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556A -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556A
KR20180127556A KR1020187033898A KR20187033898A KR20180127556A KR 20180127556 A KR20180127556 A KR 20180127556A KR 1020187033898 A KR1020187033898 A KR 1020187033898A KR 20187033898 A KR20187033898 A KR 20187033898A KR 20180127556 A KR20180127556 A KR 2018012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unit
detection
determination
abs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하루 다케노우치
유스케 하시모토
히로시 마츠다
야스히로 모리
고이치로 구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H05B37/0227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제어 시스템(100)은 제 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1 사람 검지부(1)와, 제 1 검지 범위와 중복된 제 2 검지 범위를 갖고, 제 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사람 검지부(2)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32)와, 판단부(32)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31)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5)를 가지며, 판단부(32)는 부하(5)가 제 1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제 1 사람 검지부(1)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부하(5)가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 제 2 사람 검지부(2)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CONTROL SYSTEM AND SENSOR UNIT}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센서 카메라와 센서 장치를 가지고, 감시 영역이 어두운 경우에는 센서 장치에 의해 인체 검출을 행하고, 기온과 체온의 차이가 작은 환경의 경우로서, 감시 영역이 충분히 밝을 때에는 센서 카메라에 의해 인체 검출을 행하는 인체 검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4617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인체 검출 시스템은 센서의 감시 영역의 주위 환경에 근거하여, 센서 카메라와 센서 장치를 전환하는 것이며, 주위 환경을 검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검지 수단을 전환하기 위해 유저가 자신의 판단으로 수동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센서 유닛과 별체로 주위 환경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부하에 대해 적절한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는 일없이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1 사람 검지부와, 제 1 사람 검지부와 중복한 검지 범위를 갖고, 검지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사람 검지부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대상이 되는 부하를 가지며, 판단부는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은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는 일없이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1 사람 검지부와, 제 1 사람 검지부와 중복된 검지 범위를 가지고, 검지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사람 검지부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와,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부하에 대해 당해 부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고, 판단부는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은 제어 대상이 되는 부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최적의 판단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센서 유닛과 별체로 주위 환경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부하에 대해 적절한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센서 유닛의 검지 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제 2 판단 모드로 전환한 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제 1 판단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해석 화상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정지 영역의 검출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해석 화상의 검지 범위의 라벨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요소, 구성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스텝 및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보다 바람직한 형태를 구성하는 임의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이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에 대해 도 1-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은 제어 시스템(100)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은 센서 유닛(110) 및 부하(5)를 구비한다. 센서 유닛(110)은 사람 감지 센서(1), 화상 센서(2) 및 제어부(3)를 구비한다. 제어 시스템(100)은 제 1 사람 검지부로서, 예를 들면 야간과 같이,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는 일없이 제 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람 감지 센서(1)와, 제 2 사람 검지부로서, 제 1 검지 범위와 중복된 제 2 검지 범위를 갖고, 그 제 2 검지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서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화상 처리부(22)를 구비하는 화상 센서(2)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32) 및 판단부(32)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31)를 구비하는 제어부(3)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대상이 되는 부하(5)를 가진다.
