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572B1 -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572B1
KR100909572B1 KR1020080113991A KR20080113991A KR100909572B1 KR 100909572 B1 KR100909572 B1 KR 100909572B1 KR 1020080113991 A KR1020080113991 A KR 1020080113991A KR 20080113991 A KR20080113991 A KR 20080113991A KR 100909572 B1 KR100909572 B1 KR 10090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obovatol
hydro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린
송희복
김지은
권병목
한동초
김혜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8011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572B1/ko
Priority to PCT/KR2009/000800 priority patent/WO2010055974A1/ko
Priority to US12/484,623 priority patent/US2010012510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5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보바톨 및 유도체들은 당뇨 및 대사증후군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증대함으로써 당뇨 및 대사증후군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R2 및 R3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오보바톨, AMPK 효소, 당뇨병, 대사증후군 질환

Description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containing obovatol and its synthesized derivatives}
본 발명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후박 열매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분리 정제한 오보바톨 및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한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세틸, C1-C7 알콕시 또는 C1-C7 알콕시아세틸이고;
R3은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7알케닐 또는 알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메틸, 에틸,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메톡시아세틸 또는 에톡시아세틸이고;
상기 R3은 수소, 프로필, 프로페닐 또는 알릴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 유도체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1) 오보바톨(obovatol);
2) 3-(4-프로필페놀시)-5-프로필벤젠-1,2-디올 (ob-RD);
3) 3-(4-프로필페녹시)-2-메톡시-5-프로필페놀 (ob-Rd-2M)
4) 1-(4-프로필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프로필벤젠 (ob-Rd-Ac)
5) 1-(4-프로필페녹시)-2,3-디-2-메톡시아세틸옥시-5-프로필벤젠 (ob-Rd-MAc)
6) 3-(4-((E)-프로프-1-에닐)페녹시)-5-((E)-프로프-1-에닐)벤젠-1,2-디올 (ob-RE)
7)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 (ob-RE-Ac)
8)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2-메톡시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 (ob-RE-MAc)
[문헌 1] Hardie et al, FEBS Lett. 546, pp 113-120, (2003)
[문헌 2] David Carling et al,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29, pp 18-24, (2004)
[문헌 3] Juleen R. et al, J Appl Physiol. 93, pp 773-781, (2002)
[문헌 4] Holman, R.R. et al, Metabolism, 55, S2-5,2006 ;Pickup, J.C. et al., Blackwell Scientific Publ. London, pp 462-476, (1991)
[문헌 5] Innerfield, R.J., New Engl. J. Med., 334, pp 1611-1613, (1996)
[문헌 6] Schlattner U, et al, J Biol Chem. 279, pp 43940-51, (2004)
[문헌 7] Somwar R et al, Clin Ther. 20, pp 125-40, (1998)
[문헌 8] Halseth AE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4, pp 798-850, (2002)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된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는 세포내 에너지 상태를 감지하여 세포내의 탄수화물대사 및 지질합성대사를 조절하여 체내의 에너지 균형(energy balance)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산화효소이다. AMPK는 세포내의 생체에너지인 ATP 함량이 급격히 저하될 때 즉 심한 운동을 하거나 장기간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았을 때 세포내의 ATP:AMP 비율이 현저히 저하되면, AMPK 키나아제(kinase)에 의해 AMPK의 알파 서브유닛(subunit)의 트레오닌 172번 잔기가 인산화되어 활성화 형태의 효소로 전환되게 된다. 그 결과 생체에너지인 ATP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작용(glycolysis) 및 체지방 분해 과정인 베타산화(β-oxidation) 대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Hardie et al, FEBS Lett. 546, pp 113-120, 2003), 반대로 ATP를 소모하는 지방합성이나 콜레스테롤의 합성은 억제된다 (David Carling et al,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29, pp 18-24, 2004). 또한 AMPK가 활성화되면 혈중 포도당이 세포내로 흡수가 촉진되어 혈당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AMPK 활성화에 의해 인슐린의 작용과는 무관하게 GLUT4(glucose transporter 4) 등의 혈당 흡수 통로들의 세포막으로 이동이 증가되므로 혈당의 감소가 이루어진다(Juleen R. et al, J Appl Physiol. 93, pp 773-781, 2002).
