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038A -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038A
KR20180129038A KR1020170064440A KR20170064440A KR20180129038A KR 20180129038 A KR20180129038 A KR 20180129038A KR 1020170064440 A KR1020170064440 A KR 1020170064440A KR 20170064440 A KR20170064440 A KR 20170064440A KR 20180129038 A KR20180129038 A KR 2018012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und
cancer
muscle
differen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119B1 (ko
Inventor
류재하
권민선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19B1/ko
Priority to PCT/KR2018/005840 priority patent/WO2018217009A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을 대상으로 (1) myoD 전사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측정하는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 평가법(실험예 1)을 통하여 MyoD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분화된 C2C12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촉진함을 확인하였으며; (2)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 실험 (실험예 2)을 통하여 시료 처리에 의하여 실린더 형(cylinder-shaped)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ted myotubes) 수를 증가시켰고, 다핵성 근관세포 (multinuclear myotubes)의 비율을 증가시켜, 근관세포를 형성하는 근원세포 분화를 촉진시킴을 입증하였는 바, 이러한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이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및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 등의 근육 질환 치료제 또는 보조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근육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ngelica keiskei or the isolated compounds therefrom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uscle-related disorder}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5, 6, 197
[문헌 2] Pharmacol Res. 2015, 99, 86
[문헌 3] Pharmacol . Res. 2015, 99, 86100
[문헌 4]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1, 30, 1551
[문헌 5] J Biol. Chem 278:40717-40722, 2003
[문헌 6] Cell Mol Life Sci 70: 4117-4130, 2013
[문헌 7] Sci Signal 6: re2, 2013
[문헌 8] Langley, B.; Thomas, M.; Bishop, A.; Sharma, M.; Gilmour, S.; Kambadur, R. J. Biol . Chem . 2002, 277, 49831
[문헌 9] Biol . Chem 2004, 279, pp.52643
[문헌 10] Eur J Histochem . 2004, 48, 223-33
[문헌 11] Chem . Biol . Interact. 2016, 248, 60
[문헌 12] Histochem . Cell Biol . 2012, 138, p.187;
[문헌 13] J. Cell Physiol . 2010, 224, p7
[문헌 14] J. Biol . Chem 2004, 279, 52643
[문헌 15] Chem . Biol . Interact. 2016, 248, 60.
[문헌 16] Sci Rep. 2016, 11, 24214. doi: 10.1038/srep24214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재생(Muscle regeneration)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및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과 같은 골격근 퇴행 질환을 극복하는 목적으로 주목되어 왔다.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5, 6, 197)
근육의 진행성 약화 및 기능 소실은 삶의 질을 위협하고 암환자의 생존율을 저하시킨다. 암환자 중 30% 이상이 근육 소실에 의한 체중 감소로 인하여 사망한다. 이러한 근육 기능 소실은 미오-단백질(myo-proteins) 변성 및 근섬유의 단면적(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근 강도(muscle strength), 근섬유 숫자(nuclear number of myofibers) 및 인슐린 반응성(insulin responsiveness) 감소 등을 공통적으로 동반한다.
암 이외에도 근육 손실은 노화의 진행과 다양한 만성 질환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골격근의 일부가 섬유 조직으로 대체되면서 인체의 골격 근육량 및 강도가 감소되는 근육감소증이 나타난다. 또한, 고혈압, 내당능 장애 (impaired glucose tolerance) 및 당뇨, 비만, 이상지질혈증, 아테롬성 경화증 및 심혈관 질환 등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증가되는 만성 질환에서도 근육 손실이 나타난다. (Pharmacol Res. 2015, 99, 86).
근육 퇴행증치료 전략은 염증성 분자 및 미오스타틴(myostatin)의 억제 또는 시클릭(cyclic) AMP, PGC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α 및 인슐린 신호 전달계의 활성화 등이 있다. 다수의 잠재적 약물들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식약청에서 승인된 근위축증 치료제로는 메게스테롤 아세테이트(megestrol acetate)가 유일하다. 근육퇴행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물들은 근육 단백질 이화작용(protein catabolism)을 저해하거나 또는 위성세포 기능(satellite cell functions)을 증진시키는 활성을 나타낸다. (Pharmacol. Res. 2015, 99, 86100).
근육에서는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이 균형을 이루며 근육 생성을 조절하는데, 이 때 근육 세포 내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여러 생체 신호전달 과정이 조절된다. 근육 단백질의 분해보다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반응이 활성화 될 경우, 근육 단백질의 합성이 증가되어 근육 크기 증가(hypertrophy, 근비대)나 근섬유 수 증가 (hyperplasia)를 유도하여 과도한 근육 생성을 초래한다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1, 30, 1551).
