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033B1 -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033B1 KR102043033B1 KR1020177037419A KR20177037419A KR102043033B1 KR 102043033 B1 KR102043033 B1 KR 102043033B1 KR 1020177037419 A KR1020177037419 A KR 1020177037419A KR 20177037419 A KR20177037419 A KR 20177037419A KR 102043033 B1 KR102043033 B1 KR 102043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buckle
- light emitting
- push button
- insertion sl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5—Illuminated buckl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 상기 하우징 (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 버튼(2); 상기 하우징 (1)의 엣지부(23) 및 상기 누름 버튼(2)에 의해 형성되며, 버클 안에서 잠기는 벨트 텅(tongue)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슬롯(12);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면(13, 14)을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누름 버튼(2)의 엣지측(24)의 형태에 부합하는 선형 윤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 슬롯(12)을 바라볼 때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을 갖는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벨트 버클은 벨트 스트랩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거나 벨트 스트랩의 단부에 고정되는 벨트 텅(tongue)을 차량에 체결하고 잠그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버클은 벨트 텅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슬롯 및 누름 버튼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벨트 텅이 삽입 슬롯에 삽입될 때 벨트 텅을 자동으로 잠근다. 벨트 텅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탑승자는 잠금 장치의 해제된 탄성력으로 인하여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하고 벨트 텅을 배출하도록 하는 누름 버튼을 누른다.
이러한 버클은 최근까지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클의 문제점은, 버클을 체결할 때, 탑승자가 좌석 벨트를 체결하기 위해 벨트 텅을 삽입하는 버클의 비교적 좁은 삽입 슬롯을 위치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독일 특허 DE 39 04 125 A1에 따르면, 광 전도성 물질을 통해, 버클의 소정의 발광면에 결합되는 광원부가 버클에 제공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이때, 발광면은 누름 버튼 자체, 및 누름 버튼에 대향하는 삽입 슬롯의 측면에 배치되는 발광면이다. 누름 버튼은 그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가능해야 하므로, 누름 버튼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광 전도성 물질은 상기 누름 버튼이 아래로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광 전도성 물질의 입광면이 외부 광원과 광학적으로 정렬되도록 누름 버튼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누름 버튼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만약 광 전도성 물질의 입광면이 외부 광원과 광학적으로 정렬되지 않은 때에는, 제조 허용 오차나 기계적 영향에 의한 형상 편차로 인하여, 광이 상기 누름 버튼 안으로 가이드 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가이드 되어, 결과적으로 누름 버튼 자체가 빛나지 않거나 의도된 것보다 훨씬 약하게 빛나게 된다.
또한, 독일 특허 DE 10 2007 047 704 A1에 따르면, 삽입 슬롯의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한 버클에 도광부가 제공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발광면 자체는 삼각형이며, 하우징의 가장자리와 누름 버튼의 원추형 측면 사이의 하우징의 단부면 상에 비어있는 삼각형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발광면은 높은 광도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하우징의 단부면 모서리의 비어있는 영역을 최대한 채울 수 있도록 치수가 형성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결 및 해제 과정에서 버클 및 누름 버튼을 특히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유형의 조명식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조명식 버클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도면 및 이에 해당하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에 따르면, 버클에서의 발광면은 선형의 윤곽을 가져야 하며, 누름 버튼의 엣지측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삽입 슬롯을 바라보았을 때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형식을 갖는다.
