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432A -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432A
KR20180122432A KR1020187029757A KR20187029757A KR20180122432A KR 20180122432 A KR20180122432 A KR 20180122432A KR 1020187029757 A KR1020187029757 A KR 1020187029757A KR 20187029757 A KR20187029757 A KR 20187029757A KR 20180122432 A KR20180122432 A KR 20180122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optical waveguide
push butt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750B1 (ko
Inventor
파비앙 함스
아른트 준센
루리안 로타리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12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5Illuminated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에서 변위 가능한 누름버튼(3), 상기 하우징(2)의 모서리부(21) 및 상기 누름버튼(3)의 경계에 제공되어 벨트버클(1)에 잠금될 수 있는 벨트 래치(Belt Latch)가 삽입되는 삽입슬롯(4), 적어도 하나의 광원(10), 및 적어도 하나의 광방출면(Light Emission Surface)(12, 13, 38, 39)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방출면(12, 13, 38, 39)은 적어도 하나의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11)를 통해 연결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에 있어서, 편향요소(14, 15, 16)가 광도파로(11)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7) 및/또는 상기 광방출면(12, 13, 38, 39)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8, 9) 상에 배열 또는 형성되며, 상기 편향요소는 상기 경계면(7, 8, 9)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지오메트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벨트버클은 일반적으로 벨트 스트랩(Belt Strap)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거나 벨트 스트랩의 일단부에 고정 연결되는 벨트 래치(Belt Latch)를 견고하게 잠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를 위해, 벨트버클은 상기 벨트 래치를 위한 삽입슬롯과 누름버튼을 통해 잠금해제될 수 있는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다.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스프링-장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될 때 상기 벨트 래치를 자동으로 잠금시킨다. 상기 벨트 래치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탑승자는 상기 누름버튼을 내리누름으로써 상기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해제하고, 상기 잠금 메커니즘의 스프링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벨트 래치가 배출된다.
이러한 벨트버클은 종래 기술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벨트버클의 한가지 문제점은, 벨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체결하기 위해 벨트 래치를 삽입할 상대적으로 좁은 벨트 버클의 삽입슬롯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DE 39 04 125 A1은 도광재(Light-guiding Material)를 통해 상기 벨트버클의 소정의 광방출면들(Light Emission Surface)에 결합되는 광원을 벨트버클에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광방출면들은 누름버튼 자체 및 상기 누름버튼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슬롯의 측면에 배치된 방출면이다. 상기 누름버튼은 기능하기 위하여 변위 가능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버튼에 고정 배치된 상기 도광재는, 상기 누름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광재의 광입사면(Light Entry Surface)이 외부 광원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누름버튼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광재의 상기 광입사면이 제조 관련 형상 편차 또는 기계적 영향으로 인해 상기 외부 광원에 광학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빛이 상기 누름버튼으로 전달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전달되므로, 상기 누름버튼은 발광하지도 않거나 또는 원하는 것보다 덜 강하게 발광한다.
또한, DE 10 2007 047 704 A1은 삽입슬롯의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2 개의 광방출면을 포함하는 광도파로를 벨트버클에 제공하는 것을 개시한다. 광방출면들 자체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의 모서리 및 누름버튼의 원추형 측면 사이의 하우징의 단부면 상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자유 표면에 배열된다. 특히, 최대 광도를 얻기 위해, 상기 광방출면들은 가능한 한 넓은 영역에 걸쳐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 코너들의 자유 표면들을 채우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방출면이 특히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발광벨트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발광벨트버클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도면 및 첨부된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편향요소가 광도파로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 및/또는 광방출면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편향요소는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지오메트리를 갖는 것이 제안된다.
