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098A -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098A
KR20180133098A KR1020170069608A KR20170069608A KR20180133098A KR 20180133098 A KR20180133098 A KR 20180133098A KR 1020170069608 A KR1020170069608 A KR 1020170069608A KR 20170069608 A KR20170069608 A KR 20170069608A KR 20180133098 A KR20180133098 A KR 2018013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ue
current
vacuum pressure
stop
hb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777B1 (ko
Inventor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6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7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16Hi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판단하고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는 부스터내 진공압이 낮은 경우, 운전자 의도 대비 부족한 양만큼 제동을 보조하였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60175(2015.06.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공압 부족시 마스터 실린더 압력이 기준이 되는 산출 출력이 아니면, 산출된 페달 답력에 대한 제동력 보조 영역으로 보상하여 정차 기능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부스터내 진공압이 낮으면서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이 동작하면, 마스터 실린더 압력값이 낮아져 정차 유치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에 따라 정차 유지 장치를 효율적으로 동작시켜 정차 유지 장치의 정차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정차 기능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켜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60175(2015.06.0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정차 유지 장치의 정차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정차 기능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가 있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판단하고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재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차 유지 장치는 AVH(Automatic Vehicle Hold) 장치와 HSA(Hill Start Assist) 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의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정차 유지 장치의 정차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정차 기능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가 있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와 감지 장치 및 정차 유지 장치와 마스터 실린더에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와 정차 유지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와 감지 장치 및 정차 유지 장치와 마스터 실린더에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와 정차 유지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30)의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예로,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압을 감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진공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30)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미도시) 또는 동작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이후에 진술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고,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보다 작은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한다.
일예로, 정차 유지 장치(50)는 AVH(Automatic Vehicle Hold) 장치(50a)와 HSA(Hill Start Assist) 장치(50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 및 입력 수단이면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통합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고, 분리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였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미도시)에서 차량 자세를 제어하도록 ESC 장치(미도시)에 차량 자세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300)은 제 1 입력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2 입력 단계(S306, S312)와 제 2 판단 단계(S308, S314) 및 정차 기능 수행 단계(S310, S316)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입력 단계(S302)는 감지 장치(도2의 10)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도2의 30)의 현재 진공압값을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판단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4)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1 판단 단계(S304)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판단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보다 작은지를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입력 단계(S306)는 판단부(도2의 1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판단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감지 장치(도2의 10)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도2의 30)의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308)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4)에서 판단한다.
이 후, 정차 기능 수행 단계(S310)는 판단부(도2의 104)에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도2의 106)에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도2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도2의 106)에서 정차 유지 장치(도2의 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한다.
반면에, 제 1 판단 단계(S304)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판단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인지를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입력 단계(S312)는 판단부(도2의 1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판단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인 것으로 판단하면, 감지 장치(도2의 10)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도2의 30)의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314)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지를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정차 기능 수행 단계(S316)는 판단부(도2의 104)에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마스터 실린더(도2의 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도2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도2의 106)에서 정차 유지 장치(도2의 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402)와 판단부(404) 및 제어부(4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식별부(4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식별부(408)는 판단부(4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제어부(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408)는 정차 유지 장치(50)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제어부(406)에서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제어부(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408)는 판단부(404)에서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제어부(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식별부(4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며, 현재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4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며, 현재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4의 400)의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은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3의 3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502 내지 S802)와 제 1 판단 단계(S504 내지 S804) 및 제 2 입력 단계(S506 내지 S806, S512 내지 S812)와 제 2 판단 단계(S508 내지 S808, S514 내지 S814) 및 정차 기능 수행 단계(S510 내지 S810, S516 내지 S8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4의 400)의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3의 3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4의 400)의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은 제 1 식별 단계(S509, S609)와 제 2 식별 단계(S611) 및 제 3 식별 단계(S715, S815)와 제 4 식별 단계(S817)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509, S609)는 제 2 판단 단계(S508, S608) 이후와 정차 기능 수행 단계(S510, S610)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509, S609)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차 기능 수행 단계(S510, S610)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단계(S509, S609)는 판단부(도4의 404)에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제어부(도4의 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4의 4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제 2 식별 단계(S611)는 정차 기능 수행 단계(S610)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 식별 단계(S611)는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제어부(도4의 406)에서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제어부(도4의 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4의 4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제 3 식별 단계(S715, S815)는 제 2 판단 단계(S714, S814) 이후와 정차 기능 수행 단계(S716, S816)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제 3 식별 단계(S715, S81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차 기능 수행 단계(S716, S816)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3 식별 단계(S715, S815)는 판단부(도4의 404)에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마스터 실린더(도4의 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제어부(도4의 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4의 4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제 4 식별 단계(S817)는 정차 기능 수행 단계(S816)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4 식별 단계(S817)는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제어부(도4의 406)에서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도4의 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제어부(도4의 406)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4의 4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4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내지 800)은 입력부(102, 402)와 판단부(104, 404) 및 제어부(106, 406)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302)(S502 내지 S802)와 제 1 판단 단계(S304)(S504 내지 S804) 및 제 2 입력 단계(S306, S312)(S506 내지 S806, S512 내지 S812)와 제 2 판단 단계(S308, S314)(S508 내지 S808, S514 내지 S814) 및 정차 기능 수행 단계(S310, S316)(S510 내지 S810, S516 내지 S816)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4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내지 800)은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30)의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30)의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4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내지 800)은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30)의 현재 진공압값이 목표 진공압값이고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30)의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차 유지 장치(50)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4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내지 800)은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에 따라 정차 유지 장치(50)를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으므로, 정차 유지 장치(50)의 정차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은 식별부(408)를 포함하여 제 1 식별 단계(S509, S609)와 제 2 식별 단계(S611) 및 제 3 식별 단계(S715, S815)와 제 4 식별 단계(S817)를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은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며, 현재 마스터 실린더(70)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50)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차량 제어 방법(500 내지 800)은 운전자가 정차 유지 장치(70)의 현재 정차 기능 상태를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가 느끼는 현재 정차 기능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가 있어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0)

