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506A - 상품 자동 반출기 - Google Patents

상품 자동 반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506A
KR20180121506A KR1020187023949A KR20187023949A KR20180121506A KR 20180121506 A KR20180121506 A KR 20180121506A KR 1020187023949 A KR1020187023949 A KR 1020187023949A KR 20187023949 A KR20187023949 A KR 20187023949A KR 20180121506 A KR20180121506 A KR 20180121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oods
card
pro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고 우에하타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06Details of the card
    • G07F7/0833Card having specific functional components
    • G07F7/084Additional components relating to data transfer and storing, e.g. error detection, self-diagnos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상품 수납 장치(4)와, 상품 수납 장치(4)의 상품 반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적어도 상품의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기록 매체)(C)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12)와, 상품 교환 카드(C)를 회수하여 수납 가능한 회수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품 수납 장치(4)에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상품 자동 반출기
[0001] 본 발명은, 복수의 상품이 수납됨과 함께 수납된 상품을 차례로 반출하여, 상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자동 반출기에 관한 것이다.
[0002] 상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자동 판매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는, 적절한 용기에 담긴, 복수 종류의 음료 등의 상품을 상품 수납고(收納庫) 내에 수납한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는, 이용자에 의해 동전 등의 금전이 투입되고 또한 상품 선택 버튼이 눌려지며, 또한, 투입 금전 등이 선택된 상품 대금 이상임을 판별한 경우에, 선택된 상품을 상품 수납고로부터 상품 수취부로 반출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03] 이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의 이용자는, 상품을 수취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동전 등을 투입하고 또한 상품 선택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0004]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1-170586호
[0005]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의 이용자는, 금전 투입, 상품 선택 버튼의 누름 및 필요한 경우에는 반환 동전 등의 수취와 같은 일련의 조작(동작)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일련의 조작은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이용자가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0006]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상품을 수취할 때의 장치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 수고를 줄여, 이용자가 간단하게 상품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품 자동 반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7]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상품 자동 반출기는, 상품이 수납됨과 함께 수납된 상품을 차례로 반출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해당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 반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품 자동 반출기는, 적어도 상기 상품의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상기 정보가 판독된 상기 기록 매체를 회수하여 수납 가능한 회수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상기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0008] 상기 하나의 측면에 따른 상품 자동 반출기에서는, 판독부에 의해, 적어도 상품의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회수부에 의해, 정보 판독 후의 기록 매체를 회수하고, 제어부에 의해, 판독부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품 수납 장치에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단지, 기록 매체의 정보를 판독부에 판독시키면, 상품 수납 장치에 의해 반출된 상품을 수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는 반환되는 일 없이 회수부에 의해 회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기록 매체의 이후의 처리나 관리에 번거로움을 느낄 일도 없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종래에 필요하였던 장치에 대한 동전 등의 금전 투입, 상품 선택 버튼의 누름 및 반환 동전 등의 수취와 같은 조작들을 행하는 일 없이, 단지, 장치에 대해 기록 매체의 정보를 판독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상품을 수취할 수 있다.
[0009] 이와 같이 하여, 상품을 수취할 때의 장치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 수고를 줄여, 이용자가 간단하게 상품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품 자동 반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001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자동 반출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상품 자동 반출기의 외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상품 자동 반출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상품 자동 반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0011]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정면도(이용자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대해, 후술하는 외측 도어(2)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인 동시에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상품으로서 용기에 든 음료(본 실시형태에서는 패트병에 든 음료)를 냉각하여 수납함과 함께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을 반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면(前面)이 개구(開口)된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와,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의 전면을 개폐하는 외측 도어(2)와, 후술하는 상품 수납고(1a)의 전면을 개폐하는 내측 도어(3)를 구비하고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가,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0012] 상기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동전, 지폐, 전자화폐가 아니라, 적어도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미리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의 상품 교환 카드(C)를 통해, 상품을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상품 교환 카드(C)가, 상기 정보가 기록된 IC 칩을 내장한 IC 카드인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상품 교환 카드(C)에 기록된 상기 정보의 상세, 및, 이용자가 상기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0013] 상기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는,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상품 수납고(1a)와, 상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기계실(1b)로 구분되어 있다. 기계실(1b)은 상품 수납고(1a)의 하방(下方)에 위치한다.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품 수납고(1a)를 둘러싸는 단열벽(1c)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0014] 상기 상품 수납고(1a)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면측, 배면측, 저면측 및 좌우 양측면측이 단열벽(1c)에 의해 둘러싸인 단열 구조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품 수납고(1a) 내에는, 상품 수납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4)의 하방에는, 상품 슈터(5)(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슈터(5)는,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전면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품 수납고(1a)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 장치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수납고(1a)는,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격벽(1d)을 통해 둘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구획된 각 챔버(庫室)에는, 각각 상품 수납 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참고로, 상품 수납 장치(4)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0015] 상기 외측 도어(2)는,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이며, 그 폭 방향 일단측이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측 도어(2)의 전면에는, 이용자가 상품 교환 카드(C)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2a), 및, 이용자가 상품을 수취하기 위한 수취구(2b)가 개구되어 있다.
