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906A -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906A
KR20180129906A KR1020187031945A KR20187031945A KR20180129906A KR 20180129906 A KR20180129906 A KR 20180129906A KR 1020187031945 A KR1020187031945 A KR 1020187031945A KR 20187031945 A KR20187031945 A KR 20187031945A KR 20180129906 A KR20180129906 A KR 2018012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duit
pressure
combustible materia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301B1 (ko
Inventor
홀거 베커
Original Assignee
베피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614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299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피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피날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1702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 F02D19/064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the gaseous fuel bei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iquefied natural gas [LNG], compressed natural gas [CNG] or dimethyl ether [D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3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13Switch-over from one fuel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65Tanks, e.g. multipl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02D19/0678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Fuel metering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02D19/0681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4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s; Details on pumps, rails or the arrangement of 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6Injectors
    • F02D19/0689Injectors for in-cylinder direct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6Injectors
    • F02D19/0694Injecto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87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characterised by the transition from liquid to gaseous phase ; Injection in liquid phase; Cool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용 연료 설비의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연료 교환 유닛(17), 제어부(21) 및 교환 반송 도관(24)을 포함한다. 연료 교환 유닛(17)은, 분사 시스템에 위치된 제 2 연료(23)를, 제 1 연료(22)로 교체하기 위해, 스위치-오프된 엔진에서 분사 시스템(8) 내로 압력 하에서 제 1 연료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연료(23, 61)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편향 가능한 부재(37, 38)을 포함하는 매체 변환기(32, 80)를 포함한다. 매체 변환기(32, 80)는 유체(22, 60)가 매체 변환기(32, 80)에 변화하는 압력으로 유도될 수 있는 방식에 의해 유체(22, 60)를 통한 구동 유닛(31)에 의해 구동되며, 그리고 펌핑 효과를 통해 연료(23, 61)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본 발명은 엔진용 연료 설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연료의 직접 분사기를 갖는 연소 모터와 같이, 2개(이원연료(bi-fuel))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연료로 작동을 위해 개조될 수 있는 연소 엔진에 관한 것이다.
액화 연료인 휘발유(petrol)(미국: 가솔린)뿐만 아니라 액화 석유 가스(LPG)같은 액화 가스 및 가능하게는 제 3 연료를 연소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설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료 설비는 예를 들어 DE 10 2008 043 930 A1에 개시되어있다.
연료 설비에 의해 상이한 연료가 공급되는 연소 엔진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작동에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특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은 특히 시동을 걸 때, 만약 연소 엔진이 스위치 오프되기 전 낮은 증발 온도를 갖는 연료로 작동되었다면, 연료 설비 또는 연소 엔진의 분사 시스템에서의 액화 가스가 증발하는 것이다.
압력 하에서 각각의 탱크로부터 연료 설비로 액체 연료를 펌핑하는 보조 펌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는 이원 연료 설비가 WO 2013/115645 A1에 개시되어 있다.
WO 2011/059316 A1은 필요하다면 연료 및 특히 연료 증기가 양 연료에 사용되는 고압 펌프와 연소 엔진 사이에 위치한 구성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이중 연료 설비를 개시한다.
액체 연료용 제 1 공급 라인과 액화 가스용 제 2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이원 연료 설비는 WO 2013/167753 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 공급 라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노드 지검까지 뻗어있다. 제 1 공급 라인은 연료 고압 펌프를 포함한다. 제 2 공급 라인은 보조 펌프를 포함하며 액화 가스의 증발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액화 가스의 증발에 기인하는 문제의 회피와는 별도로 연소 엔진의 연료 설비를 이원 연료 작동으로 전환할 때의 개선 가능성이 있다. 액화 가스, 필요한 부품수, 조립 및 서비스 노력뿐만 아니라 호환성 문제 및 보편성과 맞지 않는 추가적인 펌프, 이송량, 압력 또는 제어 시스템을 사용할 때, 특히 높은 에너지 소비는 개선될 수 있는 모든 분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엔진의 연료 설비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2개 이상의 연료로 작동될 수 있는 상기 엔진과 같은 시스템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설비의 일부 영역 및/또는 엔진의 일부 영역에서 다른 연료와 효율적이며 에너지 절약 방식으로 연료의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연료가 연료 설비에 효율적인 방식 및 연료 또는 엔진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송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용 연료 설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2개 이상의 연료로 작동될 수 있는 엔진은 적용 및 사용 분야에 따라, 상기 연료 설비는 연료를 다른 연료와 교환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시스템, 연료 이송 또는 두 시스템을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엔진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연료 설비 또는 분사 시스템 상에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되는 엔진은 특히 예를 들어 연소 모터와 같은 [내부] 연소 엔진이다. 엔진 또는 관련 연료 설비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연료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연료 설비는 제 1 연료를 위한 제 1 연료 컨테이너, 제 2 연료를 위한 제 2 연료 컨테이너, 적어도 하나의 연료 고압 펌프, 압력 조절기 및 도관 시스템을 포함한다. 엔진은 분사 시스템(커먼 레일(common rail)이라고도 칭함)과 압력 센서를 더욱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엔진은 상기 엔진의 작동을 위해 연료 사이의 전환(switch-over)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되는 연료 설비 또는 분사 시스템은, 특히 직접 연료 분사기를 갖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상류에 배치(arranged upstream) 및 하류에 배치(arranged downstream)란 용어는 시스템 및/또는 엔진의 구성의 상대적인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이하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연료 컨테이너에서 주입 설비까지 연료의 유동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료의 연료 컨테이너는 연료 고압 펌프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는 도관 시스템을 통해 유도된다. 분사 시스템은 연료 고압 펌프의 하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엔진, 특히 방금 설명된 유형의 엔진 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연결부를 통해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설비의 고압 영역(이하 시스템의 고압측 연결부(high-pressure-side connection)라 칭함) 및/또는 엔진의 분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압 영역은 연료 고압 펌프의 하류에 배치되는 연료 설비의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연료 고압 펌프와 엔진의 분사 시스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또는 엔진의 분사 시스템에 직접 연결 가능한 부분, 예를 들어 별도의 입구 그리고 가능하게는 별도의 출구를 통해 분사 시스템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시스템이 연료 교환 유닛, 제어 및 교환 반송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제 2 연료를 교환 반송 도관을 통해 분사 시스템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엔진의 작동에 사용할 수 있고 분사 시스템에 위치해 있는 제 2 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연료 교환 유닛은 제 1 연료에 의해 스위치 오프된 엔진에서 고압측 연결부를 통해 분사 시스템으로 가압된 제 1 연료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연료 교환 유닛은 연소 엔진 자체가 스위치 오프 되더라도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 가능하고 분사 시스템 내에 위치한 제 2 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제 1 연료에 의한 고압측 연결부를 통해 분사 시스템으로 가압 상태의 제 1 연료를 이송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언급된 연료 교환에 엔진의 어느 구성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시스템이 연료 교환을 위한 필요한 모든 단계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보충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을 연료 설비 및/또는 엔진, 특히 분사 시스템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고압측 또는 저압측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연료 설비 및/또는 분사 시스템의 핵심 구성일 뿐만 아니라 후반 단계에서 조립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은 제 1 연료에 엔진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작동 압력을 가져오는 연료 고압 펌프의 출구, 및 분사 시스템 또는 정확히는 레일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시스템이 제 1 연료의 연료 고압 펌프 또는 연료 고압 펌프의 압력 조절기의 언급된 출구와 분사 시스템 사이에 위치한 엔진의 연료 설비 도관 시스템의 부분과 연료 고압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언급된 연료 고압 펌프의 하류에 위치하지 않는 도관 일부의 시스템의 연결뿐만 아니라 상류 혹은 하류에 배치된 연료 설비의 추가 구성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의 일부만이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언급된 부분인 조용한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료 교환 유닛은 분사 시스템 또는 커먼 레일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모든 고압측 연결부를 분사 시스템, 특히 커먼 레일에 직접 연결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은 압력 하에서 제 1 연료를 저장하도록구성된 축압기를 포함한다.
축압기에 제 1 연료가 저장되는 압력은 특히 이 연료의 작동 압력(시스템 압력(system pressure) 또는 연료 압력(fuel pressure)이라고도 칭함)에 해당한다. 상기 언급된 압력은 결과적으로 시스템이 적용되는 엔진의 작동 압력의 조절(폐쇄-루프 제어) 범위에 있게 된다.
만약 엔진이 휘발유 구동(petrol-driven)(미국: 가솔린-구종) 연소 모터인 경우, 언급한 압력은 20 내지 400bar이다. 현 세대의 대부분의 휘발유 구동 연소 모터에 관해서, 작동 압력의 조절 범위와 축압기에 휘발유가 저장될 수 있는 압력은 30 내지 300bar 사이이며, 중간에서 낮은 가격의 카테고리의 가솔린 작동 연소 모터는 30bar(공회전시) 내지 180bar(가속시) 사이의 조절 범위를 갖는다. 휘발유 구동 연소 모터의 경우, 제 1 연료가 축압기에 저장 가능한 압력은 결과적으로 20bar 내지 400bar, 특히 30bar 내지 300bar 사이 또는 40bar 내지 180bar 사이이다.
엔진이 디젤 작동 연소 모터인 경우, 제 1 연료가 축압기에 저장 가능한 압력은 2300bar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디젤 작동 연소 모터의 경우 작동 압력의 조절 범위는 150 내지 2300bar 이다.
엔진이 예를 들어 터보 또는 컴프레서와 같이 제 1 연료의 작동 압력의 조절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연료가 축압기에 저장 가능한 압력의 범위는 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물론 휘발유가 축압기에 저장 가능한 압력은 심지어 더 높은 작동 압력을 갖는 연소 모터 또는 분사 시스템에 대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언급된 한계값 밖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측면의 독립적인 경우이며 또한 언급된 체적, 특히 이송 체적과 교환 체적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축압기에서 압력 완충기(pressure buffer), 특히 예를 들어 질소와 같은 가스의 사용은 전술한 범위의 압력에서 제 1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언급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축압기를 충전할 때 축압기의 상류에 배치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축압기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축압기는 고압측 연결부를 통해 연료 설비의 고압 부분 또는 분사 시스템이나 커먼 레일과 접촉한다. 폐쇄 상태에서, 축압기는 고압 영역 및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느린, 예를 들어 축압기의 지속적인 충전과 빠른, 특히 급격한 배출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축압기 및 고압측 연결부 사이에, 보어(bore)를 갖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의 예로는 체크볼 내 또는 체크 밸브의 체크 플레이트의 보어일 수 있다.
축압기의 느린 충전과 급속 배출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바이패스 보어(bypass bore)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가 있는 체크 밸브, 또는 정확히는 축압기의 느린 충전과 급속 배출을 위한 부재는 특히 축압기 밸브와 결합하여 적용된다. 전술한 체크 밸브 또는 정확히는 전술한 부재와 축압기 밸브는 연교 교환 유닛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물론, 압력과 압력-유동 조정(adaptation)/조절(adjustment)을 수행하기 위해, 체크 밸브는 일반적으로 오리피스(orifice)(일반적으로 단면의 제한 또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갖는다.
상기 시스템은 축압기가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제 1 연료로 충전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시스템은 작동 압력에서 축압기에 제 1 연료가 저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 1 연료를 갖는 엔진의 작동 동안 축압기의 방향으로 분지되는(branched off) 제 1 연료에 의해 축압기가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분지된 유속은 엔진의 작동이 손상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수초 내지 수분 범위, 특히 30초 내지 1분 사이의 범위에서 축압기의 충전을 유도하는 분지된 유속이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시스템은 반복적인 배출/충전을 허용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축압기 밸브는 축압기를 충전하는 충전 절차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축압기 밸브의 조절(폐쇄 루프 제어)은 연료 설비의 작동 파라미터(operating parameters), 예를 들어 분사 시스템의 작동 상태, 적용된 연료 또는 시스템 압력, 특히 분사 설비에서 작동 압력에 의존할 수 있다. 축압기 밸브의 조절은 온조 제어 및/또는 시간 제어가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축압기의 충전은 별도의 도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가능하게는 오리피스가 있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그 부분은 연료 설비의 고압 영역 또는 분사 시스템에 고압측 연결부를 갖는다. 이러한 축압기 충전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축압기 밸브는 충전 과정 동안 폐쇄된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는 단지 축압기에 저장된 제 1 연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서, 연료 교환 유닛은 엔진의 작동 상태와 독립적으로 활성 가능하거나 또는 작동가능한 부스트 펌프(boost pump)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트 펌프는 제 1 연료의 공급이 보장되는 부스트 펌프 입구와 시스템의 고압측 연결부를 통해 연료 설비 및/또는 분사 시스템에 연결된 부스트 펌프 출구를 갖는다.
특히, 부스트 펌프는 시스템 압력에 비해 감소된 압력에서 스위치 오프된 엔진의 경우에 제 1 연료를 분사 시스템의 충전하는데 충분한 양의 제 1 연료를 이송하도록 설계된 펌프일 수 있다. 그 구동은 예를 들어 엔진 작동시 충전되는 배터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충전량 및 압력은 예를 들어 엔진, 분사 시스템 및 적어도 적용된 제 1 연료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연료를 직접 분사하고 가솔린(제 1 연료) 및 LPG(제 2 연료)로 작동하는 4기통 연소 모터의 경우, LPG의 배출 후, 연소 모터가 문제없이 시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약 20-30 bar에서 가솔린의 수백 밀리리터가 이송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200 내지 500ml의 이송량이면 충분하다.
연료 교환 유닛은 제 1 연료의 필요량을 이송할 수 있도록 제 1 연료를 위한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저장조는 부스트 펌프 입구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저장조는 제 1 연료 컨테이너, 이러한 또는 도관 영역으로부터 상이한 컨테이너일 수 있다. 저장조는 엔진의 작동 중에 제 1 연료로 유리하게 채워지거나, 예를 들어 부스트 펌프는 별도의 입구를 통해 제 1 연료 컨테이너에 접근하여 스위치 오프된 엔진의 제 2 연료 컨테이너의 연료 이송 펌프의 활성화 없이 채워질 수 있다.
