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543A -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543A
KR20180128543A KR1020170063511A KR20170063511A KR20180128543A KR 20180128543 A KR20180128543 A KR 20180128543A KR 1020170063511 A KR1020170063511 A KR 1020170063511A KR 20170063511 A KR20170063511 A KR 20170063511A KR 20180128543 A KR20180128543 A KR 2018012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heet
rotation
elast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731B1 (ko
Inventor
임근화
박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7006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731B1/ko
Priority to US15/643,448 priority patent/US10166796B2/en
Publication of KR2018012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543A/ko
Priority to US16/219,169 priority patent/US106758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58Supply holders for sheets or fan-folded webs, e.g. shelves, tables, scrolls, pi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시트에 텐션을 인가하여 상기 시트를 이용한 인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1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2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텐션 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텐션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Tensioning device for printer, Unwinding device for printer and Printer}
본 발명은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 사람들은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인쇄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인쇄 장치는 시트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주변기기를 말한다. 사용자는 사용 목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인쇄 장치의 종류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는 내부에 시트가 이동되면서 출력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출력 과정이 오류 없이 진행되고, 인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가 미리 정해진 경로, 미리 정해진 속도 및 미리 정해진 지점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시트가 미리 정해진 경로, 미리 정해진 속도 및 미리 정해진 지점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시트에 텐션을 부여하는 기구들이 상기 인쇄 장치에 설치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텐션을 부여하는 기구들은 상기 시트에 적절한 텐션을 제공하지 못해, 상기 시트가 미리 정해진 경로, 미리 정해진 속도 및 미리 정해진 지점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인쇄 장치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상기 시트에 명확하게 출력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불규칙적인 이동으로 인해 상기 인쇄 장치가 고장 나는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트가 인쇄 장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인쇄 장치의 출력 과정이 오류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시트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시트에 텐션을 인가하여 상기 시트를 이용한 인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1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2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텐션 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텐션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1 텐션 인가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시트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1 텐션 인가부는,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접촉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접촉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경우, 상기 시트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크기의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체결부 및 제4 체결부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3 체결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4 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3 연결부가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제3 체결부에 장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는,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및 상기 롤시트로부터 권출된 시트를 이용하여 인쇄가 구현되도록 하는 인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에 의하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정확하고 명확하게 시트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X-X'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회전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회전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백텐션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연동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텐션 인가부의 직선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텐션 인가부의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텐션 인가부의 제3 체결부를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텐션 인가부의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쇄 장치는 시트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장치는 리본프린터, 열전사프린터, 라벨프린터, 잉크젯프린터, 레이져프린터, 도프프린터등 일 수 있다.
이하, 인쇄 장치는 리본을 이용한 승화형 프린터 형식을 기준으로 서술을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 작성되는 목차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는데 용이하기 위한 것인바, 일 목차에 작성되는 특징은 오직 일 목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목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인쇄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정보가 출력되는 롤용지(13) - 상기 롤용지(13)는 용지(P)가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을 말함. -가 삽입되는 용지 기구(16), 롤리본(12) - 상기 롤리본(12)은 리본(R)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을 말함. - 이 삽입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로부터 배출되는 리본(R) 및 상기 용지 기구(16)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를 이동시키는 플래튼롤러(14), 상기 플래튼롤러(14)에 의해 이동되는 리본(R)이 수취되는 수취 기구(11), 상기 플래튼롤러(14)에 의해 이동되는 용지(P)가 배출되는 배출부(15) 및 상기 플래튼롤러(14)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래튼롤러(14)에 의해 이동되는 용지(P)와 리본(R)에 출력 과정을 진행하는 프린터헤드(미도시) 및 상기 출력 과정이 진행된 상기 리본(R)에 텐션을 제공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10)는 롤시트로 - 상기 롤시트는 상기 롤용지(13) 및/또는 롤리본(12)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 부터 권출된 시트를 이용하여 인쇄가 구현되도록 하는 인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 기구는 상기 인쇄 장치(10)에서 인쇄가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기구는 상기 플래튼롤러(14), 상기 프린터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시트는 인쇄 장치에서 정보가 출력되는데 이용되는 모든 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트는 일반 라벨용지, 라이너리스라벨,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일반 감열지 등의 용지일 수 있고, 리본일 수도 있고, 직물, 플라스틱 등일 수 있있다.
