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534A -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534A
KR20180121534A KR1020187026270A KR20187026270A KR20180121534A KR 20180121534 A KR20180121534 A KR 20180121534A KR 1020187026270 A KR1020187026270 A KR 1020187026270A KR 20187026270 A KR20187026270 A KR 20187026270A KR 20180121534 A KR20180121534 A KR 2018012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nsity distribution
grating
pixel value
ro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991B1 (ko
Inventor
아츠시 모모세
다카후미 고이케
마사시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도호쿠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쿠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리가쿠 filed Critical 도호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8012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4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phase contrast X-ray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6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5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1Phase-contrast imaging, e.g. using grating 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7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by measuring interferences of X-rays, e.g. Borrmann ef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16X-ray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강도 분포 화상(10)의 제1 관심 영역(101)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102)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한다.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강도 분포 화상 중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고 있다. 계속해서,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강도 분포 화상마다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k는 3 이상의 정수이다.

Description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본 발명은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 예를 들어 X선에 있어서의 파로서의 성질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투과력이 높은 방사선, 예를 들어 X선은, 물체 내부를 투시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의료용 화상 진단, 비파괴 검사, 시큐리티 체크 등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X선 투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는, X선 감쇠율의 차이에 의존하고 있으며, X선을 강하게 흡수하는 물체는 X선의 그림자로서 묘출된다.
X선 흡수능은, 원자 번호가 큰 원소를 많이 포함할수록 강해진다. 반대로 원자 번호가 작은 원소로 이루어지는 물질에 대해서는 콘트라스트가 생기기 어렵다는 점도 지적되고, 이것이 종래의 X선 투시 화상의 원리적 결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생체 연부 조직이나 유기 재료 등에 대해서는, 충분한 감도를 얻을 수 없다.
한편, X선에 있어서의 파로서의 성질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종래의 X선 투시 화상에 비하여 최고 약 3자릿수의 고감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후, 이것을 X선 위상 콘트라스트법이라고 칭한다. 이 기술을, X선을 별로 흡수하지 않는 경원소로 이루어지는 물질(생체 연부 조직이나 유기 재료 등)의 관찰에 적용하면, 종래법에서는 어려웠던 검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실용화가 기대된다.
X선 위상 콘트라스트법을 이용한 고감도 촬상법을 실현하는 시도로서, 투과 격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것은, X선이 조사되고 있는 투과 격자가 X선 검출기 상에서 형성하는 강도 패턴이, 동일한 X선으로 조사되고 있는 피사체에 있어서의 근소한 X선의 굴절이나 산란에 따라 변화되는 현상을 통해, 피사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콘트라스트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종래의 투시 화상에 대응하는 흡수 화상과, 피사체에 의한 X선의 굴절의 대소를 나타내는 굴절 화상과, 피사체에 의한 산란의 대소를 나타내는 산란 화상을 일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투과 격자의 격자 주기가 미세할 경우에는, 격자에 의한 간섭 효과(바꿔 말하면 회절 효과)에 의한 분수 탈봇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강도 패턴이 강하게 드러나는 위치에 검출기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강도 패턴이 직접 검출기에서 해상될 수 없을 만큼 미세해질 경우에는, 그 위치에 투과 격자를 한 장 더 배치하여, 무아레를 생성시킴으로써 강도 패턴의 변화를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최초의 투과 격자를 G1, 제2 투과 격자를 G2라고 칭한다. G1과 G2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Talbot 간섭계라고 불린다.