근육 생성 유도 인자들은 근 세포 내에서 PI3K(phosphatidylinositol-3 kinase)/Akt 경로를 활성화 시키고 그에 따라 하위 단계의 단백질을 인산화 함으로써 근육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이 중 PI3K/Akt 신호전달에 의한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의 활성은 세포 내에서 다양한 성장 신호를 통합하는 중심 성장신호전달 기전으로 인정되고 있다. mTOR가 활성화되면 두 개의 하위 타겟인 4EBP1(4E-binding protein)과 p70S6K(phosphorylated 70-kDa ribosomal S6 kinase)이 활성화됨으로써, 근육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어 근육량이 증가한다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30: 1551-1561, 2011, J Biol. Chem 278:40717-40722, 2003).
mTOR 외에도 근원세포 세포의 분화와 근육 형성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cell Mol Life Sci 70: 4117-4130, 2013). 그 중, myoD는 근육 분화와 관련된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을 개시하여,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근원세포(myoblast)로 분화하는 것을 유도한다. MyoD에 의해 조절되는 미오게닌과 MHC(myosin heavy chain) 은 근원세포의 융합(fusion)을 유도하여, 근관세포 (myotube)와 근섬유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근섬유는 다발을 이루어 최종적으로 근육을 형성하게 된다 (Cell Mol Life Sci 70: 4117-4130, 2013; Sci Signal 6: re2, 2013).
정상 조건 하에서 원시 줄기세포 (primary stem cell)로서의 휴지상태의 위성세포(quiescent satellite cell)는 연속적으로 증식 및 분화를 진행한다. 손상된 근육은 근원세포로 지칭되는 근원성 위성세포(myogenic satellite cells) 증식을 활성화하는 다양한 성장인자를 분비한다. 활성화된 근원세포는 Myo D, Myf(myogenic factor)-5, 미오게닌 및 Mrf-4 과 같은 근원성 인자 (myogenic factor)를 유도한다. MyoD 및 Myf-5 는 근원 세포 계열 (myogenic lineage)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전사 인자로써, 근원세포 분화 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Langley, B.; Thomas, M.; Bishop, A.; Sharma, M.; Gilmour, S.; Kambadur, R. J. Biol . Chem . 2002, 277, 49831). 특히, Myo D는 E 단백질, Mef-2 계열 단백질 및 전사 보조인자등의 비근육성 특이 인자와의 결합을 통하여 MHC 및 미오게닌과 같은 근원성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
신선초(Angelica keiskei)는 쌍떡잎 식물으로 4-히드록시데리신(hydroxyderricin),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E,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D,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F,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B, 크산토케이스민(xanthokeismin) A, 이소바바찰콘(isobavachalcon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감기, 천식, 당뇨병 등의 질병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명일엽, 일본명 아쉬타바 (Ashitaba) 등으로 불리우며, 안젤리카 케이스키(Angelica keiskei), 안젤리카 키우시나(Angelica kiusina)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문헌 어디에도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근육관련 질환에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신선초 추출물을 대상으로 (1) myoD 전사활성을 측정하는 근원세포 분화 효능 평가법 (실험예 1)을 통하여 MyoD 전사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지, 또는 웨스턴 블롯팅 분석을 통해 분화된 C2C12 세포에서 MHC 발현을 증가시키는지 검토하여, (2)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를 유도하는 실험 (실험예 2)을 통하여 시료 처리에 의해 실린더 형(cylinder-shaped)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ted myotubes) 로의 분화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되었다. 또한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r myotubes)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4-hydroxyderricin, xanthoangelol, xanthoangelol , xanthoangelol D, xanthoangelol F, xanthoangelol B, xanthokeismin A, isobavachalcone이 긴장감퇴증, 근위축증, 근이영양증,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및 노인성근육감소증 등의 근육 질환 치료제 또는 보조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신선초는 안젤리카 케이스키(Angelica keiskei), 안젤리카 키우시나(Angelica kiusina) 등의 동속식물의 뿌리, 줄기, 전초 잎, 바람직하게는, 뿌리 또는 전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신선초 추출물은 신선초 조추출물, 신선초 조추출물로부터 정제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은 본원의 조추출물로부터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만을 정제한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비극성용매 가용분획물들을 제거하고 남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이소바바찰콘(isobavachalcone, 화합물 1),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iicin, 화합물 2),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E , 화합물 3), 크산토안젤롤 D(xanthoangelol D, 화합물 4),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화합물 5), 크산토안젤롤 F, (xanthoangelol F, 화합물 6), 크산토케이스민 A (Xanthokeismin A, 화합물 7), 1-[2, 4-디히드록시-3-(6,7-디히드록시-3,7-디메틸-2-옥테닐)페닐] 3-(4-히드록시페닐-2-프레펜-1-온 챨콘 (1-[2, 4-dihydroxy-3-(6,7-dihydroxy-3,7-dimethyl-2-octenyl)phenyl] 3-(4-hydroxyphenyl-2-prepen-1-onechalcone 화합물8), 1-[2-히드록시-3-(7-히드록시-3,7-디메틸l-2, 5-옥타디에닐)-4-메톡시페닐]-3-(4-히드록시페닐)-2-프로펜-1-온 챨콘 (1-[2-hydroxy-3-(7-hydroxy-3,7-dimethyl-2, 5-ocadienyl)-4-methoxyphenyl]-3-(4-hydroxyphenyl)-2-propen-1-one chalcone, 화합물 9), 크산토안젤롤 B(Xanthoangolol B, 화합물 10)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신선초 추출물 및 화합물의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분석에는 메탄올(Methanol) 또는 아세트나이트릴(Acetenitrile) 등의 비극성 용매와 산성 수용매를 혼합하는 조건에서 분석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근육관련 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및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근육질환, 구체적으로, 노인성근위축 또는 암으로 인한 근육관련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성근 위축 또는 암으로 인한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 및 