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67B1 -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 Google Patents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167B1
KR101555167B1 KR1020150109151A KR20150109151A KR101555167B1 KR 101555167 B1 KR101555167 B1 KR 101555167B1 KR 1020150109151 A KR1020150109151 A KR 1020150109151A KR 20150109151 A KR20150109151 A KR 20150109151A KR 101555167 B1 KR101555167 B1 KR 10155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andle
fixed
bearing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현
Original Assignee
신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현 filed Critical 신호현
Priority to KR102015010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의 한쪽 면을 간단한 망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음매 압착 롤러 하나로 벽지 이음매 압착 롤러의 역할을 하면서도 즉시 타커핀, 이물질, 단차 등을 정리하는 망치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외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며 연장부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부로 절곡되는 간격 유지부와, 간격 유지부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축부에 차례로 끼워지는 외측 베어링, 원기둥 형상의 간격 유지 파이프, 내측 베어링 및 축부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내측 베어링이 축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고정 링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지지 부재와; 일측 단부는 중앙부가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격부가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폐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측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롤러 지지 부재의 축부가 개구부로 삽입되어 스냅링으로 결합홈에 고정하여 외측 베어링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롤러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Roller for folding and inserting wall paper in the corner or groove of the wall}
본 발명은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한쪽 면을 간단한 망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음매 압착 롤러 하나로 벽지 이음매 압착 롤러의 역할을 하면서도 즉시 타커핀, 이물질, 단차 등을 정리하는 망치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이나 천장 등을 도배지로 도배할 때 인접한 도배지 사이의 이음은 겹침 이음이나 맞댄 이음이 사용된다. 이때, 겹침 이음은 주로 종이 재질의 도배지에 사용되고 맞댄 이음은 고급 실크 도배지의 이음에 사용된다.
벽이나 천정 등을 도배하고자 할 때에는 도배사들이 시공 중 돌출된 타커핀이나 이물질, 단차 등을 발견하고도 작업 발판에서 내려가 망치를 꺼내 이와 같은 타커핀이나 이물질 등을 정리하고 다시 벽지작업 또는 이음매 롤러를 이용한 작업을 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워지기 때문에 그냥 지나치며 시공하여 이로 인한 하자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또한, 종래의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롤러가 길이방향 양단부가 모두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중앙부가 관통되어 지지축의 볼트나 스냅링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라 망치 대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10-0000326호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10)의 일단에 고정된 일정한 각(@)을 가지고 있는 수직부(20)와 절곡부(21)가 일체로된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의 절곡부(21)의 철심(22)을 축으로 롤러(31)가 결합되고 롤러(31)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30)이 설치되는 구조로 롤러의 외경부에 일정한 홈(31a)을 구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과 과도한 압력에 의하여 벽지 내부의 풀 등이 밖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용 압착용 롤러'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도배 작업중 타커핀이나 이물질, 단차 등의 불량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발판에서 내려와 다시 망치를 찾아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존의 롤러 자체를 망치의 역할을 하도록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10-0000326호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롤러의 일측이 막혀 망치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음매 압착 롤러 하나로 벽지 이음매 압착 롤러의 역할을 하면서도 즉시 타커핀, 이물질, 단차 등을 정리하는 망치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도구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도배면을 정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오르내리지 않고 이음매 작업을 할 수 있어 도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롤러의 회전력에도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롤러의 일측이 막힌 막힘 구조이기 때문에 풀 찌꺼기 등이 끼지 않아 시공중 벽지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추가로 손잡이의 반대편에 헤라를 형성하여 잦은 도구의 교체 없이 이음매 롤러, 망치 및 헤라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외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며 연장부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부로 절곡되는 간격 유지부와, 간격 유지부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축부와, 축부에 차례로 끼워지는 외측 베어링, 원기둥 형상의 간격 유지 파이프, 내측 베어링 및 축부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내측 베어링이 축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고정 링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지지 부재와; 일측 단부는 중앙부가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격부가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폐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측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롤러 지지 부재의 축부가 개구부로 삽입되어 스냅링으로 결합홈에 고정하여 외측 베어링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롤러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손잡이는 단면의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손잡이의 타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헤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손잡이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링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롤러의 일측이 막혀 망치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음매 압착 롤러 하나로 벽지 이음매 압착 롤러의 역할을 하면서도 즉시 타커핀, 이물질, 단차 등을 정리하는 망치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도구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도배면을 정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오르내리지 않고 이음매 작업을 할 수 있어 도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롤러의 회전력에도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롤러의 일측이 막힌 막힘 구조이기 때문에 풀 찌꺼기 등이 끼지 않아 시공중 벽지를 오염시키지 않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로 손잡이의 반대편에 헤라를 형성하여 잦은 도구의 교체 없이 이음매 롤러, 망치 및 헤라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롤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벽지이음매용 압착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1)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10)와, 손잡이(1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롤러 지지 부재(20)와, 롤러 지지 부재(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롤러(30)로 구성된다.