제안된 해결 수단의 효과는, 첫째, 조명 자체로 인해 버클, 특히 누름 버튼을 더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발광면의 형태로 인해 누름 버튼의 위치가 표시되므로, 누름 버튼을 발견하고 작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탑승자는 누름 버튼의 가장자리와 관련한 발광면의 위치를 인지하면서 누름 버튼을 몇 차례 누르고 사용상의 기준을 잡은 후에, 활성화된 발광면의 위치만으로 누름 버튼을 찾을 수 있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몇 차례 연습을 한 후에는 탑승자가 누름 버튼 자체를 인식할 필요 없이도 발광면에 인접한 표면의 "어두운 부분(blind)"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버클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정상적인 체결 상태 및 미장착 또는 잠금 해제 상태 중의 어떤 경우에도, 버클은 누름 버튼이 항상 발광면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기본 배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누름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삽입 슬롯도 누름 버튼에 대하여 언제나 고정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체결 과정에서도 상기 슬롯을 더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발광면이 삽입 슬롯의 단부들 중의 어느 하나까지 연장된다. 제안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탑승자는 가상으로 발광면을 연장하고 벨트 텅을 가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대응시켜 삽입함으로써 소정의 연습을 하여 발광면에 대한 방향을 인지한 후에는 삽입 슬롯을 특히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삽입 슬롯은 의도적으로 일측 단부에서 조명되므로, 삽입 슬롯 자체가 탑승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때, 발광면이 삽입 슬롯의 폭 이하의 폭을 갖는 경우, 위치를 잡는 과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된 발광면의 폭이 삽입 슬롯과 동일하거나 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탑승자는 벨트 텅을 발광면의 가상으로 연장된 영역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렬하여 횡방향에 대한 체결 과정에서 더 용이하게 벨트 텅의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발광면의 제안된 폭으로 인해, 삽입 슬롯의 횡방향에 대하여 벨트 텅을 삽입 슬롯 위로 위치시켜서 밀어 넣기만 하면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누름 버튼의 대향하는 엣지측에 배치되도록 2개의 발광면이 버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누름 버튼은 2개의 발광면에 의해 양쪽에서 프레임화됨으로써, 누름 버튼의 위치가 발광면들 사이에서 명확하게 형성되고, 발광면이 켜져 있을 때 매우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누름 버튼 자체가 반드시 가시적일 필요는 없다; 벨트 텅을 잠금 해제하고 체결을 푸는 과정을 개시하기 위해서 탑승자는 2개의 활성화된 발광면들 사이의 영역을 손가락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발광면은 누름 버튼의 중간 축을,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시각적 인상이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누름 버튼 및/또는 버클이 매우 균일하게 발광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발광면들은 그 크기 및 형상이 서로 동일하여, 발광면에서 조사되는 광의 강도 및 분포가 발광면의 동일 면적당 광의 강도에 대해 동일하도록 한다.
또한, 삽입 슬롯은 삽입 슬롯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누름 버튼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누름 버튼의 엣지측의 발광면은 삽입 슬롯의 단부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슬롯은 의도적으로 버클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삽입 슬롯이 삽입 슬롯의 단부 및 하우징의 엣지 사이의 중간에 배치될 때 삽입 슬롯의 종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틈새는 그 안에 배치되는 발광면이 차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위의 발광면은 서로를 향해 수렴하고, 삽입 슬롯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리킬 뿐만 아니라, 누름 버튼에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누름 버튼을 누르는 것과 삽입 슬롯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모두 용이해진다. 발광면이 서로를 향해, 경사진 각도 등으로, 수렴하는 한, 2개의 활성화된 발광면은 가시적인 화살표 형태, 또는 삽입 슬롯에 의해 형성되거나 삽입 슬롯이 배치되는 누름 버튼의 측면을 가리키는 뭉툭한 끝부분일 수 있다.