여기서, 리본은 한쪽면에 합성염료의 혼합에 의한 잉크층을 형성하는 인화용 매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롤 형태로 보관될 수 있고, 일정한 패턴으로 겹쳐져서 보관되는 형태, 일명 팬폴드(Fanfold)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연속 용지일 수 있고, 낱장 용지일 수도 있고, 낱장 용지에서 일부가 연결된 용지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시트는 상술한 예시로 한정하지 않고, 일반 산업 현장에서 인쇄 작업에 사용되는 모든 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인쇄 장치(10)에 구비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 및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2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여기서, 상술한 용지 기구, 플래튼롤러(14), 수취 기구(11), 배출부(15), 프린터헤드 및 기타 인쇄 장치(10)와 관련된 구성들은 공지가 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2.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이하, 시트는 롤 형태의 리본을 기준으로 서술을 하나 본 발명의 용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롤리본(12)에 삽입되어, 상기 플래튼롤러(14) 및/또는 상기 수취 기구(11)에 의해 상기 롤리본(12)이 회전되어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로부터 리본이 권출되는 동안, 상기 롤리본(12)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연결되는 회전 연동부(110); 상기 회전 연동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롤리본(12)이 삽입되어, 상기 롤리본(12)으로부터 권출되는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하는 제1 회전부(120),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되고 상기 롤리본(12)이 삽입되어, 상기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하는 제2 회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롤리본(12)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제2 회전부(130) 모두 상기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롤리본(12)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제1 회전부(120)만 상기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리본에 백텐션을 제공하는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롤리본(12)을 상위 개념인 롤시트로 변경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롤 형태의 롤시트가 삽입되며, 상기 롤시트로부터 시트가 권출되도록 하는 기구로, 고정샤프트(190),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삽입되되, 상기 롤시트가 삽입되어 상기 롤시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120) 및 제2 회전부(130),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고정샤프트(19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회전 시, 제1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제1 탄성부(140), 상기 제2 회전부(130)와 상기 고정샤프트(19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회전 시, 제2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탄성부(150) 및 상기 제2 탄성부(150)와 상기 고정샤프트(19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샤프트(190)를 기준으로 한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150)에 의한 상기 제2 백텐션의 제공 여부를 제어하는 백텐션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체결되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와 상기 고정샤프트(190)와의 연결 여부를 제어하는 연동 제어부(170),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상기 제2 회전부(130)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1 회전부(120)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상기 롤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고정부재(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시트고정부재(195)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시트고정부재(195)는 상기 제2 회전부(130)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제2 회전부(130)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20)는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연동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동부(110)는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제2 회전부(130)의 회전 시 안정적인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연동부(110)는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일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연동부(11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에서 상기 제2 회전부(130)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지만, 상기 제1 회전부(120)에서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 연동부(110)는 후술하는 상기 이동방지부(191)에 의해서 상기 제1 회전부(120)에서 상기 제2 회전부(130)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삽입된 상기 제1 탄성부(140)에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부(120) 내부에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부(140) 내부에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된 상기 제2 탄성부(150)에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에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부(130) 내부에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탄성부(150) 내부에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내부에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는 회전하는 상기 제1 회전부(120)와 회전하지 않는 상기 고정샤프트(19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부(12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회전부(120)가 상기 롤시트에 제1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롤시트에 제2 백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백텐션의 선택적 제공 여부는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 상기 연동 제어부(170) 및 상기 이탈방지부(18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탄성부(140) 및 제2 탄성부(150)는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삽입될 수 있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190)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방지부(1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부(191)는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X-X'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가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회전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회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백텐션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연동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에 제공되는 이탈방지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150)에 의한 상기 제2 백텐션의 제공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위치 변화가 되어, 상기 제2 탄성부(150)에 의한 상기 제2 백텐션의 제공 여부가 제어될 수 있으며, 도 4(a)는 제2 백텐션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2 백텐션이 제1 백텐션과 함께 동시에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a) 상태에서 도 4(b)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백텐션 제어부(160, 도 5 참조)도 위치가 변할 수 있는데,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위치 변화는,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인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제2 탄성부(150) 및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상기 고정샤프트(190, 도 5참조)를 기준으로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제2 백텐션의 제공 여부가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를 통해 사용 환경, 작동 상태등을 고려하여 백텐션의 을 조절할 수 있어, 