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62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622A
KR20180117622A KR1020187024562A KR20187024562A KR20180117622A KR 20180117622 A KR20180117622 A KR 20180117622A KR 1020187024562 A KR1020187024562 A KR 1020187024562A KR 20187024562 A KR20187024562 A KR 20187024562A KR 20180117622 A KR20180117622 A KR 2018011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absorbent article
fused
width direc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스미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요철 구조의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의 억제를 양립시키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그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와 흡수체 코어(403) 및 코어 랩 시트(401)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융착부(21)와, 인접하는 융착부 사이에 형성되고, 피부측 및 비피부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1)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와 코어 랩 시트를 접속하는 세선상의 접착제(9)는, 소정 패턴을 형성한다. 소정 패턴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융착부와 돌출부를 접속하는 가로 방향 부분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소정 패턴은, 복수 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소정 패턴 열을 형성한다. 소정 패턴 열은, 복수 열,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된다. 소정 패턴 열과 중복되는 돌출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의 최소치는, 돌출부 및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의 거리 미만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움패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와, 인접하는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고,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적어도 이하와 같은 특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구성으로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즉, 배설물이 오목부에 들어감으로써 피부에 배설물이 부착되기 어렵고, 표면 시트의 표면적이 커짐으로써 배설물의 흡수가 촉진되고, 오목부 내의 배설물이 길이 방향을 따라 확산함으로써 흡수체의 전체를 낭비 없이 배설물의 흡수에 이용할 수 있고, 오목부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통기성이 좋아지고, 오목부의 분만큼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저하되는 등의 특성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가 부직포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를 상기 흡수체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시킨 외주 플랩부 중 적어도 흡수성 물품의 전후 단부에 각각,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상기 이면 시트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시킨 외측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에는, 평면시로, 흡수성 물품의 대략 길이 방향을 따름과 함께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복수의 엠보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엠보스) 오목부와, 복수의 오목부 사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표면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는 표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외주면에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파상의 톱니가 형성된 엠보스 롤과, 앰빌 롤 사이에 부직포를 끼워 엠보스 가공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에 의해, 예컨대,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오목부 사이에,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 방법으로 형성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는 표면 시트는 저비용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구성으로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54016호
그런데, 상기 요철 구조(묘구(畝溝)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한 경우, 폭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는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고밀도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성을 거의 갖지 않지만, 볼록부는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지 않아 저밀도로 변형 용이하기 때문에 신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갖는 표면 시트는 폭 방향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고 있다. 그러한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흡수성 물품이 사용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인장되면, 표면 시트도 폭 방향으로 인장되어, 즉 폭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받아 폭 방향으로 신장된다. 여기서, 흡수체는 흡수체 코어와 흡수체 코어를 감싸는 코어 랩 시트를 포함하고 있고, 표면 시트와 표면 시트측의 코어 랩 시트(이하, 간단히 「코어 랩 시트」라고도 함)는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가 폭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코어 랩 시트도 신장되게 된다. 그런데, 코어 랩 시트는 흡수성이나 확산성 등의 요청에 의해 티슈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표면 시트만큼은 신장될 수 없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가 신장되기 쉽고, 그 신장량이 지나치게 크면, 코어 랩 시트는, 충분히 신장될 수 없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신장에 추종할 수 없어, 파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고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 코어의 외측으로 나오고, 더욱 표면 시트의 외측으로 나와 버려 흡수체의 흡수량이 저하되거나,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공간이 생겨 버려 흡수체의 흡수 속도가 저하되거나 하는 등, 흡수성 물품의 흡수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과, 표면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의 억제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가, 흡수체 코어와 상기 흡수체 코어를 감싸는 코어 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코어 랩 시트의 상기 표면 시트측의 면을 접합하는 접착제를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융착부와, 상기 복수의 융착부 중의 인접하는 융착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융착부의 피부측 및 비피부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는, 세선(細線) 형상을 갖고, 소정 패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 패턴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에 인접하는 돌출부를 접속하는 가로 방향 부분으로서, 상기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상기 폭 방향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45°이내인 가로 방향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가로 방향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로 방향 부분으로서, 상기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상기 폭 방향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45°보다 큰 세로 방향 부분을 각각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소정 패턴은, 복수 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소정 패턴 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소정 패턴 열은, 복수 열,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소정 패턴 열과 중복되는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 미만인,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착부(오목부) 및 돌출부(볼록부)가 교대로 배치된 표면 시트를 이용함과 함께, 신장되기 어려운 융착부(오목부)에 신장되기 쉬운 돌출부(볼록부)를 접착제의 가로 방향 부분으로 고정하고 있다. 접착제 및 융착부는 신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돌출부는 신장하고자 해도 신장 곤란해지고, 그렇기 때문에 표면 시트는 전체적으로 신장 곤란해진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표면 시트에의 인장 하중에 대한 표면 시트의 신장을 억제하여,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표면 시트의 폭 방향의 신축성을 어느 정도 희생시켜,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억제하고 있다.