보충적으로, 부스트 펌프를 갖는 연료 교환 유닛은 전술한 유형의 축압기를포함할 수 있다. 이 축압기는 부스트 펌프의 하류에 배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하에서 제 1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부스트 펌프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축압기는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축압기보다 더 작은 충전 체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축압기는 부스트 펌프 출구로부터 분사 시스템 내로, 또는 레일 내로 유동한 제 1 연료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의 제 1 연료는 압력 하, 특히 부스트 펌프에서 유동하는 제 1 연료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에서 분사 시스템의 방향으로 축압기에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부스트 펌프는 약 20bar에서 제 1 연료가 분사 시스템으로 도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축압기에 저장된 제 1 연료의 배출은 분사 시스템 또는 정확히는 레일에서 우세한(prevails) 압력을 40bar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 시스템에 위치하고 교환 반송 도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제 2 연료는 저장 컨테이너 또는 제 2 연료 컨테이너로 배출된다.
상기 시스템은 저장 컨테이너 또는 제 2 연료 컨테이너로 배출을 보장하기 위해 연료설비의 저압 영역에 연결부 또는 연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저압 영역은 그 내부에서 우세한 압력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제 2 연료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영역에 놓여있다. 제 2 연료로서 LPG의 경우, 이 압력은 예를 들어 2 내지 10 bar의 범위에 놓일 수 있다.
보충적으로, 교환 반송 도관은 제 1 측에서 분사 시스템에 그리고 제 2 측에서 제 2 연료의 연료 컨테이너("제 2 연료 컨테이너(second fuel container)") 또는 저장 컨테이너에 연결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환 반송 도관은 분사 시스템과 제 2 연료의 컨테이너 또는 저장 컨테이너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교환 반송 도관을 연료 설비 및/또는 시스템의 도관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설계된 교환 반송 도관은 반송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교환 반송 도관을 통해 제 2 연료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를 통해 개방과 폐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분사 시스템 및 도관 시스템의 일부에 위치한 제 2 연료는 제 2 연료 컨테이너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은 폐쇄 상태에서 방지된다.
보충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 1 연료가 연료 교환 유닛을 통해 분사 시스템으로 이송되기 전에, 첫 번째로 분사 시스템 및 도관 시스템의 일부에서 제 2 연료 컨테이너 또는 저장 컨테이너로 제 2 연료를 배출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분사 시스템과 제 2 연료 컨테이너 사이의 압력 균등화와는 별도로, 제 2 연료의 배출은 배출 시스템에서 제 2 연료의 액체에서 가스로의 총 상태 변화에 기반 할 수 있다. 이러한 총 상태 변화는 분사 시스템의 영역에서 잔류 열(residual heat) 또는 트랩된 열(trapped heat)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분사 시스템에서 제 2 연료 시스템으로 제 2 연료의 효율적인 배출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관해서는 엔진의 스위치를 오프한 후 특히 엔진, 작동 상태 및 제어뿐만 아니라 제 2 연료에 의존한다. 적어도 차량의 연소 모터의 경우, 특히 승용차의 경우, 그리고 제 2 연료로서 LPG의 사용되는 경우, 연소 모터의 스위치가 꺼지고 수 시간 후까지도 제 2 연료는 분사 시스템에서 제 2 연료 컨테이너로 여전히 배출될 수 있다. 실험에서, 이러한 배출은 더 긴 작동으로인해 따뜻한(warm) 연소 모터 스위치를 오프하고 예를 들어 두 시간 후에는 어떠한 문제 없이 여전히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은 조정될 수 있는 다수의 작동 파라미터를 통해, 다수의 모터 유형 및/또는 모터 상태 및/또는 제 1 및 제 2 연료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작동 파라미터는 전환 시간, 대기 시간, 유속, 분지 유속, 또는 압력, 특히 제 1 연료가 연료 교환 유닛에서 이송되는 압력이다.
모터 유형은 제조업체 및/또는 적용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용 분야는 예를 들어 승용차, 화물차, 농용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기 발전기, 펌프, 구동기 등과 같은 연소 모터를 갖는 고정식 기계이다.
상이한 모터 상태는 예를 들어 에이징(ageing) 공정, 튜닝 또는 분사 시스템의 기술적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후자는 제조자뿐만 아니라 사용자 측에서 공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연료는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이다.
그러나 이는 대안적으로 또한 예를 들어 압축 천연 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 액화 가스,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또는 액체, 가연성 물질(바이오디젤, 식물유, 알코올, 에탄올 기타 등, 뿐만 아니라 상이한 연료의 혼합)일 수 있다.
보충적으로, 제 1 연료는 휘발유, 디젤 또는 제 2 연료와는 다른 이전에 열거한 가연성 물질 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연료 교환 유닛, 특히 분사 시스템에 위치한 제 2 연료의 교환을 위해 설계되고,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연료 교환 유닛을 사용하여 발생한다.
- 상기 엔진은 더 이상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 이래로 작동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연료가 문제없이 분사 시스템에서 제 2 연료 컨테이너로 배출될 수 있는 시간 간격은 다양한 변수에 의존한다. 따라서, 분사 시스템에 위치한 제 2 연료가 제 1 연료와 교환이 일어나는 시간 간격은 예를 들면 엔진에서, 그 작동 상태와 제어뿐만 아니라 제 2 연료에 의존할 수 있다.
- 미리 정의된 온도 변화는 엔진이 스위치 오프된 후 분사 설비의 영역에 등록되다. 특히, 온도 변화는 온도 하강이다.
- 미리 정의된 온도는 엔진이 스위치 오프된 후 분사 설비 영역에 미치지 못하거나 일정 시간 내에 도달하지 않는다. 특히, 후자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 문제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시스템은 엔진에 상이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설비의 특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연료 설비는 제 1 연료를 위한 제 1 연료 컨테이너, 제 2 연료를 위한 제 2 연료 컨테이너, 적어도 하나의 고압 펌프 및 도관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연료 컨테이너는 도관 시스템을 통해 연료 고압 펌프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료 고압 펌프는 도관 시스템을 통해 분사 시스템에 연결된다.
연료 설비는 예를 들어 승용차, 화물차, 농용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발전기, 펌프 및 구동기와 같은 고정식 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연료 설비 또는 시스템은 엔진을 더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어셈블리는 연소 모터, 발전기, 또는 독립형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용 구동장치가 있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기계이다.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정확히는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연료 설비 또는 시스템은 운송 수단으로 특징지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운송 수단의 예는 차량(승용차, 화물차, 농용 차량, 건설용 차량 등), 선박 또는 항공기이다.
특히, 운송 수단은 전동 차량, 예를 들어 전술된 전동 차량 중 하나이다. 이는 예를 들어 제 1 연료로 휘발유 또는 디젤과 제 2 연료로 휘발유 또는(종래의) 디젤과는 상이한 액체 또는 가스 연료로 작동 가능한 이원 연료 연소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능한 연료 조합은 예를 들어 휘발유 및 액화 석유 가스, 식물성 기름 및 디젤 또는 바이오 디젤 및 디젤이다. 그러나 다른 연료 조합 특히 본문에 완전하게 나열되지 않은 가연성 물질의 조합 또한 가능하다.
보충적으로, 전동 차량을 구동하는 엔진은 연료의 직접 분사기를 갖는 엔진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연료의 혼합물에 의해 엔진이 구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도관 시스템에서 액체 또는 기체의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시스템은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연료를 갖는 작동을 위해 개조될 수 있는 엔진용 연료 설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엔진의 예로는 연소 모터 또는 터빈과 같은 연소 엔진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연료 설비는 이 시스템의 설치 이전에 구동 유닛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연료 고압 펌프 또는 오일 펌프와 같은 액체용 펌프이다. 그러나 상기 구동 유닛은 전기 또는 기계식 구동 또한 가능하다.
연료 설비는 연료 저장소 및 도관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관 시스템은 유체를 구동 유닛의 입구 및 출구로부터 연료 설비 추가 구성 및/또는 엔진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가스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액체와 이 액체와는 상이한 가연성 물질이 유도되는 도관 시스템. 여기서, 도관 시스템은 유체 또는 가연성 물질만이 유도되는 영역뿐만 아니라 유체와 가연성 물질이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유도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 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의 도관 시스템을 통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전술한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을 통해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매체 변환기(media transformer).
- 구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에 대한 연결부, 특히 액체를 시스템의 도관을 통해 시스템 및 전술한 연료 설비 시스템으로 이송하고 연결부는 유체를 매체 변환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유체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표준 출구를 통해 또는 구동 유닛의 압축 공간 상으로 연결부를 통해 구동 유닛에서 매체 변환기에 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아직 제조되지 않을 수 있다.
유체는 특히 입구에서 출구가 아닌 매체 변환기를 통해 특정 유동에서 유압 액체의 기능을 가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구동 유닛과 매체 변환기 사이의 압력 도관에서 왕복하여 움직인다.
보충적으로, 시스템 또는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에 통합된 전환 밸브는 매체 변환기로 전체적, 부분적으로 액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혀 공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설비 및/또는 엔진 내의 액체, 예를 들어 연료 또는 윤활제로서 매체 변환기의 구동과는 상이한 추가적인 기능을 가정하면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엔진의 전부하(full load) 중에도 - 엔진이 액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시스템 및 전환 밸브는 항상 또는 잠시 유체 및 가연성 물질로 엔진의 공급을 전환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매체 변환기가 편향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편향 가능한(deflectable)"은 부재가 측면으로 변위 가능 및/또는 적어도 부재의 부분 영역(part-region)이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부분 영역은 상이한 공간 위치를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부재는 매체 변환기에서 가연성 물질로부터 유체를 분리시키는 편향 가능한 개별 부재다.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부재는 매체 변환기 주위의 벽에/위에 고정되는 막 또는 가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피스톤이다.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매체 변환기가 유체를 위한 제 1 볼륨, 가연성 물질을 위한 제 2 볼륨 및 액체가 제 1 도관으로 유동할 수 있는 제 1 공급 도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지어지며, 상기 제 1 볼륨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시간에 따라 가변하는 압력을 가지고. 매체 변환기는 압력이 변하는 액체를 가연성 부재의 편향으로 전환시켜 가연성 물질에 대한 펌핑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매체 변환기의 펌핑 효과(및 그에 따른 이송 효과)의 시간적 경과는 매체 변환기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의 시간적 경과와 동일할 수 있다.
매체 변환기의 펌핑 효과의 시간적 경과는 특히 가연성 물질을 엔진에 공급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매체 변환기는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특히, 매체 변환기는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로부터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는데 필요한 완전한 에너지 요구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 자체는 유체가 제 1 공급 도관을 통해 매체 변환기로 유동하는 일시적으로 변하는 압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이 연료 고압 펌프인 경우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공급 도관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와 적어도 하나의 배출 도관측 제어가능한 밸브는 제 1 공급 도관을 통해 매체 변환기로 유동하는 유체가 변화하는 압력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이 실시예는 구동 유닛이 유체를 일정한 압력 또는 압력을 가하는 펌프인 경우에 특히 적용되며, .시간적 변화는 매체 변환기 및/또는 가연성 물질을 갖는 엔진의 공급에 부적합하다. 오일 펌프가 그러한 펌프의 예이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매체 변환기가 구동 유닛의 사이클에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이한 밸브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는 매체 변환기 내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의 시간적 경과가 연료에 대한 펌핑 효과로 이어지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펌핑 효과는 가연성 물질을 갖는 엔진의 공급에 적합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연료와 함께 상이한 연료로 작동 가능한 엔진을 공급하는 연료 설비에 통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엔진의 작동에 적합한 제 1 연료는 전술한 액체로서 추가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엔진의 작동에 적합한 제 2 연료는 전술한 가연성 물질이다.
특히, 제 1 및 제 2 연료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 1 및 제 2 연료이다.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부재는 액체-기밀(liquid-tight) 및/또는 가스-기밀(gas-tight) 방법 및 방식으로 제 2 볼륨으로부터 제 1 볼륨을 분리시킨다.
보충적으로, 제 1 공급 도관과는 별개로, 매체 변환기는 제 1 배출 도관(제 1 공급 도관/배출 도관 쌍)뿐만 아니라 제 2 공급 도관 및 제 2 배출 도관(제 2 공급 도관/배출 도관 쌍)을 포함하며, 제 1 공급 도관/배출 도관 쌍은 제 1 볼륨에 연결되고 제 2 공급 도관/배출 도관 쌍은 제 2 볼륨이 연결된다.
이 문맥에서 "연결되다(is connected)"는 유체 또는 가연성 물질이 공급 도관/배출 도관에서 각각의 체적으로 그리고 체적에서 각각의 공급 도관/배출 도관으로 유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 또는 가연성 물질의 유동을 제어하고 유동의 일방 혹은 양방향으로 막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밸브 또는 오리피스 같은 추가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은 제 1 공급 도관을 통해 제 1 볼륨으로 유체가 운반되고 제 2 공급 도관을 통해 제 2 볼륨으로 가연성 물질이 운반되는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매체 변환기는 편향 가능한 부재를 편향시키고 도관 시스템에서 가연성 물질을 이송 및/또는 제 2 압력의 변화를 위해 제 1 압력과 제 2 압력 사이의 압력 차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볼륨에서 언급된 제 1 압력에 있도록 액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구동 유닛이다.
도관 시스템에서 가연성 물질의 이송 및/또는 특히 제 2 압력의 변화는 제 1 압력에 일시적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제 2 볼륨의 변화에 기초한다. 특히, 여기서 제 2 볼륨의 변화는 박막의 편향 혹은 피스톤 위치의 변위의 결과이다.
유체 또는 가스 가연성 물질의 이송과는 별개로, 시스템은 또한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 변환기로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기능은 매체 변환기의 구성 방식뿐만 아니라 도관 시스템에 통합되는 밸브와 매체 변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가능하게는 구동장치의 설계에 기인한다. 특히, 여기서 매체 변환기의 활성화 시간 및 크기가 중요하다.
실시예에서,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은 편향 가능한 부재의 제 1 편향 방향에 수직인 제 1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제 1 편향 방향에 평행한 제 1 공간 확장에 의해 제공된다. 유사하게,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은 편향 부재의 제 2 편향 방향에 수직인 제 2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편향 방향에 평행한 제 2 공간 확장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제 1 편향 방향은 제 1 볼륨의 영역에서 편향 가능한 부재의 편향 방향에 해당하고 제 2 편향 방향은 제 2 볼륨의 영역에서 편향 가능한 부재의 편향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제 1 볼륨을 향하여, 편향 가능한 부재는 제 1 단부면 그리고 제 2차적을 향하여 제 2 단부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단부면은 제 1 프로파일을 그리고 제 2 단부면은 제 2 프로파일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프로파일은 이제 시스템이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 변환기로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단부면 사이 또는 제 1 및 제 2 프로파일 사이의 표면 비율(surface ratio)은 제 2 압력이 제 1 압력보다 높거나(비율이 1을 초과) 또는 제 2 압력이 제 1 압력에 비해 낮게(비율이 1 미만)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가연성 물질의 이송율은 유사하게 증가(제 1 및 제 2 프로파일 사이의 표면비율이 1 미만) 또는 감소(비율이 1 초과)할 수 있다.