AMPK 활성화에 따라 구체적인 대사과정의 변화로는 인산화된 활성화 형태의 AMPK는 지방산합성의 핵심효소로서 malonyl-CoA를 생산하는 ACC(acetyl-CoA carboxylase)와 콜레스테롤 합성의 핵심효소인 HMG-CoA reductase 단백질들을 직접 인산화시켜, 이들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어 지방 및 콜레스테롤 합성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ACC의 인산화 증가에 의한 ACC 활성의 억제에 의해 malonyl-CoA의 농도가 저하되게 되면, 지방분해 과정인 베타산화과정이 일어나는 미토콘드리아내로 지방산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지방의 분해가 촉진되게 된다.
대사증후군은 과거에는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X증후군으로 불렸다. 그러나 연구가 계속되면서 포도당을 분해해 간근육 등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제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당뇨병고혈압뇌졸중심장병 등 각종 성인병이 생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인슐린이 포도당을 제대로 운반하지 못하는 것을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하는데, 대사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적인 병증을 일컫는다. 이 때문에 대사증후군을 인슐린 저항증후군으로 부르기도 한다. 원인은 체내에 인슐린이 있더라도 저항성으로 인해 고혈당은 개선되지 않은 채, 인슐린 농도만 높아지는 데 있다. 주요 증상은 혈당 대사이상으로 인한 당뇨병,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중성지방 증가, 고밀도 콜레스테롤, 나트륨 성분 증가로 인한 고혈압, 요산증가로 인한 통풍 등이다. 그러나 보통 복부비만, 당뇨, 고밀도 콜레스테롤, 고혈압, 고중성지방 등 5가지 지표 가운데 3가지 이상이 기준치를 넘으면 대사증후군으로 본다. 과학자들은 1990년대 비만과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뇌중풍, 심장병 등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역학조사를 통해 알게 됐지만 이유를 몰라 ‘X증후군’이라고 불렀다. 유전이나 나쁜 생활습관으로 인해 여러 가지 대사장애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 대사증후군은 정확한 발생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이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 이라고도 불리며, 1998년 WHO는 이를 대사증후군이라 정의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은 선천적인 면도 있지만 대개 비만에 의한 체지방의 증가와 운동부족으로 생기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적극적인 체중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대사증후군인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부족으로 고혈당을 비롯한 대사이상이 지속되며, 장래 혈관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의존성인 제 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성인 제 2형 당뇨병으로 나뉘어진다.