부하(5)는 적어도 「작동」, 「정지」의 2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이며, 예를 들면 조명 장치, 에어컨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부하(5)를 조명 장치(5)로 하여 설명하지만, 조명 장치의 종류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조명 장치(5)는 적어도 「점등」, 「소등」의 2개의 동작 모드를 가진다. 또, 「작동」, 「정지」의 2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하가 조명 장치(5)인 경우에는 「조광」, 「조색」 등과 같이 3개 이상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판단부(32)는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가 모두 사람의 존재 있음이라고 검출한 경우, 제 1 및 제 2 검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와,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제 2 검지 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를 가진다. 또한, 판단부(32)는 조명 장치(5)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판단 모드와 제 2 판단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판단부(32)는 조명 장치(5)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조명 장치(5)가 점등되어 있을 때에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송신부(31)는 판단부(32)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조명 장치(5)에 대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가 소등되어 있을 때, 판단부(32)가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조명 장치(5)에 대해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가 점등되어 있을 때에, 판단부(32)가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조명 장치(5)에 대해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센서 유닛(110)은, 예를 들면 4개의 사람 감지 센서(1)와 하나의 화상 센서(2)를 구비하지만, 각종 센서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센서 유닛(110)의 검지 범위(1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람 검지부의 각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범위는 각각 검지 범위(1a, 1b, 1c, 1d)이다. 제 1 검지 범위는 검지 범위(1a, 1b, 1c, 1d)로 이루어진다. 제 2 사람 검지부(즉 화상 센서(2))의 제 2 검지 범위는 검지 범위(2a)이다.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는 사람 감지 센서(1)의 각 사람 감지 센서의 검지 범위(1a, 1b, 1c, 1d)와 중복되어 있다. 이하, 사람 감지 센서(1)의 검지 범위(1a, 1b, 1c, 1d)와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가 중복되는 부분(도 2의 사선이 긋어져 있는 영역)을 센서 유닛(110)의 검지 범위(10)로 한다.
도 3은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조명 장치(5)가 소등되어 있을 때, 제어 시스템(100)의 판단부(32)는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311).
스텝 S312에서는,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가 모두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렇지 않으면, 즉, 사람 감지 센서(1) 또는 화상 센서(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사람의 존재가 없다고 검출한 경우,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사람 감지 센서(1)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화상 센서(2)도 사람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에,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먼저 화상 센서(2)가 사람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사람 감지 센서(1)도 사람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에,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 중 하나가 먼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다고 가정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가 동시에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스텝 S312에서, 판단부(32)가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텝 S3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2에서, 판단부(32)가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텝 S311로 되돌아가고, 계속해서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 S313에서,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에 대해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판단부(32)는 판단 모드를 제 1 판단 모드로부터 제 2 판단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S314), 스텝 S315로 진행한다.
스텝 S315에서, 제어 시스템(100)의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5의 아니오),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 S316으로 진행한다.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계속해서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315의 예).
스텝 S316에서,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에 대해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판단부(32)는 판단 모드를 제 2 판단 모드로부터 제 1 판단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S317),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은 스텝 S311로 되돌아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센서 유닛(110)은 사람 감지 센서(1)와, 화상 센서(2)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32) 및 판단부(32)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조명 장치(5)에 대해 조명 장치(5)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31)를 구비하는 제어부(3)를 가진다. 판단부(32)는 조명 장치(5)가 「소등」의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사람 감지 센서(1)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조명 장치(5)가 「점등」의 동작 모드일 때에,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한다.
제어 시스템(100) 및 센서 유닛(110)은 조명 장치(5)의 「점등」, 「소등」의 동작 모드에 따라 최적의 판단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 시스템(100) 및 센서 유닛(110)은 센서 유닛(110)과 별체로 주위 환경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조명 장치(5)에 대해 적절한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사람 검지부를 사람 감지 센서로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등이 같은,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센서이면 좋다. 또한, 센서 유닛(110)은, 4개의 사람 감지 센서를 구비한다고 하고 있지만, 센서의 수와 종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개의 사람 감지 센서와 1개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송신부(31)와, 판단부(32)가 제어부(3)에 설치되도록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판단 모드는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가 모두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에만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람 감지 센서(1)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면,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해도 좋다.
또한, 제어 시스템(100) 및 센서 유닛(110)은 스텝 S313과 스텝 S314를 동시에 행해도 좋다. 즉, 판단부(32)는 판단 모드를 제 2 판단 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에 대해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제어 시스템(100)에서, 화상 처리부(22)가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판단부(32)가 화상 처리부(22)의 검지 결과를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22)의 기능을 판단부(32)에 통합하여도 좋다.