Talbot 간섭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G1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공간적 간섭가능 거리가, G1 주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방사선의 파가 정렬되어 있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X선이라면, 싱크로트론 방사광이나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을 사용함으로써 만족된다. 특히,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은 실험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선원이므로, 실용성을 생각할 때에는 주목할 만한 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의 출력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통상, 수분 내지 수십분의 노광 시간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X선원은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보다 하이파워이지만, 애당초 X선 Talbot 간섭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적 가간섭성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제3 격자(이후, G0)를 일반적인 X선원의 근방에 배치하는 Talbot-Lau 간섭계가 알려져 있다. G0은 멀티 슬릿으로서 작용한다. G0에 있어서의 하나의 슬릿에 주목한다. 여기를 통과하는 X선은, 하류의 Talbot 간섭계(G1과 G2)를 기능시킨다. 즉, G0에 있어서의 슬릿은, 가상적으로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G0에 있어서, 그 옆의 슬릿을 통과하는 X선에 주목한다. 이것도 역시 하류의 Talbot 간섭계를 동작시키지만, G1에 의한 강도 패턴이, G2 위치에서 정확히 1주기(엄밀에는 1주기의 정수배)만큼 어긋나도록, G0의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하류의 Talbot 간섭계에 의한 무아레 화상 생성 기능을 유지하면서, 간섭성이 거의 없는 종래의 밝은 X선원을 사용할 수 있고, 위상 콘트라스트 촬영의 고속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Talbot-Lau 간섭계는, 복수의 Talbot 간섭계의 중첩으로 파악할 수 있고, G0은, 선원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G0과 G1만을 선원 가까이에 배치하고, G2는 생략하고, 확대된 상기 강도 패턴을 직접 검출기로 촬영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이것을 Lau 간섭계라고 칭하고 있다.
어느 구성의 경우에도, 기록되는 강도 패턴 또는 무아레 화상을 직접 이용하는 일은 드물며, 기록된 화상을 컴퓨터에 의해 소정 수순으로 처리하여, 흡수 화상, 굴절 화상 및 산란 화상 등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줄무늬 주사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줄무늬 주사법이란, 어느 격자를 그 주기 방향으로 병진시켜, 복수의 강도 패턴 혹은 무아레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 연산을 행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격자를 그 주기 d의 1/M 만큼 병진시켜서 촬영하고, 이것을 M회 반복하여 얻어진 M매의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 연산을 행한다. M은 3 이상의 정수이다.
격자 병진에 의한 줄무늬 주사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병진하지 않는 별도의 격자는 측정하는 동안 정지하고 있을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격자의 진동이나 격자를 보유 지지하는 스테이지의 위치 드리프트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그것에 의한 무아레 무늬의 진동이나 변위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측정 결과에 심각한 오차를 초래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때는, Talbot 간섭계 혹은 Talbot-Lau 간섭계를 설치하는 환경의 안정화, 혹은, 격자를 보유 지지·이동시키는 스테이지나 가대의 강성의 개선이나 진동원으로부터의 차단 등의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당해 장치를, 예를 들어 생산 현장에서의 비파괴 검사 장치로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주위 환경이 양호하지만은 않은 경우도 있다. 진동이나 드리프트에 강한 장치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한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국제 공개 WO2004/058070호 공보 미국 특허 제581262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선 화상의 생성에 사용하는 격자의 진동이나 드리프트에 대한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항목에 기재된 발명으로서 표현할 수 있다.
(항목 1)
방사선의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며,
촬상부와, 구동부와,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상부는, 선원과, 격자부와, 화상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선원은, 상기 격자부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화상 검출기는, 상기 격자부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격자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에 주기적인 강도 변조를 부여하는 적어도 1매의 격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자는, 주기적인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격자를, 상기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ROI 화소값 취득부와, 타원 궤적 결정부와,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와, 방사선 화상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ROI 화소값 취득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 중 제1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타원 궤적 결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는, 상기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방사선 화상 연산부는, 상기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 k는 3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2)
상기 각도 영역 화상은, 상기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가산 평균하여 얻어진 것인
항목 1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3)
상기 격자부는, 적어도 제1 및 제2 격자를 구비하고 있는
항목 1 또는 항목 2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4)
상기 방사선은 X선인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5)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의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강도 변조의 범위는, 상기 강도 변조의 1 주기의 1/4 이하로 되어 있는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6)
상기 타원 궤적 결정부는, 상기 제1 ROI 화소값을,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 상기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상기 직교 좌표계 상에 플롯함으로써, 상기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7)
상기 제1 화소값은,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인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기재된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항목 8)
방사선의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며,
선원으로부터 격자부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스텝과, 여기서 상기 격자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에 주기적인 강도 변조를 부여하는 적어도 1매의 격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자부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격자를, 상기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강도 분포 화상 중 제1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여기서 k는 3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화상 생성 방법.
