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90Y1 -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 Google Patents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90Y1
KR950000790Y1 KR2019930002473U KR930002473U KR950000790Y1 KR 950000790 Y1 KR950000790 Y1 KR 950000790Y1 KR 2019930002473 U KR2019930002473 U KR 2019930002473U KR 930002473 U KR930002473 U KR 930002473U KR 950000790 Y1 KR950000790 Y1 KR 95000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existing
auxiliary
support piece
narrow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489U (ko
Inventor
채종천
Original Assignee
채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천 filed Critical 채종천
Priority to KR2019930002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790Y1/ko
Priority to JP054013U priority patent/JPH0656810U/ja
Priority to US08/132,045 priority patent/US5398570A/en
Publication of KR940020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4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8Non-slip pedal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483Non-slip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상태 예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협지구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협지구 전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제5도(a) (b)는 본 고안의 설치 사용상태 예시도.
제6도는 종래의 협지구 설치상태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 협지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협지구 2 : 페달 삽입부
3,3',3" : 나사체결공 4,4'.4" : 고정편
5,5' : 걸림턱 6.6' : 걸림텐션편
7 : 받침편 8 : 받침돌부
9 : 슬라이드홈 B : 연결바아
P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 P' : 보조페달
본 고안은 운송기계(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의 협지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면에 장착하는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의 상면에 보조페달을 장착할때 악세레이터 페달의 연결바아가 위치하는 부위로 협지구 일측 절곡부에 합성수지재 받침편을 좌/우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여 기존페달의 크기와 연결바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보조페달을 유동없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된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운송기계에는 차량의 가속을 주기 위하여 운전석 전면 하측에 악세레이터 페달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시에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을 밟아 차량을 가속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나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은 차량의 제조업체에서 크기를 일정하게 선정하여 제작한 후 차량에 장착하게 되는데, 제조업체에서 상기 악세레이터 페달 자체를 제조원가나 설치면적 등을 감안하여 비교적 작게 제작하여 설치하므로서 사용자는 협지면적이 작아져 운행시 상기 페달츨 밟을때 쉽게 미끄러져 차량의 가속을 제때에 정확하게 조작할 수 없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현상은 동절기나 우천시에는 더욱 심하게 나타났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져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의 상면에 별도로 제작되어 협지면적이 넓은 보조페달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페달을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의 상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존페달의 저면에 금속재 협지구를 결합하여 상기 보조페달과 나사로 체결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협지구를 보면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P)과 연결바아(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존페달 삽입부(2)와 연결바아 삽입부(2')를 절곡 형성하고, 이 양측 고정편(4) (4')에 나사체결공(3) (3')를 형성하여 협지구(1)가 구성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협지구(1)는 기존페달(P)과 연결바아(B)가 상기 삽입부(2) (2')에 정확히 맞는 기종에는 큰 문제점이 없었으나, 기존페달과 연결바아는 차종에 따라서 또는 제조업체에 따라서 그 크기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보조페달을 장착하여 사용시 페달이 움직여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 편차가 심한 경우에는 보조페달의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차량의 모든 기종에 호환성이 없어 기종에 따라 협지구를 별도로 재작하여야 하므로 제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재점을 보완하고져 기존페달의 연결바아 삽입부를 일측 고정편 부위까지 일자형으로 절곡 구성하고, 이 상측에 걸림텐션편과 받침돌부를 갖는 받침편을 좌/우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여 기존페달의 크기와 연결바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초조페달을 잘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통상적으로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P)상면에 보조페달(P')를 나사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체결공(3) (3') (3")이 형성되는 고정편(4) (4')(4")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기존페달(P)과 연결바아(B)의 삽입부(2) (2')가 형성되는 협지구(1)에 있어서, 상기 협지구(1)의 연결바아(B) 삽입부(2')를 일측의 고정편(4)까지 일자형으로 길게 절곡 형성하고, 이 상면에 결합되어 좌/우 슬라이딩 동작하는 받침편(7)에는 하단으로 슬라이드홈(9)을 형성하여, 이 양측으로 걸림턱 (5) (5')이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텐션편(6) (6')돌출 형성하고, 상단에는 요철 형상의 받침돌부(8)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10) (10') (10")는 나사, (11)은 고무판 임.