또한, 센서 유닛(110)의 검지 범위(10)는 사람 감지 센서(1)의 검지 범위(1a, 1b, 1c, 1d)와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가 중복하는 부분이지만, 설계 사항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서 유닛(110)의 검지 범위(10)는 사람 감지 센서(1)의 검지 범위(1a, 1b, 1c, 1d)와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의 합집합으로 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 시스템(200) 및 센서 유닛(210)에 대해 도 4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200) 및 센서 유닛(210)은 제어 시스템(100) 및 센서 유닛(110)에 대응하지만, 제어부(3)는 소정 기간 T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33)를 더 가지며, 송신부(31)는 판단부(32)가 소정 기간 T에 걸쳐 계속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조명 장치(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고 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4는 제어 시스템(200)의 블럭도이다. 동 도면의 제어 시스템(200)은 도 1과 비교하여, 기억부(33)가 추가된 점이 상이하다. 이하,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200)의 센서 유닛(210)의 제어부(3)는 미리 소정 기간 T(예를 들면, 10초간)를 기억하는 기억부(33)를 가진다.
도 5는 제어 시스템(200)의 제 2 판단 모드로 전환한 후(스텝 S514)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텝 S514까지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의 스텝 S311~S314와 동일하다.
스텝 S515에서, 판단부(32)는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에 화상 센서(2)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스텝 S515의 아니오), 스텝 S516으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 T를 카운트한다.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계속해서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515의 예).
스텝 S516에서,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가 소정 기간 T에 걸쳐 계속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은(비검지인 채로 시간 T가 경과한) 경우,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스텝 S516의 예), 스텝 517로 진행하고, 송신부(31)가 조명 장치(5)에 대해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가 소정 기간 T 동안에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계속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516의 아니오).
즉, 송신부(31)는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은 경우, 즉시 조명 장치(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 센서(2)가 소정 기간 중에 걸쳐 계속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검출하는 경우에 조명 장치(5)에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판단부(32)는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의 오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소정 기간 T는 미리 설정해도 좋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 때, 별도로 소정 기간 T의 입력 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소정 기간 T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고 설명했지만, 소정 기간 T의 카운트의 개시 시점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다. 예를 들면, 판단부(32)는 판단 모드를 전환했을 때에 소정 기간 T의 카운트를 개시해도 좋다.
또한, 기억부(33)는 제어부(3)에 마련되어,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억부(33)가 제어부(3)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3)
이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300) 및 센서 유닛(310)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300) 및 센서 유닛(310)은 도 4의 제어 시스템(200) 및 센서 유닛(210)과 기억부(33)를 구비하지만, 상기 기억부(33)는 밝기의 임계값 Q1(제 1 임계값)을 더 기억하고 있으며, 제 1 판단 모드에서,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를 제 1 임계값 Q1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판단 모드를 전환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3)의 기억부(33)는 밝기의 임계값 Q1을 더 기억하고 있다.
화상 센서(2)의 주위 환경이 어두울 때,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노이즈가 크다고 생각된다. 즉, 화상 센서(2)의 주위 환경이 어두울 때, 해석 화상에서 휘도 변화가 일정값 이상인 화소의 수가 많아져, 그 때문에 사람이 없는 부분을 사람으로서 오인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노이즈로 되는 화소의 수가 일정값, 예를 들면 전체 화소수의 5%인 경우에서의 해석 화상의 밝기를 밝기의 임계값 Q1로서 마련한다.
그렇게 하면, 촬상부(21)에서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1 임계값 Q1 미만이면, 즉 해석 화상에서 노이즈로 되는 화소의 수가 전체 화소수의 5%를 넘는 경우에, 판단부(32)는 사람 감지 센서(1)에 의한 사람 검지의 검지 결과에 의해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도 6은 제어 시스템(300)이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스텝 S611로부터, 제 2 판단 모드로 전환하는 스텝 S617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617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의 스텝 S314~S317, 또는 실시 형태 2의 스텝 S514~S518과 동일하다.
화상 처리부(22)는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스텝 S611),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를 검지한다(스텝 S612).
스텝 S613에서,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와 기억부(33)에 기억된 제 1 임계값 Q1을 비교한다(스텝 S613). 비교한 결과,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1 임계값 Q1 이상이면(스텝 S613의 예), 스텝 S61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스텝 S613의 아니오), 스텝 S615로 진행한다.