임상에서 현재 사용되는 당뇨병치료제는 크게 재조합 인슐린, 설포닐요소계(sulfonylurea), 메트포민(metformin), 티아졸리디네디온 (thiazolidinedion)계,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 (α-glucosidase inhibitor)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포닐요소계 약물은 인슐린이 생체에서 필요치 않을 때도 인슐린을 분비하여 저혈당의 위험이 있고 (Holman, R.R. et al, Metabolism, 55, S2-5,2006 ;Pickup, J.C. et al., Blackwell Scientific Publ. London, pp 462-476, 1991), 비구아니드계(Biguanide)인 메트포민은 간세포의 당신생합성을 억제시키고 인슐린 수용체를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위장장애를 일으키며 과량을 장기간 투여했을 때 사망에 이르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nerfield, R.J., New Engl. J. Med., 334, pp 1611-1613, 1996). 티아졸리디네디온계 약물로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me, 상품명: 아반디아 Avandia)과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상품명: 악토스 Actose)이 있는데 이는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을 도와주며, 혈당조절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간독성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간기능 검사를 규칙적으로 받아보아야 한다. 이 계열 중 최초로 개발된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은 간독성으로 시판 중지되었으며 또한 이 계열의 약물은 비만을 유발할 수도 있다. 최근 발매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일차적으로 소장에서 복합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키고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특징인 식후 고혈당과 고인슐린증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지만 복부 팽만감, 구역, 설사 등이 대표적인 부작용이며 최근에 간 손상이 보고되어 장시간 복용시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가 요구된다. 따라서 언급된 부작용이 최소화된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고지혈증을 수반하며 당뇨병의 발병확률도 매우 높아지게 된다. 비만에 의해 증가된 세포내 지질함량은 인슐린 감작세포들에서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초래하여 종래에는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된다. 따라서 체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비만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인슐린 비의존적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된다면 매우 바람직한 비만, 고지혈증 그리고 당뇨치료제로 등 대사질환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가 AMPK 효소를 활성화하여, 이 결과 지방합성 및 콜레스테롤 합성이 억제되고, 동시에 지방산의 베타산화를 증가시켜 지방분해가 촉진되어 혈중 지질 및 체지방 감소를 일으키게 될 뿐 아니라, 체지방의 감소에 따른 인슐린저항성 개선과 함께 AMPK의 활성화에 의한 GLUT4 등의 세포막이동을 인슐린 비의존적 방법으로 증가시켜 혈당강하 효능이 우수함을 밝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당뇨병의 예방, 억제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식품, 의약품 그리고 사료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세틸, C1-C7 알콕시 또는 C1-C7 알콕시아세틸이고;
R3은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알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메틸, 에틸,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메톡시아세틸 또는 에톡시아세틸이고;
상기 R3은 수소, 프로필, 프로페닐 또는 알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억제 및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억제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이하, "AMPK"라 칭함) 효소 활성화제를 제공한다.
합성된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AMPK 효소를 활성화함으로서 인슐린 비의존적 방법으로 혈당강하 효능을 증가시켜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억제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식품, 의약품 및 사료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MPK 효소 활성화를 통한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MPK 효소 활성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당 0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용 화합물은 20 내지 90 %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사료 첨가제용 화합물은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 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보조제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건조 첨가제를 모두 혼합한 후, 액체 성분과, 가열 후에 액체가 되는 성분, 즉, 지질,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임의로 액화시킨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등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화합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화합물은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화합물을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업계 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화합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화합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동물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식이는 상업상 중요한 포유류, 예를 들어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랫트, 마우스, 햄스터 및 게르빌루스쥐), 모피 소유 동물 (예, 밍크 및 여우), 및 동물원 동물 (예, 원숭이 및 꼬리 없는 원숭이), 뿐만 아니라 가축 (예, 고양이 및 개)에게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업상 중요한 가금에는 닭, 터키,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가 포함된다. 송어와 같 은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어류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한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은, 상기 화합물을 동물 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료 1 ㎏당 약 1 g 내지 100 g의 양으로 혼입한다. 또한, 사료 혼합물은 완전히 혼합한 후,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이 얻어진다. 이것을 매시로서 공급하거나, 또는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저장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물 사료에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통상의 펠릿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의 물은 건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AMPK 효소를 활성화함으로서 인슐린저항성 개선과 함께 AMPK의 활성화에 의한 인슐린 비의존적 방법으로 혈당강하 효능을 증가시켜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예방, 억제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식품, 의약품 및 사료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시약 및 기기
분석기기로는 1H-NMR (400MHz) 및 13C-NMR (400MHz)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 JNM-AL 400, JEOL Ltd., 일본), 멜팅 포인터(Melting pointer, Yamako, MD-S3, 일본), 질량분석기(MS, PE SCIX API 2000 MS/MS, 캐나다)를 사용하였다. 각종 시약들은 알드리치사(Aldrich Chemical Co.)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기타 용매는 1급 이상의 시약을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합성한 물질들의 정제를 위하여 실리카겔(Silica gel, Merck, 230-400 mesh)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오보바톨의 제조
건조한 일본 후박나무 열매 1kg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 4L를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방치한다. 유기용매 층을 분리하여 감압하에 건조하고 실리카겔에 흡착시켜 헥산과 에칠아세테이트 (9:1의 비율)를 가하여 활성분획을 정제한다. 건조한 일본 후박나무 열매 1kg으로부터 액체상태의 오보바톨 40g을 얻었다.