외측 도어(2)의 전면측에는, 삽입구(2a)를 둘러싸듯이 수지제의 화장판(2c)이 부착되어 있다. 외측 도어(2)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삽입구(2a)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품 교환 카드(C)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리더 유닛(1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수취구(2b)의 개구 상단부에는, 외측 도어측 플랩(6)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도어측 플랩(6)에 의해, 수취구(2b)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외측 도어(2)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수취구(2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품 수납 장치(4) 내로부터 배출된 상품을 수취하는 상품 받이부(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외측 도어(2)의 배면측에는, 상품 교환 카드(C)의 회수부(20)와, 상기 냉각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카드 리더 유닛(10), 회수부(20) 및 제어부(3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0016] 상기 내측 도어(3)는, 상품 자동 반출기 본체(1) 내의 상품 수납고(1a)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로서, 단열재를 내부에 구비하여 형성된 도어이다. 상기 단열성 내측 도어(3)의 하부에는, 상품 수납고(1a)와 수취구(2b)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두 개)의 상품 반출구(3a)가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품 반출구(3a)의 개구 상단부에는, 내측 도어측 플랩(8)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내측 도어측 플랩(8)에 의해, 상품 반출구(3a)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0017] 상기 상품 수납 장치(4)는, 복수의 상품이 수납됨과 함께 수납된 상품을 차례로 반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품 수납 장치(4)는, 복수 종류의 상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품 수납 장치(4)는, 상품 수납고(1a) 내의 격벽(1d)에 의해 구획되는 각 챔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상품 수납 장치(4)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여기서는 다섯 개)의 상품 수납 칼럼(4a)을 가진다. 각 상품 수납 칼럼(4a)은, 동종(同種)의 복수의 상품(용기에 든 음료)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수납함과 함께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품부터 차례로 상품을 반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4)는, 이른바 서펜타인식의 기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4)에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4a)의 상단측의 상품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상품을, 상품 수납 칼럼(4a)에 있어서의 지그재그(蛇行) 형상의 상품 통로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겹쳐 쌓아 수납한다. 그리고, 상품 수납 장치(4)의 하단측에 설치된 상품 반출 기구(4b)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부터 차례로 상품을 1개씩 상품 슈터(5)측으로 낙하 반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18]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상품 수납 장치(4)(도 2에 있어서, 좌측을 「제1 수납 장치(41)」, 우측을 「제2 수납 장치(42)」라 함)는 각각 5 종류의 상품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수납고(1a) 내에는 총 10종류의 상품을 수납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상품 수납 장치(4)(41, 42)에, 각각, 동일한 베리에이션(variation)의 상품이 동일하게 수납되어 있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제1 수납 장치(41) 내의 5 종류의 상품과 제2 수납 장치(42) 내의 5 종류의 상품은 동일하며, 동종의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수납 칼럼(4a)의 전후 방향의 위치도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전후 방향의 위치가 동일한 상품 수납 칼럼(4a)에는 각각, 동일한 칼럼 번호(CN)가 할당되어 있다. 즉, 예컨대, 제1 수납 장치(41)의 맨 앞줄의 상품 수납 칼럼(4a)의 칼럼 번호(CN)와 제2 수납 장치(42)의 맨 앞줄의 상품 수납 칼럼(4a)의 칼럼 번호(CN)는 동일하다. 그리고, 칼럼 번호(CN)로서는, 맨 앞줄측부터 순서대로 1, 2, 3, 4, 5가 할당된다.