발광면은 삽입 슬롯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삽입 슬롯이 이들 사이에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슬롯은 발광면 사이에서 가상으로 연결되어, 탑승자가 해당 연습을 마친 후에는 특히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광면은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도광 소자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자체가 발광면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제안된 해결 수단은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 소자는 상기 하우징의 벽에 배치된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캐비티 안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발광면이 고정부에 배치되고 입광면은 결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상기 도광부가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해당 리세스 내로 삽입되거나, 고정부의 영역에서 2K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에 수용되므로, 도광 소자가 특히 용이하게 버클에 부착될 수 있다. 동시에, 고정부는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발광면을 통해 도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발광면이 하우징에 대하여 특히 양호하게 고정되고 하우징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부에 발광면을 배치하는 것은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광 소자는 하우징에 대해 발광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직접 고정된다. 다음으로, 결합부는 그 위에 배치된 입광면을 통해 도광 소자 안으로 광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 소자가 상기 연결부와 함께 하우징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 광범위하게 접촉되도록 성형된다는 점에서, 도광 소자는 하우징에 대해 더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 영역에서의 하우징에 대한 도광 소자에 추가적인 측방향의 지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발광면을 입광면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광은 도광 소자 내에서 효과적으로 확장되고 더 큰 면적으로 분산된다. 이를 통해, 누름 버튼과 삽입 슬롯을 표시하기 위해 보다 큰 발광면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광면을 떠나는 광은 누름 버튼 및/또는 삽입 슬롯을 표시하기만 하고 주변 영역을 비추지 않기 때문에, 입광면에 입사하는 광의 휘도와 비교하여 발광면의 휘도가 저하되더라도 수용 가능한 수준에 해당한다. 또한, 발광면이 배치된 고정부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도광 소자가 위치 특정 위치 정밀도 및 안정성을 가지면서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광 소자는 입광면에서 시작하여 발광면을 향하여 원뿔형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도광 소자 내의 광류가 최대한 동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도광 소자가 입광면과 발광면 사이의 소정의 영역에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도광 소자는 치수 안정성을 갖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 등을 포함한다. 제안된 해결 수단을 통해 매우 낮은 비용으로 도광 소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잡한 성형시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면서 제조됨으로써, 요구되는 발광 형태를 제공하도록 성형되어 양호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원부가 도광 소자를 통해 도광 소자에 연결됨으로써 광원부가 보다 큰 간격으로 도광 소자에, 특히, 장착 및 전기적 접촉에 유리한 버클 상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위치는 도광 소자의 위치 및 특히 발광면의 위치로부터 독립적이게 된다.
이때, 도광부는 광원부에 할당된 하나의 입광면 및 2개의 구분된 출광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출광면들은 각각 도광 소자의 입광면들에 할당된다. 제안된 해결 수단을 통해, 도광부로 입사된 광은 2개의 출광면으로 분산된 후, 출광면에서 2개의 도광 소자로 입사된다. 즉, 도광부는 광원부에서 발광된 광류에 대한 분기부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광원으로 도광 소자의 2개의 발광면을 빛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발광면이 버클에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이러한 발광면은 추가적인 도광부를 통해 또는 도광부의 추가적인 분기부들을 통해 광원부의 광류에 연합될 수 있다.
특히, 도광부는 입광면에서 시작하여 출광면이 각각 하나씩 할당되는 2개의 별개의 분기부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부의 분기부들은 분기되어 분리 성형된 후, 도광 소자의 입광면 쪽으로 광류를 분리하여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도광부의 분기부들은 가용 공간에 따라 버클의 도광부를 유연하게 구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버클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삽입 슬롯 쪽으로 바라 보는 경우에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삽입 슬롯 쪽으로 바라 보는 경우에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버클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삽입 슬롯 쪽으로 바라 보는 경우에 제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삽입 슬롯 쪽으로 바라 보는 경우에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자동차 시트 벨트 장치의 버클용 하우징(1)의 반쪽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에는, 하우징(1)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하우징(1)의 단부면에서 개구부(28)를 통해 접근 가능한 누름 버튼(2)이 배치된다. 하우징(1)은 누름 버튼(2)을 아래로 가압하거나 누름 버튼(2)을 하우징(1) 안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장치(명확성을 위해 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하우징(1)의 반쪽은 미도시된 제2의 반쪽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조립한 후에 완성됨으로써, 하우징(1)이 잠금 장치의 모든 면을 둘러싼다.