스텝 S61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스텝 S312와 동일한 순서이다. 즉, 판단부(32)는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가 모두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스텝 S614의 예), 스텝 S616으로 진행한다. 한편,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의 적어도 한쪽이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은 경우, 판단부(3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스텝 S614의 아니오), 스텝 S611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 S615에서는, 판단부(32)는 사람 감지 센서(1)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한 경우,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스텝 S615의 예), 스텝 S616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단부(32)는 사람 감지 센서(1)가 사람의 존재 있음으로 검출하지 않은 경우,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스텝 S615의 아니오), 스텝 S611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제 1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 S616에서, 송신부(31)는 조명 장치(5)에 대해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시스템(300)은 제 1 판단 모드에서,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와 제 1 임계값 Q1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판단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1 임계값 Q1 이상이면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의 양쪽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임계값 Q1 미만이면 사람 감지 센서(1)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제어 시스템(300)은 센서 유닛(310)과 별체로 주위의 밝기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주위가 어두울 때에 최적인 판단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사람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임계값 Q1의 설정 방법으로서, 미리 밝기의 임계값 Q1을 산출하여 기억부(33)에 기억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를 산출하고, 제 1 임계값 Q1을,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2배~3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해도 좋다.
제 1 임계값 Q1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2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된 경우,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서의 노이즈로 되는 화소의 수가 전체 화소수의 5%를 넘을 때,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전체 화소수가 400×400개인 경우, 노이즈로 되는 화소수가 8000개를 넘을 때,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채용하지 않는다.
제 1 임계값 Q1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3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된 경우, 판단부(3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서의 노이즈로 되는 화소의 수가 전체 화소수의 0.3%를 넘을 때,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전체 화소수가 400×400개인 경우, 노이즈로 되는 화소의 수가 480개를 넘을 때, 판단부(32)는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채용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4)
이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400) 및 센서 유닛(41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400) 및 센서 유닛(410)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300) 및 센서 유닛(310)과 기억부(33)를 구비하지만, 기억부(33)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 대해, 제 1 임계값 Q1보다 큰 제 2 임계값 Q2를 기억하고 있으며,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이상인 경우, 화상 센서(2)가 화소 단위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 실시 형태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실시 형태 1~3에 의해, 제어 시스템(100, 200, 300)이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 조명 장치(5)가 「점등」의 동작 모드이기 때문에,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가 조명 장치(5)의 「소등」의 동작 모드인 경우보다 밝다고 생각된다.
그렇게 하면. 이 상태에서 해석 화상의 노이즈가 적기 때문에, 화상 센서(2)는 보다 미세하게, 예를 들면 화소 단위로 사람 검지를 행할 수 있어, 검지 결과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시스템(400)의 제어부(3)의 기억부(33)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 대해 제 1 임계값 Q1보다 큰 제 2 임계값 Q2를 기억한다. 제 2 임계값 Q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4배~6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제 2 임계값 Q2는 제 1 임계값 Q1의 2배로 설정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즉, 밝기의 임계값 Q1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3배인 경우, 제 2 임계값 Q2는 그 6배이도록 설정한다. 이 때,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서 노이즈가 되는 화소의 수가 전체 화소수의 0.0000002%이다. 예를 들면,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전체 화소가 400×400개인 경우, 화상 센서(2)가 0.2초 간격으로 사람 검지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노이즈로 되는 화소는 10분 동안에 1화소 정도밖에 나오지 않을 확률이 된다. 그러므로, 화상 센서(2)가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에서 화소 단위로 사람을 검지해도,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일으키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 2 판단 모드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때, 촬상부(21)에서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미만인 경우, 조명 장치(5)가 점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시스템(400)은,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를 울리는 이상 경보부를 가진다. 