인쇄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제2 탄성부(150, 도 5참조) 및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위치 이동되는 것으로 서술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변화와 별개로 상기 제2 탄성부(150) 및/또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위치 변화되어 상기 제2 백텐션 제공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성 및/또는 구성의 결합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들간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회전부(12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회전본제부(121), 상기 제1 회전본제부(12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회전돌출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본제부(121)는 내부 공간인 제1 회전공간(S121)을 규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는 내부 공간인 제2 회전공간(S126)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공간(S121)에는 제1 탄성부(140)가 삽입된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회전공간(S121)은 상기 제2 회전공간(S126)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본체부(1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는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는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회전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지속부(127) 및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인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속부(127)는 제1 체결공간(S127)과 상기 제2 체결공간(S128)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결정부(132, 도 7참조)가 상기 제1 체결공간(S127)에 배치될 경우, 상기 롤시트에 상기 제1 백텐션만 제공되며, 상기 위치결정부(132)가 상기 제2 체결공간(S128)에 배치될 경우, 상기 리본에 상기 제1 백텐션 및 상기 제2 백텐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9)는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속부(127)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129)는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연결지속부(127)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129)는 비 대칭적으로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출부(126)는 상기 고정샤프트(190)의 이동방지부(191)와 접촉되는 축접촉부(126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접촉부(126a)는 상기 이동방지부(191)와 접촉되어,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회전 연동부(11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샤프트(190)는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연동부(110) 및 상기 제1 회전부(120) 상기 인쇄 장치(10)의 본체와 상기 이동방지부(1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동부(110)와 상기 제1 회전부(120)는 상기 축접촉부(126a)가 상기 이동방지부(191)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제1 회전부(120)에서 상기 제2 회전부(130)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축접촉부(126a)는 상기 이동방지부(191)와 접촉되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이동과정에서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회전 연동부(11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연결은 상기 연결지속부(127)와 후술하는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결정부(132, 도 7참조)의 체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120) 기준으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위치결정부(13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지속부(127)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방지부(191)가 상기 축접촉부(126a)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지속부(127)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 및/또는 상기 회전 연동부(110)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서 상기 제2 회전부(130)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방지부(191)는 상기 제2 회전공간(S126)보다 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경일 수 있다.)이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본제부(121)로부터 규정되는 상기 제1 회전공간(S121)에는 상기 제1 탄성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일단부인 제1 탄성부일단부(141) 및 타단부인 제1 탄성부타단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회전공간(S121)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의 내면이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접촉되고,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의 외면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회전부(13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 회전본체부(131),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회전돌출부(136) 및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로부터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와 반대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결정부(132) 및 피가이드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132) 및 상기 피가이드부(133)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상기 제1 회전부(120)의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가 삽입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의 상기 가이드부(129)는 상기 피가이드부(133)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돌출부(126)의 상기 위치결정부(132)는 상기 연결지속부(127)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29)가 상기 피가이드부(133)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부(129)가 상기 피가이드부(133)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132)가 상기 연결지속부(127)의 상기 제1 체결공간(S127) 또는 상기 제2 체결공간(S128)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변화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가이드부(133) 및/또는 상기 위치결정부(132)는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피가이드부(133) 및/또는 상기 위치결정부(132)는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를 기준으로 비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는 내부 공간인 제3 회전공간(S131)을 규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는 내부 공간인 제4 회전공간(S136)을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회전공간(S131)에는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삽입된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 및 상기 제2 탄성부(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회전공간(S136)에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 및 상기 연동 제어부(170) 및 상기 이탈방지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되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상기 제2 탄성부(150)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소경부(161a)와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의 내면과 접촉되며 상기 고정샤프트(19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대경부(161b)를 구비하는 백텐션 접촉부(161) 및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연결에 의해 제2 백텐션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백텐션 연결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되는 상기 연동 제어부(170)를 설명하기 위해,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동 제어부(170)는 상기 연결되는 공간으로 규정되는 백텐션 피연결부(171) 및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를 제공하는 외면부(173)와 내면부(174) 및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를 구획하는 