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430A - Pcsv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Pcsv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430A
KR20180120430A KR1020170054355A KR20170054355A KR20180120430A KR 20180120430 A KR20180120430 A KR 20180120430A KR 1020170054355 A KR1020170054355 A KR 1020170054355A KR 20170054355 A KR20170054355 A KR 20170054355A KR 20180120430 A KR20180120430 A KR 2018012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v
negative pressure
valve
fuel tank
pu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377B1 (ko
Inventor
나정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77B1/ko
Priority to US15/837,837 priority patent/US10570848B2/en
Priority to DE102018104563.8A priority patent/DE102018104563A1/de
Priority to CN201810231996.5A priority patent/CN108798939B/zh
Publication of KR2018012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35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o achieve a special effect, e.g. to warm up the catalyst
    • F02D41/0037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o achieve a special effect, e.g. to warm up the catalyst for diagnos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4Control of the valve or purge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02M25/0818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having means for pressurising the evaporative emission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체크하여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엔진 흡기계로의 증발가스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의 고착을 의심하는 단계 및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CSV 진단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PCSV의 닫힘고착 상태와 고장상태를 진단하여 일시적인 닫힘고착인 경우에 이를 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엔진의 시동꺼짐 등의 안전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정비 및 교체를 하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PCSV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PCSV}
본 발명은 엔진 흡기계와 캐니스터 사이에서 증발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PCSV를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의 특성상 증발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대부분 유해가스인 HC 성분으로 되어 있어, 이를 대기로 방출 시에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될 수 있으므로 각국에서는 이런 증발 HC 가스를 규제하는 법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런 증발 HC 가스를 캐니스터라는 흡착기에 흡착했다가, 다시 엔진으로 유입시켜 연료로 재순환하여 사용되게 하는데, 엔진 흡기계와 연료탱크의 구성품인 캐니스터 사이에서 엔진 부압으로 증발 HC를 유입할 때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밸브가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이다.
이러한 증발가스 재순환장치는 엔진 ECU에서 엔진의 구동에 무리가 없는 한도 내에서 증발가스를 재순환시키는데,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연료증발에 의한 증발가스는 밀폐되어 있는 연료탱크에서 나오는 증발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여 재순환하는 과정에 PCSV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PCSV가 고장이나 고착(stuck)에 대한 진단을 행하도록 OBD 규제를 하고 있는데, 단순한 단선이나 단락의 경우진단 자체의 저항으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open이나 closed 상태의 고착(stuck)의 경우는 복잡한 계산을 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계 부품의 진단은 연료탱크가 밀폐라는 것을 전제로 진단을 하게 되어 있는데, 만약 증발계에 리크(leak)가 발생한다면, 증발 HC는 대기로 방출하게 되므로 규제치를 초과할 수밖에 없다.
또한, 캐니스터는 적정량의 HC 가스만을 포집하므로 정밀한 캐니스터 퍼지를 PCSV를 통해서 행해져야 한다.
도 1은 증발가스 리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PCSV 진단은 이런 증발계 밀폐시스템의 리크 모니터링 과정 중에 진단을 하게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캐니스터(canister)에 포집하게 되어 있고, 이 캐니스터는 대기와의 사이에 캐니스터 클로즈드 밸브(canister closed valve)를 두고 있으며, CCV는 normal open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증발계 시스템의 리크를 판단할 경우에 CCV를 닫아서 밀폐상태를 진단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캐니스터에 포집된 HC 가스는 엔진 흡기계에 위치한 PCSV가 열리면 엔진부압에 의해 엔진 흡기 형태로 재순환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밀폐시스템을 진단하기 위한 센서로 탱크압력센서(FTPS)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증발가스 리크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PCSV closed stuck 진단을 살펴보면, PCSV closed stuck 진단은 증발계 리크 모니터링 과정 중에 수행하게 되어 있는데, 증발계 리크(leak)는 연료탱크에 강제적으로 목표부압을 형성시킨 후 자연증발 압력의 기울기를 가지고 리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즉, 리크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기울기는 더 커지게 되어 있어서 이를 근거로 리크 사이즈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하는 방법은 엔진부압을 이용하는데, 이때 CCV를 닫고 PCSV를 열면 부압이 형성된다.