(항목 9)
항목 8에 기재된 각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당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CD-ROM이나 DVD 디스크와 같은 광학적인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나 플렉시블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혹은 MO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를 병진시켜서 소정 거리마다 촬영을 반복하는 줄무늬 주사법에 있어서, 방사선 화상의 생성에 사용하는 격자의 진동이나 드리프트에 대한 대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부의 구성예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를 사용한 화상 생성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상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강도 분포 화상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ROI 화소값을 플롯한 그래프이며, 횡축은 제1 ROI 화소값, 종축은 제2 ROI 화소값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를 설명한다. 이 장치는, 방사선의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예를 들어, 흡수 화상, 굴절 화상, 산란 화상 중 임의의 또는 모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장치는, 시료(도시하지 않음)로서, 생체, 또는, 생체 이외의 물체 중 어느 것인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장치는, 의료용 또는 비의료용 용도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비의료용 용도로서는, 예를 들어 식품, 공업 부품, 혹은 공업 제품의 검사 용도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 장치는, 시료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격자 자체의 왜곡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는, 촬상부(1)와, 구동부(2)와, 처리부(3)를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추가로,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는, 제어부(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
촬상부(1)는 선원(11)과, 격자부(12)와, 화상 검출기(13)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선원(11)은 격자부(12)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방사선으로서는, 시료(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원(11)으로서, X선을 발생하는 X선원이 사용되고 있다. 선원(11)으로서는, 예를 들어 타깃(도시하지 않음)에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X선(즉 방사선)을 발생하는 X선원을 사용할 수 있다. 선원(11)의 구체적 구성은, 기존의 X선원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관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검출기(13)는 격자부(12)를 투과한 방사선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복수 매의 강도 분포 화상(10)(후술하는 도 5 참조)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검출기(13)는 후술하는 격자의 이동 속도에 비하여 충분히 짧은 주기로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연속적으로 취득함으로써, 강도 분포 화상의 동화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강도 분포 화상을 프레임 화상 또는 간단히 프레임이라고 칭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강도 분포 화상의 촬상 주기는 반드시 일정한 필요는 없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일정한 촬상 주기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검출기(13)는 선원(11)으로부터 검출기(13)까지의 경로 상에 배치된 격자부(12)를 투과한 방사선에 관한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검출기(13)는 종횡 이차원적으로 화소를 배열한 구성을 갖고, 격자부(12)를 통과하여 도달하는 방사선을 화소마다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검출기(13)로서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격자부)
격자부(12)는 강도 분포 화상(10)(도 5 참조)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강도 변조(예를 들어 무아레 무늬나 격자의 자기 상)를 부여하는 적어도 1매의,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 격자를 구비하고 있다. 격자부(12)는 탈봇 간섭계(탈봇·라우 간섭계, 라우 간섭계인 경우를 포함함)를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계적 구조 및 기하학적 배치에 대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탈봇 간섭계를 구성하는 조건은, 필요한 검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정도로 만족되고 있으면 되고,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조건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격자부(12)는 모두 주기적인 구조를 갖는 G0 격자(120)와, G1 격자(121)(제1 격자에 대응)와, G2 격자(122)(제2 격자에 대응)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구조란, 예를 들어 일차원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주기적으로 배치된 격자 부재나 슬릿(도시하지 않음)이지만, 이것들에 제약되지 않고,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주기적 구조라면, 특히 제약되지 않는다. 이차원적인 주기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기적 」이란,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도의 주기성이라면 되고, 엄밀한 주기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G0 격자(120)는 탈봇 간섭계의 일종인 탈봇·라우 간섭계를 구성하기 위한 격자이며, 흡수형 격자가 사용된다. G0 격자(120)에 의해, 탈봇·라우 간섭계의 구성 요소인 미소 광원 어레이(하나의 광원에 착안하면 탈봇 간섭계)가 실현된다. G1 격자(121)로서는, 통상은 위상형 격자가 사용되지만, 흡수형 격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G2 격자(122)로서는, 흡수형 격자가 사용된다. 또한, G2 격자의 배치를 생략하는 구성도 가능하다(라우 간섭계.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370호 공보 참조). 또한, 라우 간섭계에 있어서, 마이크로 포커스 X선원이나 싱크로트론 방사광과 같은, 공간적 가간섭성이 높은 선원을 사용하면, G0 격자를 추가로 생략하여 G1 격자만으로 촬영한 경우에도, G1 격자의 자기 상(즉 강도 변조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1매의 격자만으로도 동작가능하다. 또한, G0 격자를 생략하고, G1 격자와 G2 격자만을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방사선으로서, 어느 정도의 공간적 가간섭성을 갖는 것(예를 들어 마이크로 포커스 X선이나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외의 점에 있어서의 G0 내지 G2 격자(120 내지 122)의 구성은, 종래의 탈봇 간섭계(탈봇·라우 간섭계 및 라우 간섭계의 경우를 포함함)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