다만,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가로 방향 부분의 근방의 영역에서는 돌출부가 신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각 가로 방향 부분으로부터 먼, 예컨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에서는 돌출부가 폭 방향으로 지나치게 신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돌출부의 폭 방향으로의 신장에 의해, 인접하는 소정 패턴 열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세로 방향 부분이 폭 방향으로 인장되어 이동하고, 그 세로 방향 부분의 이동에 코어 랩 시트가 끌려가, 폭 방향으로 인장되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즉,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돌출부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접착제의 소정 패턴 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길이 방향의 최소의 거리를 돌출부 및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의 폭 미만으로 좁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이더라도 표면 시트가 지나치게 신장되는 경우는 없고, 돌출부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면 시트가 폭 방향으로 인장되더라도, 표면 시트가 폭 방향으로 그다지 신장되지 않고, 즉 코어 랩 시트도 거의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코어 랩 시트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한 접착제의 소정 패턴(열)에 의해, 신축성을 어느 정도 희생시키고 있지만, 그 만큼, 신장에 따라 돌출부가 찌부러져 얇아진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인장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신장의 정도가 억제되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상기 소정 패턴 열과 중복되는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 미만인, 상기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더욱,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길이 방향의 최대의 거리를 돌출부 및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의 폭 미만으로 좁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의 신장, 나아가서는 돌출부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코어 랩 시트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에서 코어 랩 시트가 부분적으로 파단된 경우,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거리가 크면, 파단이 양측의 가로 방향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지나치게 커져, 세선상의 접착제로는 파단의 신전(伸展)을 멈추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단이 지나치게 커지기 전에 양측의 가로 방향 부분에 도달하기 때문에, 세선상의 접착제로도 파단의 신전을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일 코어 랩 시트의 일부에 파단이 발생했다고 해도, 파단을 매우 좁은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의 섬유 밀도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코어 랩 시트측의 돌출부의 섬유 밀도가 높음으로써, 접착제는, 코어 랩 시트측의 돌출부에 깊게 침투하여, 코어 랩 시트측의 돌출부와 매우 잘 결착한 상태에서, 코어 랩 시트와 결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접착제로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에 있어서, 상기 섬유끼리의 교점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상기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섬유끼리의 교점에 있어서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에 더하여 섬유끼리의 융착에 의해,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돌출부의 상기 폭 방향의 폭은, 상기 융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폭보다 큰,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돌출부의 폭 방향의 폭이 크기 때문에, 돌출부의 두께 방향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을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을 보다 살리면서, 표면 시트의 신장을 억제하여,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보다 낮은,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돌출부에 있어서, 코어 랩 시트측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낮음으로써, 코어 랩 시트측의 표면 시트의 요철이 작아지기 때문에, 코어 랩 시트측의 표면 시트에 접착제가 보다 확실하게 결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표면 시트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보다 높은, 상기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돌출부에 있어서, 코어 랩 시트측에 있어서의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가 높은, 즉 섬유끼리의 상대적인 이동이 어려운 것에 의해, 돌출부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접착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소정 패턴에 의해, 상기 세선상의 접착제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폭 방향의 신장에 대하여, 돌출부의 신장되는 영역을 폐쇄 영역이라고 하는 좁은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의 신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신장에 의한 코어 랩 시트를 파단시키는 힘이 미치는 범위를, 그 폐쇄 영역에 가둘 수 있다. 즉, 돌출부에 파단이 발생했다고 해도 폐쇄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9) 상기 소정 패턴 열은, 서로 중복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정 패턴 열이 서로 중복됨으로써, 돌출부에 있어서, 접착제의 존재하는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소정 패턴 열이 서로 중복됨으로써,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신장되는 영역을 폐쇄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표면 시트의 신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10) 상기 소정 패턴 열의 상기 소정 패턴은, 서로 중복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정 패턴이 서로 중복됨으로써, 돌출부에 있어서, 접착제의 존재하는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돌출부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소정 패턴이 서로 중복됨으로써,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의 신장되는 영역을 폐쇄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표면 시트의 신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11) 상기 소정 패턴 열은, 오메가 패턴, 웨이브 패턴 또는 스파이럴 패턴을 갖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정 패턴 열이 오메가 패턴, 웨이브 패턴 또는 스파이럴 패턴을 가짐으로써, 세선상의 접착제를 표면 시트와 코어 랩 시트 사이에 빠짐없이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신장을 빠짐없이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과, 표면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의 억제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Ⅱ-Ⅱ'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도 2의 프레임 Q1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도 4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와 접착제의 소정 패턴과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파단을 발생하는 기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파단을 억제하는 조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파단을 억제하는 조건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도 4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와 접착제의 소정 패턴과의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도 6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와 접착제의 소정 패턴과의 관계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접착제의 패턴과의 관계의 비교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그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테이프형, 팬츠형),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땀 흡수 시트 등의 위생 용품·생리 용품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인간을 대상으로 해도 좋고, 펫 등의 인간 이외의 동물을 대상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흡수 대상으로 하는 액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착용자의 액상 배설물, 체액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회용 기저귀(테이프형)를 예로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개하여 평탄하게 펼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상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간단히 「평면시」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측」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또한, 「비피부측」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으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흡수성 물품(1)(일회용 기저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1은 흡수성 물품(1)을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길이 방향(L)과,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폭 방향(W)과,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고 있고,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4)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4)와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다만,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흡수체(4)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과 일치한다. 따라서,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및 흡수체(4)에 있어서,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하여 각각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이용하고,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에 대하여 각각 피부측 및 비피부측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은, 또한, 한쌍의 측부 시트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샘 방지 벽부(5, 5)와, 착용자의 대퇴부에 접촉하는 좌우의 다리 둘레부를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신축시키기 위한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신축 부재(6)와, 착용 시에 일회용 기저귀의 복부 영역과 등측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테이프(7)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이면 시트(3)를 보강함과 함께, 그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한 외장 시트(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외장 시트(8)는,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에 접합된 상태에서, 한쌍의 샘 방지 벽부(5, 5)와 그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 한쌍의 샘 방지 벽부(5, 5)의 각각을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 부재가 한쌍의 샘 방지 벽부(5, 5)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3)는, 흡수체(4)의 비피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배출된 배설액의 투과를 방지하여 내의나 의복 등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면 시트(3)는, 배설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지는 않지만, 소정의 통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고 있으면, 흡수체로부터 비피부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이면 시트를 통해 방출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 내에 혹은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피부면 사이에 머무는 습기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와의 사이에 흡수체(4)를 끼운 상태에서, 표면 시트(2)와 그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어, 배설액 등의 액체 등이 외측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3)의 재료로는,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예컨대,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 합성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필름,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면 시트(3)의 재료, 두께, 단위 중량, 밀도 등은, 흡수체(4)에 흡수·유지되는 액상 배설물의 샘을 방지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흡수체(4)는, 뇨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것이고, 배설액을 흡수·유지하는 흡수성 재료를 함유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흡수체(4)는, 평면시로 길이 방향(L)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다. 또, 다른 형상, 예컨대 평면시로, 길이 방향(L)의 양단측이 길이 방향(L)의 외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표면 시트(2)나 이면 시트(3)보다 작은 대략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4)는, 표면 시트측, 즉 피부측의 면 및 이면 시트측, 즉 비피부측의 면에 있어서 모두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다.
흡수체(4)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코어 랩 시트(401)와,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 또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코어 랩 시트(402)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흡수체 재료로 형성된 흡수체 코어(4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코어 랩 시트(401)와 이면 코어 랩 시트(402)는, 양 시트 사이에 흡수체 코어(403)를 끼운 상태에서, 이들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흡수성 재료 등이 외측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표면 코어 랩 시트(401)와 이면 코어 랩 시트(402)는, 1장의 부재로 흡수체 코어(403)를 감싸도록 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체 코어(403)에 함유되는 흡수성 재료는, 착용자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유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성 재료로는, 예컨대, 흡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재료(예컨대, 고흡수성 수지, 고흡수성 섬유 등)를 들 수 있다. 흡수성 재료는,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증점 분기제, 광택 제거제, 착색제, 그 밖의 각종 개량제를 함유해도 좋다.