<실시예 2> 테트라하이드로 오보바톨 (ob-Rd)의 제조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4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오보바톨(1 g)을 아세톤(200 )에 녹인 후 상온에서 팔라듐-차아콜(Pd-Charcoal)(2 mg)을 가하고 수소를 통과시켰다.
이후,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용매 층을 모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1.1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100 )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Merck, Art No. 9385)에 첨가하여 활성물질을 흡착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의 비율을 10:90 내지 20:80으로 변화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여 무색의 ob-Rd 0.9 g을 얻었다(수득률: 90%)
<실시예 3> 3-(4-프로필페녹시)-2-메톡시-5-프로필페놀 (ob-Rd-2M)의 제조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5
실시예 2에서 제조된 ob-Rd (1 g)을 아세톤(200 )에 녹인 후, 탄산칼륨(K2CO3)(1.1 g)과 메틸아이오다이드(0.3 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 용매 층을 모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1.2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30 )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Merck, Art No. 9385)에 첨가하여 활성물질을 흡착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의 비율을 10:90 내지 20:80으로 변화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여 무색의 3-(4-프로필페녹시)-2-메톡시-5-프로필페놀(ob-Rd-2M, 1 g)을 얻었다 (수득률: 90%).
<실시예 4> 1-(4-프로필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프로필벤젠 (ob-Rd-Ac의 제조)의 제조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6
실시예 2에서 제조된 ob-Rd (1 g)을 아세톤(200 )에 녹인 후, 탄산칼륨(K2CO3)(1.2 g)과 아세틸 클로라이드(50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무색의 1-(4-프로필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프로필벤젠(1.1 g)을 얻었다(수득률: 90%).
<실시예 5> 3-(4-((E)-프로프-1-에닐)페녹시)-5-((E)-프로프-1-에닐)벤젠-1,2-디올의 제조 (ob-RE)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7
오보바톨(1 g)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염화팔라듐(PdCl2)(10 m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 용매 층을 모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1.1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30 )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Merck, Art No. 9385)에 첨가하여 활성물질을 흡착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의 비율을 20:80으로 변화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였다. 이후, 상기 활성분획을 건 조시켜 무색의 3-(4-((E)-프로프-1-에닐)페녹시)-5-((E)-프로프-1-에닐)벤젠-1,2-디올 (0.91 g)을 얻었다 (수득률: 90%).
<실시예 6>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2-메톡시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 (ob-RE-MAc)의 제조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8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프로페닐 오보바톨(1 g)을 아세톤(200 )에 녹인 후, 탄산칼륨(K2CO3)(1.2 g)과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60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무색의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2-메톡시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1.15 g)을 얻었다(수득률: 90%)
<실시예 7>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 (ob-RE-Ac) 의 제조
Figure 112008079108625-pat00009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프로페닐 오보바톨(1 g)을 아세톤(200 )에 녹인 후, 탄산칼륨(K2CO3)(1.3 g)과 아세틸 클로라이드(500 mg)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무색의 1-(4-((E)-프로프-1-에닐)페녹시)-2,3-디아세틸옥시-5-((E)-프로프-1-에닐)벤젠(1.0 g)을 얻었다(수득률: 90%).
