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894B1 -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894B1
KR101540894B1 KR1020140187576A KR20140187576A KR101540894B1 KR 101540894 B1 KR101540894 B1 KR 101540894B1 KR 1020140187576 A KR1020140187576 A KR 1020140187576A KR 20140187576 A KR20140187576 A KR 20140187576A KR 101540894 B1 KR101540894 B1 KR 10154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andle
vertical portion
vertical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현
Original Assignee
개나리벽지주식회사
신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개나리벽지주식회사, 신호현 filed Critical 개나리벽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이나 천장 등을 도배지로 도배할 때 인접한 도배지 사이의 이음은 겹침 이음이나 맞댄 이음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 등 잡는 손과 관계없이 사용이 용이하며 구형 롤러 또는 스크래퍼를 선택적으로 추가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되며 중앙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축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수직부의 양측의 수평축에 각각 구성되며, 수평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형 롤러와; 손잡이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하여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서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일정 길이까지 각형 단면을 갖는 삽입구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와 연통되도록 안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안착공에는 구형상의 가압볼이 수용되며, 외주면에는 절단된 고리형태로 일측에 연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연통공이 안착공에 대향하도록 탄성가압편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의 삽입구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와 절곡부가 일체로 된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절곡부의 외측 플랜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구형 롤러 또는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의 삽입구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외측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수직부와 길이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래퍼 부착대와, 스크래퍼 부착대의 전면에 고정되는 얇은 판 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래퍼 날로 구성되는 스크래퍼가 결합부의 삽입구에 수직부가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Roller for folding and inserting wall paper in theconer or groove of the wall}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이나 천장 등을 도배지로 도배할 때 인접한 도배지 사이의 이음은 겹침 이음이나 맞댄 이음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 등 잡는 손과 관계없이 사용이 용이하며 구형 롤러 또는 스크래퍼를 선택적으로 추가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이나 천장 등을 도배지로 도배할 때 인접한 도배지 사이의 이음은 겹침 이음이나 맞댄 이음이 사용된다. 이때, 겹침 이음은 주로 종이 재질의 도배지에 사용되고 맞댄 이음은 고급 실크 도배지의 이음에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시판하는 벽지 이음매 롤러는 오른손잡이용과 왼손잡이용으로 각각 구부러진 지지대가 반대편으로 제작되어 있고 오른손잡이라도 벽체의 왼편 또는 오른편(각자 시공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다)에서 시공해 나갈 때는 왼손잡이용 롤러가 유리하여,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용 롤러를 개별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10-0000326호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40)의 일단에 고정된 일정한 각(@)을 가지고 있는 수직부(20)와 절곡부(21)가 일체로된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의 절곡부(21)의 철심(22)을 축으로 롤러(31)가 결합되고 롤러(31)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30)이 설치되는 구조로 롤러의 외경부에 일정한 홈(31a)을 구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과 과도한 압력에 의하여 벽지 내부의 풀 등이 밖으며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용 압착용 롤러.'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롤러의 수직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있어,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10-0000326호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가 중심에 있고 좌우로 원기둥형 롤러가 위치하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 등 잡는 손과 관계없이 사용이 용이하며 구형 롤러 또는 스크래퍼를 선택적으로 추가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되며 중앙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축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수직부의 양측의 수평축에 각각 구성되며, 수평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형 롤러와; 손잡이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하여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서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일정 길이까지 각형 단면을 갖는 삽입구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와 연통되도록 안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안착공에는 구형상의 가압볼이 수용되며, 외주면에는 절단된 고리형태로 일측에 연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연통공이 안착공에 대향하도록 탄성가압편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의 삽입구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와 절곡부가 일체로 된 제2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절곡부의 외측 플랜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구형 롤러 또는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의 삽입구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외측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수직부와 길이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래퍼 부착대와, 스크래퍼 부착대의 전면에 고정되는 얇은 판 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래퍼 날로 구성되는 스크래퍼가 결합부의 삽입구에 수직부가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부의 외측단부에는 원기둥형 롤러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 또는 원기둥형 롤러와 동일한 곡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호가 형성되는 판 형상의 결합판이 형성되고, 결합판의 양측으로 수평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고무링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무링이 끼워지는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고무링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지지대가 중심에 있고 좌우로 원기둥형 롤러가 위치하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 등 잡는 손과 관계없이 사용이 용이하며 구형 롤러 또는 스크래퍼를 선택적으로 추가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결합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트래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결합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트래퍼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1)는 손잡이(40)와, 손잡이(40)의 일단에 구성되는 제1 지지대(20) 및 제1 지지대(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형상의 원기둥형 롤러(30)로 구성되며,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40)이 타단부에는 제2 지지대(50) 및 제2 지지대(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 롤러(6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0)는 손잡이(40)의 일단에 고정된 수직부(22)와, 수직부(22)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축(23)이 형성되고, 수평축(2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형 롤러(30)가 형성된다.
