ja) 電子機器の筐体
KR950000790Y1 (ko)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JPH0645391U (ja) 実装基板取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