흡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침엽수 또는 활엽수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목재 펄프(예컨대, 쇄목 펄프,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 서모메카니컬 펄프, 케미서모메카니컬 펄프 등의 기계 펄프; 크래프트 펄프, 술파이드 펄프, 알칼리 펄프 등의 화학 펄프; 반화학 펄프 등); 목재 펄프에 화학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머셀화 펄프 또는 가교 펄프; 버개스, 케나프, 대나무, 마, 면(예컨대 코튼 린터) 등의 비목재 펄프;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지만, 비용이 낮고, 성형하기 쉬운 점에서, 분쇄 펄프가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재료로는, 예컨대,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고흡수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전분계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고흡수성 재료로는, 예컨대,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폴리머계의 고흡수성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술폰산염계, 무수 말레산염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콜계,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폴리아스파르트산염계, 폴리글루탐산염계, 폴리알긴산염계,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등의 고흡수성 수지(Superabsorbent Polymer: SAP)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 폴리아크릴산염계(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계)의 고흡수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재료의 형상으로는, 예컨대, 입자상, 섬유상, 인편상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체 코어(403)의 두께, 평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수체(4)(예시: 일회용 기저귀)가 구비해야 하는 특성(예컨대, 흡수성, 강도, 경량성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체(4)의 두께는, 통상 0.1∼15 ㎜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의 범위 내이고, 평량은, 통상 20∼1000 g/㎡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0 g/㎡의 범위 내이다. 또한, 흡수체 코어(403)의 두께, 평량 등은, 흡수체(4) 전체에 걸쳐 일정해도 좋고,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또한, 표면 코어 랩 시트(401)와 이면 코어 랩 시트(402)의 재료로는 액 투과성 및 흡수체 코어의 유지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 시트의 재료로는, 예컨대, 티슈나 친수성 섬유의 부직포, 친수 처리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직포 등 공지된 재료를 들 수 있다. 저비용성 및 흡수체 유지성의 면에서, 분쇄 펄프를 주재료로 하고 습식법으로 성형되는 티슈가 바람직하다.
표면 코어 랩 시트(401)와 이면 코어 랩 시트(402)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액 투과성을 갖고, 흡수체 코어(403)를 유지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에 공지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양 시트의 두께는, 0.01∼2 ㎜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05∼1 ㎜의 범위 내이고, 평량은, 5∼50 g/㎡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g/㎡이다. 섬도는, 통상 0.5∼5 dtex, 바람직하게는 1.0∼4.0 dtex이고, 섬유 길이는, 통상 30∼60 ㎜, 바람직하게는 35∼55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시트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흡수체(4)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다만, 양 시트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좋다.
표면 시트(2)는, 흡수체(4)의 피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그 착용자로부터의 배설액을 신속히 흡수 혹은 투과시켜, 흡수체(4)를 향하여 이행시킨다. 표면 시트(2)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폭 방향(W)으로 교대로 배열된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는,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의 재료로는 액 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열융착성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표면 시트(2)의 재료로는, 예컨대 부직포를 들 수 있다. 그 부직포는, 예컨대, 웨브(플리스)를 형성하고, 섬유끼리를 물리적·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웨브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컨대, 스펀본드법, 건식법(카딩 방식, 에어레이드 방식), 습식법 등을 들 수 있다. 섬유끼리의 결합 방법으로는, 예컨대, 서멀 본드법(캘린더법, 에어스루법 등), 케미컬 본드법, 메카니컬 본드법(니들 펀치법, 수류 교락법, 스티치 본드법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예컨대, 천연 섬유(양모, 코튼 등), 재생 섬유(레이온, 아세테이트 등), 무기 섬유(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 합성 수지 섬유(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단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심(core)·초(sheath)형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도/해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층의 부직포여도 좋고, 단층의 부직포가 적층된 적층체여도 좋다.
표면 시트(2)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액 투과성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에 공지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시트(2)의 두께는, 0.1∼5 ㎜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2∼3 ㎜의 범위 내이고, 평량은, 5∼100 g/㎡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0∼50 g/㎡이다. 섬도는, 통상 0.5∼10 dtex, 바람직하게는 1.0∼5.0 dtex이고, 섬유 길이는, 통상 20∼100 ㎜, 바람직하게는 30∼70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표면 시트(2)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다만, 표면 시트(2)의 두께, 평량, 섬도, 섬유 길이 등은,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는, 표면 코어 랩 시트(401)의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이면 코어 랩 시트(402)의 비피부측의 면에 있어서 이면 시트(3)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합성 고무계, 폴리올레핀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등의 공지된 핫멜트 접착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1)의 표면 시트(2)에 관하여 더욱 설명한다. 표면 시트(2)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폭 방향(W)으로 교대로 배열된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엠보스 가공으로 제조하고 있다. 도 3은, 그러한 표면 시트(2)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우선, 표면 시트(2)의 재료로서 미가공의 부직포(2P)를 준비한다. 부직포(2P)는, 전술한 표면 시트(2)의 재료로서 예시된 부직포이다. 그 부직포(2P)를 엠보스 가공 장치에 반송한다. 그 엠보스 가공 장치에는, 외주면에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파상의 톱니가 형성된 엠보스 롤과, 앰빌 롤이 대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엠보스 롤과 앰빌 롤 사이에 부직포(2P)가 끼워 넣어진다. 엠보스 롤과 앰빌 롤 사이에 끼워 넣어진 부직포(2P)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로 압력(Pe)이 인가된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Pe)이 인가된 개소에는,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송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CD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 즉 복수의 융착부(21)가 형성된다(엠보스 가공). 한편, 복수의 융착부(21)의 인접하는 융착부(21)끼리의 사이에는,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연장되고, 융착부(21)로부터 상대적으로 두께 방향(T)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 즉 복수의 돌출부(11)가 폭 방향(CD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융착부(21)는, 부직포(2P)가 압축되고 융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매우 얇은 판 형상을 갖고, 거의 신축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한편, 돌출부(11)는, 부직포(2P)가 압축되지 않고 형성되기 때문에, 부직포(2P)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단직경을 갖는 타원상의 단면을 갖는 타원 기둥 형상을 갖고, 폭 방향(CD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두께 방향으로 유연성을 갖는 구조가 된다. 또, 엠보스 롤은, 부직포(2P)를 가열하면서 압력(Pe)을 인가해도 좋다.
이러한 엠보스 가공법을 이용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엠보스 가공법은,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의 형성 방법으로서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표면 시트(2)는, 그 후, 접착제를 통해 흡수체(4)와 접합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는 흡수체(4)에 강하게 가압되면서 접합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2)의 흡수체(4)측의 면은 돌출부(11)뿐만 아니라 융착부(21)도 흡수체(4)에 첩부된다. 그 결과,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흡수체(4)측의 부분(15)은 눌려 찌부러져 돌출의 정도가 낮아지고, 돌출부(11)의 흡수체(4)와 반대측의 부분(13)은 눌려 찌부러지지 않아 돌출의 정도가 높아진다. 이 때, 표면 시트의 인장 강도도 향상되어 있다.
