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316A -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316A
KR20180117316A KR1020170050270A KR20170050270A KR20180117316A KR 20180117316 A KR20180117316 A KR 20180117316A KR 1020170050270 A KR1020170050270 A KR 1020170050270A KR 20170050270 A KR20170050270 A KR 20170050270A KR 20180117316 A KR20180117316 A KR 2018011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groove
shaft
insertion groo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864B1 (ko
Inventor
김창근
김의중
김금용
Original Assignee
김창근
김금용
김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김금용, 김의중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102017005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86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개방부(13)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의 축홈(12)이 형성된 고리(10)와, 상기 축홈(12)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18)과, 축홈(12)에 일부가 삽입되고, 부싱(18)에 일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샤프트(15, 16)와, 삽입홈(2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2)에는 부싱(18)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부(23)는 연결판(31)의 조립 구멍(32)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연결판(31)과 스위블 시키기 위하여 와셔(50, 52, 53)가 상하로 장착되며, 개방부(13)에 삽입되는 연결블럭(20), 및 연결판(3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접착판(33)을 포함하여, 쉽게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Rotatable Handle Apparatus for Po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분해 조립이 용이한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공개번호 10-2014-0123649호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110);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120); 및 상기 고리의 개방부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131)과,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의 양단과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고리와 상기 연결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축(132) 및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축 사이에 상기 연결축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 블록에 대해 자연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축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리의 개방부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개특허는 연결축(132)이 하나로 구성되어 회전 토오크 불량시 분해가 힘들어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축(132)을 하나만 사용하므로 고리에서의 유지를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축(132)은 평탄면(132a)을 갖는다. 평탄면(132a)은 연결축(132)의 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축(132)이 고리(120)의 제1 축홀(126)에 삽입될 때 평탄면(132a)은 제1 축홀(126)의 직선 부위와 대응하므로, 연결축(132)은 고리(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축(132)은 고리(120)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반대측의 제2 축홀의 단면은 완전한 원 형태를 가지므로, 연결축(132)이 연결 블록(131)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축(132)이 연결 블록(13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연결축(132)은 요철(132b)을 갖는다. 요철(132b)은 연결축(132)의 단부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축(132)이 단부에 요철(132b)을 갖는 경우, 고리(120)의 제1 축홀(126)도 내측면에 요철(미도시)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축(132)이 고리(120)의 제1 축홀(126)에 삽입될 때 요철(132b)이 제1 축홀(126)의 요철과 맞물리므로, 연결축(132)은 고리(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축(132)은 고리(120)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와같이 연결축(132)의 양단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고리(120)의 양 축홀(126)의 형상이 달라져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를 두개로 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보수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일예로서,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의 축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축홈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과,
상기 축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부싱에 일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샤프트와,
삽입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부싱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부는 연결판의 조립 구멍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탈 방지및 위치 고정을 위하여 와셔가 상하로 장착되며, 개방부에 삽입되는 연결블럭, 및
연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접착판
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부싱의 길이 보다 동일하거나 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외부와 관통되며 서로 마주보는 축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축홈들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과,
상기 부싱 내에 삽입되며 상기 마주보는 축홈에 부싱이 카바되지 않는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긴샤프트, 및 하나의 축홈에만 삽입되는 단샤프트, 및
삽입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부싱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개방부에 삽입되는 연결블럭
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과 직각 방향으로 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홈에는 조정 스크류가 삽입되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부싱의 외주를 가압하여 토오크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는 샤프트가 원통 형상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샤프트가 한쌍으로서 부싱과 축홈에 각각 장착되므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결축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형태의 연결축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고리(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곳으로서, 하부에 개방부(13)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의 축홈(12)이 형성된다.
축홈(12)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18)이 개방부(13)에 삽입되므로, 부싱(18)은 축홈(12)에 삽입되지 않는다.
한쌍의 샤프트(15, 16)는 축홈(12)에 일부가 삽입되고, 부싱(18)에 일부가 삽입된다.
연결블럭(20)은 삽입홈(2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삽입홈(22)에는 부싱(1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삽입홈(22)의 길이와 부싱(18)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부싱의 길이 보다 길다. 연결블럭(20)은 개방부(13)에 삽입된다. 고정부(23)는 연결판(31)의 조립 구멍(32)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탈 방지 및 연결판(31)과 스위블시키기 위하여 와셔(50, 52, 53)가 상하로 장착된다. 와셔(50, 52, 53)의 수는 요구되는 스위블 힘에 따라 여러개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판(31)의 하부는 접착판(33)과 결합되고, 접착판(33)은 휴대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접착 고정된다. 접착판(33) 상에는 돌부(35)가 구비되어 고정부(23)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연결블럭(20)의 삽입홈(22)에 부싱(18)을 삽입한다. 부싱(18)은 회전하지 않아야 고리(10)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블럭(20)의 고정부(23)에 와셔(50)을 삽입한 후, 연결판(31)의 조립 구멍(32) 및 돌부(35)에 삽입하고, 연결판(31)의 하부로부터 와셔(52, 53)를 체결한다.
그런 다음, 연결판(31)의 하부에 접착판(33)을 고정시킨다.
부싱(18)의 양측에 샤프트(15, 16)의 일측을 각각 삽입시키고, 샤프트(15, 16)의 타측을 고리(10)의 축홈(12)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로써, 고리(10)를 전후 회전시킨 후 정지 상태가 부싱(18)에 의해 유지되며, 연결블럭(20)은 고리(10)를 수평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며 와셔(50, 52, 53)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고리(10)의 회전 토오크가 불량이면, 고리(10)를 샤프트(15, 16)로부터 분리시키고, 샤프트(15, 16) 또는 연결블럭(20)을 교체하면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리(300) 하부에 개방부(303)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동일한 형상의 축홈(312, 313)이 형성된다. 축홈(312, 313)은 외부까지 관통되어 있다.
축홈(312, 313)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18)이 개방부(303)에 삽입되므로, 부싱(18)은 축홈(312, 313)에 삽입되지 않는다.
한쌍의 샤프트(215, 216)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형상으로서 긴샤프트(215)는 축홈(312)에 일단이 삽입되고 축홈(313)에 타단이 삽입되고, 단샤프트(216)는 축홈(313)에만 삽입된다. 단샤프트(216)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블럭(200)은 삽입홈(22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삽입홈(222)에는 부싱(1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삽입홈(222)의 길이와 부싱(18)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부싱의 길이 보다 길다. 긴샤프트(215)의 길이는 부싱(18)의 길이보다 길다. 그러므로 긴샤트프(215)가 부싱(18) 내에 삽입되면 부싱(18)이 없는 부분이 양단부에 발생한다. 삽입홈(222)과 직각 방향으로 조정 홈(230)이 형성되고, 조정 홈(230)에는 조정 스크류(232)가 삽입되어 삽입홈(222)에 삽입된 부싱(18)의 외주를 가압하여 토오크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것은 옵션적인 기술 구성이다. 연결블럭(200)은 개방부(303)에 삽입된다.
나머지 구성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연결블럭(200)의 삽입홈(222)에 부싱(18)을 삽입한다. 부싱(18) 내에 긴 샤프트(215)를 삽입시키고, 긴샤프트(215)의 부싱이 없는 일측 부분을 축홈(312)에 삽입시키고, 긴샤프트(215)의 부싱이 없는 타측 부분을 축홈(313)에 삽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토오크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 합격이면, 단샤프트(216)를 축홈(313)의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축홈(313)의 홈이 보이지 않게 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고리 12 : 축홈
13 : 개방부 15, 16 : 샤프트
18 : 부싱 20 : 연결블럭
22 : 삽입홈 23 : 고정부
31 : 연결판 32 : 조립 구멍
33 : 접착판 50, 52, 53 :와셔
200 : 연결블럭 215 : 긴샤프트
216 : 단샤프트 222 : 삽입홈
230 : 조정 홈 232 :조정 스크류
300 : 고리 312, 313 : 축홈