누름 버튼(2)과 하우징(1)의 개구부(28)는 누름 버튼(2)과 하우징(1)의 엣지부(23) 사이에 삽입 슬롯(12)이 형성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시트 벨트 장치의 벨트 텅이 버클의 잠금 장치에서 체결되도록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슬롯(12)의 일측은 누름 버튼(2)에 의해, 타측은 하우징(1)의 엣지부(23)에 의해 측방향으로 경계가 형성된다. 삽입 슬롯(12)의 길이(L)는 삽입 슬롯(12)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누름 버튼(2)의 폭(B)보다 짧아서, 삽입 슬롯(12)은 누름 버튼(2)에 대해 대략적으로 중심부에 배치되며, 결과적으로 누름 버튼(2)은 삽입 슬롯(12)에 대해 양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1)에는 누름 버튼(2)의 측면으로 2개의 슬롯(10, 11)이 제공되어, 누름 버튼(2)의 인접한 엣지측(24, 25)의 경로에 부합하는 형태를 나타낸다(도 2 및 도 3 참조). 하우징(1) 내의 개구부(28)의 형태는 누름 버튼(2)에 대해 적어도 대략적인 단면에 대응하며, 슬롯(10, 11)은 개구부(28)를 형성하는 하우징(1)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 반쪽의 개구부(28)와 반대쪽 측면에는, 일측이 개방되며 LED 형태로 부착된 광원부(3)를 구비한 모판(4)이 내부에 부착될 수 있는 수용부(29)가 형성된다. 광원부(3) 이외에, 광원부(3)를 제어하기 위한 및/또는 버클 전환과 같은 기타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 및 계산 모듈이 모판(4) 상에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에는 도광부(5) 및 2개의 도광 소자(8, 9)가 제공된다. 도광 소자(8, 9)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와 같이 광 전도성을 가지고 치수적으로 안정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각각 고정부(19, 20) 및 결합부(21, 22)를 갖는다. 고정부(19, 20)는 슬롯(10, 11)의 형태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19, 20)를 구비한 도광 소자(8, 9)가 각각 하우징(1)의 내부로부터 슬롯(10, 1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도광 소자(8, 9)는 2K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하우징(1)의 플라스틱에 의해 캡슐화될 수도 있다. 도광 소자(8, 9)에는, 고정부(19, 20)로부터 결합부(21, 22)로 전이되는 부분에, 고정부(19, 20)를 구비하는 도광 소자(8, 9)가 슬롯(10, 11) 안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고정부(19, 20)의 단차에 의해 제한되는 삽입 깊이는, 하우징(1)의 인접한 면에 접하여, 고정부(19, 20)의 단부면이 고정된 위치에 있을 때의 외측이 균질하고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광 소자(8, 9)의 결합부(21, 22)의 외측은, 고정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의 내벽의 일측에 인접하여 추가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9, 20)는 슬롯(10, 11)을 전체적으로 완전히 채우도록 단면이 형성된다. 도광 소자(8, 9)는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을 갖는 결합부(21, 22)의 단부면에, 그리고 발광면(13, 14)을 갖는 고정부(19, 20)의 단부면에 제공된다.
