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373A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373A
KR20180121373A KR1020180046200A KR20180046200A KR20180121373A KR 20180121373 A KR20180121373 A KR 20180121373A KR 1020180046200 A KR1020180046200 A KR 1020180046200A KR 20180046200 A KR20180046200 A KR 20180046200A KR 20180121373 A KR20180121373 A KR 2018012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electron conductive
conductive oxide
particles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748B1 (ko
Inventor
다이스케 호리카와
류타 스기우라
사토시 가나다
데츠타로 하야시
다이라 아이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12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 C01G53/42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or Li(MyNixMn1-x-y)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20Two-dimension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4Three-dimensional structures perovskite-type (ABO3)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은, 정극 합재층 (100) 을 포함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복합 입자 (10) 및 전자 전도성 입자 (20) 를 포함한다. 복합 입자 (10) 는, 정극 활물질 입자 (11) 및 피막 (12) 을 포함한다. 피막 (12) 은,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피막 (12) 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정극 합재층 (100) 내에 분산되어 있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66879호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자 전도성 산화물에 의해,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이하 「정극」이라고 약기되는 경우가 있다) 은, 정극 합재층을 포함한다. 정극 합재층은, 정극 활물질 입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정극 합재층은, 도전 보조제로서 카본 블랙도 포함한다. 정극 활물질 입자의 전자 전도성이 낮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전자 전도성 산화물에 의해, 정극 활물질 입자가 피복되어 있다. 카본 블랙 (비정질 탄소) 과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이종 재료이다. 이종 재료 사이에서는, 전자 전도를 위한 에너지 장벽이 높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전자 전도 패스가 원활하게 이어지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즉, 정극 합재층 전체의 전자 전도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전지 저항이 저감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개시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가 설명된다. 단, 본 개시의 작용 메커니즘은 추정을 포함하고 있다. 작용 메커니즘의 옳고 그름에 의해, 특허청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은, 정극 합재층을 포함한다. 정극 합재층은, 복합 입자 및 전자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복합 입자는, 정극 활물질 입자 및 피막을 포함한다. 피막은,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피막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는, 정극 합재층 내에 분산되어 있다. 전자 전도성 입자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다.
상기 [1] 의 구성에서는,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정극 합재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동일 형식의 결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의 전자 밴드 구조가 근사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로써 전자 전도를 위한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정극 활물질 입자, 피막 및 전자 전도성 입자의 전자 전도 패스가 원할하게 이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즉, 정극 합재층 전체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로써 전지 저항이 저감되는 것이 기대된다.
[2]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하기 식 (I):
ABO3 … (I)
[단, 식 중,
A 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A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낸다.
B 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낸다.
B 는, Co, Ni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O 는 산소를 나타낸다.]
에 의해 나타내어도 된다. B 사이트에, Co (코발트), Ni (니켈) 및 Mn (망간) 의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전자 전도성이 높은 것이 기대된다.
[3]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Co 를 포함해도 된다. B 사이트에 Co 가 포함됨으로써,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그 밖의 재료의 계면에, 불활성인 고 저항상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4]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B 사이트에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이 포함됨으로써, 결정 구조의 불안정화에 수반하는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로써 전해액의 산화 분해, 즉 가스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5]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i) Co 와, (ii)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이로써, 불활성인 고 저항상의 형성 그리고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6]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져도 된다. 이로써 양자의 전자 밴드 구조가 일치하기 때문에, 정극 합재층 전체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7]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α) ∼ (γ) 를 포함한다.
(α)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입자를 조제한다.
(β) 복합 입자와 전자 전도성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정극 합재를 조제한다. 및
(γ)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을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제조한다.
피막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다.
상기 [7] 의 구성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정극 합재층 전체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즉, 전지 저항이 저감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이 제공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라고도 기재된다) 가 설명된다. 단,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어 「A 및 B 의 적어도 일방」은,「A 만」,「B 만」그리고 「A 및 B 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도 1 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정극 (101) 은, 집전체 (1) 및 정극 합재층 (100) 을 포함한다. 집전체 (1)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Al) 박 등이어도 된다. Al 박은, 순 Al 박이어도 되고, Al 합금박이어도 된다. 집전체 (1) 는, 예를 들어, 10 ∼ 30 ㎛ 의 두께를 가져도 된다.
《정극 합재층》
정극 합재층 (100) 은, 집전체 (1)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정극 합재층 (100) 은, 집전체 (1) 의 표리 양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복합 입자 (10) 및 전자 전도성 입자 (20) 를 포함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예를 들어, 10 ∼ 100 ㎛ 의 두께를 가져도 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예를 들어, 2 ∼ 4 g/c㎥ 의 겉보기 밀도를 가져도 된다. 겉보기 밀도는, 정극 합재층 (100) 의 질량을 정극 합재층 (100) 의 겉보기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산출된다. 겉보기 체적은, 정극 합재층 (100) 의 두께와 면적의 곱이다.