근육소실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으로 인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항암 보조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기존 항암제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에 의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항암치료 보조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존 항암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토트랙세이트 (methotrexate), 5-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독소루비신(Doxorubicin), 무스틴(Mustine), 비크리스틴(vincristin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다카르바진(dacarbazine), 에토포시드 (etoposide), 시스플라틴(cisplat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시스풀라틴(cisplati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암질환는 백혈병, 림프종, 골수종, 골수이형성증후군, 유방암,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간세포간암, 담관암, 담낭암, 췌장암, 폐암(비소세포성 폐암, 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육종, 위장관 기질성 종양(GIST, 기스트), 원발부위불명암, 중피종, 흑색종, 신경내분비 종양, 피부암, 혈액암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건조된 신선초를 세척 및 세절 후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0% 에탄올을 수회 섞은 다음에 3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법, 열수 추출법, 상온 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상온추출법을 약 1 내지 2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조추출물 중량의 약 0.0005 내지 500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배 부피 (v/w%)의 물을 가한 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한 통상적인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 및 부탄올, 물 등의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들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수득한 신선초 조추출물을 에틸에테르로 비극성물질을 분획한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물을 n-헥산 100%을 이동상으로 유출을 시작하여 아세톤(Acetone)으로 극성을 높이면서 유출시켜 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오픈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 RP C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제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회 반복 수행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각각 정제 및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1) myoD 전사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측정하는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 평가법(실험예 1)을 통하여 MyoD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분화된 C2C12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2)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실험 (실험예 2)을 통하여 신선초 추출물 처치에 의하여 실린더 형(cylinder-shaped)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ted myotubes) 수가 증가되었고, 근원세포 분화를 통한 근관세포 형성을 촉진시킴을 입증하여 상기 조성물을 근육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일한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 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및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 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 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적어도 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우스, 생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성근위축증 또는 악액질 치료제를 제공하며, 이러한 치료제는 노인성근위축증 또는 악액질의 병용요법에서 체중 변화나 식욕 회복의 개선 효과를 위한 것으로서, 악액질 치료에서 항암제 단독투여보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병용요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0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관련 질환의 치료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일 수 있다.
또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목적 질환이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을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 및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1) myoD 전사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측정하는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 평가법(실험예 1)을 통하여 MyoD 전사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분화된 C2C12 세포에서의 MHC 발현유도를 통하여 근육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하였으며; (2)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실험 (실험예 2)을 통하여 시료 처치에 의하여 실린더 형(cylinder-shaped)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ted myotubes)로 분화가 농도의존적으로 유도되었고, 다핵성 근관세포 (multinucleated myotubes)의 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는 바, 이러한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시료들이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및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 등의 근육 질환 치료제 또는 보조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근육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추출물에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 2와 화합물 5의 함량을 구하기 위한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추출물의 myoD 전사활성화(transactivation)을 나타낸 도이다. (데이타는 mean ± SD으로 표기하여 *p < 0.001 의미함).
도 4는 본 발명 추출물의 MHC (myosin heavy chain)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데이타는 mean ± SD으로 표기하여 *p< 0.05 의미함).
도 5는 다핵성 근관섬유에서의 MHC (myosin heavy cha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추출물에 포함되어있는 화합물들의 myoD 전사활성화(transactivation) 및 MHC (myosin heavy cha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데이타는 mean ± SD으로 표기하여 *p < 0.001 의미함).