도광부(5)는 고정된 위치에서 광원부(3)에 대향하도록 도광부의 입광면(27)을 구비함으로써, 광원부(3)로부터 발광된 광이 도광부(5)로 입사된다. 도광부의 입광면(27)으로부터 시작하여, 광원부(3)에 의해 발광된 광은 도광부(5)의 초반부에서 도광부(5)가 2개의 분기부(6, 7)로 분할되는 접합점까지 우선 통과된다. 그 후, 광은 분기부(6, 7) 내에서 분기부(6, 7)의 단부면에 형성된 출광면(17, 18) 쪽으로 각각 통과한다. 분기부(6, 7)는 가용 공간 조건에 따라 하우징(1)의 캐비티(26) 내에서 만곡된 경로에 배치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며 유연한 성질을 갖는다. 분기부(6, 7) 단부면에서의 출광면(17, 18)이 결합부(21, 22)의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분기부(6, 7)의 길이가 정해진다. 즉, 광원부(3)에 의해 발광된 광은 우선 도광부의 입광면(27)을 통해 도광부(5) 안으로 전송된 다음, 분기부(6, 7)를 통해 출광면(17, 18)으로 통과한다. 출광면(17, 18)으로부터의 광은 도광 소자(8 및 9)로부터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을 통해 입사되고, 최종적으로 고정부(19, 20)의 발광면(13, 14)을 통해 방출된다. 입광면(27, 15, 16)뿐만 아니라 출광면(17, 18) 및 발광면(13, 14)은 화학적 식각이나 기계적 처리에 의한 방법과 같은 해당 표면 처리에 의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의 광원부(3), 하나의 도광부(5) 및 2개의 도광 소자(8, 9)를 사용하는 제안된 해결 수단을 통해, 장착 및 접촉에 편리한 위치에 광원부(3)를 모판(4)과 함께 배치할 수 있으며, 광이 도광부(5) 및 도광 소자(8, 9)를 경유하여 방출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로 지향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갖는다. 이는 광원부(3)의 배치 및 발광면(13, 14)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발광면(13, 14)은 자체 발광되는 전기적으로 활성화 된 박편에 의해 또는 가스 충전된 광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면(13, 14)의 형상은 선형이며, 누름 버튼의 인접한 엣지측(24, 25)에 부합하는 경로를 갖는다. 또한, 발광면(13, 14)은 삽입 슬롯(12)의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발광면 사이에 삽입 슬롯(12)을 둘러싼다. 따라서, 발광면(13, 14) 및 삽입 슬롯(12)은 3개의 변에서 누름 버튼(2)을 둘러싸는 선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탑승자가 발광면들(13, 14)을 연결하는 위치의 위쪽의 단부면에 벨트 텅을 위치시킨 후 버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발광면(13, 14)은 삽입 슬롯(12)의 폭보다 같거나 작은 폭을 가지므로 탑승자는 항상 벨트 텅을 삽입 슬롯(12)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발광면(13, 14)은 누름 버튼(2)에 의해 하우징(1)의 개구부(28)에 위치한 단부면을 포함함으로써, 탑승자는 어둠 속에서도 발광면들(13, 14) 사이의 영역을 단순히 가압하여 누름 버튼(2)을 매우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도 2에서, 누름 버튼(2)은 삽입 슬롯(12) 방향의 일 측면 상에서 원추형으로 테이퍼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엣지측(24, 25)은 삽입 슬롯(12)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슬롯(10, 11) 및 그 내부에 배치된 도광 소자(8, 9)의 발광면(13, 14)은 엣지측(24, 25)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됨으로써, 삽입 슬롯(12) 방향으로도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면(13, 14)은 삽입 슬롯(12) 방향으로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발광면(13, 14)은 삽입 슬롯(12) 방향으로 거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삽입 슬롯(12)으로 인도한다.
도 3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 버튼(2)을 도시하고 있다. 슬롯(10, 11) 및 그 내부에 배치된 발광면(13, 14)도 누름 버튼(2)의 최근접한 엣지측(24, 25)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슬롯(10, 11) 및 발광면(13, 14)은 각각 누름 버튼(2)의 모서리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다리 부위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L"자 형태를 갖는다. 발광면(13, 14)은 2개의 측방향 엣지측(24, 25) 및 누름 버튼(2)의 삽입 슬롯(12)을 마주 보는 엣지측의 삽입 슬롯(12)에 인접한 부위를 둘러싼다. 삽입 슬롯(12)은 이 방향으로 가리키는 누름 버튼(2)의 폭(B)보다 짧은 길이(L)를 가지므로, 누름 버튼(2)은 삽입 슬롯(12)의 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따라서, 발광면(13, 14)은 삽입 슬롯(12)의 단부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 누름 버튼(2)을 프레임화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하기가 특히 용이해진다.