수직부(22)는 중앙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되는 막대 형상으로, 손잡이(4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수평축(23) 및 원기둥형 롤러(30)가 형성된다.
원기둥형 롤러(30)는 원기둥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일단에 수평축(23)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회전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원기둥 형태의 원기둥형 롤러(30)에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지지대(20)의 수평축(23)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20)의 수평축(23)을 축으로 상기 원기둥 형태의 원기둥형 롤러(20)가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부(22)의 외측단부에는 원기둥형 롤러(3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 또는 원기둥형 롤러(30)와 동일한 곡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호가 형성되는 판 형상의 결합판(25)이 형성되고, 결합판(25)의 양측으로 수평축(2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부(22) 양측의 수평축(23)에 2개의 원기둥형 롤러(30)(30) 각각 구성되는데, 원기둥형 롤러(30)와 원기둥형 롤러(30) 사이에는 수직부(22)의 두께만큼의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음매 작업시 원기둥형 롤러(30)와 원기둥형 롤러(30)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이음매가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간격을 메꾸기 위하여 원판형상의 결합판(25)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판(25)은 원기둥형 롤러(3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하여, 원기둥형 롤러(30)가 회전할 때에도 결합판(25)의 외주면이 원기둥형 롤러(30)의 외주면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판(25)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주로 일방향으로 원기둥형 롤러(30)를 이음매에 면접하여 문지르기 때문에, 원기둥형 롤러(30)와 동일한 곡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호가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원판형상에서 상부의 일부가 생략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40)의 타측 단부에는 추가로 구 형상의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가 추가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40)의 타측단부에는 결합부(70)가 돌출하여 구성되며, 결합부(70)의 외측 단부에서 손잡이(40)의 길이방향의 일정 길이까지 각형 단면을 갖는 삽입구(71)가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의 수직부(52)(8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구(71)는 특히 각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동일하게 각형단면을 갖는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의 수직부(52)(82)가 끼워져 고정되어 헛돌지 않도록 한다.
결합부(70)의 일측에는 삽입구(71)와 연통되도록 안착공(72)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안착공(72)에는 구형상의 가압볼(73)이 수용된다. 가압볼(73)은 삽입구(71)로 일부가 돌출하여 구성되며,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의 수직부(52)(82)가 끼워질때, 가압볼(73)이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의 수직부(52)(82)를 가압하도록 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지만, 탈착시에는 가압볼(73)이 회전하여 인출이나 인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합부(70)의 외주면에는 절단된 고리형태로 일측에 연통공(741)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연통공(741)이 안착공(72)에 대향하도록 탄성가압편(74)이 형성된다.
탄성가압편(74)은 연통공(741)에 안착되는 가압볼(73)이 연통공(741)으로 돌출하며, 탄성가압편(74)은 결합부(7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볼(73)을 결합부(70)의 내부공간을 향해 가압한다.
제2 지지대(50)는 수직부(52)와 절곡부(54)가 일체로 된 형상으로서 수직부(52)는 손잡이(40)의 타단의 결합부(70)의 삽입구(71)에 삽입되어 제2 지지대(50)를 손잡이(40)에 고정시키고 절곡부(54)의 외측 플랜지(541)는 구형 롤러(60)의 축이 된다.
수직부(52)는 삽입구(71)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삽입구(7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球) 형태의 구형 롤러(60)에는 중심부에 상기 제2 지지대(50)의 외측 플랜지(541)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대(50)의 절곡부(54)의 외측 플랜지(541)를 축으로 상기 구(球) 형태의 구형 롤러(60)가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맞댄 이음매에 뿐만 아니라 겹친 이음매에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스크래퍼(80)는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70)의 삽입구(71)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82)와 수직부(82)의 외측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수직부(82)와 길이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래퍼 부착대(83)와, 스크래퍼 부착대(83)의 전면에 고정되는 얇은 판 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래퍼 날(84)로 구성된다.