[0019]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품 수납고(1a) 내의 각 챔버는, 그 내부가 도시가 생략된 냉각 장치에 의해 각각 냉각되며, 상품 수납 장치(4) 내에 수납된 상품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하는 과냉각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냉각 장치는, 제어부(30)에 의해, 상기 각 챔버 내의 온도가 상품을 과냉각 상태로 냉각하여 유지 가능한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그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0020]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는, 상품으로서의 용기에 든 음료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이며, 예컨대, -5℃ 전후(-2℃∼-8℃)로 되어, 통상의 찬 음료보다, 온도가 낮은 데다가, 그 설정 온도 범위가 좁다(엄격하다). 이러한 상품으로서의 용기에 든 과냉각 음료는, 소정 시간 동안, 과냉각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그 상품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예컨대, 과냉각 음료가 각 챔버에 배치된 제1 수납 장치(41) 및 제2 수납 장치(42) 내에서 과냉각 상태로 수납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상온(常溫)의 상품이 보충되면, 그 상품 보충이 이루어진 일방(一方)의 챔버 내의 온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그 챔버 내의 상품의 상품 가치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상품 수납 장치(4)(41, 42) 중 일방을, 반출 가능한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하고, 타방(他方)을, 반출을 강제 정지하는 '준비 중 장치'로서 설정하며, 소정 시간마다,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어느 상품 수납 장치(4)(41, 42)에도 상품이 과냉각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동시에, 제1 수납 장치(41)가 반출 중 장치로, 제2 수납 장치(42)가 준비 중 장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1 수납 장치(41)로부터 상품이 차례로 반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수납 장치(41)가 준비 중 장치로 전환 설정되며, 제2 수납 장치(42)가 반출 중 장치로 전환 설정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 등이 새롭게 준비 중 장치로서 설정된 제1 수납 장치(41)에 상품을 보충함으로써, 새롭게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된 제2 수납 장치(42) 내의 상품 가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 직후에, 과냉각 음료를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2 수납 장치(42)로부터 반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반출의 기회를 손상시킬 일은 없다. 또한, 새롭게 준비 중 장치로서 설정된 제1 수납 장치(41) 내에 보충된 상품은, 다음 전환시까지, 과냉각 음료로서의 상품 가치를 가지는 상품이 되므로, 계속적으로 과냉각 음료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0021] 여기서, 상품 교환 카드(C)에 기록된 상기 정보, 및, 이용자가 상기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0022] 상품 교환 카드(C)에 기록되는 상기 정보는, 상품 수납 장치(4) 내에 수납된 상품에 대한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반출 허가 정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가 편의점 등의 점포의 카운터 등에서 점원에게 구입 의사를 전한 반출 대상(구입 대상)의 상품 종별(상품의 종류)을 식별 가능한 상품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품 종별마다 각각 미리 정해져 있다. 상품 식별 정보로서는, 예컨대, 음료 번호(DN)가 상품 종별마다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5 종류의 상품을 상품 수납 장치(4) 내에 수납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음료 번호(DN)가 1인 상품은, 칼럼 번호(CN)가 1인 상품 수납 칼럼(4a)에 수납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음료 번호(DN)가 2∼5인 상품은, 칼럼 번호(CN)가 2∼5인 상품 수납 칼럼(4a)에 각각 수납되는 것으로 한다.
[0023]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는, 각 상품 교환 카드(C)에 고유의 매체 식별 정보(이하, 「카드 ID 정보」라 함)를 포함한다. 즉, 상품 교환 카드(C)에는, 상기 정보로서, 상품 식별 정보(반출 허가 정보)와 카드 ID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0024] 상기 카드 ID 정보는, 상품 교환 카드(C)마다의 고유의 정보이며, 예컨대, 적절한 자릿수의 숫자로 이루어진 정보이다. 또한, 카드 ID 정보는,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동종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사용되는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번호 발행(發番))되어 있다. 게다가, 카드 ID 정보는, 다른 점포에 설치된 동종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사용되는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번호 발행)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 ID 정보는, 예컨대, 각 상품 수납 칼럼(4a)에 수용 가능한 상품 개수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종류의 상품(즉, 동일한 음료 번호(DN))에 대해서는 번호가 이어지도록, 번호가 발행되어 있다.
[0025] 예컨대, 각 상품 수납 칼럼(4a)의 수용 가능한 상품 개수가 각각 30개인 것으로 하면, 카드 ID 정보는, 음료 번호(DN) 1에 대해서는 001∼030, 음료 번호(DN) 2에 대해서는 031∼060, 음료 번호(DN) 3에 대해서는 061∼090, 음료 번호(DN) 4에 대해서는 091∼120, 음료 번호(DN) 5에 대해서는 121∼150과 같이 번호가 발행된다. 여기서, 예컨대, 각 상품 수납 장치(4)(41, 42)에 있어서의 5개의 상품 수납 칼럼(4a)에 각각 최대 개수(30개)의 상품을 수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제1 수납 장치(41)에 150개, 제2 수납 장치(42)에 150개의 상품을 수납하여, 전체적으로 300개의 상품을 수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실제로 상품 반출을 담당하는 것은,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된 제1 수납 장치(41) 또는 제2 수납 장치(42) 중 어느 일방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출 가능한 상품의 총 개수는 150개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드 ID 정보는, 300개분의 상품에 대응하여 300세트의 번호가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반출 가능한 150개분의 상품에 대응하여 150세트(즉, 001에서 150)의 번호가 발행된다. 따라서, 카드 ID 정보의 번호 발행 수와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있어서의 상품 반출 가능 개수는 일치하고 있다.