도 7은 본 발명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MHC (myosin heavy chain)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데이타는 mean ± SD으로 표기하여 *p< 0.05 의미함)
도 8는 본 발명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 중 챨콘(chalcone)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5, 화합물 6의 MHC (myosin heavy chain)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데이타는 mean ± SD으로 표기하여 *p< 0.05 의미함)
도 9는 다핵성 근관섬유에서의 MHC (myosin heavy cha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선초 조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신선초 (생동농산, 서울 한국, 숙명여자대학 약초표본실 보존 표본 SPH 1502) 3Kg에 100% 에탄올 6ℓ를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 조건하에서 냉동 건조기 (ScanVac, Labogene)로 동결 건조하여 300g의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 분말(이하, AKCE라 함)을 얻어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신선초 분획물의 제조예
실시예 1에서 얻은 건조된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 300g에 정제수 500mL을 가하여 현탁하고 이 현탁물에 n-헥산 500mL를 가하여 분획하여 n-헥산 가용 분획물로 분획하고, 남은 물 현탁물에 에틸아세테이트 600mL 및 부탄올 600mL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분획하고 각각 감압 건조하여 n-헥산 가용분획물(이하, AKH라 함),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물 (이하, AKE라 함) 및 부탄올 가용분획물(이하, AKB라 함)을 14g, 7.8g, 30g을 각각 얻어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3.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활성 화합물의 분리
활성물질의 동정을 위하여, 하기 실험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분획 중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물 21.8g을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n-Hexane/acetone 경사법(gradient system, 50:1→1:2) 조건으로 수행하여 9개 소분획물 (subfraction)을 얻고,
이중 분획물 (F3)을 대상으로 추가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Hexane/ethylacetate 경사법(gradient system, 10:1→1:1)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고, 이 분획물 중 F3-2를 대상으로 추가로 역상 컬럼크로마토크래피법 MeOH 경사법(gradient system, 50%→100%)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이 중 분획물(F3-2-5)를 대상으로 추가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Hexane/ethylacetate 경사법(gradient system, 20:1→1:1)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고, 분획물 F3-2-5-3을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Hexane/(10% isopropanol) ethylacetate을 7:1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여 하기 화합물 2 (4-hydroxyderricin, 35 mg)을 수득하였다.
이중 분획물 (F5)를 대상으로 추가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Hexane/(10% isopropanol) ethylacetate을 7:1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고, 이 중 분획물 F5-2를 역상 컬럼크로마토크래피법 MeOH 경사법(gradient system, 60%→100%) 용매 조건으로 수행하여, 하기 화합물 5 (xanthoangelol, 25 mg)을 수득하였다.
(A) 화합물 2: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
성상: 노란색 파우더
1H-NMR (400MHz, CDCl3) : δ 1.69 (3H, s, H-5“), 1.81(3H, s, H-4”), 3.40(2H, D, J=6.8Hz, H-1“), 3.92(3H, s, OMe), 5.24(1H, tq, J=7.2, 1.6Hz, H-2”), 6.51(1H, d, J=8,8Hz, H-5’), 6.89(2H, d, J=8.8Hz, H-3, H-5), 7.47(1H, d, J=15.6Hz, H-α), 7.56(2H, J=8.8Hz, H-2, H-6), 7.80(1H, d, J=8.8Hz, H-6’), 7.83(1H, d, J=15.6Hz, H-β)
13C-NMR (100MHz, CDCl3) : δ 17.8 (C-4“), 21.7(C-1”), 25.8(C-5“), 55.8(Ome), 102.1(C-5’), 114.6(C-1’), 116.0(C-3, C-5), 117.6(C-3’), 118.1(C-α), 122.0(C-2”), 127.7(C-1), 129.2(C-6’), 130.5(C-2, C-6), 131.9(C-3“), 144.1(C-β), 158.1(C-4), 163.0(C-2’), 163.3(C-4’), 192.4(C=0)
(B) 화합물 5: 젠토엘겔롤(Xanthoangelol)
성상: 노란색 파우더
1H-NMR (400MHz, CDCl3) : 1.50(3H, s, H-10“), 1.57(3H, s, H-9”), 1.73(3H, s, H-8“), 1.59(2H, m, H-4”), 2.00(2H, m, H-5“), 3.36(2H, d, J=6.8Hz, H-1”), 5.00(1H, m, H-6“), 5.22(1H, m, H-2”), 6.36(1H, d J=8.8Hz, H-5’), 6.79(2H, d, J=8.4Hz, H-3, H-5), 7.36(1H, d, J=15.2Hz, H-α), 7.45(2H, d, J=8.4Hz, H-2, H-6), 7.60(1H, d, J=8.8Hz, H-6’), 7.70(1H, d, J=15.2Hz, H-β)
13C-NMR (100MHz, Cd3OD) : δ 15.9(C-10“), 17.38(C-9”), 21.46(C-8“), 26.5(C-5”), 39.6(C-4“), 107.2(C-5’), 113.4(C-1’), 115.3(C-3’), 115.8(C-3, C-5), 117.4(C-α), 121.7(C-2”), 124.2(C-6“), 126.5(C-1), 128.8(C-6’), 130.3(C-2, C-6), 131.2(C-7”), 135.9(C-3“), 144.0(C-β), 159.4(C-4), 161.8(C-2’), 163.6(C-4’), 192.1(C=0)
실험예 1. 신선초 추출물의 성분분석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의 화합물 2와 화합물5의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HPLC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3에서 얻은 화합물 2와 화합물 5를 80% 메탄올 조건에서 컬럼 (C18 4.6mm x 150mm, 5 μm, cat. 5020-01124, GL sciences Inc.)를 사용하여 360nm의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2와 화합물 5의 함유율을 분석하였다.