손잡이(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의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잡이(10)의 상부와 면접하는 면적을 늘려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잡고 롤러(30)를 회전할 때 롤러(30)가 회전하는 이음매 부위에 압력을 쉽게 전달하여 이음매를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1)는 손잡이(10)의 일측 단부에 단순하게 벽지의 이음매를 압착하기 위한 롤러(30)만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잡이(10)의 타단부에는 손잡이(10)의 타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칼날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헤라부(11)가 형성되어, 잦은 도구의 교체 없이 이음매 롤러, 망치 및 헤라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부(11)는 손잡이(10)의 타측 단부를 성형하여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헤라부(11)를 금속 등의 재질로 손잡이(10)와는 별도로 제작하여 손잡이(10)의 타측 단부에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링(12)이 끼워져 구성되도록 하여, 작업시에 손잡이(10)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미끄럼 방지링(12)이 끼워지는 손잡이(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링(12)이 안착되도록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링(12)의 안착이 용이하며 작업자가 힘을 주더라도 미끄럼 방지링(12)이 밀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링(12)은 탄성이 있는 고무링을 사용하여도 되고, 직물, 가죽, 합성수지 재질의 끈을 링 형상으로 감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의 롤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10)의 일측 단부에는 롤러 지지 부재(20)가 결합된다.
롤러 지지 부재(2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손잡이(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서 외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연장부(22)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며 연장부(22)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부로 절곡되는 간격 유지부(23)와, 간격 유지부(23)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축부(24)로 이루어지며, 축부(24)에는 베어링(25)(27)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고정부(21)는 손잡이(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손잡이(10)의 일측 단부에 결합이 된다.
고정부(21)에서 연장부, 간격 유지부(23) 및 축부(24)가 절곡되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축부(24)가 연장부(22) 보다 밑에 위치하도록 하여 롤러(30) 결합시 롤러(30)가 손잡이(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결합이 되도록 하여 롤러(30)로 이음매 가압시 가압 및 롤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축부(24)에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차례로 외측 베어링(25), 원기둥 형상의 간격 유지 파이프(26) 및 내측 베어링(27)이 끼워지는데, 간격 유지 파이프(26)는 축부(24)에 끼워진 외측 베어링(25)과 내측 베어링(27)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축부(24)에 끼워진 외측 베어링(25), 원기둥 형상의 간격 유지 파이프(26) 및 내측 베어링(27)은 축부(24)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부(24)의 외측 단부에 고정 링(28)을 결합하도록 한다.
고정 링(28)은 축부(24)에 끼워진 내측 베어링(27)의 외측에 위치하여, 고정 링(28)의 외측으로 내측 베어링(27)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고정 링(28)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축부(24)의 고정 링(28)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홈(241)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축부(24)에는 롤러(30)가 결합되는데, 롤러(30)는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폐합되고 타단부는 개구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러(30)의 폐합된 일측 단부는 중앙부가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격부(31)가 형성되도록 하여, 롤러(30)가 축부(24)에 결합되었을때, 이음매를 롤러(30)를 회전하여 가압하면서도, 망치의 기능이 필요할 시에는 타격부(31)로 타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타격부(31)를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중심부가 가장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타격부위 이외의 부분에 충격을 주지 않고 타격부위를 정확하게 타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타격부(31)의 중앙부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롤러(30)의 무게를 증가시켜 타격시의 무게를 더하여 타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롤러(31)는 일측 단부는 폐합되는 타격부(3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32)로 축부(24)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롤러(30)는 개구부(32)측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33)이 형성되도록 하며, 롤러 지지 부재(20)의 축부(24)가 개구부(32)로 삽입되면 축부(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 베어링(25), 간격 유지 파이프(26) 및 내측 베어링(27)이 동시에 개구부(32)를 통하여 롤러(3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때, 스냅링(34)으로 결합홈(33)에 고정하여 외측 베어링(25)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스냅링(34)은 축부(24)가 롤러(30)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롤러(30)가 축부(24)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부(24)를 롤러(30)의 내부의 일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스냅링(snap ring)은 축에 끼워진 부품 등의 축방향 움직임을 멈추는 탄성을 갖는 고리를 말하며, 스냅링(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C형상의 스냅링(snap 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는 롤러의 일측이 막혀 망치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음매 압착 롤러 하나로 벽지 이음매 압착 롤러의 역할을 하면서도 즉시 타커핀, 이물질, 단차 등을 정리하는 망치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도구의 교체 없이 간단하게 도배면을 정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오르내리지 않고 이음매 작업을 할 수 있어 도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롤러의 회전력에도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롤러의 일측이 막힌 막힘 구조이기 때문에 풀 찌꺼기 등이 끼지 않아 시공중 벽지를 오염시키지 않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로 손잡이의 반대편에 헤라를 형성하여 잦은 도구의 교체 없이 이음매 롤러, 망치 및 헤라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10 : 손잡이