송신부(31)는 제 2 판단 모드에서,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미만인 경우, 이상 경보부에 대해 이상 신호를 출력하고, 이상 경보부가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유저가 조명 장치(5)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제어 시스템(400)은 제 2 판단 모드에서, 촬상부(21)에서 촬상한 화상의 밝기와 기억부(33)에 기억된 제 2 임계값 Q2를 비교한다.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이상인 경우, 화상 처리부(22)는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화소 단위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미만인 경우, 조명 장치(5)가 점등되어 있지 않다고 추정하고, 송신부(31)는 이상 경보부에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제어 시스템(400)은 제 2 판단 모드에서,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이상인 경우에 화소 단위로 사람 검지를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정밀도 높게 사람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400)은 제 2 판단 모드에서,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Q2 미만인 경우에 조명 장치(5)가 점등되어 있지 않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 경우, 송신부(31)가 이상 경보부에 대해 이상 신호를 출력하고, 이상 경보부가 경보를 울려 유저에게 알림으로써, 유저는 조명 장치(5)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경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리를 출력하거나, 표시하거나, 유저에게 사전 등록한 메일 주소에 메일을 송신하여 알리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 2 임계값 Q2의 설정 방법으로서, 미리 제 1 임계값 Q1에 근거하여 설정해도 좋고, 실제로 화상 센서(2)에 의한 주위 환경을 측정함으로써 제 1 임계값 Q1을 결정하고 나서, 제 1 임계값 Q1에 근거하여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은 상이한 판단 모드에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 임의의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임계값 Q2는 제 1 임계값 Q1 이하의 값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5)
이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제어 시스템(500) 및 센서 유닛(510)에 대해 도 7~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500) 및 센서 유닛(510)은 실시 형태 1~4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 200, 300, 400) 및 센서 유닛(110, 210, 310, 410)에서, 화상 센서(2)가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때의 해석 화상의 처리의 일례이다. 또,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7은 제어 시스템(500)의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22)는 촬상부(2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취입하고(스텝 S711), 촬상부(21)가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배경, 즉 사람으로서 인식되지 않는 것 등을 없앤 차분 화상을 작성한다(스텝 S712).
스텝 S713에서, 화상 처리부(22)는 차분 화상을 라벨링에 의해 분할하고, 스텝 S714로 진행한다.
분할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2a)를, 사람 감지 센서(1)의 각 검지 범위(1a, 1b, 1c, 1d)에 따라, 검지 범위(2a1, 2a2, 2a3, 2a4)로 분할하고, 각 검지 범위(2a1, 2a2, 2a3, 2a4)가 검지 범위(1a, 1b, 1c, 1d)와 중복하도록 한다.
스텝 S714에서,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과 상정되는 이동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영역이 있다고 검지하는 경우,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스텝 S715). 이동 영역은, 예를 들면 t1 시점에서의 차분 화상과 t2 시점에서의 차분 화상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스텝 S714에서,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이동 영역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14의 아니오), 정지 영역의 검출로 이행한다(스텝 S716). 또, 정지 영역의 검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스텝 S717에서,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정지 영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17의 예),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스텝 715). 한편,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정지 영역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17의 아니오), 재차 검지 범위(10) 내에 이동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18).
스텝 S718에서,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이동 영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718의 예),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스텝 715). 한편, 화상 처리부(22)는 검지 범위(10) 내에 이동 영역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718의 아니오), 검지 범위(10)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스텝 718의 아니오).
도 8은 제어 시스템(500)의 정지 영역의 검출의 흐름도이다.
우선, 화상 처리부(22)는 이동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이동량의 임계값 M와 비교한다(스텝 S811).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이동량의 임계값 M 이상인 경우, 화상 처리부(22)는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크다고 판단하고(스텝 S811의 아니오), 정지 영역의 검출로 되돌아간다.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이동량의 임계값 M 미만인 경우, 화상 처리부(22)는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작다고 판단하고(스텝 S811의 예),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12).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0인 경우(스텝 S812의 예), 화상 처리부(22)가 오판단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지 영역의 검출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동 영역의 이동량이 0이 아닌 경우(스텝 S812의 아니오), 화상 처리부(22)는 정지 영역을 작성한다(스텝 S813).
화상 처리부(22)는 정지 영역을 작성한 후에, 정지 영역을 감시하고, 그 이동량을 스텝 S811과 동일하게 산출하고, 이동량의 임계값 M과 비교한다(스텝 S814).