1-1. 실험 과정
HPLC는 80% 메탄올 조건에서 4.6 x 150mm, 5um 컬럼을 이용하여 360nm에서 측정하였다. 신선초 에탄올 추추물과 화합물 2와 5을 각각 1 mg/ml, 0.1 mg/ml, 0.01 mg/ml로 시료를 만든 후 5μl, 2μl, 3μl를 주입하여 크로마토크램을 얻어 각 피크의 면적을 이용하여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2와 5의 함량을 구하였다.
1-2. 실험 결과
본 실험 결과, 신선초 추출물 5μg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 2와 화합물 5는 각각 0.195 μg, 0.295 μg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함량을 구하였을 때 화합물 2와 화합물 5는 각각 3.8%, 5.8%로 확인하였다. (도 2)
실험예 1. 신선초 추출물의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의 근원세포의 분화(myogenic effect)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대로, 마우스 근원세포주인 C2C12 세포에 myoD-반응성 유전자와 루시퍼라제가 융합된 리포터 벡터(MyoD-responsive reporter 4RTK-luc)를 삽입하고, 추출물 처리에 따른 루시퍼라제 활성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myoD 전사활성을 분석하여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을 평가하였다 (J. Biol. Chem 2004, 279, pp.52643).
1-1. 실험 과정
티미딘 키나제 프로모터(thymidine kinase promoter)에 융합된 4개의 부위(E-box sites)를 포함하는 자체제작한 리포터 벡터(MyoD-responsive reporter 4RTK-luciferase construct)를 MyoD 전사 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골격근 성장연구를 위한 모델 세포로 간주되는 마우스 근원 세포주 C2C12에 일시적으로 myoD 발현 벡터 (myoD expression vector) 및 리포터 벡터 (MyoD-responsive reporter 4RTK-luc)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배규운 교수 제공)를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형질 주입(transfection)시켰다 (Eur J Histochem . 2004, 48, 223-33).
형질 주입 24 시간 후, 세포들에 신선초 추출물 (10, 100, 1000 ng/mL)을 처리한 후, 추가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로 2회 세척 후, 리포터 용해 버퍼로 (Cat#. E1941, Promega) 용해시킨 다음 세포 용해물을 5 μl를 취하여 루시퍼라제 분석용 96-웰 플레이트 (Cat# 31196, SPL)에 분주하고 루시퍼라제 기질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Cat# E1910, Promega) 30 μl를 더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β-갈락토시다제 (galactosidase) 활성은 세포 용해물에 Stop and Glo 시약 (Ccat# E1910, Promega)을 30 μl 더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β-갈락토시다제 (galactosidase) 활성으로 나눈 상대적 루시페라제 활성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RLU)로 표시하고 평균(mean)±SD으로 표기하였다.
1-2. 실험 결과
본 실험 결과, 대조군 세포에서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1로 하였을 때, 신선초 추출물을 10 ng/mL 처리하였을 때는 3배, 100 ng/mL 처리하였을 때는 4배, 1000ng/ml 처리하였을 때는 13배 각각 증가되어, 신선초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yoD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표 1 및 도 3).
추출물들의 루시퍼라제 활성 실험 결과 (도 3)
신선초 추출물 농도 (ng/ml) MyoD 리포터 활성 (배)
대조군 1.0
10 3.0
100 3.7
1000 12.8
실험예 2. 신선초추출물의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 추출물의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평가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Chem. Biol. Interact. 2016, 248, 60).
근원세포가 근관섬유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단핵성 근원세포 (mononucleated myoblast)는 보다 신장되어(elongated) 실린더-형 근세포(cylinder-shaped myocytes)로 변화된다. 활성화된 근세포에서는 MyoD, myogenic factor (Myf)-5, 미오게닌, 그리고 myogenic regulatory factor (Mrf)-4등의 발현이 증가하여 여러 근육 분화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활성화시켜 근관섬유로의 분화를 촉진한다. 생성된 근세포들은 서로 융합하여 다핵성 근관섬유(multinucleated myotubes)를 형성하는데, 이 때 근관섬유에서는 근육분화 마커인 Mrf-4, 미오게닌 또는 MHC 발현이 증가하게 된다 (Histochem . Cell Biol . 2012, 138, p.187; J. Cell Physiol . 2010, 224, p7).
따라서 MHC는 근육 분화 말기의 마커로 알려져 있으며, 최종 분화된 근관세포(terminally differentiated myotubes)에서 MHC 발현 수준을 분석하여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myogenic differentiation) 능력의 수준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MHC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근원세포가 근관섬유로의 분화가 진행되는 지표로 활용하였다.