구동부(2)는 격자부(12)를 구성하는 어느 격자를,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부(2)는 G1 격자(121)를 방사선의 진행 방향(도 2에 있어서 우측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 또는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부(2)로서는, 격자를 병진시키기 위한 적당한 기구, 예를 들어 볼 나사, 리니어 모터, 피에조 소자, 정전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에 제약되지는 않는다. 구동부(2)로서는, 종래의 줄무늬 주사법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액추에이터를 이용 가능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처리부)
처리부(3)는 ROI 화소값 취득부(31)와, 타원 궤적 결정부(32)와,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33)와, 방사선 화상 연산부(34)를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ROI 화소값 취득부(31)는 강도 분포 화상 중 제1 관심 영역(101)(후술하는 도 5 참조)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102)(후술하는 도 5 참조)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의 면적에 포함되는 강도 변조의 범위는, 화소값을 플롯했을 경우(후술하는 도 6 참조)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의 구분이 불명료해지지 않도록, 강도 변조의 1 주기의 1/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심 영역의 사이즈가 크면, 후술하는 스텝에서 생성되는 타원 궤도가 작아져 버린다(즉 플롯 점이 중심으로 치우친다). 타원 궤도를 크게 함으로써,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플롯 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화소값은, 제1 관심 영역(101)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이다. 여기서 평균값이란, 화소마다의 휘도값의 합계를 화소수로 나눈 값이다. 마찬가지로, 제2 화소값은, 제2 관심 영역(102)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이다.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동작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원 궤적 결정부(32)는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강도 분포 화상마다(즉 프레임 번호의 함수로서)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타원 궤적 결정부(32)는 제1 ROI 화소값을,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 제2 ROI 화소값을,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축으로 하여,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강도 분포 화상마다 직교 좌표계 상에 플롯함으로써,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타원 궤적 결정부(32)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33)는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 영역 화상은,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매의 강도 분포 화상(즉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프레임 번호의 강도 분포 화상)을 가산 평균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여기서 k는 3 이상의 정수지만, 가능한 한 큰 정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강도 분포 화상의 프레임 수보다 충분히 작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33)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방사선 화상 연산부(34)는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방사선 화상 연산부(34)는 종래의 줄무늬 주사법에 있어서의 방사선 화상(예를 들어, 흡수 화상, 굴절 화상, 산란 화상 중 임의의 또는 모두)의 생성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줄무늬 주사법에 있어서 격자 주기의 1/M씩 격자를 이동시켜서 화상을 촬영한다고 가정하면,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은, 줄무늬 주사법에 있어서의 M매의 화상에 대응한다.
(제어부)
제어부(4)는 구동부(2)에 구동 신호를 보내고, 소정의 속도로 격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격자의 이동량이 상한에 달하면,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격자의 이동 타이밍과 화상 검출기(13)의 촬영 타이밍을 동기시켜서, 원하는 동화상(복수 매의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화상 생성의 동작)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화상 생성을 사용한 화상 생성 방법을,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사체로서의 시료(도시하지 않음)가 선원(11)으로부터 화상 검출기(13)까지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시료를, G0 격자(120)와 G1 격자(121)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장치는, 시료없는 상태에서, 격자의 왜곡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의 스텝 SA-1)
먼저, 구동부(2)에 의해, 촬상부(1)에 있어서의 어느 격자(본 예에서는 G1 격자(121))를 소정의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일방향(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의 스텝 SA-2)
상기 스텝 SA-1과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촬상부(1)의 화상 검출기(13)에 의해, 복수 매의 강도 분포 화상(10)(도 5 참조)을 취득한다. 이에 의해, 동화상으로서의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얻어진 강도 분포 화상(10)은 처리부(3)에 보내져서 보존된다.