《복합 입자》
복합 입자 (10) 는, 정극 활물질 입자 (11) 및 피막 (12) 을 포함한다. 복합 입자 (10) 는, 예를 들어, 1 ∼ 30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1 ∼ 20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5 ∼ 15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된다. 본 명세서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미립측으로부터 누적 50 % 의 입경을 나타낸다.
(정극 활물질 입자)
정극 활물질 입자 (11) 는, 정극 활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는, 1 차 입자가 집합된 2 차 입자일 수 있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는, 균일한 조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국소적으로 상이한 조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정극 활물질 입자 (11) 는, 조성이 서로 상이한 2 종 이상의 1 차 입자를 포함해도 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2 차 입자) 는, 예를 들어, 1 ∼ 30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1 ∼ 20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5 ∼ 15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된다.
정극 활물질은, 리튬 (Li) 이온을 전기 화학적으로 흡장하고, 또한 Li 이온을 전기 화학적으로 방출한다. 정극 활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층상 암염형 산화물, 스피넬형 산화물, 올리빈형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정극 활물질의 결정 구조는, 예를 들어, X 선 회절 (XRD) 법, 전자선 회절법 등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화학 조성은, 예를 들어, 에너지 분산형 X 선 분광 분석 (EDX) 법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층상 암염형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LiNiO2, LiCoO2, LiMnO2, LiNi1-e-fCoeAlfO2 [단, 식 중, e, f 는, 0 < e ≤ 0.3, 0 < f ≤ 0.1 을 만족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층상 암염형 산화물은,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이어도 된다.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은, 3 종의 천이 금속 원소 (Ni, Co 및 Mn) 를 포함한다.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은, 비용량이 비교적 크고, 열 안정성이 높은 것이 기대된다.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에 있어서, Ni, Co 및 Mn 의 일부가 그 밖의 원소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가스 발생량의 저감 등이 기대된다. 원소의 일부 치환에 의해, 예를 들어, 충전시의 결정 구조가 안정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에 있어서, 산소의 일부가 할로겐 원소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전지 저항의 저감 등이 기대된다. 전기 음성도가 높은 할로겐 원소에 의해, 예를 들어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근방에 있어서, Li 이온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은, 예를 들어, 하기 식 (II):
Li1+aNibCocMn1-b-cMpO2-qXq … (II)
[단, 식 중,
a, b, c, p, q 는, 0 ≤ a ≤ 0.7, 0.1 < b < 0.9, 0.1 < c < 0.4, 0 ≤ p ≤ 0.1, 0 ≤ q ≤ 0.5 를 만족한다.
M 은, Zr (지르코늄), Mo (몰리브덴), W (텅스텐), Mg (마그네슘), Ca (칼슘), Na (나트륨), Fe (철), Cr (크롬), Zn (아연), Si (규소), Sn (주석) 및 Al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X 는, F (불소), Cl (염소) 및 Br (브롬)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스피넬형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LiMn2O4, LiNi0.5Mn1.5O4 등을 들 수 있다. 올리빈형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LiFePO4, LiMnPO4 등을 들 수 있다.
(피막)
피막 (12) 은,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피막 (12) 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피막 (12) 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한, 예를 들어, Li 이온 전도성 산화물 등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피막 (12) 은, 실질적으로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만을 포함해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결정 구조, 화학 조성은 후술된다. 피막 (12) 은, 1 종의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단독으로 포함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해도 된다.
피막 (12) 은,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 전체를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의 일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피막 (12) 이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고 있음으로써, 전자 전도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피막 (12) 은, 예를 들어, 1 ㎚ ∼ 1 ㎛ 의 두께를 가져도 된다.
《전자 전도성 입자》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정극 합재층 (100) 내에 분산되어 있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복합 입자 (10) 보다 작은 입자여도 된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예를 들어, 0.01 ∼ 10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0.1 ∼ 1 ㎛ 의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된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실질적으로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만을 포함해도 된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결정 구조, 화학 조성은 후술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1 종의 전자 전도성 입자 (20)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 를 단독으로 포함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전자 전도성 입자 (20)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 를 포함해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
정극 합재층 (100) 에서는,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다. 즉,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정극 합재층 (100)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동일 형식의 결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들의 전자 밴드 구조가 근사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로써 전자 전도를 위한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정극 활물질 입자 (11), 피막 (12) 및 전자 전도성 입자 (20) 의 전자 전도 패스가 원할하게 이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즉, 정극 합재층 (100) 전체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정극 합재층 (100) 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의 합계 물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 이상 3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되고, 0.1 ㏖% 이상 2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되고, 0.5 ㏖% 이상 1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합계는, 정극 합재층 (100) 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의 합계 물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2 ㏖% 이상 6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되고, 0.2 ㏖% 이상 4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되고, 1 ㏖% 이상 2 ㏖% 이하의 비율을 가져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한,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상이한 화학 조성을 가져도 된다. 양자의 화학 조성이 상이해도, 전자 전도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져도 된다.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짐으로써, 양자의 전자 밴드 구조가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정극 합재층 (100) 전체의 전자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결정 구조는, XRD 법, 전자선 회절법 등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화학 조성은, EDX 법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극 합재층 (100) 또는 정극 (101) 이 소정의 수지에 포매된다. 집속 이온 빔 (FIB) 가공에 의해, 복합 입자 (10) 의 단면 샘플, 정극 합재층 (100) 의 단면 샘플이 조제된다. 주사형 투과 전자 현미경 (STEM)-EDX 장치에 의해 단면 샘플이 분석된다.