2-1. 실험 과정
C2C12 근원세포에 신선초 추출물(10, 100, 1000 ng/mL)을 처리하여 분화 배지 (differentiation medium, 2% horse serum-containing DMEM, Cat# 11965-084, Gibco)상에서 3일간 처리하면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된 세포에서 세포 용해물을 획득하여 웨스턴 블롯법을 통해 MHC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평가 (도 4A)하였고, 마우스 항(mouse anti)-MHC, Santa cruze) 및 항 마우스 (anti-mouse IgG2b Alexa-fluor 568)으로 면역 염색법을 수행하여 MHC 발현을 평가하였다 (도 2B).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nalysis)을 위해 약 3 X 104 의 근원세포를 60 mm 플레이트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분화 배지에 각 시료를 첨가하여 3 일간 분화시킨 후, 세포 용해 버퍼로 (lysis buffer, 25 mM Tris-HCl (pH 7.5), 100 mM NaCl, 1% NP-40, 1% sodium deo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protease inhibitor cocktail (Calbiochem, Darmstadt, Germany) 단백질 추출물(Protein extracts)을 얻고 25 μg의 단백질 추출물로 SDS-polyacrylamide gel electorphoresis (PAGE)를 실시하고,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s로 이동시켰다. 이 블롯에 일차 마우스 항-MHC를 4 °C에서 12 시간 동안 결합시키고, 이어서 Horseradish peroxidase가 연결된 항 마우스 2차 항체 (goat anti-mouse IgG-HRP, Enzo)를 결합한 후, 화학발광으로 MHC 단백질량을 분석하였다. 이 때 적재 대조군(loading control)으로 pan-cadherin(Cat# 3678, Sigma)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시료를 첨가한 분화 배지에서 근원세포를 분화시켜, 면역 형광염색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분화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 후, 4% paraformaldehyde로 20 분간 고정하였다. 다시 인산완충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0.1% tritonX-100에 20 분간 처리하였다. 인산완충 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5% horse serum 용액에서 블로킹한 후 마우스 항-MHC (MAB4470, R&D systems)을 넣고 12 시간 동안 4°C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3회 이상 인산완충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Alexa Flouor 568-결합된 2차 항 마우스 (A-21144, MicoProbes)와 DAPI (D9542, Sigma)을 이용하여 MHC 발현을 분석하였다.
MHC-양성 근관세포 (positive myotubes)의 면역형광(Immunofluorescence) 결과는 적색으로 시각화하고 DAPI-표지된 핵은 청색으로 시각화하였다.
다핵성 근관세포 (Multinucleated ( >5)MHC-expressing myotubes)은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위에서 산출하였다 (Scale bar = 200 mm). MHC-양성이며, 다핵성(multinucleated)인 근관세포수를 분석한 후, 총세포수 (total cells)를 적용하여 각 세포에서의 상대적 multinucleated-MHC양성 근관세포수(MHC-positive myotubes)를 산출하였다.
2-2. 실험 결과(표 2 내지 표 3)
도 4A에서는 신선초 추출물의 MHC 발현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근원세포의 분화 배지에 10, 100, 1000 ng/mL의농도로 처리하여 근관섬유로 3 일간 분화시키고 세포를 수확하여, 근관섬유로의 분화 마커인 MHC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롯팅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군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1로 하였을 때, 신선초 추출물을 10 ng/mL 처리하였을 때는 3배, 100 ng/mL 처리하였을 때는 4배, 1000ng/ml 처리하였을 때 5배 각각 증가되었다.
신선초 추출물은 Myo D 전사 활성화(transcriptional activation) 실험 결과와 일치하게, 분화된 C2C12 세포에서의 myoD 뿐만 아니라 MHC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근원세포분화(myogenic differentiation)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5에서는, 항(anti)-MHC 항체(antibodies) 및 DAPI을 이용한 면역형광 염색법(immunofluorescence staining)으로 추출물의 근육분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가된 적색형광(red-fluorescence)은 신선초 추출물이 C2C12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함을 의미하며, DAPI 염색(counter staining)을 통해 MHC의 발현되는 실린더 형(cylinder-shaped) 근관세포가 다핵성(multinucleate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서 근원세포 분화도는 다핵성 (multinucleated MHC-양성 세포)의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추출물은 1000 n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근관세포에서의 MHC 발현과 실린더 형(cylinder-shaped) 다핵성 근관세포(multinucleated myotubes) 수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근육 세포 분화를 활성화함을 입증하였다.
추출물들의 MHC 발현 실험결과 (도 4)
신선초 추출물 농도 (ng/ml) MHC /Pan-cad (배)
대조군 1.0
10 3.2
100 3.7
1000 4.5
추출물의 근육분화 활성 실험결과(도 5)
신선초 추출물 농도 (ng/ml) 다핵세포 수 (배)
대조군 1.0
10 16.1
100 28.2
1000 32.1
실험예 3. 신선초 화합물들의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근원세포의 분화(myogenic effect)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대로, 마우스 근원세포주인 C2C12 세포에 myoD-반응성 유전자와 루시퍼라제가 융합된 리포터 벡터(MyoD-responsive reporter 4RTK-luc)를 삽입하고, 화합물 처리에 따른 루시퍼라제 활성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myoD 전사활성을 분석하여 근원세포의 분화촉진 효능을 평가하였다 (J. Biol . Chem 2004, 279, 52643).