특히,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 변환기의 특성은 선택된 구동 유닛 및 작동된 엔진과 일치한다. 예를 들어, 오일 펌프를 구동 유닛으로 사용하면, 제 2 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반면에, 이원 연소 모터용 연료 설비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설치 및 통합에서, 제 1 연료(예, 휘발유)의 연료 고압 펌프를 사용하면 시스템에 의해 이송되는 제 2 연료(예, LPG)의 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이원 연료 엔진이 LPG(가연성 물질)과 휘발유(액체)로 작동되는 경우, 엔진의 LPG 작동에서 연소 과정이 주어지면, 휘발유로 엔진을 작동하는 것과 비교하여 약 20% 증가한 연료 체적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증가된 요구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 변환기로서 시스템의 작동으로 충당될 수 있다.
이송율 증가에 의해 수반된 압력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시스템은 추가적인 예비 압축 펌프(pre-compression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예비 압축 펌프는 제 2 공급 도관(즉, 제 2 볼륨 내로의 입구)의 상류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로부터 가연성 물질 이송을 이송하기 위해 적용된 가연성 물질 이송 펌프(combustible delivery pump)에 의해 이송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시스템은 매체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 및 추가적인 예비 압력 펌프 또는 가연성 물질 이송 펌프에 의해 생성된 압력차가 본질적으로 합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압력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 2 압력보다 크며, 제 1 및 제 2 압력 사이의 압력차는 제 2 볼륨의 감소를 통해, 제 2 볼륨으로부터 가연성 물질의 유출 및/또는 제 2 압력 증가로 이어진다.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은 제 1 연료의 연료 고압 펌프이며, 연료 고압 펌프는 캠축(camshaft)를 통해 구동된다. 제 1 압력은 이로 인해 반복적인 압력 피크를 갖는다.
특히 제 1 압력이 제 2 압력보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큰 이러한 압력 피크가 있다. 그러나, 제 1 압력은 또한 전체적으로 제 2 압력보다 클 수 있다.
가연성 물질은 반복적인 압력 피크와 압력 최소치를 갖는 제 1 볼륨의 시간 경과에 기인하여 주기적으로 제 2 볼륨의 내부 및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출은 제 2 배출 도관을 통해 발생하며, 특히 시스템의 연료 설비가 설치된 엔진의 분사 시스템 또는 다른 레일 방향으로 발생한다. 유입은 예를 들어 가연성 물질을 위한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에 연결된 제 2 공급 도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되는 연료 설비가설계되는 방법에 따라 다음의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 유체의 저장을 위해, 매체 변환기의 제 1 배출 도관을 구동 장치의 입구 및/또는 대체로 초기 연료 설비의 일부인 유체 저장조에 연결하는 반송부(return).
- 이미 설명된 배출 도관 측 제어 밸브 일 수 있는 반송부를 통해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어 가능한 밸브.
- 유체 또는 가스 가연성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로, 제 2 공급 도관을 통해 매체 변환기와 연결된 연료 컨테이너.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는 가연성 물질을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로부터 도관 시스템 또는 제 2 볼륨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연성 물질 이송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제 2 공급 도관을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에 연결시키는 연료 설비 반송 도관.
- 가연성 물질이 제 2 공급 도관을 통해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의 방향으로 매체 변환기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급 도관측 체크 밸브.
- 매체 변환기의 입구 영역에 있는 과도한 가연성 물질이 연료 설비 반송 도관을 통해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로 되돌아가도록 보장하는 개구 또는 압력 조절기. 상기 개구 또는 압력 조절기 및 연료 설비 반송 도관은 매체 변환기의 입구 영역에서 가연성 물질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반송을 보장한다.
시스템이 상기 부재 중 어느 것을 포함할지는, 예를 들어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연료 설비인지, 액체와 가연성 물질, 또는 정확히는 제 1 연료 및 제 2 연료를 수송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이는 또한 시스템이 제조업체에 의해 연료 설비의 전환, 연료 설비의 개조 또는 처음으로 설치하여 사용되는지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스템이 두개 이상의 연료로 작동될 수 있는 엔진의 작동을 위한 연료 설비에 통합될 수 있으며, 제 1 연료가 추가로 액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액체 및 제 1 연료 또는 가연성 물질 및 제 2 연료의 경우 명백한 방식으로 결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이들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조는 제 1 연료 컨테이너와 동일할 수 있고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는 제 2 연료 컨테이너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전환 밸브는 제 1 연료(유체)를 한편으로는 매체 변환기로 그리고 한편으로는 분사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전환 밸브는 이를 위해 3/2 웨이 밸브로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연성 물질의 이송 특성인 하나 이상의 특성 값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2 개,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또는 이상의 매체 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특성 값은 예를 들어 압력 및/또는 이송율의 시간적 경과, 특히 압력 발생 사이클 및/또는 최대 이송율이다. 또 다른 특성 값은 예를 들어 가연성 물질이 매체 변환기를 통해 이송되는 최대 압력, 또는 단위 시간 또는 이송 사이클당 이송율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평행하게 연결되고 서로 비동시적으로 작동하는 2개의 매체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는 매체 변환기의 각각의 편향 가능한 부재가 서로 동위상에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체 변환기의 편향 가능한 부재는 특히 서로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시스템이 2 개의 매체 변환기를 포함하면, 제 1 매체 변환기의 편향 가능한 부재는 특히 제 2 매체 변환기의 편향 가능한 부재에 대해 반대로 이동한다.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2 개의 매체 변환기는 또한 제 1 블록부, 제 2 블록부 및 제 3 블록부를 포함하는 유압 블록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블록부는 서로 2 개의 편향 가능한 부재의 부분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는 챔버(이후 제 1및 제 2 블록부의 좌측 및 우측 챔버라 각각 칭함)를 포함한다.
특히, 편향 가능한 부재는 제 1 피스톤, 제 2 피스톤 및 피스톤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는 제 1 및 제 2 피스톤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형성한다. 이는 제 1 피스톤의 운동이 제 2 피스톤의 동일 방향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 1 피스톤은 제 1 블록부의 우측 챔버로부터 제 1 블록부의 좌측 챔버를 이격시키고 제 2 피스톤은 제 2 블록부의 우측 챔버로부터 제 2 블록부의 좌측 챔버를 이격시킨다.
제 3 블록부는 제 2 블록부로부터 제 1 블록부를 이격시킨다. 특히 이는 제 2 블록부의 우측 챔버로부터 제 1 블록부의 좌측 챔버를 이격시킨다.
또한, 제 3 블록부는 유압 블록의 종축을 따라 피스톤 연결을 위한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동일 방향 운동은 이 종축을 따르는 동일 방향 운동에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블록부의 좌측 챔버는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에, 제 2 블록부의 우측 챔버는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에, 제 1 블록부의 우측 챔버는 제 2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에 그리고 제 2 블록부의 좌측 챔버는 제 2 변환기의 제 2 볼륨에 대응한다. 따라서, 블록부는 유체용 및 가연성 가연성 물질용 블록부를 구성할 수 있다.
4개의 챔버 각각은 공급 도관과 배출 도관을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제 1 블록부의 2 개의 챔버로의 공급 도관은 공통 또는 각각의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를 포함하며 제 1 블록부의 2 개의 챔버의 배출 도관은 공통 또는 각각의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를 포함한다.
공통 챔버 공급 도관 밸브 또는 공통 챔버 배출 도관 밸브는 3/2 웨이 밸브, 특히 3/2 방향 마그넷 밸브 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가연성 물질의 운반을 위한 시스템이 하나 또는 수 개, 예를 들어 2 개의 매체 변환기를 갖는 것과는 무관하게, 예를 들어 편향 가능한 부재의 극한 편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리드 접촉부(reed contact),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 또는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 및/또는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 또는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의 스위칭은 직접적 또는 언급된 센서의 제어를 통해 활성화 될 수 있다.
매체 변환기는 엔진에 대한 시스템의 배치에 따라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가열 될 수 있다. 이 가열은 예를 들어 모터 내 및/또는 위에서 가열되는 유체(예: 가솔린)를 통한 열의 유입 때문이다.
매체 변환기의 가열은 이것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열은 제 2 볼륨 내의 증기 압력을 가연성 물질의 이송 압력을 초과하는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매체 변환기로 가연성 물질의 적절한 후 유동을 막을 수 있어 엔진에 제 2 가연성 물질의 충분한 공급을 막을 수 있다.
매체 변환기의 둘레 벽체부는 매체 변환기의 너무 높은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냉각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체부는 예를 들어 유압 블록의 둘레 벽체부 및/또는 3 개의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둘레 벽체부 일 수 있다.
상기 냉각 보어는 바이패스 밸브와 개구 및/또는 노즐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개구 및/또는 노즐은 개구/노즐의 하류보다 개구/노즐의 상류, 즉 냉각 보어로의 입구 상류에서, (액체) 가연성 물질이 더 큰 압력 효과를 갖는다. 상기 가연성 물질은 이를 고려하여 냉각 보어 내에서 증발하여 둘레 벽체부로부터 열을 제거할 수 있어 이러한 방법으로 매체 변환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 보어는 터널과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어 둘레 벽체부의 영역으로 확장 될 수 있다.
채널 보어의 출구는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에 연결될 수 있어, 반송한 가연성 물질이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에 공급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냉각 보어는 매체 변환기의 가연성 물질 부분이 냉각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 성능/전력은 개구 및/또는 노즐, 특히 개구 및/노즐을 통해 흐르는 가연성 물질의 양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매체 변환기의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데에도 적용되는 고정 나사 보어는 냉각 보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부분은 예를 들어 액체 부분 및 가연성 물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전술한 유압 블록의 3 개의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는 확장될 수 있는데, 넓어지고/또는 길어질 수 있다.
보어는 나사산(thread)를 포함한다.
나사산의 존재뿐만 아니라 보어의 확장은 냉각 보어의 표면 확장을 유도하여(가스) 가연성 물질의 열 흡수를 증가시킨다.
추가적인 제 3 매체 변환기는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매체 변환기 사이의스위칭 시 발생하는 전력 강하를 극복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송 방향을 전환할 때 발생하는 압력 감소는 다음 조치 중 하나에 의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 상기 시스템은 매체 변환기의 하류와 분사 시스템의 상류에 연결된 균등화 축압기(equalisation pressure accumulator)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균등화 축압기는 고압에서 가연성 물질뿐만 아니라 액체로 채워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 이는 특히 2 개의 매체 변환기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으로 매체 변환기의 내외로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조절하는 공급 도관 측 및 배출 도관 측 밸브는 편향된 부재를 갖는 매체 변환기, 유체 공급 도관뿐만 아니라 유체 배출 도관이 잠시 닫히도록 전환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축압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압력강하가 축압기에 저장된 유체 또는 가연성 물질의 배출을 통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감소(압력 강하)의 감소 또는 방지는 존재할 수 있는 엔진 제어 문제점을 해결하며, 특히 차량의 경우 엔진 제어는 임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구동 어셈블리, 특히 차량의 구동 어셈블리에 설치될 때 시스템 에러를 나타내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한다.
시스템은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밸브를 제어하고 엔진 측 제어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어부를 통해 일반적으로 초기 연료 설비가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예를 들어 상기/일 제어 가능한 밸브 및/또는 상기/일 제어 밸브 및/또는 전환 밸브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편향 가능한 부재의 편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부재는 예를 들어 리드 접촉부 또는 홀 센서 일수 있다.
특히, 상기 부재는 편향 가능한 부재의 최대 편향을 결정할 수 있고 설명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가연성 물질의 이송이 발생하도록 매체 변환기의 공급 도관 측 밸브와 배출 도관 측 밸브를 전환하도록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매체 변환기의 공급 도관 측 및 배출 도관 측 밸브는 설명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 가능하도록 가연성 물질이 이송되도록 유압식으로 스위칭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스위치 가능한 밸브 및 센서와 같은 필요한 전기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 해서 시스템의 기계적 작동 또는 매체 변환기의 기계적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기계적으로 편향된 밸브,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편향된 밸브가 제 1 및 제 2 볼륨을 한정하는 벽에 통합될 수 있다.
기계적으로 편향된 밸브는 예를 들어 편향 가능한 부재의 최대 편향이주어지면 개폐되도록 배치되고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축을 따라 편향이 주어지면 2개의 최대 편향이 있다. 이들은 각각 정지 함으로써 한정될 수 있다.
보충적으로, 유압식 전환 가능한 밸브를 갖는 실시예는 예를 들어 축압기 피스톤의 형태로 압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버퍼는 스위칭시 발생하는 압력 강하를 통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압력 버퍼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매체 변환기를 갖는 이중 매체 변환기를 갖는 시스템의 경우, 제 1 매체 변환기에 의해 가연성 물질 이송을 제 2 매체 변환기에 의해 가연성 물질 이송으로 전환할 때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 강하는 이러한 방법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강하는 특히 유압식으로 스위치 가능한 밸브를 갖는 실시예에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환은 예를 들어 고압 펌프 또는 캠 위치와 같은 구동 유닛에 의해 조절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작동 콘솔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획득(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획득된 작동 파라미터는 작동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이터(또는 그로부터의 작동 상태)를 작동 콘솔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와 작동 콘솔은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부와 작동 콘솔은 이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호환이 가능하다.
제어부의 통신 모듈 및/또는 작동 콘솔의 통신 모듈은 이동 장치, 특히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과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는 이동 장치 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콘솔의 후술되는 기능둘 중 하나, 일부 또는 모두가 이동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작동 콘솔 없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전송된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작동 콘솔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제어장치에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의 이송은 언급된 통신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전송된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의 표시를 위해 스크린 또는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키 또는 회전식 제어부와 같은 입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감지 또는 획득하기 위해 센서 및/또는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를 작동 콘솔 및/또는 작동 콘솔 상의 디스플레이로 이송 및/또는 작동 콘솔에서 제어부로 명령의 이송은 인증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콘솔은 2 개의 콘솔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콘솔 작동 상태는 단순한 사용자, 즉 서비스, 테스트 및/또는 업데이트 작업이 없는 사용자를 말한다. 이것은 제 1 콘솔 작동 상태에서 표시되는 오직 기본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이며 기본 명령만 입력할 수 있다.