복합 입자 (10) 의 단면 샘플에 있어서, 피막 (12) 의 전자선 회절 패턴에 의해,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결정 구조가 특정될 수 있다. 피막 (12) 의 EDX 분석 (스폿 분석) 에 의해,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화학 조성이 측정될 수 있다. 또 정극 합재층 (100) 의 단면 샘플에 있어서, 전자 전도성 입자 (20) 의 전자선 회절 패턴에 의해,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결정 구조가 특정될 수 있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의 EDX 분석 (스폿 분석) 에 의해,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화학 조성이 측정될 수 있다. 화학 조성은, 적어도 3 개 지점의 측정 결과가 상가평균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입자 (10) 의 단면 샘플에 있어서, 피막 (12) 의 두께도 측정될 수 있다. 피막 (12) 의 두께는, 적어도 3 개 지점의 측정 결과가 상가평균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하기 식 (I):
ABO3 … (I)
[단, 식 중,
A 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A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낸다.
B 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낸다.
B 는, Co, Ni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O 는 산소를 나타낸다.] 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B 사이트에, Co, Ni 및 Mn 의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전자 전도성이 높은 것이 기대된다.
상기 식 (I) 에 있어서, A 는, 예를 들어, 희토류 원소 및 알칼리 토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어도 된다. A 는, 예를 들어, La (란탄) 및 Sr (스트론튬) 의 적어도 일방이어도 된다.
상기 식 (I) 에 있어서, 산소 사이트의 산소의 일부가 결손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전기적 중성이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 결손양은, 3 ㏖ 의 산소에 대하여, 예를 들어, 0 ∼ 0.5 ㏖ 정도여도 된다. 즉, 상기 식 (I) 에 있어서, 산소 사이트 「O3」은,「O3-d (0 ≤ d ≤ 1.0)」에 의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 (I) 에 있어서, A 사이트 및 B 사이트의 일부가 결손된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식 (I) 중의 A 및 B 의 조성비는 1 보다 작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 사이트의 결손양은, 1 ㏖ 에 대하여, 예를 들어 0 ∼ 0.4 ㏖ 정도여도 된다. B 사이트의 결손양은, 1 ㏖ 에 대하여, 예를 들어, 0 ∼ 0.4 ㏖ 정도여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Co 를 포함해도 된다. B 사이트에 Co 가 포함됨으로써,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그 밖의 재료의 계면에, 불활성인 고 저항상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고 저항상은, 예를 들어,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생성 과정, 정극 (101) 의 충방전 과정 등에 의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B 사이트에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이 포함됨으로써, 결정 구조의 불안정화에 수반하는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로써 전해액의 산화 분해, 즉 가스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i) Co 와, (ii)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이로써, 불활성인 고 저항상의 형성 그리고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예를 들어, 각각 하기 식 (III):
AwCoxNiyMnzO3-d … (III)
[단, 식 중,
A 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A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낸다.
A 는, 희토류 원소 및 알칼리 토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A 는, La 및 Sr 의 적어도 일방이어도 된다.
Co, Ni 및 Mn 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 사이트에 포함된다.
w 는, 0.6 ≤ w ≤ 1 을 만족한다.
x, y, z 는, 0 ≤ x ≤ 1, 0 ≤ y ≤ 1, 0 ≤ z ≤ 1, 0.6 ≤ x + y + z ≤ 1 을 만족한다.
d 는, 0 ≤ d ≤ 1.0 을 만족한다.]
에 의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 (III) 에 있어서, x = 0 일 때, y, z 는, 0.2 ≤ y ≤ 0.8, 0.2 ≤ z ≤ 0.8, y + z = 1 을 만족해도 된다. y, z 는, 0.2 ≤ y ≤ 0.5, y + z = 1 을 만족해도 된다.
상기 식 (III) 에 있어서, y = 0 일 때, z, x 는, 0.2 ≤ z ≤ 0.8, 0.2 ≤ x ≤ 0.8, x + z = 1 을 만족해도 된다. z, x 는, 0.2 ≤ z ≤ 0.5, x + z = 1 을 만족해도 된다.