11 : 헤라부
12 : 미끄럼 방지링
20 : 롤러 지지 부재
21 : 고정부
22 : 연장부
23 : 간격 유지부
24 : 축부
25 : 외측 베어링
26 : 간격 유지 파이프
27 : 내측 베어링
28 : 고정 링
30 : 롤러
31 : 타격부
32 : 개구부
33 : 결합홈
34 : 스냅링

Claims (4)

  1.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10)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손잡이(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서 외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연장부(22)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며 연장부(22)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부로 절곡되는 간격 유지부(23)와, 간격 유지부(23)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 직각으로 연장되는 축부(24)와, 축부(24)에 차례로 끼워지는 외측 베어링(25), 원기둥 형상의 간격 유지 파이프(26), 내측 베어링(27) 및 축부(24)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내측 베어링(27)이 축부(24)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고정 링(28)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지지 부재(20)와;
    일측 단부는 중앙부가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격부(31)가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폐합되고, 타측 단부는 개구부(32)가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32)측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33)이 형성되어 롤러 지지 부재(20)의 축부(24)가 개구부(32)로 삽입되어 스냅링(34)으로 결합홈(33)에 고정하여 외측 베어링(25)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롤러 지지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10)는 단면의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손잡이(10)의 타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헤라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링(12)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20150109151A 2015-07-31 2015-07-31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155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51A KR101555167B1 (ko) 2015-07-31 2015-07-31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51A KR101555167B1 (ko) 2015-07-31 2015-07-31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167B1 true KR101555167B1 (ko) 2015-09-22

Family

ID=5424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51A KR101555167B1 (ko) 2015-07-31 2015-07-31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3692A (zh) * 2020-08-10 2020-11-03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不干胶墙纸安装设备
CN111873691A (zh) * 2020-08-10 2020-11-03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不干胶墙纸的粘贴装置
KR200493887Y1 (ko) * 2020-09-01 2021-06-21 신호현 미끄러짐 방지부재가 구성된 이음매 압착용 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727A (en) 1996-02-13 1998-03-10 Tutewohl; Joseph P. Combination laminating tool
JP2004100165A (ja) 2002-09-05 2004-04-02 Toshiaki Tashiro ハンドローラー
KR200418126Y1 (ko) 2006-02-02 2006-06-08 신호현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0845513B1 (ko) 2007-07-13 2008-07-10 박주생 벽지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727A (en) 1996-02-13 1998-03-10 Tutewohl; Joseph P. Combination laminating tool
JP2004100165A (ja) 2002-09-05 2004-04-02 Toshiaki Tashiro ハンドローラー
KR200418126Y1 (ko) 2006-02-02 2006-06-08 신호현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100845513B1 (ko) 2007-07-13 2008-07-10 박주생 벽지 롤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3692A (zh) * 2020-08-10 2020-11-03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不干胶墙纸安装设备
CN111873691A (zh) * 2020-08-10 2020-11-03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不干胶墙纸的粘贴装置
KR200493887Y1 (ko) * 2020-09-01 2021-06-21 신호현 미끄러짐 방지부재가 구성된 이음매 압착용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167B1 (ko) 망치 기능을 겸비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US8826487B2 (en) Mop cleaning set
US98561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rail cleaning
EP1820435A1 (en) Mop with drying mechanism
US20160073848A1 (en) Sysystems and methods for handrail cleaning
US8341798B2 (en) Expandable supports for paint roller covers
WO2007143471A3 (en) Cleaning implement with wringer
US10624447B1 (en) Power driven duster and cleaner apparatus
GB2557661A (en) Anti rotational telescopic pole
CA2909495A1 (en) Sawhorse and kit
US7089622B2 (en) Wring mop
KR10154089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20150127908A (ko) 호스 권취용 치공구
KR101540894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이음매 압착용 롤러
US9949604B2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belt tensioner
CN110436233B (zh) 一种手工作坊布料收卷机
KR101945837B1 (ko) 가죽공예용 클램프
CN217938163U (zh) 一种粘尘滚筒
CN211283027U (zh) 一种艺术设计纸张收集装置
CN211534272U (zh) 一种带有捋套结构的自挤水拖把
KR101572925B1 (ko) 철근결속용 회전구
CN220825566U (zh) 锁紧装置和滚焊机
US20100175210A1 (en) Screw type mop holder
KR200493887Y1 (ko) 미끄러짐 방지부재가 구성된 이음매 압착용 롤러
KR20120140466A (ko) 안전 못박이 보조 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