Claims (4)

  1.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각각 동일한 형상의 축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축홈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과,
    상기 축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부싱에 일부가 삽입되는 한쌍의 샤프트와,
    삽입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부싱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부는 연결판의 조립 구멍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탈 방지및 위치 고정을 위하여 와셔가 상하로 장착되며, 개방부에 삽입되는 연결블럭, 및
    연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접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길이는 부싱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3.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개방 형태이며, 개방면에는 외부와 관통되며 서로 마주보는 축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축홈들보다 직경이 큰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부싱과,
    상기 부싱 내에 삽입되며 상기 마주보는 축홈에 부싱이 카바되지 않는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긴샤프트, 및 하나의 축홈에만 삽입되는 단샤프트, 및
    삽입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부싱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개방부에 삽입되는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직각 방향으로 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홈에는 조정 스크류가 삽입되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부싱의 외주를 가압하여 토오크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KR1020170050270A 2017-04-19 2017-04-19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KR10191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70A KR101914864B1 (ko) 2017-04-19 2017-04-19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70A KR101914864B1 (ko) 2017-04-19 2017-04-19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16A true KR20180117316A (ko) 2018-10-29
KR101914864B1 KR101914864B1 (ko) 2018-11-02

Family

ID=6410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70A KR101914864B1 (ko) 2017-04-19 2017-04-19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6919A (zh) * 2019-06-13 2019-08-02 史栋元 用于拎持、单手操控手机的套指手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6919A (zh) * 2019-06-13 2019-08-02 史栋元 用于拎持、单手操控手机的套指手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864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8681B (zh) 折叠式装置的转轴模块
US7988379B2 (en) Joint mechanism
KR101914864B1 (ko)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US8087128B2 (en) Hinge assembly
TW202238029A (zh) 關節裝置
US20110051429A1 (en) Table lamp and rotary joint thereof
KR960703205A (ko) 축방향으로 신속하게 로터를 저널에 정열하기 위한 커플링구조
JP2002106544A (ja) ヒンジ装置
US8550925B2 (en) Universal joint
CN115111497A (zh) 关节装置
CN204948549U (zh) 电子设备携带夹
US8047738B2 (en) Mechanical double joint system
TWI587986B (zh) Rotary wrench structure
CN211145090U (zh) 一种机械旋转结构
JP2006348992A (ja) 撓み軸継手
TWM527920U (zh) 具有包覆式連接裝置之雙軸樞紐器
JP2008215537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4102630B2 (ja) クリック機構、及び回転式接合体
KR101540894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CN203760664U (zh) 一种卫星天线的方位角调节装置
WO2022148462A1 (zh) 一种转向机构、转动连接结构及风扇
JPH0720410Y2 (ja) 自在継手
KR101608458B1 (ko)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CN210245378U (zh) 一种多功能按键
TW201341689A (zh) 墊片及具有該墊片的轉動連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