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610B1 -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610B1
KR101655610B1 KR1020140178689A KR20140178689A KR101655610B1 KR 101655610 B1 KR101655610 B1 KR 101655610B1 KR 1020140178689 A KR1020140178689 A KR 1020140178689A KR 20140178689 A KR20140178689 A KR 20140178689A KR 101655610 B1 KR101655610 B1 KR 10165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vld
switch
value
fu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576A (ko
Inventor
김동하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6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NVLD(Natural Vacuum Leakage Detection)모듈과 엔진제어기(ECU) 등을 이용하여 차량조립 완료단계(End Of Line, EOL)에서 차량의 연료탱크 내에 연료누설이 존재하는지 진단함으로써, 기존의 추가적인 진단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연료누설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LEAKAGE OF FUEL TAN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VLD(Natural Vacuum Leakage Detection)모듈과 엔진제어기(ECU) 등을 이용하여 차량조립 완료단계(End Of Line, EOL)에서 차량의 연료탱크 내에 연료누설이 존재하는지 진단함으로써, 기존의 추가적인 진단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연료누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의 가속화로 인해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대기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각국에서는 다양한 규제 강화를 통해 자동차 제조사들이 배기가스를 줄이도록 강제하고 있으며, 특히 OBD(On Board Diagnosis) 규제와 같이 차량의 배출가스 관련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및 고장 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자동차의 배출가스는 주로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 이외에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배출되는 미연소 가스와 외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증발하여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존재한다.
이중 연료탱크에서의 증발가스는 탄화수소로 구성되어 있어 대기 중으로 배출될 경우 오존층 파괴 등을 유발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작용하므로, 자동차에서는 연료의 증발로 인해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캐니스터(canister)라는 흡착력이 강한 활성탄에 포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엔진 구동시 흡기에 유입시켜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엔진에 이르는 연료시스템에 리크(leak)가 존재할 경우 증발가스가 대기로 유출되므로 현재 규제 법규상으로는 리크 구경 0.5mm와 1.0mm의 크기에 상응하는 누설을 엔진제어기(ECU)가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자동차 제조 업체에서는 차량조립 완료단계(End Of Line, EOL)에서 차량의 연료시스템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자체적으로 검사하고 있으며, 이 검사를 통과해야만 차량의 정상적인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다양한 리크 진단시스템 중 NVLD(Natural Vacuum Leakage Detection)모듈을 이용한 시스템은, 차량이 수시간 정지해 있는 동안 외기온 변화에 따른 탱크 내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0.5mm 크기의 리크를 비교적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시스템의 경우 차량 구동시 탱크압력센서 값의 흔들림으로 인해 리크 진단을 위한 별도의 아이들(idle) 구간이 꼭 필요한데 반해, NVLD 시스템에서는 엔진 정지 중 진단이 가능함으로 하이브리드 및 ISG(Idle Stop and Go) 차량의 리크 진단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NVLD 부품의 자체 정보만으로 리크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엔진 정지 시간(예컨대, 약 4시간) 및 외기온 변화 조건(예컨대, 약 6℃) 등 환경 조건의 만족이 필수적이며, 0.5mm 이상 크기의 리크에 대해서도 0.5mm 리크와 동일하게 진단되므로 진단 사이즈별 구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NVLD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경우 EOL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서 별도의 테스터기를 이용하거나 EOL 진단을 위한 별도의 부품(예컨대, 압력센서, 캐니스터 차단밸브) 등을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NVLD모듈과 엔진제어기(ECU) 등을 이용하여 차량조립 완료단계(EOL)에서 차량의 연료탱크 내에 연료누설이 존재하는지 진단함으로써, 기존의 추가적인 진단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연료누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차량의 엔진제어기를 통해 NVLD(Natural Vacuum Leakage Detection)모듈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연료누설 진단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설정된 목표 RPM값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의 RPM을 상승시킨 후, 퍼지밸브의 열림을 제어함과 아울러 퍼지밸브를 통해 유입된 퍼지유량 및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계산된 퍼지유량이 기설정된 목표 유량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NVLD모듈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스위치 닫힘이 확인되면 상기 퍼지밸브의 닫힘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 닫힘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가 열릴 경우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임계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 열림이 확인될 경우, 상기 퍼지밸브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이상이 있으면 퍼지밸브 고장진단으로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퍼지밸브의 이상이 없으면 NVLD모듈의 스위치 열림 