도 4는 표면 시트(2)와 흡수체(4)가 중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는, 표면 시트(2)의 융착부(21) 및 돌출부(11)가 연장되는 방향, 즉 제조 시의 반송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과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표면 시트(2)와 흡수체(4)가 접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1)는,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양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1)는,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끝 가장자리까지 또는 한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돌출부(11)를 이와 같이 연장 형성하면, 표면 시트(2)의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5∼도 6은 표면 시트(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그 표면 시트(2)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프레임 Q1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는, 흡수체(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면(2a)과, 제1 면(2a)과는 반대측, 즉 흡수체(4)측에 위치하는 제2 면(2b)을 갖고 있다. 표면 시트(2)의 복수의 융착부(21)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돌출부(11)는, 복수의 융착부(21) 중의 인접하는 융착부(21) 사이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융착부(21)의 제1 면(2a)측 및 제2 면(2b)측, 즉 피부측 및 비피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표면 시트(2)와 흡수체(4)의 표면 코어 랩 시트(401)는 접착제(9)를 통해 밀접히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9)는, 후술되는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9)가 없는 부분이더라도, 표면 시트(2)와 표면 코어 랩 시트(401) 사이에는 거의 간극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1)의 하측에도 접착제(9)가 존재하기 때문에, 접착제(9)로부터 돌출부(11)를 폭 방향(W)으로 신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으로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신장되어 돌출부(11)가 폭 방향(W)으로 늘어나 찌부러지고 요철 구조가 붕괴되어, 요철 구조에 따르는 특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1 면(2a)측의 돌출부(11)의 정상부(12)와, 제1 면(2a)측의 융착부(21)의 바닥부(22)와의 차, 즉 바닥부(22)를 기준으로 한 정상부(12)의 높이를 Tu로 하고, 제2 면(2b)측의 돌출부(11)의 정상부(14)와, 제2 면(2b)측의 융착부(21)의 바닥부(24)와의 차, 즉 바닥부(24)를 기준으로 한 정상부(14)의 높이를 Td로 한다. 그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Tu > Td가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면(2b)측의 돌출부(11)는, 제1 면(2a)측의 돌출부(11)보다 찌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제2 면(2b)측(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의 표면 시트(2)의 요철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2)의 제2 면(2b)측의 오목부가 되는 융착부(21)에도 접착제(9)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의 표면 시트(2)에 접착제(9)를 보다 확실하게 결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으로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고, 요철 구조가 붕괴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1)의 흡수체(4)(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의 부분(15)은 찌부러져 있는, 즉 돌출의 정도가 낮고,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한편, 돌출부(11)의 흡수체(4)(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과 반대측의 부분(13)은 찌부러져 있지 않은, 즉 돌출의 정도가 높고, 섬유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의 부분(15)에서는, 섬유 밀도가 높음으로써, 고섬유 밀도의 부분(15) 내에 접착제(9)가 매우 잘 침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9)를 고섬유 밀도의 부분(15)에 매우 잘 결착할 수 있고, 돌출부(11)를 폭 방향(W)으로 신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으로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고, 요철 구조가 붕괴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끼리를 열에 의해 결합시킨 부직포(예시: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SMS 부직포)를 이용하여 표면 시트(2)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부직포에서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끼리를 열에 의해 결합시키기 때문에, 섬유끼리의 교점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융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끼리의 교점에서 융착이 없는 부직포를 이용한 표면 시트(2)와 비교하여, 표면 시트(2)를 신장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1)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높은 표면 코어 랩 시트(401)측의 부분(15)에서는,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도 높아진다. 이에 따라, 돌출부(11)의 폭 방향(W)의 신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표면 시트(2)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돌출부(11)의 폭(Wn)은 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이다. 돌출부(11)의 폭(Wn)이 1 ㎜ 미만이면, 표면 시트(2)의 요철 구조가 지나치게 미세하여, 돌출부(11)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그다지 감소시킬 수 없고, 표면 시트(2)의 표면의 촉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돌출부(11)의 폭(Wn)이 5 ㎜를 초과하면, 요철 부형 가공 전의 부직포와의 구조상의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표면 시트(2)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인접하는 돌출부(11) 사이의 간격, 즉 융착부(21)의 폭(Wm)은 0.3∼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 ㎜이다. 인접하는 돌출부(11) 사이의 간격의 거리가 0.3 ㎜ 미만이면, 표면 시트(2)의 요철 구조가 지나치게 미세하여, 돌출부(11)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그다지 감소시킬 수 없고, 표면 시트(2)의 촉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인접하는 돌출부(11) 사이의 간격의 거리가 5 ㎜를 초과하면, 요철 부형 가공 전의 부직포와의 구조상의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2)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하나의 융착부(21)의 폭(Wm)과 하나의 돌출부(11)의 폭(Wn)의 합인 하나의 피치(PI)의 크기는, 1.3∼7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4 ㎜이다.