방금 설명된 유형의 작동 콘솔은 또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작동 콘솔과 가능하게는 상응하는 설계된 제어부 및 상응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유체 저장조 및/또는 축압기에서 예를 들어 가연성 물질 또는 액체가 시스템의 출구로 순간적으로 이송되는지, 또는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의 충전 레벨이 표시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기본 명령을 고려하여서, 이들, 예를 들어 시스템의 스위치 온/스위치 오프는 시스템 시험의 개시 또는 가연성 물질 또는 액체가 시스템의 출구로 이송되는지에 관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제 2 콘솔 작동 상태는 예를 들어 서비스 기술자와 같은 전문가 사용자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제 2 콘솔 작동 상태에서는 보다 상세한 작동 파라미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작동 콘솔을 통해 시스템의 구성에 접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의 고장, 구성부재의 마모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서의 압력 및/또는 온도가 제 2 작동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상세한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의 표시는 감소된 에러 코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작동 파라미터(작동 상태)의 디스플레이는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깜빡이는 LED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깜빡이는 LED에 관해서는 기본 작동 파라미터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콘솔은 5개의 LED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를 위해 120개의 조명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깜빡이는 LED는 감소된 에러 코드의 예이다.
제 1 콘솔 작동 상태로부터 제 2 콘솔 작동 상태로의 작동 콘솔의 전환은 언급된 인증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코드의 입력 또는 전송, 하나 이상의 입력 부재의 특정 작동 순서 또는 기계식 및/또는 전자식 키의 부착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운송 수단, 예를 들어 차량에 내장될 수 있어 사용자는 운송 수단을 작동하는 동안 작동 콘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예를 들어 운송 수단의 내부 및/또는 대시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콘솔은 예를 들어 담배 라이터 또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이 운송 수단에 존재하는 전원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 및 특성과는 별개로, 작동 콘솔은 가연성 물질을 시스템 출구로 이송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또는 상태 표시를 위한 LED 부재(예를 들어, 충전 레벨 및/또는 에러 통지 및/또는 경고 고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소켓, 예를 들어 전기 장치 충전을 위한 USB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연성 물질은 LPG일 수 있으며, 시스템을 통해 연료를 공급 받는 엔진이 LPG 또는 다른 연료, 특히 가솔린이 공급되는지 여부는 오/오프 스위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도난 방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것은 수신기, 휴대용 송신기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전술한 제어 기능과 더불어 도난 방지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는 전술한 통신 모듈의 일부일 수 있다.
수신기가 휴대용 송신기와 접촉하지 않을 때, 도난 방지부는 가연성 이송 펌프에 의해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 밖으로 이송되는 가연성 물질과 액체 이송 펌프에 의해 유체 저장조 밖으로 이송되는 액체가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와 유체 저장조로 각각 다시 반송되는 시스템의 밸브를 전환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송신기가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 또는 엔진의 시동 후에 수신기와 통신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유체(예를 들어 휘발유)의 여부를 결정하는 전환 밸브를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구동 유닛(예를 들어 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시스템의 출구(및 이에 따른 분사 시스템) 또는 액체 변환기의 입구로 유도되어 액체가 매체 변환기로 유도된다. 제어부는 공급 도관 측 제어 밸브(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관련된 배출 도관 측 제어 밸브를 동시에 전환하여 이들 밸브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유체는 가연성 물질에 작용하는 펌핑 효과 없이 유체 저장조의 방향으로 제 1 볼륨을 통해 역류한다. 다시 말해서, 액체나 가연성 물질은 엔진의 분사 시스템에 연결된 시스템의 출구에 도달하지 않는다.
도난 방지부의 대체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연성 물질의 반송은 매체 변환기에 의해 이송되는 가연성 물질이 엔진의 분사 시스템의 방향 대신 연료 컨테이너로 이송 되도록 전환 될 수 있다.
상기 도난 방지부의 구체적인 실현은 시스템의 구현에 달려있다.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유압 블록으로 구현되는 2 개의 매체 변환기를 갖는 시스템에서, 도난 방지부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휴대용 송신기가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 또는 엔진의 시동 후에 수신기와 통신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전환 밸브가 유체(예를 들어 휘발유)를 제 1 블록부로 이송하도록 한다.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와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는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가해진다. 이 때문에 편향 가능한 부재는 일측에서 정지부까지 이동하고 연료는 제 1 블록의 각각의 챔버를 통해 흘러 유체 저장조로 반송시 이송된다.
가연성 물질의 이송은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또는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의 비활성화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휴대용 송신기에 의해 방출되는 신호는 특히 짧은 거리이며 휴대용 송신기는(가능한 차폐를 고려하면서) 수신기로부터 수미터 반경 내에서, 예를 들어 반경 3미터 내에서 거리를 두어 시스템 사용 중에 연료가 공급되는 엔진 공급 중단에 의해 시스템이 가연성 물질과 액체 모두가 시스템의 출구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밸브를 전환하지 않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충적으로, 휴대용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직접 혹은 간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필요할 수 있다. 이 접촉은 리드/전도체를 통해 수신기에 연결된 배치 표면에 송신기를 증착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특히 키가 없는 액세스 및 시동 시스템용 스마트 키에 사용되는 것처럼 송신기에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송신기는 이동 장치, 특히 제어부 및/또는 작동 콘솔과 통신할 수 있는 전술한 이동 장치 일 수 있다. 특히 이 경우(뿐만 아니라), 가연성 물질 또는 유체가 시스템의 출구로 이송되도록 밸브를 전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코드의 입력에 의존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하여 코드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언급된 코드는 작동 콘솔에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도난 방지부로서 추가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잠금 해제 및 시동 작동이 도난 당하기 쉬운 송신기와 차량 측 수신기 사이의 무선 통신만 수반하는 차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서술된 시스템에서, 이 문제점은 차량의 엔진이 공급되는 연료에 대한 전제 조건인 휴대용 송신기와 시스템측 수신기 간의 통신의 존재에 의해 해결된다. 이와 무관하게, 휴대용 송신기와 시스템측 수신기 간의 통신은 더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언급된 단거리로 충분하다. 종래의 기술의 상태에 따른 스마트 키는 예를 들어 액세스 시스템의 일부로 적용되기 때문에 짧은 범위를 가질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상태에 따른 스마트 키는 연료 설비 또는 엔진의 구성과 통신하지 않는다.
기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유체용유체 저장조, 가스 또는 유체 가연성 물질용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 구동 유닛 및 도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료 설비의 특성화 부재 일 수 있다.
연료 설비가 하나 이상의 연료로 작동될 수 있고 제 1 연료가 추가로 유체로작용하는 엔진의 작동을 담당하는 실시예에서, 또한 제 1 연료 컨테이너(유체 저장조)는 도관 시스템을 통해 구동 유닛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유닛은 출력은 도관 시스템을 통해 엔진의 분사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료 설비에서, 구동 유닛은 특히 연료 설비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로써 작용하는 제 1 연료를 갖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특히 연료 고압 펌프는 제 1 연료의 연료 고압 펌프가 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료는 이원-연료 엔진으로 전환되기 전에 엔진이 작동되는 연료이다.
연료 설비는 승용차, 화물차(lorries), 농용 차량(agricultural vehicles), 선박 또는 항공기뿐만 아니라, 발전기, 펌프 및 구동장치(drive)와 같은 고정식 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료 설비, 설명된 실시예 중 하나에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특히 구동 어셈블리의 특징부일 수 있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엔진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동 어셈블리는 연소 모터, 발전기, 또는 독립형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용 구동장치를 갖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기계이다.
더욱이,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정확히는 연료 설비, 또는 설명된 실시예 중 하나의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운송 수단을 특징 짓는다. 이러한 운송 수단의 예들은 자동차(승용차, 화물차, 농용 차량, 건설용 차량 기타 등), 선박 또는 항공기이다.
특히, 운송 수단은 전동 차량,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것 중 하나이다. 이전에 및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이원 연료 연소 기계(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료 설비, 구동 어셈블리, 운송 수단 또는 전동 차량은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엔진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액체 또는 기체 가연성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는 사실로 특징 지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의해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의 개략도(schematic representation)로서, 상기 연료 설비는 연료의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모터를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대안적인 시스템을 갖는 도 1에 따른 연료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제 2 연료 설비의 개략도로서, 상기 연료 설비는 다시 연료의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모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의 개략도로서, 상기 연료 설비는 연료의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모터를 공급한다;
도 5는 압력 및 이송율 변환기로써 추가적으로 작동하는 매체 변환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2개의 변환기를 포함한다;
도 7은 2개의 정면이 있는 이중 매체 변환기가 설치된 연료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의 또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의 또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유압식 블록으로써 구현되는 이중 매체 변환기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유압식으로 작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연료 설비(20)를 통해 연료가 공급되는 엔진은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모터이며, 이는 제 1 연료(22)(예로, 패트롤(petrol)) 및 제 2 연료(23)(예로, LPG)로 작동된다. 이를 위해, 연료 설비는 연료 설비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의 설치 전에 다음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 제 1 연료(22)를 위한 제 1 연료 컨테이너(1),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부터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 내로 제 1 연료(22)를 운송하는 제 1 연료 이송 펌프(2);
- 제 2 연료(23)를 위한 제 2 연료 컨테이너(11),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부터 엔진의 도관 시스템 내로 제 2 연료(23)를 운송하는 제 2 연료 이송 펌프(12);
- 압력 조절기(4)를 갖는 연료 고압 펌프(3);
- 연료 고압 펌프(3)로의 제 1 및 제 2 연료의 공급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연료 분배기(16). 연료 분배기(16)는 또한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을 통해 연료 고압 펌프(3)로부터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 제 2 연료(23)의 반송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진은 분사 시스템 내의 압력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분사 노즐(9) 및 압력 센서(10)를 갖는 분사 시스템(8)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은 축압기(7) 및 축압기 밸브(6)를 갖는 연료 교환 유닛(17), 교환 반송 도관(24), 반송 밸브(15) 및 체크 밸브(5)를 포함하며, 상기 후자는 대체로 연료 분배기(16)에 통합된다.
축압기(7) 및 축압기 밸브(6)는 엔진의 분사 시스템(8)의 상류 및 연료 고압 펌프(3) 또는 정확히는 압력 조절기(4)의 하류에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대응 부분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각각 배치된다.
교환 반송 도관(24)은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전술한 부분을 연료 고압 펌프(3) 또는 정확히는 압력 조절기(4), 및 분사 시스템(8) 사이를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에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교환 반송 도관(24)은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전술한 부분에 대한 고압-측 연결부(26) 및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에 대한 제 2 연결부(27)를 포함한다. 반송 밸브(15)는 교환 반송 도관(24)을 통해 그것은 교환 반송 도관(24) 내로 통합됨으로써 연료의 유동을 제어한다.
체크 밸브(5)는 교환 반송 도관(24)을 통해 유도된 연료가 연료 분배기(16)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라 설치된 시스템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연료 설비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 제 1 연료(22)에 의한 엔진의 작동: 제 1 연료 이송 펌프(2)는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부터 제 1 연료(22)를 연료 설비(20)의 도관 시스템으로 이송한다. 연료 분배기(16)는 이러한 연료를 연료 고압 펌프(3) 및 압력 조절기(4)로 유도하는데, 여기서 제 1 연료(22)는 제 1 연료에 요구되는 작동 압력(시스템 압력)이 된다. 작동 압력에 있는 제 1 연료(22)는 그 다음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을 통해 분사 시스템(8)으로 공급된다.
제 1 연료(22)를 갖는 엔진의 작동시, 제 2 연료 이송 펌프(12)는 비활성되고 그리고 반송 밸브(15)는 폐쇄된다.
축압기(7)는 엔진의 작동 중 제 1 연료(22)로 채워진다. 이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연료의 교환을 위한 제 1 단계에 대응한다. 축압기 밸브(6)는 축압기(7)를 채운 후 폐쇄된다.
- 제 2 연료(23)에 의한 엔진의 작동: 제 2 연료 이송 펌프(12)는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부터 제 2 연료(23)를 연료 설비(20)의 도관 시스템으로 이송한다. 연료 분배기(16)는 이러한 연료를 연료 고압 펌프(3) 및 압력 조절기(4)로 유도하는데 여기서 제 2 연료(23)는 제 2 연료를 위해 필수적인 작동 압력(시스템 압력)이 된다. 작동 압력에 있는 제 2 연료(23)는 그 다음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을 통해 분사 시스템(8)으로 공급된다.
연료 분배기(16)를 통해 유도된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은 초과한 제 2 연료가 제 2 연료 컨테이너 내로 되돌아 가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은 연료 고압 펌프(3)의 입구 영역에서 캐비테이션(cavitation)된 경우 제 2 연료의 반송을 보장한다.
축압기 밸브(6)뿐만 아니라 반송 밸브(15)는 제 2 연료(23)를 갖는 엔진의 작동시 폐쇄된다.
- 교환 반송 도관(24)을 통한 제 2 연료(23)의 배출: 이것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 중(amid) 연료의 교환을 위한 제 2 단계에 해당한다. 여기서, 엔진을 스위칭 오프한 후, 분사 시스템(8) 및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부분에 위치된 제 2 연료(23)는 반송 밸브(15)의 개방에 의해 제 2 연료 컨테이너(11) 내로 배출된다. 연료 고압 펌프(3) 및 분사 시스템(8)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연료 이송 펌프는 비활성되고 그리고 축압기 밸브(6)는 폐쇄된다.
대안적으로, 제 2 연료(23)를 위한 저장 컨테이너(18) 내로의 제 2 연료(23)의 배출은 가능하다. 저장 컨테이너(18) 내에 저장된 제 2 연료(23)는 제 2 연료(23)를 갖는 엔진의 추후 작동시 분사 시스템의 방향으로 다시 이송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1에서 점선으로 특징지어진다.