제안된 해결 수단의 장점은 벨트버클, 특히 누름버튼 및 삽입슬롯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하는 데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의 제한된 조명 상태 또는 어둠 속에서도 안전벨트를 부착하거나 누르기 위하여 벨트 래치를 어려움 없이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필요하다면, 상기 누름버튼에 대한 광방출면들의 위치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반복적인 노력 및 관련 효과를 통해- 광방출면의 형상 및 위치만으로 상기 누름버튼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누름버튼에 대해 고정된 배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벨트가 부착될 때 상기 삽입슬롯을 찾는 것이 용이하다. 광도파로를 통해 안내된 광은 편향되고 이에 따라 산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편향요소는 광방출면이 특히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예컨대 탑승자의 의복에 의해 광방출면의 일부가 덮여 있어도 어려움 없이 상기 누름버튼 및 상기 삽입슬롯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버클의 균일한 발광은 상기 벨트버클을 질적으로 더 높은 품질의 방식으로 작동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요소는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돌출되거나,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함몰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상기 광도파로의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변경된 반사 거동을 갖는 편향요소를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밝기(Brightness)는 흐릿하게 점등되는 영역에서 증가되거나, 특히 밝게 점등되는 영역에서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안 또는 추가 사항으로서, 상기 편향요소가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각도로 배열 또는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편향요소는 경계면을 구성하는 상기 광도파로의 벽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계면과 일체로-특히,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계면은 광도파로에서 실질적으로 발견되는 원통형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광의 세기(Light Intensity)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광방출면 중 편향요소가 없이는 특히 불량하게 점등되는 부분 영역들이 더 양호하게 발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편향요소가 상기 경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한다. 상기 경계면 상에 복수의 편향요소를 가지면 복수의 광선(Light Beams)을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양호한 발광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편향요소가 클러스터로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한" 편향요소는 이러한 맥락에서 동일한 기본형을 갖지만 예컨대 크기 및/또는 배향이 상이한 편향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특정 일영역을 발광할 수 있게 하여, 이 영역이 추가적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상기 편향요소의 복수의 클러스터가 상기 경계면 상에 존재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복수의 클러스터를 가지면 광선의 다중 편향이 가능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클러스터가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은, 상기 광도파로를 통해 안내되는 복수의 광선이 제1 클러스터에서 편향되고 제2 클러스터에서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예컨대 특정 산란 지오메트리를 가져서 상기 벨트버클을 특히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2 클러스터의 편향요소들 상에 광선을 특정하게 집중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요소는 쐐기형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쐐기형 또는 계단형 가지면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약간의 각도로 경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경계면의 나머지 부분에서 반사각을 변경하여 입사광을 편향시키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쐐기형 또는 계단형의 편향요소들은 제조면에서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경계면 상에 형성되기 용이하고, 따라서 약간의 추가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요소는 부분 원형 양각부(Partially Circular Elevations)로 형성된다.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면 광이 특히 양호하게 산란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부분 원형 양각부가 특히 상기 광방출면 상의 편향요소로서 제공되는 이유이다.
상기 벨트버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방출면은 선형 윤곽을 가지며, 상기 선형 윤곽은 상기 삽입슬롯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누름버튼의 모서리측의 형태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벨트버클은 버클잠금 정상위치(Buckled Normal Position) 및 비-부하(Non-loaded) 또는 비-버클잠금 위치(Non-buckled Position)에서 상기 벨트버클이 항상 상기 광방출면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는 기본 배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기가 더 용이하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슬롯이 상기 누름버튼에 대해 고정된 배향으로 항상 배열되기 때문에, 이는 버클잠금 과정에서 상기 삽입슬롯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벨트버클에는 상기 누름버튼의 상이한 대향 모서리측에 배치된 2 개의 광방출면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2 개의 광방출면이 양측 외곽에 제공되므로, 상기 광방출면들 사이의 상기 누름버튼의 위치가 모호하지 않게 정의되고, 따라서 상기 광방출면이 점등될 때 특히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누름버튼 자체를 보이게 할 필요는 없으나, 탑승자가 점등된 광방출면들 사이에 위치한 표면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벨트 래치를 잠금해제하고 버클잠금해제 과정을 시작하게 한다.
일부 사용 사례에서, 상기 광도파로는 상기 광원 및 2 개의 개별 광방출면과 관련된 광입사면(Light Entry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는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2 개의 개별 브랜치(Branches)로 분기하고, 각각의 상기 광방출면은 상기 브랜치 중 하나와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광원을 광출사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해결수단은 상기 광도파로에 결합된 광을 2 개의 광출사면으로 분할하고, 이를 통해 2 개의 광 도파로 바디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광도파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류(Luminous Flux)의 분기를 형성한다. 이는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광방출면 모두를 발광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광도파로는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2 개의 개별 브랜치로 분기하고, 각각의 상기 광출사면은 상기 브랜치 중 하나와 관련된다.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브랜치들은 분기 후에 서로 분리된 2 개의 광류를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광입사면에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때,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브랜치들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광학도파로의 플렉시블한 구성으로 인해, 활용 가능한 공간 조건에 따라 상기 벨트버클에 임의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안으로서, 상기 광방출면이 상기 누름버튼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밴드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탑승자가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밴드에 의해 한정된 표면 내의 지점을 누르기만하면 상기 누름버튼을 특히 양호하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버클잠금해제 과정 중에 상기 누름버튼을 사용하는 것을 특히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발광벨트버클의 상기 하우징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도파로는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먼 측면에 기하학적 간섭부(Geometric Interference)를 갖는다. 상기 광방출면이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기하학적 간섭부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광도파로에 제공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간섭부는, 그 배향으로 인해 빛을 광방출면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2-브랜치 광도파로(Two-branched Optical Waveguide) 및 2 개의 광방출면을 갖는 발광벨트버클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벨트버클의 광도파로를 도시한다.