상기 식 (III) 에 있어서, z = 0 일 때, x, y 는, 0.2 ≤ x ≤ 0.8, 0.2 ≤ y ≤ 0.8, x + y = 1 을 만족해도 된다. x, y 는, 0.2 ≤ x ≤ 0.5, x + y = 1 을 만족해도 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예를 들어, 이하의 제 1 군 ∼ 제 5 군의 각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어도 된다.
(제 1 군)
제 1 군은, LaCoO3, LaNiO3, LaMnO3;LaCo0.8Mn0.2O3, LaCo0.5Mn0.5O3, LaCo0.2Mn0.8O3;LaCo0.8Ni0.2O3, LaCo0.5Ni0.5O3, LaCo0.2Ni0.8O3;LaNi0.8Mn0.2O3, LaNi0.5Mn0.5O3, LaNi0.2Mn0.8O3;LaCo0.3Ni0.4Mn0.3O3, LaCo0.4Ni0.3Mn0.3O3, LaCo0.3Ni0.3Mn0.4O3 및 LaCo1/3Ni1/3Mn1/3O3 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군)
제 2 군은, SrCoO3, SrNiO3, SrMnO3;SrCo0.8Mn0.2O3, SrCo0.5Mn0.5O3, SrCo0.2Mn0.8O3;SrCo0.8Ni0.2O3, SrCo0.5Ni0.5O3, SrCo0.2Ni0.8O3;SrNi0.8Mn0.2O3, SrNi0.5Mn0.5O3, SrNi0.2Mn0.8O3;SrCo0.3Ni0.4Mn0.3O3, SrCo0.4Ni0.3Mn0.3O3, SrCo0.3Ni0.4Mn0.4O3 및 SrCo1/3Ni1/3Mn1/3O3 으로 이루어진다.
(제 3 군)
제 3 군은, La0.2Sr0.8CoO3, La0.2Sr0.8NiO3, La0.2Sr0.8MnO3;La0.2Sr0.8Co0.8Mn0.2O3, La0.2Sr0.8Co0.5Mn0.5O3, La0.2Sr0.8Co0.2Mn0.8O3;La0.2Sr0.8Co0.8Ni0.2O3, La0.2Sr0.8Co0.5Ni0.5O3, La0.2Sr0.8Co0.2Ni0.8O3;La0.2Sr0.8Ni0.8Mn0.2O3, La0.2Sr0.8Ni0.5Mn0.5O3, La0.2Sr0.8Ni0.2Mn0.8O3;La0.2Sr0.8Co0.3Ni0.4Mn0.3O3, La0.2Sr0.8Co0.4Ni0.3Mn0.3O3, La0.2Sr0.8Co0.3Ni0.3Mn0.4O3 및 La0.2Sr0.8Co1/3Ni1/3Mn1/3O3 으로 이루어진다.
(제 4 군)
제 4 군은, La0.5Sr0.5CoO3, La0.5Sr0.5NiO3, La0.5Sr0.5MnO3;La0.5Sr0.5Co0.8Mn0.2O3, La0.5Sr0.5Co0.5Mn0.5O3, La0.5Sr0.5Co0.2Mn0.8O3;La0.5Sr0.5Co0.8Ni0.2O3, La0.5Sr0.5Co0.5Ni0.5O3, La0.5Sr0.5Co0.2Ni0.8O3;La0.5Sr0.5Ni0.8Mn0.2O3, La0.5Sr0.5Ni0.5Mn0.5O3, La0.5Sr0.5Ni0.2Mn0.8O3;La0.5Sr0.5Co0.3Ni0.4Mn0.3O3, La0.5Sr0.5Co0.4Ni0.3Mn0.3O3 및 La0.5Sr0.5Co0.3Ni0.3Mn0.4O3 및 La0.5Sr0.5Co1/3Ni1/3Mn1/3O3 으로 이루어진다.
(제 5 군)
제 5 군은, La0.8Sr0.2CoO3, La0.8Sr0.2NiO3, La0.8Sr0.2MnO3;La0.8Sr0.2Co0.8Mn0.2O3, La0.8Sr0.2Co0.5Mn0.5O3, La0.8Sr0.2Co0.2Mn0.8O3;La0.8Sr0.2Co0.8Ni0.2O3, La0.8Sr0.2Co0.5Ni0.5O3, La0.8Sr0.2Co0.2Ni0.8O3;La0.8Sr0.2Ni0.8Mn0.2O3, La0.8Sr0.2Ni0.5Mn0.5O3, La0.8Sr0.2Ni0.2Mn0.8O3;La0.8Sr0.2Co0.3Ni0.4Mn0.3O3, La0.8Sr0.2Co0.4Ni0.3Mn0.3O3, La0.8Sr0.2Co0.3Ni0.3Mn0.4O3 및 La0.8Sr0.2Co1/3Ni1/3Mn1/3O3 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예를 들어, LaCoO3, LaNiO3, LaMnO3;LaCo0.8Mn0.2O3, LaCo0.5Mn0.5O3, LaCo0.2Mn0.8O3;LaCo0.8Ni0.2O3, LaCo0.5Ni0.5O3, LaCo0.2Ni0.8O3;LaCo0.3Ni0.4Mn0.3O3;SrCo0.5Ni0.5O3;La0.5Sr0.5Co0.5Ni0.5O3;LaCo0.1Mn0.4Ni0.3O3 및 La0.7Co0.1Mn0.4Ni0.3O2.5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어도 된다.