- 축압기(7)로부터 제 1 연료(22)의 분사 시스템(8) 충전: 이것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 중에 연료의 교환을 위한 제 3 단계에 대응한다. 이를 위해, 반송 밸브(15)는 축압기 밸브(6)가 개방되기 전에 폐쇄된다. 제 1 및 제 2 연료 펌프뿐만 아니라 연료 고압 펌프(3) 및 분사 시스템(8)은 비활성화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연료 설비(2)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대안적인 시스템인 설비는, 축압기(7) 대신에 부스트 펌프 입구(118) 및 부스트 펌프 출구(119)를 갖는 부스트 펌프(117)를 포함하는 중심 부재로서 시스템에 의해 설치된다.
부스트 펌프는 고압-측 연결부(26)를 통해 연료 설비(20)의 고압 영역에 연결되고 그리고 부스트 펌프 체크 밸브(121)에 의해 부스트 펌프 출구(119)에서 압력초과에 대해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스트 펌프는 별도의 컨테이너로서 설계되고 그리고 엔진, 그리고 이에 따른 재 1 연료 이송 펌프(2)의 작동 중 채워지는 저장조(120)로부터 제 1 연료(22)를 얻는다. 그러나, 부스트 펌프는 저장조(120)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저장조(120) 없이 부스트 펌프(117)의 공급을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가 점선에 의해 표시된다. 여기서,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부터의 직접 공급 또는 제 1 연료(22)가 공급될 수 있는 영역인, 도관 시스템의 영역으로의 접근을 통한 공급의 경우이다. 후자는 제 1 연료 이송 펌프(2)의 스위치-온이 필요할 수 있다.
부스트 펌프(117)는 또한 케스케이드 가능할 수 있으며(cascadable), 이는 즉 압력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위해 다수개의 펌프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보충(supplement) 가능한 것으로서 분사 시스템(8)의 방향인 부스트 펌프 출구(119)로부터 유출되는 제 1 연료(22)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축압기(7) 및 축압기 밸브(6)를 더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2)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엔진은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모터이며, 이는 제 1 연료(22)(예로, 가솔린(petrol)) 및 제 2 연료(23)(예로, LPG)로 연료 설비(2)를 통해 작동된다. 도 1에 따른 연료 설비와의 주된 차이점은 압력 조절기와 함께 각각 별도의 연료 고압 펌프를 통해 각각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연료가 작동 압력에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도시된 연료 설비는 따라서 도 1에 따른 연료 설비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 제 2 압력 조절기(14)를 갖는 제 2 연료 고압 펌프(13)는 제 1 압력 조절기(4)를 갖는 제 1 연료 고압 펌프(3)로부터 별개로 존재한다.
-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은 제 2 압력 조절기(14)의 출구를 직접 방식으로 제 2 연료 컨테이너(11)에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20)의 작동뿐만 아니라 연료의 교환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엔진의 것과 유사하다.
도 3은 축압기(7)를 채우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더 도시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축압기 밸브(6)로의 바이패스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5)는 이 바이패스를 통한 제 1 연료(22)가 축압기(7)로만 유동하지만 이것의 외부로는 유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축압기 밸브(6)는 그 때 축압기(7) 내에 위치된 제 1 연료(22)가 분사 시스템 내로 배출될 때를 제외하고, 항상 폐쇄 상태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시스템이 설치된 연료 설비(20)는 한편으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31)의 기능을 또한 수행하는 도시된 실시예는 연료 고압 펌프(40)를 통해,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부터 분사 시스템(8)으로 제 1 연료(22)(예로, 가솔린)를 운송한다. 반면에, 매체 변환기(32)를 통한 연료 설비(20)는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부터 분사 시스템(8)으로 제 2 연료(23)(예로, LPG)를 운송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연료 설비(20)를 통해 공급되는 엔진은 직접 분사기를 갖는 4-기통 연소 엔진이다.
연료 설비는 시스템의 설치 전 다음의 부재들을 포함한다: 제 1 연료(22)를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부터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 내로 운송하는 제 1 연료 이송 펌프(2)를 갖는 제 1 연료 컨테이너(1): 제 1 연료(22)를 위한 압력 조절기(46)를 갖는 연료 고압 펌프(40); 분사 시스템(8) 밖으로 압력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분사 노즐(9) 및 압력 센서(10)를 갖는 분사 시스템(8); 시스템의 설치 전 연료 설비의 작동을 또한 제어하는 엔진-측 제어부(52).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제 1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쌍(제 1 공급 도관(33.1), 제 1 배출 도관(33.2))을 통해 제 1 연료(22)를 공급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쌍(제 2 공급 도관(34.1), 제 2 배출 도관(34.2))의 사용 중에, 제 2 연료(23)를 작동 압력으로 가져가고 그리고 이를 도관 시스템을 통해 분사 시스템(8)으로 운송하도록 구성된 매체 변환기(32).
- 제 1 공급 도관 연결부(48), 제 1 배출 도관 연결부(49), 제 2 공급 도관 연결부(50) 및 제 2 배출 도관 연결부(51). 여기서, 제 1 공급 도관 연결부(48) 및 제 2 배출 도관 연결부(51)는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부분에 접근하며, 상기 부분은 연료 고압 펌프(40) 및 분사 시스템(8)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배출 도관 연결부(51)는 제 1 연결 도관 연결부(48)의 하류에 배치된다. 제 1 배출 도관 연결부(49)는 연료 설비의 도관 시스템의 부분에 접근하며, 상기 부분은 제 1 연료 컨테이너(1) 및 연료 고압 펌프(40)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공급 도관 연결부(50)는 매체 변환기(32)의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의 연결을 보장하며, 상기 이러한 연결은 가능하게는 현재의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의 하류에 배치되거나 또는 T-부품(T-piece)을 통해 구현된다.
- 제 1 연료(22)를 갖는 분사 시스템(8)의 공급 및 제 2 연료를 갖는 공급 사이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환 밸브(switch-over)(43).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밸브(43)는 제 1 공급 도관 연결부(48) 및 제 2 배출 도관 연결부(51) 사이의 도관 시스템에 배치된다. 특히 대안적으로 3/2 웨이 밸브로 설계된 공급 도관 연결부(48)가 유리하다.
- 반송 밸브(44)를 통해 매체 변환기(32)로부터 연료 고압 펌프(40)의 입구로, 또는 정확히는, 제 1 연료 컨테이너(1)로 제 1 연료(22)를 배출이 제어될 수 있는 제어 가능한 밸브(30).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매체 변환기(32)를 통해 제 1 연료(22)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더욱 구성된다.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신속하게, 즉 연료 고압 펌프(40)의 압력 조절기(46)의 속도(사이클)로 전환된다.
- 연료가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매체 변환기(32)에 남을 수 없도록 보장되는 공급-도관-측 체크 밸브(39.1).
- 연료가 제 2 배출 도관(34.2)을 통해 매체 변환기(32) 내로 흐르지 않도록 보장되는 배출-도관-측 체크 밸브(39.2).
- 제 2 공급 도관(34.1)의 영역에서 초과한 제 2 연료가 제 2 연료 컨테이너(11)의 방향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개구(47) 또는 압력 조절기. 또한, 캐비테이션(가스 형성)의 경우에, 제 2 연료의 반송은 개구(47)를 통해 또는 압력 조절기를 통해 보장될 수 있다.
-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1). 특히, 제어부(21)는 통합된 시스템을 갖는 연료 설비의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시스템의 모든 밸브를 조절하며, 상기 작동은 이후에 설명된다.
- 연료가 제 1 공급 도관(33.1)을 통해 연료 고압 펌프(40)의 방향으로 매체 변환기(32)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고압-측 체크 밸브(5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고압 펌프(40)가 구동 유닛(31)의 기능을 실행하면, 그 때 고압-측 체크 밸브(54)는 연료 고압 펌프(40)에 통합된다.
시스템은 이원 연료 설비에 개조되는지 또는 이미 이원 연료를 위해 개조된 연료 설비에 시스템을 설치하는지에 따라 다음의 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료 이송 펌프(12)를 갖는 제 2 연료 컨테이너(11); 제 2 연료 이송 펌프(12)를 매체 변환기(32)의 제 2 공급 도관(34.1)에 연결하는 도관 시스템;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체 변환기(32)는 피스톤(38)에 의해 액체-수밀 방식으로 분리된 제 1 볼륨(35) 및 제 2 볼륨(36)을 포함한다.
피스톤(38) 대신에, 제 1 볼륨(35)은 또한 멤브레인(37)에 의해 액체-수밀 방식으로 제 2 볼륨(3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9의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 1 연료(22)는 제 1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쌍을 통해 제 1 볼륨(35) 내외로 유도될 수 있다. 제 2 연료(23)는 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쌍을 통해 제 2 볼륨(36)의 내외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도 4에 도시된 엔진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 제 1 연료 이송 펌프(2)는 예비 압력에서 제 1 연료(1)를 연료 고압 펌프(40)의 입구로 운송한다;
- 연료 고압 펌프(40)는 제 1 연료(22)를 작동 압력으로 가져가고, 이는 대체로 40bar 보다 크다.
연료 고압 펌프는 캠샤프트(camshaft)를 통해 엔진 자체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연료(22)의 압력은 모터에 의해 미리 정의된 사이클에서 변하고 그리고 이는 특히 모터 속도 및 캠샤프트 상의 수에 의존한다.
- 제 1 연료(22)를 갖는 엔진의 작동시, 전환 밸브(43)는 개방되며(또는 정확히는 3/2 웨이 밸브가 분사 시스템(8)의 방향으로 제 1 연료(22)를 유동함) 그리고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폐쇄된다. 시스템의 설치 전에 연료 설비를 갖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로 인해 제 2 연료의 시스템은 비활성되고 엔진은 제 1 연료(11)에 의해 구동된다.
- 제 2 연료(23)를 갖는 엔진의 작동시, 전환 밸브(43)는 폐쇄되거나, 또는 정확히는 3/2 웨이 밸브는 매체 변환기(32)의 제 1 공급 도관(33.1)의 방향으로 제 1 연료(22)를 유도한다. 제 1 연료(22)는 이를 통해(by way of) 주기적으로 변하는 고압하에서 제 1 볼륨(35)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료 이송 펌프(12)는 제 2 연료(23)를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주기적인 압력 증가가 공간을 차지하는 제 2 볼륨(36)으로 운송한다. 여기서, 사이클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1. 초기 상태(Initial situation): 제 1 볼륨(35)은 제 1 연료(22)로 채워지고 그리고 제 2 볼륨(36)은 제 2 연료(23)로 채워지며, 상기 2개 볼륨의 압력은 동일하고 그리고 피스톤(38)은 기본 위치를 취한다.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폐쇄된다.
2. 제 1 연료(22)는 제 1 공급 도관(33.1)을 통해 제 1 볼륨(35) 내로 고압으로 진입한다. 피스톤(38)은 이를 통해 제 2 볼륨(36) 방향으로 편향되고 그리고 제 2 연료(23)는 압력을 받는다.
3. 제 2 연료(23)는 제 2 배출 도관(34.2)를 통해 분사 시스템(8)의 방향으로 제 2 볼륨(36) 외부로 가압 하에 배출된다. 공급 도관측 체크 밸브(39.1)는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제 2 연료(23)의 유출을 방지한다.
4. 연료 고압 펌프(40)는 더 이상 매체 변환기(32)의 방향으로 제 1 연료(22)를 이송하지 않고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잠시 개방하며, 이는 제 1 연료(22)가 제 1 볼륨(35)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연료(23)는 이 때문에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제 2 볼륨(36)으로 진입하며 피스톤은 그것의 기본 위치로 반송할 수 있다.
5. 제어 가능한 밸브(30)는 폐쇄되고 사이클은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모터 속도의 사이클에서 연소 모터가 주어진 경우, 매끄러운(smooth) 엔진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엔진의 사이클에서 활성화된다.
도 5는 매체 변환기(32)가 압력 및 이송율 변환기로써 작동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매체 변환기(32)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제 1 볼륨(35)을 향하는 피스톤(38)(또는 멤브레인(37))은 제 1 단부면(67)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볼륨(36)을 향하는 제 2 단부면(68)을 포함한다. 제 1 단부면(67)에 수직이고 피스톤(38)(또는 멤브레인(37)의 편향에 의해)의 이동에 의해 가변하는 제 1 공간 확장부(69)와는 별도로, 제 1 볼륨(35)은 제 1 직경(65)을 갖는 제 1 원형 프로파일에 의해 주어진다. 유사하게, 제 2 단부면(68)에 수직이고 피스톤(38)(또는 멤브레인(37)의 편향에 의해)의 이동에 의해 가변하는 제 2 공간 확장부(70)와는 별도로, 제 2 볼륨(36)은 제 1 직경(66)을 갖는 제 2, 원형 프로파일에 의해 주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단부면(67)의 표면 영역은 제 2 단부면(68)의 표면 영역보다 더 작다. 이 때문에, 매체 변환기(32)는 제 1 공급 도관 / 배출 도관(33.1, 33.2), 또는 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34.1, 34.2)을 통한 연결 후에 감압기로써 작용하며, 즉, 제 2 볼륨에서 생성된 압력("제 2 압력")은 제 1 볼륨에서의 만연한(prevail) 압력("제 1 압력")보다 낮다. 또한, 도시된 매체 변환기(32)에 의해 이송된 제 2 연료의 양은 제 1 볼륨에 의해 이송된 제 1 연료의 양보다 더 많고, 즉, 이송율은 증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내부에 설치된, 연료 설비(20)를 도시하며, 상기 도시된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 1 매체 변환기(32.1) 및 제 2 매체 변환기(32.2)를 포함한다. 비록 2개의 매체 변환기가 연료 고압 펌프(40)의 사이클링보다 낮거나 같은 스위칭 범위에서 작동하더라도, 2개의 매체 변환기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하여 엔진은 제 2 연료(23)를 충분히 공급받는다. 2개의 매체 변환기는 이것을 위해, 즉,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피스톤(38.1)의 편향을 위해 비동기적으로(asynchronously) 작동하며 그리고 따라서 제 2 매체 변환기(32.2)에 의한 제 2 연료(23)의 이송은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피스톤(38.1)(또는 멤브레인)이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2 볼륨(36.1)의 방향으로 최대한 편향되는대로 시작한다. 제 2 매체 변환기(32.2)가 제 2 연료(23)를 이송하는 동안,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피스톤(38.1)은 그것의 비-편향된 기본 위치로 반송하고 그리고 제 2 연료(23)는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확대된 제 2 볼륨(36.1) 내로 유동한다.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피스톤(38.2)이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볼륨(36.2)의 방향으로 최대한 편향될 때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피스톤(38.1)은 그 후 늦어도 그것의 비-편향된 기본 위치를 취하며, 이는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피스톤(38.2)이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볼륨(36.2)으로의 제 2 연료(23)의 유입 중에 그것의 비-편향된 기본 위치로 반송할 수 있는 동안 제 1 매체 변환기(32.1)가 제 2 연료(23)의 이송을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개의 매체 변환기의 비동기적 상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 도 6에 따른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공급 도관(33.1.1)에 부착된 제 1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1), 및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공급 도관(33.1.2)에 부착된 제 2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2)를 포함한다. 이와는 무관하게, 2개의 매체 변환기는 도 4와 유사하게 연료 설비(20) 내로 통합되며 그리고 그들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된다(다른 전환 밸브(43) 사이,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어 가능한 밸브(30.1), 제 1 공급 도관 연결부(48), 제 2 배출 도관 연결부(51),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어 가능한 밸브(30.2),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 반송부(44) 기타 등).