도 3은 광원으로부터 먼 측의 광도파로의 단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광원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들에 2 개의 발광소자가 결합된 광도파로를 도시한다.
도 5는 발광소자의 상세도이다.
도 6은 광원으로부터 먼 측의 광도파로의 단부를 통하는 광 경로(Optical Path)를 도시한다.
도 7은 발광벨트버클을 위한 하우징의 대안을 도시한다.
도 8은 주변 광방출면을 갖는 광도파로의 대안을 도시한다.
도 9는 주변 광방출면을 갖는 광도파로의 또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도 10은 주변 광방출면을 갖는 광도파로의 또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도 1은 차량용 안전벨트장치의 발광벨트버클(1)의 하우징(2)의 절반을 도시한다.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되는 누름버튼(3)은 상기 하우징(2)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며 상기 하우징(2)의 단부면(5)에서 개구(28)를 통해 접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되는 잠금 메커니즘(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누름버튼(3)을 가압함으로써 또는 상기 누름버튼(3)을 상기 하우징(2) 내로 누름으로써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의 도시된 절반이 상기 잠금 메커니즘이 설치된 후 제2 절반(미도시)에 의해 보완되어,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하우징(2)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덮이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3) 및 상기 하우징(2)의 상기 개구(28)는, 상기 안전벨트장치의 벨트 래치(Belt Latch)가 상기 벨트버클의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는 삽입슬롯(4)이 상기 누름버튼(3) 및 상기 하우징(2)의 모서리부(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슬롯(4)은 일측이 상기 누름버튼(3)에 의해 한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2)의 상기 모서리부(21)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삽입슬롯(4)의 길이(L)는 상기 삽입슬롯(4)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누름버튼(3)의 폭(B) 보다 짧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여기서 상기 삽입슬롯(4)은 상기 누름버튼(3)에 대해 대략적으로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버튼(3)이 상기 삽입슬롯(4)을 양측 길이방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3)의 측면의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되는 2 개의 슬롯들(26, 27)은 상기 누름버튼(3)의 인접 모서리측들(24, 25)의 프로파일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2)의 상기 개구(28)의 형상은 상기 누름버튼(3)의 단면 형상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대응하므로, 상기 슬롯들(26, 27) 또한 상기 개구(28)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2)의 모서리들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8)로부터 먼 측의 상기 하우징(2)의 절반 측에 제공되는 리세스(29)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LED 형태의 광원(10)이 체결된 지지판(6)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 이외에, 상기 광원(10)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벨트버클 스위치의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 및 처리 모듈을 상기 지지판(6) 상에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특히 색상 변경용 모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벨트 래치가 상기 삽입슬롯(4)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색상 변경용 모듈에 의해 상기 발광벨트버클(1)이 적색으로 점등되고, 일단 상기 벨트 래치가 삽입되면 내부 조명 또는 자동차의 계기판 조명과 일치하도록 적색 이외의 백색, 녹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점등된다.