《그 밖의 재료》
정극 합재층 (100) 은, 복합 입자 (10) 및 전자 전도성 입자 (20) 를 포함하는 한, 그 밖의 재료 (도시 생략) 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정극 합재층 (100) 은,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 결착재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로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퍼니스 블랙 등의 카본 블랙;흑연;기상 성장 탄소 섬유 (VGCF) 등을 들 수 있다.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는,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는, 복합 입자 (10) 의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 10 질량% 의 비율을 가져도 된다.
결착재는, 특별히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결착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폴리아크릴산 (PAA) 등을 들 수 있다. 결착재는, 1 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결착재는, 복합 입자 (10) 의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 10 질량% 의 비율을 가져도 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
도 2 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α) 복합 입자의 조제」,「(β) 정극 합재의 조제」및 「(γ) 정극 합재층의 형성」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이 순서를 따라 설명된다.
《(α) 복합 입자의 조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피막 (12) 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입자 (10) 를 조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피막 (12) 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및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상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정극 활물질 입자 (11) 가 준비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는 구입되어도 되고, 합성되어도 된다. 피막 (12) 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피막 (12) 은, 예를 들어, 고상법, 액상법, 기상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액상법으로는, 예를 들어, 공침법, 졸 - 겔법, 수열 합성법, 액상 환원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상법으로는, 예를 들어, 원자층 퇴적 (ALD) 법, 화학 기상 성장 (CVD) 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공침법에 의해,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피막 (12) 의 전구체를 부착시키고, 추가로 전구체를 가열함으로써, 피막 (12) 을 형성하는 양태가 설명된다.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피막의 형성 방법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A 사이트에 포함되어야 할 원소의 염이 준비된다. 이하, A 사이트에 포함되어야 할 원소의 염은, 편의상 「A 사이트 원료」라고도 기재된다. A 사이트 원료는, 예를 들어, La 의 황산염 등이다.
B 사이트에 포함되어야 할 원소의 염이 준비된다. 이하, B 사이트에 포함되어야 할 원소의 염은, 편의상 「B 사이트 원료」라고도 기재된다. B 사이트 원료는, 예를 들어, Co 의 황산염 등이다.
예를 들어, La 와 Co 의 몰비가 1:1 이 되도록, A 사이트 원료와 B 사이트 원료가 칭량된다. A 사이트 원료 및 B 사이트 원료가 순수에 용해된다. 이로써 원료 수용액이 조제된다. 원료 수용액에, 정극 활물질 입자 (11) 가 투입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 (11) 가 교반된다. 원료 수용액과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혼합물이, 50 ∼ 100 ℃ 로 가열됨으로써, 용매 (수) 가 제거된다. 이로써,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피막 (12) 의 전구체가 부착된다.
얻어진 분말이 300 ∼ 600 ℃ 로 가열된다. 가열 시간은, 예를 들어, 2 ∼ 10 시간 정도이면 된다. 이로써 전구체로부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예를 들어 LaCoO3 등) 이 생성된다. 즉, 정극 활물질 입자 (11) 의 표면에 피막 (12) 이 형성된다. 피막 (12) 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이로써 복합 입자 (10) 가 조제된다.
《(β) 정극 합재의 조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복합 입자 (10) 와 전자 전도성 입자 (20) 를 혼합함으로써, 정극 합재를 조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전자 전도성 입자의 상세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전자 전도성 입자 (20) 는, 구입되어도 되고, 합성되어도 된다.
정극 합재는,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입자 (10), 전자 전도성 입자 (20), 결착재, 분산제 및 용매 등이, 소정의 질량비로 혼합된다. 이로써,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가 조제될 수 있다. 이하,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는,「정극 페이스트」라고도 기재된다. 혼합 조작에는, 예를 들어, 플래니터리 믹서 등의 교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용매는, 결착재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재가 PVdF 인 경우, N-메틸-2-피롤리돈 (NMP) 이 용매에 사용될 수 있다.
《(γ) 정극 합재층의 형성》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 (100) 을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먼저 집전체 (1) 가 준비된다. 집전체 (1) 의 상세는,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다이 코터 등의 도공기에 의해, 정극 페이스트가 집전체 (1) 의 표면에 도포되고 건조된다. 이로써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 (100) 이 형성된다. 정극 합재층 (100) 은, 집전체 (1) 의 표리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롤 압연기 등에 의해, 정극 합재층 (100) 이 압연되어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정극 (101) 이 제조된다. 정극 (101) 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사양에 맞춰,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띠상, 사각형상 등) 으로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용도>
정극 (101) 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전지 저항이 저감되는 것이 기대된다. 즉,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고출력을 갖는 것이 기대된다. 고출력이 요구되는 용도로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 (HV),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PHV), 전기 자동차 (EV) 등의 동력 전원을 들 수 있다.