대안적으로, 2개의 매체 변환기의 비동기적 상호 작용은 또한 매체 변환기의 통합된 구성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전면을 갖는 이중 매체 변환기(80)의 예로써, 그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매체 변환기(32.1)(또는 그것의 변향 가능한 부재)의 피스톤(38.1)은 제 1 전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제 2 매체 변환기(32.2)(또는 그것의 변향 가능한 부재)의 피스톤(38.2)은 제 2 전면을 형성한다.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피스톤(38.1)은 여기서 견고한 연결부를 통해 제 2 매체 변환기(32.1)의 피스톤(38.2)에 연결된다.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2 볼륨(36.1)은 분리벽(82)에 의해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볼륨(36.2)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2개의 피스톤의 견고한 연결부(81)는 2개의 볼륨 사이 또는 제 2 볼륨과 그 주위 사이에서 압력 균등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가이드에 의해 분리벽(82)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매체 변환기("제 1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중 하나의 제 1 볼륨 내/외로의 공급 도관 및 배출 도관은 분리벽(82)으로부터 떨어진 각각의 피스톤의 측면에 놓인 매체 변환기의 영역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영역은 따라서 각각의 제 1 볼륨(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볼륨(35.1),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1 볼륨(35.2))을 규정한다. 각각의 매체 변환기("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중 하나의 제 2 볼륨 내/외로의 공급 도관 및 배출 도관은 분리벽(82)과 각각의 피스톤 사이에 놓인 매체 변환기의 영역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매체 변환기는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볼륨(35.1) 및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1 볼륨(35.2)로 교대로 가압 상태가 허용된 유체(제 1 연료)에 의해 작동된다.
2개(또는 그 이상)의 매체 변환기를 갖는 실시예에 보충적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제 1 및 제 2 직경 사이에서 상이한 비율을 선택하기 위해(도 5 및 8 또한 참조), 그리고 가능하게는 제 1 또는 제 2 매체 변환기를 제어하는 밸브의 상이한 활성화 시간을 제어부(21)를 통해 보장하기 위해, 2개의 매체 변환기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 시스템(8)의 방향으로 제 1 매체 변환기(32.1)로부터 유출되는 제 2 연료(23)가 제 2 매체 변환기(32.2)로부터 유출되는 제 2 연료(23)와 비교하여 사이클마다 상이한 압력 및/또는 상이한 이송율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매체 변환기의 제 1 및 제 2 볼륨, 또는 제 1 및 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 쌍은 교환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피스톤(38)에 의해 제 1 볼륨(35)이 제 2 볼륨(3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관한, 매체 변환기의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두개의 매체 변환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37)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통합된 연료 설비(20)를 도시하며, 여기서 구동 유닛(31)으로 역할을 하는 것은 연료 고압 펌프가 아니라, 연료(60)를 이송하는 또다른 펌프(58)이다. 이러한 펌프의 예는 체인 구동(57)을 통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이다.
이러한 펌프(58)는 규칙적으로 주기적인 압력 피크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은 제 1 중간 컨버터(32.1) 및 제 2 중간 컨버터(32.2),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1) 및 제어 가능한(배출 도관-측) 밸브(30.1) 뿐만 아니라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2) 및 제어 가능한(배출 도관-측) 밸브(30.2)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유체 저장조(62) 및 제 1 및 제 2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을 각각의(배출 도관-측) 제어 가능한 밸브를 통해 유체 저장조에 연결시키는 반송 도관(44)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것의 제 1 볼륨(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볼륨(35.1),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1 볼륨(35.2)) 측의 매체 변환기는 펌프(58)로 설계된 구동 유닛(31) 상에 플랜지 결합되고, 그리고 압력 도관(56)을 통해 직접 방식으로 펌프(58)의 압축 공간(59)으로부터 압력하에 있는 유체(60)가 공급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의 또다른 출구 및/또는 구동 유닛에 속하는 도관 시스템을 통한 공급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1 및 55.2), (배출 도관-측) 제어 가능한 밸브(30.1 및 30.2)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설계된 제어부(21)의 도움으로, 주기적으로 변하는 압력은 공급 도관(33.1.1)에서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1 볼륨(35.1)으로 그리고 공급 도관(33.1.2)에서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1 볼륨(35.2)으로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과 함께 예를 들어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매체 변환기는 서로 비동기적으로 다시 동작한다.
필요하다면, 유체(60)의 손실 또는 유체(60)의 또다른 사용은 유체 저장조(62)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매체 변환기는, 유체(60)의 압력과 비교하여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2 볼륨(36.1) 또는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볼륨(36.2)을 통해 이송되는 가연성 물질(61)의 압력 증가를 목적으로 압력 변환기로써 추가적으로 작동하도록 더욱 크기가 결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이송된 가연성 물질(61)은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63)로부터 제 1 매체 변환기(32.1)의 제 2 볼륨(36.1) 또는 제 2 매체 변환기(32.2)의 제 2 볼륨(36.2) 및 그곳으로부터 엔진의 분사 시스템(8)으로 도달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연료 설비(20)는 제 2 가연성 물질(71)의 이송을 위한 부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분-영역은 가연성 물질 이송 펌프(73)를 갖는 제 2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72) 및 압력 조절기를 갖는 가연성 물질 고압 펌프(74)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통합되고 그리고 직접 연료 분사기를 갖는 이원 연소 모터의 공급을 위한 역할을 하는, 연료 설비(20)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체 변환기(32)는 제 2 볼륨으로부터 제 1 볼륨을 분리하는 멤브레인(37)을 갖는다. 또한, 제 1 볼륨(35)(도 8과 유사하게)은 압력 도관(56)을 통해 제 1 유체(22)의 연료 고압 펌프(40)의 압축 공간(59)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제 1 연료(22)는 이에 따라 유체(60)의 기능을 담당하며 그리고 캠축(45)을 통한 연소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연료 고압 펌프(40)는 구동 유닛(31)으로서 다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연료 고압 펌프(40)의 압축 공간(59)에 위치된 제 1 연료(22)는 모터에 의해 규정된 사이클에서 매체 변환기(32)의 제 1 볼륨(35)의 방향으로 운송된다(캠축(45) 상의 캠의 수에 의존함). 폐쇄 밸브(64)는 엔진이 제 1 연료(22)를 통해 작동되는 즉시 압축 공간(59)으로부터 매체 변환기를 분리시킨다.
매체 변환기(32)의 제 1 볼륨(35)으로부터 구동 유닛(31)의 입구로의 반송부(44)로서, 상기 반송부는 제어 가능한 밸브(30)에 의해 제어되며, 압력 도관(56)을 갖는 이러한 설계로 인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유압액으로써 작용한다.
제 2 연료(23)의 매체 변환기(32) 및 분사 시스템(8)으로의 공급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연료 사이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부재는 이 실시예에서의 도 4와 유사하다.
도 10은 유압식 블록으로써 구현되는 이중 매체 변환기(8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압식 블록은 제 1 블록부(201), 제 2 블록부(202), 제 3 블록부(203) 및 편향 가능한 부재(204)를 포함한다.
편향 가능한 부재(204)는 제 1 피스톤(204.1), 제 2 피스톤(204.2) 및 견고한 피스톤 연결부(피스톤 로드)(204.3)를 포함한다. 피스톤 연결부(204.3)는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단부면에 수직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제 3 블록부(203)에서 가이드를 통해 유도된다.
제 1 피스톤(204.1)은 제 1 블록부(201) 내의 피스톤 보어에 의해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 2 피스톤(204.2)은 제 2 블록부(202) 내의 피스톤 보어에 의해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 1 피스톤(204.1) 및 제 2 피스톤(204.2)의 피스톤 연결부(204.3)의 가이드는 서로 분리된 챔버가 형성되도록, 실링부를 포함한다.
특히, 밀봉(seal)은 챔버들 사이에서 액체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성질의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피스톤(204.1)의 단부면은 제 2 피스톤(204.2)의 단부면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것은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의 기능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대조적으로, 2개의 단부면 및 가능하게는 전환 가능한(delectable)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제 1 및 제 2 블록부의 연장은 상이할 수 있어, 도시된 매체 변환기는 또한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 변환기로서 작동될 수 있다.
제 1 피스톤(204.1)은 제 1 블록부(201)를 좌측 챔버(201.1) 및 우측 챔버(201.2)로 세분한다. 좌측 및 우측 챔버의 총 체적(volume)은 일정하지만, 그러나 상기 제 1 피스톤(204.1)의 이동은 좌측 및 우측 챔버의 상대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2 피스톤(204.2)은 제 2 블록부(202)를 좌측 챔버(202.1) 및 우측 챔버(202.2)로 세분한다. 좌측 및 우측 챔버의 총 체적(volume)은 일정하지만, 그러나 상기 제 2 피스톤(204.2)의 이동은 좌측 및 우측 챔버의 상대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체로 좌측 및 우측의 최대 또는 최소 체적은 피스톤 연결부(204.3)으로 인해 상이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챔버(201.1)은 이중 매체 변환기(80)의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에 대응하고, 제 2 블록부(202)의 우측 챔버(202.2)는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에 대응하며, 제 1 블록부(202)의 우측 챔버(201.2)은 이중 매체 변환기(80)의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에 대응하고, 제 2 블록부(202)의 좌측 챔버(202.1)는 제 2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에 대응한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1 블록부(201)는 유체(가솔린) 용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제 2 블록부(202)는 가연성 물질(LPG) 용으로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챔버 각각은 공급 도관 및 배출 도관을 포함한다.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챔버(201.1)로의 공급 도관 및 우측 챔버(201.2)로의 공급 도관은 3/2 웨이 밸브로 구현된 제 1(공통됨)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0)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는 입구 측에서 구동 유닛(고압 펌프)의 출구에 대한 연결부(210)에 연결되며 그리고 출구 측에서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및 우측 챔버에 연결된다.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챔버(201.1)로의 배출 도관 및 우측 챔버(201.2)로의 배출 도관은 3/2 마그넷 밸브(magnet valve)로 구현된 제 1(공통됨)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는 입구 측에서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및 우측 챔버에 연결되며 그리고 출구 측에서 유체 저장조에 대한 반송부(211)에 연결된다.
제 1 블록부(201)로부터 유체 저장조로 유체의 반송은 체크 밸브(217)를 통해 보증된다. 체크 밸브(217)는 보유 압력 또는 개방 압력을 갖는다. 특히, 그것은 트랩된 열로 인해 이론적으로 도달 가능한 최대 온도에서 유체(예를 들어 가솔린)의 비등 압력 이상에 있는 개방 압력을 가지며, 매체 변환기의 유체의 비등이 방지된다.
유체가 가솔린인 경우, 그 때 개방 압력은 예를 들어 2 내지 5bar 사이며, 특히 2.7 내지 3.5bar 사이다.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2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의 연결부의 점유 부분(occupation)은, 결과적으로 제 1 피스톤(204.1)이 이들 2개 밸브의 동일한 방향 전환에 의해 피스톤 연결부(204.3)의 축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특별히, 도 10에 도시된,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의 연결부의 보유는, 두 밸브 모두에 전류가 가해지지 않을 때,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가 유체를 우측 챔버(201.2)로 유도하고 그리고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가 우측 챔버로부터의 유체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좌측 챔버(201.1)로부터의 유체의 유출을 허용하게 한다. 그 결과, 제 1 피스톤(204)은 좌측 챔버(201.1)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연결부의 도시된 사용으로,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에 전류를 동시에 가하는 것은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가 유체를 좌측 챔버(201.1)로 유도하게 하고 반면에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는 우측 챔버(201.2)로부터 유체의 배출을 허용하지만 좌측 챔버(201.1)부터는 배출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 1 피스톤은 우측 챔버(201.2)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 2 블록부(202)의 좌측 챔버(202.1) 및 우측 챔버(202.2)로의 공급 도관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배출 도관은 각각 체크 밸브(제 1 공급 도관측 체크 밸브(222), 제 2 공급 도관측 체크 밸브(223), 제 1 배출 도관측 체크 밸브(224), 제 2 배출 도관측 체크 밸브(225))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체크 밸브는 가연성 물질이 2개의 공급 도관 중 하나를 통해 좌측 챔버(202.1)로 들어가고 그리고 2개의 공급 도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우측 챔버(202.2)로 독점적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전환된다. 또한, 가연성 물질은 2개의 배출 도관 중 하나를 통해 좌측 챔버(202.1)로부터 유출되고 그리고 2개의 배출 도관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우측 챔버(202.2)로부터 독점적으로 유출될 수 있다.
공급 도관측 체크 밸브(222, 223)의 입구는 가연성 물질 이송 펌프에 대한 연결부(214)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에 연결된다.
배출 도관측 체크 밸브(224, 225)의 출구는 분사 시스템에 대한 연결부(215)에 연결된다. 보충적으로, 배출 도관측 체크 밸브(224, 225)는 반송부를 통해 가연성 물질 저장조 연결부(213)에 연결된다. 가연성 물질 저장조 연결부(213)를 통한 연료 저장조로의 가연성 물질의 반송은 가연성 물질 역률 밸브(208)에 의해 제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사 시스템에 대한 연결부(215)로의 가연성 물질(LPG)의 이송 및 유체(가솔린)의 이송 사이의 전환은 전환 밸브(207)을 통해 다시 영향을 받는다.