또한,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11) 및 2 개의 발광소자(30, 31)가 상기 하우징(2)에 제공된다. 상기 발광소자(30, 31)는 광 전도성을 갖는 형태가 안정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로 형성되며, 각각 고정부(32, 33) 및 결합부(34, 35)를 갖는다. 상기 고정부(32, 33)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26, 27)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32, 33)를 갖는 상기 발광소자(30, 31)가 각각 상기 하우징(2)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슬롯들(26, 27)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발광소자(30, 31)가 상기 하우징(2)의 플라스틱으로부터 2-성분 사출성형 공정(Two-component Injection Molding Process)에 의해 사출성형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30, 31)는, 상기 고정부(32, 33)로부터 상기 결합부(34, 35)로 진행하는 부분에, 상기 고정부(32, 33)를 갖는 상기 발광소자(30, 31)가 상기 슬롯들(26, 27)로 삽입되는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단차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단차에 의해 한정된 상기 고정부(32, 33)의 상기 삽입 깊이는, 인접한 표면, 특히 상기 하우징(2)의 상기 단부면(5)에 체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부(32, 33)의 단부면이 외측으로 균일한 무단차(Stepless) 표면을 형성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30, 31)의 상기 결합부(34, 35)의 외측 형상은, 상기 발광소자(30, 31)가 상기 체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2)의 내벽에 대해 측방향으로 맞닿음으로써 추가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2, 33)의 단면은 상기 슬롯들(26, 27)을 완전히 틈새 없이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광소자(30, 31)는 상기 결합부(34, 35)의 단부면에 광입사면(Light Entry Surface)(36, 37)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32, 33)의 단부면에 광방출면(12, 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원(10)에 대향하는 광입사면(22)을 포함하여, 상기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광도파로(11)로 진입한다. 상기 광입사면(22)으로부터, 상기 광원(10)에 의해 방출된 상기 광은 먼저 상기 광도파로(11)의 초입부에서 상기 광도파로(11)가 2 개의 브랜치들(18, 19)로 분기하는 분기점으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브랜치들(18, 19)에서, 상기 광은 상기 브랜치들(18, 19)의 단부면에서 각각 광방출면(38, 39)으로 더 진행한다. 상기 브랜치(18, 19)는 활용 가능한 설치 공간 조건에 따라 만곡된 프로파일로 상기 하우징(2)의 캐비티(2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본질적으로 플렉시블하다. 이 때, 상기 브랜치(18, 19)는 상기 브랜치(18, 19)의 단부면에서의 상기 광방출면(38, 39)이 상기 결합부(34, 35)의 상기 광입사면(36, 37)에 대향하도록 길이가 정해지고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광원(10)에 의해 방출된 상기 광은 먼저 상기 광입사면(22)을 통해 상기 광도파로(11)로 진행한 다음, 상기 브랜치(18, 19)를 통해 상기 광방출면(38, 39)으로 더 진행한다. 상기 광방출면(38, 39)으로부터, 상기 광은 상기 광입사면(36, 37)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30, 31)로 진행하고, 궁극적으로 상기 고정부(32, 33)의 상기 광방출면(12, 13)을 통해 방출된다. 상기 광입사면(22, 36, 37), 상기 광방출면(38, 39) 및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예컨대 화학적 연소 또는 기계적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적절한 표면 처리에 의해 거칠어진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광원(10), 광도파로(11) 및 2 개의 발광소자(30, 31)를 사용하는 제안된 해결수단은, 상기 광원(10)이 장착 및 접촉하기에 바람직한 위치에 상기 지지판(6)과 함께 배치될 수 있고, 광이 상기 광도파로(11) 및 상기 발광소자(30, 31)를 통해 소정의 위치로 안내되어 방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광원(10)의 배치 및 상기 광방출면(12, 13)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자체 발광하며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필름 또는 가스가 채워진 광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선형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누름버튼(3)의 인접 모서리측(24, 25)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광방출면들(12, 13)은 상기 삽입슬롯(4)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광방출면들(12, 13) 사이에 상기 삽입슬롯(4)을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광방출면(12, 13) 및 상기 삽입슬롯(4)은 실질적으로 상기 누름버튼(3)을 3면으로 덮는 선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광방출면(12, 1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슬롯(4)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가지므로, 탑승자는 상기 광방출면(12, 13)을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걸쳐 상기 벨트 래치의 단부면을 위치시킬 때마다 상기 벨트 래치를 상기 삽입슬롯(4)에 닿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 버클의 방향으로 상기 벨트 래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상기 누름버튼(3)을 통해 상기 하우징(2)의 상기 개구(28)에 위치된 단부면을 둘러싸므로, 탑승자는 상기 광방출면(12, 13) 사이의 표면을 누름으로써 어둠 속에서도 상기 누름버튼(3)을 매우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벨트버클(1)의 광도파로(11)를 도시한다. 상기 광도파로(11)는 지지판(6) 상에 배치된 광원(10)에 결합되는 광입사면(22)을 포함한다.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입사면(22)으로부터 가지뿔(Antler)처럼 2 개의 브랜치들(18, 19)로 분기하여, 2 개의 광방출면(38, 39)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도파로를 다시 분기하여 2 개 이상의 브랜치들, 특히 3 개 또는 4 개의 브랜치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브랜치들(18, 19)은 각각 다시 한 번 분기하여 4 개의 광방출면을 갖는 총 4 개의 브랜치를 형성한다.