만일, PCSV가 Closed Stuck되어 있다면, 엔진부압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연료탱크 내의 부압은 형성되지 않으며, 연료탱크 압력 또한 미미한 변화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ECU는 PCSV Closed Stuck라고 판단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차량의 내연기관의 특성에 의해 주행거리에 따라 PCSV 밸브에서 이물질이 생기게 되는데, 이 이물질은 내연기관에 의한 carbon 또는 연료성분이 연료호스와의 화학반응 등에 의해 이물질로 쌓이게 되고, 이런 성분이 연료와 섞여 점성을 가진 유체 형태를 띄게 되는데, 이런 유체의 성분이 over night soak 시에 icing에 의해 굳게 되어 PCSV 작동시 동일 듀티(duty, 퍼지량)에도 PCSV가 점착이 되어 열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가 올라가서 이런 이물질이 녹으면 다시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런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 결국 엔진경고등이 점등되게 된다.
실제로 엔진경고등 중 이러한 PCSV 고착에 의한 고장진단에 상당히 많은 교환과 비용이 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점성을 가진 이물질은 외기온이 낮으면 아이싱 문제도 발생하고 있어 제조사 입장에서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엔진부압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서 PCSV의 듀티량을 키우면 점성을 이겨내고 부압이 형성되는데, 문제는 듀티량을 무한정 키울 수는 없는 점이다.
PCSV로 들어오는 혼합기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이 된 혼합기로서, 연료를 정밀 제어하는 현재의 엔진 컨트롤 측면에서는 예측이 불가하기 때문에 엔진 구동을 위해 과다한 PCSV 혼합기가 들어오게 되면 시동꺼짐 등의 안전문제를 유발할 수가 있다.
물론, 이러한 혼합기가 들어올 때 O2 센서에 의해 혼합기 중 연료량을 학습하긴 하나, 문제는 학습 이전에 문제가 유발된다는 점이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00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PCSV의 닫힘고착 상태와 고장상태를 진단하여 일시적인 닫힘고착인 경우에 이를 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엔진의 시동꺼짐 등의 안전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정비 및 교체를 하지 않게 하는 PCSV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PCSV 진단 방법은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체크하여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엔진 흡기계로의 증발가스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의 고착을 의심하는 단계 및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된 경우, 상기 PCSV 밸브를 정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캐니스터(canister)에 구비된 캐니스터 클로즈드 밸브(Canister Closed Valve)를 차단시키고, 상기 PCSV 밸브를 개방시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에 의해 목표 퍼지량까지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퍼지량을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 확인 결과,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PCSV 밸브의 닫힘고착(Closed Stuck) 고장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표 퍼지량은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전보다 듀티를 상향하게 되는데, 상향하는 기준값은 PCSV의 특성에 따라 PCSV의 최대 기전력을 가질 수 있는 듀티값을 목표로 하며, 검증에 사용된 PCSV를 기준으로 보면 25% 내지 35% 상향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PCSV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후 퍼지량을 증가시켜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 확인 결과, 목표부압이 형성된 경우, 상기 PCSV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CSV의 퍼지량을 중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플립플롭(flip-flop)을 적용시켜 상기 PCSV의 퍼지량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은 퍼지증량 맵에 의해 증가시키되, 상기 퍼지증량 맵은 2D 맵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엔진 부압과 PCSV의 특성에 의해 퍼지듀티량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SV 밸브의 고장으로 진단 가능한 퍼지 누적량을 0.6kg/h 이하로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PCSV 진단 방법은, 연료탱크로부터 엔진 흡기계로의 증발가스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를 개방시켜 상기 연료탱크에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PCSV의 Closed Stuck으로 의심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기 PCSV 밸브의 퍼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PCSV 밸브의 퍼지 시간을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목표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PCSV 밸브를 닫힘고착(Closed Stuck) 고장으로 진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료탱크의 목표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CSV 진단 방법에 의하면, PCSV 진단시 탱크 압력 센서 측정 결과 목표부압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 곧바로 PCSV 고착고장으로 진단하지 않고, PCSV 고착이 의심되는 단계로 판단하여 PCSV 퍼지량을 증가시켜 이를 해결한다.