구획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면부(173)는 상기 연동 제어부(17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외면부(173)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외면부(173) 내부에 상기 내면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면부(173)와 상기 내면부(174)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가 규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는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 도 8참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와 상기 구획부(172)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어느 각도로 위치되든지 간에,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제3 회전공간(S131)에는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중심 축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고정샤프트(190),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상기 소경부(161a), 상기 제2 탄성부(150)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일단부인 제2 탄성부일단부(151) 및 타단부인 제2 탄성부타단부(15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의 내면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상기 소경부(161a)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의 외면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제4 회전공간(S136)에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의 상기 대경부(161b), 상기 연동 제어부(170) 및 상기 이탈방지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제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는 상기 대경부(161b)가 접촉되고 상기 제4 회전공간(S136)을 규정하는 제1 면(137) 및 상기 이탈방지부(180)가 삽입되어 접촉되고 상기 제4 회전공간(S136)을 규정하는 제2 면(138)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면(137)이 규정하는 공간의 직경은 상기 제2 면(138)이 규정하는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가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일 경우에, 상기 제1 면(137)이 규정하는 공간의 폭은 상기 제2 면(138)이 규정하는 공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80)는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삽입된 후, 상기 제2 회전부(130)로부터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탈방지부(180)의 제1 결합부(182, 도 3 참조)가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부(139a, 도 7참조)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82)가 상기 제1 삽입부(139a)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180)에는 제1 돌출부(181, 도 3 참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138)에서는 상기 제1 돌출부(181)와 상응되는 제2 삽입부(139b, 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80)의 일면은 상기 대경부(161b)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80)의 일면은 상기 제1 면(137)과 상기 제2 면(138)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경부(161b)는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와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로부터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경부(161b)는 상기 이탈방지부(18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본체부(131)로부터 상기 제2 회전돌출부(136)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제어부(170)는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연결되고, 상기 이탈방지부(18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제어부(170)의 상기 내면부(174)가 규정하는 공간에 상기 고정샤프트(19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동 제어부(170)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상기 연동 제어부(1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상태인,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인출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상기 위치결정부(132)가 상기 제1 체결공간(S127)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회전부(13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시트가 수취 기구 및/또는 플래튼 롤러 등의 외부 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부(120)는 상기 시트고정부재(19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의 상기 제1 회전부(120)에 대한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력은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와 상기 제1 회전부(120)와의 마찰력일수 있고,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가압하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140)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140)가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반 시계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상기 롤시트에 제1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기 시작한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회전부(120)가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시점까지,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상기 제1 회전부(12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와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상응해서,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나, 상기 고정샤프트(190)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는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회전되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의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대한 밀착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부(140)는 계속 시계 "?袖막? 팽창되어, 상기 리본에 제공되는 제1 백텐션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시점 이후에도 상기 제1 회전부(120)가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상기 제1 탄성부(140)가 팽창되는 힘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상기 고정샤프트(190)의 일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점점 팽창된다면, 상기 제1 탄성부(140)의 두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경일 수 있다. 이하, 탄성부 관련해서 동일하게 서술한다. ) 가 점점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의 직경이 커질수록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와 상기 고정샤프트(190)와의 밀착력은 점점 약화되고,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와 상기 제1 회전부(120)와의 밀착력은 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의 밀착력이 상기 제1 탄성부(140)의 팽창에 의한 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상기 고정샤프트(190)에서 미끄러지는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의 슬립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부터는 압축되는 정도가 일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백텐션의 크기도 일정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회전부(13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의 상기 제2 회전부(130)에 대한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력은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와 상기 제2 회전부(130)와의 마찰력일수 있고,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130)를 가압하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되어 발생되는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되어 발생되는 반발력은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를 회전시키는데 이용되므로, 즉, 상기 제2탄성부(150)가 지속적으로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150)는 권출되는 상기 롤시트에 대해 제2 백텐션을 제공할 수 없다.