전환 밸브(207)는 입구측은 구동 유닛의 출구에 대한 연결부(입구)(210)에 연결되며 출구측은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분사 시스템에 대한 연결부(215)에 연결되는 3/2 웨이 마그넷 밸브로써 구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류가 가해지지 않은 전환 밸브(207)는 유체를 연결부(215)로 유도한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시스템이 개별적 또는 조합하여 가질 수 있는 다음의 선택적 특징을 더 포함한다:
-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연성 물질 저장조 연결부(213)로의 가연성 물질 반송 도관(231)을 포함하며, 상기 반송 도관은 냉각 도관으로써 설계된다. 가연성 물질 반송 도관(231)은 냉각 노즐(232), 반송 오리피스(orifice) 및/또는 압력 조절기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 보어(230)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냉각 보어(230)는 유압식 블록의 둘레 벽체부에 위치된다.
-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는 즉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다.
도시된 것은 축압기에 대한 연결부(212), 뿐만 아니라 축압기의 상류에 연결된 축압기 밸브(206)이다. 축압기 밸브(206)는 입구측에서 구동 유닛(고압 펌프)의 출구에 대한 연결부(210) 및 전환 밸브(207)의 입구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도시된 분사 시스템의 연료 교환은 이에 따라 전환 밸브(207)를 통해 추가적으로 제어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이송 방향을 전환할 때 발생하는 압력 강하를 상쇄시키기에 적합하며, 이는 즉 제 2 블록부(202)의 좌측 챔버(202.1)를 통한 이송으로부터 제 2 블록부(202)의 우측 챔버(202.2)를 통한 이송으로 전환시 및 그 반대로 전환시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가 완전하게 동기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공급 도관뿐만 아니라 제 1 블록부(201)의 2개의 챔버 중 하나의 배출 도관이 패쇄되고 그리고 공급 도관 뿐만 아니라 2개의 챔버 중 다른 하나의 배출 도관이 개방되도록 전류가 가해지는 것을 전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10의 축압기 및 축압기 밸브(206)에 대한 연결부(212))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선택적 축압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 때 압력 강하는 또한 축압기 밸브(206)의 짧은 개방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이(가솔린) 고압 펌프인 경우,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의 전환은(가솔린) 고압 펌프(또는 캠축) 또는 유체의 이송 또는 비-이송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리드 접촉부(reed contacts)(205)를 더 포함한다. 이들은 제 1 또는 제 2 피스톤이 단부 위치에 위치될 때, 특히 최대 편향시, 그들이 활성화되도록 제 1 및 제 2 블록부 상에 배치된다.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의 전환은 제어부를 통해 리드 접촉부(205)의 활성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시스템(200)의 실시예의 공급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시스템은 유압식으로 및/또는 -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전자 작동과 함께 필요한 많은 구성이 이것으로 인해 없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예를 들어 제어 가능한 밸브(30, 30.1, 30.2), 공급 도관측 제어 밸브(55.1, 55.2),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 및 리드 접촉부(205)와 같은, 매체 변환기의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밸브이며, 이는 도 4 내지 10에 언급되며 그리고 이는 없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유압식으로 및/또는 기계식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 대신에 적용된 우측 밸브(227) 및 좌측 밸브(228)를 포함한다.
특히, 우측 밸브 및 좌측 밸브는 유압식 블록, 특히 블록의 둘레 벽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및 좌측 밸브는 입구측에서 전환 밸브(207)에 연결된다.
우측 밸브(227)는 제 1 블록부(201)의 우측 챔버(201.2)로의 유체의 공급을 제어한다. 좌측 밸브(228)는 제 1 블록부(201)의 좌측 챔버(201.1)로의 유체의 공급을 제어한다.
2개의 밸브는 반대 방향, 즉, 작동시, 2개의 밸브 중 하나는 개방되고 다른 밸브는 폐쇄되게 스위치된다. 이로써 제 1 챔버 공급 도관 밸브(220) 및 제 1 챔버 배출 도관 밸브(221)를 갖는 실시예와 동일한 시스템(200)의 작동이 가능하다.
특히, 스위칭은 제 1 피스톤(204.1)이 예를 들어 엔드 스톱(end stop)에 의해 규정되는 최대 편향을 취할 때 공간을 차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시 2개의 제 1 피스톤(204.1)의 최대 편향이 있다: 제 1 최대 편향은 좌측 챔버(201.1)의 체적이 최소이고 그리고 우측 챔버(201.2)의 체적이 최대일 때 도달한다. 제 2 최대 편향은 좌측 챔버(201.1)의 체적이 최대이고 그리고 우측 챔버(201.2)의 체적이 최소일 때 도달한다.
제 1 피스톤의 최대 편향이 주어진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밸브의 스위칭은 최대 편향에서 발생하는 동적 압력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밸브는 편향되거나 또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 가능할 수 있다. 편향된 스프링은 챔버로 통하는 보어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완된 스프링은 전술한 보어를 개방할 수 있다. 역 구성 또한 가능하다.
기계적 스위칭, 예를 들어 최대 편향시 또는 기계적인 레버와 상호 작용하는 최대 편향 직전의 제 1 피스톤(204.1)은 또한 가능하며, 특히 동적 압력을 통해 활성화되는 유압식 스위칭에 대해 대안적이거나 또는 보충적이다.
특히, 기계적인 레버의 상태에 의존하는 제어 전류는 우측 밸브(227) 및 좌측 밸브(228)의 상태(개방 또는 폐쇄)를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전류는 스프링이 이완된 상태에서 편향된 상태 및 그 반대로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매체 변환기의 유압식 또는 기계적 스위칭 뿐만 아니라 압력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측정은 도 10 및 11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서, 양자 모두는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5)

  1.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연결부(26)를 통해 엔진의 공급을 위한 연료 설비(20)의 고압-영역 및/또는 엔진의 분사 시스템(8) 상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 1 연료(22)는 제 1 연료 컨테이너(1) 내에 그리고 제 2 연료(23)는 제 2 연료 컨테이너(11)에 저장 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은 연료 교환 유닛(17), 제어부(21) 및 교환 반송 도관(2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교환 반송 도관(24)을 통해 상기 분사 시스템(8) 밖으로 제 2 연료(23)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상기 분사 시스템(8)에 위치된 상기 제 2 연료(23)를 상기 제 1 연료(22)로 교체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오프된 엔진에서 상기 연결부(26)를 통해 상기 분사 시스템(8)으로 상기 제 1 연료(22)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압력 하에서 제 1 연료(22)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축압기(7)(pressure accumulator)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상기 축압기(7)의 상류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축압기 밸브(6)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압기(7)는 상기 엔진의 작동 중에 상기 제 1 연료로 채워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스위치-오프된 엔진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부스트 펌프(boost pump)(117)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료(22)의 공급을 위한 부스트 펌프 입구(11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6)와 연결된 부스트 펌프 출구(119)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상기 제 1 연료(22)를 위한 저장조(reservoir)(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조는 상기 부스트 펌프 입구(118)와 연결된,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은 상기 부스트 펌프(117)의 하류에 배치되는 축압기(7)를 더 포함하고 압력 하에서 제 1 연료(22)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펌프 출구(119)로부터 흘러나온 상기 제 1 연료(22)의 압력은 상기 축압기(7) 밖으로 가압되어 배출된 상기 제 1 연료에 의해 상기 분사 시스템에서 증가될 수 있는,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료(23)는 상기 분사 시스템(8) 밖으로 저장 컨테이너(18)로 또는 상기 제 2 연료 컨테이너(11)로 배출될 수 있는,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환 회수 도관(24)이 제 1 측에서는 상기 분사 시스템(8)과 연결되고 제 2 측에서는 상기 제 2 연료 컨테이너(11) 또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18)와 연결된 리턴 밸브(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 밸브(15)는, 분사 시스템(8)에 위치된 상기 제 2 연료가 상기 제 2 연료 컨테이너(11) 또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18) 내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개방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을 통해 저장되는 상기 제 1 연료가 상기 분사 시스템(8)으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분사 시스템(8) 내에 위치된 상기 제 2 연료를 먼저 배출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작동 파라미터가 조절되어, 상기 시스템이 다수의 엔진 및/또는 엔진 구성들 및/또는 제 1 및 제 2 연료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는,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료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인,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유닛(17)에 저장된 제 1 연료에 의해, 상기 분사 시스템(8)에 위치된 상기 제 2 연료의 교체는 다음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되는 경우에 일어나는,
    - 상기 엔진은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 이후에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 조건;
    - 상기 엔진이 스위치 오프된 후 상기 분사 설비(injection facility)(8)의 영역에서 미리 정의된 온도의 변화를 등록하는 조건;
    - 상기 엔진이 스위치 오프된 후 상기 분사 설비(8)의 영역에서 미리 정의된 온도의 도달에 미치지 못하거나 또는 도달하지 못한 조건,
    시스템.
  15. 제 1 연료(22)를 위한 제 1 연료 컨테이너(1), 제 2 연료(23)를 위한 제 2 연료 컨테이너(11), 적어도 하나의 연료 고압 펌프(3, 13) 및 도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연료 컨테이너는 상기 도관 시스템을 통해 연료 고압 펌프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 고압 펌프는 상기 도관 시스템을 통해 엔진의 분사 시스템(8)에 연결되고,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엔진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설비(20).
  16.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로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이거나 또는 제 15 항에 따른 연료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17. 운송 수단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 제 15 항에 따른 연료 설비 또는 제 16 항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동력화된 차량인,
    운송 수단.
  19. 가연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 유체(22, 60) 및 이러한 유체와는 상이한 가연성 물질(23, 61)이 유도될 수 있는 도관 시스템;
    - 상기 도관 시스템을 통해 가연성 물질(23, 61)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매체 변환기(media transformer)(32, 80);
    - 구동 유닛(31)에 대한 연결부(48, 56, 210)로서, 상기 구동 유닛(31)은 상기 도관 시스템을 통해 상기 유체(22, 60)을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48, 56, 210)은 상기 매체 변환기(32, 80)에 상기 유체(22, 60)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연결부(48, 56, 210); 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 변환기(32, 80)는 편향 부재(37, 38, 204), 상기 유체(22, 60)를 위한 제 1 볼륨(35, 201.1, 201.2), 상기 가연성 물질을 위한 제 2 볼륨(36, 202.1, 202.2) 및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을 통해 제 1 볼륨(35, 201.1, 201.2)으로 유동하는 상기 유체(22, 60)는 변하는 압력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매체 변환기(32, 80)는 상기 가연성 물질(23, 61)에 대한 펌핑 효과가 발생하도록 압력이 변하는 유체(22, 60)를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37, 38, 204)의 편향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는 멤브레인(37) 또는 피스톤(38, 204)인,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륨의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37, 38, 204)의 편향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은 제 1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볼륨의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37, 38, 204)의 편향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2 볼륨(36, 202.1, 202.2)은 제 2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37, 38, 204)는 제 1 프로파일을 갖는 제 1 단부면(end-face)(67), 및 제 2 프로파일을 갖는 제 2 단부면(end-face)(68)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파일 및 제 2 프로파일은 상기 시스템을 위해 압력 변환기 및/또는 이송율(delivery rate) 변환기로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과 이격되어, 상기 매체 변환기(32, 80)는 제 2 공급 도관(34.1) 및 제 2 배출 도관(34.2) 뿐만 아니라 제 1 배출 도관(33.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공급 도관 / 배출 도관(33.1, 33.2)는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공급 도관 / 배출 도관(34.1, 34.2)은 상기 제 2 볼륨(36, 202.1, 202.2)에 연결된,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22, 60)는 상기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을 통해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로 도입되고 그리고 가연성 물질(23, 61)은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상기 제 2 볼륨(36, 202.1, 202.2)로 도입되며,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 내의 상기 유체는 제 1 압력에 있고 상기 제 2 볼륨(36, 202.1, 202.2) 내의 상기 가연성 물질(23, 61)은 제 2 압력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매체 변환기(32, 80)는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37, 38, 204)를 편향시키고 상기 도관 시스템에서 상기 가연성 물질(23, 61)을 이송을 위해 및/또는 상기 제 2 압력의 변화를 위해 상기 제 1 압력과 상기 제 2 압력 사이의 압력차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31)은 상기 제 2 압력보다 높은 상기 제 1 압력으로 상기 유체(22, 60)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져오고, 상기 가연성 물질(23, 61)은 상기 제 2 볼륨(36, 202.1, 202.2)으로부터 유출되며 및/또는 상기 제 2 압력의 변화는 압력 증가에 대응하는,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부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 상기 제 1 배출 도관(33.2)을 상기 구동 유닛(31)의 입구(41) 및/또는 상기 유체(22, 60)의 저장을 위한 유체 저장조(1, 62)에 연결하는 반송부(return)(44);
    - 상기 반송부(44)를 통해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어가능한 밸브(30);
    - 상기 가연성 물질(23, 61)을 저장하기 위한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로서, 상기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는 상기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매체 변환기(32, 80)에 연결되는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
    - 상기 제 2 공급 도관(34.1)을 상기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에 연결시키는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
    - 상기 제 2 공급 도관(34.1)을 통해 상기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 내로 가연성 물질(23, 61)의 역류를 방지하는 공급-도관-측 체크밸브(39.1, 222, 223);
    - 개구(47) 또는 압력 조절기로서, 매체 변환기(32)의 입구 영역에 위치된 초과 가연성 물질(23, 61)이 상기 연료 설비 반송 도관(25)을 통해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 내로 되돌아 가는 것을 보장하는 개구(47) 또는 압력 조절기,
    시스템.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1)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병렬로 연결되고 서로 비동기적으로(asynchronously) 작동되는 적어도 2개의 매체 변환기(32.1, 32.2, 80)을 포함하는,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매체 변환기는 다음을 포함하는 유압식의 블록으로써 구현되며(realised),
    - 제 1 블록부의 좌측 챔버(201.1) 및 제 1 블록부의 우측 챔버(201.2)를 갖는 제 1 블록부(201),
    - 제 2 블록부의 좌측 챔버(201) 및 제 2 블록부의 우측 챔버(202.2)를 갖는 제 2 블록부(202), 및
    - 상기 제 2 블록부(202)로부터 상기 제 1 블록부(201)를 분리하는 제 3 블록부(203),
    상기 제 1 블록부의 상기 좌측 챔버(201.1)는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이며, 상기 제 2 블록부의 상기 우측 챔버(202.2)는 제 1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이고, 상기 제 1 블록부의 상기 우측 챔버(201.2)는 제 2 매체 변환기의 제 1 볼륨이며, 상기 제 2 블록부의 상기 좌측 챔버(202.1)는 제 2 매체 변환기의 제 2 볼륨이고,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204)는 상기 제 1 블록부의 상기 우측 챔버(201.2)로부터 상기 제 1 블록부의 상기 좌측 챔버(201.1)를 분리하는 제 1 피스톤(204.1), 상기 제 2 블록부의 상기 우측 챔버(202.2)로부터 상기 제 2 블록부의 상기 좌측 챔버(202.1)을 분리하는 제 2 피스톤(204.2)과 피스톤 연결부(204.3)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연결부(204.3)는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형성하는,
    시스템.
