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23B1 -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23B1
KR102058323B1 KR1020190095369A KR20190095369A KR102058323B1 KR 102058323 B1 KR102058323 B1 KR 102058323B1 KR 1020190095369 A KR1020190095369 A KR 1020190095369A KR 20190095369 A KR20190095369 A KR 20190095369A KR 102058323 B1 KR102058323 B1 KR 10205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rostate cancer
formula
comp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일
송주현
배송미
조종현
이승률
정일수
서권일
원영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전립선암 활성이 우수하므로, 전립선암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prostate cancer comprising resveratrol derivatives}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정상세포는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서, 그리고 필요한 장소에서 증식한다. 정상세포는 서로 붙어서 함께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정상세포는 너무 오래되거나 손상되면 자기 스스로 파괴한다. 그러나 암세포는 이들 기능이 모두 결여되어 있어서 궁극적으로 계속 분열을 함으로써 암세포 덩어리인 종양을 형성한다.
전립선암은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악성질환의 하나로 2006년 유럽에서 346,00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87,000명이 사망했다고 보고되었다. 2009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진단되는 암으로 남성의 암 관련 사망 원인 중 두 번째로 보고된 ㅂ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전립선암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각종 암 중에서 발병률 5위, 증가율 1위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전립선암은 현재 개발된 치료법으로는 그 치료 효과가 미흡하며, 평균 생존기간도 약 40~60주에 불과하여 통증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 진통제 투여, 항암 화학치료제 사용, 통증이 심한 전이 부위에 대한 방사선 치료, 전신 골전이로 인한 통증에 대한 스트론튬-89 투여, 골전이에 대한 약물 투여 등이 시행되며, 최근 일부에서 유전자 치료법, 면역 요법과 같은 시험적인 치료방법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속단하기 이른 상황이다. 즉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항전립선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미량으로 탁월한 항전립선암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항전립선암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고안하여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들을 합성하였으며,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이 우수한 전립선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806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2의 직쇄 알킬, 또는
C3-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2의 직쇄 알킬, 또는
C3-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6-1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9-1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10-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상기 R1은 C11의 직쇄 알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전립선암 활성이 우수하므로, 전립선암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합물 처리 농도에 따른 전립선암 세포주 RC-58T(a) 및 난소암 세포주 SK-OV-3(b)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립선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2의 직쇄 알킬, 또는
C3-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6-1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9-1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10-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상기 R1은 C11의 직쇄 알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예로는 (E)-5-(4-히드록시스티릴)-1,3-페닐렌 다이도데카노에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표현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떨어뜨리지 않는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들 염은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옥살산, (D) 또는 (L) 말산, 말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벤조산 또는 말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스파테이트, 벤즈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큐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하이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디드/요오디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알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라이신, 라이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아연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전립선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2의 직쇄 알킬, 또는
C3-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6-1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9-1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10-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상기 R1은 C11의 직쇄 알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예로는 (E)-5-(4-히드록시스티릴)-1,3-페닐렌 다이도데카노에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립선암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식품, 음료 등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레스베라트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용매에 화합물 2 및 레스베라트롤을 용해하여 환류하고, 교반하여 화합물 1을 얻는 단계(단계 1);
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5
상기 반응식 1에서,
상기 R1은 C1-2의 직쇄 알킬, 또는
C3-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6-1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9-13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R1은 C10-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인 것일 수 있고, 상기 R1은 C11의 직쇄 알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2는, 알킬카복실산으로서, 아세트산(acetic acid; R1=C1의 직쇄 알킬),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R1=C2의 직쇄 알킬), 부티르산(butyric acid; R1=C3의 직쇄 알킬), 발레르산(valeric acid; R1=C4의 직쇄 알킬), 헥산산(hexanoic acid; R1=C5의 직쇄 알킬), 헵탄산(heptanoic acid; R1=C6의 직쇄 알킬), 카프릴산(caprylic acid; R1=C7의 직쇄 알킬), 노난산(nonanoic acid; R1=C8의 직쇄 알킬), 데칸산(decanoic acid; R1=C9의 직쇄 알킬), 운데실산(undecylic acid; R1=C10의 직쇄 알킬), 라우르산(lauric acid; R1=C11의 직쇄 알킬), 트리데실산(tridecylic acid; R1=C12의 직쇄 알킬),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R1=C13의 직쇄 알킬), 펜타데칸산(pentadecanoic acid; R1=C14의 직쇄 알킬), 팔미트산(palmitic acid; R1=C15의 직쇄 알킬), 헵타데칸산(heptadecanoic acid; R1=C16의 직쇄 알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R1=C17의 직쇄 알킬), 노나데칸산(nonadecylic acid; R1=C18의 직쇄 알킬)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R1=C19의 직쇄 알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 2는 헵탄산, 카프릴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및 헵타데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데칸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및 미리스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운데실산, 라우르산 및 트리데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고, 라우르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식 1로부터 제조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예로는 (E)-5-(4-히드록시스티릴)-1,3-페닐렌 다이도데카노에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벤젠, KOH/MeOH, MeOH, 톨루엔, CH2Cl2, 헥산,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클로로벤젠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2의 단계 1의 유기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THF)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레스베라트롤 유도체의 제조
실시예 1의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합성한 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Deanstark 기구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250mL one necked round-bottomed flask에 화학식 2(R1=C11의 직쇄 알킬)로 표시되는 라우르산(lauric acid; 6.06 g, 0.03 mol)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2.28g, 0.01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20 mL를 용매로 하여 환류(reflux)하였다. 24시간 교반 후, deanstark으로 제거된 물을 확인하고 TLC로 반응의 정도와 완결을 확인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반응물을 flash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화학식 1(R1=C11의 직쇄 알킬)로 표시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6
실시예 1 : (E)-5-(4- 히드록시스티릴 )-1,3- 페닐렌 다이도데카노에이트 ((E)-5-(4-Hydroxystyryl)-1,3-phenylene didodecanoate)
Figure 112019080387358-pat00007
상기 방법을 통하여 수득된 갈색 고체 성상의 실시예 1의 화합물(1.60g, 수득률 27.0%)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Yield: 27.0%;
mp: 513~514℃;
Rf: 0.4(TLC eluent; E.A:n-Hexane = 3:7 v/v);
MASS(70eV), m/z(rel. intensity %): 592.4(100), 593.4(41.2), 591.4(8.2);
1H NMR(CDCl3, 400MHz): δ 0.87(s, 6H), 1.25(m, 32H), 1.61(d, 4H), 2.55(d, 4H), 6.17(t, 4H), 6.87(s, 1H) 6.91(t, 4H);
13C NMR(CDCl3, 100MHz): δ 178.997(1C), 173.920(1C), 156.390(1C), 148.537(2C), 138.889(2C), 133.671(2C), 129.835(2C), 121.185(1C), 115.238(4C), 33.963(1C) 31.914(1C), 29.607(12C), 24.725(1C), 22.695(1C), 14.133(2C);
Anal. calc. for C38H56O5: C 76.99, H 9.52, O 13.49; Found: C 77.02, H 9.52, O 13.48.