이와 다르게, 상기 롤시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부(120)는 상기 시트고정부재(195)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의 상기 제1 회전부(120)에 대한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시계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상기 시트에 제1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기 시작한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회전부(120)가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시점까지,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상기 제1 회전부(12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와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고정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상응해서,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나, 상기 고정샤프트(190)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샤프트(19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는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가 회전되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의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대한 밀착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부(140)는 계속 반시계 "?袖막? 압축되어, 상기 롤시트에 제공되는 제1 백텐션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시점 이후에도 계속 상기 제1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압축되는 힘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가 상기 제1 회전부(120)의 일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부(140)가 점점 압축된다면, 상기 제1 탄성부(140)의 직경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와 상기 고정샤프트(190)와의 밀착력은 점점 강해되고,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와 상기 제1 회전부(120)와의 밀착력은 약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의 밀착력이 상기 제1 탄성부(140)의 압축에 의한 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에서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의 슬립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부터는 팽창되는 정도가 일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백텐션의 크기도 일정해 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탄성부(140)의 나선 방향이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해서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롤시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140)는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부타단부(142)에서 슬립이 일어날 수 있고, 상기 롤시트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140)는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탄성부일단부(141)에서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회전부(1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의 상기 제2 회전부(130)에 대한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력은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와 상기 제2 회전부(130)와의 마찰력일수 있고,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130)를 가압하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되어 발생되는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는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압축되어 발생되는 반발력은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를 회전시키는데 이용되므로, 즉,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지속적으로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150)는 권출되는 상기 시트에 대해 제2 백텐션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고정부재(195)가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시트고정부재(195)는 상기 제2 회전부(130)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롤시트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되는 것에 상응해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시트고정부재(195)는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제2 회전부(130)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시트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회전부(120) 및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가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위치 변화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제1 회전부(120) 를 기준으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부(120)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상기 피가이드부(133)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129)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상기 위치결정부(132)가 상기 제2 체결공간(S128)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는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한 위치 변화와 상관 없이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연동될 수 있어, 상기 제1 회전부(120)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위치 이동되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는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는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는,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인출에 의해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위치 이동되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위치 되어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위치 이동되지 않고,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만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탄성부(150)만 상기 고정샤프트(19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백텐션 제공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는 상기 대경부(161b)에 돌출되게 형성되지 않고, 상기 대경부(161b)의 일면에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동 제어부(170)는 일면이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접촉되어,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가 상기 연동 제어부(17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의 형상과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의 형상은,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의 상호 간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제2 백텐션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상태인,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상기 제1 회전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인출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5(b)의 경우, 상기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100)는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상기 위치결정부(132)가 상기 제2 체결공간(S128)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회전부(130)는 상기 제1 회전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는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172)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외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텐션 연결부(166)가 상기 백텐션 피연결부(1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172)와 접촉된 경우,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샤프트(190)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롤시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백텐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회전부(13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와 상기 제2 회전부(130)와의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밀착력은 상술한 밀착력과 같이 발생되는 원리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시계 방향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반발력(반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는 상기 반발력을 상기 제2 회전부(130)에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시트에 제2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기 시작한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회전부(130)가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와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전부(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상응해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다만,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는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회전되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의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에 대한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탄성부(150)는 계속 팽창될 수 있고,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제2 백텐션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시점 이후에도 상기 제2 회전부(130)가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된다면, 상기 제2 탄성부(150)가 팽창되는 힘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의 일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슬립하는 이유는, 상술했던 상기 제1 탄성부(140)가 팽창하는 경우와 동일한 원리로서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의 슬립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부터는 압축되는 정도가 일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백텐션의 크기도 일정할 수 있다.