[0026] 이용자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의 카운터 등에 있어서, 점원에게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구입 의사를 전함과 함께 그 상품의 대가에 대한 결제를, 현금(동전, 지폐), 전자 머니 카드, 크레디트 카드, 선불 카드, 데빗 카드(debit card) 등의 원하는 방법(형태)에 따라 행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그 결제 후, 점원으로부터 그 상품의 상품 식별 정보와 카드 ID 정보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C)를 받는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의 선택과 그 상품에 대한 결제를, 장치에 대해서가 아니라, 점원과 대면(對面)하는 식으로 행함으로써,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용자가 점포 내의 상품 선반 등에 진열되어 있는 다른 상품에 대해서도 구입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과, 상품 자동 반출기(10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상기 원하는 방법(형태)으로 한 번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용자가 장치의 조작에 서투른 고령자이거나 외국인 등이라 하더라도, 상품 자동 반출기(10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에 대해, 점원의 서포트 등을 받아 순조롭게 상품 선택 및 결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27] 다음으로, 카드 리더 유닛(10), 회수부(20) 및 제어부(30)에 대해, 도 1∼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카드 리더 유닛(10)을 포함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카드 리더 유닛(10)은, 상품 교환 카드(C)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본체부(11)와, 판독부(12)와, 카드 록킹부(13)를 구비한다.
[0028] 상기 본체부(11)는, 외측 도어(2)의 배면측으로부터 삽입구(2a)를 덮도록 외측 도어(2)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본체부(11) 내에는, 이용자에 의해 삽입구(2a)를 통해 삽입(투입)되는 상품 교환 카드(C)를 하방으로 인도하는 슬릿부(11a)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11a)의 일단은 삽입구(2a)에 연이어 통해 있으며, 타단은 하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0029] 상기 판독부(12)는, 슬릿부(11a)에 면하도록 본체부(11)에 부착되며, 슬릿부(11a)를 통과하는 상품 교환 카드(C)로부터 상기 정보를, 예컨대, 비접촉식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독부(12)에서 판독한 판독 정보(상품 식별 정보, 카드 ID 정보)는, 예컨대, 제어부(30)로 출력된다.
[0030] 상기 카드 록킹부(13)는, 판독부(12)의 하방에 배치되어, 삽입된 상품 교환 카드(C)의 낙하를 저지(록킹)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돌출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카드 록킹부(13)는, 초기 상태(즉, 상품 교환 카드(C)의 삽입시)에서는 돌출부(13a)를 슬릿부(11a) 내로 진출(돌출)시켜, 상품 교환 카드(C)의 하단에 돌출부(13a)를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카드 록킹부(13)는, 상품 교환 카드(C)를 슬릿부(11a) 내에 있어서의 판독부(12)의 전방 위치에서 정지시켜, 판독부(12)에 의해 상품 교환 카드(C) 내의 상기 정보를 확실하게 판독시킨다. 이러한 카드 록킹부(13)의 동작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참고로, 돌출부(13a)가 진출하여 상품 교환 카드(C)가 위치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품 교환 카드(C)의 상단이 삽입구(2a)보다 충분히 하방에 위치하도록, 판독부(12) 및 카드 록킹부(13)가 배치되어 있다.
[0031] 상기 회수부(20)는, 판독부(12)에 의해 상기 정보가 판독된 상품 교환 카드(C)를 회수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된 박스체이다.
예컨대, 회수부(20)는, 카드 리더 유닛(10)의 슬릿부(11a)를 통해 낙하하는 상품 교환 카드(C)를 회수 가능하도록 박스체의 상방(上方)을 개구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카드 리더 유닛(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수부(20) 내에 수용된 사용이 끝난 상품 교환 카드(C)는,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을 전환할 때(즉,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품 보충시)에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회수되며, 동일 점포의 카운터 등에 남아 있는 미결제(미사용)의 상품 교환 카드(C)와 함께, 다음의 반출 중 장치용의 상품 교환 카드(C)로서, 동일한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대해 재이용된다. 상기 재이용되는 상품 교환 카드(C) 내의 정보는, 오버라이트(overwrite)되는 일 없이 그대로 이용된다. 즉, 카드 ID 정보 및 음료 번호(DN)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C)는, 그대로 동일 점포 내의 동일한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대해 재이용된다.