정지 영역의 이동량이 이동량의 임계값 M 미만인 경우(스텝 S814의 예), 화상 처리부(22)는 계속해서 정지 영역을 감시한다. 한편, 정지 영역의 이동량이 이동량의 임계값 M 이상인 경우(스텝 S811의 아니오), 화상 처리부(22)는 사람의 이동이 크다고 판단하고, 정지 영역을 삭제하고(스텝 S815), 이동 영역을 작성한다(스텝 S816).
본 실시 형태에서,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가 사람 감지 센서(1)의 각 검지 범위(1a, 1b, 1c, 1d)에 따라 분할됨으로써, 화상 센서(2)가 검지 범위(2a)의 전체를 검지하지 않고, 사람이 존재하는 분할된 검지 범위만 검지할 수 있어, 화상 센서(2)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이동량의 크기에 따라, 이동 영역, 정지 영역을 작성함으로써, 사람 감지 센서(1) 및 화상 센서(2)는 사람의 이동량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정밀도를 설정하여, 보다 정밀도 높게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화상 센서(2)의 검지 범위가 사람 감지 센서(1)의 각 검지 범위(1a, 1b, 1c, 1d)에 따라 분할되는 것과, 사람의 이동량의 크기에 따라 이동 영역, 정지 영역을 작성하는 것을 모두 설명했지만, 어느 한쪽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의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것을 위해,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요소 중에는, 과제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을 예시하기 위해,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필수가 아닌 구성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들의 필수가 아닌 구성요소가 첨부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가지고, 즉시 그들의 필수가 아닌 구성요소가 필수라는 인정을 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서의 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제어 시스템
110, 210, 310, 410, 510: 센서 유닛
1: 제 1 사람 검지부(사람 감지 센서)
2: 제 2 사람 검지부(화상 센서)
10, 1a, 1b, 1c, 1d, 2a: 검지 범위
21: 촬상부
31: 송신부
32: 판단부
5: 부하(조명 장치)

Claims (10)

  1.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제 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1 사람 검지부와,
    상기 제 1 검지 범위와 중복된 제 2 검지 범위를 갖고, 상기 제 2 검지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사람 검지부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상기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
    를 가지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부하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판단 모드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를 검출하고,
    상기 밝기가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 및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 중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만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밝기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 및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제 1 판단 모드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를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할지 여부를,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에 응답하여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제 1 판단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부하에 대해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제 2 판단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부하에 대해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모드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가 소정 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사람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제 2 판단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부하에 대해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값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2배~3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모드에서,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는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그 화상의 화소 단위의 휘도 변화로 사람 검지의 판단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가 상기 제 2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촬상한 화상의 최대 이득의 노이즈의 크기의 실효값의 4배~6배에 대응하는 밝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는 복수의 센서를 갖고,
    상기 제 2 검지 범위는 상기 제 1 검지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검지 범위는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개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복수의 검지 범위는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조명 장치이고,
    상기 제 1 동작 모드는 상기 조명 장치가 소등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상기 조명 장치가 점등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10. 어두워도 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제 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1 사람 검지부와,
    상기 제 1 검지 범위와 중복된 제 2 검지 범위를 갖고, 상기 제 2 검지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제 2 사람 검지부와,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 모드를 복수개 가지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부하에 대해 상기 부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가지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부하가 제 1 동작 모드일 때에, 적어도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부하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와 다른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 1 판단 모드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를 검출하고,
    상기 밝기가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 및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 중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만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밝기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사람 검지부 및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제 1 판단 모드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의 검지 결과를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할지 여부를, 상기 제 2 사람 검지부가 촬상한 화상의 밝기에 응답하여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KR1020187033898A 2014-08-18 2015-07-13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KR20180127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5710 2014-08-18