.
이와 다르게 상기 롤시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탄성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백텐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회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회전부(1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0)의 내면과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회전되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와 상기 제2 회전부(130)와의 밀착력 때문일 수 있다.
여기서, 밀착력은 상술한 밀착력과 같이 발생되는 원리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반발력(반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는 상기 반발력을 상기 제2 회전부(130)에 시계 방향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시트에 제2 백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되기 시작한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회전부(130)가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와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전부(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상응해서,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나,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는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연동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백텐션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는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가 회전되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의 상기 백텐션 접촉부(161)에 대한 밀착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 상기 제2 탄성부(150)는 계속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제2 백텐션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시점 이후에도 상기 제2 회전부(130)가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된다면, 상기 제2 탄성부(150)가 압축되는 힘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일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가 슬립되는 이유는, 상술했던 상기 제1 탄성부(140)가 팽창하는 경우와 동일한 원리로서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의 슬립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부터는 팽창되는 정도가 일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백텐션의 크기도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탄성부(140)의 나선 방향이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해서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롤시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150)는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타단부(152)에서 슬립이 일어날 수 있고, 상기 롤시트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150)는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탄성부일단부(151)에서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3.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이하, 시트는 리본을 기준으로 서술을 하나 본 발명의 용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트에 텐션을 인가하여 상기 시트를 이용한 인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200)에 있어서, 프레임(240),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1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240)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텐션 인가부(210) 및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2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240)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텐션 인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 및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텐션의 미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대해서 임의의 라인을 말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가 상기 시트와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대해서 임의의 라인을 말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가 상기 시트와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시트의 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클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213), 상기 프레임(240)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250) 및 제2 체결부(260)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24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1) 및 제2 연결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250) 및 상기 제2 체결부(26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고, 하단부의 두께가 상단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250) 및 상기 제2 체결부(260)의 하단부의 일부에는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해서 제1 방향(w1)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연결부(211) 및 상기 제2 연결부(212)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해서 제1 방향(w1)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211)는 상기 제1 체결부(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관통부(211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부(211a)는 상기 제1 연결부(211)의 일면에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관통부(211a)의 폭은 상기 제1 체결부(25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부(211a)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부(211a)의 폭이 상기 제1 체결부(25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의 회전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관통부(211a)의 폭은 상기 제1 체결부(250)의 하단부의 두께와 같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212)는 상기 제2 체결부(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관통부(212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부(212a)는 상기 제2 연결부(212)의 일면에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관통부(212a)의 폭은 상기 제2 체결부(26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통부(212a)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부(212a)의 폭이 상기 제2 체결부(26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의 회전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관통부(212a)의 폭은 상기 제2 체결부(260)의 하단부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223), 상기 프레임(240)에 고정되는 제3 체결부(270) 및 제4 체결부(280)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240)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221) 및 제4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체결부(270) 및 상기 제4 체결부(28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고, 하단부의 두께가 상단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체결부(270)의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24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제3 체결나사부(276)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3 체결일면부(27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체결부(280)의 하단부의 일부에는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3 체결부(2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관통부(221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관통부(221a)는 상기 제3 연결부(221)의 일면에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제4 체결부(2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관통부(222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관통부(222a)는 상기 제4 연결부(222)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 관통부(222a)의 폭은 상기 제4 체결부(28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관통부(222a)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w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또는 직교하는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3 체결부(270)에 의해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해서 제2 방향(w2)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4 체결부(280)에 의해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제2 방향(w2)과 직교하는 제3 방향(w3)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2 접촉부(223)와 가상의 제1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제1 평면과 직교하는 제2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체결부(270) 및 상기 제4 체결부(280)는, 상기 프레임(240)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직교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3 연결부(221)와 상기 제4 연결부(222)도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221)와 상기 제4 연결부(222)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에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의 회전 운동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부(213)는 