광원(10)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광도파로(11)의 단부에는, 상기 광도파로(11)에서 안내되는 광선(Light Beam)을 특정하게 편향시킬 수 있는 편향요소(14)가 상기 광도파로(11)의 경계면(7)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편향요소(14)는 상기 편향요소(14)를 둘러싸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경계면(7)의 각도와 다른 각도로 배열된 표면요소(Surface Element)(40)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요소(40)는 클러스터(17, 17a, 17b)에 배열되며,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도파로(11)의 광선이 제2 클러스터(17b)의 편향요소(15) 상에 집속되도록 제1 클러스터(17a)의 편향요소(14)에서 편향된다. 이는 특정 광 분포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광방출면(12, 13, 38, 39)이 특히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광방출면(38, 39) 상의 상기 편향요소(15)는 부분 원형 양각부(Partially Circular Elevations)의 형태로 구성되며, 따라서 이들 편향요소(1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더 넓은 방출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그러한 광도파로(11)의 브랜치(18)의 확대도이다. 상기 브랜치(18)는 상기 광원(10)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 깔대기형 확장부(41)를 갖는다. 상기 깔때기 형상은 상기 광방출면(38)이 상기 광입사면(2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며, 그 결과, 광이 더 큰 방출면으로 분배된다. 이는 상기 누름버튼(3) 또는 상기 삽입슬롯(4)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더 큰 발광면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깔대기형 확장부(41)의 영역에서, 편향요소(14, 16)가 상기 광도파로의 상기 경계면(7)에 형성된다. 상기 편향요소(14, 16)는 클러스터(17, 17a, 17c)에 배열되고, 여기서 상기 편향요소(16)는 상기 제1 클러스터(17a) 내에서 쐐기형으로 배열된다. 다른 클러스터(17c)의 상기 편향요소(14)는 계단형으로 배열되고, 여기서 4 단 이상의 계단은 4 개의 연속적으로 배열된 표면요소(40)로 구성된다. 상기 광도파로(11)에 입사된 광선이 상기 편향요소(14, 16)에서 편향되어, 상기 광방출면(38), 특히 다른 클러스터(17b)의 상기 광방출면(38)에 배열된 편향요소(15) 상에 집속된다.
도 4는 상기 광원(10)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광도파로(11)의 단부 상에 각각 배치된 발광소자(30, 31)를 갖는 상기 광도파로(11)를 도시한다. 상기 발광소자(30, 31)는, 상기 발광소자(30, 31)를 보다 확실하게 상기 하우징(2)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슬롯들(26, 27)에 적합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광방출면(12, 13)을 가진다. 이 때, 벨트 래치가 상기 삽입슬롯(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12, 1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30, 31)의 상기 광방출면(12, 13)이 상기 하우징(2)의 상기 단부면(5)과 동일 평면상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함몰부들(44)이 상기 광방출면(12, 13)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발광소자(30, 31)의 단부면(42, 43)에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들은 상기 편향요소(15)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적합하여,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브랜치(18, 19) 및 상기 방출소자(30, 31) 사이에 견고한 잠금 연결(Positive-locking Connec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랜치(18, 19)로부터 분리된 광은 가능한 한 적은 손실로 상기 방출소자(30, 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광은 상기 방출소자(30, 31)의 단부면(42, 43)의 형태로 인해 의도적으로 산란되어, 시각적으로 고품질의 균일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출소자(30, 31)가 상기 광도파로(11) 상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 러그(Latching Lug)가 상기 깔때기형 연장부(41) 또는 상기 방출소자(30, 3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방출소자(30)의 상세도이다. 상기 발광소자(30)는 광입사면(37)을 갖는 결합부(34)를 갖는다. 상기 발광소자(30)는 투명한 투광성(Light-transmissive) 결합부(34)를 통해 상기 광도파로(11)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벨트버클(1)의 부분 분해도이다. 상기 발광벨트버클은 제1 하우징 절반부(45), 제2 하우징 절반부(46) 및 커버(47)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갖는다. 상기 커버는 누름버튼(3)(미도시) 및 상기 커버(47)의 개구(28) 내에 배치된 안전벨트의 벨트 래치용 삽입슬롯(4)을 둘러싼다. 상기 커버(47)의 단부면(5)에는 광방출면(12)을 갖는 광도파로(11)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26)이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슬롯(26)은 상기 광방출면(12)이 상기 커버(47)의 상기 단부면(5)과 동일 평면상이 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방출면(12)은 상기 커버(47)의 상기 개구(28)를 덮는 주변 광방출면으로 형성된다. 모서리부(21)가 상기 개구(28) 및 상기 슬롯(26) 사이의 상기 커버(47) 상에 형성된다.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방출면(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광입사면(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도파로(11)를 2 개의 브랜치(49)로 분할하는 함몰부(48)를 포함한다. 편향요소(14)가 상기 광입사면(22)으로부터 먼 측의 상기 브랜치(49) 상에 배치되며, 상기 편향요소는 표면요소(40)로서 구성되고 상기 표면요소(40)를 둘러싸는 상기 경계면(7)과 상이한 각도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편향요소(14)는 계단형 또는 쐐기형으로 클러스터(17)에 배열된다.