두 실시예는 공통적으로 누름 버튼(2), 삽입 슬롯(12), 하우징(1) 단부면, 및 발광면(13, 14)의 작동면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삽입 슬롯(12)의 중앙 및 누름 버튼(2)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간 축(M)을 향해 배향된다.
Claims (16)
- 하우징(1);
상기 하우징 (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 버튼(2);
상기 하우징 (1)의 엣지부(23) 및 상기 누름 버튼(2)에 의해 형성되며, 버클 안에서 잠기는 벨트 텅(tongue)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슬롯(12);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면(13, 14)을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누름 버튼(2)의 엣지측(24, 25)의 형태에 부합하는 선형 윤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 슬롯(12)을 바라볼 때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버클의 상기 하우징(1)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도광 소자(8, 9)에 배치되고,
도광부(5)를 통해 상기 도광 소자(8, 9)에 연결되는 광원부(3)가 제공되고,
상기 도광부(5)는 상기 광원부(3)에 할당된 도광부의 입광면(27) 및 2개의 분리된 출광면(17, 18)을 포함하며, 상기 출광면(17, 18) 중 하나가 상기 도광 소자(8, 9)의 하나의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에 할당되고,
상기 도광부(5)는 상기 도광부의 입광면(27)에서 시작하는 2개의 분리된 분기부(6, 7)로 구분되며, 상기 출광면(17, 18)은 각각 상기 분기부(6, 7) 중 하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삽입 슬롯(12)의 단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삽입 슬롯(12)의 폭 이하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발광면(13, 14)들은 상기 누름 버튼(2)의 서로 다른 대향하는 상기 엣지측(24, 25) 상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들은 상기 누름 버튼(2)의 중간 축(M)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슬롯(12)은 상기 삽입 슬롯(12)의 종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상기 누름 버튼(2)의 폭(B)보다 짧은 길이(L)를 가지며,
상기 누름 버튼(2)의 엣지측(24, 25)에서의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삽입 슬롯(12)의 단부 방향으로 서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삽입 슬롯(12)의 단부들까지 연장되며, 상기 삽입 슬롯(12)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소자(8, 9)는 상기 하우징(1)의 벽에 배치된 고정부(19, 20) 및 상기 하우징(1) 내에 배치된 캐비티(26) 안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 22)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고정부(19,20)에 배치되고,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은 상기 결합부(21, 2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소자(8, 9)는 상기 결합부(21, 22)와 함께, 상기 하우징(1)의 내벽과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접촉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13, 14)은 상기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소자(8, 9)는 상기 도광 소자의 입광면(15, 16)으로부터 상기 발광면(13, 14)을 향해 원추형으로 확장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소자(8, 9)는 치수 안정성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210450.8 | 2015-06-08 | ||
DE102015210450.8A DE102015210450A1 (de) | 2015-06-08 | 2015-06-08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
PCT/EP2016/062988 WO2016198432A1 (de) | 2015-06-08 | 2016-06-08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4035A KR20180014035A (ko) | 2018-02-07 |
KR102043033B1 true KR102043033B1 (ko) | 2019-11-12 |
Family
ID=5610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7419A KR102043033B1 (ko) | 2015-06-08 | 2016-06-08 |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383406B2 (ko) |
EP (1) | EP3302161B1 (ko) |
JP (1) | JP6656775B2 (ko) |
KR (1) | KR102043033B1 (ko) |
DE (1) | DE102015210450A1 (ko) |
WO (1) | WO201619843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204961B4 (de) * | 2016-03-24 | 2022-08-11 | Autoliv Development Ab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