< 실험예 1> 전립선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 효과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의 항전립선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전립선암 세포주(RC58-T)를 대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난소암 세포주(SK-OV-3)을 대상으로도 동일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립선암 세포주(RC-58T/h/SA#4, 이하 RC-58T)는 Center for Prostate Disease Research (Department of Surgery,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난소암 세포주(SK-OV-3)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ND,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전립선암 세포주(RC58-T) 및 난소암 세포주(SK-OV-3)는 100 unit/ml의 Antibiotic Anti-mycotic (GIBCO®/Invitrogen™, Gran Island, NY, USA)와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Invitrogen™)가 첨가된 DMEM (GIBCO®/Invitrogen™)를 이용하여 95%의 습도가 유지되는 37℃ 및 5% CO2 incubator에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능은 생존 세포 내의 단백질 총량을 흡광도로 나타내어 세포 사멸 정도를 확인하는 sulforhodamine B(SRB,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활성화된 전립선암 세포주(RC58-T) 및 난소암 세포주(SK-OV-3)를 각각 24 well plate에 2×105cell/mL로 각각 1mL 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 및 5% CO2 incubator에서 전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각각 0, 5, 10, 25, 50 및 100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12% TCA를 넣어 4℃에서 세포를 고정시키고 well을 세척한 후 0.4% SRB 용액을 첨가하여 염색하였다. 염색 종료 후 1% acetic acid (Kanto Chemical Co., Inc., Tokyo, Japa)로 세척하고 10mM Tris Buffer (Sigma-Aldrich Co.)를 첨가하여 SRB를 녹여낸 후 상등액을 96 well plate에 옮겨 microplate reader (Titertek Multiskan Plus, Labsystems, Espoo, Finland)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세포생존율(%) = {1-(화합물 처리군 흡광도/화합물 무처리군 흡광도)}×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처리에 의해 전립선암 세포(RC58-T)가 사멸되었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전립선 암세포의 생존율(세포 활성)이 감소되어 25 내지 100μM 처리한 군에서는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이 매우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또한,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은 10.22μM로 계산되어, 기존의 항암제들의 IC50값인 Imatinib 10.38(μM), Dasatinib 9.890(μM), Radotinib 9.931(μM)과 유사 또는 더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난소암 세포(SK-OV-3)에서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b).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은 전립선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사멸시키는 항전립선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이 항전립선암 활성을 가짐을 시사하는 것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의 제조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3>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의 건조분말과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화학식 1의 화합물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1925694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1의 직쇄 알킬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19256941-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1의 직쇄 알킬이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19256941-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11의 직쇄 알킬이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95369A 2019-08-06 2019-08-06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69A KR102058323B1 (ko) 2019-08-06 2019-08-06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369A KR102058323B1 (ko) 2019-08-06 2019-08-06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23B1 true KR102058323B1 (ko) 2019-12-20

Family

ID=6906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369A KR102058323B1 (ko) 2019-08-06 2019-08-06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3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03B1 (ko) * 2017-09-22 2018-04-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우르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03B1 (ko) * 2017-09-22 2018-04-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우르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o-enzymatic synthesis and cell-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resveratrol analogues, Bioorganic Chemistry, 33, 22-33(2005.) 1부.*
The Prostate, Volume74, Issue8, 2014, Pages 839-85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808305A (zh) Glp-1分泌促進用組成物及其製造方法
KR101845203B1 (ko) 라우르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KR102132525B1 (ko)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투실라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2279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2260B1 (ko) 마늘 추출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8323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4946A (ko) 브로콜리 유래 글루코시놀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864085B1 (ko) 발프로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경련제
KR20220152006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628B1 (ko) 라우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광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0119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7466B1 (ko) 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광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8291B1 (ko) 에스테르 및 산무수물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비만 및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7062B1 (ko)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제라닐 프라보노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2867B1 (ko) 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7044B1 (ko) 크리스타진을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09572B1 (ko)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4153B1 (ko) 해열, 진통 및 소염 활성을 갖는 에스테르 및 산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6184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보조 치료제
KR101965699B1 (ko) 마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66120B1 (ko) (메톡시페닐-아크릴로일)페닐-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2-프로페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