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브랜치(49)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주변부로 상기 광방출면(12)에 평행하게 개방되어, 상기 주변 광방출면(12)을 따라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광도파로(11)의 상세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광입사면(22)이 상기 광도파로(11)의 코너에 놓이고, 광이 상기 브랜치(49)의 단부에서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주변부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상기 브랜치(49a, 49b)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주변 윤곽을 따르기 위해 서로 90° 회전되어 배치된다. 상기 광방출면(12)과 대향하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경계면(7)에는 광선을 상기 광방출면(12)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간섭요소(60)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광방출면(12)이 보다 밝고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광방출면(12)을 갖는 광도파로(11)를 도시한다. 이 때, 상기 광도파로(11)에 측방향으로 부착된 광원(10)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광도파로(11)의 광입사면(22)은 상기 광방출면(12)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광입사면(22)으로부터,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원(10)의 광이 상기 광도파로(11)의 주변 영역 내로 결합되는 주브랜치(Main Branch)(49) 및 부브랜치(Minor Branch)(49b)를 갖는다. 광선을 상기 광방출면(12)의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소(14)가 상기 광도파로(11)의 경계면(7)을 형성하는 함몰부(48)에 제공된다. 광선을 상기 광방출면(12)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간섭요소(60)가 상기 광방출면(12)과 대향하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경계면(7)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이 횡방향으로 배열되면 소형 구조(Compact Structure)가 가능하여, 상기 광도파로가 상기 발광벨트버클(1)의 전체 하우징(2)을 통과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47)에 통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도파로(11) 및 상기 광원(10)은 주변 슬롯(26)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2)의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광원(10)은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LED가 매우 소형 디자인일 경우에도 비교적 높은 광수율(Light Yield)을 갖기 때문이다. 소형 디자인은 상기 커버(47)의 상기 슬롯(26) 내에 상기 광도파로(11)와 함께 상기 광원(10)을 위치시킬 수 있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광도파로(11) 및 상기 광원(10)은 사전 조립된 조립체(100)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2), 특히 상기 커버(47)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조립체(100)는 상기 하우징에 포함 된 도체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립체(100)가 접촉될 때 공간을 보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벨트버클(1)의 광도파로(11)를 도시한다. 도 9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에서, 광입사면(22)을 통해 상기 광도파로(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2 개의 광원들(10a, 10b)이 제공된다. 상기 광입사면(22)의 각각의 연장부에서, 상기 광도파로(11)는 주브랜치(49a, 49b) 및 부브랜치(49c, 49d)를 각각 가지며, 이 브랜치들을 통해 광이 상기 광도파로(11)의 주변부의 방향으로 재배향된다. 상기 주브랜치(49a, 49b) 및 상기 부브랜치(49c, 49d)는 각각 함몰부(48a, 48b)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여기서 상기 광방출면(12)의 방향으로 광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편향요소(14)가 상기 광도파로(11)의 경계면에서 각각의 함몰부(48a, 48b)에 제공된다. 광선을 상기 광방출면(12)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간섭요소(60)가 상기 광방출면(12)과 대향하는 상기 광도파로(11)의 상기 경계면(7)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광도파로(11)는 상기 커버(47)의 상기 슬롯(26) 내로 집적될 수 있도록 소형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광원(10a, 10b)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전기 접속 케이블만을 필요로 하고,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45, 46)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2)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광도파로(11) 및 2 개의 광원(10a, 10b)으로 구성되는 사전 조립된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Claims (15)

  1.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에서 변위 가능한 누름버튼(3),
    상기 하우징(2)의 모서리부(21) 및 상기 누름버튼(3)의 경계에 제공되어 벨트버클(1)에 잠금될 수 있는 벨트 래치(Belt Latch)가 삽입되는 삽입슬롯(4),
    적어도 하나의 광원(10), 및
    적어도 하나의 광방출면(Light Emission Surface)(12, 13, 38, 39)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방출면(12, 13, 38, 39)은 적어도 하나의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11)를 통해 연결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에 있어서,
    편향요소(14, 15, 16)가 광도파로(11)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7) 및/또는 상기 광방출면(12, 13, 38, 39)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8, 9) 상에 배열 또는 형성되며,