그 결과, PCSV가 일시적인 닫힘고착 상태라면 PCSV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해결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고장진단 및 정비의 손실을 줄일 수가 있게 한다.
도 1은 증발가스 리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증발가스 리크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CSV 진단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PCSV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일시적 고착상태의 PCSV에 대한 모니터링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고착상태의 PCSV에 대한 모니터링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를 적용하여 리크 모니터링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퍼지 증량 조건에 관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CSV 진단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PCSV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SV 진단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CSV 닫힘고착시 퍼지 듀티량을 늘려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고장진단의 시간만 늘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PCSV 진단을 2단계로 나누어서 누적 공기량을 추가로 증량하면서, 1단계에서 PCSV 닫힘 고착이 의심된다면 퍼지 듀티량을 증가하여 PCSV가 실제 고착인지, 아니면 카본 퇴적 등에 의한 순간적인 고착인지에 대해 판단하는 것이다.
우선, CCV(Canister Closed Valve)를 차단시키고,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를 개방시켜(S10)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탱크 압력 센서를 통해 연료탱크의 목표부압 형성 여부를 확인한다(S20).
S20의 확인 결과, 목표부압이 측정된다면 정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S21).
그러나, S20의 확인 결과 목표부압에 이르지 못하고 대기압 도는 압력 변화량이 작은 상태라면, 이를 곧바로 PCSV 고착으로 진단하지 않고 회복 가능한 고착 상태인지를 의심한다(S30).
종래에는 PCSV 고착 진단의 경우, PCSV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목표부압을 형성하는 과정 초기에 연료탱크 압력이 대기압과 유사하면 이를 PCSV 고착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진단을 1단계 진단으로 하여, 1단계 진단에서 대기압과 유사하고 엔진부압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때 퍼지량을 추가하여 고장진단을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시와 같이 진단구간을 늘려서 퍼지량을 목표량까지 증가시키고(S40), 퍼지 듀티량이 증가되면 어느 순간에 카본에 의한 점성을 이겨내는 듀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PCSV를 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즉, 1단계 진단을 넘어 2단계 진단 과정에서 표시된 대기압과 유사한 압력 거동을 보이다가 어느 순간 고착이 해소되어 정상적인 거동과 같이 급격한 압력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퍼지량을 증가시킨 후 다시 부압 형성여부를 확인하여(S50), 퍼지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PCSV 고착고장으로 진단하고(S51), 퍼지량을 증가시킨 후 목표부압이 형성된다면 일시적인 PCSV 고착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퍼지 증량이 목표량에 도달하면 PCSV 밸브를 닫게 되고, PCSV 밸브를 닫으면 도시와 같이 다시 서서히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만약 PCSV가 실제 닫힘고착(stuck) 상태라면, 퍼지량을 늘리더라도 엔진으로 유입되는 혼합기는 거의 없을 것이고, 엔진의 구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 이물질에 의한 유로 축소로 실제 들어오는 양은 그렇지 않은 PCSV의 경우보다 줄어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떠한 점성을 이겨내는 듀티가 한번 발생하면, 이후에는 PCSV의 작동은 정상적으로 부압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고착상태의 PCSV에 대한 모니터링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필드 고품이 발생한 PCSV가 실제 작동을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5는 외기온 10℃ 조건에서 Over Night Soak 후 PCSV 고착이 재현된 것이다.
한편, 퍼지 증량에 의해 일시적인 PCSV 고착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다시 퍼지량을 줄여줌으로써 PCSV를 중지하게 되는데(S70), 그에 앞서 플립플롭의 적용(S60)이 필요하다.
앞서 퍼지를 증량해서 연료탱크 압력이 부압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곧바로 퍼지량이 줄어들게 되면, Large Leak Error가 발생하게 되어 퍼지량을 유지하기 위해 플립플롭(flip-flop)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 보듯이, 퍼지를 증량 후 진단 완료시까지 퍼지 증량분을 유지하여 목표 퍼지인 25% 내지 35% 상향된 퍼지량을 달성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차량의 아이들 유지를 위하여 급격한 퍼지 증량을 피하기 위해 퍼지증량 맵을 2D MAP으로 설정하여 엔진 구동에 문제가 없도록 엔진 부압과 PCSV의 특성에 의해 맵핑을 하였다.