또한, 표면 시트(2)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돌출부(11)의 폭(Wn)이 융착부(21)의 폭(W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1)의 폭(Wn)이 큼으로써, 돌출부(11)의 두께 방향(T)의 높이(Tu)를 보다 높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배열된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돌출부(11)의 제1 면측의 높이(Tu)는 0.2∼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4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3 ㎜이다. 이 돌출부(11)의 높이가 0.25 ㎜ 미만이면, 돌출부(11)의 돌출이 지나치게 작아, 요철 부형 가공 전의 부직포와의 구조상의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돌출부(11)의 높이가 5 ㎜를 초과하면, 돌출부(11)의 돌출이 지나치게 커서 예리한 구조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유연한 촉감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표면 시트(2)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융착부(21)의 두께(Tm)는 0.05∼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 ㎜이다. 이 융착부(21)의 두께가 0.05 ㎜ 미만이면, 융착부(21)의 섬유 밀도가 매우 높아지고, 융착부(21)가 지나치게 단단해져,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다. 한편, 융착부(21)의 두께가 2 ㎜를 초과하면, 융착부(21)의 움팸이 지나치게 작아, 요철 부형 가공 전의 부직포와의 구조상의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2)가 요철 구조, 즉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융착부(21) 및 돌출부(11)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이하와 같은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작용 효과)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배설물이 오목부(융착부(21))에 들어감으로써 피부에 배설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요철 구조(융착부(21) 및 돌출부(11))에 의해 표면 시트(2)의 표면적이 커짐으로써 배설물의 흡수가 촉진된다. 오목부(융착부(21)) 내의 배설물이 길이 방향(L)을 따라 확산함으로써 흡수체(4)의 전체를 낭비 없이 배설물의 흡수에 이용할 수 있다. 오목부(융착부(21))에 의해 길이 방향(L)을 따라 통기성이 좋아진다. 오목부(융착부(21))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저하된다. 볼록부(돌출부(11))의 유연성에 의해 요철 구조를 살린 유연한 촉감이 얻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융착부(21) 및 돌출부(11)가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즉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묘구 구조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효과를 매우 현저히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착제(9)의 도공의 패턴인 소정 패턴(3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와 접착제(9)의 소정 패턴과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다만, 도 7(a)는, 표면 시트(2)의 돌출부(11) 및 융착부(21)와 접착제(9)를 도공할 때의 소정 패턴(30)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접착제(9)는 세선 형상을 갖고 있다. 접착제(9)의 선직경으로는, 10∼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이다. 이 접착제(9)의 선직경이 10 ㎛보다 작으면, 도공 중에 접착제(9)가 끊어져, 소정 패턴(30)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이 접착제(9)의 선직경이 500 ㎛보다 크면, 접착제(9)가 지나치게 굵어 배설물의 흡수의 방해가 되고, 흡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접착제(9)의 재료로는,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세선 형상의 접착제(9)는, 소정 패턴(30)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 패턴(30)으로서 그리스 문자의 Ω에 유사한 오메가 패턴이 이용되고 있다. 오메가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 열(31)을 형성함으로써, 세선상의 접착제(9)를 표면 시트(2)와 표면 코어 랩 시트(401) 사이에 빠짐없이 배치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패턴(30)은, 적어도 가로 방향 부분(32a) 및 세로 방향 부분(33a)을 갖고 있다. 가로 방향 부분(32a)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21)와,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21)에 인접하는 돌출부(11)를 접속하는 가로 방향 부분(32a)으로서, 소정 패턴(30)을 형성하는 접착제(9)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폭 방향(W)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α = 45°이내이다. 세로 방향 부분(33a)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가로 방향 부분(32a)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로 방향 부분(33a)으로서, 소정 패턴(30)을 형성하는 접착제(9)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폭 방향(W)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α = 45°보다 크다. 다만,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은 생각할 수 있는 각도 중의 최소의 각도로 한다. 도 7(b)의 예에서는, 가로 방향 부분(32a)의 일단은 E2이고, 타단은 E1이고, 세로 방향 부분(33a)의 일단은 E2이고, 타단은 E3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 패턴(30)은, 더욱, 가로 방향 부분(32b) 및 세로 방향 부분(33b)을 갖고 있다. 가로 방향 부분(32b)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21)와,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21)에 인접하는 돌출부(11)를 접속하는 가로 방향 부분(32b)으로서, 소정 패턴(30)을 형성하는 접착제(9)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폭 방향(W)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α = 45°이내이다. 세로 방향 부분(33b)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가로 방향 부분(32b)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로 방향 부분(33b)으로서, 소정 패턴(30)을 형성하는 접착제(9)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폭 방향(W)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α = 45°보다 크다. 다만,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은 생각할 수 있는 각도 중의 최소의 각도로 한다. 도 7(b)의 예에서는, 가로 방향 부분(32b)의 일단은 E4이고, 타단은 E3이다. 이 때, 가로 방향 부분(32b)은 타단 E3이 세로 방향 부분(33a)의 타단 E3에 연결된다. 또한, 세로 방향 부분(33b)의 일단은 E4이고, 타단은 다른 E1이고, 세로 방향 부분(33b)은, 타단 E1이 다음의 소정 패턴(30)의 가로 방향 부분(32a)의 타단에 연결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b)의 소정 패턴(30)은, 복수 개,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소정 패턴 열(3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7(a)에 더욱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패턴 열(31)은, 복수 열, 폭 방향(W)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패턴 열(31)과 중복되는 돌출부(11), 즉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으로 구획된 하나의 돌출부(11) 내의 영역(40)에 관하여 생각한다. 다만, 가로 방향 부분(32)은,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고 있으면, 동일한 소정 패턴(30) 내의 가로 방향 부분(32a)과 가로 방향 부분(32b)이어도 좋고, 상이한 소정 패턴(30)의 가로 방향 부분(32a)과 가로 방향 부분(32b)이어도 좋다. 즉, 소정 패턴 열(31)마다, 길이 방향(L)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로 방향 부분(32)(동일한 소정 패턴(30) 내의 가로 방향 부분(32)에 한정되지 않음)에 의해 하나의 돌출부(11)가 구획됨으로써, 그 하나의 돌출부(11) 내에 길이 방향(L)으로 배열된 복수의 영역(40)이 획정되어 있다.
이 때, 그 복수의 영역(40) 각각의 어디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LMIN)는,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거리(폭)(= Wm+Wn) 미만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거리 중 최대의 거리(LMAX)는,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거리(폭)(= Wm+Wn) 미만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접착제(9)의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의 최소의 거리(LMIN)가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거리) 미만으로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되는 이유로부터,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중간의 영역이더라도 표면 시트(2)가 지나치게 신장되는 경우는 없고, 돌출부(11)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즉, 표면 시트(2)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인장되더라도,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그나지 신장되지 않고, 즉 표면 코어 랩 시트(401)도 거의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코어 랩 시트(401)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이나 소정 패턴 열(31)에 의해, 표면 시트(2)의 신축성이 어느 정도 희생되어 있지만, 그 만큼, 신장에 따라 돌출부(11)가 찌부러져 얇아진다고 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 방향(W)으로 인장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신장의 정도가 억제되고,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2)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1)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거리 중 최대의 거리(LMAX)는,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거리(폭)(= Wm+W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영역(40) 각각의 어디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거리 중 최대의 거리(LMAX)는,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거리(폭)(= Wm+W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접착제(9)의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의 최대의 거리(LMAX)가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 미만으로 좁은 경우,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중간의 영역의 신장, 나아가서는 돌출부(11)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인장되더라도,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그다지 신장되지 않고, 즉 표면 코어 랩 시트(401)도 거의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코어 랩 시트(401)가 파단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중간의 영역에서 표면 코어 랩 시트(401)가 부분적으로 파단된 경우,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거리가 크면, 파단이 양측의 가로 방향 부분(32)에 도달할 때까지 지나치게 커져, 세선상의 접착제(9)로는 파단의 신전을 멈추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간격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단이 양측의 가로 방향 부분(32)에 도달할 때까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없어, 세선상의 접착제(9)로도 파단의 신전을 멈출 수 있다. 그 결과, 만일 표면 코어 랩 시트(401)의 일부에 파단이 발생했다고 해도, 파단을 매우 좁은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코어 랩 시트(401) 전체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패턴(30)(도 7(b))의 폭 방향(W)의 크기(폭 방향(W)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까지의 거리)는, 하나의 융착부(21)와, 그 하나의 융착부(21)에 인접하는 돌출부(11)를 접속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패턴(30)의 폭 방향(W)의 크기는, 하나의 융착부(21)의 폭 방향(W)의 폭(Wm)과 하나의 돌출부(11)의 폭 방향(W)의 폭(Wn)을 더한 크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하나의 융착부(21)와, 그 하나의 융착부(21)에 인접하는 돌출부(11)를 접속할 수 있는 가로 방향 부분(32)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정 패턴(30)(도 7(b))의 길이 방향(L)의 크기(길이 방향(L)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까지의 거리)는, 소정 패턴 열(31)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소의 거리가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 미만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패턴(30)의 길이 방향(L)의 크기는,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대의 거리가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 미만이다.