상기 제2 접촉부(223)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연결부(211) 및 상기 상기 제2 연결부(212)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w1)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해서 상기 제2 방향(w2)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연결부(211)와 상기 제2 연결부(212)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3 평면상에 상기 제1 접촉부(213)가 위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221)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 평면상에 상기 제2 접촉부(223)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1 접촉부(213)와 상기 제2 접촉부(223)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촉부(213)와 상기 제2 접촉부(223)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텐션의 미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가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탄성부(230)는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탄성부(230)는 상기 제3 체결부(270)와 상기 제3 연결부(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탄성부(230)의 내부에 상기 제3 체결일면부(27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부(230)는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상기 제2텐션 인가부(220)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200)가 상기 시트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서술한다.
도 11에 도시된 방향은 이하, 도면에서 동일한 범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텐션 인가부의 직선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프레임(240, 도 11참조)을 기준으로 한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시트(R)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연결부(211) 및 상기 제2 연결부(212)는 각각 상기 제1 체결부(250) 및 상기 제2 체결부(26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2 영역(R2)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도 1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2(b)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의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2 영역(R2)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11)는 상기 제1 체결부(25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w2)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2 연결부(212)는 상기 제2 체결부(26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1 연결부(211)가 슬라이딩된 거리과 동일하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2 영역(R2)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시트(R)에 적절한 텐션이 작용되지 못해, 인쇄 작업이 적절하게 이루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은 인쇄 장치의 형식에서처럼 상기 리본(R)에 적절한 장력을 부과하여, 상기 리본(R)이 겹쳐지거나, 상기 리본(R)이 용지(P)와 미리 설정된 거리로 배치되지 못하거나, 상기 리본(R)이 프린터헤드(미도시)와 미리 설정된 거리로 배치되지 못하여, 상기 용지(P)에 인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시트(R)에 직접적으로 인쇄가 이루어 지는 인쇄 장치에서 상기 시트(R)에 적절한 텐션을 부과하여 인쇄 과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체결부(250)와 상기 제2 체결부(26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가 상기 제2 방향(w2)으로 슬라이딩된다고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설계를 변경하여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제2 방향(w2)과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12와 다르게, 상기 제1 체결부(250) 및 상기 제2 체결부(260)에 탄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시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제1 텐션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1 텐션 인가부의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프레임(240, 도 11참조)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2 영역(R2)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체결부(250)는 상기 제2 영역(R2)에 상기 제1 영역(R1)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접촉부(213)의 회전의 중심이 되고, 상기 제2 체결부(260)는 상기 제1 영역(R1)에 상기 제2 영역(R2)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접촉부(213)의 회전의 중심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도 1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영역(R1)보다 상기 제2 영역(R2)에 더 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고, 도 13(a)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도 13(c)로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2 영역(R2)보다 상기 제1 영역(R1)에 더 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제1 체결부(2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L1)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212)는 상기 제2 체결부(26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제1 영역(R1)보다 상기 제2 영역(R2)에 더 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제2 체결부(26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L1)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11)는 상기 제1 체결부(25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는 상기 제2 영역(R2)보다 상기 제1 영역(R1)에 더 큰 제1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작용되는 텐션의 크기가 달라 인쇄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적절하게 장력을 조절함으로서 인쇄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텐션 인가부(210)의 위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체결부(250) 및/또는 상기 제2 체결부(26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텐션 인가부의 제3 체결부를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프레임(240, 도11 참조)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경우, 상기 시트(R)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R1, 도 13 참조)과 상기 제2 영역(R2, 도 13 참조)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제2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2 접촉부(223, 도 11 참조)가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체결부(27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240)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4 체결부(28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24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 도 11 참조)는 도 14(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4(b)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R)의 상기 제2 영역(R2)에 상기 제1 영역(R1) 보다 더 큰 제2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인(L2)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222)는 상기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제1 영역(R1)보다 상기 제2 영역(R2)에 더 큰 제2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영역(R2)의 시트(R)에 텐션이 상기 제1 영역(R1)의 시트(R)에 적게 작용되거나, 상기 제2 영역(R2)의 시트(R)의 경로가 상기 제1 영역(R1)의 시트(R)의 경로보다 긴 경우 인쇄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R1)과 상기 제2 영역간(R2)의 텐션을 조절함으로서, 위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4 체결부(280)만을 조작한 후에,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탄성부(230)가 상기 제3 연결부(221)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3 체결부(270)를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제공되는 제2 텐션 인가부의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탄성부(230)는 상기 제4 체결부(280, 도 11참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촉부(223, 도 11참조)가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탄성부(230)는 상기 제3 체결부(270)와 상기 제3 연결부(2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연결부(221)를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탄성부(230)는 수축 팽창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접촉부(223)에 상측 방향으로 힘이 가하게 되면, 수축되면서, 상기 제2 접촉부(223)가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223)에 하측 방향으로 힘이 가하게 되면, 상기 제3 탄성부(230)는 팽창되면서, 상기 제2 접촉부(223)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은 제4 방향(w4, 도 11참조)일 수 있고, 하측 방향은 제2 방향(w2, 도 11 참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w4) 또는 제2 방향(w2)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고,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4 방향(w4)은 상기 제2 방향(w2)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3 연결부(221)가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w4)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라인(L2)의 하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이 상기 제2 라인(L2)의 상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도 15(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5(b)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인(L2)의 상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이 상기 제2 라인(L2)의 하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도 