3-1. 실험 과정
실험과정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2. 실험 결과
본 실험 결과, 대조군 세포에서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1으로 하였을 때, 신선초 화합물을 0.1 nM 처리하였을 때 화합물 2와 화합물 5가 각각 21배, 13배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화합물들 또한 MyoD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6).
화합물들의 MyoD 전사 활성(transcriptional activity) 실험결과 (도 6)
처리군 MyoD 리포터 활성 (배)
대조군 1.0
화합물 1 12.8
화합물 2 22.1
화합물 3 6.0
화합물 4 2.0
화합물 5 14.1
화합물 6 7.9
화합물 7 10.0
화합물 8 13.1
화합물 9 6.1
화합물 10 14.2
실험예 4. 신선초 화합물이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의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평가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Chem. Biol. Interact. 2016, 248, 60. ).
본 실험에서는 MHC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근원세포가 근관섬유로의 분화가 진행되는 지표로 활용하였다.
4-1. 실험 과정
실험과정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4-2. 실험 결과(표 5)
도 6에서는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MHC 발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근원세포의 분화 배지에 0.1nM의 농도로 처리하여 근관섬유로 3 일간 분화시키고 세포를 수확하여, 근관섬유로의 분화 마커인 MHC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롯팅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군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1로 하였을 때, 화합물 2와 화합물 5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발현된 MHC가 6배, 3배 증가되었다.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들은 Myo D 전사 활성화(transcriptional activation) 실험 결과와 일치하게, 분화된 C2C12 세포에서의 myoD 뿐만 아니라 MHC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기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이 근원세포분화(myogenic differentiation)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화합물들의 MHC 발현에 대한 영향 실험결과 (도 7)
처리군 MHC /Pan-cad (배)
대조군 1.0
화합물 1 2.9
화합물 2 5.7
화합물 3 2.0
화합물 4 1.1
화합물 5 2.7
화합물 6 1.7
화합물 7 2.0
화합물 8 1.0
화합물 9 1.4
화합물 10 0.7
실험예 5. 신선초 chalcone 화합물들의 근원세포 분화( 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의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몇 종의 chalcone 화합물들의 근원세포 분화(myoblast differentiation)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평가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Chem. Biol. Interact. 2016, 248, 60. ).
본 실험에서는 MHC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여 근원세포가 근관섬유로의 분화가 진행되는 지표로 활용하였다.
4-1. 실험 과정
실험과정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4-2. 실험 결과 (표 6 내지 표 7)
도 8,9에서는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몇 종의 chalcone 화합물들의 MHC 발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근원세포의 분화 배지에 0.1nM의 농도로 처리하여 근관섬유로 3 일간 분화시키고 세포를 수확하여, 근관섬유로의 분화 마커인 MHC의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롯팅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군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1로 하였을 때, 챨콘(chalcone) 화합물의 처리에 의해 발현된 MHC가 3 - 5배 정도 증가되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가된 적색형광(red-fluorescence)은 신선초에 함유되어 있는 챨콘(chalcone)화합물들이 C2C12 세포에서의 MHC 발현을 촉진함을 의미하며, DAPI 염색(counter staining)을 통해 MHC의 발현되는 실린더 형(cylinder-shaped) 근관세포가 다핵성(multinucleate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들의 MHC 발현에 대한 영향 실험결과 (도 8)
처리군 MHC /Pan-cad (배)
대조군 1.0
화합물 1 1.6
화합물 2 4.2
화합물 5 3.3
화합물 6 2.8
추출물의 근육분화 활성 실험결과(도 9)
처리군 다핵세포 수 (배)
대조군 1.0
화합물 1 1.7
화합물 2 2.5
화합물 5 2.0
화합물 6 1.5
하기에 본 발명의 시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추출물 (AKCE)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분획물(AKH)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분획물 (AKE)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분획물(AKB)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추출물 (AKCE) ------------------------------------------- 2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추출물 (AKCE) ----------------------------------------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슘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화합물 1------------------------------------------------- 1000㎎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6)

  1.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초는 안젤리카 케이스키(Angelica keiskei), 안젤리카 키우시나(Angelica kiusina) 등의 동속식물의 뿌리, 줄기, 전초 또는 잎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초 추출물은 신선초 조추출물, 신선초 조추출물로부터 정제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 분획물은 본원의 조추출물로부터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만을 정제한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로부터 비극성용매 가용분획물들을 제거하고 남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추출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이소바바찰콘(isobavachalcone, 화합물 1),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iicin, 화합물 2),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E , 화합물 3), 크산토안젤롤 D(xanthoangelol D, 화합물 4), 크산토안젤롤(xanthoangelol, 화합물 5), 크산토안젤롤 F, (xanthoangelol F, 화합물 6), 크산토케이스민 A (Xanthokeismin A, 화합물 7), 1-[2, 4-디히드록시-3-(6,7-디히드록시-3,7-디메틸-2-옥테닐)페닐] 3-(4-히드록시페닐-2-프레펜-1-온 챨콘 (1-[2, 4-dihydroxy-3-(6,7-dihydroxy-3,7-dimethyl-2-octenyl)phenyl] 3-(4-hydroxyphenyl-2-prepen-1-onechalcone 화합물8), 1-[2-히드록시-3-(7-히드록시-3,7-디메틸l-2, 또는 5-옥타디에닐)-4-메톡시페닐]-3-(4-히드록시페닐)-2-프로펜-1-온 챨콘 (1-[2-hydroxy-3-(7-hydroxy-3,7-dimethyl-2, 5-ocadienyl)-4-methoxyphenyl]-3-(4-hydroxyphenyl)-2-propen-1-one chalcone, 화합물 9), 크산토안젤롤 B(Xanthoangolol B, 화합물 10)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관련 질환은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 (cachexia) 및 노인성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근육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9.