고착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에서,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계산된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공연비 제어 적산값은, "{∫(퍼지밸브 열림시 공연비 제어값 - 현 공연비 제어값)} / 퍼지유량 적산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에 따르면, NVLD모듈과 엔진제어기(ECU) 등을 이용하여 차량조립 완료단계(EOL)에서 차량의 연료탱크 내에 연료누설이 존재하는지 진단함으로써, 기존의 추가적인 진단장비 없이도 용이하게 연료누설을 진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제어기(ECU) 내부의 진단 로직을 통해 EOL 진단이 가능하므로, EOL 진단을 위한 장비들(예컨대, 외부 테스트기 혹은 차량 부품 장착용)에 대한 추가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NVLD 시스템의 경우 추가 부품(예컨대, 탱크압력센서, 캐니스터 차단밸브 등)이 없는 경우 0.5mm 리크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4시간 이상의 차량 정지 및 외기온 변화 조건이 필요하나, 본 발명을 통해 요청 즉시 테스트 실시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을 위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크게, 산소센서(100), 퍼지밸브(200), 캐니스터(300), NVLD모듈(400) 및 엔진제어기(ECU)(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산소센서(100)는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공연비 변화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퍼지밸브(200)는 캐니스터(300)의 증발가스를 엔진 흡기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캐니스터(300)는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NVLD모듈(400)은 연료시스템 내 압력 및 외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엔진제어기(ECU)(500)는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NVLD모듈(400)의 경우 캐니스터(300)와 대기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간의 과도한 압력 차이를 경감시키는 역할의 압력 릴리프 밸브, 탱크내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일시 닫히는 압력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가적으로 외기온 변화 및 스위치 닫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엔진제어기(ECU)(500)에 전달하는 역할의 자체 제어기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구동시에는 엔진제어기(ECU)(500)에서 NVLD모듈(400)의 스위치 닫힘 여부를 통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닫혀 있을 시 탱크내 압력이 일정값 이하로 유지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을 위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의 진단기에 의한 진단 요청이 있고, 엔진제어기(ECU)(500)의 내부 진단 활성화 조건 만족시 엔진제어기(ECU)(500)는 차량 아이들 RPM을 상승 제어하게 된다.
이는 차량의 정상 아이들(Idle) RPM 시(예컨대, 약 650rpm) 퍼지밸브(200)를 일정 비율 이상 열게 되면, 공급되는 추가의 증발가스(HC)로 인한 시동꺼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차량의 아이들 RPM이 목표값에 도달하면, 퍼지밸브(200)의 열림을 통해 일정 수준의 탱크내 부압(예컨대, -7hP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엔진제어기(ECU)(500)는 탱크압력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일정 수준의 퍼지유량 적산값(차량 시험을 통해 파악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퍼지밸브(200)를 닫게된다. 퍼지밸브(200)의 닫힘 제어시 리크 존재 유무에 따라 탱크내 부압이 대기압 수준으로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를 보인다.
즉, 리크 시스템의 경우 리크(leak)로 인해 탱크내 형성된 부압이 정상 시스템보다 빠르게 대기압 수준으로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퍼지밸브(200)의 닫힘 직후 지속적인 NVLD모듈(400)과의 통신을 통해 스위치 닫힘여부를 파악하면 간접적으로 탱크내 압력 회복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0.5mm 리크와 정상시스템간 스위치의 열림시간에는 구분 가능한 차이가 존재하지만, 연료 온도 상승으로 인한 증기 발생이 있는 경우에는 정상 시스템의 스위치 열림시간이 단축되어 0.5mm 리크의 경우와 구분이 불가능해 지는 현상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두 가지 제어가 추가된다.
첫째로, 탱크내 연료 온도 상승으로 인해 증기압이 발생되는 경우 평소의 경우보다 동일 퍼지밸브(200)의 열림시에도 엔진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HC)의 양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산소센서(100)의 값을 통해 제어되는 공연비 제어값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퍼지밸브(200)를 통해 공급되는 증발가스(HC)의 양이 많을수록 공연비 제어값은 중립값(예컨대, 1.0)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엔진제어기(ECU)(500)는 퍼지밸브(200)가 처음 열리는 시점의 공연비 제어값을 기억하고, 이 값과 퍼지밸브(200)가 열려있는 동안의 공연비 제어값과의 차이를 적산하여 총 퍼지유량으로 나누게 되면 정규화된 공연비 제어 차이값을 얻을 수 있다. 차량 시험을 통해 증기가 발생할 때의 값을 파악하여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첫 번째 방법과 같이 공연비 제어값으로 증기 발생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이나, 간접적인 방법임에서 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오랜 시간 정차된 상태에서 캐니스터(300) 내부에 다량의 증발가스(HC) 성분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퍼지밸브(200)의 열림시 공연비 제어값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경우에는 탱크내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니므로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간은 정상적인 거동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퍼지밸브(200)의 닫힘 뒤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간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다르게 처리한다.
첫 번째 영역은 "리크 영역"으로서, 증기압 형성 유무에 상관없이 0.5mm 혹은 그 이상의 리크인 경우에만 보일 수 있는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간 영역이며, 상기 리크 영역내에서 스위치 열림이 발생할 경우 공연비 제어값에 상관없이 리크(또는 연료누설) 진단으로 처리한다.