(도 4의 스텝 SA-3)
계속해서, 얻어진 강도 분포 화상(10)에 있어서의 화상 공간 상에 있어서,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을 지정한다(도 5 참조). 이 지정은, 강도 분포 화상(10)을 취득한 후, 그 화상에 기초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위상차는 엄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적절한 위상차일 경우에는 재귀적으로 수순을 실행하므로, 첫회의 설정에 있어서는, 임의의 위상차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재귀적으로 처리를 반복한 결과로서 적절한 위상차로 된 경우에도, 그 위상차에 대한 설정 처리가 행하여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의 지정 처리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지만, 유저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은 강도 분포 화상(10)의 강도 변조 주기에 있어서의 명부와 중간부, 혹은 암부와 중간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영역의 위상차가 정확히 π/2인 때는, 양자의 변동 주기는 사인과 코사인의 관계로 되고, 얻어지는 타원 궤도는 원형으로 된다.
화상 공간 상에서 제1 및 제2 관심 영역을 규정하면, 프레임 마다의 화상 변화(즉 동화상)에 의해, 그 영역 내의 화소값은, 프레임마다 변화(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강도 분포 화상(10)이 주기적인 강도 변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의 면적은,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의 면적에 포함되는 강도 변조의 범위를, 강도 변조의 1 주기의 1/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의 위치는, 화상 공간에 있어서, 방사선 강도가 강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화상 공간의 주연부 근방에서는, 방사선 강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장소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면, 얻어지는 ROI 화소값의 SN비가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방사선 강도가 강한 위치에 있어서 관심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SN비를 향상시켜, 얻어지는 방사선 화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의 스텝 SA-4)
계속해서, ROI 화소값 취득부(31)는 제1 및 제2 관심 영역(101 및 102) 내에 존재하는 화소값을, 제1 화소값 및 제2 화소값으로서 취득한다. 제1 화소값은, 제1 관심 영역(101)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이다. 마찬가지로, 제2 화소값은, 제2 관심 영역(102)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이다. 단, 각 영역의 크기를 동등하게 함으로써, 평균값 대신에, 합계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타원 궤적 결정부(32)는 취득된 제1 및 제2 화소값을, 프레임의 함수로서 플롯한다(도 6 참조). 예를 들어, 제1 화소값을 IA(f)라 하고, 제2 화소값을 IB(f)라 한다. 여기에서 f는 프레임 번호이다. 그러면, 프레임마다, 화소값의 조 I(f)=(IA(f), IB(f))가 된다. 이 I(f)를 예를 들어 직교 좌표계 상에 프레임마다(즉 프레임 번호의 함수로서) 플롯한다. 플롯된 점을 사용하여, 타원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타원 궤적의 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최소 제곱법을 사용한 타원 근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제약되지는 않는다.