[0032] 상기 제어부(30)는, 외측 도어(2)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예컨대, 상품 자동 반출기(10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의 전환,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된 상품 수납 장치(구체적으로는, 상품 반출 기구(4b))(4)의 상품 반출 동작, 카드 록킹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적절한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31)를 구비한다.
[0033] 상기 기억부(31)에는, 사용 예정(즉, 점포에서 발행 및 번호 발행될 예정)인 복수의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매체 식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31)는, 카드 ID 정보를 대응하는 음료 번호(DN)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31)에는, 어느 칼럼 번호(CN)(=1∼5)의 상품 수납 칼럼(4a)에 어느 상품 종별의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음료 번호(DN)와 칼럼 번호(CN)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즉, 기억부(31)에는, 카드 ID 정보, 음료 번호(DN) 및 칼럼 번호(CN)가 관련지어져 미리 기억되어 있다.
[0034] 다음으로, 제어부(30)에 의한 상기 전환 설정 및 상품 반출 동작의 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0035] 제어부(30)는, 각 상품 수납 장치(4)(41, 42) 중 일방을, 상품 반출이 가능한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하고, 타방을, 상품 반출을 강제 정지하는 준비 중 장치로서 설정하여, 소정 시간마다,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을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예컨대,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24 시간마다,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환 직전에 있어서는, 예컨대, 반출 중 장치(41 또는 42)는 상품 수납 잔여 수량이 줄어든 상태이고, 준비 중 장치(42 또는 41)는 과냉각 상태의 상품을 반출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전환 직후에, 새로운 준비 중 장치(41 또는 42)에 대해,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상품이 보충된다.
[0036] 또한,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품 반출 기구(4b)에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판독부(12)로부터 판독 정보가 출력되면,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 장치(4)(41 또는 42) 중, 판독 정보 내의 음료 번호(DN)(상품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칼럼 번호(CN)의 상품 수납 칼럼(4a)의 상품 반출 기구(4b)에 대해,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해 상기 정보가 판독되어, 상품 반출 기구(4b)에 대해,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 경우, 그 상품이 반출이 끝난 상태임을 나타내는 반출 완료 정보를 기억부(31)에 기억시킨다. 상기 반출 완료 정보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부(31) 내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부(31)에 기억된다.
[0038]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31)에 기억된 모든 상기 반출 완료 정보는, 소정 시간마다 소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이 끝난 상품 교환 카드(C)는, 그대로 동일 점포 내의 동일한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대해 재이용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30)는, 예컨대, 전술한 반출 중 장치 및 준비 중 장치의 설정 대상의 전환과 동시에 또는 그 전환 타이밍으로부터 오퍼레이터 등에 의한 상품 보충 작업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한 시간만큼 늦추어 지연시킨 시각에,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중 반출 완료 정보에 대해서만 소거하고, 음료 번호(DN)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카드 ID 정보에 대해서는 소거하지 않고 그대로 기억한다.
[0039] 여기서, 부정(不正)한 상품 교환 카드(C)를 삽입하여 상품을 부정하게 반출시키거나, 정규로 입수한 상품 교환 카드(C)를 부정하게 복제시키거나 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고 있다.
[0040] 예컨대, 번호가 발행되어 있지 않은 카드 ID 정보를 기록한 상품 교환 카드(C)를 이용하는 부정행위를 상정할 수 있다.
상기 부정행위에 대해,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삽입된 상품 교환 카드(C)가 부정 카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카드 ID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함과 함께 카드 록킹부(13)에 돌출부(13a)를 후퇴시키는 명령을 출력한다. 그 결과, 상품 교환 카드(C)는, 슬릿부(11a)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부(20)에 수용된다. 한편,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카드 ID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돌출부(13a)의 진출(돌출)을 유지시켜, 상기 상품 교환 카드(C)를 슬릿부(11a) 내에 유지함과 함께, 도시가 생략된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등에 의해, 점포의 점원에 대해 상품 교환 카드(C)가 부정한 카드 등임을 알린다.
[0041] 또한, 정규로 번호가 발행된 카드 ID 정보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C)라 하더라도, 동일한 상품 교환 카드(C)에 의해 상품을 중복하여 반출시키고자 하는 부정행위도 상정된다.
이러한 부정행위에 대해,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부(31) 내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함과 함께 카드 록킹부(13)에 돌출부(13a)를 후퇴시키는 명령을 출력한다. 그 결과, 상품 교환 카드(C)는, 슬릿부(11a)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부(20)에 수용된다. 한편,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부(31) 내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돌출부(13a)의 진출을 유지시킴과 함께 표시등을 점등시킨다.