두 번째 영역은 "오버랩 영역"으로서, 증기 발생 없을 시의 0.5mm 리크 경우와 증기 발생시의 정상 시스템 경우간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간의 겹침이 발생하는 영역이며, 상기 오버랩 영역에서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 공연비 제어값 적산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는 증기압 발생으로 간주하여 결과 없음으로 처리한다. 반대의 경우는 증기압 발생이 없는 경우로 간주하여 리크 진단으로 처리한다.
세 번째 영역은 "노리크 영역"으로서, 0.5mm 리크의 경우 보일 수 있는 최대의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시간 이상이 경과한 경우에도 스위치가 닫힘 상태로 유지될 경우에는 현 시스템에 리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노리크 영역에 도달한 경우에는 리크 없음으로 처리하여 진단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크 영역의 시간범위는 상기 오버랩 영역의 시간범위 이전에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버랩 영역의 시간범위는 상기 노리크 영역의 시간범위 이전 즉, 상기 리크 영역 및 상기 노리크 영역의 시간범위 사이에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로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엔진제어기(ECU)(5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엔진제어기(ECU)(500)를 통해 NVLD모듈(400)로부터 정보(예컨대, 외기온, 스위치 정보 등)를 수신한 후(S100), 기설정된 연료누설 진단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한다(S101).
즉, 외부 진단기를 통한 EOL 리크 진단 요청이 있을 시 엔진제어기(ECU)(500)에서는 NVLD모듈(400)과의 통신을 통해 NVLD모듈(400)로부터 외기온, 스위치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정보를 위한 통신이 종료되면 테스트 가능 여부를 엔진제어기(ECU)(500) 내부 변수를 포함하여 결정하며 이때의 조건(즉, 연료누설 진단조건)은 아래와 같다.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은, NVLD모듈(400)의 스위치 현재 열림, 퍼지밸브(200)의 동작 후 경과 시간 조건(eg. >= 120s), 엔진 시동후 경과 시간 조건(eg. <= 1200 s), 엔진 냉각수온 조건 (eg. >= 70degC), 엔진 시동시 냉각수온 조건(eg. <= 70degC), 엔진 시동시 NVLD모듈(400)의 외기온 및 냉각수온 차이 조건(eg. <= 15 degC), 대기압 조건(eg. >= 760hPa), 차속 조건(eg. <= 1km/h), 엔진 아이들 조건, NVLD모듈(400)의 외기온 조건(eg. 0degC~30degC), 시동후 NVLD모듈(400)의 외기온 상승값 조건(eg. < 5degC), 캐니스터(300) 로딩값 낮음, 연료 레벨 조건(eg. 5L~40L), 관련 부품 에러 없음, 공연비 제어 정상 작동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S101의 판단 결과,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결과 없음으로 처리하고(S102), 후술하는 단계S118로 이동하여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설정된 목표 RPM값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의 RPM을 상승시킨 후(S103 및 S104), 퍼지밸브(200)의 열림을 제어함과 아울러 퍼지밸브(200)를 통해 유입된 퍼지유량 및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계산한다(S105).
즉,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차량 RPM을 상승 제어하며, 차량의 RPM이 목표 RPM값에 도달시 퍼지밸브(200)의 열림을 제어한다. 이때, 엔진에 미치는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램프형식으로 열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퍼지밸브(200)를 통해 유입된 유량을 적산하고 공연비 제어값을 적산한다.
상기 공연비 제어 적산값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공연비 제어 적산값 = {∫(퍼지밸브 열림시 공연비 제어값 - 현 공연비 제어값)} / 퍼지유량 적산값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5에서 계산된 퍼지유량이 기설정된 목표 유량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S106), 기설정된 목표 유량값에 도달한 경우, NVLD모듈(400)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07).
이후에, 상기 단계S107의 수신 결과, NVLD모듈(200)의 스위치 열림이 있는지 판단하여(S108),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이 확인될 경우, 퍼지밸브(2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S109).
만약, 상기 단계S109의 판단 결과, 퍼지밸브(200)의 이상이 있으면 퍼지밸브 고장진단으로 처리하고(S110), 후술하는 단계S118로 이동하여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그렇지 않고, 퍼지밸브(200)의 이상이 없으면,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 고착으로 진단하고(S111), 후술하는 단계S118로 이동하여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계S108의 판단 결과, NVLD모듈(400)의 스위치 닫힘이 확인되면 "A" 과정을 수행한다. 즉, "A"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지밸브(200)의 닫힘을 제어한 후(S112), NVLD모듈(400)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NVLD모듈(400)의 스위치 닫힘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산한다(S113).
이후에, NVLD모듈(400)의 스위치 열림을 판단하여(S114), NVLD모듈(400)의 스위치가 열릴 경우 스위치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5).