또한, PCSV의 고착을 이겨내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퍼지누적량 조건을 기존보다 축소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고품 평가 결과 퍼지 누적량이 0.6kg/h이면 고장진단 압력에 도달하게 되므로, 그 이상에서 퍼지 증량이 될 수 있도록 고장으로 진단하는 퍼지 누적량을 0.6 이하로 축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만, 퍼지 누적량은 차량과 배기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핑 파라메타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 CCV 차단 및 PCSV 개방
S20 : 부압 형성 확인 S21 : 정상 진단
S30 : PCSV 고착 의심
S40 : PCSV 퍼지량 증가
S50 : 부압 형성 확인 S51 : 고착고장 진단
S60 : 플립플롭 적용
S70 : PCSV 중지

Claims (14)

  1.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체크하여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엔진 흡기계로의 증발가스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의 고착을 의심하는 단계; 및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CSV 진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목표부압이 형성된 경우, 상기 PCSV 밸브를 정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 내의 부압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캐니스터(canister)에 구비된 캐니스터 클로즈드 밸브(Canister Closed Valve)를 차단시키고, 상기 PCSV 밸브를 개방시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에 의해 목표 퍼지량까지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SV 진단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퍼지량을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 확인 결과,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PCSV 밸브의 닫힘고착(Closed Stuck) 고장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표 퍼지량은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전보다 25% 내지 35% 상향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PCSV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퍼지량을 증가시켜 상기 연료탱크의 부압 형성 여부 확인 결과, 목표부압이 형성된 경우, 상기 PCSV의 퍼지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SV 진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PCSV의 퍼지량을 중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플립플롭(flip-flop)을 적용시켜 상기 PCSV의 퍼지량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은 퍼지증량 맵에 의해 증가시키되, 상기 퍼지증량 맵은 2D 맵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PCSV 밸브의 고장으로 진단 가능한 퍼지 누적량을 0.6kg/h 이하로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12. 연료탱크로부터 엔진 흡기계로의 증발가스 유입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PCSV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를 개방시켜 상기 연료탱크에 목표부압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PCSV 밸브의 퍼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CSV 밸브의 퍼지 시간을 증가시킨 후 상기 연료탱크의 목표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PCSV 밸브를 닫힘고착(Closed Stuck) 고장으로 진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목표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PCSV 밸브의 퍼지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V 진단 방법.
KR1020170054355A 2017-04-27 2017-04-27 Pcsv 진단 방법 KR10233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355A KR102335377B1 (ko) 2017-04-27 2017-04-27 Pcsv 진단 방법
US15/837,837 US10570848B2 (en) 2017-04-27 2017-12-11 Method for diagnosing PCSV
DE102018104563.8A DE102018104563A1 (de) 2017-04-27 2018-02-28 Verfahren zum Diagnostizieren eines Spülsteuersolenoidventils (PCSV)
CN201810231996.5A CN108798939B (zh) 2017-04-27 2018-03-20 用于诊断pcsv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355A KR102335377B1 (ko) 2017-04-27 2017-04-27 Pcsv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30A true KR20180120430A (ko) 2018-11-06
KR102335377B1 KR102335377B1 (ko) 2021-12-06

Family

ID=6379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355A KR102335377B1 (ko) 2017-04-27 2017-04-27 Pcsv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0848B2 (ko)
KR (1) KR102335377B1 (ko)
CN (1) CN108798939B (ko)
DE (1) DE1020181045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56A (ko)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능고장을 방지하는 pcsv 제어방법
KR20220091296A (ko) * 2020-12-23 2022-06-30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듀얼 퍼지시스템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602A (ko) * 2019-01-15 2020-07-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퍼지 펌프를 활용한 진공펌프 고장시 리크 진단 보완 방법 및 액티브 퍼지 펌프를 활용한 진공펌프 고장시 리크 진단 보완 시스템
WO2021020486A1 (ja) * 2019-07-30 2021-02-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システム
CN111608823B (zh) * 2020-05-13 2022-06-28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炭罐阀开启延迟、油箱泄漏的检测方法及泄漏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956B2 (ja) * 1989-05-31 1998-04-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パージ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20080000036A (ko) 2006-06-26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시스템 누출 진단시 pcsv의 닫힘고착 판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1058B2 (en) * 2000-06-08 2004-07-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Leakage determination system for evaporative fuel processing system