[0042] 또한, 상품 교환 카드(C)를 정규로 입수하고, 이것을 부정하게 복제하여 부정 카드를 이용하는 부정행위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점포에서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하고 나서, 그 상품 교환 카드(C)를 사용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을 필요로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부정행위에 대해, 제어부(30)는, 기억부(31)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카드 ID 정보 중 특정의 카드 ID 정보를 무효화하고, 상기 무효화된 카드 ID 정보를 판독한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어부(30)는 돌출부(13a)의 진출을 유지시킴과 함께 표시등을 점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점포의 카운터 등에서 결제가 끝난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부(31)에 기억되어야 할 반출 완료 정보가, 예컨대, 상품의 보충시 등에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카드 ID 정보를 무효화하도록, 제어부(30)에 수동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0043]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의 판독부터 상품 반출까지의 동작을, 도 3∼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전술한 부정행위는 없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0044] 이용자에 의해 삽입구(2a)를 통해 상품 교환 카드(C)가 삽입되면, 상품 교환 카드(C)는 슬릿부(11a)를 통해 판독부(12)측으로 인도된다.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 카드 록킹부(1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3a)를 슬릿부(11a) 내로 진출시켜, 상품 교환 카드(C)를 슬릿부(11a) 내에 있어서의 판독부(12)의 전방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판독부(12)는, 상품 교환 카드(C) 내의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지, 이 카드 ID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지, 및, 이 카드 ID 정보가 무효화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연산)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상품 수납 장치(4)(41 또는 42) 중, 판독 정보 내의 음료 번호(DN)에 대응하는 칼럼 번호(CN)의 상품 수납 칼럼(4a)의 상품 반출 기구(4b)에 대해,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다. 상품 반출 기구(4b)에 대해 반출 허가 명령이 출력되면, 상품 반출 기구(4b)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출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상품 수납 칼럼(4a)의 최하부로부터 상품을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이후, 상품은, 상품 슈터(5)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 이동(轉動)하여, 상품 반출구(3a)에 부착된 내측 도어측 플랩(8)을 밀어 열고, 상품 받이부(7) 내로 배출된다. 이용자는, 외측 도어측 플랩(6)을 열고 상품 받이부(7) 내의 상품을 수취한다.
[0045]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서는, 판독부(12)에 의해, 적어도 상품의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C)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회수부(20)에 의해, 정보 판독 후의 상품 교환 카드(C)를 회수하고, 제어부(30)에 의해,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품 수납 장치(4)에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단지, 상품 교환 카드(C)의 정보를 판독부(12)에 판독시키면, 상품 수납 장치(4)에 의해 반출된 상품을 수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교환 카드(C)는 반환되는 일 없이 회수부(20)에 의해 회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상품 교환 카드(C)의 이후의 처리나 관리에 번거로움을 느낄 일도 없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종래에 필요하였던 장치에 대한 동전 등의 금전 투입, 상품 선택 버튼의 누름 및 반환 동전 등의 수취와 같은 조작 등을 행하는 일 없이, 단지 장치에 대해 상품 교환 카드(C)의 정보를 판독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상품을 수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품을 수취할 때의 장치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 수고를 줄여, 이용자가 간단하게 상품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상품 자동 반출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0046] 또한, 회수부(20) 내에 수용된 사용이 끝난 상품 교환 카드(C)는,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회수함으로써, 용이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004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수납 장치(4)는, 복수 종류의 상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반출 허가 정보는, 반출 대상의 상품 종별을 식별 가능한 상품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반출 가능한 상품의 종류가 다수인 경우에 있어서, 반출 허가 정보를, 반출을 허가하는 정보로서만이 아니라, 반출 대상의 상품 종별을 특정하는 정보로서도, 판독부(12)를 통해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0048]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교환 카드(C)에는, 카드 ID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품 교환 카드(C)에 관한 부정행위를 방지할 때, 상기 카드 ID 정보를 유용한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0049]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카드 ID 정보의 번호 발행 수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있어서의 상품 반출 가능 개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품 교환 카드(C)의 매수와 상품 반출 가능 개수를 일치시킬 수 있어, 점원 등이 점포의 카운터 등에 남아 있는 상품 교환 카드(C)의 매수를 카운트하거나, 회수부(2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 교환 카드(C)를 카운트하거나 하는 것만으로, 점포에서 판매 가능한 상품 수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0050]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사용 예정인 복수의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31)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해 정보가 판독되어,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 경우, 반출 완료 정보를,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부(31) 내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부(31)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반출 완료 정보에 의해, 이용자가,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한 후, 실제로 상품을 받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의 반출 개수 또는 재고 개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참고로, 반출 완료 정보에 반출 시각을 부가함으로써, 반출 이력을 상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005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31)에 기억된 모든 반출 완료 정보는, 소정 시간마다 소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기억부(31) 내에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되어 사용이 끝난 상품 교환 카드(C)라고 식별되어 있는 상품 교환 카드(C)를, 제어부(30)에 의한 관리 상에 있어서 미사용 카드로 리셋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ID 정보에 대해서는 소거하지 않고 그대로 기억시키는 것만으로, 상품 교환 카드(C)를 그대로 재이용할 수 있다.