단, 정극 (101) 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용도는, 이러한 차재 용도에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정극 (101) 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모든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단 이하의 예는,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α) 복합 입자의 조제
Ni, Co 및 Mn 의 몰비가, Ni:Co:Mn = 1:1:1 이 되도록, Ni 의 황산염, Co 의 황산염 및 Mn 의 황산염이 순수에 용해되었다. 이로써 황산염 수용액이 얻어졌다. 수산화나트륨 (NaOH) 수용액이, 황산염 수용액에 적하되었다. 이로써 정극 활물질의 전구체 (공침 수산화물) 가 생성되었다. 순수에 의해 전구체가 세정되었다. 세정 후의 전구체가 건조되었다. 건조 후의 전구체가 탄산리튬 (Li2CO3) 과 혼합되었다. 이로써 혼합물이 얻어졌다. 혼합물이 900 ℃ 에서 15 시간 가열되었다. 이로써 소성물이 얻어졌다. 볼 밀에 의해 소성물이 분쇄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정극 활물질 입자가 조제되었다. 정극 활물질 입자는, 정극 활물질 (LiNi1/3Co1/3Mn1/3O2) 에 의해 구성된다. 정극 활물질 입자는, 10 ㎛ 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었다. LiNi1/3Co1/3Mn1/3O2 는, 삼원계 층상 암염형 산화물이다. LiNi1/3Co1/3Mn1/3O2 는, 상기 식 (II) 을 만족한다. 이하, 이 정극 활물질 입자는 「NCM」이라고 약기되는 경우가 있다.
A 사이트 원료로서 La 의 황산염, B 사이트 원료로서 Co 의 황산염이 각각 준비되었다. La 와 Co 의 몰비가 1:1 이 되도록, A 사이트 원료와 B 사이트 원료가 칭량되었다. A 사이트 원료와 B 사이트 원료가 순수에 용해되었다. 이로써 원료 수용액이 조제되었다. 원료 수용액에 정극 활물질 입자가 투입되었다. 정극 활물질 입자가 교반되었다. 원료 수용액과 정극 활물질 입자의 혼합물이 60 ℃ 로 가열되었다. 이로써 용매 (수) 가 제거되었다. 이로써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피막의 전구체가 부착되었다.
얻어진 분말이 450 ℃ 에서 5 시간 가열되었다. 이로써 전구체로부터 피막이 생성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복합 입자가 조제되었다. 복합 입자는, 정극 활물질 입자 및 피막을 포함한다. 피막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LaCoO3) 을 포함한다. LaCoO3 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ABO3) 를 갖는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정극 활물질의 물질량에 대해 0.5 ㏖% 의 비율을 갖는다.
2. (β) 정극 합재의 조제
이하의 재료가 준비되었다.
전자 전도성 입자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LaMnO3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아세틸렌 블랙
결착재:PVdF
분산제:폴리비닐피롤리돈
용매:NMP
플래니터리 믹서에 의해, 상기에서 얻어진 복합 입자, 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 결착재, 분산제 및 용매가 혼합되었다. 이로써 정극 페이스트가 조제되었다.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비율은, 50 질량% 가 되었다.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조성은, 질량비로 「복합 입자:전자 전도성 입자: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결착재 = 84:6:6:4」가 되었다. 분산제는, 고형분에 대해 0.2 질량% 가 되었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정극 활물질의 물질량에 대해 0.5 ㏖% 가 되었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 (LaMnO3) 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ABO3) 를 갖는다.
3. (γ) 정극 합재층의 형성
집전체로서 Al 박이 준비되었다. 다이 코터에 의해, 정극 페이스트가 집전체의 표면 (표리 양면) 에 도포되고 건조되었다. 이로써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이 형성되었다. 정극 합재층은,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롤 압연기에 의해, 정극 합재층이 압연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정극이 제조되었다. 슬리터에 의해, 정극이 띠상으로 재단되었다.
4.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띠상의 부극 및 띠상의 세퍼레이터가 각각 준비되었다.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정극과 부극이 대향하도록, 정극, 세퍼레이터 및 부극이 적층되고, 또한 소용돌이상으로 권회되었다. 이로써 전극군이 구성되었다. 정극 및 부극에 단자가 각각 접속되었다. 전극군이 전지 케이스에 수납되었다. 전지 케이스에 전해액이 주입되었다. 전지 케이스가 밀폐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정극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제조되었다. 이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지」라고 약기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2 ∼ 14>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극이 제조되고, 그 정극을 구비하는 전지가 제조되었다.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모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ABO3) 를 갖는다.