<분석>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UV 흡광도 분석, IR(infrared) 흡광도 분석 및 고해상도 질량분석기 분석을 실시하여 상기 순수 정제된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식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UV 흡광도 분석은 시마주사의 UV-265 분광광도계(Shimadzu UV-265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으며, IR 흡광도는 바이오-라드사의 디지랩 디비존 FTS-80 분광광도계(Bio-Rad Digilab Division FTS-80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고, 분자량 및 분자식은 VG70-SEQ 질량 분광계(mass spectrometry; MS)를 이용한 고해상도(High resolution) MS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핵자기공명기(Varian 300 , 500 NMR)를 이용하여 1H, 13C-NMR 스펙트럼 을 얻었으며, 이들 스펙트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1 및 표2 에 정리하였다.
표1. 외형, 분자식, 분자량 및 용해성
구분 색상 분자식 분자량 용해성
가용성 불용성
실시예1 무색 C18H18O3 282 알코올, DMSO
실시예2 무색 C18H22O3 286 알코올, DMSO
실시예3 무색 C19H24O3 300 알코올, DMSO 헥산, 물
실시예4 무색 C22H26O3 370 알코올, DMSO
실시예5 무색 C18H18O3 282 알코올, DMSO
실시예6 무색 C24H26O7 426 알코올, DMSO
실시예7 무색 C22H22O5 366 알코올, DMSO
표2. NMR 데이타
구분 NMR 데이타
실시예1 1H NMR (300 MHz, CDCl3): 7.15 (2H, d, J = 9 Hz), 6.94 (2H, d, J = 9 Hz), 6.59 (1H, d, J = 1.5 Hz), 6.30 (1H, d, J = 1.5 Hz),5.97 (2H, m), 5.06 (4H, m), 3.38 (2H, d, J = 6.6 Hz), 3.20 (2H, d, J = 6.6 Hz) ppm
실시예2 1H-NMR (CDCl3): 7.13 (2H, d, J = 8.7 Hz), 6.95 (2H, d, J = 8.7 Hz), 6.57 (1H, d, J = 1.5 Hz), 6.3 (1H, d, J = 2.1 Hz), 2.58 (2H, t, J = 8.1 Hz), 2.42 (2H, t, J = 8.1 Hz), 1.59 (4H, m), 0.92 (6H, m) ppm.
실시예3 1H-NMR (CDCl3): 7.15 (2H, d, J = 9 Hz), 6.97 (2H, d, J = 9 Hz), 6.66 (1H, d, J = 1.5 Hz), 6.37 (1H, d, J = 1.5 Hz), 3.92 (3H, s), 2.61 (2H, t, J = 8.1 Hz), 2.48 (2H, t, J = 8.1 Hz), 1.65 (4H, m), 0.97 (6H, m) ppm.
실시예4 1H-NMR (CDCl3): 7.12 (2H, d, J = 8.7 Hz), 6.92 (2H, d, J = 8.7 Hz), 6.74 (1H, d, J = 2.1 Hz), 6.63 (1H, d, J = 2.1 Hz), 2.56 (2H, t, J = 8.1 Hz), 2.48 (2H, t, J = 8.1 Hz), 2.29 (3H, s), 2.19 (3H, s), 1.59 (4H, m), 0.92 (6H, m) ppm.
실시예5 1H-NMR (CDCl3): 7.28 (2H, d, J = 9 Hz), 6.95 (2H, d, J = 9 Hz), 6.73 (2H, d, J = 1.5 Hz), 6.42(2H, d, J = 1.5 Hz), 6.37 (1H, d, J = 15.5 Hz), 6.15 (2H, m), 5.99 (1H, m), 5.42 (2H, s), 1.88 (3H, d, J = 7 Hz), 1.80 (3H, d, J = 7 Hz).
실시예6 1H-NMR (CDCl3): 7.27 (2H, d, J = 8.1 Hz), 6.95 (2H, d, J = 8.1 Hz), 6.77 (1H, d, J = 1.5 Hz), 6.17 (5H, m), 4.27 (2H, s), 4.14 (2H, s), 3.525 (3H, s), 3.41 (3H, s), 1.88 (3H, d, J = 6.6), 1.83 (3H, d, J = 6.6).