15(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연결부(221)가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w2)으로 회전되거나, 도 15(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5(a)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텐션 인가부(1220)의 제4 연결부(1222)는 상기 프레임(240)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w2, 도 11 참조)으로 상기 프레임(240, 도 11 참조)과 상기 제4 체결부(2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상기 제2 접촉부(223, 도 11 참조), 상기 제3 연결부(221, 도 11 참조) 및 상기 제4 연결부(1222)는 가상의 제1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결부(221)와 상기 제4 연결부(1222)는 상기 프레임(240)의 동일한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연결부(1222)에 형성되어 있는 제4 관통부(1222a)는 라운드지게 상기 제4 연결부(1222)에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제4 관통부(1222a)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4 연결부(1222)는 상기 제3 체결부(270, 도 11참조)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연결부(1222)는 상기 제4 체결부(28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텐션 인가부(2220)의 제4 연결부(2222)는 상기 프레임(240, 도 11 참조)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w2, 도 11 참조)으로 상기 프레임(240)과 상기 제4 체결부(22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자면, 상기 제2 접촉부(223, 도 11 참조), 상기 제3 연결부(221, 도 11 참조) 및 상기 제4 연결부(2222)는 가상의 제1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결부(221)와 상기 제4 연결부(2222)는 상기 프레임(240)의 동일한 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200)는 제4 탄성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탄성부(290)는 상기 제4 연결부(2222)가 상기 프레임(240)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제4 체결부(228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연결부(2222)는 제4 체결부(2280)를 수동 조작, 즉 수동으로 상기 프레임(240)으로부터 나사 결합을 해제하지 않아도,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4 탄성부가 상기 제4 연결부(2222)와 상기 제4 체결부(228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부(221)는 상기 제4 체결부(228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부(2222)는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3 연결부(221)가 상기 제4 체결부(228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제2 영역(R2, 도 12 내지 도15 참조)보다 상기 제1 영역(R1, 도 12 내지 도 15 참조)에 더 큰 제2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연결부(2222)가 상기 제3 체결부(27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0)는 상기 제1 영역(R1)보다 상기 제2 영역(R2)에 더 큰 제2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인(L2)의 하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이 상기 제2 라인(L2)의 상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20)는 제4 방향(w4, 도 11참조)으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인(L2)의 상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이 상기 제2 라인(L2)의 하측 방향의 상기 시트에 작용되는 텐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20)는 제2 방향(w2, 도 11 참조)으로 직선 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20)가 제2 방향(w2) 및/또는 제4 방향(w4)으로만 위치 이동된다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2220)는 상기 제2 방향(w2) 및/또는 상기 제4 방향(w4)과 다른 방향으로 직선 위치 이동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인쇄 장치 100: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200 :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R1 : 제1 영역
R2 : 제2 영역

Claims (8)

  1. 시트에 텐션을 인가하여 상기 시트를 이용한 인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1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의 접촉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에 제2 텐션을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2 텐션 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텐션 인가부 및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시트에 제공되는 텐션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한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시트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션 인가부는,
    상기 시트의 제1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제1 텐션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접촉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큰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접촉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되는 경우, 상기 시트의 폭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크기의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텐션 인가부는,
    상기 시트의 제2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체결부 및 제4 체결부 각각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3 체결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4 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가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제3 체결부에 장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4 체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및
    상기 롤시트로부터 권출된 시트를 이용하여 인쇄가 구현되도록 하는 인쇄 기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20170063511A 2017-05-23 2017-05-23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KR10199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11A KR101995731B1 (ko) 2017-05-23 2017-05-23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US15/643,448 US10166796B2 (en) 2017-05-23 2017-07-06 Tensioning device for printer, unwinding device for printer, and printer
US16/219,169 US10675895B2 (en) 2017-05-23 2018-12-13 Tension application device for printer and print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11A KR101995731B1 (ko) 2017-05-23 2017-05-23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71A Division KR102070292B1 (ko) 2019-06-25 2019-06-25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543A true KR20180128543A (ko) 2018-12-04
KR101995731B1 KR101995731B1 (ko) 2019-07-04

Family

ID=6466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11A KR101995731B1 (ko) 2017-05-23 2017-05-23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7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926A (ja) * 1995-02-22 1996-09-03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記録装置
JP2004299213A (ja) * 2003-03-31 2004-10-28 Citizen Watch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KR100646623B1 (ko) * 2006-04-03 2006-11-23 김상민 양면실사 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926A (ja) * 1995-02-22 1996-09-03 Dainippo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記録装置
JP2004299213A (ja) * 2003-03-31 2004-10-28 Citizen Watch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KR100646623B1 (ko) * 2006-04-03 2006-11-23 김상민 양면실사 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731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9797B2 (ja) 記録紙ロール支持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3611781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8139095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conveyance method
JP6996103B2 (ja) 記録装置
KR101995731B1 (ko)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KR101938478B1 (ko)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KR20190077287A (ko) 인쇄 장치용 텐션 인가 기구, 인쇄 장치용 권출 기구 및 인쇄 장치
JP4633140B2 (ja) プリンタ
JP3694331B2 (ja) 熱転写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装置
US7281678B2 (en) Decurl unit and printing device
JP2008137224A (ja) プリンタ
US10166796B2 (en) Tensioning device for printer, unwinding device for printer, and printer
US5651488A (en) Pressure-roller arrangement for a stacking device of a printer or copier
JP2002128286A (ja) 給紙装置及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4538809B2 (ja) 巻取軸及び巻取軸のホルダに用いる係止部材
JPH0839908A (ja) 印字用カセット
JP2009269722A (ja) ロール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4025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impelling roller to be pressed against a platen roller
JP7494527B2 (ja) 印刷媒体供給装置
JP2006082297A (ja) 熱転写プリンターのリボンカセット装置
JP2002096515A (ja) ロール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刷装置
JP4603205B2 (ja) 給紙機構
JP2008290874A (ja) シート保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21160125A (ja) 印刷媒体供給装置
JP2001130075A (ja) インクリボン保持用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