<비교예 1>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사용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극이 제조되고, 그 정극을 구비하는 전지가 제조되었다. 비교예 1 에 있어서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조성은, 질량비로 「정극 활물질 입자: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결착재 = 84:12:4」가 되었다.
<비교예 2>
전자 전도성 입자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 가 사용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극이 제조되고, 그 정극을 구비하는 전지가 제조되었다. 비교예 2 에 있어서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조성은, 질량비로 「복합 입자:비산화물계의 전자 전도성 입자:결착재 = 84:12:4」가 되었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정극 활물질의 물질량에 대해 1 ㏖% 가 되었다.
<비교예 3>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피막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극이 제조되고, 그 정극을 구비하는 전지가 제조되었다. 비교예 3 에 있어서 정극 페이스트의 고형분 조성은, 질량비로 「정극 활물질 입자:전자 전도성 입자:결착재 = 84:12:4」가 되었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정극 활물질의 물질량에 대해 1 ㏖% 가 되었다.
<평가>
1. 전지의 활성화 및 초기 용량의 측정
25 ℃ 에 있어서, 이하의 정전류 - 정전압 방식 충전 (CCCV 충전) 에 의해, 전지가 만충전이 되었다. 이어서 이하의 정전류 방식 방전 (CC 방전) 에 의해, 전지가 방전되었다. 이 때의 방전 용량이 초기 용량이 되었다. 또한 「1 C」는, 만충전 용량을 1 시간 동안 방전하는 전류를 나타낸다.
CCCV 충전:CC 전류 = 1/3 C, CV 전압 = 4.2 V, 종지 전류 = 1/50 C
CC 방전:전류 = 1/3 C, 종지 전압 = 3.0 V
2. 전지 저항의 평가
전지의 SOC (State Of Charge) 가 60 % 로 조정되었다. -10 ℃ 환경에 있어서, 단자 간 전압이 3.0 V 가 될 때까지, 전지가 방전되었다. 방전은 CC 방전으로 되었다. 방전 개시부터 5 초 후의 단자 간 전압의 강하량이 측정되었다. 단자 간 전압의 강하량이, 방전 전류로 나누어짐으로써, 전지 저항이 산출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1 의 「전지 저항」의 란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값은, 비교예 1 의 전지 저항이 「100」이 된 경우의 상대값이다. 값이 작을수록, 전지 저항이 저감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 가스 발생량의 평가
60 ℃ 환경에 있어서, 2 C 의 전류에 의해 충방전이 1000 사이클 반복되었다. 1000 사이클 후의 전지가 절연 오일 중에 침지되었다. 절연 오일 중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가 개방되었다. 전지 케이스 내에서 발생하였던 가스가, 메스 실린더에 포집되었다. 이로써 가스의 체적 (가스 발생량) 이 측정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1 의 「가스 발생량」의 란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값은, 비교예 1 의 가스 발생량이 「100」이 된 경우의 상대값이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2, 3 에 있어서,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또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정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의 합계 물질량에 대해 1 ㏖% 이다.
실시예 1 ∼ 14 에 있어서,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정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의 합계 물질량에 대해 0.5 ㏖% 이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합계는, 정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정극 활물질의 합계 물질량에 대해 1 ㏖% 이다.
<결과>
상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1 ∼ 3 에 비하여, 전지 저항이 저감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정극 합재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사이에서, 전자 전도 패스가 원할하게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이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짐으로써, 전지 저항이 저감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실시예 1, 2). 양자의 전자 밴드 구조가 일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Co 를 포함함으로써, 전지 저항이 저감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실시예 2, 6, 10).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그 밖의 재료의 계면에, 불활성인 고 저항상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함으로써, 가스 발생량이 저감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실시예 2, 6, 10). 결정 구조의 불안정화에 수반하는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B 사이트가, (i) Co 와, (ii)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함으로써, 전지 저항이 낮고, 또한 가스 발생량이 적은 경향이 확인된다 (실시예 3 ∼ 5, 7 ∼ 9, 11 ∼ 14). 불활성인 고 저항상의 형성 그리고 산소 라디칼의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클레임에 의해 확정되는 기술적 범위는, 클레임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7)

  1. 정극 합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극 합재층은, 복합 입자 및 전자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입자는, 정극 활물질 입자 및 피막을 포함하고,
    상기 피막은, 상기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막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전도성 입자는, 상기 정극 합재층 내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전자 전도성 입자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하기 식 (I):
    ABO3 … (I)
    [단, 식 중,
    A 는,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A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내고,
    B 는,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B 사이트에 포함되는 원소를 나타내고,
    B 는, Co, Ni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O 는 산소를 나타낸다]
    에 의해 나타내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B 사이트가 Co 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B 사이트가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B 사이트가,
    Co 와,
    Ni 및 Mn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과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7.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복합 입자를 조제하는 것,
    상기 복합 입자와 전자 전도성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정극 합재를 조제하는 것, 및
    상기 정극 합재를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을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피막은,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전도성 입자는,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전도성 산화물 및 상기 제 2 전자 전도성 산화물은, 각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의 제조 방법.