JP2004232521A (ja) * 2003-01-29 2004-08-19 Denso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チェック装置
JP2004270534A (ja) 2003-03-07 2004-09-30 Fuji Heavy Ind Ltd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5061264A (ja) 2003-08-08 2005-03-10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570008B1 (ko) * 2003-12-30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증발가스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JP4640133B2 (ja) * 2005-11-22 2011-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2007146797A (ja) * 2005-11-30 2007-06-14 Denso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
JP4719621B2 (ja) * 2006-05-22 2011-07-0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診断制御装置
KR100756861B1 (ko) 2006-10-31 2007-09-07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캐니스터 퍼지 밸브의 완전 열림 고착 진단 방법
KR101614160B1 (ko) 2008-07-16 2016-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스트 다운믹스 신호를 지원하는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US7810475B2 (en) * 2009-03-06 2010-10-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vapor purging diagnostics
KR101279732B1 (ko) 2011-09-16 2013-06-2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csv 열림고착 시 시동꺼짐방지 제어방법
US9932937B2 (en) * 2012-11-15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 diagnostics
JP5825281B2 (ja) * 2013-03-21 2015-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9255553B2 (en) * 2013-07-10 2016-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ak detection for canister purge valve
US9416755B2 (en) * 2014-12-0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anister purge valve degradation
JP6337806B2 (ja) * 2015-03-10 2018-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9759168B2 (en) * 2015-05-07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creasing crankcase ventilation flow rate via active flow control
KR20190071330A (ko) * 2017-12-14 2019-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및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의 퍼지 밸브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956B2 (ja) * 1989-05-31 1998-04-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パージ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20080000036A (ko) 2006-06-26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시스템 누출 진단시 pcsv의 닫힘고착 판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56A (ko)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능고장을 방지하는 pcsv 제어방법
US10890128B2 (en) 2018-12-07 2021-01-12 Hyundai Motor Company PCSV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KR20220091296A (ko) * 2020-12-23 2022-06-30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듀얼 퍼지시스템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3289A1 (en) 2018-11-01
CN108798939A (zh) 2018-11-13
DE102018104563A1 (de) 2018-10-31
US10570848B2 (en) 2020-02-25
KR102335377B1 (ko) 2021-12-06
CN108798939B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430A (ko) Pcsv 진단 방법
KR100236136B1 (ko) 차량용 탱크 환기 시스템 및 작동성 시험 방법
US10294895B2 (en) Abnormality sensing device for evaporation fuel purge system
CN102678396B (zh) 炭罐流量的诊断方法
US20150090235A1 (en) Cpv-controlled evap leak detection system
CN105156210A (zh) 燃油箱蒸发排放系统泄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DE102011084403A1 (de) Tankentlüftungs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Diagnose
DE102006056384B4 (de) Verfahren zur Funktionsüberprüfung eines Druckschalters einer Tankentlüftungsanlageund Steuereinrichtung
DE102016210579A1 (de) Verfahren zur diagnose von leckagen nach der entlüftungsdurchfluss-steuerblende
US20130297177A1 (en) Method for diagnosing fuel tank leaks, and apparatus applying same
US10481043B2 (en) Method for small leak testing of an evaporative emissions system
DE10300592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9500163B2 (en) Servo controlled EVAP leak detection system
CN205135807U (zh) 燃油箱蒸发排放系统泄漏检测装置
KR20110009236A (ko) 모터 차량의 내연 기관용 탱크 환기 시스템의 압력 스위치의 기능 시험 방법 및 장치
US7594427B2 (en) Rate-based monitoring for an engine system
KR101655610B1 (ko)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US20220205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Ventilation Lin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Tank
US9404463B2 (en) Method for performing evaporative emission system diagnostics on engines configured for stop-start operation
CN114607519A (zh) 一种燃油蒸发系统泄漏诊断方法及燃油蒸发系统
KR102644367B1 (ko) 연료 시스템의 연료 누출 진단 방법
KR20120124694A (ko) 연료탱크의 연료 누설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91122A (ja) 自動車用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
JP2007092657A (ja)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KR100645305B1 (ko) 연료 시스템의 대규모 누설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