  29.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능한 부재는 상기 가연성 물질(23, 61)로부터 상기 유체(22, 60)를 분리하는 상기 매체 변환기(32, 80)에서 편향 가능한 분리 부재(37, 38)인,
    시스템.
  30. 제 19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변환기(32, 80)는 둘레 벽체부(surrounding wall) 및 그 안에 위치되고 가연성 물질(23, 61) 또는 유체(22, 60)가 공급되며, 상기 매체 변환기(32, 80)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보어(cooling bore)(230)를 포함하는,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보어(230)는 액체 가연성 물질(23, 61)이 공급되며, 개구 및/또는 노즐(232) 및/또는 압력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가연성 물질(23, 61)의 증발을 발생시키는 냉각 효과에 의해 상기 매체 변환기(32, 80)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32. 제 1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수신기, 휴대용 송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난 보호부로써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에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는 가연성 이송 펌프에 의해 이송된 가연성 물질 및 유체 이송 펌프에 의해 이송된 유체가 각각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 및 유체 저장조 내로 반송되도록 상기 시스템의 상기 밸브를 스위칭하는,
    시스템.
  33.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작동 콘솔(operating console)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작동 콘솔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 콘솔은 전송된 작동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 콘솔은 그것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작동 콘솔 및/또는 상기 작동 콘솔 상의 그것의 디스플레이에 전송 및/또는 상기 작동 콘솔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명령을 이송하는 것은 권한 인증(authorisation authentication)을 전제로 하는,
    시스템.
  35. 제 1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연료와 함께, 상이한 연료로 작동될 수 있는 엔진을 공급하는 연료 설비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연료는 제 1 연료(22)이고 그리고 상기 가연성 물질은 제 2 연료(23)인,
    시스템.
  36. 제 1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31)은 상기 유체(22)가 상기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을 통해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 내로 유동하도록 상기 변하는 압력을 가하는,
    시스템.
  37. 제 1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도관-측 제어 밸브(55.1, 55.2, 220)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도관-측 제어 가능한 밸브(30, 30.1, 30.2, 221)는 상기 제 1 공급 도관(33.1, 33.1.1, 33.1.2)을 통해 상기 제 1 볼륨(35, 201.1, 201.2) 내로 유동하는 상기 유체(22, 60)가 변하는 압력을 갖도록 구성된,
    시스템.
  38. 유체(21, 60)를 위한 유체 저장조(1, 62), 가연성 물질(23, 61)을 위한 가연성 물질 컨테이너(11, 63), 구동 유닛(31) 및 도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료 설비(20)로서,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설비.
  39. 제 38 항에 따른 연료 설비(20)로서, 상기 구동 유닛(31)은 연료 고압 펌프(40)인,
    연료 설비.
  40.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로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이거나 또는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따른 연료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41.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따른 연료 설비(20) 또는 제 40 항에 따른 구동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42. 제 41 항에 따른 운송 수단으로서, 상기 운송 수단은 동력화된 차량인,
    운송 수단.
  43. 연료 설비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 및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연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설비.
  44. 구동 어셈블리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 및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연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어셈블리.
  45. 운송 수단은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엔진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연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 및 제 19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연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KR1020187031945A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28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2827A KR102362267B1 (ko)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57443 WO2017174118A1 (de) 2016-04-05 2016-04-05 Kraftstoffaustausch- und kraftstoffförder-system für kraftstoffanlagen
EPPCT/EP2016/057443 2016-04-05
PCT/EP2017/058158 WO2017174680A1 (de) 2016-04-05 2017-04-05 Kraftstoffaustausch- und kraftstofffördersystem für kraftstoffanlag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827A Division KR102362267B1 (ko)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906A true KR20180129906A (ko) 2018-12-05
KR102281301B1 KR102281301B1 (ko) 2021-07-26

Family

ID=556614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945A KR102281301B1 (ko)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0217022827A KR102362267B1 (ko)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827A KR102362267B1 (ko) 2016-04-05 2017-04-05 연료 교환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을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10774755B2 (ko)
EP (2) EP3440329B2 (ko)
JP (1) JP6968818B2 (ko)
KR (2) KR102281301B1 (ko)
CN (1) CN109196204B (ko)
AU (1) AU2017245693B2 (ko)
BR (1) BR112018070511A2 (ko)
CA (1) CA3019708C (ko)
DE (1) DE202017007214U1 (ko)
EA (1) EA036656B9 (ko)
ES (1) ES2865252T3 (ko)
HR (1) HRP20210796T4 (ko)
LT (1) LT3440329T (ko)
MX (1) MX2018012114A (ko)
MY (1) MY188020A (ko)
PH (1) PH12018502150A1 (ko)
PL (1) PL3440329T5 (ko)
WO (2) WO2017174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0508B1 (en) * 2018-02-28 2019-09-16 Vialle Group B V FUEL SUPPLY SYSTEM AND ASSEMBLY FOR INJECTING LlQUEFIED VAPOUR UNDER HIGH PRESSURE INTO A COMBUSTION CHAMBER
EP3546740A1 (de) 2018-08-30 2019-10-02 Befinal GmbH Kraftstoffförder-system für kraftstoffanlagen
CN110671248B (zh) * 2019-10-17 2022-04-19 陕西理工大学 发动机滑阀式配油器及直动伺服配油方法
CN113931769B (zh) * 2021-10-13 2023-03-24 亚普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燃油系统的集成式电控组件及燃油系统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746U (ko) * 1981-04-21 1982-10-23
JPH10299601A (ja) * 1997-04-18 1998-11-10 Robert Bosch Gmbh 燃料噴射装置
US6298833B1 (en) * 2000-04-07 2001-10-09 Westport Research Inc. Fluid seal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sealing-fluid pressure
EP2143916A1 (en) * 2008-07-07 2010-01-13 Teleflex GFI Europe B.V. Dual fuel injec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injection system
KR20110079550A (ko) * 2009-12-31 2011-07-07 인도파 베.파우. 연소 엔진용 직접 분사 이원 연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2425A (en) 1956-07-11 1962-02-20 Midland Ross Corp Dual fuel control systems for engines burning diesel-type fuels
US4244553A (en) 1978-05-25 1981-01-13 Escobosa Alfonso S Hydraulic actuation system for engine valves
JPS5790237A (en) 1980-11-26 1982-06-04 Eru Roisutaa Jiyon Remote control type car safety device
JPS57124073A (en) * 1981-01-24 1982-08-02 Diesel Kiki Co Ltd Fuel injection device
JPS57168746A (en) 1981-04-10 1982-10-18 Kubota Ltd Pattern for casting by air bag system
JPS62255567A (ja) * 1986-04-28 1987-11-07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装置
DE4313852B4 (de) * 1993-04-28 2004-11-25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US5486806A (en) 1994-11-09 1996-01-23 Firari; Harold A. Anti-hijacking and theft preven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US5740782A (en) 1996-05-20 1998-04-21 Lowi, Jr.; Alvin Positive-displacement-metering, electro-hydraulic fuel injection system
US6067946A (en) 1996-12-16 2000-05-30 Cummins Engine Company, Inc. Dual-pressure hydraulic valve-actuation system
CA2204983A1 (en) 1997-05-09 1998-11-09 Westport Research Inc. Hydraulically actuated gaseous or dual fuel injector
US5775273A (en) * 1997-07-01 1998-07-07 Sunpower, Inc. Free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812170A1 (de) * 1998-03-19 1999-09-23 Daimler Chrysler Ag Kraftstoffeinspritzanlage für eine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
US6336598B1 (en) 1998-09-16 2002-01-08 Westport Research Inc. Gaseous and liquid fuel injector with a two way hydraulic fluid control valve
US6073862A (en) 1998-09-16 2000-06-13 Westport Research Inc. Gaseous and liquid fuel injector
DE19938169A1 (de) * 1999-08-16 2001-03-0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JP2007154797A (ja) 2005-12-06 2007-06-21 Denso Corp 燃料噴射装置
JP5605220B2 (ja) 2007-05-23 2014-10-15 インターロッキング ビルディングス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高圧液体lpg燃料供給装置の製造及び設置方法と二重又は混合燃料供給システム
CN101372913A (zh) * 2007-08-21 2009-02-25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双组元液压自由活塞发动机
NL2002384C2 (nl) 2008-03-03 2011-04-04 Vialle Alternative Fuel Systems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een verbrandingsmotor met directe inspuiting met twee brandstoffen.
DE102008043930A1 (de) 2008-11-20 2010-06-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P2249021A1 (en) * 2009-05-06 2010-11-10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Fuel Delivery System
NL2003791C2 (nl) 2009-11-12 2011-05-16 Vialle Alternative Fuel Systems Bv Brandstoftoevoersysteem en hogedrukpomp voor een verbrandingsmotor.
AU2011242406B2 (en) * 2010-04-20 2015-01-15 Dgc Industries Pty Ltd A dual fuel supply system for a direct-injection system of a diesel engine with on-board mixing
US8590510B2 (en) * 2010-08-24 2013-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 for a multi-fuel engine
CA2758246C (en) 2011-11-16 2013-02-12 Westport Pow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ing fuel to a fuel injection system
DE102011088795A1 (de) 2011-12-16 2013-06-2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welche mit mindestens zwei Kraftstoffarten betrieben werden kann
NL2008202C2 (en) 2012-01-31 2013-08-06 Vialle Alternative Fuel Systems Bv Arrangement and method for bi-fuel combustion engines.
NL2008803C2 (en) 2012-05-11 2013-11-12 Vialle Alternative Fuel Systems Bv Fuel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injection, kit for a fuel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injecting a fuel in a combustion engine.
US8905059B2 (en) * 2012-07-20 2014-12-09 Caterpillar Inc. Diesel fuel leakage control system for a dual fuel injector
JP5982233B2 (ja) 2012-09-07 2016-08-3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充填システム
US8936009B2 (en) * 2012-10-31 2015-01-20 Caterpillar Fuel system having dual fuel pressure regulator
CN104903567A (zh) * 2012-11-05 2015-09-09 德尔福国际运营卢森堡有限公司 三通阀组件
US20140331974A1 (en) * 2013-05-08 2014-11-13 Caterpillar Inc. Modular Low Pressure Fuel System with Filtration
US9267445B2 (en) * 2013-09-10 2016-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adjusting fuel composition to increase liquid fuel heat tolerance
CA2842729C (en) * 2014-02-11 2015-09-01 Westport Power Inc. Starting a gaseous and pilot fuelled eng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746U (ko) * 1981-04-21 1982-10-23
JPH10299601A (ja) * 1997-04-18 1998-11-10 Robert Bosch Gmbh 燃料噴射装置
US6298833B1 (en) * 2000-04-07 2001-10-09 Westport Research Inc. Fluid seal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sealing-fluid pressure
EP2143916A1 (en) * 2008-07-07 2010-01-13 Teleflex GFI Europe B.V. Dual fuel injec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injection system
KR20110079550A (ko) * 2009-12-31 2011-07-07 인도파 베.파우. 연소 엔진용 직접 분사 이원 연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204B (zh) 2021-08-06
HRP20210796T1 (hr) 2021-06-25
EP3440329A1 (de) 2019-02-13
DE202017007214U1 (de) 2020-02-06
MY188020A (en) 2021-11-10
PH12018502150A1 (en) 2019-07-15
US11255277B2 (en) 2022-02-22
EP3825535A1 (de) 2021-05-26
KR102362267B1 (ko) 2022-02-14
HRP20210796T4 (hr) 2024-04-26
EA201892255A1 (ru) 2019-04-30
US10774755B2 (en) 2020-09-15
EA036656B1 (ru) 2020-12-04
EP3440329B1 (de) 2021-02-17
WO2017174118A1 (de) 2017-10-12
ES2865252T3 (es) 2021-10-15
WO2017174680A1 (de) 2017-10-12
AU2017245693A1 (en) 2018-11-22
CA3019708A1 (en) 2017-10-12
LT3440329T (lt) 2021-05-25
CN109196204A (zh) 2019-01-11
EP3440329B2 (de) 2023-12-27
US20200025114A1 (en) 2020-01-23
KR20210106518A (ko) 2021-08-30
MX2018012114A (es) 2019-05-16
AU2017245693B2 (en) 2022-02-17
JP2019513932A (ja) 2019-05-30
US20200400083A1 (en) 2020-12-24
EA036656B9 (ru) 2021-01-14
PL3440329T5 (pl) 2024-04-15
JP6968818B2 (ja) 2021-11-17
PL3440329T3 (pl) 2021-10-11
CA3019708C (en) 2023-10-17
BR112018070511A2 (pt) 2019-01-29
KR102281301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5277B2 (en) Fuel exchange system and fuel supply system for fuel systems
US8905059B2 (en) Diesel fuel leakage control system for a dual fuel injector
US20160319754A1 (en) Dual-fuel fuel injector
US10612503B2 (en) Dual-fuel injector
WO2013096280A1 (en) Dual fuel injector with crossover valve
CN104110314A (zh) 双燃料共轨瞬变压力控制及使用其的发动机
KR20140094646A (ko)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연료 공급 시스템
CN101146995B (zh) 用于内燃机的燃料喷射装置
WO2010077140A1 (en)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to a combustion chamber
KR102202003B1 (ko) 내연 기관용 연료 공급 시스템
EP28186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to bi-fuel engine
KR100799770B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102316646B1 (ko) 내연 기관을 기체상 기체 연료 및 액체상 기체 연료에 의해 구동되도록 적응시키기 위한 시스템
JP6301338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のためのシリンダー内給気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14542331A (zh) 高压天然气供应装置、双燃料喷射系统及车辆控制系统
RU2308604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газодизельная система трактора
US20210033055A1 (en) Assembly having a high-pressure pump and a control device arranged upstream of the high-pressure pump
KR200440592Y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탱크
JP3799520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料供給装置及びこの燃料供給装置を使用したディーゼル機関
KR100813116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