KR1020180046200A 2017-04-28 2018-04-2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2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0249 2017-04-28
JP2017090249A JP6825978B2 (ja) 2017-04-28 2017-04-28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45A Division KR20200004276A (ko) 2017-04-28 2019-12-24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373A true KR20180121373A (ko) 2018-11-07
KR102192748B1 KR102192748B1 (ko) 2020-12-18

Family

ID=639168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200A KR102192748B1 (ko) 2017-04-28 2018-04-2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174545A KR20200004276A (ko) 2017-04-28 2019-12-24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45A KR20200004276A (ko) 2017-04-28 2019-12-24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18335B2 (ko)
JP (1) JP6825978B2 (ko)
KR (2) KR102192748B1 (ko)
CN (1) CN1088078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8844B2 (ja) * 2018-03-15 2021-11-17 Basf戸田バッテリーマテリアルズ合同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の正極活物質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9244438B (zh) * 2018-11-22 2021-08-31 北京科技大学 一种在正极颗粒表面包覆钙钛矿结构材料的方法
CN109817871A (zh) * 2019-03-29 2019-05-28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离子导体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163872B2 (ja) * 2019-06-05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湿潤混合物、被膜付きリチウム含有正極活物質粒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湿潤混合物、被膜付きリチウム含有正極活物質粒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2310340A (zh) * 2019-07-29 2021-02-0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固态电极的具有增强离子导电性的微米级二次颗粒
JP2021118179A (ja) * 2020-01-24 202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正極材料、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正極材料の製造方法
CN114068925A (zh) * 2020-07-30 2022-02-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含镧钙钛矿型氧化物表面修饰的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909256A (zh) * 2021-01-21 2021-06-04 同济大学 钙钛矿型氧缺位化合物改性富锂锰基正极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1909A (ja) * 1994-12-16 1996-07-02 Shin Etsu Chem Co Ltd A’b’o3 化合物を有する水素吸蔵合金電極の製造方法
KR20130107352A (ko) * 2011-01-26 2013-10-01 도요타 지도샤(주) 고체 전지용 전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204B2 (ja) * 1999-02-15 2000-10-3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1266879A (ja) * 2000-03-22 2001-09-28 Toshiba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670507B1 (ko) * 2005-04-2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1031880B1 (ko) * 2008-01-08 2011-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278752B1 (ko) * 2008-06-26 2013-06-25 에이지씨 세이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2 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용 표면 수식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3187568A (zh) * 2013-03-31 2013-07-03 复旦大学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合成方法
CN103413924B (zh) * 2013-06-17 2016-03-30 昆明理工大学 一种La1-xCaxCoO3包覆锂离子电池LiNi1/3Co1/3Mn1/3O2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6413949B2 (ja) * 2015-06-25 2018-10-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チウム複合金属酸化物部及び導電性酸化物部を含有する材料
JP6323725B2 (ja) 2015-11-30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に用いられる正極活物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1909A (ja) * 1994-12-16 1996-07-02 Shin Etsu Chem Co Ltd A’b’o3 化合物を有する水素吸蔵合金電極の製造方法
KR20130107352A (ko) * 2011-01-26 2013-10-01 도요타 지도샤(주) 고체 전지용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48B1 (ko) 2020-12-18
US20180316003A1 (en) 2018-11-01
JP2018190542A (ja) 2018-11-29
US11018335B2 (en) 2021-05-25
CN108807875B (zh) 2021-07-27
CN108807875A (zh) 2018-11-13
KR20200004276A (ko) 2020-01-13
JP6825978B2 (ja)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3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8807875B (zh) 锂离子二次电池用正极及其制造方法
KR102425325B1 (ko)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용 양극 재료
US7887954B2 (en) Electrochemical composition and associated technology
TWI429132B (zh) 具有高比容量及優異循環之層層富含鋰的複合金屬氧化物
KR102296131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WO2017073682A1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JP6662198B2 (ja) ニッケル複合水酸化物とその製造方法、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JP2016115658A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CN106816585B (zh) 正极活性物质和使用它的锂离子二次电池
JP2018045802A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US10411265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2015154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6005994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층 및 리튬 이차 전지
US9059436B2 (en)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tap density and electrode density
JP2020021684A5 (ko)
CN108807865B (zh) 正极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和锂离子二次电池
JP2018185929A (ja) 複合粒子
JPWO2012150636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00094783A (ko) 인산망간 코팅된 리튬 니켈 산화물 재료
US1169511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Villa Microstructure and Performance Relationship of Multicomponent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hrivastava et al. Analysis of High Voltage Spinel LiNi0. 5Mn1. 5O4 Cathode Materials Incorporating Cu and Zr Doping for EV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2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24

Effective date: 202009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