다음으로,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소의 거리를,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Wm+Wn) 미만으로 하는 이유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은 흡수성 물품의 파단을 발생하는 기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 8(a)의 좌측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 상의 가상적인 영역(40)을 생각한다. 그 영역(40)은, 돌출부(11)의 폭 방향(W)의 양측에 배치된 융착부(21)(폭(Wmb0))와, 그 돌출부(11)를 폭 방향(W)으로 횡단하는 2줄의 접착제(9)에 의해 돌출부(11)(폭(Wnb0)) 내에 획정된다. 다만, 2줄의 접착제(9)는 길이 방향(L)으로 간격(Lp0)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2줄의 접착제(9)는 소정 패턴(30)의 가로 방향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즉 영역(40)은, 돌출부(11)의 양측의 융착부(21)와 2줄의 접착제(9)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이 영역(40)에서는, 흡수성 물품(1)이 폭 방향(W)으로 인장 하중(G)으로 인장될 때, 접착제(9)는 단단하고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도 8(a)의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 중의 접착제(9)의 존재하는 영역 및 그 근방의 영역(가로 방향 부분 및 그 근방의 영역)은 폭 방향(W)으로 거의 신장되는 경우가 없다. 한편, 융착부(21)는 신축성을 거의 갖지 않지만, 조금이라면 만곡할 수는 있기 때문에, 융착부(21) 중의 접착제(9)로부터 떨어진 영역은, 폭이 거의 변하지 않고(Wma0 ≒ Wmb0), 폭 방향(W)으로 조금 만곡한다. 그 결과, 돌출부(11) 중의 접착제(9)로부터 떨어진 영역(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41))은 폭 방향(W) 으로 어느 정도 신장되게 된다. 즉, 돌출부(11)의 폭은 약간 커진다(Wnb0 → Wna0). 이 때,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0)이 충분히 작으면, 2줄의 접착제(9)의 영향에 의해 융착부(21)는 그다지 만곡할 수 없고, 즉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거의 신장되지 않는다. 즉, 돌출부(11)의 폭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에 접합된 표면 코어 랩 시트(401)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단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영역(40)이 도 8(b)의 좌측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우, 도 8(a)의 영역(40)과는 상황이 다르다. 도 8(b)에서는, 영역(40)이, 돌출부(11)의 폭 방향(W)의 양측에 배치된 융착부(21)(폭(Wmb1) = 폭(Wmb0))와, 그 돌출부(11)를 폭 방향(W)으로 횡단하는 2줄의 접착제(9)에 의해 돌출부(11)(폭(Wnb1) = 폭(Wnb0)) 내에 확정된다. 다만, 2줄의 접착제(9)는, 길이 방향(L)으로 간격(Lp1)(> Lp0)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도 8(a)의 영역(40)과 비교하여, 2줄의 접착제(9), 즉 길이 방향(L)에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흡수성 물품(1)이 폭 방향(W)으로 인장 하중(G)으로 인장되면, 도 8(b)의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9)는 단단하고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돌출부(11) 중의 접착제(9)의 존재하는 영역 및 그 근방의 영역은 폭 방향(W)으로 거의 신장되는 경우가 없다. 그러나, 융착부(21) 중의 접착제(9)로부터 떨어진 영역은, 폭이 거의 변하지 않고(Wma1 ≒ Wmb1), 도 8(a)의 경우와 비교하여 폭 방향(W)으로 크게 만곡한다. 그 결과, 돌출부(11) 중의 접착제(9)로부터 떨어진 영역(영역(41))은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되게 된다. 즉, 돌출부(11)의 폭은 매우 커진다(Wnb1 → Wna1> Wna0). 이와 같이,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1)이 지나치게 크면, 2줄의 접착제(9)의 영향이 접착제(9)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미치지 않아 융착부(21)가 크게 만곡하고, 즉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된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에 접합된 표면 코어 랩 시트(401)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가로 방향 부분끼리의 중간의 영역(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단(42)이 생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이 충분히 작으면, 도 8(a)와 같이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거의 신장되지 않고, 간격(Lp)이 충분히 크면, 도 8(b)와 같이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되어 버린다. 바꿔 말하면, 간격(Lp)에는 임계치가 존재하고, 간격(Lp)이 임계치 미만이면,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그다지 신장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임계치, 즉 허용할 수 있는 간격(Lp)의 최대치로는, 영역(40)을 정방형으로 하는 것과 같은 값을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도 9는, 영역(40)에 있어서의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40)(의 정방형)의 융착부(21)(의 변)에 폭 방향(W)의 인장 하중(G)이 인가되면, 영역(40)에 검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응력이 생기고, 그 검은 화살표의 응력에 의해 접착제(9)(의 변)에 응력이 생긴다. 이 때, 영역(40)이 정방형이면, 도 9의, 폭 방향(W)의 양측의 융착부(21)(의 변)의 응력이 길이 방향(L)의 양측의 접착제(9)(의 변)에 양호한 밸런스로 분산되고, 융착부(21)(의 변)의 길이 방향(L)의 중심 부근의 하중까지, 접착제(9)(의 변)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접착제(9)의 간격이 이 경우보다 넓어지면, 즉 영역(40)이 길이 방향(L)으로 긴 장방형이 되면, 융착부(21)의 길이 방향(L)의 중심 부근의 하중을 접착제(9)로 지지하기 어려워지고, 융착부(21)의 길이 방향(L)의 중심 부근이 폭 방향(W)으로 만곡하여, 도 8(b)와 같은 상태로 되기 쉬워진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임계치(간격(Lp)의 최대치)로는, 영역(40)이 정방형이 되는 것과 같은 값, 즉 돌출부(11)의 폭(Wn)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융착부(21)의 폭(Wm)이 큰 경우에는, 융착부(21)는 만곡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을 정방형의 경우보다 크게 하더라도 파단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융착부(21)의 폭(Wm)을 고려한 임계치(간격(Lp)의 최대치)를 이하와 같이 검토했다.