(도 4의 스텝 SA-5)
이어서, 타원 궤적 결정부(32)는 플롯에 의해 얻어진 그림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기준으로서는, 단축의 길이가, 데이터를 타원 상에 배분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다(즉 그림이 원형에 가깝다)고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판정 기준은 예를 들어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의 길이가, 장축의 길이의 1/2 이상이라고 하는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판정의 결과, 그림이 적절하지 않은(예를 들어 단축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에는, 스텝 SA-3으로 복귀되고, 관심 영역을 다시 지정하여, 이후의 동작을 재귀적으로 행한다. 또한, 플롯에 의해 얻어지는 타원의 형상으로서는, 진원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진원일 필요는 없고, 데이터를 적절하게 할당할 수 있는 정도의 타원 형상이라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타원은 진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스텝 SA-6)
계속해서, 타원 궤적 결정부(32)는 벗어난 점을 제거한다. 벗어난 점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할 수 있다. 먼저, 벗어난 점을 설정하지 않고 스텝 SA-4로 얻어진 그림으로부터 최소 제곱법으로 타원의 초기 형상을 정한다. 이에 의해, 타원의 중심이 잠정적으로 결정된다. 이 중심의 둘레 360도를 k개의 영역으로 등분할한다. 각각의 분할 영역에 포함되는 프레임에 대해서, 잠정 중심으로부터 화소값의 조 I(f)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평균값을 구한다. 각각의 화소값의 조의 거리가 거리의 평균값 ±5%의 범위 내에 없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이것을 제외하기로 한다. 이렇게 하여 타원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벗어난 점을 제거하고, 남은 점을 사용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한 타원 형상을 다시 구해, 타원 중심을 갱신하고, 중심으로부터 화소값의 조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상기 선별을 행한다. 이후, 제외하는 점이 없어질 때까지 이것을 반복하고, 최종적인 타원 궤적을 결정한다.
(도 4의 스텝 SA-7)
계속해서,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33)는 최종적인 타원 궤적의 중심 O(도 6 참조)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마다 타원 궤도를 k개의 각도 영역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360도/k로 된다. k는 3 이상의 정수이다. 도시의 예에서는, k=12로 되어 있다. 얻어지는 방사선 화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분할 수 k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k의 수에 따라, 강도 변조의 1 주기당으로 취득되는 프레임수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각도 영역 중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점(하나의 점이 1 프레임에 대응)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스텝에 있어서의 k는 전 스텝의 k와 동일할 필요는 없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쪽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스텝 SA-8)
계속해서,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33)는 각 영역에 포함되는 점에 대응하는 프레임 화상을 평균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즉 i번째의) 각도 영역에 존재하는 프레임이 10매 존재했다(즉 10개의 점이 존재했다)고 하면, 그것들 10장의 프레임을 화소마다 평균하여, 1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스텝 SA-9)
계속해서, 방사선 화상 연산부(34)는 얻어진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종래의 줄무늬 주사법과 마찬가지의 연산을 행하고, 원하는 방사선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방사선 화상의 생성 방법 자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면 되므로, 이것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줄무늬 주사법에서는, 병진하는 격자의 이동 거리는 기지이며 정확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줄무늬 주사법 실시 중의 격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예를 들어 온도 드리프트에 의한 장치 전체의 왜곡에 의해 일정하지 않을 때는, 줄무늬 주사법의 연산 결과에 심각한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장치가 진동하고 있을 때, 즉, 격자의 상대적 위치가 진동하고 있을 때, 그 진동 주기가 줄무늬 주사법에 의한 각 스텝의 촬영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그 영향이, 생성되는 무아레 무늬의 선명도 저하로서 나타난다. 특히, 그 영향이 줄무늬 주사법의 각 스텝에서 일정하지 않을 때, 줄무늬 주사법의 연산 결과에 심각한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줄무늬 주사의 스텝을 미세하게 하여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이러한 드리프트나 진동의 영향을 취득 데이터로부터 검출하고, 또한, 원하는 줄무늬 주사법 연산을 실시하는 자기 해결형의 줄무늬 주사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드리프트나 비교적 느린 진동의 영향은, 무아레 무늬가 이동하는 효과로서 검지할 수 있다. 가령, 본래 i번째의 프레임에서 촬영되어야 할 위상차가, 격자의 진동이나 변형에 의해 i+1번째의 프레임에서 촬영되었다고 해도, 그것은, i+1번째의 각도 영역에 속하는 화상으로서 처리하면 되게 된다. 비교적 빠른 진동의 영향은, 무아레 무늬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상기의 타원 궤적의 의논에 있어서는, 화소값의 조가 타원의 중심에 가까워진 위치에서 나타나게 되고, 이것은 제외된다.