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기존 항암제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에 의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항암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토트랙세이트 (methotrexate), 5-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독소루비신(Doxorubicin), 무스틴(Mustine), 비크리스틴(vincristin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다카르바진(dacarbazine), 에토포시드 (etoposide), 시스플라틴(cisplat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시스풀라틴(cisplati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또는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암질환은 백혈병, 림프종, 골수종, 골수이형성증후군, 유방암,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결장암), 직장암, 항문암, 간세포간암, 담관암, 담낭암, 췌장암, 폐암(비소세포성 폐암, 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육종, 위장관 기질성 종양(GIST, 기스트), 원발부위불명암, 중피종, 흑색종, 신경내분비 종양, 피부암, 또는 혈액암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2.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기존 항암제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에 의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또는 건강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5.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기존 항암제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에 의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16.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기존 항암제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에 의한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첨가제.
KR1020170064440A 2017-05-25 2017-05-25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4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440A KR102040119B1 (ko) 2017-05-25 2017-05-25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05840 WO2018217009A1 (ko) 2017-05-25 2018-05-23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440A KR102040119B1 (ko) 2017-05-25 2017-05-25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971A Division KR102022279B1 (ko) 2018-10-22 2018-10-22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90125864A Division KR102132126B1 (ko) 2019-10-11 2019-10-11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하이드록시데리신 또는 크산토안젤롤을 함유하는 악액질 또는 노인성근육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38A true KR20180129038A (ko) 2018-12-05
KR102040119B1 KR102040119B1 (ko) 2019-11-05

Family

ID=6439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440A KR102040119B1 (ko) 2017-05-25 2017-05-25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0119B1 (ko)
WO (1) WO2018217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8299A (zh) * 2020-07-06 2020-09-08 广西中医药大学 一种明日叶高效液相色谱指纹图谱的建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223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풀무원 진공건조 홍삼농축액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피로회복,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또는 근감소증 예방 식품조성물
KR20160067225A (ko) * 2013-10-24 2016-06-13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암 환자에서 근육 소모를 치료하는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물질 및 화학치료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065A (ko) * 2005-04-06 2006-10-12 주식회사풀무원 신선초 뿌리 추출물, 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및 잔소안제롤(xanthoangelol)의 간보호 효과
KR101258696B1 (ko) * 2010-10-22 2013-04-29 대한민국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7645B1 (ko) * 2011-05-18 2013-11-12 (주)풀무원홀딩스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225A (ko) * 2013-10-24 2016-06-13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암 환자에서 근육 소모를 치료하는 선택적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물질 및 화학치료제
KR20160017223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풀무원 진공건조 홍삼농축액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피로회복,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또는 근감소증 예방 식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119B1 (ko) 2019-11-05
WO2018217009A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149B1 (ko)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10619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32525B1 (ko)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투실라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2279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2260B1 (ko) 마늘 추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902094B1 (ko) 상백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2―아릴벤조퓨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0119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5894A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31770A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6433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2126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하이드록시데리신 또는 크산토안젤롤을 함유하는 악액질 또는 노인성근육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42587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996184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보조 치료제
KR101965699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4011553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east cancer comprising compound derived from dendropanax morbiferus
KR20230046149A (ko) 양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58323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628B1 (ko) 라우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광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4329B1 (ko) 갈조류 또는 톳 유래 사링고스테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61115A (ko) 메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50914A (ko) 연자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35060A1 (ko) 빵 나무의 열매, 잎 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73133B1 (ko) 암 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을 갖는2′,4′,5,7-테트라하이드록시-5′,6-디프레닐 플라바논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60055083A (ko) 암 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을 갖는2′,4′,5,7-테트라하이드록시-5′,6-디프레닐 플라바논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