실시예7 1H-NMR (CDCl3): 7.27 (2H, d, J = 8.1 Hz), 6.97 (2H, d, J = 8.1 Hz), 6.88 (1H, d, J = 1.5 Hz), 6.75 (1H, d, J = 1.5 Hz), 6.37 (1H, d, J = 14.7 Hz), 6.14 (3H, m), 2.29 (3H, s), 2.18 (3H, s), 1.87 (3H, d, J = 6.6 Hz), 1.81 (3H, d, J = 6.6 Hz).
<실험예 1> AMPK활성화 효능
상기 실시예 1-7에서 합성된 단일물질들의 AMPK효소 활성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화합물들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Schlattner U, et al, J Biol Chem. 279, pp 43940-51, 2004).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을 L6 myotube cell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에 도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5, 10, 20 μM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활성화된 형태의 AMPK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를 준비하였고 처리 농도에 따른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이하 "AMPK"라 칭함) 효소의 활성화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AMPK의 알파(a)-subunit에 존재하는 트레오닌(threonine) 172번 잔기에 대한 인산화 증가를 (도 2) 웨스턴 블롯 어세이(western blot assay)를 통해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 물질들 모두에서 농도별로 증가세를 보였다. 위 결과로 보아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은 AMPK 활성화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L6 myotube 세포의 글루코스 흡수치(uptake) 측정
상기 <실시예 1-6>에서 합성된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들을 L6 myotube 세포에서의 글루코스 흡수치(uptake)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화합물들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Somwar R et al, Clin Ther. 20, 125-40, 1998).
완전히 분화된 L6 myotube cell을 무혈청 배지(GIBCO, Auckand NZ)로 6시간 배양시킨 후 각각 10 μM의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를 2시간씩 처리한 후에 10 μM 비표지(unlabeled) 2-deoxyglucose, 10 μM 2-deoxy-[3H]-glucose (1 mCi/ml )가 포함된 HEPES-saline buffer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빙냉(ice-cold) PBS로 3회 세포를 세척한 후에 1N NaOH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lysis)시키고 신틸레이션 카운터(Packard Co. 1600PR)로 cpm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에 세포내의 비특이적 글루코스 흡수(non-specific glucose uptake)는 10 μM의 cytochalasin B(Sigma Chemical Co. St Louis MO)를 포함한 HEPES-saline buffer로 측정하여 전체 값에서 제거하였다.
실험결과,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역시 동일 농도에서 오보바톨 및 단일 유도체의 글루코스 흡수치(glucose uptake)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db/db 마우스에서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 (blood glucose level)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화합물들의 db/db 마우스에서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화합물들의 효능을 측정하였다(Halseth AE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4, 798-850, 2002).
당뇨모델 마우스인 5주령의 db/db mouse(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Inc Germany)를 각각 8마리씩 나누어 각각 5, 10 mg/kg(올리브오일)의 오보바톨 투여군 및 동일 부피의 식염수 투여군(대조군)을 4주간 투여하여 상기 마우스들의 혈중혈당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당 변화에서 오보바톨 5 mg/kg에서는 식염수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혈당 변화는 없었으나, 오보바톨 10 mg/kg 투여군이 식염수 투여군보다 1 주째 39.6% (235.75±20.9, 390.25±44.1), 2 주째 29.2% (297.25±29, 419.75±28.8), 3 주째 52.7% (234±61.5, 495±86.2), 4 주째 55.2% (288±27.6, 522±78) 감소되었다.