  1.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과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상기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고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고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상기 온(ON) 상태이면, 현재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고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재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유지 장치로부터 정차 기능 수행 완료 신호를 공급받으면, 현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 완료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유지 장치는 AVH(Automatic Vehicle Hold) 장치와 HSA(Hill Start Assist) 장치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Hydraulic Brake Boost) 장치의 현재 진공압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설정된 목표 진공압값이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 아니면,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의 현재 HBB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상기 온(ON) 상태이면, 이미 설정된 운전자 제동의지에 대응하는 HBB 동작 목표 압력값을 이용하여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재 진공압값이 상기 목표 진공압값이고 상기 현재 HBB 동작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서 정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차 유지 장치에 정차 기능 수행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70069608A 2017-06-05 2017-06-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36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08A KR102367777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08A KR102367777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98A true KR20180133098A (ko) 2018-12-13
KR102367777B1 KR102367777B1 (ko) 2022-02-28

Family

ID=646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608A KR102367777B1 (ko) 2017-06-05 2017-06-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7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228A (ja) * 2006-08-01 2008-03-13 Hyundai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および電気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20150025068A (ko) * 2013-08-28 2015-03-10 주식회사 만도 차량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0175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086968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압력 추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228A (ja) * 2006-08-01 2008-03-13 Hyundai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および電気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20150025068A (ko) * 2013-08-28 2015-03-10 주식회사 만도 차량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0175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086968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압력 추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777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672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0412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89132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4241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315321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9908516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brak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33098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486274B1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261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95879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2000144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170095490A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3781B1 (ko) 브레이크 페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9180B1 (ko) 브레이크 패드 위치 제어 장치 및 그 위치 제어 방법
KR20190042911A (ko)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US1043499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7828A (ko)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4537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377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
KR20150122915A (ko) 차량용 제동 장치 및 그 제동 방법
KR2019008375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160052097A (ko) 차량용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제동 제어 방법
KR20190119809A (ko)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KR20180039988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4526A (ko) 브레이크 장치의 압력 제어 장치 및 그 압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