[005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가 기억부(31) 내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삽입된 상품 교환 카드(C)가 부정 카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번호가 발행되어 있지 않은 카드 ID 정보를 기록한 상품 교환 카드(C)를 이용하는 부정행위를, 카드 ID 정보를 이용한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53]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판독부(12)에 의한 판독 정보 내의 카드 ID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부(31) 내의 카드 ID 정보에 관련지어,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고, 반출 완료 정보가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정규로 번호가 발행된 카드 ID 정보가 기록된 상품 교환 카드(C)를 이용하여, 상품을 반출시킴과 함께, 그 상품 교환 카드(C)를 뽑아내고, 동일한 상품 교환 카드(C)에 의해 상품을 중복하여 반출시키고자 하는 부정행위를, 카드 ID 정보를 이용한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5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 ID 정보는, 상품 교환 카드(C)마다의 고유의 정보이며, 동일 점포 내에 설치된 동종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있어서는 물론, 다른 점포에 설치된 동종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사용되는 상품 교환 카드(C)의 카드 ID 정보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번호 발행)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동일한 상품 교환 카드(C)를, 동일 점포 내부 혹은 다른 점포에 설치되어 있는 동종의 상품 자동 반출기(100)에 이용하여, 상품을 중복하여 반출시키고자 하는 부정행위를, 카드 ID 정보를 이용한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55]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0)는, 기억부(31)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카드 ID 정보 중 특정한 카드 ID 정보를 무효화하여, 해당 무효화된 카드 ID 정보를 판독한 경우에,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품 교환 카드(C)를 입수하여, 이것을 부정하게 복제하여 부정 카드를 이용하는 부정행위도, 카드 ID 정보를 이용한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0056] 참고로, 기억부(31)는, 제어부(30)에 설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드 리더 유닛(10)에 설치해도 되며, 제어부(30)나 카드 리더 유닛(10)과는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판독부(12)에 상품 교환 카드(C)에 대한 정보 기입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품 교환 카드(C)의 정보를, 상품 자동 반출기(100)측에서 적절히 오버라이트하거나, 적절한 정보를 추가하거나 할 수가 있다.
또한, 상품 교환 카드(C)는, 상기 정보가 기록된 IC 칩을 내장한 IC 카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정보가 기록된 자기 카드,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인자(기록)된 종이 등의 적절한 재질로 형성된 카드 등의 적절한 기록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005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식별 정보는, 1 자릿수로 이루어진 단순한 음료 번호(DN)(1∼5)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JAN 코드 등의 적절한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출 허가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상품이 수납되는 칼럼 번호(CN)여도 된다. 또한, 반출 허가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나 칼럼 번호(CN)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납되는 상품이 1 종류인 경우에는, 상품의 종별이나 그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수납 칼럼(4a)의 위치를 제어부(30)에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출을 허가하는 것을 식별 가능한 미리 정한 정보여도 된다.
[0058]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주로, 카드 ID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상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더하여, 예컨대, 일단 삽입한 상품 교환 카드(C)의 빼냄을 방지하는 빼냄 방지 기구를 판독부(12)의 상방 등에 적절히 설치해도 된다.
[0059]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상품으로서 과냉각 음료를 수납 및 반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 온도 범위가 넓은(엄격하지 않은) 통상의 찬 음료나 뜨거운 음료를 수납 및 반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수납 장치(41) 및 제2 수납 장치(42)의 양방을 항상 반출 중 장치로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품으로서는, 용기에 든 음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상품을 수납 및 반출할 수 있다.