    상기 편향요소는 상기 경계면(7, 8, 9)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지오메트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소(14, 15, 16)는 상기 경계면(7, 8, 9)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소(14, 15, 16)는 상기 경계면(7, 8, 9)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각도로 배열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편향요소(14, 15, 16)가 상기 경계면(7, 8, 9)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편향요소(14, 15, 16)가 클러스터(17)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6. 제5항에 있어서,
    편향요소(14, 15, 16)의 복수의 클러스터(17a, 17b, 17c)가 상기 경계면(7, 8, 9)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클러스터(17a, 17b, 17c)는,
    상기 광도파로를 통해 안내되는 복수의 광선(Light Beams)이 제1 클러스터(17a)에서 편향되고 제2 클러스터(17b)에서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소(14, 15, 16)는 쐐기형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소(14, 15, 16)는 부분 원형 양각부(Partially Circular Elevation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선형 윤곽을 가지며, 상기 선형 윤곽은 상기 삽입슬롯(4)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누름버튼(3)의 모서리측(24)의 형태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3)의 상이한 대향 모서리측(24, 25)에 배치된 2 개의 광방출면(12, 1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원(10) 및 2 개의 개별 광방출면(38, 39)과 관련된 광입사면(Light Entry Surface)(22)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광입사면(22)으로부터 2 개의 개별 브랜치(Branches)(18, 19)로 분기하고, 각각의 상기 광방출면(38, 39)은 상기 브랜치(18, 19) 중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상기 하우징(2)의 단부면(5)에 형성된 주변 면광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방출면(12, 13)은 상기 누름버튼(3)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3)은 상기 하우징(2)의 단부면(5)에 배치되고,
    상기 광도파로(11)는 상기 단부면(5)으로부터 먼 측면(6)에 기하학적 간섭부(Geometric Interference)(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1).
KR1020187029757A 2016-03-24 2017-03-20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KR102144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4961.5 2016-03-24
DE102016204961.5A DE102016204961B4 (de) 2016-03-24 2016-03-24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PCT/EP2017/056509 WO2017162558A1 (de) 2016-03-24 2017-03-20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432A true KR20180122432A (ko) 2018-11-12
KR102144750B1 KR102144750B1 (ko) 2020-08-14

Family

ID=5836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57A KR102144750B1 (ko) 2016-03-24 2017-03-20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2002B2 (ko)
JP (1) JP6774720B2 (ko)
KR (1) KR102144750B1 (ko)
CN (1) CN108778033B (ko)
DE (1) DE102016204961B4 (ko)
WO (1) WO2017162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318B (zh) * 2017-11-16 2022-10-04 天合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安全带的发光锁扣
DE102017223457A1 (de) 2017-12-20 2019-06-27 Autoliv Development Ab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8122239A1 (de) 2018-09-12 2020-03-12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urtschlosses
DE102019212606A1 (de) * 2019-08-22 2021-02-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 ein Gurtschloss integrierten Lichtquelle
CN114009903B (zh) * 2021-10-28 2023-07-11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锁扣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5784U1 (ko) * 1990-05-11 1991-09-19 Takata Corp., Tokio/Tokyo, Jp
US5892436A (en) * 1996-11-08 1999-04-06 Trw Inc.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EP1731051A1 (en) * 2005-06-06 2006-12-13 Takata Corporatio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EP1898147A1 (de) * 2006-09-11 2008-03-12 Hella KG Hueck & Co.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WO2009046939A2 (de) * 2007-10-05 2009-04-16 Autoliv Development Ab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20140239853A1 (en) * 2013-02-22 2014-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ckle assembly with light emitting diode and optical guide
US20150296928A1 (en) * 2012-12-20 2015-10-22 Key Safety Systems Inc. Belt Buckle for a Vehicle Safety Belt
WO2016008585A1 (de) * 2014-07-15 2016-01-21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586A (en) 1977-10-21 1980-12-09 Nsk-Warner K.K. Buckle device for safety belt
JPS5722803Y2 (ko) * 1978-04-05 1982-05-18
DE3904125A1 (de) 1988-02-13 1989-08-24 Autoflug Gmbh Ausgeleuchteter sicherheitsgurtverschluss
IT1228311B (it) 1988-02-13 1991-06-11 Autoflug Fahrzeugtechnik Chiusura illuminata per cintura di sicurezza.