<실험예 4> 급성독성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급성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의 예규에 따라 웅성의 ICR 마우스 (4주령, (주)중앙실험동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각 그룹당 10 마리씩의 마우스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0.625 ~ 2g/k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하였고, 2주간 관찰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마우스에서 2g/kg의 용량까지 경구 투여시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인체에 경구투여시 1 - 1000 mg/kg, 피부적용시에는 0.2 - 100 mg/cm2으로 사용시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합성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합물 20 ~ 95 중량부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화합물 0.2 ~ 1.0 중량부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화합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 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화합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화합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합물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건조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2-8.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실시예 1-6의 화합물 중 하나의 화합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6의 화합물 중 하나의 화합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3-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화합물 중 하나의 화합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화합물 중 하나의 화합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도 1은 테트라하이드로 오보바톨 (ob-Rd)의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생쥐 유래의 L6 근육세포에서의 시료의 처리 농도에 따른 AMPK 효소의 활성화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AMPK의 알파(a)-서브유닛(subunit)에 존재하는 트레오닌(threonine) 172번 잔기에 대한 인산화 증가를 항체염색방법으로 확인한 도이고,
도 3은 L6 근육세포에 시료를 2시간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의 포도당의 흡수도(glucose uptake) 증가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당뇨병 생쥐모델인 db/db 마우스에 시료를 경구투여시의 혈당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9029899033-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세틸 또는 C1-C7 알콕시아세틸이고;
    R3은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알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품 또는 식용음료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29899033-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세틸 또는 C1-C7 알콕시아세틸이고;
    R3은 수소, C1-C7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알릴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 물.
  6. 삭제
KR1020080113991A 2008-11-17 2008-11-17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0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91A KR100909572B1 (ko) 2008-11-17 2008-11-17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09/000800 WO2010055974A1 (ko) 2008-11-17 2009-02-19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2/484,623 US20100125103A1 (en) 2008-11-17 2009-06-15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containing obovatol and its synthesized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91A KR100909572B1 (ko) 2008-11-17 2008-11-17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572B1 true KR100909572B1 (ko) 2009-07-24

Family

ID=4133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91A KR100909572B1 (ko) 2008-11-17 2008-11-17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25103A1 (ko)
KR (1) KR100909572B1 (ko)
WO (1) WO2010055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43B1 (ko) * 2008-03-24 2009-04-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오보바톨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A (ja) * 1987-10-01 1990-01-05 Konica Corp 高コントラストな画像形成方法
KR20070070301A (ko) * 2005-08-10 2007-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의 분리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의정제방법
KR100839131B1 (ko) 2007-03-07 2008-06-1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5294A3 (en) * 1989-04-25 1991-05-2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ntrol of protozoal disease
WO2005074963A1 (en) * 2004-02-06 2005-08-1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
KR100697236B1 (ko) * 2005-08-11 2007-03-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A (ja) * 1987-10-01 1990-01-05 Konica Corp 高コントラストな画像形成方法
KR20070070301A (ko) * 2005-08-10 2007-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의 분리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의정제방법
KR100839131B1 (ko) 2007-03-07 2008-06-1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약학석사학위논문 (200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5103A1 (en) 2010-05-20
WO2010055974A1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1401A1 (en) Insulin secretion promoter
EP243892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ampk and including 2,5-bis-aryl-3,4-dimethyltetrahydrofuran lignans as active ingredients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TW201808305A (zh) Glp-1分泌促進用組成物及其製造方法
EP1656943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09572B1 (ko) 오보바톨 및 그 합성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3292444A (ja)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KR20160114841A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0018A (ko) 당뇨병 치료제
KR20090016804A (ko) 신규 벤질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13367872B2 (en) Igf-1 production-promoting agent
JP5728972B2 (ja) 新規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
JP5673207B2 (ja) 新規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
KR101167678B1 (ko) 글리세올린 또는 글리세올린이 강화된 발효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55058A (ko) 오보바톨 및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와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73432A (ko) 로즈힙 및 녹차씨를 주성분으로 혼합된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59689B1 (ko) 유근피로부터 (2R,3R)-에피카테킨-7-O-β-D-아피오퓨라노사이드를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58323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0640B1 (ko)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73091B2 (ja) 新規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3043878A (ja) 新規ヒドロキシスチルベン誘導体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