[0060]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장치에 대한 금전 결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품 교환 카드(C)를 통해 상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 설치되는 상품 선택 버튼, 동전 투입구, 지폐 투입구 등으로 이루어진 금전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전 처리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품 자동 반출기(100)는, 예컨대, 장치의 조작에 서투른 고령자나 외국인 등에게 잘 팔리는 상품에 대해서는 상품 교환 카드(C)를 통해 반출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상품 또는 모든 상품에 대해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이용자에 의해 상품 선택 버튼을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해, 금전 처리 장치를 통해 금전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0061]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 및 교시(敎示)에 근거하여, 더욱 다양한 변형 양태를 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0062] 4 : 상품 수납 장치
12 : 판독부
20 :회수부
30 : 제어부
31 : 기억부
100 : 상품 자동 반출기
C : 상품 교환 카드(기억 매체)

Claims (7)

  1. 상품이 수납됨과 함께 수납된 상품을 차례로 반출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해당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 반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상품 자동 반출기로서,
    적어도 상기 상품의 반출 허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상기 정보가 판독된 상기 기록 매체를 회수하여 수납 가능한 회수부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한 판독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상기 상품의 반출을 허가하는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는, 상품 자동 반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장치는, 복수 종류의 상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반출 허가 정보는, 반출 대상의 상품 종별을 식별 가능한 상품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 상품 자동 반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에 고유의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자동 반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 예정인 복수의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매체 식별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해 상기 정보가 판독되어, 상기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한 경우, 상기 상품이 반출 완료 상태임을 나타내는 반출 완료 정보를,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판독 정보 내의 매체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기억부 내의 매체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상품 자동 반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모든 상기 반출 완료 정보는, 소정 시간마다 소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품 자동 반출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판독 정보 내의 매체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기억부 내의 매체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반출 완료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반출 완료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는, 상품 자동 반출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매체 식별 정보 중 특정한 매체 식별 정보를 무효화하여, 해당 무효화된 매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경우에, 상기 반출 허가 명령을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상품 자동 반출기.

KR1020187023949A 2016-01-21 2016-07-19 상품 자동 반출기 KR20180121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0133A JP2017130120A (ja) 2016-01-21 2016-01-21 商品自動搬出機
JPJP-P-2016-010133 2016-01-21
PCT/JP2016/071182 WO2017126141A1 (ja) 2016-01-21 2016-07-19 商品自動搬出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506A true KR20180121506A (ko) 2018-11-07

Family

ID=5936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949A KR20180121506A (ko) 2016-01-21 2016-07-19 상품 자동 반출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74113A1 (ko)
JP (1) JP2017130120A (ko)
KR (1) KR20180121506A (ko)
MX (1) MX2018008960A (ko)
PH (1) PH12018501776A1 (ko)
WO (1) WO2017126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6499B2 (ja) * 2019-08-28 2021-06-16 帝人株式会社 読取システム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JP7449114B2 (ja) * 2020-02-25 2024-03-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会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1895A (ja) * 1985-03-27 1986-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2003296764A (ja) * 2002-04-02 2003-10-17 Nippon Signal Co Ltd:The 硬貨処理装置
JP2003346224A (ja) * 2002-05-27 2003-12-05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動販売機
JP2005135233A (ja) * 2003-10-31 2005-05-26 Omron Corp Icコイン発行装置と景品引換システム、及びicコ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4113A1 (en) 2021-03-11
PH12018501776A1 (en) 2019-05-15
JP2017130120A (ja) 2017-07-27
MX2018008960A (es) 2019-07-01
WO2017126141A1 (ja)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5691B1 (e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US5133441A (en) Video cassette vending machine
US4893705A (en) Vending machine having plural compartments which are independently selected and controlled
JP5884395B2 (ja) 自動販売機
EP0357634B1 (en) Card operated vending machine
KR20180121506A (ko) 상품 자동 반출기
JP2003311002A (ja) 遊技用記録媒体処理装置
JPH03119496A (ja) 商品荷受および管理機能を有する自動販売機
WO2018012201A1 (ja) 商品自動搬出機
TWI639139B (zh) 商品自動搬出裝置
CN108629893B (zh) 自动售货机
JP6711517B2 (ja) 商品自動搬出機
JP2860976B2 (ja) 物品の自動取次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129500A (zh) 自动售货机及其显示控制方法、自动售货机系统
JP7151800B2 (ja) 自動販売機
JP5375287B2 (ja) 自動販売機
JP6540860B2 (ja) 釣銭チャージ機能付き自動販売機及びその販売制御方法
JP6390235B2 (ja) 釣銭チャージ機能付き自動販売機及びその販売制御方法
JP2003311005A (ja) 遊技用記録媒体処理装置
CN1155921C (zh) 自动售货机
JP4734918B2 (ja) ショーケース
KR100777909B1 (ko) 숙박업소용 자동판매기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50858A (ja) 自動販売機
US6634481B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CA1247722A (en) Video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