만약, 상기 단계S115의 판단 결과, 스위치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임계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하고(S119), 그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S118).
그렇지 않고, NVLD모듈(400)의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단계S105에서 계산된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6).
만약, 상기 단계S116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S105에서 계산된 공연비 제어 적산값이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이상일 경우, 결과 없음으로 처리하고(S117), 상기 단계S118로 이동하여 그 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그렇지 않고, 상기 단계S105에서 계산된 공연비 제어 적산값이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하고(S119), 상기 단계S118로 이동하여 그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계S1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노리크 임계값까지 NVLD모듈(400)의 스위치가 닫힌 경우 연료누설 없음으로 진단하고(S120 및 S121), 상기 단계S118로 이동하여 그 진단결과를 외부 테스터기에 전송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산소센서, 200 : 퍼지밸브,
300 : 캐니스터, 400 : NVLD모듈,
500 : 엔진제어기

Claims (5)

  1. (a) 차량의 엔진제어기를 통해 NVLD(Natural Vacuum Leakage Detection)모듈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연료누설 진단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연료누설 진단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설정된 목표 RPM값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의 RPM을 상승시킨 후, 퍼지밸브의 열림을 제어함과 아울러 퍼지밸브를 통해 유입된 퍼지유량 및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계산된 퍼지유량이 기설정된 목표 유량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NVLD모듈로부터 스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스위치 닫힘이 확인되면 상기 퍼지밸브의 닫힘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 닫힘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산하고,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가 열릴 경우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영역의 최소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하고,
    상기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영역의 최소값 이상 및 최대값 미만이면, 상기 단계(b)에서 계산된 공연비 제어 적산값을 확인하여 상기 공연비 제어 적산값이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미만이면 연료누설로 진단하고, 상기 공연비 제어 적산값이 상기 기설정된 증기발생 임계값 이상이면 연료누설이 없는 것으로 진단하고,
    상기 스위치 닫힘시간이 기설정된 오버랩 영역의 최대값 이상이면 연료누설이 없는 것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VLD 모듈의 스위치는 연료탱크 내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닫히고 상기 연료탱크 내 압력이 상기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열리는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NVLD모듈의 스위치 열림이 확인될 경우, 상기 퍼지밸브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이상이 있으면 퍼지밸브 고장진단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밸브의 이상이 없으면 NVLD모듈의 스위치 열림 고착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공연비 제어 적산값은, "{∫(퍼지밸브 열림시 공연비 제어값 - 현 공연비 제어값)} / 퍼지유량 적산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KR1020140178689A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KR10165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89A KR101655610B1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89A KR101655610B1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76A KR20160071576A (ko) 2016-06-22
KR101655610B1 true KR101655610B1 (ko) 2016-09-08

Family

ID=563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89A KR101655610B1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2798B4 (de) 2016-10-26 2023-09-21 Florian Brokhausen Verfahren zur Dichtigkeitsprüfung eines Druckluftsystems eines Kraftfahrzeuges während einer Fahrzeugproduktion
CN110622220B (zh) * 2017-05-05 2023-03-10 福特全球技术公司 自适应诊断参数化
CN113551856B (zh) * 2021-07-21 2023-01-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燃油车管路泄漏下线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449A (ko) * 2008-05-07 2009-11-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 탱크 누설 감지 방법
KR20120124694A (ko) * 2011-05-04 2012-11-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 누설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76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525B2 (en) Method for testing the operability of a tank shutoff valve of a fuel tank system
JP460777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8327691B2 (en) Vacuum decay testing method
KR101567981B1 (ko) 연료 증발가스의 누설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90057471A (ko) 탱크 벤팅 장치, 제어 장치 및 내연 기관의 점검 방법
JP6354734B2 (ja) 内燃機関の異常検出装置
KR101602069B1 (ko)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US5651349A (en) Purge system flow monitor and method
KR101655610B1 (ko)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JP6315187B2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制装置
US20220205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Ventilation Lin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Tank
KR101252776B1 (ko) 증발가스 누설 진단 장치 및 방법
US11187193B1 (en) Active dual purge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active dual purge system using onboard diagnosis
KR101558977B1 (ko) 가스 누출 감지를 위한 압력 스위치의 고착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6233591B2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制装置
JP4250972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7373799B2 (en) Testing a fuel tank vacuum sensor
KR102347684B1 (ko) 연료 누설 검출 장치의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1636A (ko) 차량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JPH06235354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及び蒸発燃料供給系の保護装置
WO2018045100A1 (en) Fuel tank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utomotive fuel system leaks
KR102119380B1 (ko) 증발가스 액티브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1240936B1 (ko) 자동차용 연료시스템의 연료넘침 고장진단방법
KR100412715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의 누설 진단 방법
KR100666297B1 (ko) 연료시스템의 가스누출 발생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