도 10은, 영역(4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접착제(9)의 간격과 융착부(21)의 폭(Wm)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도 8(a)에 있어서, 영역(40)을 정방형으로 하고, 융착부(21)의 폭(Wm)이 작은 값(예시: 접착제(9)의 굵기 정도)(Wmb3)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3)을 거의 돌출부(11)의 폭(Wnb3)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40)은 대략 정방형으로 볼 수 있다. 즉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부(21)의 폭(Wm)을 보다 큰 값(Wmb4)(> Wmb3)으로 설정하면, 폭 방향(W)의 인장 하중(G)에 대하여, 융착부(21)가 폭 방향(W)으로 만곡하기 어려워진다. 즉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보다 신장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4)을, 영역(40)이 정방형으로 되는 값, 즉 Wnb4(= Wnb3)보다 어느 정도 크게 하더라도,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되는 경우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폭(Wmb4) >> 폭(Wmb3)으로 생각하면, 융착부(21)의 폭(Wm)은, 도 10(a)의 경우와 비교하여 Wmb4 만큼 커지고, 그 만큼 융착부(21)가 만곡하는 정도를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4)은, 영역(40)을 정방형으로 하는 값보다 어느 정도(ΔL1로 함) 크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부(21)의 폭(Wm)을 더욱 큰 값(Wmb5)(> Wmb3)으로 설정하면, 폭 방향(W)의 인장 하중(G)에 대하여, 융착부(21)가 폭 방향(W)으로 더욱 만곡하기 어려워진다. 즉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더욱 신장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5)을, 영역(40)이 정방형으로 되는 값, 즉 Wnb5(= Wnb3)보다 어느 정도 크게 하더라도, 돌출부(11)는 폭 방향(W)으로 크게 신장되는 경우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폭(Wmb5) >> 폭(Wmb3)으로 생각하면, 융착부(21)의 폭(Wm)은, 도 10(a)의 경우와 비교하여 Wmb5 만큼 커지고, 그 만큼 융착부(21)가 만곡하는 정도를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5)은, 영역(40)을 정방형으로 하는 값보다 어느 정도(ΔL2로 함)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융착부(21)의 폭(Wm)을 크게 하면 크게 할수록,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의 최대치(임계치)를, 돌출부(11)의 폭(Wn)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다만, 융착부(21)의 폭(Wm)을 크게 하더라도,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에 미치는 효과로는, 최대라도 대략 융착부(21)의 폭(Wm)분의 거리일 것으로 생각된다. 즉, ΔL1 및 ΔL2는 최대라도 대략 융착부(21)의 폭(Wmb4 및 Wmb5)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임계치)은, 최종적으로 이하와 같이 된다.
임계치: (2줄의 접착제(9)의 길이 방향(L)의 간격(Lp)의 최대치)
= (돌출부(11)의 폭(Wn))+ΔL,
= (돌출부(11)의 폭(Wn))+(융착부(21)의 폭(Wm))
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a) Lp4 = Wnb4+Wmb4
(b) Lp5 = Wnb5+Wmb5
가 된다.
여기서, 상기 고찰에서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상적인 형상의 영역(40)에 기초하여 임계치가 도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임계치를 실제의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 및 소정 패턴 열(31),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오메가 패턴에 적용하는 경우, 이하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소정 패턴 열(31)은, 소정 패턴(30)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구성, 즉 서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된 구성(다만 제조 수율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끊어져 있어도 가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영역(40) 중,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동일한 소정 패턴(30) 내의 가로 방향 부분(32)에 한정되지 않음)의 길이 방향(L)의 간격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한 임계치를 만족하면, 돌출부(11)의 신장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적어도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소의 거리가 상기 임계치를 만족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의 신장의 억제에는, 적어도,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소의 거리를,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Wm+Wn) 미만으로 하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대의 거리를,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Wm+Wn) 미만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임계치를 설정하고,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 및 소정 패턴 열(31)을, 임계치를 만족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1)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즉, 표면 시트(2)의 신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인장되더라도, 표면 시트(2)가 폭 방향(W)으로 그다지 신장되지 않고, 즉 표면 코어 랩 시트(401)도 거의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코어 랩 시트(401)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치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상적인 영역(40)이나 도 7에 나타내는 오메가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소정 패턴(30)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면, 다른 패턴, 예컨대 사인파와 같은 파형의 웨이브 패턴이나 나선형의 스파이럴 패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접착제(9)가 인접하는 돌출부(11)끼리에 반드시 건너질러져 있을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적어도,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32)끼리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의 최소의 거리를 돌출부(11) 및 융착부(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폭(Wm+Wn) 미만으로 좁게 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특성과, 표면 코어 랩 시트의 파단의 억제를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1은, 도 4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와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과의 관계에 관하여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표면 시트(2)의 돌출부(11) 및 융착부(21)와 접착제(9)를 도공할 때의 소정 패턴(30)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 패턴(30)으로서 오메가 패턴 또는 웨이브 패턴이 이용되고 있다. 오메가 패턴 또는 웨이브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 열(31)을 형성함으로써, 세선상의 접착제(9)를 표면 시트(2)와 표면 코어 랩 시트(401) 사이에 빠짐없이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에서의 신장을 빠짐없이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코어 랩 시트(401)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소정 패턴 열(31)에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각 소정 패턴(30)의 세로 방향 부분이 적어도 양측의 융착부(21)에 도달하고, 가로 방향 부분(및 세로 방향 부분)이 적어도 돌출부(11)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까지 횡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소정 패턴(30)을 배치하여 소정 패턴 열(31)을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W)에 있어서, 돌출부(11)를 양측의 융착부(21)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어, 돌출부(11)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 패턴(30)은 하나의 돌출부(1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의 융착부(21) 사이에서 접착제(9)가 건너질러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돌출부(11) 및 이들 사이의 복수의 융착부(21)를 사이에 두고 이들의 양측의 융착부(21) 사이에서 접착제(9)가 건너질러져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돌출부(11)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2는, 도 4의 프레임 Q2 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와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과의 관계에 관하여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는, 표면 시트(2)의 돌출부(11) 및 융착부(21)와 접착제(9)를 도공할 때의 소정 패턴(30)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b)는 접착제(9)의 소정 패턴(30)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 패턴(30)으로서 스파이럴 패턴이 이용되고 있다. 스파이럴 패턴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 열(31)을 형성함으로써, 세선상의 접착제(9)를 표면 시트(2)와 표면 코어 랩 시트(401) 사이에 빠짐없이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에서의 신장을 빠짐없이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면 코어 랩 시트(401)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복수의 소정 패턴 열(31)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소정 패턴(30)의 접착제(9)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폐쇄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2)를 이용하면, 폭 방향(W)의 신장에 대하여, 돌출부(11)의 신장되는 영역을 폐쇄 영역이라고 하는 좁은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11)의 신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돌출부(11)의 폭 방향(W)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의 신장에 의한 표면 코어 랩 시트(401)를 파단시키는 힘이 미치는 범위를, 그 폐쇄 영역에 가둘 수 있다. 