JPJP-P-2014-165710 2014-08-18
PCT/JP2015/003521 WO2016027406A1 (ja) 2014-08-18 2015-07-13 制御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ユニ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951A Division KR20170032385A (ko) 2014-08-18 2015-07-13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556A true KR20180127556A (ko) 2018-11-28

Family

ID=553503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98A KR20180127556A (ko) 2014-08-18 2015-07-13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KR1020177003951A KR20170032385A (ko) 2014-08-18 2015-07-13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951A KR20170032385A (ko) 2014-08-18 2015-07-13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9114B2 (ko)
JP (1) JP6337361B2 (ko)
KR (2) KR20180127556A (ko)
CN (1) CN106664779B (ko)
TW (1) TWI557693B (ko)
WO (1) WO2016027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4241B (zh) * 2016-07-19 2017-05-21 H P B Optoelectronic Co Ltd Security warning system and its method
JP6958160B2 (ja) * 2017-09-19 2021-11-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制御システム
CN111418269B (zh) * 2018-04-11 2022-06-0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式辅助装置及移动式辅助方法
CN114651292B (zh) 2019-11-22 2024-05-24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向多个存在传感器系统分配不同的任务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3292A (ja) 1994-11-28 1996-06-11 Atsumi Electron Corp Ltd 監視カメラ、センター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0155177A (ja) * 1998-11-20 2000-06-06 Nikon Corp 人体検知装置および人体検知方法
JP2002208493A (ja) *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
JP2002246189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3896415B2 (ja) * 2002-07-25 2007-03-22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防犯照明装置
JP2004259565A (ja) * 2003-02-25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調光端末器
JP4055790B2 (ja) * 2005-05-26 2008-03-05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ホンシステム
JP4966177B2 (ja) 2007-12-14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人体検出システム
JP5212946B2 (ja) 2009-03-25 2013-06-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JP5382437B2 (ja) * 2009-08-19 2014-01-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動体検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2155971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センサ装置、センサ装置を用いた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13096947A (ja) 2011-11-04 2013-05-20 Panasonic Corp 人センサ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CN102711325A (zh) * 2012-05-23 2012-10-03 金陵科技学院 一种智能灯控系统
CN202587540U (zh) * 2012-05-23 2012-12-05 金陵科技学院 一种智能灯控系统
WO2013187047A1 (ja) * 2012-06-13 2013-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JP2014017114A (ja) * 2012-07-09 2014-01-30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CN103427902A (zh) * 2013-04-09 2013-12-04 北京半导体照明科技促进中心 利用可见光传输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以及光源
CN203407034U (zh) * 2013-04-18 2014-01-22 涂小兵 一种实现多种照明功能的人体感应led灯的控制电路
JP6213869B2 (ja) * 2013-11-01 2017-10-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JP6273808B2 (ja) * 2013-12-04 2018-02-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7361B2 (ja) 2018-06-06
CN106664779A (zh) 2017-05-10
KR20170032385A (ko) 2017-03-22
WO2016027406A1 (ja) 2016-02-25
TWI557693B (zh) 2016-11-11
CN106664779B (zh) 2019-09-17
TW201608529A (zh) 2016-03-01
US20170265276A1 (en) 2017-09-14
US9999114B2 (en) 2018-06-12
JPWO2016027406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676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20180127556A (ko)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유닛
US11614322B2 (en) Camera having two exposure modes and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JP6699000B2 (ja) 照明装置
US9414464B2 (en) Lighting system
US20140211985A1 (en) Image-Based Occupancy Sensor
EP1643758A3 (en) Image-capturing device, image-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capturing device, and associated storage medium
KR101453806B1 (ko)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JP4736955B2 (ja) センサカメラ
JP6189284B2 (ja) 画像センシング装置
GB2602604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bile dimensioning
EP333123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capture device, driver monitoring system, mobile bod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64795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83748B2 (ja) 動体検知装置
KR101792839B1 (ko) 선박의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경보 방법
NO20041935L (no) Varslingsanlegg med bildegivende sensor
KR20170004436A (ko) 조명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622107B1 (ko) 범죄 예방 기능을 갖는 보안등 및 이를 갖는 보안등 시스템
JP2000298777A (ja) 侵入検知装置及び方法
KR100566892B1 (ko) 영상신호의 밝기 측정을 이용한 감시 카메라의주간/야간모드 동작장치 및 동작방법
JP2001148845A (ja) 侵入物監視装置
JP2009302598A (ja) 報知制御装置
US1061349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n ambient condition and generating an alert responsive to the value
KR20170075510A (ko)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750626B1 (ko)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