수직부(82)는 삽입구(71)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삽입구(7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스크래퍼 날(84)은 긁기, 쓸기 등의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스크래퍼 부착대(83)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볼트, 리벳, 본딩 등의 방법으로 스크래퍼 부착대(8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는 선택적으로 결합부(70)의 삽입구(71)에 수직부(52)(82)가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기둥형 롤러(30)의 타측에 탈착가능한 구형 롤러(60) 또는 스크래퍼(80)를 동시에 구성함으로써 원기둥형 롤러(30) 부분을 겹친 이음매에 사용하고 구형 롤러(60) 부분을 맞댄 이음매에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형 롤러(60) 대신 스크래퍼(80)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40)의 외주면에는 고무링(41)이 끼워져 구성되도록 하여, 작업시에 손잡이(40)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고무링(41)이 끼워지는 손잡이(40)의 외주면에는 고무링(41)이 안착되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무링(41)의 안착이 용이하며 작업자가 힘을 주더라도 고무링(41)이 밀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도배지의 맞댄 이음매의 들뜸, 단차, 벌어짐 등의 하자를 방지하여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롤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이음매 부위에도 작업자가 작업대 등에 올라서지 않고서도 이음매 작업을 할 수 있어 도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홀더
20 : 제1 지지대
30 : 원기둥형 롤러
40 : 손잡이
50 : 제2 지지대
60 : 구형 롤러
70 : 결합부
80 : 스크래퍼

Claims (4)

  1. 손잡이(40)와;
    손잡이(40)의 일단에 일측이 고정되며 중앙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22)와, 수직부(22)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축(23)이 형성되는 제1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수직부(22)의 양측의 수평축(23)에 각각 구성되며, 수평축(23)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형 롤러(30)와;
    손잡이(40)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하여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서 손잡이(40)의 길이방향의 일정 길이까지 각형 단면을 갖는 삽입구(71)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71)와 연통되도록 안착공(72)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안착공(72)에는 구형상의 가압볼(73)이 수용되며, 외주면에는 절단된 고리형태로 일측에 연통공(741)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연통공(741)이 안착공(72)에 대향하도록 탄성가압편(74)이 결합되는 결합부(70)와;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70)의 삽입구(71)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52)와 절곡부(54)가 일체로 된 제2 지지대(50)와, 상기 제2 지지대(50)의 절곡부(54)의 외측 플랜지(54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구형 롤러(60) 또는 일정 길이를 갖고 결합부(70)의 삽입구(71)와 동일한 각형 단면을 갖는 수직부(82)와 수직부(82)의 외측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수직부(82)와 길이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래퍼 부착대(83)와, 스크래퍼 부착대(83)의 전면에 고정되는 얇은 판 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스크래퍼 날(84)로 구성되는 스크래퍼(80)가
    결합부(70)의 삽입구(71)에 수직부(52)(82)가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부(22)의 외측단부에는 원기둥형 롤러(3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 또는 원기둥형 롤러(30)와 동일한 곡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호가 형성되는 판 형상의 결합판(25)이 형성되고, 결합판(25)의 양측으로 수평축(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40)의 외주면에는 고무링(41)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링(41)이 끼워지는 손잡이(40)의 외주면에는 고무링(41)이 안착되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20140187576A 2014-12-23 2014-12-23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154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76A KR101540894B1 (ko) 2014-12-23 2014-12-23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76A KR101540894B1 (ko) 2014-12-23 2014-12-23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894B1 true KR101540894B1 (ko) 2015-07-30

Family

ID=5387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576A KR101540894B1 (ko) 2014-12-23 2014-12-23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87Y1 (ko) * 2020-09-01 2021-06-21 신호현 미끄러짐 방지부재가 구성된 이음매 압착용 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074U (ko) * 2009-05-04 2010-11-12 조연규 도배용 롤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074U (ko) * 2009-05-04 2010-11-12 조연규 도배용 롤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87Y1 (ko) * 2020-09-01 2021-06-21 신호현 미끄러짐 방지부재가 구성된 이음매 압착용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584B2 (en) Wall mounting monitor bracket
US10683673B2 (en) Caulking assisting device
US10500699B2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TW201302031A (zh) 支撐裝置
KR101540894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US20130269161A1 (en) Rotary device for a cutting too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CN105852477A (zh) 一种座椅托盘
US8726966B1 (en) Adhesive substance removing tool
KR101544205B1 (ko) 각도 조절식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1555167B1 (ko)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JP2000288964A (ja) パイプ切断用マ−キング工具
TW201639677A (zh) 具輔助握把的直角轉接頭
KR10154089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1204817B1 (ko)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KR101461395B1 (ko) 접착제에 의한 파이프 연결시 파이프의 삽입깊이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기구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US20210162578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Handle
JP2015123431A (ja) 床面用ローラーホルダー
KR20160073565A (ko) 창문 청소 용구
KR101741467B1 (ko) 비계용 수평재
US9474418B1 (en) Barbecue tongs
CN211296758U (zh) 灵活夹持的手机架
TWI607891B (zh) The method and structure of a pen center with various specifications
JP5756557B1 (ja) 管端への防食キャップ装着用治具
KR200468390Y1 (ko) 절삭 공구 조립 및 조립 해제 장치용 로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