지금까지 언급하지 않았지만, 어떠한 이유로 X선원의 강도가 돌발적으로 변동된 경우도, 화소값의 조가 타원 궤도 상에서 벗어나기 쉬우므로, 이 영향도 본 실시 형태에 의해 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해, 격자의 상대 위치에 있어서의 드리프트나 진동, 추가로, X선원의 불안정성 등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로버스트한 줄무늬 주사법이 실현된다. 이에 의해, 장치 구성의 간소화나, 설치 조건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작된 격자 자체에 약간의 왜곡이 있다고 해도, 얻어지는 방사선 화상의 정밀도 열화의 우려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장치에서는, 장치 비용이나 운용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의 기재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각 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원부로서 X선원을 사용했지만, 시료에 대하여 투과성이 있는 다른 방사선, 예를 들어 중성자 선원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검출부로서는, 사용하는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심 영역의 수를 둘로 하여 이차원으로 ROI 화소값을 플롯했지만, 관심 영역의 수를 셋으로 하여 삼차원으로 ROI 화소값을 플롯하고, 타원체(입체 형상)를 생성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고안을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타원체도 타원이라고 하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소정 각도는 입체각으로 결정된다. 물론, 관심 영역의 수를 4 이상으로 하여, 대응하는 차원수의 공간에 화소값을 플롯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차원 공간에 플롯하여 생성되는 형상도, 본 명세서에서는 타원이라고 하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사용되는 차원수에 따라, 소정 각도를 취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장치는, 시료없는 상태에서, 격자 자체의 구성을 방사선 화상으로서 취득함으로써, 격자 자체의 형상 측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격자는 매우 미세한 구조이므로, 그 자체에 어느 정도의 왜곡을 갖고 있다. 이러한 왜곡은, 통상의 제조 방법에서는, 특별히 의도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발생된다. 물론, 의도적으로 왜곡을 갖도록 격자를 제조하는 것은 가능하다.
1: 촬상부
11: 선원
12: 격자부
120: G0 격자
121: G1 격자
122: G2 격자
13: 화상 검출기
2: 구동부
3: 처리부
31: ROI 화소값 취득부
32: 타원 궤적 결정부
33: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
34: 방사선 화상 연산부
4: 제어부
10: 강도 분포 화상
101: 제1 관심 영역
102: 제2 관심 영역
IA: 제1 ROI 화소값
IB: 제2 ROI 화소값
k: 타원 궤적의 분할 수

Claims (9)

  1. 방사선의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며,
    촬상부와, 구동부와,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상부는, 선원과, 격자부와, 화상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선원은, 상기 격자부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화상 검출기는, 상기 격자부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격자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에 주기적인 강도 변조를 부여하는 적어도 1매의 격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자는, 주기적인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격자를, 상기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ROI 화소값 취득부와, 타원 궤적 결정부와,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와, 방사선 화상 연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ROI 화소값 취득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 중 제1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타원 궤적 결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도 영역 화상 취득부는, 상기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방사선 화상 연산부는, 상기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서 k는 3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영역 화상은, 상기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가산 평균하여 얻어진 것인,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는, 적어도 제1 및 제2 격자를 구비하고 있는,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X선인,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의 면적에 포함되는 상기 강도 변조의 범위는, 상기 강도 변조의 1 주기의 1/4 이하로 되어 있는,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 궤적 결정부는, 상기 제1 ROI 화소값을,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 상기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상기 직교 좌표계 상에 플롯함으로써, 상기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값은,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평균값인,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8. 방사선의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며,
    선원으로부터 격자부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스텝과, 여기서 상기 격자부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에 주기적인 강도 변조를 부여하는 적어도 1매의 격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자부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복수 매의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격자를, 상기 방사선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강도 분포 화상 중 제1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1 ROI 화소값과, 제2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제2 ROI 화소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관심 영역 중 한쪽은, 다른 쪽에 대하여, 상기 강도 변조의 주기에 있어서, π/2의 위상차로 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ROI 화소값을, 상기 강도 분포 화상마다 플롯하여 얻어지는 타원 궤적을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타원 궤적을 소정 각도마다 분할하여 얻어지는 적어도 k개의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강도 분포 화상을 사용하여,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여기서 k는 3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k매의 각도 영역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화상 생성 방법.