즉, 돌출부(11)에 파단이 발생했다고 해도 폐쇄 영역 내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코어 랩 시트(401)의 파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복수의 소정 패턴 열(31)은, 서로 중복되도록 하여, 폭 방향(W)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2)를 이용하면, 복수의 소정 패턴 열(31)이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돌출부(11)에 있어서, 접착제(9)의 존재하는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돌출부(11)의 폭 방향(W)에서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소정 패턴 열(31)끼리가 서로 중복됨으로써,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소정 패턴 열(31)에서는, 도 12(b)에 나타내는 소정 패턴(30)이 서로 중복되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시트(2)를 이용하면, 소정 패턴(30)이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돌출부(11)에 있어서, 접착제(9)의 존재하는 밀도가 높아지고, 더욱,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접착제의 패턴과의 관계의 비교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표면 시트(2)와 동일한 요철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102)에 있어서, 돌출부(111) 및 융착부(121)와 접착제(109)를 도공할 때의 소정 패턴(130)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소정 패턴 열(131)과 중복되는 돌출부(111)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140) 중의 대부분은,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하는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LMINc)가, 돌출부(111) 및 융착부(121)의 한 세트분의 폭 방향(W)의 거리 이상이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약 1.6배 이상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인장 하중(G)으로 폭 방향(W)으로 인장되면, 돌출부(111)의 폭 방향(W)의 신장량이 지나치게 커서, 표면 시트(2)에 접착제(9)로 접합된 표면 코어 랩 시트가 파단되어 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1: 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9: 접착제, 11: 돌출부, 21: 융착부, 30: 소정 패턴, 31: 소정 패턴 열, 32: 가로 방향 부분, 401: 표면 코어 랩 시트, 402: 이면 코어 랩 시트, 403: 흡수체 코어

Claims (11)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가 흡수체 코어와 상기 흡수체 코어를 감싸는 코어 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코어 랩 시트의 상기 표면 시트측의 면을 접합하는 접착제를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융착부와,
    상기 복수의 융착부 중의 인접하는 융착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융착부의 피부측 및 비피부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는, 세선(細線) 형상을 갖고, 패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패턴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융착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융착부에 인접하는 돌출부를 접속하는 가로 방향 부분으로서,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상기 폭 방향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45°이내인 가로 방향 부분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가로 방향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는 세로 방향 부분으로서,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세선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접선이 상기 폭 방향에 평행인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45°보다 큰 세로 방향 부분을 각각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복수 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패턴 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패턴 열은, 복수 열,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패턴 열과 중복되는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 미만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열과 중복되는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가로 방향 부분끼리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 중 최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융착부의 한 세트분의 상기 폭 방향의 거리 미만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의 섬유 밀도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에 있어서, 상기 섬유끼리의 교점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는 상기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폭 방향의 폭은 상기 융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폭보다 큰,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 시트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는, 상기 코어 랩 시트측과 반대측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섬유끼리가 융착되어 있는 교점의 밀도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세선 형상의 접착제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폐쇄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열은, 서로 중복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열의 상기 패턴은, 서로 중복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열은 오메가 패턴, 웨이브 패턴 또는 스파이럴 패턴을 갖는, 흡수성 물품.
KR1020187024562A 2016-02-29 2016-05-24 흡수성 물품 KR20180117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8339A JP5963987B1 (ja) 2016-02-29 2016-02-29 吸収性物品
JPJP-P-2016-038339 2016-02-29
PCT/JP2016/065350 WO2017149792A1 (ja) 2016-02-29 2016-05-2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622A true KR20180117622A (ko) 2018-10-29

Family

ID=5655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562A KR20180117622A (ko) 2016-02-29 2016-05-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963987B1 (ko)
KR (1) KR20180117622A (ko)
CN (1) CN108697559B (ko)
AU (1) AU2016395110B2 (ko)
BR (1) BR112018016685B1 (ko)
TW (1) TWI719088B (ko)
WO (1) WO2017149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9324B (zh) * 2016-12-26 2020-10-23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WO2022088040A1 (en) * 2020-10-30 2022-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the same
AU2022423508A1 (en) * 2021-12-20 2024-05-16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O2024057968A1 (ja) * 2022-09-16 2024-03-21 株式会社瑞光 吸収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793A (ja) * 2001-02-28 2002-11-12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7175093A (ja) * 2005-12-27 2007-07-12 Kao Corp 吸収性物品
JP5052868B2 (ja) * 2006-11-22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3542B2 (ja) * 2010-02-16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
JP2012090689A (ja) * 2010-10-25 2012-05-17 Kao Corp 吸収性物品
JP5972584B2 (ja) * 2012-01-31 2016-08-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67152B2 (ja) * 2012-02-22 2016-02-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16685B1 (pt) 2022-11-01
CN108697559B (zh) 2021-02-02
AU2016395110A1 (en) 2018-08-30
JP5963987B1 (ja) 2016-08-03
BR112018016685A2 (pt) 2018-12-26
TWI719088B (zh) 2021-02-21
TW201733544A (zh) 2017-10-01
AU2016395110B2 (en) 2021-04-22
CN108697559A (zh) 2018-10-23
JP2017153628A (ja) 2017-09-07
WO2017149792A1 (ja)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915B1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형성 방법, 및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KR101728656B1 (ko) 흡수성 물품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JP6484416B2 (ja) 吸収性物品
TWI719088B (zh) 吸收性物品
WO2013154087A1 (ja) 吸収性物品
TWI709392B (zh) 失禁墊及失禁墊收納物
JP6207475B2 (ja) 吸収性物品
JP5926904B2 (ja) 吸収性物品
WO2014204016A1 (ja) 吸収性物品
WO2011013817A1 (ja) 被包装吸収性物品
KR10156383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그의 제조 방법
JP6353237B2 (ja) 吸収性物品
JP5944953B2 (ja) 吸収性物品
JP2012030093A (ja) 吸収性物品
JP2004167043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WO2018203432A1 (ja) 吸収性物品
JP2016002100A5 (ko)
JP5944951B2 (ja) 吸収性物品
CN112839617B (zh) 吸收性物品
WO2023074212A1 (ja) 吸収性物品
JP7359553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折り畳み方法
JP5717379B2 (ja) 吸収性物品
JP6694734B2 (ja) 吸収性物品
JP2020116154A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