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협지구(1)의 연결바아(B) 삽입부(2')에 하단으로 걸림텐션편(6) (6')이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편 (7)을 상측에서 밀어 끼우게 되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편(7)이 걸림텐션편(6) (6')과 걸림턱 (5) (5') 및 슬라이드홈(9)에 의해서 헙지구(1)의 삽입부(2') 하단에 좌/우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받침편(7)이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P)의 상면에 고무판(11)과 함께 보조페달(P')을 올려놓은 후 기존 페달(P)의 하측에 상기 본 고안의 협지구(1)를 끼워 결합시킨 다음 고정편(4) (4')상의 나사체결공(3) (3')을 보조페달(P')의 나사공과 일치시킨 후 나사(10) (10')를 체결하면 기존페달(P)의 상면에 보조페달(P')이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존페달(P)의 폭이 넓고 연결바아(B)가 왼쪽으로 치우져 있을 경우에는 제5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협지구(1)의 삽입부(2')상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편(7)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받침편(7)이 연결 바아(B)를 피해, 이 상면의 받침돌부(8)가 기존페달(P)의 좌측 하단면을 지지하면서 보조페달(P')이 기존페달(p)의 상면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존페달(P)의 폭이 좁고 연결바아(B)가 오른쪽으로 치우져 있을 경우에는 제5도(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협지구(1)의 삽입부(2')상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편(7)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받침편(7)이 연결바아(B)를 피해, 이 상면의 받침돌부(8)가 기존페달(P)의 좌측 하단면을 지지하면서 보조페달(P')이 기존 페달(p)의 상면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편(7)이 설치되는 협지구(1)의 연결바아 (3) 삽입부(2')를 일정간격을 두고 일측에 일체로 하나더 절곡 형성하여 구성하여 보조페달의 체결 장착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페달의 폭 넓이와 연결바아의 위치가 각기 달라도 형지구의 삽입부 상에 좌/우 슬라이딩 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받침편을 폭 넓이와 연결부 위치만큼 이동시켜 보조페달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처럼 각 차종에 맞도록 헙지구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협지구로서 모든 차종에 맞추어 보조페달을 장찬할 수 있으므로, 제작 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특히 기존페달과 연결바아가 차종에 따라서 또는 제조업체에 따라서 그 크기와 위치가 달라도 크기와 위치에 맞추어 협지구의 받침편츨 이동시켜 장착 할 수 있어, 보조페달을 장착하여 사용시 장착이 정확하지 않아 페달이 움직여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되는 문제점과 그 편차가 심하여 페달을 장착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었으며, 어떤 차종에도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 자체의 품질과 신뢰성도 향상시길 수 있는 효과도 부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통상적으로 기존 악세레이터 페달(P)상면에 보조페달(P')를 나사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공(3) (3') (3')이 형성되는 고정편(4) (4') (4')이 절곡 헝성되며, 기존페달(P)과 연결바아(B)의 삽입부(2) (2')가 형성되는 헙지구(1)에 있어서, 상기 협지구(1)의 연결바아(B)삽입부(2')를 일측의 고정편(4)까지 일자형으로 길게 절곡 형성하고, 이 상면에 좌/우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하는 받침편(7)을 설치하고, 이 받침편(7)의 하단으로는 슬라이드홈 (9)을 형성하여, 그 양측으로 걸림턱 (5) (5') 이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텐션편(6) (6')돌출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7)의 상단에는 요철 형상의 받침돌부(8)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7)이 설치되는 협지구(1)의 연결바아(B)삽입부(2')를 일정간격을 두고 일측에 하나 추가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KR2019930002473U 1992-10-08 1993-02-23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KR95000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73U KR950000790Y1 (ko) 1993-02-23 1993-02-23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JP054013U JPH0656810U (ja) 1992-10-08 1993-10-05 運送機械用補助踏板
US08/132,045 US5398570A (en) 1992-10-08 1993-10-05 Supplementary device for a vehicle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73U KR950000790Y1 (ko) 1993-02-23 1993-02-23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489U KR940020489U (ko) 1994-09-17
KR950000790Y1 true KR950000790Y1 (ko) 1995-02-13

Family

ID=1935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473U KR950000790Y1 (ko) 1992-10-08 1993-02-23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7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489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751A (en) Panel locator and attachment apparatus
US20070075198A1 (en) Holding element for grating
IT9053010U1 (it) Fermo per vite.
KR950000790Y1 (ko) 운송기계 보조페달 고정용 협지구
KR950001974Y1 (ko) 운송기계용 브레이크 보조발판
KR200381620Y1 (ko) 자동차 보조 번호판 홀더
JP2000159038A (ja) バンパーとグリルの取付構造
JPH0354022A (ja) 車両ドアガラス用スライダー
KR20015834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JP2509930Y2 (ja) 樹脂製バンパのハ―ネス固定構造
KR102447236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KR102463525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US4369670A (en) Multi-link drive pedal of plastic material
KR950006090Y1 (ko) 운송기계용 보조페달 고정장치
JP2865912B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のストッパ
JP3119000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取付構造
JPH05169455A (ja) 成形金型の取付装置
JP3893837B2 (ja) メータ装置の取付構造
KR930008505B1 (ko) 자동 2륜 차의 헤드램프 취부장치
JPH0364532A (ja) 精紡機のトップローラのための荷重エレメント
JPH0610167Y2 (ja) 成形品の固着構造
JPH08261680A (ja) 車両のラジエータ
KR10046315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가니쉬 고정구조
JPH0230980Y2 (ko)
JPS63240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