  9. 제8항에 기재된 각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7026270A 2016-03-17 2017-02-20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KR102426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3760A JP6619268B2 (ja) 2016-03-17 2016-03-17 放射線画像生成装置
JPJP-P-2016-053760 2016-03-17
PCT/JP2017/006223 WO2017159229A1 (ja) 2016-03-17 2017-02-20 放射線画像生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534A true KR20180121534A (ko) 2018-11-07
KR102426991B1 KR102426991B1 (ko) 2022-08-01

Family

ID=5985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270A KR102426991B1 (ko) 2016-03-17 2017-02-20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33957B2 (ko)
EP (1) EP3431970B1 (ko)
JP (1) JP6619268B2 (ko)
KR (1) KR102426991B1 (ko)
CN (1) CN109073570B (ko)
WO (1) WO2017159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3983B2 (ja) * 2017-10-31 2020-08-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位相差撮像システム
JP7460577B2 (ja) 2020-06-03 2024-04-02 株式会社リガク X線画像生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629A (en) 1997-04-30 1998-09-22 Clauser; John F. Ultrahigh resolution interferometric x-ray imaging
WO2004058070A1 (ja) 2002-12-26 2004-07-15 Atsushi Momose X線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WO2012053459A1 (en) * 2010-10-20 2012-04-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using talbot interference and adjusting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WO2015064723A1 (ja) * 2013-10-31 2015-05-07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非破壊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207B2 (ja) * 1987-03-25 1997-04-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画像撮影装置
US7054406B2 (en) * 2002-09-05 2006-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CT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CT values
JP4328586B2 (ja) * 2003-09-02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連結処理方法、放射線画像連結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6101231A1 (ja) * 2005-03-25 2006-09-2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取得装置及び放射線画像取得システム
JP5718576B2 (ja) * 2010-02-23 2015-05-13 株式会社東芝 X線画像診断装置
US9526467B2 (en) * 2012-03-27 2016-12-27 Hitachi, Ltd. Radiatio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357975B2 (en) * 2013-12-30 2016-06-07 Carestream Health, Inc. Large FOV phase contrast imaging based on detuned configuration including acquisition and reconstruction techniques
JP6422123B2 (ja) 2015-08-27 2018-11-1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放射線画像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629A (en) 1997-04-30 1998-09-22 Clauser; John F. Ultrahigh resolution interferometric x-ray imaging
WO2004058070A1 (ja) 2002-12-26 2004-07-15 Atsushi Momose X線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WO2012053459A1 (en) * 2010-10-20 2012-04-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using talbot interference and adjusting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JP2012108098A (ja) * 2010-10-20 2012-06-07 Canon Inc トールボット干渉を用いた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調整方法
US20130181130A1 (en) * 2010-10-20 2013-07-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using talbot interference and adjusting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WO2015064723A1 (ja) * 2013-10-31 2015-05-07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非破壊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1970A4 (en) 2019-11-13
KR102426991B1 (ko) 2022-08-01
US10533957B2 (en) 2020-01-14
JP2017167032A (ja) 2017-09-21
CN109073570B (zh) 2020-11-06
US20190086341A1 (en) 2019-03-21
JP6619268B2 (ja) 2019-12-11
EP3431970B1 (en) 2020-12-02
CN109073570A (zh) 2018-12-21
EP3431970A1 (en) 2019-01-23
WO2017159229A1 (ja)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2123B2 (ja) 放射線画像生成装置
CN106999125B (zh) 源-检测器布置结构
US8972191B2 (en) Low dose single step grating based X-ray phase contrast imaging
JP2012090945A (ja)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5783987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2426991B1 (ko) 방사선 화상 생성 장치
WO2012169426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1206490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WO2012057022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WO2020188970A1 (ja) 表示制御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3038881A1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3042788A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アンラップ処理方法
WO2012147749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WO2018168621A1 (ja) 放射線画像生成装置
JP6789591B2 (ja) 放射線位相撮像装置
JP2011206489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JP6797762B2 (ja) 放射線画像生成装置及び放射線画像生成方法
WO2013051647A1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3084657A1 (ja) 放射線撮影装置
JP2020038153A (ja) 放射線画像生成装置
CN113758950A (zh) X射线图像生成装置
JP2014113168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Miaoa et al. Classification: Physical Sciences, Applied Physical Sciences
JP2013090921A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