DE102023107195B3 (de) * | 2023-03-22 | 2024-09-26 | Autoliv Development Ab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76773A (ja) * | 2006-04-07 | 2007-10-25 | Tk Holdings Inc | 拘束システム用の照明されたソフトタッチバックル |
DE102007047704A1 (de) * | 2007-10-05 | 2009-04-09 | Autoliv Development Ab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
US20120089302A1 (en) | 2010-10-06 | 2012-04-12 | Griffin John A | Illuminated seat belt receptacle |
US20150296928A1 (en) | 2012-12-20 | 2015-10-22 | Key Safety Systems Inc. | Belt Buckle for a Vehicle Safety Bel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6307U (ko) * | 1986-12-27 | 1988-07-09 | ||
DE3904125A1 (de) | 1988-02-13 | 1989-08-24 | Autoflug Gmbh | Ausgeleuchteter sicherheitsgurtverschluss |
US5892436A (en) * | 1996-11-08 | 1999-04-06 | Trw Inc. |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
DE102013003978B4 (de) * | 2013-03-08 | 2022-06-09 | Zf Automotive Germany Gmbh | Gurtschlos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Gurtschlosses |
WO2016008585A1 (de) | 2014-07-15 | 2016-01-21 | Trw Automotive Gmbh | Gurtschloss |
-
2015
- 2015-06-08 DE DE102015210450.8A patent/DE102015210450A1/de active Pending
-
2016
- 2016-06-08 US US15/580,952 patent/US10383406B2/en active Active
- 2016-06-08 WO PCT/EP2016/062988 patent/WO201619843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6-08 KR KR1020177037419A patent/KR102043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08 JP JP2017562255A patent/JP6656775B2/ja active Active
- 2016-06-08 EP EP16727521.3A patent/EP3302161B1/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76773A (ja) * | 2006-04-07 | 2007-10-25 | Tk Holdings Inc | 拘束システム用の照明されたソフトタッチバックル |
DE102007047704A1 (de) * | 2007-10-05 | 2009-04-09 | Autoliv Development Ab | Beleuchtetes Gurtschlos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
US20120089302A1 (en) | 2010-10-06 | 2012-04-12 | Griffin John A | Illuminated seat belt receptacle |
US20150296928A1 (en) | 2012-12-20 | 2015-10-22 | Key Safety Systems Inc. | Belt Buckle for a Vehicle Safety Bel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5210450A1 (de) | 2016-12-08 |
WO2016198432A1 (de) | 2016-12-15 |
KR20180014035A (ko) | 2018-02-07 |
JP2018524050A (ja) | 2018-08-30 |
EP3302161A1 (de) | 2018-04-11 |
EP3302161B1 (de) | 2019-08-07 |
US10383406B2 (en) | 2019-08-20 |
JP6656775B2 (ja) | 2020-03-04 |
US20180192744A1 (en) | 2018-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78033B (zh) | 用于机动车辆的安全带装置的照明带扣 | |
CN108473086B (zh) | 包括面状的装饰元件和壳体的构件 | |
US7360794B2 (en) |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 |
US7347579B2 (en) |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 |
JP2935871B2 (ja) | シートベルト装置の照明バックル | |
KR102043033B1 (ko) |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조명식 버클 | |
CN103328260B (zh) | 室内灯的固定结构 | |
JP2023075355A (ja) | 車両用内装材 | |
US9659719B2 (en) | Display switch | |
US20230413445A1 (en) | Human-machine interface assemblies | |
CN111479482B (zh) | 用于机动车辆的安全带装置的发光安全带锁 | |
US20180271226A1 (en) |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 |
KR200482489Y1 (ko) | 차량의 포브 키 | |
CN109793318B (zh) | 用于安全带的发光锁扣 | |
US12004603B1 (en) | Illuminated seat belt buckle | |
CN212604808U (zh) | 导光组件、发光插锁、安全带及汽车 | |
US10486588B2 (en) | Lighting module for automotive vehicle | |
EP0168466A1 (en) | BELT LOCK. | |
US20090004905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 |
KR20090118222A (ko) | 디스플레이 기기 | |
JPH06140780A (ja) | カードエジェ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