US5303322A (en) * 1992-03-23 1994-04-12 Nioptics Corporation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s
US5521725A (en) * 1993-11-05 1996-05-28 Alliedsignal Inc. Illumination system employing an array of microprisms
DE102011114538A1 (de) * 2011-09-29 2013-04-04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baugruppe
US9463734B2 (en) * 2013-11-21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seatbelt assembly
DE102014016520B4 (de) 2014-11-10 2020-04-16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DE102015206602A1 (de) 2014-12-19 2016-06-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leuchtetes Gurtschloss
DE102015210450A1 (de) * 2015-06-08 2016-12-08 Autoliv Development Ab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JP6541182B2 (ja) * 2015-07-02 2019-07-10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5784U1 (ko) * 1990-05-11 1991-09-19 Takata Corp., Tokio/Tokyo, Jp
US5892436A (en) * 1996-11-08 1999-04-06 Trw Inc.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EP1731051A1 (en) * 2005-06-06 2006-12-13 Takata Corporatio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EP1898147A1 (de) * 2006-09-11 2008-03-12 Hella KG Hueck & Co.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WO2009046939A2 (de) * 2007-10-05 2009-04-16 Autoliv Development Ab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20150296928A1 (en) * 2012-12-20 2015-10-22 Key Safety Systems Inc. Belt Buckle for a Vehicle Safety Belt
US20140239853A1 (en) * 2013-02-22 2014-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ckle assembly with light emitting diode and optical guide
WO2016008585A1 (de) * 2014-07-15 2016-01-21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22002B2 (en) 2020-07-28
DE102016204961B4 (de) 2022-08-11
CN108778033B (zh) 2021-06-11
JP2019516599A (ja) 2019-06-20
WO2017162558A1 (de) 2017-09-28
JP6774720B2 (ja) 2020-10-28
CN108778033A (zh) 2018-11-09
DE102016204961A1 (de) 2017-09-28
KR102144750B1 (ko) 2020-08-14
US20190059521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432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발광벨트버클
CN110337384B (zh) 用于内部装饰件的照明设备
US8259168B2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KR101921849B1 (ko) 조명 설치된 벨트 버클
US10012359B2 (en) Light guide for a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of an automobile vehicle
US20230339391A1 (en) Vehicle Interior Member
CN104303247B (zh) 显示开关
JPH041780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照明機構
US9896059B2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CN107110458A (zh) 照明装置
US10413021B2 (en)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KR102043033B1 (ko)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JP6655143B2 (ja) 自動車の内室照明用の構成ユニット
CN117916520A (zh) 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JP7145952B2 (ja) 自動車両の安全ベルトデバイスのための照明付きベルトバックル
CN112739951B (zh) 光学模块,尤其在机动车的照明装置中使用的光学模块
CN219172359U (zh) 安全带带扣和具有其的座椅及车辆
JP2016187986A (ja) 照明装置付車両用内装材
US11511664B2 (en) Illumination module for illuminating a region of a vehicle component
US10486588B2 (en) Lighting module for automotive vehicle
CN109793318A (zh) 用于安全带的发光锁扣
KR20190001570A (ko) 표면 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조명 장치 및 시스템
CN117083204A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照明装置、其制造方法以及具有这种照明装置的内部装置部件
CN117795586A (zh) 机动车照明模块
CN117501044A (zh) 导光板以及使用了该导光板的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